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54Y1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54Y1
KR200353554Y1 KR20-2004-0007311U KR20040007311U KR200353554Y1 KR 200353554 Y1 KR200353554 Y1 KR 200353554Y1 KR 20040007311 U KR20040007311 U KR 20040007311U KR 200353554 Y1 KR200353554 Y1 KR 200353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unit
vacuum cleaner
collecting uni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7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유니트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이 집진유니트안착부에 구비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130)와, 상기 집진유니트(130)가 수용되는 집진유니트안착부(140)와,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에 구비되는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청소수단은 유니트브러쉬(18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에는 상기 유니트브러쉬(180)가 안착되는 브러쉬안착홈(190a', 19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브러쉬(180)의 일단은 집진유니트(130) 내부 및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필터(139)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유연성 있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브러쉬(180a)로 형성되며, 타단은 브러쉬손잡이(18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유니트브러쉬가 분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진공청소기 전체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유니트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이 집진유니트안착부에 구비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팬모터의 회전으로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흡인력으로 흡입노즐체를 통해 진공청소기 사용공간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구로, 근래에는 대부분의 일반가정에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서 흡입노즐체를 통해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시키는 필터링 과정을 거친다.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는 다시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링 수단이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다.
전통적인 필터링 수단은 종이 재질로 만들어 지는 집진봉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집진봉투는 통상 공기만을 통과시키고,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은 집진봉투의 내부에 모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진봉투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집되면, 이물질과 같이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초래되기도 한다. 특히, 내부에 먼지가 모일수록 집진 효율이 더욱 저하될 수 밖에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이클론 집진 방식을 가지는 진공청소기가 개발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살펴보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유니트의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집진유니트의 내부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서 나선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집진유니트 내부에서 형성되는 나선류에 의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먼지 또는 이물질과 공기가 분리된다. 분리된 먼지 또는 이물질은 집진유니트의 내부에 집진된다. 또한, 먼지 또는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필터링되어 깨끗한 공기의 상태로 팬모터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것을 참고하여 업라이트형(up-right type)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부착되어 먼지 또는 각종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와, 상기 본체(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손잡이부(3)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팬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유니트(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는 상기 팬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전선(4)이 구비된다. 상기 파워전선(4)을 통해 인입되는 전원은 상기 팬모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본체(1)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워전선(4)은 상기 본체(1)의 외부로 연장 돌출된다. 상기 파워전선(4)은 진공청소기가 보다 넓은 지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가능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파워코드(4)를 통해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팬모터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흡인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인력으로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의 내부에는 회전브러쉬(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러쉬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카페트 또는 피청소면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카페트 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흡입부(2)는 힌지에 의해 상기 본체(1)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2)가 힌지결합되는 것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본체(1)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탁자나 가구의 밑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손잡이가 탁자 하면에 의해 간섭되므로, 이때 상기 본체(1)를 접으면 상기 흡입부(2)는 그대로 있고, 본체(1)가 바닥으로 내려와 탁자밑을 청소할 수 있게된다.
상기 본체(1)에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과 깨끗한 공기로 분리하는 집진유니트(6)가 구비되는데, 상기 집진유니트(6)에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유니트(6)의 상면에는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부(7)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부(7)의 일단은 상기 집진유니트(6)의 상면 대략 중앙에집진유니트(6)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진유니트(6)의 외주면 상부 일측에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8)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8)는 집진유니트(6)와 접선 방향으로 성형된다. 이는 상기 유입부(8)를 통해 집진유니트(6)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집진유니트(6)의 내부에서 나선류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진유니트(6)의 하측에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분리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9)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집진유니트(6)가 안착되는 집진유니트안착부(5)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5)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구(170)와 유입구(150)가 성형된다. 상기 배기구(170)는 상기 배기부(7)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로 성형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입부(8)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채택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상기 집진유니트(6)의 하측에 구비되는 먼지통(9)에 먼지 또는 이물질등이 포집된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게 되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기 먼지통(9)의 청소가 요구된다. 또한, 먼지통(9)의 청소와 함께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도 청소가 요구된다.
