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961Y1 -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961Y1
KR200273961Y1 KR2019990011770U KR19990011770U KR200273961Y1 KR 200273961 Y1 KR200273961 Y1 KR 200273961Y1 KR 2019990011770 U KR2019990011770 U KR 2019990011770U KR 19990011770 U KR19990011770 U KR 19990011770U KR 200273961 Y1 KR200273961 Y1 KR 200273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rotrusion
pipe
hol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365U (ko
Inventor
윤선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90011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961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961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연장관으로부터 흡입구체의 탈거가 간편하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는 흡입호스(20)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30)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의 측부에는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42)가 구비된 연장관(40)과,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통공(52)이 형성된 흡입구체 파이프(51)가 일체화되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한 흡입구체(50)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근접부인 흡입구체 파이프(51)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저부를 향해 힘을 가할 경우 통공(52)에 걸려 있는 돌출부(42)에 그 일단이 접촉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돌출부를 통공(52)의 내부로 밀어내는 돌출부 삽입수단(1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on of extension pipe and suction nozzel in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하부커버(11)와 상부커버(12)에 의해 본체(10)를 이루고 있고, 상기 상부커버(12)의 삽입공(13)에는 흡입호스(2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호스(20)의 타단에는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를 갖는 손잡이부(3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연장관(4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장관(40)의 다른 일단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한 흡입구체(5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체(10)를 구성하는 하부커버(11) 내에는 모터(14)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15)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커버(12)의 전방 내면에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대부분 집진하도록 집진봉투(16)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11)의 후면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구체(50)의 종류를 선택하여 연장관(40)의 끝단에 연결한 후 진공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후, 흡입호스(20)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30)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30)에 구비된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의 흡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의 하부커버(11)에 부착된 모터(14)가 구동하여 팬(15)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30)를 이용하여 청소를 원하는 위치에 흡입구체(50)를 위치시킨 후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0)내 팬(15)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50)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연장관(40)과 손잡이부(30) 및 흡입호스(20)를 계속해서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호스는 본체(10) 내에 결합된 집진봉투(16)와 연통된 상태로써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흡입호스를 따라 유동하면서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오염물은 집진봉투(16) 내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집진봉투 내로 유입된 공기 및 각종 오염물 중 오염물은 상기 집진봉투 내에 집진되고, 공기는 계속되는 팬(15)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집진봉투를 빠져나와 본체(1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집진봉투(16)의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1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하부커버(11)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17)을 통해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계속적인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수행은 굳이 한 가지 형태의 흡입구체로만 행하지는 않는다.
즉, 침구류와 같이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장소에서는 이에 적합한 흡입구체로 변경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이는, 흡입구체가 각 장소, 각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흡입구체로 교환하여 계속적인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흡입구체(50)와 연장관(40)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연장관(40)은 흡입구체(5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흡입구체(50)에 일체로 구비된 흡입구체 파이프(51)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체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오염물질을 유입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연장관의 끝단 내부에는 판스프링(4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상기 판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연장관(40)의 외부로 돌출 되도록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써 상기 연장관의 내벽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끝단 측부에는 상기 판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42)가 걸릴 수 있도록 통공(52)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호간의 결합시에는 단순히 흡입구체 파이프(51) 내부에 연장관(40)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연장관의 측부로 돌출된 돌출부(42)가 판스프링(41)의 탄력을 전달받는 상태로써 흡입구체 파이프(51)의 측부에 형성된 통공(52)에 결합되어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연장관(40)이 흡입구체 파이프(51) 내로 삽입되는 과정 중 상기 연장관에 형성된 돌출부(42)가 흡입구체 파이프(51)에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히 삽입될 수 있음은 상기 돌출부의 끝단이 전체적으로 라운드를 이루고 있음과 함께 상기 돌출부가 연장관(40)의 내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반면, 흡입구체(50)를 교환하기 위해 연장관(40)으로부터 흡입구체 파이프(51)를 탈거할 때에는 사용자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2)을 관통하여 결합된 돌출부(42)를 연장관(40)의 내측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체 파이프와 결합된 방향의 반대 방향(도면상 상측)으로 당겨 상호간을 탈거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상호간의 탈거 과정 중 흡입구체 파이프(51)에 형성된 통공(52)을 관통한 상태로써 상기 통공에 걸려 있는 돌출부(42)는 도시한 도 4와같이 사용자에 의해 누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2)으로부터 완전히 탈거되지 않고 상기 통공의 내측에 돌출부(42)의 끝단 일부가 걸리게 되어 결국, 상호간의 원활한 탈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흡입구체 파이프(51)에 형성된 통공(52)의 외측부인 흡입구체 파이프의 둘레면에 돌출부(42)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돌출부(42)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2)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돌출부의 삽입을 위한 구조물은 도시한 도 5와 같이 흡입구체 파이프의 둘레면 적소에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누름수단(60)을 힌지(61)결합하고,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에 형성된 통공(52)의 대향 위치인 누름수단(60)의 내면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두께만큼 돌출된 누름돌기(6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때, 상기 누름돌기의 직경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2) 내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구체(50)를 교환하여야 할 경우 사용자는 흡입구체 파이프(51)에 결합된 누름수단(60)을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내측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연장관(40)을 흡입구체 파이프(51)로부터 탈거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이 누름수단(60)을 누름으로써 상기 누름수단의 내측면에 형성된 누름돌기(62)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2)에 걸려 있는 돌출부(42)를 그 내측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돌기의 돌출 거리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누름돌기의 직경이 통공(52) 내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임에 따라 연장관(40)에 구비된 돌출부(42)는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2)으로부터 완전히 탈거된 상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연장관(40)과 흡입구체(50)와의 탈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누름수단이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누르는 힘에 의해 눌려질 수 있음은 힌지(61)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 역시 후술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계속해서 유발하게 되었다.
