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27A -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27A
KR20060122727A KR1020060046894A KR20060046894A KR20060122727A KR 20060122727 A KR20060122727 A KR 20060122727A KR 1020060046894 A KR1020060046894 A KR 1020060046894A KR 20060046894 A KR20060046894 A KR 20060046894A KR 20060122727 A KR20060122727 A KR 2006012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ction port
inlet
suction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684B1 (ko
Inventor
요시아끼 마쯔모또
히로따까 시까노
신이찌 아끼야마
히로미찌 마쯔하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간극 청소에 적합하도록 자세가 절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흡입구(205)는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와 접속통(215)을 갖고 있다. 하우징(214)에 대한 접속통(215)의 돌출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주흡입구(224)가 피청소면(400)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214)을 깊이 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본 자세와, 하우징(214)의 전방면이 피청소면(400)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214)을 폭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립 자세로 자세를 절환할 수 있다. 하우징(214)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회전자(226) 및 기모천(240)이 구비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 하우징, 접송통, 기모천, 회전 브러시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Electrical Cleaner Suction Por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200)의 우측면도.
도2는 전기 청소기(200)에 있어서의 흡입구(205)의 자세를 절환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흡입구(205)가 기립 자세로 절환된 상태의 전기 청소기(200)의 우측면도.
도4는 회전 기구(209)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조작부(203) 부분의 축방향 종단면도.
도5는 흡입구(205)의 우측면도로, 피청소면(400) 상에서 기본 자세로 된 상태의 도면.
도6은 흡입구(205)를 좌우 방향 중앙에서 절단한 종단면도.
도7은 흡입구(205)의 평면도.
도8은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했을 때의 배면도.
도9는 도8의 부분 단면도.
도10은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했을 때의 우측면도.
도11은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의 바닥면도.
도12는 흡입구(205)에 있어서의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의 회전 가능 한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하우징(214)을 폭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정면측 단면도.
도13은 흡입구(205)에 있어서의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의 회전 가능한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하우징(214)을 폭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정면측 단면도.
도14는 흡입구(205)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 보조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의 배면도.
도15는 도14에 도시하는 흡입구(205)의 바닥면도.
도16은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214)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의 배면도.
도17은 도16에 도시하는 흡입구(205)의 바닥면도.
도18의 (a), (b)는 각각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의 바닥면도.
도19는 셔터(22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흡입구(205)의 정면도.
도20은 셔터(225)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흡입구(205)의 기본 자세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265)의 기본 자세의 우측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265)의 기본 자세의 정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265)의 기립 자세의 정면도.
도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275)의 기본 자세일 때의 평면도.
도25는 도24에 도시하는 흡입구(275)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을 우측에서 본 우측 종단면도.
도26은 도8에 도시하는 흡입구(205)를 간극 청소를 위해 간극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7은 흡입구(205)를 변형하여 하우징(214)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비교하면, 하단부의 쪽이 그 두께가 넓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내는 기립 상태의 배면도.
도28은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하여 전기 청소기를 비와 같이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5, 265, 275 : 흡입구
214 : 하우징
215 : 접속통
216, 276 : 연결 기구
223 : 바닥면
224 : 주흡입구
225 : 셔터
226 : 회전자
232 : 회전 브러시
233 : 축
234, 235 : 브러시
236 : 주형 브러시
237 : 모터
238 : 부흡입구
239 : 보조 흡입구
240, 254, 255, 256 : 기모천
250 : 2중 회전자
400 : 피청소면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62878호 공보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어 피청소면 상의 진애를 흡입하고, 전기 청소기 본체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흡입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에 후단부가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는 조작부가 구비된 흡입 호스와, 흡입 호스의 조작부에 후 단부가 접속되고, 그 선단부측에는 흡입구가 접속되는 흡입 파이프를 갖고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에 설치된 그립을 파지하여 흡입구를 피청소면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청소를 행한다.
