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542A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542A
KR20110101542A KR1020100020604A KR20100020604A KR20110101542A KR 20110101542 A KR20110101542 A KR 20110101542A KR 1020100020604 A KR1020100020604 A KR 1020100020604A KR 20100020604 A KR20100020604 A KR 20100020604A KR 20110101542 A KR20110101542 A KR 2011010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ction unit
suction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욱
문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542A/ko
Publication of KR2011010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4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height adjustment of nozzles or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연결되는 바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가 동작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 중심과 바닥면과의 높이가 가변된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Suction unit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본 실시 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오늘날 사용상의 편의성으로 진공 청소기는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특히 양탄자나 소파 청소의 필요성으로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흡입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장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과, 흡입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으로 대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집진 유니트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는 브러쉬가 구비된다.
한편, 청소가 종료된 경우에 본체를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상기 흡입 노즐에 구비된 브러쉬의 브러쉬 솔이 본체의 무게에 의해서 짓눌린 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브러쉬의 브러쉬 솔의 변형 및 훼손 등으로 인한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바닥면으로부터의 흡입 유닛의 높이가 본체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연결되는 바퀴가 포함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흡입 유닛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로 전달하는 전달부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가 동작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 중심과 바닥면과의 높이가 가변되고, 상기 본체가 직립되면, 상기 브러쉬는 바닥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에, 흡입 유닛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가 상기 흡입 유닛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 유닛에 구비된 브러쉬의 브러쉬 솔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브러시 솔의 손상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흡입 유닛의 사시도.
도 4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제 1 흡입 유닛의 단면도.
도 5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제 1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흡입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청소기의 종류로서 일 례로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진공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면에 놓이는 제 1 흡입 유닛(20)과,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 분리 장치(3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제 2 흡입 유닛과, 상기 본체(10)의 상방에 구비되는 핸들(40)과, 상기 핸들(40)과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호스(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저면에는 바닥면의 먼지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퀴(2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후측부에는 상기 본체(10)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24)를 조작하면,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에 대해서 회전되며, 사용자는 상기 핸들(40)을 잡고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을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30)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 2 흡입 유닛은 상기 본체(10)의 뒷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30)는,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흡입 유닛에는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노즐(70)과, 상기 노즐(70)과 상기 핸들(40)이 연결되도록 하는 흡입관(60)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제 2 흡입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부(11)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1)에는, 상기 흡입관(60)이 장착되는 흡입관 장착부(12)와, 상기 노즐(70)이 장착되는 노즐 장착부(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70)이 상기 본체(1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노즐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노즐(70)이 상기 흡입관(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므로, 상기 노즐(70)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70)을 상기 흡입관(60)에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된다.
상기 핸들(40) 내부에는 상기 노즐(70)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 및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호스(50)는 상기 노즐(70)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 및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호스(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움직임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본체의 하측에 연결된 흡입 유닛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바닥면 이외의 장소는 청소를 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바닥면 이외의 공간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흡입 유닛이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2 흡입 유닛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2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흡입 유닛(60, 7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을 바닥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한다.
반면,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흡입 유닛(60, 7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흡입 유닛(60, 70)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흡입 유닛 또는 제 2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유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두 개의 유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 모터와 연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에는,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의 휠(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은, 상부 바디(201)와, 상기 상부 바디(201)의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203)가 형성되는 하부 바디(20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에는 상기 본체(1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04)가 형성된다.
도 4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제 1 흡입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흡입 유닛(20) 저면의 높이를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에는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30)는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저면을 지지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바퀴(231)와, 상기 한 쌍의 바퀴(231)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230)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샤프트(232)와, 상기 샤프트(232)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탄성부재(240)과 결합되는 결합부(234)와, 상기 샤프트(23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 (232)로 전달하는 전달부(233)가 포함된다.
상기 샤프트(232)는 고정부재(236)에 의해서 상기 하부 바디(20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바퀴(231)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바퀴(231)의 회전축(231a)은 상기 샤프트(232)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32)를 회전의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퀴(231)의 회전축(231a)과 상기 전달부(233)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233)는 상기 샤프트(232)의 중앙부에서, 상기 샤프트(232)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샤프트(232)는 상기 하부 바디(20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달부(233)는 상기 하부 바디(202) 및 상부 바디(201)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204)로 노출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수용부(204)로 노출된 상기 전달부(233)를 선택적으로 밀게 된다(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32)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결합부(234)에는 상기 탄성 부재(2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235)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240)는 상기 전달부(233)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전달부(233)의 위치가 복원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236)는 상기 샤프트(232)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저면에 고정되며, 대략 단면이 "U" 형상이다.
도 6 은 제 1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 상기 본체(10)는 뒤로 젖혀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전달부(233)는 상기 샤프트(232)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상기 본체(10) 방향(도 6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퀴(231)도 상기 샤프트(23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전달부(2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브러쉬(220)의 솔이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에 놓여진 먼지 등을 흡입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브러쉬(220)의 반경을 D1이라 하고, 상기 바퀴(231)의 반경을 D2라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제 1 흡입 유닛으로부터 회전된 상태에서의, 상기 브러쉬(220)의 회전중심과 바닥면까지 높이를 H1이라 하고, 상기 바퀴(231)의 회전 중심과 바닥면까지의 높이를 H2라고 한다.
또한, 상기 본체가 직립한 상태에서의, 상기 브러쉬(220)의 회전중심과 바닥면까지 높이를 H3라하고, 상기 바퀴(231)의 회전 중심과 바닥면까지의 높이를 H4라고 한다.
도 6와 도 7을 비교하면, 본체가 직립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전달부(233)를 가압하므로, 상기 샤프트(2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바퀴(231)가 바닥면에 닿게 되고, 상기 브러쉬(220)가 바닥면에서 이격된다.
반면, 상기 본체(10)가 제 1 흡입 유닛(20)에 대해서 회전되면, 상기 탄성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2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바퀴(231)는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브러시(220)가 바닥면에 닿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본체(10)가 직립한 상태에서의 H4가 상기 본체(10)가 회전된 상태의 H2보다 작아지므로, 상기 제 1 흡입 유닛(20)의 높이는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H3는 H1보다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10)가 직립되면, 바퀴의 중심과 바닥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브러시(2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청소기의 보관 시 브러시(220)가 바닥면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 도면의 간단한 부호의 설명
1. 진공청소기 10. 본체
20. 제 1 흡입유닛 30. 먼지 분리 장치
40. 핸들 50. 연결호스
60. 흡입관 70. 노즐
201. 상부바디 202. 하부바디
203. 흡입구 220. 브러쉬
230. 높이조절부재 231. 바퀴
232. 샤프트 233. 전달부
234. 결합부 235. 결합홀
236. 고정 부재 240. 탄성부재