첫째, 누름수단을 누르는 방향이 흡입구체 파이프의 내측 방향임에 따라 상기 누름수단이 위치된 방향에 대응된 위치에서는 상기 누름수단이 눌려 졌을 때 그 누름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도록 별도의 힘을 가하여 지지하여야 함에 따라 혼자서의 작업이 불편하게 이루어지게 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둘째, 흡입구체를 연장관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직접 허리를 숙여 작업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자의 많은 불편함을 유발하게된 문제점이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각종 문제점은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연장관으로부터 흡입구체의 탈거가 간편하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 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5 는 종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분리를 위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연장관의 돌출부를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 삽입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a, 7b는 본 고안 돌출부 삽입수단의 동작에 따라 흡입구체와 연장관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돌출부 삽입수단 110. 몸체
111. 절개공 112. 가이드홈
120. 탄성편 121. 돌기
130. 페달부 131. 누름돌기
132. 가이드 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의 측부에는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된 연장관과,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흡입구체 파이프가 일체화되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한 흡입구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근접부인 흡입구체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저부를 향해 힘을 가할 경우 통공에 걸려 있는 돌출부에 그 일단이 접촉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돌출부를 통공의 내부로 밀어내는 돌출부 삽입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6 내지 도 7b 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연장관의 돌출부를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 삽입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 7b는 본 고안 돌출부 삽입수단의 동작에 따라 흡입구체와 연장관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연장관의 끝단 측부에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42)를 필요에 따라 상기 연장관의 내부로 밀어내도록 흡입구체 파이프(51)의 끝단 외주면 즉,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에 형성된 통공(52)의 근접부에 그 축방향(흡입구체 파이프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하부를 향해 힘을 가할 경우 통공(52)에 걸려 있는 돌출부(42)에 그 일단이 접촉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돌출부를 통공의 내부로 밀어내는 돌출부 삽입수단(1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역할을 행하는 돌출부 삽입수단(1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돌출부 삽입수단(100)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그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탄력 설치되어 연장관(40)이 흡입구체 파이프(51)에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연장관에 구비된 돌출부(42)의 끝단과 맞닿도록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돌출부의 이동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해 돌기를 이동시키는 탄성편(120)과, 일단은 몸체(110)의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에 양측 단이 지지된 상태로써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부(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탄성편(120)은 그 후면과 몸체(110)의 내면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여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단순히 원상태로 복원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도 있는데, 그 구성상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순히 탄성편(120)을 유연한 재질로써만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된 페달부(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페달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탄성편(120)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로써 상기 탄성편의 후면을 점차적으로 깊게 누르도록 힘을 가하거나 혹은 상기 페달부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였을 경우 상기 탄성편의 복원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페달부를 원위치 시키도록 누름돌기(131)를 형성한다.
이 때, 몸체(110)의 후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절개된 절개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공이 형성된 부위의 몸체(110) 내부 양측면에는 절개공(1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2)을 형성하며, 페달부(130)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지지된 상태로써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32)를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페달부(130)가 몸체(110)에서 상, 하 이동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페달부(130)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점차적인 탄성편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구체(50)를 교환하여야 할 경우 최초 도시한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7b와 같이 흡입구체 파이프(51)에 일체화된 돌출부 삽입수단(100)의 페달부(130)를 그 하부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연장관(40)을 흡입구체 파이프(51)로부터 탈거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페달부는 발로 밟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몸을 숙이지 않고 단순히 한 쪽 발로 페달부(130)를 밟은 상태에서 연장관(40)을상기 페달부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상부로 당기면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발 또는 다른 수단으로써 돌출부 삽입수단(100)의 페달부(130)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페달부는 돌출부 삽입수단(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절개공(111)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페달부가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페달부(130)의 내부측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2)가 몸체(110)의 내측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페달부(130)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페달부에 일체화된 누름돌기(131) 역시 상기 페달부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면서 그 하단에 맞물려 있던 탄성편(120)을 연장관(4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42)의 끝단 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에서 페달부(130)가 그 하부로 이동할수록 누름돌기(131)가 탄성편(120)을 누르는 강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는, 상기 누름돌기의 형상이 그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탄성편(12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 중 탄성편(120)의 전면 즉, 돌출부(42)와 접촉하는 면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돌출부와 동일형상(혹은, 돌출부 보다는 그 직경이 작은 형상)의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누름돌기(131)에 의해 누르는 힘을 받는 탄성편(120)의 상단은 전방측을 향해 기울어짐과 함께 상기탄성편의 상단 전면에 형성된 돌기(121)는 연장관(40) 내에 탄력 설치된 돌출부(42)를 상기 연장관 내부로 밀게 된다.