종래의 흡입구는 전후로 이동될 때에 효율적으로 피청소면의 진애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 파이프에 소위 T자형으로 접속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흡입구는 소정의 폭, 두께 및 깊이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있고, 하우징의 폭방향은 두께 및 깊이에 비해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폭방향 중앙에 접속통이 설치되고, 접속통이 흡입 파이프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조작부에 구비된 그립을 파지하여 흡입 파이프의 선단부에 연결된 흡입구를 하우징의 폭방향이 흡입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 방향이 되는 상태로 하고, 흡입구를 전후시켜 청소를 행한다. 이에 의해, 피청소면을 하우징의 폭단위로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피청소면에는 면적이 넓은 바닥면 중앙부뿐만 아니라, 바닥면 구석의 벽과의 경계부, 베드의 아래, 벽과 가구의 간극 등도 있고, 이러한 피청소면에 대해서도 흡입구에 의해 양호하게 진애를 포획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 흡입구는 흡입 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흡입 파이프의 선단부에서 흡입구가 그 각도나 방향을 바꾸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예가 일본 특허 공개 평10-262878호 공보(특허문헌 1)의 도19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6287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흡입 파이프의 선단부에 마련된 흡입구는 하우징의 폭방향을 흡입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흡입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구는 하우징의 깊이 방향 이상의 간극이 있으면, 그 간극에 삽입할 수 있어 청소를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흡입구의 하우징의 깊이 방향 길이보다도 좁은 폭만 있는 간극에는 흡입구를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해 청소를 행할 수 없다. 그런데, 가구와 벽의 간극이나, 가구와 가구의 간극은 흡입 파이프가 겨우 들어갈 정도의 좁은 폭만 있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종래에는 흡입구를 흡입 파이프로부터 제거하고, 흡입 파이프의 선단부 등을 이용하여 간극 청소를 행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좁은 간극이라도 양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개량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청소면이 넓은 경우거나, 좁은 경우라도 그것에 적합한 형태로 절환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극 청소를 안정적이고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정의 폭, 두께 및 깊이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긴 주흡입구와, 하우징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주흡입구와 연결된 부흡입구와, 통형 부재이며, 그 일단부는 하우징에 대해 통형 부재의 돌출 방향이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흡입용 파이프 또는 호스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접속통을 구비하고, 하우징에 대한 접속통의 돌출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상기 주흡입구가 피청소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깊이 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본 자세와, 상기 부흡입구가 피청소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폭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립 자세로 하우징의 자세를 절환할 수 있고,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은 하우징의 대략 두께 범위 내로 억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측을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접속통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고,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이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측을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고,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이 하우징의 두 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에는 상기 부흡입구가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개폐하는 셔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셔터는 하우징이 기립 상태가 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셔터에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이동 보조 부재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이동 보조 부재는 기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에는 기립 자세에 있어서, 그 기립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가 구비되고, 복수의 다리는 다리 사이에 상기 부흡입구가 개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다리는 이동 보조 부재를 겸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기 복수의 다리의 배치 간격은 하우징 두께보다도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의 폭방향 양단부에 상기 부흡입구에 연결되는 보조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보조 흡입구는 상기 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다리 중 적어도 일부는 피청소면의 진애를 상기 부흡입구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 내에는 하우징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주흡입구 및 부흡입구에 면하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본 자세일 때와 상기 모터의 구동의 방법을 바꾸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본 자세일 때보다도 상기 회전 브러시가 저속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본 자세일 때와 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200)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1에 있어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 전방을 좌측, 깊이측을 우측으로 하여 설명하고, 전기 청소기(200)의 각 구성 부재에 대해 설명할 때에도 그 방향을 따라서 전후, 좌우 및 상하를 구별하면서 설명한다.
전기 청소기(200)에는 전기 청소기 본체(201), 흡입 호스(202), 조작부(203), 흡입 파이프(204) 및 흡입구(205)가 포함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 본체(201)에는 전동 송풍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력이 발생한다.
전기 청소기 본체(201)의 정면측에는 흡입 호스(202)의 후단부측에 구비된 접속부(205)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흡입 호스(202)는 가요성을 갖고, 임의의 형태로 구부릴 수 있다. 흡입 호스(202)의 반대측(선단부측)에는 조작부(20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203)는 흡입 호스(20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부(206)와, 파이프부(206)로부터 축방향과 교차 방향 후방측으로 연장된 그립(207)과, 파이프부(206)의 중심축에 대해 그립(207)과 반대측(180°이격되는 측)에 설치된 서브 그립(20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흡입 호스(202)의 선단부측과 조작부(203) 사이에는 회전 기구(209)가 개재되어 있고, 조작부(203)와 흡입 호스(202)는 서로 축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204)는 조작부(203)와 흡입구(205)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의, 예를 들어 수지제의 파이프이다.
흡입 파이프(204)는 그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를 경계로 선단부측[흡입구(205)가 마련된 측](211)이 후단부측[조작부(203)가 접속된 측](212) 내에 동축 상에 수납되어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길이의 가변은 흡입 파이프(204)의 중앙부에 구비된 로크 버튼(213)을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흡입구(205)에는 하우징(214)과, 접속통(215)과, 접속통(215)을 하우징(214)에 대해 설치하고 있는 연결 기구(216)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흡입 파이프(204)의 후단부측(212)은 조작부(203)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조작부(203)를 흡입구(205)의 접속통(215)과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200)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파이프(204)를 그 축주위로 비트는 것에 의해 흡입구(205)의 자세를 절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구(205)는 통상 도1에 도시하는 기본 자세를 취하고 있고, 이 기본 자세에서는 후술하는 주흡입구가 피청소면(400)에 대향한 상태로 되 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흡입 파이프(204)를 축주위에 약 90°비틀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05)는 피청소면(400)[도2에서는 피청소면(400)을 이해의 편의를 위해 마루바닥면으로서 나타내고, 지면(紙面)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내고 있음]에 대해 기본 자세 상태이지만, 90°회전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흡입 파이프(204)를 축주위로 더 비틀어 조작하기 쉬운 경사 후방으로 수직 상승한 상태로 하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05)가 기립 자세로 절환한다.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입구(205)의 하우징(214)에 형성되어 있는 부흡입구가 피청소면(400)에 대향한 상태를 말하고, 하우징(214)이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수직 상승하고, 하우징(214)의 폭방향에 흡입 파이프(204)가 연장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흡입 파이프(204)에 연결된 조작부(203)에서는 서브 그립(208)이 상방에 위치하고, 그립(207)은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브 그립(208)을 파지하여 흡입구(205)를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205)가 그 자세를 기본 자세와 기립 자세로 절환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실시 형태의 특징 중 하나이다.
