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312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312B1
KR100912312B1 KR1020070130662A KR20070130662A KR100912312B1 KR 100912312 B1 KR100912312 B1 KR 100912312B1 KR 1020070130662 A KR1020070130662 A KR 1020070130662A KR 20070130662 A KR20070130662 A KR 20070130662A KR 100912312 B1 KR100912312 B1 KR 10091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utton
connection unit
coupl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350A (ko
Inventor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312B1/ko
Priority to PCT/KR2008/003325 priority patent/WO2009078517A1/en
Priority to EP08766287.0A priority patent/EP2234533B1/en
Publication of KR2009006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연결 호스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호스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 연결 유닛; 상기 흡입부에 형성되는 버튼 삽입홀;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착탈 버튼;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버튼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되는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버튼 삽입홀의 내주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이 포함되며, 상기 돌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소기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장치와,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흡입 유닛은,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 결합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에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결합되는 연결 호스와, 상기 연결 호스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연결 유닛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버튼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연결 유닛을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 또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는 연결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 유닛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연결 호스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호스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 연결 유닛; 상기 흡입부에 형성되는 버튼 삽입홀;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착탈 버튼;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버튼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되는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버튼 삽입홀의 내주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이 포함되며, 상기 돌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의 먼지 및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일측이 상기 연결 호스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 유닛;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상기 흡입부에 착탈되도록 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착탈 버튼; 및 상기 흡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가 포함되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을 감싸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삽입부가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이탈 방지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홀에 삽입되므로,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상기 흡입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착탈 버튼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이 상기 버튼 가이드에 의해서 회전되므로,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의 분리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집진 장치(2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30)과,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1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50)과, 상기 흡입 노즐(30)과 핸들(50)을 연결시키는 연장관(40)과, 상기 핸들(50)에 결합되는 연결 호스(60)와, 상기 연결 호스(6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결합되도록 하는 호스 연결 유닛(10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입 노즐(30)을 통하여 흡입된 공 기가 유입되는 흡입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은 일측이 상기 흡입부(1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 호스(6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 호스(60)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호스(60)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된다.
도 2는 청소기 본체의 흡입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12)에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삽입되는 삽입홀(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홀(13)에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삽입되면, 상기 흡입 노즐(3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2)에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의 결합 터미널(후술함)이 결합되는 다수 개의 터미널 결합홀(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터미널이 상기 결합홀(14)에 결합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원이 상기 결합 터미널을 통하여 상기 핸들(5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2)에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의 착탈 버튼(후술함)이 결합되는 버튼 결합홀(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 버튼이 상기 버튼 결합홀(15)에 결합되면,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은 상기 흡입부(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호스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0)은, 상기 흡입부(1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유닛(200)과, 상기 연결 호스(60)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유닛(300)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은 상기 흡입부(12)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은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이 상기 흡입부(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호스(60)가 결합된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이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 대해서 회전되므로, 상기 연결 호스(60)가 꼬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는, 상기 흡입부(12)에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210)와, 상기 연결 파이프(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30)와,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이 상기 흡입부(12)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착탈 버튼(28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는 상기 터미널 결합홀(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터미널(250)과, 후술할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의 제 2 연결 터미널과 접촉되는 다수 개의 제 1 연결 터미널(260)과, 상기 다수 개의 제 1 연결 터미널(260)이 상기 커버 부재(23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270)와, 상기 착탈 버튼(28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9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과 상기 결합 터미널(250)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에 의해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에는, 상기 연결 호스(60)가 연결되는 호스 결합부(310)와,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외측을 감싸고, 전원의 이동을 위한 제 2 연결 터미널(330)이 결합되는 터미털 결합부(320)와, 상기 연결 호스(60)가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호스(60)의 일부를 감싸는 호스 커버(350)와, 상기 호스 결합부(310)와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가 결합되도록 하며, 절연 재질을 가지는 결합 부재(340)와,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결합되어 상기 호스 결합부(310)와 상기 연결 파이프(210)의 접촉 부위의 실링을 위한 실링 부재(360)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연결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커버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파이프(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파이프(210)의 일측(212)은 상기 흡입부(12)의 삽입홀(13)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210)의 타측(213)에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210) 외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230)가 장착되는 장착부(215)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장착부(215)에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커버 부재(230)와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 보스(2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15)에는 상기 탄성 부재(290)의 일단이 삽입되는 탄성 부재 삽입부(217)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17)에는 상기 탄성 부재(290)와 결합되는 결합 리브(21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15)에는 상기 연결 파이프(210)와 상기 호스 결합부(31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후술함)가 관통하는 관통홀(21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 파이프(210)와 상기 호스 결합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 결합부(310)는 상기 연결 파이프(2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215)에는,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의 양단이 관통하기 다수 개의 개구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개구부(22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20)는 