이때, 상기 집진유니트(6)와 먼지통(9), 필터어셈블리를 청소하기 위해 다양한 악세사리를 보관하게 되는 악세사리보관장치를 상기 본체(1)의 외부 또는 별도의 장소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외부 또는 별도의 장소에 악세사리보관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집진유니트를 청소하기 위한 악세사리가 분실되거나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집진유니트와 집진유니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들을 청소하기 위한 악세사리를 집진유니트안착부에 구비하여 별도의 악세사리보관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가 탈거된 상태의 집진유니트안착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유니트브러쉬와 브러쉬안착홈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보조흡입수단
120 : 보조흡입수단홀더 130 : 집진유니트
131 : 집진케이싱 132 : 상부집진공간
133 : 하부집진공간 134 : 분리판
135 : 연통구 136 : 유입부
137 : 배기부 138 : 유니트커버
139 : 집진필터 140 : 집진유니트안착부
150 : 유입구 160 : 투시공
170 : 배기구 180 : 유니트브러쉬
180a: 브러쉬 180b: 브러쉬손잡이
190 : 완충리브 190a: 상측완충리브
190a': 상측브러쉬고정홈 190b: 하측완충리브
190b': 하측브러쉬고정홈 200 : 흡입부
300 : 본체손잡이부 310 : 본체손잡이
312 : 전방지지대 314 : 후방지지대
320 : 악세사리홀더 322 : 틈새흡입구
324 : 먼지흡입솔 P : 파워코드
R : 전선걸이 W : 전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집진유니트가 수용되는 집진유니트안착부와,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에 구비되는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수단은 브러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에는 상기 청소수단이 안착되는 브러쉬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의 일단은 집진유니트 내부 및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필터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유연성 있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브러쉬부로 형성되며, 타단은 브러쉬손잡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집진유니트 및 집진유니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을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분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진공청소기 전체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모터의 회전으로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본체 내부를 높은 진공상태로 만들면 주위와 본체의 내부와 높은 압력차에 의하여 강한 풍량을 발생시킨다. 강한 풍량으로 흡입구를 통하여 주위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피청소면에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또한, 악세사리라 불리는 보조 기구들이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악세사리는 탁자밑이나 커텐, 가구 등 청소기 브러쉬가 미치기 어렵고, 까다로운 부분을 청소하기 쉽도록 하는 보조기구들과 본체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보조기구들이다. 예를 들면 틈새용브러쉬, 가구용브러쉬, 원형브러쉬등이 있다.
진공청소기의 종류에는 크게 캐니스터형(canister type), 업라이트형(up-right type), 포트형(pot type)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캐니스터형(canister type)은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진공청소기로 크기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뉘어 진다. 디자인은 자동차의 유형을 따라 가는 추세이며, 사용의 편리성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중·소형은 우리나라 및 일본을 포함한 동남아, 중남미, 중동 등에서 선호하며, 대형은 미주지역이나 유럽지역에서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업라이트형(up-right type)은 주로 카페트를 청소하는데 사용되며, 미주 및 유럽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품의 특성상 보급이 거의 되지 않고 있고, 호텔 등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본체 및 흡입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제품 전체를 밀고 다니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카페트를 청소한다.
포트형(pot type)은 우리나라 및 일본 등지에서는 업소용으로 보급되고 있고, 미주 및 유럽지역은 가정용, 업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품의 구조상 집진 용량이 크며, 내구성이 강조된다. 기능별로는 건식, 습식, 습·건식 겸용, 카페트 세척 기능 등 여러 종류의 기능으로 분류한다.
그외에도 막대기 모양의 청소기로서 한손으로 제품 전체를 들고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틱핸디형(stick handy type)과, 외부 전원을 대신하여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핸디형(handy type)과, 물청소 및 일반 청소를 할 수 있고, 카페트를 사용하는 미주 및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는 습건식형(wet & dry type)이 있다.
본 고안은 본체 및 흡입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제품 전체를 밀고 다니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업라이트형(up-right type)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가 탈거된 상태의 집진유니트안착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유니트브러쉬와 브러쉬안착홈을 나타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먼지 또는 각종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3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수단이 내장된다. 상기 필터링수단은 집진유니트(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유니트(130)는 필터링수단에 의해 필터링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집진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보조흡입수단(110)이 구비되는데, 가구의 틈새나 상기 흡입부(200)가 진입하지 못하는 좁은 공간의 청소를 위해 상기 보조흡입수단(11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흡입수단(11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보조흡입수단(110)과 본체(100)는 유연하고 탄력성 있는 연결호스(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된다.
