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37Y1 - 청소기의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37Y1
KR200467537Y1 KR2020100008839U KR20100008839U KR200467537Y1 KR 200467537 Y1 KR200467537 Y1 KR 200467537Y1 KR 2020100008839 U KR2020100008839 U KR 2020100008839U KR 20100008839 U KR20100008839 U KR 20100008839U KR 200467537 Y1 KR200467537 Y1 KR 200467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ver
cleaning member
fix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07U (ko
Inventor
류병대
김영욱
조형래
서혜미
김충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테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테크윈
Priority to KR2020100008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3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0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흡입노즐 부분에 탈착 및 고정이 용이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청소기의 악세사리는, 청소기의 흡입노즐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적어도 하면에 청소면을 닦기 위한 청소부재가 위치하는 케이스와,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탄성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가지는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지지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청소부재의 탈착 및 교환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의성, 생산성의 향상과 조립성의 향상 및 불량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악세사리 {Accessory of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흡입노즐 부분에 탈착 및 고정이 용이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란 생활의 편의성을 위하여 만들어낸 가전 기기의 하나로써, 내부에 위치되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동시에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내부에서 먼지만 걸러주고 공기를 배출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내부 공간에는 소정의 저압 분위기가 형성되고, 이러한 저압 분위기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부분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공기와 동시에 흡입하게 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공기와 동시에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부분과, 모터 및 필터 등이 내장되는 본체와, 먼지 또는 이물질 등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배기부분으로 크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은 진공 상태가 형성되고, 이러한 진공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부분을 통해 공기와 먼지 등을 원하는 공간 예를 들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또는 별도의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되면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집진되고, 공기는 상기 배기부분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휴대용, 업라이트용, 포트용, 실린더형 플로어용 등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하지 않고 센서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청소하는 로봇청소기가 제공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진공청소기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악세사리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악세사리에 의해 상기 진공청소기는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청소하고자하는 부분을 닦는 청소부재의 탈착 및 고정이 용이한 청소기의 악세사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청소기의 악세사리는, 청소기의 흡입노즐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적어도 하면에 청소면을 닦기 위한 청소부재가 위치하는 케이스와,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탄성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가지는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지지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의하면,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닦기 위한 청소부재의 탈착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에 의하면, 청소부재의 원활한 지지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청소부재의 고정이 원활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청소부재의 원활한 지지와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청소부재를 탈착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기의 사용에 의한 시간이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청소기의 사용 시간이 감소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하부케이스에 청소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청소기의 악세사리를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청소기의 악세사리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청소부재를 사용하는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외형을 이루는 본체(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모터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먼지와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10)이 위치한다.
상기 본체(1)의 앙 측면과 하면에는 상기 본체(1)의 이동을 위한 바퀴(2)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퀴(2)는 상기 본체(1)의 후반부 양 측면에 다소 큰 지름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전반부 하면에 다소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일면에는 상기 집진통(10)으로 먼지 및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연결호스(3)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호스(3)는 부드러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방향 전환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호스(3)의 다른 끝 부분은 먼지 및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 상기 연결호스(3)로 안내하는 연결관(4)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관(4)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음에 설명할 흡입노즐(5)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4)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 또는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 등에 따라 길이를 변경하여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청소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호스(3)와 상기 연결관(4) 사이에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관(4)을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핸들(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핸들(5)은 상기 연결호스(3)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연결관(4)과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연결관(4)을 움직이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핸들(5)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5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는 다수의 버튼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본체(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관(4)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1)가 동작할 때 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상기 연결관(4)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흡입노즐(6)이 위치된다. 상기 흡입노즐(6)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노즐(6)의 하측에는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닦기 위한 악세사리(7)가 부착된다. 상기 악세사리(7)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입노즐(6)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6)을 통하여 흡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노즐(6)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관(4)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연결호스(3)로 유동한다.
