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373A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373A
KR20090017373A KR1020070093886A KR20070093886A KR20090017373A KR 20090017373 A KR20090017373 A KR 20090017373A KR 1020070093886 A KR1020070093886 A KR 1020070093886A KR 20070093886 A KR20070093886 A KR 20070093886A KR 20090017373 A KR20090017373 A KR 2009001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ain body
suction nozzle
clean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072,46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044373A1/en
Priority to GB0809568A priority patent/GB2451924A/en
Publication of KR2009001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Brush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와 함께 회전 가능한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본체 덕트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브러시 덕트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 및 청소기 본체가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할 때 본체 덕트가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 덕트와 브러시 덕트를 연결하며 내면이 매끄러운 연결 덕트를 포함한다.
연결 덕트, 흡입 노즐, 회전부, 청소기 본체, 본체 지지부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크게 업라이트(upright)형 진공청소기와 캐니스터(canister)형 진공청소기로 구분된다.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흡입 노즐과 청소기 본체가 연장관 조립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 노즐을 청소기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가 흡입 노즐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흡입 노즐의 바닥면에는 피청소면의 오물과 공기가 흡입되는 오물 흡입구가 마련되며, 청소기 본체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장치와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가 설치된다. 흡입 노즐의 오물 흡입구와 청소기 본체의 집진장치는 덕트로 연결되어 있어 오물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와 오물은 덕트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의 집진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할 경우에,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고 청소기 본체를 흡입 노즐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인 다음 청소기 본 체를 밀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또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를 흡입 노즐에 수직한 상태로 만든 후 보관하게 된다. 즉,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가 흡입 노즐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가 흡입 노즐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흡입 노즐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는 덕트의 일부분은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청소기 본체와 흡입 노즐를 연결하는 덕트로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면, 흡입되는 오물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호스 내부의 주름을 형성하는 요철부에 핀, 이쑤시개와 같은 오물이 걸리고, 이 위에 실, 머리카락 등이 쌓여 플렉시블 호스를 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호스는 그 내면이 요철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매끄러운 내면을 갖는 호스에 비해 흡입력이 저하되고,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호스는 강성이 없으므로 청소시에 쉽게 찌그러지게 된다. 플렉시블 호스가 찌그러지면, 흡입된 오물이 플렉시블 호스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므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청소능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청소기 본체의 본체 덕트와 흡입 노즐의 브러시 덕트 사이의 연결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력의 저하와 소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본체 덕트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브러시 덕트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덕트가 상기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덕트와 브러시 덕트를 연결하며, 내면이 매끄러운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기 본체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본체 덕트가 상기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연결 덕트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본체 덕트의 중심축은 상기 흡입 노즐의 브러시 덕트의 중심축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본체 덕트에 연결된 제1연결관; 및 상기 흡입 노즐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브러시 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이 삽입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확장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는 오링(O-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오물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 덕트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지지부재; 상기 본체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 덕트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본체 지지부재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덕트가 상기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덕트와 브러시 덕트를 연결하며, 내면이 매끄러운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본체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연결관; 상기 흡입 노즐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 덕트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 및 상기 제1연결관이 상기 제2연결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 지지부재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제2연결관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관 또는 제1연결관에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확장부와 삽입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확장부와 삽입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브러시 덕트로부터 인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회전축에 평행하게 흘러 상기 본체 덕트로 배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의 본체 덕트와 흡입 노즐의 브러시 덕트가 매끄러운 내면을 갖는 연결 덕트로 연결되므로, 이물질이 걸려 연결 덕트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된 이물질에 의해 청소기의 유로가 막혀 청소를 할 수 없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본체 덕트와 흡입 노즐의 브러시 덕트가 내면이 매끄러운 연결 덕트로 연결되므로,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비해 흡입력의 저하와 소음 증가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 소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후면에서 본 부분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와, 본체 지지부재(30), 및 흡입 노즐(50)을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0)는 진공발생장치(11), 집진장치(13), 및 본체 덕트(20)를 포함한다.
