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820Y1 -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7820Y1 KR200167820Y1 KR2019990016978U KR19990016978U KR200167820Y1 KR 200167820 Y1 KR200167820 Y1 KR 200167820Y1 KR 2019990016978 U KR2019990016978 U KR 2019990016978U KR 19990016978 U KR19990016978 U KR 19990016978U KR 200167820 Y1 KR200167820 Y1 KR 2001678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suction
- inlet pipe
- vacuum cleaner
- extension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별도의 틈새 청소를 위한 흡입구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틈새 청소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틈새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는 흡입호스(20)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30)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의 측부에는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된 연장관(400)과,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흡입구체 파이프(51)가 일체화되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한 흡입구체(50)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결되는 측인 연장관(400)의 끝단 둘레를 따라 브러시(410)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장관이 상호 분리될 경우 연장관(400)의 끝단으로 상기 브러시가 노출되어 틈새등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틈새 등과 같은 비교적 좁은 장소의 청소를 위한 틈새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하부커버(11)와 상부커버(12)에 의해 본체(10)를 이루고 있고, 상기 상부커버(12)의 삽입공(13)에는 흡입호스(2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호스(20)의 타단에는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를 갖는 손잡이부(3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연장관(4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장관(40)의 다른 일단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한 흡입구체(5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흡입구체에는 연장관(40)과 결합되는 흡입구체 파이프(5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체(10)를 구성하는 하부커버(11) 내에는 모터(14)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15)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커버(12)의 전방 내면에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대부분 집진하도록 집진봉투(16)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11)의 후면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장관과의 결합구조는 도시한 도 3 및 도 4 에서와 같이 연장관(40)의 끝단 내부에 판스프링(4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연장관(40)의 외부로 돌출 되도록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써 상기 연장관의 내벽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체 파이프(51)의 끝단 측부에는 상기 판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가 걸릴 수 있도록 통공(51a)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호간의 결합시에는 단순히 흡입구체 파이프(51) 내부에 연장관(40)을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연장관의 측부로 돌출된 돌출부(42)가 판스프링(41)의 탄력을 전달받게 됨으로써 흡입구체 파이프(51)의 측부에 형성된 통공(51a)에 결합되어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호간의 탈거시에는 통공(51a)에 걸려있는 돌출부(42)를 누른 상태에서 연장관(42)을 흡입구체 파이프(51)로부터 빼면 됨으로써 상호간의 탈거가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구체(50)의 종류를 선택하여 연장관(40)의 끝단에 연결한 후 진공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와 연장관의 연결은 기 전술한 바 있음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흡입호스(20)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30)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30)에 구비된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의 흡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의 하부커버(11)에 부착된 모터(14)가 구동하여 팬(15)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30)를 이용하여 청소를 원하는 위치에 흡입구체(50)를 위치시킨 후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0)내 팬(15)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50)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연장관(40)과 손잡이부(30) 및 흡입호스(20)를 계속해서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호스는 본체(10) 내에 결합된 집진봉투(16)와 연통된 상태로써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흡입호스를 따라 유동하면서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오염물은 집진봉투(16) 내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집진봉투 내로 유입된 공기 및 각종 오염물 중 오염물은 상기 집진봉투 내에 집진되고, 공기는 계속되는 팬(15)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집진봉투를 빠져나와 본체(1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집진봉투(16)의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1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하부커버(11)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17)을 통해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계속적인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수행은 굳이 한 가지 형태의 흡입구체로만 행하지는 않는다.