본 실시예에서 네 개가 형성되나, 상기 개구부(220)의 수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장착부(215)에는 상기 커버 부재(230)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22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리브(221)에는 상기 커버 부재(230)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결합홀(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230)는 상기 결합 돌기 및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결 파이프(210)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210)의 타측(213)에는 상기 호스 커버(350)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 가이드(2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30)에는 상기 착탈 버튼(280)이 관통하는 버튼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 버튼(280)은 상기 커버 부재(230)의 하측에서 상기 버튼 관통홀(231)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 관통홀(231)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착탈 버튼(280)이 안착되는 다수 개의 안착 리브(2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 관통홀(231)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착탈 버튼(28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고, 좌우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이드 리브(24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230)에는 다수 개의 결합 터미널(250)이 안착되는 안착부(232)가 병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30)에는 상기 결합 터미널(250)과 연결된 전선(252)을 지지하는 전선 지지 리브(233)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지지 리브(233)에는 상기 전선(252)이 안착되는 안착홈(2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30)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홀(243)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230)의 중간부에는 상기 연결 파이프(210)와 상기 호스 결합부(31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35)는 상기 커버 부재(23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커버 부재(230)에는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이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 돌기(238a, 238b)가 다수 개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결합 돌기(238a, 238b)가 하나의 제 1 연결 터미널(260)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돌기(238a, 238b)는 제 1 연결 터미널(260)의 갯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238a, 238b)가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238a, 238b)에는 고정 부재(27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 부재(270)는 다수 개의 결합 돌기(238a, 238b)와 동시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 및 상기 고정 부재(270)에는 상기 결합 돌기(238a, 238b)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35) 및 상기 커버 부재(230)의 후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27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236, 237)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돌기(238a, 238b)는 상기 고정 부재(270)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부재(270)의 일부는 상기 결합홀(236, 237)에 삽입된다.
상기 각 제 1 연결 터미널(260)에는 상기 각 결합 터미널(250)과 연결된 전선(25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30)에는 상기 각 제 1 연결 터미널(260)과 연결된 전선(25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전선 가이드(239)가 형성된다.
도 7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착탈 버튼(280)은,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82)와, 상기 가압부(282)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튼 결합홀(15)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28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 버튼(280)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230)의 안착 리브(241)에 걸리는 다수 개의 걸림 리브(288)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압부(282)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283)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284)는 상기 버튼 결합홀(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85)가 포함된다. 상기 삽입부(285)에는 상기 버튼 결합홀(15)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면(28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286)에는 상기 삽입부(285)가 상기 버튼 결합홀(15)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돌기(287)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 방 지 돌기(287)는 상기 접촉면(286)에서 상기 가압부(282)를 향하여 돌출된다.
도 8은 호스 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터미널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호스 결합부(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전단부에는 상기 실링 부재(360)가 결합되는 실링 부재 결합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311)의 후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312a, 312b)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312a, 312b)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312a, 312b)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312a, 312b)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235)가 수용되는 수용홈(3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312a, 312b)가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수용홈(313) 역시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313)에 상기 결합부(235)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 결합부(310)는 전후 이동은 방지되고,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는 상기 결합 부재(34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삽입 가이드(316a, 316b)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삽입 가이드(316a, 316b)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삽입 가이드(316a, 316b) 사이에는 상기 결합 부재(340)가 수용되는 결합 부재 수용부(3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는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가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리브(31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리브(315)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반경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리브(315)에는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15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외측을 감싼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에는 상기 결합 부재(340)가 삽입되는 결합 부재 삽입홀(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에는 상기 삽입홀(321)에 상기 결합 부재(3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340)를 지지하는 지지면(3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340)가 상기 삽입홀(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340)의 일부는 상기 결합 부재 수용부(317)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부재(340)에 의해서 상기 호스 결합부(310)와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가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이 안착되는 다수 개의 터미널 안착홈(322)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터미널 안착홈(322)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 안착홈(322)은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터미널 안착홈(322)에는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홀(3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23)을 관통한 제 2 연결 터미널(330)에 상기 연결 호스(60)에 구비되는 전선(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리브(32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324)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와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결합을 가이드하며,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가이드 홈(315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324) 및 가이드 홈(315a)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가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과 상기 결합 부재 수용부(317)가 상하로 정렬된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호스 커버(350)가 걸리는 걸림턱(325)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상기 연결 유닛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2 연결 유닛(30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0과 같이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에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이 결합된 상기 터미널 결합 부(320)가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리브(324)가 상기 가이드 홈(315a)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과 상기 결합 부재 수용부(317)가 상하로 정렬된다. 그리고, 도 11와 같이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는 상기 호스 결합부(310)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호스 커버(350)를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에 시킨다. 그러면,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는 상기 호스 커버(350)를 관통하게 되고, 상기 호스 커버(350)가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걸림턱(325)에 걸리게 되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 커버(35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325)이 걸리는 걸림 리브(352)가 형성된다.