진공발생장치(1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모터와 임펠러가 일체로 형성된 모터 조립체를 사용한다. 진공발생장치(11)는 청소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집진장치(13)는 진공발생장치(1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것으로서, 사이클론 집진장치, 먼지 봉투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집진장치(13)는 진공발생장치(11)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체 덕트(20)는 흡입 노즐(50)과 집진장치(1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청소기 본체(10)의 후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본체 덕트(20)가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조립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체 덕트(20)는 청소기 본체(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연결 덕트(40)와 연결되는 연장관(21), 연장관(21)에 설치되는 손잡이(22), 및 손잡이(22)가 설치된 연장관(21)의 타단에 연결되며 집진장치(13)의 인입부와 연결되는 연결호스(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 덕트(20)가 청소기 본체(10)에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손잡이(22)를 잡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덕트(20)를 청소기 본체(10)에서 분리하면,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조립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 지지부재(30)는 흡입 노즐(5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본체 지지부재(3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청소기 본체(10)를 지지하여 청소기 본체(10)가 흡입 노즐(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가 본체 지지부재(30)에 장착된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0)는 흡입 노즐(5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본체 지지부재(30)는 흡입 노즐(50)에 힌지 결합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지지부재(30)의 양 측면에는 힌지 축(31)이 형성되고, 흡입 노즐(50)의 후면에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축(31)에 대응되는 힌지 구멍(51)(도 7에는 한 개의 힌지 구멍만 표시됨)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 지지부재(30)의 힌지 축(31)을 흡입 노즐(50)의 힌지 구멍(51)에 삽입하면, 도 9와 같이 본체 지지부재(30)가 흡입 노즐(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체 지지부재(30)는 양 측면에 설치된 2개의 힌지 축(31)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제1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체 지지부재(30)는 흡입 노즐(50)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지지부재(30)의 상면에는 청소기 본체(10)가 안치될 수 있는 안치부(34)가 마련되며, 청소기 본체(10)를 본체 지지부재(30)에 고정하는 결합부재(35)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 지지부재(30)의 후면에는 연결 덕트(40)를 고정하는 덕트 홈(33)이 형성된다.
흡입 노즐(50)은 청소기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흡입 노즐(50)이 청소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본체 지지부재(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흡입 노즐(50)의 하면에는 피청소면의 오물과 공기를 흡입하는 오물 흡입구(52)가 형성되며, 오물 흡입구(52)의 내측에는 브러시(54)가 설치된다. 흡입 노즐(50)의 양 측면에는 흡입 노즐(50)이 피청소면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바퀴(55)가 설치된다. 흡입 노즐(50)의 내측에는 오물 흡입구(52)로부터 인입되는 오물과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브러시 덕트(53)가 형성되며, 브러시 덕트(53)의 일단은 흡입 노즐(50)의 후면으로 연장된다.
브러시 덕트(53)의 일단에는 연결 덕트(40)가 연결된다. 연결 덕트(40)는 브러시 덕트(53)와 본체 덕트(20)를 연결하여, 오물 흡입구(52)로 인입된 오물과 공기가 본체 덕트(20)를 통해 집진장치(13)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덕트(40)는 흡입된 오물이 걸리지 않도록 그 내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청소기 본체(10)를 흡입 노즐(50)에 대해 회전시키거나 청소시에 받는 힘에 의해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또한, 연결 덕트(40)는 청소기 본체(10)가 흡입 노즐(50)에 대해 회전할 때, 본체 덕트(20)가 브러시 덕트(53)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 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연결 덕트(40)는 본체 덕트(20)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41)과 브러시 덕트(53)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42) 및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이 서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4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덕트(20)의 중심축(20c)은 브러시 덕트(53)의 중심축(53c)과 이격되어 서로 편심되어 있다. 따라서,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은 편심된 본체 덕트(20)와 브러시 덕트(53)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의 굴곡은 본체 덕트(20)와 브러시 덕트(53)의 배치에 따라 본체 덕트(20)와 브러시 덕트(53)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연결관(41)은 대략 90도로 2번 절곡되어 형성된다(도 5 및 도 8 참조). 즉, 도 2에서 본체 덕트(20)의 중심축(20c) 방향을 Z축이라 하면, 제1연결관(41)은 Y축 방향으로 90도 절곡한 후, 다시 X축 방향으로 90도 절곡하여 형성된다. 제2연결관(42)도 제1연결관(41)과 비슷하게 대략 90도로 2번 절곡하여 형성한다.