상기 보조흡입수단(110)은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보조흡입수단홀더(120)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흡입수단(110)은 사용자의편의에 따라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성형되기도 한다. 상기 연결호스는 탄력성있고, 유연한 재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를 세워놓고 상기 보조흡입수단(110)을 이용하여 틈새나 구석진 곳의 청소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W)을 정리할 수 있도록 전선걸이(R)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성형된다. 상기 전선(W)은 비교적 길게 구비되어 진공청소기의 사용 범위를 가능한 넓게 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200)의 내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다. 상기 팬모터는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팬모터의 팬을 회전시켜 진공청소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팬모터는 분당 30,000 ∼ 35,000 번의 회전을 하게 된다. 팬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팬과 팬사이의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날리며, 팬의 중심부는 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대기압과의 기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압차로 인해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팬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과 공기를 동시에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흡입부(200)의 저면 전반부에는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공기와 동시에 흡입되는 흡입브러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브러쉬는 상기 팬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200)의 저면 후반부 좌·우측에는 상기 흡입부(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한 쌍의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바퀴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를 실시하거나, 청소가 끝난 후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킬 때 이동이 편리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00)의 상면 일측에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가 성형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에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다수의 램프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본체손잡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본체손잡이(310)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형으로 성형되며, 상기 본체손잡이(310)는 본체의 상면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손잡이(310)는 본체손잡이(310)를 전면에서 지지하는 전방지지대(312)와 후면에서 지지하는 후방지지대(314)로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지지대(312, 314)는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전·후방지지대(312, 314)의 하측중앙부 즉,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악세사리라 불리는 보조흡입구들이 수용되는 악세사리홀더(320)가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홀더(320)에는 상기 보조흡입수단(110)으로도 청소하기 곤란한 틈새의 청소에 사용되는 틈새흡입구(322)가 구비되며, 카페트의 먼지 또는 모래등의 청소에 사용되는 먼지흡입솔(324)이 구비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오염된 공기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니트(13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집진유니트(130)에는 오염된 공기와 분리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케이싱(131)이 형성된다. 상기 집진케이싱(13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내부에는 집진케이싱(131)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34)이 성형된다. 상기 분리판(134)의 상측은 상부집진공간(132)으로 형성되고, 분리판(134)의 하측은 하부집진공간(133)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134)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집진공간(132)과 하부집진공간(133)을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구(135)가 성형된다. 상기 분리판(134)의 대략 중앙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기부(137)와 연통되도록 천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집진공간(132)의 외주면 일측에는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36)가 상부집진공간(13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유입부(136)의 단부는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50)와 크기 및 형상이 대응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136)는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외주면과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집진공간(133)의 외주면 일측에는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부(137)가 성형된다. 상기 배기부(137)는 상기 분리판(134)의 중앙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기부(137)의 단부는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배기구(170)와 크기 및 형상이 대응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니트커버(138)가 형성된다. 상기 유니트커버(138)의 대략 중앙부는 하방으로 함몰되게 성형되고, 함몰되게 성형되는 중앙부를 가로질러 사용자가 상기 유니트커버(138)를 파지하도록 유니트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유니트커버(138)의 저면에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수단인 집진필터(139)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필터(139)의 상면은 상기 유니트커버(138)의 저면과 밀봉되도록 체결되며, 하면은 상기 분리판(134)의 상면과 밀봉되도록 체결된다.
도 5와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살펴보면, 오염된 공기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상기 집진유니트(130)가 안착되는 집진유니트안착부(14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는 본체(100)의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후면측 내주면의 상부에는 피청소면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후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집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공(160)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공(160)의 원주면은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유동 또는 진공청소기의 이동으로 인한 집진유니트(1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되어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외주면과 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후면측 내주면 하부에는 오염된 공기가 필터링수단에 의해 필터링된 후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17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50)와 배기구(170)의 전면에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가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후면측 내주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상기 필터링수단을 청소하는 유니트브러쉬(180)가 구비된다. 상기 유니트브러쉬(180)는 브러쉬(180a)와 브러쉬손잡이(18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니트브러쉬(180)의 상단부는 필터링수단 및 집진유니트(1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탄력성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브러쉬(180a)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180a)의 하단에는 상기 유니트브러쉬(180)를 파지할 수 있는 브러쉬손잡이(180b)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투시공(160)의 원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완충리브(190)가 성형된다. 상기 완충리브(190)는 상기 팬모터의 회전에 의한 진동으로 발생되는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유동 또는 진공청소기의 이동으로 인한 집진유니트(130)의 유동으로 집진유니트(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주면에 성형되는 상기 투시공(160)의 우측에 성형되는 상·하측 완충리브(190a, 190b)에는 상기 유니트브러쉬(180)가 고정되도록 대략 중앙부에 브러쉬고정홈(190a', 190b')이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고정홈(190a', 190b')에 상기 유니트브러쉬(180)를 억지끼움하게 되면, 상기 유니트브러쉬(180)는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주면 일측에 내삽되면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파워전선(W)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흡입부(200)의 내부에 내장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가 회전하게 되면 팬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흡입부(200)의 내부에서 흡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흡입부(2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인력으로 인해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부(2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흡입부(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동되는 오염된 공기는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140)의 내주면 상부에 성형되는 상기 유입구(150)를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집진유니트(130)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내부에서 나선류가 형성되면서 흡입된다.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나선류에 의해 먼지 또는 이물질과 공기로 분리된다.