흡입 파이프(204)를 축주위로 비트는 경우에는 그립(207)을 파지한 상태에서 그립(207)을 회전시키면 된다. 즉, 사용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05)를 기본 자세로 한 통상의 조작 상태로부터 그립(207)을 회전시키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흡입 파이프(204)가 축주위로 회전한다. 그리고 그립(207)을 대략 180°회전시켜 서브 그립(208)이 상방이 되었을 때에 사용자는 서브 그립(208)을 다시 파지하면 된다. 사용자는 서브 그립(208)을 파지하고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를 조작하여 간극 청소 등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 호스(202)는 회전 기구(209)를 거쳐서 조작부(20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흡입 호스(202)를 회전시킬 필요는 없고, 흡입 호스(202)는 그 상태에서 그립(207)을 비틀 수 있고, 흡입 파이프(204)를 그 축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립(207) 및 흡입 파이프(204)의 회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4는 회전 기구(209)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조작부(203) 부분의 축방향 종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여 조작부(203)에는 파이프부(206)와, 파이프부(206)로부터 상부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그립(207)과, 파이프부(206)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파이프부(206)의 축방향에 그립(207)과 180°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 그립(208)이 포함되어 있다. 파이프부(206)의 후방에는 흡입 호스(202)의 선단부가 동심원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호스(202)의 선단부에는 원통형의 연결통(217)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통(217)의 후방부에는 커버통(218)이 동심원 상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통(217)의 전방부는 파이프부(206)에 동심원 상에 내부 끼움되어 있다. 또한, 연결통(217)의 전방측에는 한 쌍의 플랜지(219, 220)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조작부(203)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221)가 끼워짐으로써 연결통(217)은 파이프부(206)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또한 빠지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부(206)와 연결통(217)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패킹(222)이 양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흡입 호스(202) 및 그것에 고정된 연결통(217) 및 커버통(218)에 대해 조작부(203)는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흡입 파이프(204)를 비트는 것에 의해, 기본 자세 및 기립 자세로 절환 가능한 흡입구(205)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도5는 흡입구(205)의 우측면도로, 피청소면(400) 상에서 기본 자세로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6은 흡입구(205)를 좌우 방향 중앙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7은 흡입구(205)의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흡입구(205)는 하우징(214), 접속통(215) 및 연결 기구(216)를 포함한다.
하우징(214)은 폭(W)과, 두께(T)와, 깊이(D)를 갖고 있고, 폭(W) > 깊이(D) > 두께(T)의 치수 관계로 되어 있다.
하우징(214)의 바닥면(223)에는 그 전방 부근에 하우징(214)의 폭방향에 긴 주흡입구(224)가 형성되어 있고, 기본 자세에서는, 주흡입구(224)는 피청소면(400)에 대향하고 있고, 진애는 주흡입구(224)로부터 흡입된다.
하우징(214)에는, 또한 그 전방면에 개폐 가능한 셔터(225)가 구비되어 있다. 셔터(225)는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14)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225)에는 그 좌우 양측에 경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226)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자(226)는 흡입구(205)가 기립 자세로 되었을 때, 흡입구(205)가 이동할 때의 이동 보조 부재로서 기능한다.
셔터(225)에는, 또한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충격 흡수 바아(227)가 구비되어 있다. 충격 흡수 바아(227)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흡입구(205)의 전방면이 벽 등에 부딪칠 때, 이 흡수 바아(227)가 최초에 벽에 부딪쳐, 부딪쳤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다. 충격 흡수 바아(227)는 또한, 흡입구(205)가 벽이나 가구에 부딪쳤을 때에 벽이나 가구를 손상시키지 않는 손상 방지 부재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충격 흡수 바아(227)는 셔터(225)와 일체로 형성된 팽출부이며, 그 외표면에 기모천이 점착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충격 흡수 바아(227) 이외에도 손상 방지 부재가 흡입구(205)에는 필요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14)의 상면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의 손상 방지 기모천(228)이 접착되고, 하우징(214)의 좌우 양측면에는 손상 방지용 탄성 시트(2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기구(216)에도 손상 방지용 기모천(230)이 그 외주위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4) 내에는 회전 브러시(232)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232)는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33)을 갖고 있고, 회전축(233)의 주위면에 복수 종류의 브러시(234, 235) 및 탄력이 있는 주형 브러시(236)가 각각 나선형으로 직립된 구성이다. 이 회전 브러시(232)는 주흡입구(242)를 거쳐서 피청소면(400)에 면하고 있다.