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은 회전부(43)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43)는 제1연결관(41)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부(44)와, 확장부(44)에 삽입되도록 제2연결관(42)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45)로 형성된다. 확장부(44)와 삽입부(45) 사이에는 연결 덕트(40)의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을 통과하는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46)가 설치된다. 실링부재(46)는 제2연결관(42)의 삽입부(45)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47)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하지 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고정부(47)는 제1연결관(41)의 확장부(44)의 내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실링부재(46)로 오링(O-ring)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실링부재(46)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재(46)로는 제1연결관(41)이 제2연결관(4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 사이로 공기와 오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의 실링부재라도 사용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가 흡입 노즐(50)에 대해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덕트(40)의 회전 중심(C), 즉, 회전부(43)의 중심축(C)이 본체 지지부재(30)가 흡입 노즐(50)에 대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C1)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연결 덕트(40)의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 덕트(40)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오물 및 공기가 회전부(43)를 통과할 때 제1회전축(C1)과 평행하게 흐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연결 덕트(40)의 회전부(43)의 확장부(44)가 제1연결관(41)에 형성되고, 삽입부(45)는 제2연결관(42)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확장부(44)를 제2연결관(42)에 형성하고 삽입부(45)는 제1연결관(41)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실링부재(46)를 고정하는 고정부(47)가 제2연결관(42)의 삽입부(45)의 외주면에 형성되었으나, 고정부(47)는 제1연결관(41)의 확장부(44)의 내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청소기 본체(10)가 흡입 노즐(50)에 착탈 가능하도 록 설치되도록 본체 지지부재(30)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청소기 본체(10)를 흡입 노즐(50)에 대해 분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본체 지지부재(30)를 사용하지 않고, 청소기 본체(10)와 흡입 노즐(50)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청소기 본체(10)와 흡입 노즐(50)을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0)의 하부의 양 측면에 힌지 축(31)을 형성하고, 이를 흡입 노즐(50)에 형성된 힌지 구멍(51)에 결합하면 된다. 이와 경우에도 청소기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개의 힌지 축(31)의 회전 중심인 제1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덕트(40)의 회전부(43)의 중심축(C)이 제1회전축(C1)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청소기 본체(10)가 흡입 노즐(5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즉, 이는 상술한 실시예의 본체 지지부재(30)가 청소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소를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10)의 본체 덕트(20)에 형성된 손잡이(22)를 잡고 도 7과 같이 청소기 본체(1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인다. 이때, 청소기 본체(10)는 본체 지지부재(30)에 장착되어 있고, 본체 지지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5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10)는 제1회전축(C1)을 중심으로 흡입 노즐(5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체 덕트(20)는 연결 덕트(40)를 통해 브러시 덕트(5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본체 덕트(20)는 브러시 덕트(53)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한다. 즉, 청소기 본체(10)가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청소기 본체(10)의 아래에 설치된 본체 지지부재(30)가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러면, 본체 지지부재(30)에 고정된 연결 덕트(40)의 제1연결관(4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아 제2연결관(42)에 대해 회전하여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연결관(41)의 확장부(44)와 제2연결관(42)의 삽입부(45) 사이에는 실링부재(4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연결관(41)이 제2연결관(42)에 대해 회전하여도 제1연결관(41)과 제2연결관(42)을 통과하는 오물과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를 동작시키면, 청소기 본체(10)에 설치된 진공발생장치(11)가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오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 노즐(50)의 오물 흡입구(52)로 인입된다. 흡입 노즐(50)의 오물 흡입구(52)로 인입된 오물과 공기는 브러시 덕트(53)를 통해 연결 덕트(40)로 이동한다.
연결 덕트(40)로 인입된 오물과 공기는 차례로 제1연결관(41), 회전부(43), 및 제2연결관(42)을 통과하여 본체 덕트(20)로 이동한다. 이때, 연결 덕트(40)의 내면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된 이쑤시개나 핀 등에 의해 연결 덕트(40)가 막히는 일은 발생하지 않으며, 내면에 요철이 있는 플렉시블 호스에 비해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연결 덕트(40)의 회전부(43)의 중심축(C)은 제1회전 축(C1)과 동축을 이루고 있으므로, 연결 덕트(40)를 통과하는 오물과 공기는 제1회전축(C1)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부(43)의 중심을 통과한 후, 본체 덕트(20)로 인입되게 된다.
