KR100667889B1 -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889B1
KR100667889B1 KR1020060026866A KR20060026866A KR100667889B1 KR 100667889 B1 KR100667889 B1 KR 100667889B1 KR 1020060026866 A KR1020060026866 A KR 1020060026866A KR 20060026866 A KR20060026866 A KR 20060026866A KR 100667889 B1 KR100667889 B1 KR 10066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rush
adjusting knob
gap adjusting
vacuum clean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규
김태광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889B1/ko
Priority to US11/544,656 priority patent/US7653964B2/en
Priority to GB0622690A priority patent/GB2436282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4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height adjustment of nozzles or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는, 흡입브러시에 형성된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간격조절노브; 및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기 흡입브러시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과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외주면 사이에는 미세 오물의 통과를 위한 소정의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과 간격조절노브의 외주면 사이에 미세 오물이 정체되지 않음으로써, 미세 오물에 의한 간격조절노브의 회전 구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홈, 브러시, 먼지, 오물, 미세, 이물질, 구속, 가이드, 흡입, 청소기.

Description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SUCTION BRUSH HEIGHT ADJUS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가 채용된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브러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간격조절노브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간격조절노브가 흡입브러시의 삽입홈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청소기 본체 110: 손잡이
200: 흡입브러시 210: 상부커버
211: 삽입홈 211a: 내주면
220: 하부커버 230: 프레임
240: 브러시부재 300: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310: 간격조절노브 310a: 외주면
311: 경사부 311a: 클릭홈
312: 조작부 313: 플랜지
314: 홈 320: 지지부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브러시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된 진공청소기 본체와 피청소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흡입브러시 등을 구비한다.
상기 흡입브러시는 진공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의 오물을 클리닝하는 브러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브러시부재는 솔 브러시나 걸레브러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피청소면을 따라 상기 흡입브러시를 이동시키면, 피청소면의 오물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클리닝된다.
한편, 상기 흡입브러시에는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브러시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를 조절하는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흡입브러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간격조절노브와 지지부재 를 구비한다.
이러한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는 사용자가 간격조절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흡입브러시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간격조절노브는 흡입브러시의 삽입홈에 설치되는데, 원활한 회전동작을 위해 간격조절노브와 삽입홈 사이에는 소정 틈새가 요구된다. 이러한 간격조절노브와 삽입홈 사이의 틈새로 청소시 비산되는 먼지와 같은 미세 오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미세 오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간격조절노브와 삽입홈 사이에 정체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회전이 구속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먼지와 같은 미세 오물로 인해 간격조절노브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는, 흡입브러시에 형성된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간격조절노브; 및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기 흡입브러시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과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외주면 사이에는 미세 오물의 통과를 위한 소정의 경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로는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노브는 이탈 방지를 위한 플랜지와 회전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홈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흡입브러시의 이동을 위하여 구비된 바퀴의 축에 설치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경사부에는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회전 제어를 위한 다수의 클릭홈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청소기 본체, 200은 흡입브러시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모터 및 필터링수단 등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손잡이(110)가 마련되며, 이 손잡이(110)에는 스위치(111)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브러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커버(210)(220), 프레임(230), 브러시부재(240), 제 1 및 제 2 바퀴(250)(2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210)에는 후술할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300)의 설치를 위한 삽입홈(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220)에는 흡입포트(221)가 형성된 다. 상기 프레임(230)은 브러시부재(240)와 같은 흡입브러시(200)의 내장 부품들을 지지한다.
상기 브러시부재(240)는 솔 브러시나 걸레 브러시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오물을 비산시키는 솔 브러시로 예시한다.
이러한 브러시부재(240)는 하부커버(220)의 흡입포트(22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청소기 본체(100)의 모터의 흡입력을 터빈과 같은 미도시된 회전수단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바퀴(250)(260)는 클리닝동작을 위한 흡입브러시(200)의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제 1 바퀴(250)는 상부커버(210)에 지지되고 제 2 바퀴(260)는 축(260a)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노브(310)와 지지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노브(310)는 상기 상부커버(210)의 삽입홈(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A방향과 같이 양방향 회전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조절노브(3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11), 조작부(312), 플랜지(313) 및 홈(314)을 가진다.
상기 경사부(31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노브(31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간격조절노브(310)의 하단에 시점(h1)과 종점(h2)이 소정의 높이차(H)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 (311)에는 간격조절노브(310)의 회전 제어를 위한 다수의 클릭홈(311a)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릭홈(311a)의 갯수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브러시(200)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이 단계별로 제어된다. 즉, 상기 클릭홈(311a)의 갯수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흡입브러시(200)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이 5단계로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부(311)는 원통형 간격조절노브(310)의 대략 절반정도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시점(h1)에서 종점(h2)까지 180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부(311)는 간격조절노브(310)의 회전 자세를 고정시키는 고정홈(311b)을 더 포함한다. 이 고정홈(311b)은 상기 클릭홈(311a)의 위치에서 연장되어 후술할 플랜지(313)까지 간격조절노브(310)의 외주면(310a)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311b)과 대응되는 고정돌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커버(210) 또는 프레임(230)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312)는 상기 간격조절노브(310)의 상단에 삽입홈(2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12)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가 용이한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에에서는 일자(一字)형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조작부(312)의 회전동작에 의해 원통형인 간격조절노브(310)가 A방향 회전된다.
상기 플랜지(313)는 상기 간격조절노브(310)가 삽입홈(211)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간격조절노브(310)의 외주면(310a)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 플랜지(313)는 상부커버(210)의 내측에 지지된다.
상기 홈(314)은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1)의 내주면(211a)과 간격조절노브(310)의 외주면(310a) 사이의 미세 오물 통과를 위한 소정의 경로이다. 이 홈(314)은 상기 간격조절노브(310)의 외주면(310a)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홈(314)은 상기 상부커버(210)에서 하부커버(220) 측으로 미세 오물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홈(314)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홈(314)은 상기 고정홈(311b)과 별개로 간격조절노브(310)의 외주면(310a)에 형성되어, 고정홈(311b)에 의한 간격조절노브(310)의 고정력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미세 오물을 하부커버(220) 측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기 간격조절노브(310)의 경사부(311)와 접촉하여 흡입브러시(200)의 승강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320)는 상기 제 2 바퀴(260)의 축(260a)으로부터 돌출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320)는 경사부(311)의 다수의 클릭홈(311a)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부재(320)가 고정되는 클릭홈(311a)의 위치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브러시(200)가 승강되는 범위가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의 동작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브러시(200)가 피청소면과 마주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잡고 피청소면을 따라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면, 피청소면의 오물이 진공청소기 본체(100)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과 이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시부재(240)에 의해 클리닝된다.
이때, 사용자가 양탄자 또는 카펫 청소와 같이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브러시 본체(100)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간격조절노브(310)를 조작부(312)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경사부(311)도 함께 회전하여 지지부재(320)가 걸림 고정된 클릭홈(311a)의 위치도 가변된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상기 경사부(311)의 시점(h1)의 클릭홈(311a)에 지지부재(320)가 위치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브러시(200)는 하강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311)의 종점(h2)의 클릭홈(311a)에 지지부재(320)가 위치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브러시(200)는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청소기의 청소시 비산되는 먼지와 같은 미세 오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노브(310)의 외주면(310a)과 삽입홈(211)의 내주면(211a) 사이의 홈(314)을 따라 하부커버(220) 측으로 통과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간격조절노브(310)의 회전이 외부 오염물질에 의해 구속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격조절노브와 삽입홈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미세 오물이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경로인 홈을 마련함으로써, 미세 오물이 틈새에 정체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회전이 미세 오물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흡입브러시에 형성된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간격조절노브; 및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기 흡입브러시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과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외주면 사이에는 미세 오물의 통과를 위한 소정의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노브는 이탈 방지를 위한 플랜지와 회전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흡입브러시의 이동을 위하여 구비된 바퀴의 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경사부에는 상기 간격조절노브의 회전 제어를 위한 다수의 클릭홈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KR1020060026866A 2006-03-24 2006-03-24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KR10066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66A KR100667889B1 (ko) 2006-03-24 2006-03-24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US11/544,656 US7653964B2 (en) 2006-03-24 2006-10-10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uction brush
GB0622690A GB2436282B (en) 2006-03-24 2006-11-14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nozzl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66A KR100667889B1 (ko) 2006-03-24 2006-03-24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889B1 true KR100667889B1 (ko) 2007-01-16