연결 기구(216)는 하우징(214)과 접속통(215)을 연결하고 있고, 접속통(215)의 돌출 방향을 하우징(214)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기구(216)는 접속통(215)의 선단부(231)를 하우징(214)의 두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연결 기구(216) 자신은 하우징(2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향은 접속통(215)의 축주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14)에 대해 연결 기구(216)를 90°회전하여 그 상태에서 하우징(214)의 전방면을 피청소면(400)에 대향시킴으로써, 흡입구(205)는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청소면(400)에 대해 하우징(214)의 깊이 방향이 상하를 향해 수직 상승한 기립 자세로 할 수 있다.
여기에, 도8은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했을 때의 배면도이고, 도9는 도8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10은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했을 때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11은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의 바닥면도이다.
도9의 부분 단면도에서는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 내에 있어서의 회전 브러시(232)의 상태, 셔터(225)의 상태 및 회전 브러시(23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37)의 존재가 나타나 있다. 이 부분 단면은 하우징(214)의 폭방향의 중앙 단면이 아닌 폭방향 우측 부근 부분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하면 셔터(225)는 피청소면(400)에 의해 밀려 올라가 개방된다. 셔터(225)는, 흡입구(205)가 기본 자세인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 하우징(214)의 전방면을 폐쇄한 폐쇄 상태가 된다. 그런데, 흡입구(205)가 기립 자세로 절환될 때, 셔터(225)는 피청소면(400)에 의해 밀어 올려져 하우 징(214)의 전방면을 개방한 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214)의 전방면에 형성된 부흡입구(238)가 개방되어 부흡입구(238)는 피청소면(400)과 대향한다. 따라서 흡입구(205)는 기립 자세에 있어서, 피청소면(400)과 대향한 부흡입구(238)로부터 진애를 흡입할 수 있다.
부흡입구(238)는 주흡입구(224)와 연결되어 있고, 회전 브러시(232)는 부흡입구(238) 및 주흡입구(224)에 면하고 있다.
또한, 도8을 참조하여 셔터(225)가 개방된 기립 자세가 되면, 하우징(214)의 폭방향 양단부이며, 하우징(214)의 전방면측[도8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피청소면(400)에 대향하는 측]에 보조 흡입구(239)가 나타난다. 보조 흡입구(239)는 흡입구(205)가 하우징(214)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때, 즉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전후로 이동될 때에 그 이동 방향측으로 개방된 흡입구이다. 따라서, 흡입구(205)가 이동할 때, 그 이동 방향측에는 보조 흡입구(239)가 있으므로, 피청소면(400) 상에 비교적 큰 진애가 있어도 그 진애는 이 보조 흡입구(239)로부터 양호하게 하우징(214) 내로 흡입된다.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서는, 피청소면(400)에는 회전자(226) 및 기모천(240)이 접촉되어 있다. 회전자(2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225)의 양단부[하우징(214)의 폭방향에서 볼 때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모천(240)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자(226)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바닥면 양 구석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는 피청소면(400)에 대향하는 4구석이 2개의 회전자(226) 및 2개의 기모 천(2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8 및 도11을 참조하여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는 피청소면(400)과 대향하는 하우징(214)의 전방면 4구석에 각각 회전자(226) 및 기모천(240)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4점에 의해 하우징(214)은 안정된 기립 자세가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청소면(400)과의 접점(241) 사이에 부흡입구(238)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회전자(226) 및 기모천(240)은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가 피청소면(400)을 이동할 때, 즉 도10에 있어서 흡입구(20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한 이동 보조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서브 그립(208)을 파지하여 흡입 파이프(204)를 거쳐서 흡입구(205)를 전후로 이동시킬 때에 흡입구(205)는 안정된 기립 자세를 유지하면서 피청소면(400) 상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있어서, 하우징(214)에 대해 90°회전된 연결 기구(216)에 대해 접속통(215)은 그 선단부(231)가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이 요동 방향은, 도10에 있어서는 화살표 242로 나타내는 좌측 상방의 경사 좌우 방향이다. 따라서, 접속통(215)에 접속된 흡입 파이프(204)(도3 참조) 및 서브 그립(208)의 각도 및 위치를 조작하기 쉬운 각도 및 위치로 하여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에 있어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에 대해 접속통(215)은 하우징(214)의 두께 방향 중심선 상에 축심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은 접속통(215)을 거쳐서 안정되고 취급이 쉬운 균형잡힌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12 및 도13은 흡입구(205)에 있어서의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의 회전 가능한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하우징(214)을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12는 하우징(214)과 접속 기구(216)가 도5, 도7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의 단면도이고, 도13은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가 도8, 도10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의 단면도이다.
