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715B1 - 청소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청소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715B1 KR102141715B1 KR1020180107026A KR20180107026A KR102141715B1 KR 102141715 B1 KR102141715 B1 KR 102141715B1 KR 1020180107026 A KR1020180107026 A KR 1020180107026A KR 20180107026 A KR20180107026 A KR 20180107026A KR 102141715 B1 KR102141715 B1 KR 102141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cleaner
- button
- mounting portion
- button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무선 청소기의 본체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지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대가 게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의 거치를 위한 청소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진공 펌프의 동작에 따른 부압에 의해 발생된 강력한 흡인력으로 실내의 바닥, 벽, 틈새 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이다.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 업라이트 타입(Uplight Type), 핸디 타입(Handy Type) 및 스틱 타입(Stick Type)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자동 청소기는 자율 주행하면서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최근에는, 무선 타입의 청소기(이하, 무선 청소기)가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또는, 진공청소유닛)가 연결관의 일 방향으로만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청소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부와 인접하게 상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무선 청소기를 거치대에 장착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필요성이 없다.
다만,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무선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핸들부를 파지하여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이 필요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연결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의 경우, 해당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가 연결관의 하단부와 흡입노즐 사이 또는 연결관의 상단부와 핸들부 사이에 자유롭게 배치되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 가능한 경우, 이에 대응해 무선 청소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및 보관할 수 있는 청소기 거치대의 구조가 변경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무선 청소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및 보관할 수 있는 무선 청소기용 청소기 거치대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무선 청소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변경될 수 있는 청소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무선 청소기의 본체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지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대가 게시된다. 거치부가 지지프레임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를 통해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를 원활히 거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재는, 일 측이 외부에 노출되며, 가압되는 방향으로 누름되도록 이루어지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 및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 위치되어 상기 거치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거치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거치부의 후방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버튼부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거치부의 측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 단에 상기 버튼부가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의 저면부에 노출되는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상부이동제한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하부이동제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대에 무선 청소기 본체가 거치되어 무선 청소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및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소기 거치대의 거치부가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거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부재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거치부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거치부를 상하 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청소기가 청소기 거치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가 청소기 거치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의 전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청소기 거치대의 후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지지프레임에 거치부가 고정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의 (b)는 지지프레임을 따라 거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걸림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거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거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거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가 청소기 거치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의 전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청소기 거치대의 후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지지프레임에 거치부가 고정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의 (b)는 지지프레임을 따라 거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걸림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거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거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거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청소기가 무선 청소기 거치대(이하, 청소기 거치대, 100)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청소기 본체(1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가 청소기 거치대(100)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청소기 거치대(100)에는 무선 청소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 거치대(100)에 무선 청소기를 장착시, 무선 청소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및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성이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100)에는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10)가 거치부(130)를 향해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의 하단부가 청소기 거치대(100)의 거치부(130)의 상단부를 향해 삽입된 후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거치대(100)의 거치부(130)에 청소기 본체(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에는 흡입모터, 사이클론부 및 배터리 등 상대적으로 무게가 큰 구성이 설치되므로 청소기 본체(10)가 거치대의 거치부(130)에 장착됨으로써 무선 청소기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100)는,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거치부(130)가 상하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맞게 청소기 본체(10)가 연결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의 거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이동제한부(122a)와 하부이동제한부(122b)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청소기 본체(10)가 무선 청소기의 연결관 상단부와 핸들부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거치부(130)를 상부이동제한부(122a)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무선 청소기의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10)가 연결관의 하단부와 흡입노즐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거치부(130)의 하부이동제한부(122b)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무선 청소기의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100)는, 청소기 본체(10)의 위치가 핸들부, 연결관, 흡입노즐 사이에서 자유롭게 가변되는 경우에도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100)의 전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청소기 거치대(100)의 후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거치대(100)의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 후 고정 설치됨으로써 청소기 본체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무선 청소기의 경우에도 원활히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청소기 거치대(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청소기 거치대(100)는, 베이스(110), 지지프레임(120) 및 거치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면 혹은 바닥면 상에 베이스(110)의 저면이 위치된다. 베이스(110)는 무선 청소기가 청소기 거치대(100)에 장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110)는, 청소기 본체가 거치대(100)에 장착되는 경우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110)는, 여분의 흡입노즐들을 결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구성부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110)의 일 측에는 지지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고정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 고정부(111)에는 지지프레임(120)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12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타원형의 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베이스(1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고정부(111)에 삽입되도록 위치되어, 거치부(130)에 청소기 본체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20)의 높이는 무선 청소기의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프레임(120)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것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2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거치부(130)는 무선 청소기의 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전면부가 무선 청소기 본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30)의 후면에 노출된 버튼부(121a)를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버튼부(121a)의 이동과 함께 거치부(13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는 상부이동제한부(122a)와 하부이동제한부(122b)가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라 거치부(130)의 상하 이동 거리가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제한된다. 이에, 거치부(130)는 상부이동제한부(122a)와 하부이동제한부(122b)의 사이에서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이동제한부(122a)는 지지프레임(120)의 상부 일 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이동제한부(122a)는 거치부(130)의 일측과 서로 걸림되어 거치부(130)가 상부이동제한부(122a) 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하부이동제한부(122b)는 지지프레임(120)의 하부 일 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이동제한부(122b)는 거치부(130)의 일측과 서로 걸림되어 거치부(130)가 하부이동제한부(122b) 보다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이동제한부(122a)가 거치부(130)의 상부로의 이동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고 하부이동제한부(122b)가 거치부(130)의 하부로의 이동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거치부(130)의 상하 이동 거리의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다.
