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610A -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610A
KR20000009610A KR1019980030151A KR19980030151A KR20000009610A KR 20000009610 A KR20000009610 A KR 20000009610A KR 1019980030151 A KR1019980030151 A KR 1019980030151A KR 19980030151 A KR19980030151 A KR 19980030151A KR 20000009610 A KR20000009610 A KR 2000000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eed
vehicle
ca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욱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3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610A/ko
Publication of KR2000000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것이다.
나.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는 자동차 키의 삽탈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자동차 에어백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센서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으면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일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도어를 잠그며, 상기 도어를 잠근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센서를 통해 자동차 에어백이 동작됨을 감지하면 도어의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과,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릴레이와,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다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Door)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AIR BAG)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일정속도 이상이되면 자동으로 모든 도어를 로킹(Locking)시키는 속도감응형 도어 잠금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속도감응형 도어 잠금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도어가 열림으로인한 사고의 가능성을 미연해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장치라 하겠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속도감응형 도어 잠금장치는 일단 자동차의 속도가 일정속도를 초과하면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로킹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후에는 자동차의 속도에 관계없이 도어의 잠금상태를 계속유지 시킨다. 따라서 이때 만일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와 충돌되거나 전복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오히려 탑승객에 대한 신속한 구조를 방해하게 되어 위험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속도감응형 도어 잠금장치는 일단 자동차의 속도가 일정속도를 초과하면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로킹시키고 이후에는 자동차의 속도에 관계없이 도어의 잠금상태를 계속유지시키기 때문에 만일 자동차에 충돌, 전복 등과 같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오히려 탑승객에 대한 신속한 구조를 방해하게 되어 위험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속도감응형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금상태로된 상태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에 충돌, 전복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의 동작 제어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는 자동차 키의 삽탈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자동차 에어백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센서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으면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일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도어를 잠그며, 상기 도어를 잠근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센서를 통해 자동차 에어백이 동작됨을 감지하면 도어의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과,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릴레이와,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다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그니션 스위치(104)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차 키의 삽탈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한다. 속도센서(102)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차의 일정속도 초과를 알리는 신호를 바디 콘트롤 모듈(Body Control Module:이하 "BCM"이라 함)(106)에 인가한다. 에어백센서(100)는 자동차 에어백의 동작여부를 감지하여 BCM(106)에 알린다. BCM(106)은 이그니션 스위치(104)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으면 자동차의 속도가 일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도어를 로킹시키기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도어를 로킹시킨 상태에서 에어백센서(100)를 통해 자동차의 에어백이 동작됨을 감지하는 경우 도어를 언로킹(Unlocking)시키기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운전석릴레이(108), 조수석 릴레이(110), 좌측 탑승석 릴레이(112), 우측 탑승석 릴레이(114)는 BCM(106)으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록 신호 및 도어 언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석 릴레이(108)는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운전석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록/언록 신호를 발생한다. 조수석 릴레이(110)는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조수석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록/언록 신호를 발생한다. 좌측 탑승석 릴레이(112)는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뒷좌석 좌측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록/언록 신호를 발생한다. 우측 탑승석 릴레이(114)는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뒷좌석 우측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록/언록 신호를 발생한다. 운전석 도어 액츄에이터(116), 조수석 도어 액츄에이터(118), 좌측 탑승석 도어 액츄에이터(120) 및 우측 탑승석 도어 액츄에이터(122)는 상기 각각의 릴레이들(108,110,112,114)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록 신호 및 도어 언록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자동차의 모든 도어들을 로킹/언로킹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의 BCM(106)에서 자동차의 에어백 동작시 자동차의 모든 도어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BCM(106)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상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왼쪽 및 뒷좌석 오른쪽의 도어들이 모두 언로킹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자동차의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키홀에 키를 삽입함에 따라 이그니션 스위치(104)의 스위칭이 "온"되는 경우 BCM(106)은 이에 응답하여 (200)단계에서 (202)단계로 진행하여 속도센서(102)를 통해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속도센서(102)로부터 자동차의 일정속도 초과를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BCM(106)은 이에 응답하여 (204)단계로 진행해서 운전석 릴레이(108), 조수석 릴레이(110), 좌측 탑승석 릴레이(112), 우측 탑승석 릴레이(114)로 도어를 로킹시키기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들(108,110,112,114)은 각각 운전석 도어 액츄에이터(116), 조수석 도어 액츄에이터(118), 좌측 탑승석 도어 액츄에이터(120), 우측 탑승석 도어 액츄에이터(122)로 도어 록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각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차의 모든 도어가 로킹된다. 이어 BCM(106)은 (206)단계로 진행하여 자동차의 에어백이 동작되는지 여부 즉, 에어백센서(100)로부터 자동차의 에어백이 동작됨을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에어백센서(100)로부터 자동차의 에어백이 동작됨을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BCM(106)은 이에 응답하여 (208)단계로 진행해서 운전석 릴레이(108), 조수석 릴레이(110), 좌측 탑승석 릴레이(112), 우측 탑승석 릴레이(114)로 도어를 언로킹시키기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들(108,110,112,114)은 각각 운전석 도어 액츄에이터(116), 조수석 도어 액츄에이터(118), 좌측 탑승석 도어 액츄에이터(120), 우측 탑승석 도어 액츄에이터(122)로 도어 언록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각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차의 모든 도어가 다시 언로킹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돌 또는 전복 등과 같은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여 자동차의 에어백이 동작하는 경우 자동차의 모든 도어가 언로킹상태로 되게 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한 자동차의 탑승자들이 신속히 구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키의 삽탈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와,
    상기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상기 자동차 에어백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센서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일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도어를 모두 잠그며, 상기 도어를 잠근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센서를 통해 상기 에어백이 동작됨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과,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릴레이와,
    상기 도어 잠금해제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다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
  2. 이그니션 스위치와 속도센서와 에어백센서와 바디 콘트롤 모듈과 다수의 릴레이와 다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장치에서 자동차 도어의 잠금상태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속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속도센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자동차의 속도가 상기 일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잠금상태로 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잠금상태일 때 사고로 인해 상기 자동차의 에어백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자동차의 에어백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해제방법.
KR1019980030151A 1998-07-27 1998-07-27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KR20000009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151A KR20000009610A (ko) 1998-07-27 1998-07-27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151A KR20000009610A (ko) 1998-07-27 1998-07-27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10A true KR20000009610A (ko) 2000-02-15

Family

ID=1954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151A KR20000009610A (ko) 1998-07-27 1998-07-27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277B1 (ko) 탑승객 탈출지원장치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US6081758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unlocking an automotive child safety door lock
US20110137507A1 (en) System having crash unlock algorithm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20000009610A (ko) 에어백과 연동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해제장치 및방법
JP454560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
JP454268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3951426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09161059A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20080007723A (ko) 차량의 도어 록/언록 제어 방법
JP200906267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の制御方法
KR20070121093A (ko) 차량전복시 도어잠금 제어방법
KR100226976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 및 풀림장치
JP3156564B2 (ja) エアバッグ装着車の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KR0165784B1 (ko) 자동차 도어 해제장치
KR100270884B1 (ko)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KR100552196B1 (ko)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KR19980026416A (ko)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JP2006027503A (ja) 車両用安全装置
KR100192809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용 물체감지장치
KR100202114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방법
KR20220061540A (ko) 차량 전복 시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84460A (ko) 자동차용 도어잠김방지장치.
JP3451661B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