도12, 도13을 참조하여 연결 기구(216)에는 그 선단부측에, 하우징(214) 내에 배치된 플랜지(243)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243)는 그 내주연(244)이 흡입구를 형성하고 있고, 그 외주는 원호형 주위면(245), 중심에 대해 180°이격되는 위치에 절결된 2개의 로크용 오목 절결면(246) 및 로크용 오목 절결면(246)과 중심에 대해 90°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의 위치 결정용 평면(247)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하우징(214) 내에는 플랜지(243)에 인접하여 로크 부재(248)가 배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248)는 코일 스프링(249)에 의해 항시 플랜지(243)의 외주를 향해 탄력 압박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248)가 플랜지(243)의 위치 결정용 평면(247)의 한쪽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 기구(216)는 하우징(214)이 기본 자세일 때에 적합한 회전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걸려 있다. 연결 기구(216)는 위치 결정용 평면(247)과 로크 부재(248)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각도가 위치 결정되지 만, 그 상태로부터 연결 기구(216)를 하우징(214)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216)를 하우징(214)이 기립 자세에 적합한 각도까지 회전시켰을 때에는 로크용 오목 절결면(246)에 로크 부재(248)가 끼워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를 매우 강한 힘으로 비틀지 않으면, 양자의 각도 위치를 바꿀 수 없게 된다. 즉,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했을 때, 하우징(214)에 대해 연결 기구(216)는 도10에 도시하는 회전 위치로 되어 있지만, 이 상태일 때, 하우징(214)에 대한 연결 기구(216)의 회전 위치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용 오목 절결면(246)과 로크 부재(248)가 결합함으로써 이 각도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도10에 도시하는 기립 자세에 있어서는, 연결 기구(216)는 하우징(214)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214)과 연결 기구(216)의 각도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통(215)만이 화살표(24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접속통(215), 환언하면 접속통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204)의 길이 방향에 하우징(214)은 기립 상태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214)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하우징(214)을 기립 자세 상태에서 원활하게 간극 청소에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14는 흡입구(205)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 보조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5는 도14에 도시하는 흡입구(205)의 바닥면도이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흡입구(205)에는 하우징(214)의 기립 자세에 있어 서, 하우징(214)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회전자(2중 회전자)(250)가 구비되어 있다. 2중 회전자(250)는 하우징(214)의 전방면측이며, 하우징(214)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14)이 기립 자세가 되었을 때, 그 4구석은 2중 회전자(250)로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2중 회전자(250)는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원활하게 폭방향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중 회전자(250)는 하우징(214)의 전방면측이며,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251)와, 지지 부재(251)에 유지된 하우징(214)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252)과, 지지축(252)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2개의 회전자(253)를 갖는 구성이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2중 회전자(250)는 셔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셔터의 개폐 동작은 2중 회전자(250)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되어 있다.
도16은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214)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17은 도16에 도시하는 흡입구(205)의 바닥면도이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205)에는 이동 보조 부재로서의 회전자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셔터(225)가 개방되었을 때 피청소면(400)에 대향하는 셔터의 면에 점착된 기모천(254)이 이동 보조 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흡입구(205)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흡입구(205)는 기모천(254) 및 기모천(240)에 의해 피청소면(400)에 접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기모천(254, 240)이, 흡입구(205)가 피청소면(400) 상을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러한 구성은 회전자(226)나 2중 회전자(250)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18의 (a) 및 도18의 (b)는 각각 기립 자세의 흡입구(205)의 바닥면도이고,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셔터면에 피청소면의 진애를 부흡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기모천(255, 256)이 부착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흡입구(205)는 도18의 (a)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그때 진애가 부흡입구(238), 특히 부흡입구(238)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접속통의 구멍(215a)으로 유도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214)의 폭방향에 있어서, 폭방향 중앙부에서 진애를 하우징(214)의 두께 방향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면(257)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면(257)은, 도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4)의 폭방향 중앙이 융기된 직선형의 산형이라도 좋고, 도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된 산을 나타내는 가이드면(258)이라도 좋다.
또한, 이들 가이드는 기모천(255, 256)으로 구성하지 않고, 예를 들어 셔터(255)의 피청소면(400)에 대향하는 면에 가이드면(257 또는 258)을 형성하는 단차를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도19는 셔터(22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흡입구(205)의 정면도이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25)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셔터(225)의 하변(259)과 피청소면(400) 사이에 간극(260)이 형성되도록 셔터(225)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흡입구(205)가 기본 자세일 때, 흡입구(205)의 전방면측에 셔터(225)로 막혀 있지 않은 간극(260)이 존재한다. 하우징(214)은 그 바닥면에 주흡입구(224)가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해, 그 전방면에는 주흡입구(224)에 연결된 부흡입구(238)가 존재한다. 그리고 셔터(225)와 피청소면(400) 사이에는 간극(260)이 있으므로, 이 간극(260)을 거쳐서 부흡입구(238)로부터 진애가 흡입된다.