본체 덕트(20)를 통과한 오물과 공기는 청소기 본체(10)에 설치된 집진장치(13)로 인입된다. 집진장치(13)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깨끗해진 공기를 진공발생장치(11)로 배출한다. 집진장치(13)에서 배출된 깨끗한 공기는 진공발생장치(11)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청소를 완료한 후,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1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청소면에 수직하게 세우기 위해 청소기 본체(10)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청소기 본체(10)가 장착된 본체 지지부재(30)가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체 지지부재(3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본체 지지부재(30)에 고정된 연결 덕트(40)의 제1연결관(41)도 제2연결관(42)에 대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가 연결 덕트(40)에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청소기 본체(10)가 피청소면에 수직인 경우의 본체 지지부재(30)와 연결 덕트(40)의 상태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를 청소기 본체(10)가 흡입 노즐(5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청소를 하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0)를 본체 지지부재(30)로부터 분리하고, 본체 덕 트(20)의 연장관(21)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분리된 본체 덕트(20)의 연장관(21)의 선단에 캐니스터형 흡입 노즐(미도시)을 연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를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보관 중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후면에서 본 부분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연결 덕트를 Ⅲ-Ⅲ선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본체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 노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흡입 노즐에 본체 지지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흡입 노즐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흡입 노즐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흡입 노즐에 본체 지지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0; 청소기 본체
11; 진공발생장치 13; 집진장치
20; 본체 덕트 30; 본체 지지부재
40; 연결 덕트 41; 제1연결관
42; 제2연결관 43; 회전부
50; 흡입 노즐 51; 힌지 구멍
52; 오물 흡입구 53; 브러시 덕트
54; 브러시 55; 바퀴

Claims (14)

  1. 본체 덕트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브러시 덕트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덕트가 상기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덕트와 브러시 덕트를 연결하며, 내면이 매끄러운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본체 덕트가 상기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연결 덕트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본체 덕트의 중심축은 상기 흡입 노즐의 브러시 덕트의 중심축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본체 덕트에 연결된 제1연결관; 및
    상기 흡입 노즐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브러시 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이 삽입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확장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오링(O-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8. 오물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 덕트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지지부재;
    상기 본체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 덕트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본체 지지부재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덕트가 상기 브러시 덕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덕트와 브러시 덕트를 연결하며, 내면이 매끄러운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본체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연결관;
    상기 흡입 노즐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 덕트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 및
    상기 제1연결관이 상기 제2연결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 지지부재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제2연결관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관 또는 제1연결관에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확장부와 삽입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확장부와 삽입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오링(O-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브러시 덕트로부터 인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회전축에 평행하게 흘러 상기 본체 덕트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20070093886A 2007-08-14 2007-09-14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90017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72,469 US20090044373A1 (en) 2007-08-14 2008-02-26 Upright type vacuum cleaner
GB0809568A GB2451924A (en) 2007-08-14 2008-05-27 Upright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467607P 2007-08-14 2007-08-14
US60/964676 2007-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73A true KR20090017373A (ko) 2009-02-18

Family

ID=404107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80A KR101370821B1 (ko) 2007-08-14 2007-09-14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20070093887A KR20090017374A (ko) 2007-08-02 2007-09-14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20070093886A KR20090017373A (ko) 2007-08-14 2007-09-14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80A KR101370821B1 (ko) 2007-08-14 2007-09-14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20070093887A KR20090017374A (ko) 2007-08-02 2007-09-14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1370821B1 (ko)
CN (2) CN1013666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75A (zh) * 2010-04-12 2011-10-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软管连接结构
US8789235B2 (en) * 2010-11-18 2014-07-2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agitator height control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047A (en) * 1994-01-20 1998-11-17 Daewoo Electronics Co., Inc. Vacuum cleaner for both upright and canister modes
KR970014673A (ko) * 1995-09-29 1997-04-28 배순훈 복합형 진공청소기의 바퀴 장착구조
JP2002209803A (ja) * 2001-01-19 2002-07-30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3265381A (ja) * 2002-03-19 2003-09-2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100701177B1 (ko) * 2005-08-18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72A (ko) 2009-02-18
KR101370821B1 (ko) 2014-03-07
KR20090017374A (ko) 2009-02-18
CN101366610A (zh) 2009-02-18
CN101366612B (zh) 2012-07-04
CN101366612A (zh)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082B1 (ko) 표면처리기구
US8181309B2 (en) Upright vacuum cleaner
AU619993B2 (en) Vacuum cleaner
US827209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20100205768A1 (en)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US6823558B2 (en) Bushing seal in a vacuum cleaner brush having a floor cloth
US82013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20100269290A1 (en) Nozz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7194784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pivotal handle
JP2021505217A (ja) 床ツールユニット、表面処理器具、及び真空掃除機
JP2009189795A (ja) 掃除装置
KR102308483B1 (ko)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0768860B1 (ko) 진공 청소기의 소음 저감 흡입부
JP200813221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9001737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S20090044373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5025243B2 (ja) アップライト式電気掃除機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7353087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WO2021253683A1 (zh) 摆动组件、用于清洁设备的地刷组件与清洁设备
KR10055648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JP2014008304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2002223999A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101653309B1 (ko) 흡입관릴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20110101542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