상기 연결호스(3)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집진통(10)으로 유동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과 공기로 분리되고, 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집진통(10)에 집진되며 분리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하부케이스에 청소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악세사리(7)는 케이스(71)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71)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흡입노즐(6)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가 상기 흡입노즐(6)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은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끼움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71)가 어떠한 구성으로 제공되어도 상기 흡입노즐(6)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71)의 중앙부에는 청소하고자 하는 공간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72)를 통해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흡입부(72)는 상기 케이스(71)의 중앙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면서 형성되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상기 흡입부(72)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노즐(6)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72)는 상기 케이스(7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71)의 전반부 또는 후반부에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어느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외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노즐(6)을 통해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1)는 적어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하면서 적어도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712)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71)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상부와 하부 및 다른 부분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71)가 상부케이스(711)와 하부케이스(712)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케이스(71)는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하부케이스(712)는 결합에 의해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는 상기 흡입부(72)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하부케이스(712)가 내부 공간을 가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케이스(71)의 전체적인 무게 또는 보관 등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71)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하부케이스(712)는 다수의 체결부재 및 끼움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71)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71)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노즐(6)로부터 상기 케이스(71)를 이탈시키기 용이하도록 탈착패널(713)이 제공된다.
상기 탈착패널(713)은 상기 케이스(7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7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71)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탈착패널(713)이 상기 케이스(7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탈착패널(713)은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측패널과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측패널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탈착패널(713)은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하부케이스(712)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측패널과,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하측패널이 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상기 탈착패널(713)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탈착패널(713)이 상기 상부케이스(711)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71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7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71)에는 청소하고자 하는 부분을 닦을 수 있는 청소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8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레버홈(7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홈(714)은 상기 케이스(71)의 상면과 하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다음에 설명할 상기 고정장치(80)의 레버(811,821)가 상기 케이스(71)의 상면과 하면보다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상면에는 그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레버홈(714)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하면에는 그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레버홈(71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버홈(714)에 상기 청소부재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장치(80)의 레버(811,821)가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장치(80)의 레버(811,821)가 상기 케이스(71)의 상면과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고정장치(80)는 상기 케이스(71)의 가상 외면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청소부재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레버홈(714)은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상면 후반부 일부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하면 후반부 일부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레버홈(714)을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하면 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레버홈(714)을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홈(714)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80)가 상기 청소부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71)의 상면과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71)를 상기 흡입노즐(6)에 부착하여 청소하게 될 때 상기 고정장치(80)에 의해 청소를 방해받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장치(80)가 하나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홈(714)이 하나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80)가 다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창치(80)의 수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형성되거나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닦기 위한 청소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80)는 상기 케이스(71)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장치(81)와, 상기 케이스(71)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장치(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하부케이스(712)는 다수의 체결부재 및 끼움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71)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71)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노즐(6)로부터 상기 케이스(71)를 이탈시키기 용이하도록 탈착패널(713)이 제공된다.