즉, 침구류와 같이 비교적 유연한 재질의 청소시에나 혹은, 모서리 부분 및 좁은 틈새 부분 등과 같은 장소의 청소시에는 각각의 상황에 적절한 흡입구체로 교체하여 청소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는, 흡입구체가 각 장소, 각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특히, 틈새 부분의 청소시에는 상기 틈새 내로 들어갈 수 있는 흡입구체가 없음에 따라 단순히 연장관을 흡입구체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연장관의 끝단을 틈새 내로 삽입하여 틈새에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만일 상기 틈새 내부에 카펫등이 깔려 있거나 혹은 이물질 등이 바닥에 붙어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연장관을 이용한 흡입력 발생만으로는 상기 바닥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란 어려워 청소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틈새 청소를 위한 도구를 상기 연장관의 끝단에 결합한 후 틈새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틈새 청소를 위한 흡입구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틈새 청소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의 측부에는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된 연장관과,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흡입구체 파이프가 일체화되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한 흡입구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결되는 측인 연장관의 끝단 둘레를 따라 브러시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장관이 상호 분리될 경우 연장관의 끝단으로 상기 브러시가 노출되어 틈새 등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 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틈새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틈새 청소장치가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a 는 본 고안 연장관과 흡입구체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b 는 본 고안 연장관과 흡입구체 파이프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연장관 410. 브러시
420. 브러시 하우징 431. 이동부
432.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내지 도 7b 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틈새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틈새 청소장치가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7a 는 본 고안 연장관과 흡입구체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7b 는 본 고안 연장관과 흡입구체 파이프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흡입구체 파이프(51)와 연결되는 측인 연장관(400)의 끝단 둘레를 따라 브러시(410)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 때, 상기 브러시는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그 사용이 행하여 지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측의 연장관(400) 끝단에는 흡입구체 파이프(51)와 연장관(400)이 상호 결합되어 있을 경우 상기 브러시가 그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장관이 상호 분리될 경우 상기 브러시가 그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브러시 하우징(420)을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브러시 하우징은 연장관(400)의 둘레를 따라 일체화됨과 함께 그 내부에는 그 내측면이 상기 연장관과 일정한 간격 즉, 흡입구체 파이프(51)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브러시(410)가 삽입되는 공간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연장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가이드공(422)을 형성하고,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공간부(421) 내에는 브러시(41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브러시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브러시 이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브러시의 내측 끝단에 일체화된 상태로써 브러시 하우징(420)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흡입구체 파이프(51)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422)을 관통하여 연장관(400)의 외주면에 근접된 상태로 돌출된 이동부(431)와,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공간부 내에 구비되어 이동부(431)에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32)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브러시 하우징(4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422)의 길이는 이동부(431)가 완전히 상승하였거나 완전히 하강하였을 경우 상기 이동부의 타단에 일체화된 브러시(410)가 브러시 하우징(4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거나 혹은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둘레면 중 연장관(400)의 돌출부(401)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개방부(423)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활히 누를 수 있도록 한다.
현재에는 상기 연장관과 흡입구체 파이프간의 연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끝단 둘레면에 별도의 분리수단(500)이 장착된 형태가 주로 적용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도시한 도 6과 같이 개방부(423)의 크기가 상기 분리수단을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 중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구성에 따른 작용에 관해서는 기 전술한 바 있음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틈새 청소를 수행할 경우 본 고안이 동작되는 과정에 관해서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연장관(400)과 흡입구체 파이프(51)간의 연결 상태는 도시한 도 7a와 같다.
즉, 연장관(400)의 끝단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써 상기 연장관의 끝단에 구비된 돌출부(401)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끝단에 형성된 통공(51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상면이 브러시 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이동부(431)를 그 상측으로 밀고 있고, 상기 이동부는 브러시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432)에 의해 탄력 즉, 스프링의 복원력을 적용받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 상기 브러시 이동수단에 의해 일체화된 브러시(410)는 브러시 하우징(42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데, 이는 상기 브러시가 이동부(431)에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흡입구체 파이프(51)에 의해 상향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상태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장소의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청소의 수행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구석진곳 혹은 틈새 등을 청소할 경우에는 우선, 흡입구체 파이프(51)를 연장관(40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는, 사용자가 흡입구체 파이프(51)의 통공(51a)에 걸려있는 연장관(400)의 돌출부(401)를 상기 연장관의 내측 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흡입구체(50)를 상기 연장관이 위치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으로 당김으로써 가능하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연장관(400)에 있는 돌출부(401)를 누를 수 있음은 브러시 하우징(420)의 둘레면 중 상기 돌출부가 위치된 측의 일부만이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시 하우징(420)의 개방부(423)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돌출부(401)를 눌러 흡입구체(50)를 탈거하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의 상면에 브러시 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이동부(431)가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에 의해 브러시 하우징(420)의 가이드공(422) 상부측에 위치된 상태로써 탄력 고정되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체 파이프(51)가 연장관(40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는 상기 이동부를 고정시키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이동부(431)가 브러시 하우징(420)의 가이드공(422) 내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는 브러시 하우징(420) 내에 설치된 스프링(432)의 복원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게 되어 상기 브러시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공(422)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이동부의 일단 즉, 브러시 하우징(420)의 내부에 위치된 이동부(431)의 일단이 브러시(410)와 일체화 되어 있음에 따라 도시한 도 7b와 같이 상기 브러시 역시 하향 이동하면서 브러시 하우징(420)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이동부가 가이드공(422)의 하부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더 이상의 하향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써 고정된다.