특히, 흡입구(205)가 기본 자세로 전진할 때, 그 전방에 있는 피청소면(400) 상의 진애를 상기 간극(260)으로부터 양호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20은 셔터(225)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흡입구(205)의 기본 자세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20의 구성에서는, 셔터(225)는 그 하변(259)이 하우징(214)의 폭방향에 요철을 갖는 변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피청소면(400)과 셔터(225)의 하변(259)과의 사이에는 작은 간극(260) 및 큰 간극(261)이 폭방향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간극을 이용하여 흡입구(205)는 기본 자세에 있어서 전방 이동될 때, 그 전방에 있는 진애를 양호하게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1 내지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265)의 기본 자세의 우측면도, 기본 자세의 정면도 및 기립 자세의 정면도이다.
도21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흡입구(265)의 특징은, 하우징(214)의 전방면은 전방판(266)으로 폐색되어 있고, 전방판(266)에 복수의 통기창(26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복수의 통기창(267)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5개 배열되어 있고, 이들 통기창(267)은 흡입구(265)의 폭방향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구(265)는 이들 복수의 통기창(267)을 거쳐서 그 전방에 있는 진애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전방판(266)은 그 하변(268)이 하우징(214)의 폭방향에 요철을 갖는 변으로 되어 있고, 피청소면(400)과의 사이에 간극(268)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간극(269)을 거쳐서도 하우징(214) 전방의 진애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흡입구(265)를 기립 자세로 한 상태에 있어서, 통기창(267)이 피청소면(400)과 대향하고, 피청소면(400)의 진애를 통기창(267)을 통해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셔터를 설치하지 않아, 보다 간소한 구성의 흡입구(265)로 할 수 있다.
또한, 도21 내지 도23에 있어서, 부호 270은 회전자, 271은 기모천이고, 이들은 기립 자세에 있어서의 하우징(214)의 이동 보조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그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입구(205)와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의 번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24는 흡입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흡입구가 기본 자세일 때의 평면도이다. 도24에 도시하는 흡입구(275)는 도7에 도시하는 흡입구(205)에 비해 하우징(214)에 대해 접속통(215)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 기구(276)의 구성이 다르다.
도25는 도24에 도시하는 흡입구(275)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을 우측에서 본 우측 종단면도이다.
도24 및 도25를 참조하여 연결 기구(276)는 접속통(215)을, 그 선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연결 기구(276) 자체가 하우징(214)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214)의 기본 자세에서는, 하우징(214)에 대해 연결 기구(276)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연결 기구(276)에 선단부가 유지된 접속통(215) 및 접속통의 후단부측에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는 하우징(214)에 대해 경사 후방으로 원하는 각도에서 연장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각도는 연결 기구(276)의 회전에 의해 변위되므로,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접속통(215)은 연결 기구(276)에 의해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4)은 접속통(215), 즉 접속통(215)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입 파이프(204)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므로,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통(215)이 하우징(214)의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 연결 기구(276)가 하우징(21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핀(277)이 구비되어 있다. 규제 핀(277)은 코일 스프링(278)에 의해 항시 상방으로 탄력 압박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기구(276)에는 연결 기구(276)의 회전 각도가 하우징(214)에 대해 수평 방향이 되었을 때에 규제 핀(277)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279)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흡입구(275)에 있어서, 하우징(214)의 후방으로 접속통(215)이 수평으로 돌출된 상태로 하고, 그 상태에서 하우징(214)을 기립 자세로 함으로써 연결 기구(276)는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에 대해 좌우 방향(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이 고정되어 있는 연결 기구(276)에 대해 접속통(215)은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접속통(215)을 하우징(214)의 폭방향으로 기울여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을 폭방향 전후로 용이하게 조작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흡입구는 하우징, 연결 기구 및 접속통을 구비하고 있지만, 연결 기구, 접속통의 구성은 도7 등에서 설명한 연결 기구, 접속통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24, 도25에서 설명한 연결 기구, 접속통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6은 도8에 도시하는 흡입구(205)를 간극 청소를 위해 간극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05)를 기립 상태로 하면, 하우징(214)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은 정도의 간극에 대해 흡입구(205)를 삽입할 수 있고, 이러한 간극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간극에 삽입된 흡입구(205)의 하우징(214)이나 연결 기구(216)에는 손상 방지를 위한 기모천(228), 탄성 시트(229), 기모천(230) 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흡입구(205)가 가구나 벽에 부딪쳐도 가구나 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립 자세에 있어서의 하우징은 셔터(225)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하단부의 두께와 상방부의 두께가 대략 동등 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05)가 기립 자세일 때에 셔터(225)가 개방됨으로써 하우징(214)의 하단부와 상단부에서는 하단부의 쪽이 그 두께가 넓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의 안정도가 증가한다.
그런데,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하여 청소를 행하는 경우, 회전 브러시(232)의 회전을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했을 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자세의 하우징(214)은 그 측면에 주흡입구(224)가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214)이 기본 자세일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 브러시(232)를 회전시킨 경우, 회전 브러시(232)는 도9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회전 브러시(232)에 의해 긁혀 올라가는 피청소면(400) 상의 진애가 주흡입구(224)로부터 측방으로 튀는 일이 있다.
