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088B1 -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088B1
KR101822088B1 KR1020160078459A KR20160078459A KR101822088B1 KR 101822088 B1 KR101822088 B1 KR 101822088B1 KR 1020160078459 A KR1020160078459 A KR 1020160078459A KR 20160078459 A KR20160078459 A KR 20160078459A KR 101822088 B1 KR101822088 B1 KR 10182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vacuum cleaner
main body
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462A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경서글로텍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서글로텍, 김재홍 filed Critical (주)경서글로텍
Priority to KR102016007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0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설치되며 내부 결속공의 내주면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결속구; 상기 본체에 상기 결속구의 결속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걸림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결속구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가 항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흡기관 또는 배기관이 연결된 결속구를 결속시킬 때 간단한 구조와 용이한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결속구의 회전이 가능하여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꼬임을 방지 가능하며,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사이즈별 결속구를 다수 구비하여 진공청소기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결속구를 다수 지점에서 지지하여 견고한 결합이 구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INLET AND EXHAUST PORT STRUCTURE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흡기관 또는 배기관이 연결된 결속구를 결속시키는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가구 등에 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으로 구별된다.
대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모습을 보면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는 먼지분리장치와,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이물질 토출부와 연결되어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장치,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공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진공모터,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의 토출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의 진공청소기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쓰레기 및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 청소하는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진공펌프 및 임펠러가 내부에 장착되고, 하단에 필터가 설치된 진공펌프실; 상기 필터의 전면에는 필터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돌이나 단단한 물질로부터 필터를 보호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장공이 천공된 제1필터보호수단; 상기 진공펌프실의 하단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일측면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측에 상기 오물흡입구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관통되고, 그 일단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흡입관과 제1필터보호수단의 사이에 상기 제1필터보호수단을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돌이나 단단한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제2필터보호수단; 상기 흡입관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부의 내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필터보호수단 및 제1필터보호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쓰레기 및 먼지의 오물이 안착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설치된 안내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상기 안내부재에서 떨어진 쓰레기 및 먼지의 오물을 한곳으로 모아 집진하기 위해 설치된 오물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진공청소기는 본체부에 형성된 오물흡입구에 오물흡입호스를 연결할 때 강제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켜 오랜 시간 경과 후 틈새에 먼지가 유입되므로 그에 의해 오물흡입호스의 분리가 난해하고, 오물흡입호스가 꼬이면 꼬인 반대 방향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의 진공청소기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쓰레기 및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 청소하는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여과망의 밑판 중앙고정부에 고정된 오물털이봉을 에워싸도록 코일스프링을 설치하되, 코일스프링의 하측단을 오물털이봉의 하측단에 고정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집진통에 오물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오물흡입구를 통해 오물흡입호스를 연결하는데 상기 오물흡입호스를 상기 오물흡입구에 강제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킴에 따라 사용 과정에서 틈새에 먼지가 침투하여 오물흡입호스의 분리가 난해하면서, 오물흡입호스가 꼬이면 풀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2016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6-00095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흡기관 또는 배기관이 연결된 결속구를 결속시킬 때 간단한 구조와 용이한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결속구의 회전이 가능하여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꼬임을 방지 가능하며,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사이즈별 결속구를 다수 구비하여 진공청소기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설치되며 내부 결속공의 내주면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결속구; 상기 본체에 상기 결속구의 결속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걸림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결속구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가 항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구는 후단에 삽입 고정되는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직경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결속공 중 상기 결속부재의 대향면에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상향 이동시 상기 결속구의 걸림돌기를 간섭하도록 보조 결속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결속부재는 상기 결속구의 걸림돌기 이동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흡기관 또는 배기관이 연결된 결속구를 결속시킬 때 간단한 구조와 용이한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결속구의 회전이 가능하여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꼬임을 방지 가능하며,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사이즈별 결속구를 다수 구비하여 진공청소기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결속구를 다수 지점에서 지지하여 견고한 결합이 구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에서 결속구가 본체에 결속되기 전과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에서 결속구가 본체에 결속되기 전과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100)는 본체(110), 결속부재(120), 탄성부재(130), 결속구(140) 및 흡기관(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100)는 진공청소기(10)의 흡기구(12) 또는 배기구(14)의 결속공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본체(110)는 진공청소기(10)의 외통에 형성된 흡기구(12)에 설치되어 후술할 결속구(140)가 결속될 수 있도록 하며, 체결편(112), 스토퍼(114), 보강부(116) 및 고정부(118)를 포함한다.
체결편(112)은 본체(110)를 흡기구(12)에 볼트 등으로 체결시킬 때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 지점마다 각각 연장되면서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다.
스토퍼(114)는 본체(110)의 중공 형성된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내벽면에 후술할 결속구(140)에 형성된 걸림돌기(142)의 외벽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본체(110)에 상기 결속구(140)가 결속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스토퍼(114)의 내벽면에 오링(O-ring) 등이 개입되어 기밀 유지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강부(116)는 본체(110)의 상면 정점 부위에 설정 두께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결속부재(120)와 탄성부재(130)가 후술할 고정부(118)에 의해 고정할 때 고정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부(118)는 볼트 형상의 중심에 축 방향의 홀이 관통 형성되어 결속부재(120)의 상단에 통과한 상태로 상기 결속부재(120)의 승강 안내 및 탄성부재(130)의 분리를 이탈을 방지하도록 본체(110)의 보강부(116)에 설치하게 된다.
결속부재(120)는 본체(110)의 보강부(116)에 결속구(140)의 결속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강시 후술할 결속구(140)의 걸림돌기(142)를 간섭하여 상기 본체(110)에 상기 결속구(140)를 결속시킨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120)는 저면이 본체(110)의 내주면을 관통하게 되며 외주면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탄성부재(13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결속부재(120)는 손잡이(1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24)가 장착되도록 상단에 나선이 형성된다.
탄성부재(130)는 고정부(118)의 천장면과 이와 대향되는 결속부재(120)의 플랜지(122)에 상하단이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재(120)가 항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결속구(140)는 본체(110)의 내부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속공(110a)에 결속되며, 상기 결속공(110a)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스토퍼(114)에 밀착되도록 외주면 선단에 걸림돌기(1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구(140)의 걸림돌기(142)는 하강되는 결속부재(120)가 상기 걸림돌기(142)의 후방에 위치되어 간섭받지 않는 폭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결속구(140)는 후단에 삽입 고정되는 흡기관(150)의 직경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다수 구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100)에 의해 결속구(140)를 본체(110)에 결속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한 손으로 결속구(14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결속부재(120)의 상단에 연결된 손잡이(124)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24)를 위로 잡아당긴다.
다음으로, 손잡이(124)의 하부에 연결된 결속부재(120)를 상승시켜 흡기관(150)이 연결된 결속구(140)를 본체(110)의 결속공(110a)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본체(110)의 스토퍼(114)의 외벽면에 결속구(140)의 걸림돌기(142) 내벽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24)를 놓으면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결속부재(120)가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돌기(142)의 외벽면 후방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결속부재(120)가 걸림돌기(142)의 외벽면 후방에 위치되면서 간섭하므로 결속구(140)를 잡아당겨도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200)는 본체(210), 결속부재(220), 탄성부재(230), 결속구(240), 흡기관(250), 보조 결속부재(228) 및 보조 탄성부재(S)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재(220), 탄성부재(230), 결속구(240) 및 흡기관(250)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210)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결속부재(220)의 대향된 결속공(110a)의 저면 정점 부위에 보조 결속부재(228) 및 보조 탄성부재(S)가 설치될 홈이 형성된다.
보조 결속부재(228)는 결속구(240)에 형성된 걸림돌기(242)의 하단 정점 부위를 간섭하게 되므로 결속부재(220)와 함께 상기 결속구(240)의 걸림돌기(242) 상하 두 지점을 지지하여 결속공(210a)과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결속부재(228)는 결속구(240)에 형성된 걸림돌기(242)의 이동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보조 결속부재(228)의 상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속구(240)를 결속공(210a)으로 삽입하거나 잡아당기면 걸림돌기(242)의 모서리가 반구면에 밀착되면서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보조 탄성부재(S)는 보조 결속부재(228)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보조 결속부재(228)의 상단이 결속구(240)의 걸림돌기(242)를 간섭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110, 210: 본체
112: 체결편
114, 214: 스토퍼
116, 216: 보강부
118, 218: 고정부
120, 220: 결속부재
130, 230: 탄성부재
140, 240: 결속구
150, 250: 흡기관