상기에서 브러시(410)가 하향 이동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은 상기 브러시와 일체로된 이동부(431)가 브러시 하우징(420)에 형성된 가이드공(422)의 하부에 걸려 더 이상 하향 이동하지 못하게 되지만,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432)의 복원력에 의해 계속적으로 하향 이동하려고 하는 힘을 전달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힘을 전달 받기 전까지는 하향 이동된 상태로써 고정됨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스프링은 흡입구체 파이프(51)와 연장관(400)이 재 결합되기 전까지는 브러시(410)가 상향 이동하지 않도록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결국, 전술한 바에 의해 연장관(400)의 끝단으로 브러시(410)가 돌출되면 이를 청소의 수행을 원하는 틈새 등에 삽입한 후 청소기를 동작시켜 연장관(400)을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계속적인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장관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틈새내 바닥 등에 붙어 있는 각종 먼지등의 이물질은 상기 연장관의 끝단에 돌출된 브러시(410)로서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작용에 의해 부유하게 되는 각종 먼지등은 연장관(400) 내부로 흡입되어 청소기 본체 내의 집진봉투(16) 내에 집진됨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굳이 전술한 틈새 청소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카펫이나 침구류 등과 같이 먼지등의 각종 오염물이 유연한 재질 등에 붙어 있음에 따라 청소의 수행이 어려운 장소 등에서도 단순히 연장관 끝단으로 돌출된 브러시 등을 이용하게 되면 더욱 그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으로써 그 적용범위가 넓은 보다 진보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의 끝단에 틈새 청소시 바닥 등에 붙어 있는 각종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브러시를 장착함으로써 청소효율이 더욱 상승하게된 효과가 있다.
또한, 그 사용이 필요할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 효과 역시 있다.
Claims (4)
-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 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의 측부에는 그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된 연장관과,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흡입구체 파이프가 일체화되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분리 가능한 흡입구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결되는 측인 연장관의 끝단 둘레를 따라 브러시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구체 파이프와 연장관이 상호 분리될 경우 연장관의 끝단으로 상기 브러시가 노출되어 틈새 등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브러시가 구비되는 측의 연장관 끝단에 브러시를 감쌈과 함께 브러시의 이동을 지지하는 브러시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내부에는 브러시와 함께 탄력 이동하면서 상기 브러시를 선택적으로 브러시 하우징 내부에 삽입 혹은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브러시 이동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브러시 하우징은 그 내측면과 연장관 사이에 흡입구체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브러시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연장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브러시 이동수단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지지된 상태로써 흡입구체 파이프의 상단에 맞닿아 선택적으로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브러시 이동수단은 브러시 하우징의 공간부 내에 구비되어 브러시의 상, 하 이동시 상기 브러시에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일단이 상기 브러시의 내측 끝단에 일체화된 상태로써 브러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 구비된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흡입구체 파이프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연장관의 외주면에 근접되도록 돌출된 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6978U KR200167820Y1 (ko) | 1999-08-17 | 1999-08-17 |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6978U KR200167820Y1 (ko) | 1999-08-17 | 1999-08-17 |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7820Y1 true KR200167820Y1 (ko) | 2000-02-15 |
Family
ID=1958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6978U KR200167820Y1 (ko) | 1999-08-17 | 1999-08-17 |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7820Y1 (ko) |
-
1999
- 1999-08-17 KR KR2019990016978U patent/KR2001678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4450B1 (ko) |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장착 구조 | |
GB2403132A (en) | Tilting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body portion | |
KR20060112420A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 |
WO1996022725A1 (en) | Electric broom | |
KR100556498B1 (ko) |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결합장치 | |
JP2009504235A (ja) |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 |
JP2004209222A (ja) | 真空掃除機用フィルタ組立体 | |
KR200167820Y1 (ko) |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 |
KR100996555B1 (ko) | 진공 청소기 | |
US9510717B2 (en) | Self-moving dust suction apparatus to facalitate cleaning | |
KR200273961Y1 (ko) |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 |
KR100444327B1 (ko)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필터 지지구조 | |
KR102368256B1 (ko) |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 |
KR101143807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100941426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20060107625A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 |
KR100546589B1 (ko) |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 |
KR100194383B1 (ko) | 진공청소기 | |
KR940004848Y1 (ko) | 소형 청소기 겸용 두발 건조기 | |
KR100750726B1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 |
KR101741147B1 (ko) | 집진백 카트리지 탈착식 진공청소기 | |
KR101199662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200353554Y1 (ko)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
JP2977795B1 (ja) | 真空掃除機用補助ブラシホルダ | |
KR0156990B1 (ko) |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흡입구조립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