그래서, 하우징(214)을 기립 자세로 한 경우, 회전 브러시(232)의 회전을 기본 자세의 경우보다도 저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14)을 기립 자세로 한 경우, 회전 브러시(232)의 회전을 정지해도 좋다.
혹은 하우징(214)을 기립 자세로 했을 때, 회전 브러시(232)의 회전 방향을 하우징(214)이 기본 자세일 때와 역전시켜도 좋다. 즉, 도9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232)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회전 브러시(232)에 의해 휘저어진 진애의 흐름이 주흡입구(224)측이 아닌 하우징 내측을 향하므로, 하우 징(214)이 기립 자세라도 진애가 주흡입구(224)로부터 측방으로 튈 우려가 없다.
회전 브러시(23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232)의 회전 속도를 낮게 억제해도 좋다.
또한 회전 브러시(23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역회전으로 한 경우, 벽의 바닥면 부근의 단차부가 회전 브러시(232)가 일으키는 바람에 의해 긁히고, 단차면이나 바닥 근방의 레버에 모여 있는 먼지를 양호하게 긁어 떨어뜨릴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도28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하고, 전기 청소기 본체(201)의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브러시(232)만을 순방향[흡입구(205)가 기본 자세일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회전 브러시(232)가 피청소면(400) 상의 진애를 비로 쓸어 올리도록 기능한다. 즉, 흡입구(205)를 기립 자세로 하고, 전기 청소기 본체(201)의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지 않고, 회전 브러시(232)만을 회전시키면 전기 청소기를 비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용도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대한 접속통의 돌출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하우징을 기본 자세와 기립 자세로 절환할 수 있다.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서는 하우징의 전방면측, 즉 부흡입구가 피청소면(바닥이나 융모 등)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그 폭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이동은 이동 보조 부재에 의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접속통은 하우징의 대략 두께 범위 내로 억제되어 있고, 접속통을 압인함으로써(조작함), 기립 자세가 안정된 하우징을 폭방향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접속통에는 전기 청소기 본체측에 접속된 흡입 호스 및 흡입 호스의 선단부측에 접속된 흡입 파이프가 연결된다. 그러므로, 흡입 파이프 또는 흡입 호스에 구비된 조작부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접속 파이프 및 접속통을 거쳐서 흡입구의 하우징을 기립 자세로 한 상태에서 하우징 폭방향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접속통은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기립 자세의 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의 두께 범위 내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돌출 방향의 각도만을 변화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립 자세의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 폭방향 전후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접속통의 돌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도,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셔터에 의해 부흡입구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부흡입구로부터 진애를 흡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부흡입구를 개방한 상태 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기립 자세가 되면 셔터는 개방되므로, 부흡입구가 피청소면과 대향한 부흡입구로부터 진애를 흡인해야 할 상태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부흡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셔터에 형성된 통기창을 거쳐서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부흡입구로부터 진애를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이 기본 자세인 경우에는 주로 주흡입구로부터 진애가 흡입되지만,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 전방면의 부흡입구로부터도 동시에 진애를 흡입할 수 있다. 청구항 7과 같이 셔터에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부흡입구는 폐쇄된 상태가 되지만, 하우징의 전방면에는 셔터의 통기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통기부를 거쳐서 비교적 강한 흡인력으로 하우징 전방의 진애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주흡입구로부터 진애를 흡입하면서 셔터의 통기부를 거쳐서 보조적으로 하우징 전방의 진애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동 보조 부재가 회전 가능한 회전자이므로, 기립 자세의 하우징이 피청소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도 피청소면이, 예를 들어 나무 바닥인 경우, 기모면은 나무 바닥을 저항감 적고 미끄럽게 할 수 있으므로, 기립 자세의 하우징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복수의 다리로 지지된 기립 자세의 하우징 은 다리 사이에 부흡입구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부흡입구로부터 양호하게 진애를 흡입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다리가 이동 보조 부재를 겸용하고 있어, 기립 자세의 하우징의 하면을 간이하고 또한 보기 좋게 만들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립 자세의 하우징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립 자세의 하우징은 폭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그 이동 방향 전방 및 후방에 보조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이동하는 하우징이 그 이동처에 존재하는 진애를 양호하게 보조 흡입구로부터 흡입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다리 사이를 이용하여 보조 흡입구를 보기 좋고 또한 유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립 자세의 하우징에 있어서, 피청소면의 진애는 부흡입구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진애를 흡인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소 시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브러시에 의해 흡입구로의 진애의 긁어 넣기가 행해져 청소 효율이 향상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기립 자세일 때에 회전 브러시가 기립 자세에 적합한 회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하우징은, 기본 자세인 경우에는 기본 자세를 기준으로 한 회전 브러시의 회전의 방법이 있지만, 그 회전 상태가 반드시 하우징이 기립 자세일 때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의 구동의 방법을 바꾸어 회전 브러시의 회전 상태를 하우징이 기립 자세에 적합한 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서는 회전 브러시가 비교적 저속 회전되므로, 회전 브러시가 진애를 긁어 올리고, 기립 상태에서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주흡입구로부터 긁혀 올라간 진애가 횡방향으로 튀지 않는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기립 상태에서 회전 브러시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기립 상태의 하우징의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주흡입구로부터 회전 브러시로 긁힌 진애가 측방으로 튀어나가는 등의 우려는 전혀 없다.