상기 탈착패널(713)은 상기 케이스(7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7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71)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탈착패널(713)이 상기 케이스(7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탈착패널(713)은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측패널과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측패널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탈착패널(713)은 상기 상부케이스(711)와 상기 하부케이스(712)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측패널과,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하측패널이 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상기 탈착패널(713)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탈착패널(713)이 상기 상부케이스(711)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71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7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고정장치(81)는 상기 케이스(71)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의 상측에서 상기 청소부재의 상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상부레버(811)와, 상기 상부레버(811)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는 고정레버(812)와, 상기 고정레버(812)를 자체 탄성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레버(811)가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탄성부재(8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버(811)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레버홈(7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버(811)의 좌측 끝 부분과 우측 끝 부분에는 상기 상부레버(811)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레버(8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83)는 상기 상부레버(811)와 동일한 단면적과 형태를 가지는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83)는 상기 상부레버(8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양쪽 끝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레버(811)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버(811)의 좌측 끝 부분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레버(83)는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좌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끝 부분이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그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측면 하단부 하측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레버(811)의 좌측 끝 부분은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71)의 외측으로 돌출된 다음,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스(71)의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레버(83)에는 상기 고정레버(83)에 지지되면서, 상기 상부레버(811)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고정레버(83)가 회전 운동하게 될 때,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84)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8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레버(83)의 외면에 끼워지면서 끼움 결합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84)는 상기 상부레버(811)가 상기 청소부재를 상측에서 압착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84)는 상기 상부레버(811)가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레버(811)의 탄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부레버(811)를 이동시킨 후 상기 청소부재를 교환하거나 설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고정장치(82)는 상기 케이스(71)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청소부재의 외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하부레버(821)와, 상기 하부레버(821)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는 고정레버(83)와, 상기 고정레버(83)를 자체 탄성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하부레버(821)가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버(821)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레버홈(7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버(821)의 좌측 끝 부분과 우측 끝 부분에는 상기 하부레버(821)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레버(8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83)는 상기 하부레버(821)와 동일한 단면적과 형태를 가지는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83)는 상기 하부레버(8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양쪽 끝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결합에 의해 상기 하부레버(811)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버(821)의 좌측 끝 부분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레버(83)는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좌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끝 부분이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그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측면 상단부 상측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레버(821)의 우측 끝 부분은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71)의 외측으로 돌출된 다음,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스(71)의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레버(83)에는 상기 고정레버(83)에 지지되면서, 상기 상부레버(811)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고정레버(83)가 회전 운동하게 될 때,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84)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8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레버(83)의 외면에 끼워지면서 끼움 결합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84)는 상기 상부레버(811)와 하부레버(821)가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청소부재의 교환 또는 설치가 완료된 다음 사용자는 상기 상부레버(811)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상부레버(811)는 상기 탄성부재(8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711)의 상면 방향으로 힘을 가지게되면서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레버(821)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하부레버(821)는 상기 탄성부재(84)의 탄성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하면 방향으로 힘을 가지게 되면서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를 회동시킨 다음 상기 청소부재를 설치 또는 교환하고,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8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르도(821)는 상기 케이스(71)에 상기 청소부재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84)를 지지하는 지지부(8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85)는 상기 탄성부재(84)의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과, 상기 탄성부재(84)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85)는 상기 탄성부재(84)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부(851)와, 상기 탄성부재(84)의 한쪽 또는 양쪽 끝 부분을 일부 또는 모두 수용하는 고정부(8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851)는 상기 케이스(71)의 내면에 상기 탄성부재(84)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부(851)는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에 상기 탄성부재(8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84)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851)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는 상기 안내부(851)가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상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그 공간에 상기 탄성부재(8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조립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852)는 상기 탄성부재(84)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재(84)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52)는 상기 하부케이스(712)의 상면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84)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 모두 또는 어느 하나가 걸림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걸림 지지되는 형태는 걸림 턱의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852)에 상기 탄성부재(84)의 시작부분과 끝 부분의 모두 또는 어느 하나가 수용 또는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84)의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