그 다음, 상기 결합 부재(340)로 상기 호스 결합부(310)와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를 결합시킨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일측에서 상기 결합 부재(340)를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 부재(340)는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 수용부(317)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의 조립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340)가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340)의 하면은 상기 지지면(326)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결합 부재 삽입홀(321) 및 상기 결합 부재 수용부(317)의 간격은 상기 결합 부재(34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부재(340)는 상기 삽입홀(321) 및 수용부(317)에 억지끼움된다.
그 다음, 도 13과 같이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의 일부를 상기 연결 파이프(210)에 삽입시킨다. 상기 연결 파이프(210)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310) 및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가 삽입된다.
그러면, 도 14와 같이 상기 개구부(220)의 하방에는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235)가 관통하는 관통홀(219)의 하측에는 상기 결합부(235)가 수용되는 수용홈(313)이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탄성 부재(290)의 일단을 상기 탄성 부재 삽입부(217)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 버튼(280)을 상기 커버 부재(23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230)를 상기 연결 파이프(21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결합부(235)는 상기 관통홀(219)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313)에 수용되고, 결합 돌기(242)는 상기 결합홀(2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체결 부재(S)를 상기 커버 부재(230) 및 상기 호스 결합부(210)에 체결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의 조립이 완료됨과 함께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과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과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이 결합되면,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의 양단은 상기 개구부(220)를 통하여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호스 결합부(310)에 상기 결합부(235)가 수용되는 수용홈(313)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이 상기 결합부(235)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은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이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에 대해서 회전됨에 따라, 청소 과정에서 상기 연결 호스(60)가 꼬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320)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이 상기 개구부(220)를 통하여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에 접촉되므로, 상기 제 2 연결 유닛(33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와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330)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유닛(200)과 제 2 연결 유닛(300)이 전선에 의해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260)과 제 2 연결 터미널(330)에 의해서 연결되므로, 상기 제 2 연결 유닛(300)의 회전시 전선이 꼬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호스 연결 유닛이 흡입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착탈 버튼이 버튼 삽입홀에서 탈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12)는, 외측 케이스(12a)와 내측 케이스(12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케이스(12b)에는 상기 삽입홀(13)과 버튼 삽입홀(15)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외측 케이스(12a)의 전면에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285)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 돌기(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삽입홀(15)의 내주면(16)에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 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17)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 삽입홈(17)은 상기 버튼 삽입홀(15)의 내주면(16)에서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을 상기 흡입부(12)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 돌기(18)가 상기 삽입부(285)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290)가 수축되고, 상기 착탈 버튼(280)이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85)의 상면은 상기 내측 케이스(12b)의 내면과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85)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상기 흡입부(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12b)의 내면에 의해서 가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상기 흡입부(12)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285)와 상기 버튼 삽입홀(15)이 정렬된다. 그러면, 상기 삽입부(285)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탄성 부재(290)는 신장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착탈 버튼(280)이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삽입부(285)가 상기 버튼 삽입홀(15)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285)가 상기 버튼 삽입홀(15)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285)의 접촉면(285)이 상기 버튼 삽입홀(15)의 내주면(16)에 밀착되고,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가 상기 돌기 삽입홈(17)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 버튼(28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호스 연결 유 닛(100)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가 상기 돌기 삽입홈(17)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상기 흡입부(1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 파이프(210)에는 상기 착탈 버튼(280)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28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22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버튼 가이드(223)의 상측에는 경사면(224)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4)은, 상기 가압부(282)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후크(284)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224)과 상기 가압부(282)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경사면(224)과 상기 후크(284)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착탈 버튼(280)은 상기 삽입부(285)가 상기 버튼 삽입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가이드(223)와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착탈 버튼(280)을 가압하면, 상기 착탈 버튼(280)의 저면은 상기 경사면(224)의 최고점(225)과 먼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착탈 버튼(280)은 상기 최고점(225)에 접촉된 상태에서, 최저점(226)을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 버튼(28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가 상기 돌기 삽입홈(17)에서 탈거되고, 상기 삽입부(282)가 상기 버튼 삽입홀(15)에서 탈거되어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상기 흡입부(12)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282)가 상기 버튼 삽입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이탈 방지 돌기(187)가 상기 돌기 삽입홈(17)에 삽입 되므로,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이 상기 흡입부(1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 버튼(280)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280)이 상기 버튼 가이드(223)에 의해서 회전되므로, 상기 호스 연결 유닛(100)의 분리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가 상기 돌기 삽입홈(17)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와 상기 돌기 삽입홈(17)은 상기 삽입부(285)가 상기 버튼 삽입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28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므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와 상기 돌기 삽입홈(17)을 이탈 방지 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5)의 내주면(16)에서 상기 삽입부(285)와 접촉하는 부분(19)은 상기 후크(284)가 걸리는 걸림부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을 감싼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87)는 상기 후크(254)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청소기 본체의 흡입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호스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연결 파이프의 사시도.