Family

ID=3760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866A KR100667889B1 (ko) 2006-03-24 2006-03-24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53964B2 (ko)
KR (1) KR100667889B1 (ko)
GB (1) GB2436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8461B (zh) * 2009-08-14 2015-06-17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高度调整机构
GB2485666B (en) * 2010-11-18 2014-10-2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agitator height control mechanism
USD667184S1 (en) * 2011-03-04 2012-09-11 Bissell Homecare, Inc. Portion of a vacuum cleaner
US8424155B2 (en) * 2011-09-01 2013-04-23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Upright vacuum cleaner with agitator lift feature
US9723961B1 (en) * 2013-01-18 2017-08-08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US9622631B2 (en) 2013-09-18 2017-04-1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nozzle adjustment apparatus with adjustable blad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788A (en) 1924-10-04 1926-04-15 Juan Adarraga Improved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nuts
CA2181876C (en) * 1996-07-23 2002-12-31 The Bank Of Nova Scotia Lift off mechanism for a vacuum cleaner
US7246407B2 (en) * 2003-04-22 2007-07-24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suction brush of upright vacuum cleaner
KR100572156B1 (ko) * 2004-03-29 2006-04-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3964B2 (en) 2010-02-02
US20070220701A1 (en) 2007-09-27
GB0622690D0 (en) 2006-12-27
GB2436282B (en) 2008-03-05
GB2436282A (en)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889B1 (ko)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KR101031560B1 (ko) 흡입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2452480B1 (ko) 진공 청소기
JP2005040577A (ja) 掃除ロボット
RU2300303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ой насадкой
KR100517930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높이조절장치
KR1005397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KR102015320B1 (ko) 청소기
KR100572156B1 (ko)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20080032721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1476156B1 (ko)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KR101248733B1 (ko) 진공 청소기의 아지 테이터
KR19990006704U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150075642A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KR100456171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안전장치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298938B1 (ko) 진공청소기의회전식파우어조절장치
KR10050084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높이조절 장치
KR20110047597A (ko) 진공청소기
KR100227193B1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028279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100539745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KR20070051210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KR101458031B1 (ko) 진공청소기
KR19990005962U (ko) 업라이트청소기의 이동바퀴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