도 5의 (a)와 도 5의 (b)는 지지프레임(120)과 거치부(130)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걸림부재(121)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5의 (a)와 (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20)과 거치부(130)의 요부(要部)를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거치부(130)의 이동을 위한 다양한 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면서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다. 거치부(130)의 상하 이동을 위해, 거치부(130)의 내부에는 지지프레임(1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걸림부재(121)가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121)는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버튼부(121a), 연결부(121b), 고정돌기(121c) 및 탄성부(121d)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21a)는 외부에 노출되어 가압되도록 이루어지며, 일면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누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부(130)를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부(130)의 일 측에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버튼부(121a)를 가압함으로써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부재(121)의 버튼부(121a)의 일 측에는 연결부(121b)가 지지프레임(12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진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b)는 버튼부(121a)와 연결되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21b)는 버튼부(121a)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버튼부(121a)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1b)의 일 측에는 버튼부(121a)가 연장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1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21c)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21c)는 지지프레임(120)의 고정홈(12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고정홈(123)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21c)는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 예컨대 지지프레임(12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23)에 삽입 위치되어 거치부(13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고정돌기(121c)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고정홈(123)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육면체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탄성부(121d)는 버튼부(121a)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버튼부(121a)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버튼부(121a)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121d)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코일스프링을 의미할 수 있다.
후크부(121e)는 버튼부(121a)의 가압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130)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된 상태인 경우, 연결부(121b)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21c)는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23)에 삽입 위치되게 됨으로써 거치부(13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버튼부(121a)를 지지하는 탄성부(121d)는 고정돌기(121c)가 고정홈(12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5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거치부(130)의 높이 조절을 위해 버튼부(121a)를 가압하게 되면, 탄성부(121d)는 가압된 힘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고, 버튼부(121a)와 연결된 연결부(121b)는 버튼부(121a)와 함께 이동하면서 연결부(121b)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21c)는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23)에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5의 (b)에서 보듯이, 버튼부(121a)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가압되는 경우, 연결부(121b)는 상기 버튼부(121a)가 가압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돌기(121c)가 고정홈(123)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다만,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거치부(130)의 외측면은 지지프레임(120)의 외측면과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고정홈(123)에서 고정돌기(121c)가 인출되더라도 거치부(130)가 빠른 속도로 자유낙하되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20)과 거치부(130)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걸림부재(121)의 변형된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본적인 구조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범위에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를 추가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에 형성되는 고정홈(123)과, 걸림부재(121)의 연결부(121b)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21c)는 각각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고정홈(123, 123')은 지지프레임(12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동일면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고정홈(123, 123') 간의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돌기(121c, 121c')는 상기 각 고정홈(123, 12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연결부(121b)의 일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b)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21c, 121c')는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123, 123')에 각각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홈(123, 123')에 복수개의 고정돌기(121c, 121c')가 각각 삽입 위치되는 경우,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거치부(130)에 청소기 본체가 장착됨으로써 발생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무선 청소기 본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각 고정홈(123, 123')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고정홈(123, 123')은 서로 다른 