또한, 청구항 18, 19의 발명에 따르면, 기립 자세에 있어서, 흡입구의 하우징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주흡입구에 면한 회전 브러시가 기본 자세일 때와 같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회전 브러시에 의해 가구 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지만, 그와 같은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0의 기재와 같이, 회전 브러시를 기본 자세일 때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 경우,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주흡입구로부터 회전 브러시에 의해 긁혀 올라간 진애가 측방으로 튀지 않고, 회전 브러시의 회전에 의해 진애가 하우징 내로 들어가도록 긁혀 내려가 양호한 흡입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립 자세에 있어서의 회전 브러시의 회전 제어를 기립 자세에 있어서 적합한 제어로 함으로써 흡입구를 기립 자세로 하여 보다 양호하게 청소를 행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0)

  1. 소정의 폭, 두께 및 깊이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긴 주흡입구와,
    하우징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주흡입구와 연결된 부흡입구와,
    통형 부재이며, 그 일단부는 하우징에 대해 통형 부재의 돌출 방향이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흡입용 파이프 또는 호스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접속통을 구비하고,
    하우징에 대한 접속통의 돌출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상기 주흡입구가 피청소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깊이 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본 자세와, 상기 부흡입구가 피청소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폭방향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립 자세로 하우징의 자세를 절환할 수 있고,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은 하우징의 대략 두께 범위 내로 억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측을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접속통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 단을 갖고,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이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의 일단부측을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고,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통이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상기 부흡입구가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개폐하는 셔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하우징이 기립 상태가 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부재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부재는 기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기립 자세에 있어서, 그 기립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가 구비되고, 복수의 다리는 다리 사이에 상기 부흡입구가 개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이동 보조 부재를 겸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2.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기 복수의 다리의 배치 간격은 하우징 두께보다도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3.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의 폭방향 양단부에 상기 부흡입구에 연결되는 보조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입구는 상기 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중 적어도 일부는 피청소면의 진애를 상기 부흡입구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6.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는 하우징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주흡입구 및 부흡입구에 면하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7. 제16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본 자세일 때와 상기 모터의 구동의 방법을 바꾸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본 자세일 때보다도 상기 회전 브러시가 저속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하우징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본 자세일 때와 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KR1020060046894A 2005-05-26 2006-05-25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KR100762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54460 2005-05-26
JP2005154460A JP4514652B2 (ja) 2005-05-26 2005-05-26 電気掃除機用吸込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27A true KR20060122727A (ko) 2006-11-30
KR100762684B1 KR100762684B1 (ko) 2007-10-01

Family

ID=3744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894A KR100762684B1 (ko) 2005-05-26 2006-05-25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14652B2 (ko)
KR (1) KR100762684B1 (ko)
CN (1) CN1005666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8933A (ja) * 2016-03-11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ティック型掃除機
JP2019004962A (ja) * 2017-06-21 2019-01-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
KR20210090051A (ko) *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922A (ja) * 1998-02-17 1999-08-24 Kowa:Kk 掃除機用床ノズル
JP2000079080A (ja) 1998-09-04 2000-03-21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ヘッドおよびこの吸い込みヘッド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2000333887A (ja) 1999-05-28 2000-12-05 Lg Electronics Inc 電気掃除機のノズル
EP1214902B1 (de) * 2000-12-13 2006-06-0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Düse für einen Staubsauger
JP4770091B2 (ja) * 2001-08-22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掃除機用吸込口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4141537A (ja) * 2002-10-28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25979A (ja) 2006-12-07
CN100566644C (zh) 2009-12-09
CN1868392A (zh) 2006-11-29
JP4514652B2 (ja) 2010-07-28
KR100762684B1 (ko)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7565B2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2321633B1 (ko)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JP2003250727A (ja)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KR102072381B1 (ko) 청소기
JPH10211132A (ja)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KR100762684B1 (ko)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JP497822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57951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공기흐름 전환장치 및 이를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09297370A (ja) 電気掃除機
JP2010022855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0623087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8148908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480625B2 (ja) 電気掃除機
JP2008012361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6500994B2 (ja) バキューム掃除機用の掃除機ヘッド、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KR100627907B1 (ko)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 흡입구
KR100611066B1 (ko) 흡입호스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504891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회전브러쉬구조
JP4726708B2 (ja) 電気掃除機
JP5253885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006185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480749B2 (ja) 電気掃除機
JP7353087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86763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195028Y1 (ko) 양방향 이동형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