Claims (4)

  1. 진공청소기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설치되며 내부 결속공의 내주면에 결속구의 걸림돌기가 밀착되도록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결속부재와 탄성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는 보강부;
    상기 본체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결속구;
    상기 보강부에 상기 결속구의 결속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걸림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결속구를 결속시키면서 하단부 외주면에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결속부재;
    상기 플랜지에 밀착되도록 결속부재에 결합되어 결속부재가 항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결속부재의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결속부재에 결합되면서 보강부에 체결되어 결속부재의 승강 안내 및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후단에 삽입 고정되는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직경에 따라 교체 가능한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결속공 중 상기 결속부재의 대향면에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상향 이동시 상기 결속구의 걸림돌기를 간섭하도록 보조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결속부재는 상기 결속구의 걸림돌기 이동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KR1020160078459A 2016-06-23 2016-06-23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KR10182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59A KR101822088B1 (ko) 2016-06-23 2016-06-23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59A KR101822088B1 (ko) 2016-06-23 2016-06-23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62A KR20180000462A (ko) 2018-01-03
KR101822088B1 true KR101822088B1 (ko) 2018-01-25

Family

ID=6100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459A KR101822088B1 (ko) 2016-06-23 2016-06-23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61Y1 (ko) * 1999-06-28 2002-05-01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JP2002209801A (ja) 2001-01-15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61Y1 (ko) * 1999-06-28 2002-05-01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JP2002209801A (ja) 2001-01-15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62A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250B1 (ko) 진공 청소기
US7186281B2 (en) Dust-removing device for the dust-collecting tank of a dust-collecting machine
US762447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US6341402B2 (e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KR20170013419A (ko) 진공 청소기
US8869346B2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240921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A2397041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20060118803A (ko) 진공청소기
EP2818088A1 (en) Vacuum cleaner
EP2324748B1 (en) Vacuum cleaner
US20170319043A1 (en) Dry mop cleaner
US6446293B2 (en) Vacuum cleaner that charges a duster with static electricity
EP1935309A2 (en) Vacuum cleaner.
KR101822088B1 (ko) 진공청소기 흡배기구 구조
KR101065954B1 (ko) 진공 청소기
KR20190091864A (ko) 청소기
CN111743455B (zh) 空气处理组件和具有其的清洁设备
KR200467537Y1 (ko) 청소기의 악세사리
RU56149U1 (ru) Насадка к пылесосу
CN114391774A (zh) 吸尘器
AU2008203118B2 (en) Vacuum cleaner having suction path switching valve
KR100651280B1 (ko) 진공 청소기의 커버구조
KR20090122653A (ko) 진공청소기용 악세사리
KR20070013388A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