이는, 상기 탄성편이 그 하단만 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지지된 상태로써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탄성편을 누르는 누름돌기(131)는 그 하단이 상기 탄성편의 상단에 맞닿은 상태로써 점차 하향 이동함에 따라 결국, 상기 누름돌기가 완전히 하향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편의 상단은 완전히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연장관(40)에 구비된 돌출부(42)는 상기 탄성편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121)로부터 미는 힘을 전달받게 되어 상기 연장관의 내측으로 탄력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페달부(13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페달부에 가해지는 힘은 흡입구체(50)가 위치된 지면 측을 향하게 됨에 따라 지면에 맞닿아 있는 흡입구체(50)가 상기 힘에 대한 지지대의 역할을 행하게 되어 결국,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지면으로 분산되어 흡입구체(50) 및 연장관(40) 상호간의 분리를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별도로 지지를 행할 필요가 없음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연장관(40)과 흡입구체 파이프(51)는 상호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연장관(40)을 상부로 당김으로써 상기 연장관과 흡입구체 파이프는 서로 분리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하여 연장관(40)과 흡입구체 파이프(51)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면, 돌출부(42)로부터 탄성편(120)의 돌기(121)가 떨어지게 되어 상기 돌출부는 판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 즉, 연장관(4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페달부(13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흡입구체 파이프(51)에 구비된 돌출부 삽입수단(100)의 탄성편(130) 역시 그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편을 미는 누름돌기(131)에 상기 탄성력을 전달하여 페달부(130) 역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흡입구체를 다시 연장관에 결합한 후 청소를 수행하면 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와 연장관의 결합은 종래와 동일하게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실시예로 기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 삽입수단이 흡입구체 파이프에 구비되어 있는 것에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연장관의 내부에 흡입구체의 흡입구체 파이프가 삽입되는 형태에서는 돌출부 삽입수단을 연장관에 구비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기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설명을 근거로 하여 쉽게 응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굳이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손잡이부와 연장관의 연결시에도 그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와 흡입호스간에도 쉽게 응용 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동작이 없이도 상호간의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관 및 흡입구체 상호간의 분리를 위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상호간의 분리를 위한 별도의 지지 없이도 원활히 분리될 수 있게 되어 혼자서의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의 측부에는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된 연장관과,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흡입구체 파이프가 일체화되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한 흡입구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근접부인 흡입구체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저부를 향해 힘을 가할 경우 통공에 걸려 있는 돌출부에 그 일단이 접촉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돌출부를 통공의 내부로 밀어내는 돌출부 삽입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 삽입수단은,
    흡입구체 파이프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내측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세워진 형상을 이루며 그 상단에는 연장관이 흡입구체 파이프에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연장관에 형성된 돌출부의 끝단과 맞닿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편과,
    일단은 상기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몸체의 내측의 탄성편에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몸체에 양측 단이 지지된 상태로써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된 페달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탄성편의 상단 후면에 접촉된 상태로써 상기 탄성편의 상단을 점차적으로 전진 시키도록 힘을 가하거나 혹은 상기 페달부의 상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편에 가해진 누르는 힘을 점차적으로 제거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연결구조.
  2. 삭제
  3. 제 2 항에 있어서,
    몸체의 후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공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공이 형성된 부위의 몸체 내부 양측면에는 절개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페달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지지된 상태로써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연결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누름돌기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탄성편 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연결구조.
KR2019990011770U 1999-06-28 1999-06-28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KR200273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70U KR200273961Y1 (ko) 1999-06-28 1999-06-28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70U KR200273961Y1 (ko) 1999-06-28 1999-06-28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65U KR20010001365U (ko) 2001-01-15
KR200273961Y1 true KR200273961Y1 (ko) 2002-05-01

Family

ID=5476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770U KR200273961Y1 (ko) 1999-06-28 1999-06-28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9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088B1 (ko) * 2016-06-23 2018-01-25 (주)경서글로텍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KR20200028666A (ko) * 2018-09-07 2020-03-17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05A (ko) * 2001-12-19 2003-06-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착탈구조
KR20220140312A (ko) * 2021-04-09 202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088B1 (ko) * 2016-06-23 2018-01-25 (주)경서글로텍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KR20200028666A (ko) * 2018-09-07 2020-03-17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KR102141715B1 (ko) * 2018-09-07 2020-08-05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65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296B2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7377008B2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KR10117829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413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1834A (ko) 진공청소기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200273961Y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EP0136895A2 (en) Self-cleaning joint
KR10094142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114380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0763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167820Y1 (ko)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546589B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353554Y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KR20010065090A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10047086A (ko) 진공청소기용 보조흡입구
KR20060064115A (ko)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걸레고정장치
KR20010046770A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50106191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