도 6은 커버 부재의 저면 사시도.
도 7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 버튼의 사시도
도 8은 호스 결합부의 사시도.
도 9는 터미널 결합부의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4는 상기 연결 유닛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호스 연결 유닛이 흡입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착탈 버튼이 버튼 삽입홀에서 탈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5)

  1. 흡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연결 호스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호스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 연결 유닛;
    상기 흡입부에 형성되는 버튼 삽입홀;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착탈 버튼;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버튼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되는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버튼 삽입홀의 내주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이 포함되며,
    상기 돌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 버튼을 가압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가이드에는 상기 착탈 버튼이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연결 유닛에는 상기 착탈 버튼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 버튼은 상기 버튼 가이드와 이격되는 진공 청소기.
  5.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의 먼지 및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일측이 상기 연결 호스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 유닛;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이 상기 흡입부에 착탈되도록 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착탈 버튼; 및
    상기 흡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가 포함되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의 일 측을 감싸는 돌기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070130662A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 KR10091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62A KR100912312B1 (ko)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
PCT/KR2008/003325 WO2009078517A1 (en) 2007-12-14 2008-06-13 Vacuum cleaner and hose connection unit thereof
EP08766287.0A EP2234533B1 (en) 2007-12-14 2008-06-13 Vacuum cleaner and hose connection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62A KR100912312B1 (ko)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50A KR20090063350A (ko) 2009-06-18
KR100912312B1 true KR100912312B1 (ko) 2009-08-14

Family

ID=4099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662A KR100912312B1 (ko) 2007-12-14 2007-12-14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66A (ko) * 2018-09-07 2020-03-17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352B1 (ko) * 2020-06-11 2021-02-09 (주)진성기업 사용이 용이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532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소켓회전구조
KR19990070512A (ko) * 1998-02-20 1999-09-1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
JP2002209801A (ja) * 2001-01-15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532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소켓회전구조
KR19990070512A (ko) * 1998-02-20 1999-09-1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
JP2002209801A (ja) * 2001-01-15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66A (ko) * 2018-09-07 2020-03-17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KR102141715B1 (ko) * 2018-09-07 2020-08-05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50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270B2 (en) Vacuum cleaner adapters and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KR20200025527A (ko) 진공청소기
US11206964B2 (en) Cleaner
US11647883B2 (en) Cleaner
US7168127B2 (en) Vacuum cleaner handle assemblies and adapters mating therewith
US11889973B2 (en) Vacuum cleaner
CN112218566B (zh) 清洁器支架及具有该清洁器支架的清洁设备
US10478036B2 (en) Cleaner
KR100912312B1 (ko) 진공 청소기
KR100906845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호스 연결 유닛
TWI637714B (zh) Electric sweeper
EP2234533B1 (en) Vacuum cleaner and hose connection unit thereof
KR100860058B1 (ko) 호스 어댑터
KR102042924B1 (ko) 핸드헬드 진공청소기
KR101903253B1 (ko) 청소기
KR20180023776A (ko) 청소기
EP3485775B1 (en) Cleaner
KR200161364Y1 (ko) 진공청소기의 호스어댑터
KR100985670B1 (ko) 진공 청소기
KR2006005775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180023774A (ko) 청소기
KR20110037196A (ko) 진공 청소기
KR20070021613A (ko) 진공 청소기의 바디 구조
JP2005348940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060000941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