한편, 상기 상부레버(811) 또는 상기 하부레버(821)의 외면에는 상기 로드가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하게 될 때, 접하는 접촉 면적을 넓히는 실질적으로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는 접촉부재(8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86)는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청소부재를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86)는 상기 청소부재와의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86)는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는 부분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와의 접촉면을 더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재(86)의 단면은 일 부분이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접촉부재(86)의 단면은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는 면의 단면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지 않는 면의 단면은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재(86)는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의 외면, 상세하게는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는 부분 즉, 상기 케이스(71)에 형성되는 상기 레버홈(714)에 위치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8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청소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압착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재(86)에는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는 부분의 접촉 면적을 넓히면서 상기 청소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지돌기(861)가 형성된다. 상기 방지돌기(861)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접촉부재(86)에서 돌기의 형태가 아닌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접촉부재(86)와 상기 청소부재의 접촉면을 넓혀주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생산 현장에서 상기 상부고정장치(81)와 상기 하부고정장치(82)를 별개로 생산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장치(81)와 상기 하부고정장치(82)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과 조립성의 향상 및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장치(81)와 상기 하부고정장치(82)는 서로 대향되도록 탄성력이 동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장치(81)와 상기 하부고정장치(82)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84)의 탄성력이 동작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청소부재를 교환 또는 다른 기타의 사유로 탈착시키게 될 때, 상기 상부레버(811)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케이스(71)를 뒤집어 상기 하부레버(821)를 상기 상부레버(811)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따라, 사용자가 상기 청소부재의 교환 또는 탈착시키게 될 때, 동일 방향으로 상기 상부레버(811)와 상기 하부레버(821)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흡입노즐에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닦을 수 있는 악세사리가 설치되고, 상기 악세사리는 상기 청소부재의 탈착 및 교환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의 편의성, 생산성의 향상과 조립성의 향상 및 불량률의 감소 등과 같은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와 관련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 본체 2. 바퀴
3. 연결호스 4. 연결관
5. 핸들 6. 흡입노즐
7. 악세사리 10. 집진통
71. 케이스 72. 흡입부
80. 고정장치 81. 상부고정장치
82. 하부고정장치 83. 고정레버
84. 탄성부재 85. 지지부
86. 접촉부재

Claims (6)

  1. 청소기의 흡입노즐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적어도 하면에 청소면을 닦기 위한 청소부재가 위치하는 케이스와,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탄성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가지는 청소기의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고, 상기 청소부재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청소부재와 접촉 면적을 늘리면서, 상기 청소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지돌기를 가지는 접촉부재가 제공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지지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청소부재를 고정하게 될 때, 상기 고정장치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면 또는 하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악세사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와 상기 하부고정장치는 상기 청소부재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레버에는 한쪽 끝 부분이 상기 레버의 끝 부분과 연결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레버가 더 제공되는 청소기의 악세사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00008839U 2010-08-25 2010-08-25 청소기의 악세사리 KR200467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39U KR200467537Y1 (ko) 2010-08-25 2010-08-25 청소기의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39U KR200467537Y1 (ko) 2010-08-25 2010-08-25 청소기의 악세사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07U KR20120001507U (ko) 2012-03-06
KR200467537Y1 true KR200467537Y1 (ko) 2013-06-18

Family

ID=4617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39U KR200467537Y1 (ko) 2010-08-25 2010-08-25 청소기의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3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010A (ko) * 1995-04-21 1996-11-19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착탈장치
KR200267162Y1 (ko) 2001-11-21 2002-03-09 장수영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20060064115A (ko) * 2004-12-08 200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걸레고정장치
KR2007007700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걸레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010A (ko) * 1995-04-21 1996-11-19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착탈장치
KR200267162Y1 (ko) 2001-11-21 2002-03-09 장수영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20060064115A (ko) * 2004-12-08 200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걸레고정장치
KR2007007700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걸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07U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177B1 (ko)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장착구조
US20070039118A1 (en)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JP2009504309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20080096191A (ko) 캐니스터/스틱 겸용 진공청소기
KR101256636B1 (ko) 진공 청소기
AU2009202139B2 (en) Upright type cleaner
JP2004313249A (ja) 電気掃除機
KR100778690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각도조절장치
CN101176631A (zh) 吸尘器过滤器结构
KR200467537Y1 (ko) 청소기의 악세사리
KR10094142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TWI825605B (zh) 清掃機
JP5849236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064115A (ko)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걸레고정장치
KR20070046811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0778691B1 (ko) 홀더 파이프를 갖는 청소기
KR20230127687A (ko) 청소기
KR200353549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20060128099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N101242766A (zh) 能够转变为罐式真空吸尘器的立式真空吸尘器
KR20060116998A (ko) 공기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KR2006010763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