비교적 큰 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분리판(134)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연통구(135)를 통해 상기 하부집진공간(133)으로 집진되고, 비교적 작은 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상부집진공간(132)에 집진된다. 또한, 나선류에 의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집진필터(139)를 거치면서 필터링된다. 상기 집진필터(139)에 의해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는 집진필터(139)의 중앙부를 통해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하방으로 유동하는 깨끗한 공기는 상기 분리판(134)의 대략 중앙부를 통해상기 배기부(137)를 거쳐 상기 배기구(170)를 통해 팬모터를 냉각시킨 후 배기되고, 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내부에 계속 집진된다.
이처럼, 일정시간 또는 일정량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게 되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기 집진케이싱(131)과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상기 집진필터(139)를 청소해 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유니트브러쉬(180)를 사용하여 상기 집진케이싱(131)과 집진필터(139)를 청소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집진케이싱(131)과 집진필터(139)를 청소할 때 사용자는 상기 브러쉬손잡이(180b)를 파지한 후 상기 브러쉬(180a)를 이용하여 상기 집진케이싱(131)의 내부 및 상기 집진필터(139)를 청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시공의 우측에 상기 유니트브러쉬가 구비되지만, 유니트브러쉬가 투시공의 좌측에 구비되거나 양측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채택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집진 방법으로 집진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집진유니트를 사용한다. 근래에는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해 진공청소기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사용시간 또한 장시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채택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집진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유니트의 내부와 집진필터의 청소가 요구되며, 청소 횟수도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집진유니트의 청소가 요구될 때 상기 유니트브러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유니트브러쉬가 구비되는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채택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상기 유니트브러쉬의 분실을 방지하며, 상기 유니트브러쉬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니트브러쉬의 사용이 용이해짐에 따라 상기 집진유니트의 청소 능률을 향상시키며, 보다 깨끗한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의 청소가 가능하여 진공청소기의 집진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브러쉬를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별도의 수용공간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채택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전체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인지도가 향상되어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집진유니트가 수용되는 집진유니트안착부와,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에 구비되는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집진유니트의 이물제거를 위한 유니트브러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안착부에는 상기 청소수단이 안착되는 브러쉬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브러쉬는 집진유니트 내부 및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필터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유연성과, 탄력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브러쉬부와 취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2004-0007311U 2004-03-17 2004-03-1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353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311U KR200353554Y1 (ko) 2004-03-17 2004-03-1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311U KR200353554Y1 (ko) 2004-03-17 2004-03-1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54Y1 true KR200353554Y1 (ko) 2004-06-18

Family

ID=4934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311U KR200353554Y1 (ko) 2004-03-17 2004-03-1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5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60B1 (ko) 2004-04-26 2009-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60B1 (ko) 2004-04-26 2009-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110B2 (ja) サイクロン気流経路を有するアップライト真空掃除機
US7377008B2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KR101193002B1 (ko) 청소 기구 및 제어 회로
US20060102005A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CN111265143B (zh) 一种灰尘分离装置和清洁设备
JP2009504309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WO2007146444A9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20040087186A (ko) 백레스 진공청소기
US7260867B2 (en) Bagless dust box for vacuum cleaner
JP2009504235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KR200353554Y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587098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KR200354037Y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30065615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필터 지지구조
KR200353549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200353550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200273961Y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TWI825605B (zh) 清掃機
KR200354038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구조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98899B1 (ko)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KR200353551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200344841Y1 (ko) 진공청소기의 실링 설치구조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JP2977795B1 (ja) 真空掃除機用補助ブラシ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