직경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함몰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고정돌기(121c, 121c')도 각 고정홈(123, 12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버튼부(121a)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고정홈(123) 및 고정돌기(121c)의 직경과 높이는, 버튼부(121a)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지게 위치되는 고정홈(123')과 고정돌기(121c')의 직경과 높이에 비해 더 큰 직경과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버튼부(121a)의 이동시 각 고정홈(123, 123')으로부터 각 고정돌기(121c, 121c')가 원활히 삽입/인출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와 다르게, 버튼부(121a)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고정홈(123) 및 고정돌기(121c)의 직경과 높이를 버튼부(121a)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지게 위치되는 고정홈(123')과 고정돌기(121c')의 직경과 높이에 비해 더 작은 직경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거치부(130)의 높이 조절을 위해 버튼부(121a)를 가압하게 되면, 탄성부(121d)는 가압된 힘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고, 버튼부(121a)와 연결된 연결부(121b)는 버튼부(121a)와 함께 이동하면서 연결부(121b)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21c, 121c')가 지지프레임(120)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123, 123')에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며 거치부(130)의 측면부에 버튼부(221a)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20)과 거치부(130)의 요부를 X 방향 및 Z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지지프레임(120)에 거치부(130)가 고정되기 위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거치대의 일반적인 구조와 거치대에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기 위한 기본적인 구조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범위에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를 추가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221a)는 거치부(130)의 후면이 아닌 거치부(130)의 측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버튼부(221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21b)의 일 단에는 고정돌기(221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21c)는 지지프레임(120)에 형성, 예컨대 지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23)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돌기(221c)가 고정홈(223)에 삽입되는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며, 고정돌기(221c)가 고정홈(223)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의 (a)에서와 같이, 버튼부(221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21b)는, 탄성부(221d)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221d)는 거치부(130)의 측면에 노출되는 버튼부(221a)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지지돌기(221f)와 지지프레임(120)의 일측에 돌출된 탄성부지지돌기(221e)에 양단이 각각 끼워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부(221d)는, 버튼부(221a)의 가압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버튼부(221a)의 가압으로 변형되면, 연결부(221b)의 거동을 형성하게 되므로, 고정홈(223)에 삽입 위치되는 고정돌기(221c)가 인출되도록 한다.
도 8의 (b)에서와 같이, 버튼부(221a)가 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동하게 되면, 연결부(221b)는 연결부의 회전 중심 혹은 도심(도면 상에서 원형의 홀이 형성된 부분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연결부(221b)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21c)는 고정홈(223)으로부터 인출되어,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며, 거치부(130)의 저면부에 버튼부(321a)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20)과 거치부(130)의 요부를 X 방향 및 Z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지지프레임(120)에 거치부(130)가 고정되기 위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치대의 일반적인 구조와, 거치대에 무선 청소기가 거치되기 위한 기본적인 구조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범위에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를 추가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321)는 버튼부(321a)와 버튼부(321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부재(321), 제1 부재(3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부재(322) 및 탄성부(321d)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버튼부(321a)는 거치부(130)의 전방부 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거치부(130)의 전방부 저면에 노출되는 버튼부(321a)를 가압하는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연결부는 일 단에 버튼부(321a)가 형성되고, 버튼부(321a)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1 부재(321) 및 제1 부재(3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부재(321)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부재(322)로 구성된다.
제2 부재(322)의 일 단에는 고정돌기(321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21c)는 지지프레임(120)에 형성, 예컨대, 지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323)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부재(322)의 중심부에는 제1 부재(321)가 삽입되도록 제1 부재 삽입홀(32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321)는 거치부(130)의 저면부에 노출되는 버튼부(321a)가 가압되면, 제1 부재(321)는 제1 부재 삽입홀(322b)을 향해 이동하며, 이때,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는 일 측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 제2 부재(322)는 제1 부재(321)의 거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부재(32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경사부(321b)는 제1 부재 삽입홀(322b)의 일 단과 접촉되며, 상기 경사부(321b)에는 제2 부재(32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321d)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돌기(321c)가 고정홈(323)에 삽입되는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며, 고정돌기(321c)가 고정홈(323)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 부재(321)는 거치부(130)의 저면부에 노출되는 버튼부(321a)가 가압되면, 제1 