Claims (5)

  1.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연결되는 바퀴가 포함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흡입 유닛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로 전달하는 전달부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가 동작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 중심과 바닥면과의 높이가 가변되고,
    상기 본체가 직립되면, 상기 브러쉬는 바닥면과 이격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직립할 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바퀴의 회전중심까지의 높이는, 상기 본체가 상기 흡입 유닛에 대해서 회전되었을 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바퀴의 회전중심까지의 높이 보다 낮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에는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수용부에 위치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조절장치.
KR1020100020604A 2010-03-09 2010-03-09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KR20110101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604A KR20110101542A (ko) 2010-03-09 2010-03-09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604A KR20110101542A (ko) 2010-03-09 2010-03-09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542A true KR20110101542A (ko) 2011-09-16

Family

ID=4495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604A KR20110101542A (ko) 2010-03-09 2010-03-09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5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9295A (zh) * 2012-06-12 2014-01-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手提式吸尘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9295A (zh) * 2012-06-12 2014-01-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手提式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924B1 (ko) 조향유닛을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CN100493434C (zh) 清洁头
KR102386214B1 (ko) 진공청소기
CN102711573A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转向组件
JP5807276B2 (ja) キャニスタ型真空掃除機
US10799080B2 (en) Cleaner
CN111031872B (zh) 真空清洁器
KR101064029B1 (ko) 진공 청소기
KR10118707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US20170325646A1 (en) Vacuum cleaner
KR100778690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각도조절장치
EP2992800B1 (en) Vacuum cleaner
EP2716197B1 (en) Vacuum Cleaner
US8677556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20855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110101542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유닛의 높이 조절장치
KR102277145B1 (ko) 청소기
KR101052111B1 (ko) 진공 청소기
KR102153348B1 (ko) 진공 청소기
KR101414660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129146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09001737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70046811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08790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