부재(32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경사부(321b)는 제1 부재 삽입홀(322b)의 일 단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부재(321)는 제1 부재 삽입홀(322b)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부재(321)가 이동하면서 삽입홀(322b)을 향해 삽입되는 제1 부재(321)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제2 부재(322)는 탄성부(321d)가 변형되는 방향(도 9 기준으로 우측 화살표 방향) 즉, 제1 부재(321)의 거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 거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부재(322)의 일 단에 형성된 고정돌기(321c)는 고정홈(323)으로부터 인출되어 거치부(130)가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대응되는 원리로, 버튼부(321a)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는 경우에는, 제1 부재(321)의 경사부(321b)에 탄성부(321d)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되므로, 제2 부재(322)의 일 단에 형성된 고정돌기(321c)가 고정홈(323)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거치부(130)는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청소기 거치대;
110: 베이스;
120: 지지프레임;
121, 221, 321: 걸림부재;
122a: 상부이동제한부;
122b: 하부이동제한부
130: 거치부;
110: 베이스;
120: 지지프레임;
121, 221, 321: 걸림부재;
122a: 상부이동제한부;
122b: 하부이동제한부
130: 거치부;
Claims (8)
-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무선 청소기 본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으로 상기 무선 청소기 본체가 안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되거나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일 측이 외부에 노출되며, 가압되는 방향으로 누름되도록 이루어지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 및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측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 위치되어 상기 거치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거치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거치부의 후방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튼부의 가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거치부의 측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 단에 상기 버튼부가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의 저면부에 노출되는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상부이동제한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하부이동제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026A KR102141715B1 (ko) | 2018-09-07 | 2018-09-07 | 청소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026A KR102141715B1 (ko) | 2018-09-07 | 2018-09-07 | 청소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8666A KR20200028666A (ko) | 2020-03-17 |
KR102141715B1 true KR102141715B1 (ko) | 2020-08-05 |
Family
ID=7000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026A KR102141715B1 (ko) | 2018-09-07 | 2018-09-07 | 청소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71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723B1 (ko) * | 2018-05-29 | 2023-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07219A1 (en) * | 1990-10-22 | 1992-04-30 | Paul Kenneth Quinn | Adjustable support system for a bank of lamps or lights |
KR200273961Y1 (ko) * | 1999-06-28 | 2002-05-01 | 구자홍 |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
KR100726248B1 (ko) * | 2005-08-03 | 2007-06-08 | 한경희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팀 청소기용 손잡이 |
KR100912312B1 (ko) * | 2007-12-14 | 2009-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KR101815820B1 (ko) * | 2017-09-19 | 2018-01-05 | 이원진 | 무선청소기용 거치대 |
-
2018
- 2018-09-07 KR KR1020180107026A patent/KR1021417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07219A1 (en) * | 1990-10-22 | 1992-04-30 | Paul Kenneth Quinn | Adjustable support system for a bank of lamps or lights |
KR200273961Y1 (ko) * | 1999-06-28 | 2002-05-01 | 구자홍 |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
KR100726248B1 (ko) * | 2005-08-03 | 2007-06-08 | 한경희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팀 청소기용 손잡이 |
KR100912312B1 (ko) * | 2007-12-14 | 2009-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KR101815820B1 (ko) * | 2017-09-19 | 2018-01-05 | 이원진 | 무선청소기용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8666A (ko) | 2020-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43109B (zh) | 吸塵器支持架 | |
US10342404B2 (en) | Cleaner holder | |
US10610075B2 (en) | Cleaner holder | |
KR101932080B1 (ko) | 아지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 |
KR102307787B1 (ko) |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 |
KR20050019653A (ko) | 식기세척기의 랙(rack) 높이 조절장치 | |
KR102141715B1 (ko) | 청소기 거치대 | |
CN206473268U (zh) | 一种手持式吸尘器用收纳座及吸尘器套件 | |
CN107997677B (zh) | 手持吸尘器的收纳装置 | |
US20120227211A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US11583156B2 (en) |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11766159B2 (en) | Vacuum cleaner | |
CN109330470B (zh) | 吸尘器 | |
JP2017185122A (ja) | 電気掃除機 | |
CN211705823U (zh) | 一种便携式球网架 | |
JP7220355B2 (ja) | 電気掃除機の保持台 | |
CN108835798A (zh) | 一种便于使用的行李箱 | |
CN220109690U (zh) | 活动限位组件及清洁设备 | |
CN221430966U (zh) | 表面清洁设备 | |
CN110786775A (zh) | 手持式直立吸尘器 | |
JP5069626B2 (ja) | 真空掃除機用の吸引ノズル掛け装置 | |
US20220386835A1 (en) | Storage base and vacuum cleaner assembly having same | |
WO2021143137A1 (zh) | 吸尘器 | |
CN220545038U (zh) | 一种手机支架的隐藏式手持杆结构 | |
CN221548249U (zh) | 电子产品的固定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