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102A -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102A
KR20000006102A KR1019990021710A KR19990021710A KR20000006102A KR 20000006102 A KR20000006102 A KR 20000006102A KR 1019990021710 A KR1019990021710 A KR 1019990021710A KR 19990021710 A KR19990021710 A KR 19990021710A KR 20000006102 A KR20000006102 A KR 2000000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wave signal
circuit
digital
broadcast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504B1 (ko
Inventor
오카노부다이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0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7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in band adjacent channel [I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고 이 아날로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회로(10)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시에 수신회로(10)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이 디지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복조회로(28)와, 디지털 복조회로(28)의 동작전압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4)와, 아날로그방송의 수신을 검출하는 검출회로(31)와, 디지털 방송의 수신을 검출하는 검출회로(32)가 장치된다. 검출회로(31)가 선국시에 아날로그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하고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할 때만, 동작전압이 제어회로(34)에 의해 디지털 복조회로(28)에 공급된다.

Description

수신기{Receiver}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인접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되는 방송방식용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현행 AM방송 및 FM방송에서, 방송되는 소재의 처리는 디지털화되고 있지만, 방송 그 자체는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것이다. 그런데, 만약 방송이 디지털화되면, 고음질을 갖는 방송의 공급과 같은 부가 데이터 서비스가 행해질 수 있다. 방송 그자체의 디지털화의 움직임은 주파수 이용효율 등의 개선때문에 활성화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여기에서 사용된 아날로그 방송수신기 대신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반드시 새로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항없이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스무드한 이행이 요구되고, 또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이행기간 동안 공존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방송방식은 "IBOC(In Band On Channel) 방식"으로 총칭되고,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공존은 예를들면 도 1a에 도시된 주파수 구성으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설정하므로써 실행될 수 있다.
즉, 도 1a에서, 참조문자(SA)는 여기에 사용된 아날로그 FM방송의 방송파신호(FM신호)를 나타내고, 그 반송파주파수는 fRX로 나타낸다.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아날로그 방송파신호(SA)와 공존하도록 될 때,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SD, SD)는 방송파신호(SA)의 주파수 대역의 양단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방송파신호(SD, SD) 중 어느 하나만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송파신호(SD)에 의거한 프로그램내용은 전반적으로 아날로그방송파신호(SA)에 의거한 프로그램 내용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앞으로, 아날로그방송파신호(SA)는 디지털 방송파신호(SD)만으로 방송을 행하기 위해 중지되거나, 방송파신호(SA)는 디지털 방송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이행은 10년 내지 15년에 걸쳐서 확립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청취자가 상기 공존에 대응하려고 할 때, 청취자는 이행기간 전후에 동작가능한 수신기나,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양 방송용 수신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송파신호를 수신하는 여기에 사용된 수신회로에 많은 변경을 하지 않고 디지털 방송파신호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주파수 스펙트럼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수신회로 12. 아날로그동조회로
14, 믹서회로 15. 국부발진회로
16. 대역통과필터 18. FM복조회로
19. 스테레오복조회로 26. 대역통과필터
28. 디지털복조회로 30. 절전/표시회로
31, 32. 레벨검출회로 34. 파워제어회로
35. 펄스형성회로 37. L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아날로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회로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수신회로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이 디지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복조회로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1검출회로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2검출회로와,
디지털 복조회로에 동작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서 디지털복조회로에는 선국시에 제 1검출회로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하고 제 2검출회로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할 때만 제어회로에 의한 동작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인접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되는 방송방식용 수신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기에서, 제 1 및 제 2검출회로 각각은 소정 레벨 이상의 신호강도로 수신이 행해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회로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턴온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해도 좋은데, 여기에서 표시수단의 턴온상태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사이에 다르게 된다.
상기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턴온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해도 좋은데, 여기에서 표시수단의 턴온상태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된다.
상기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턴온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해도 좋은데, 여기에서 표시수단의 턴온상태는 제 1검출회로의 출력과 제 2검출회로의 출력에 의거하여 다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아날로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회로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수신회로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이 디지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복조회로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1검출회로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2검출회로와,
디지털 복조회로에 동작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서 디지털복조회로에는 디지털복조회로에서 동기가 취해질 때 동기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동기 플래그가 제공되고, 디지털복조회로에는 선국시에 제 1검출회로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하고 제 2검출회로가 디지털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할 때 제어회로에 의한 동작전압이 공급되고, 디지털 복조회로로의 이 동작전압의 공급은 동기 플래그가 동작전압의 공급으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동기가 디지털 복조회로에서 취해졌음을 나타낼 때 계속되고, 디지털 복조회로로의 동작전압의 공급은 동기플래그가 디지털 복조회로에서 동기가 취해지지 않았음을 나타낼 때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인접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되는 방송방식용 수신기가 또한 제공된다.
따라서, 전력은 디지털 방송이 수신될 때만 디지털처리회로에서 소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이하 설명할 것이다.
도 2에서, 쇄선 위의 부분(10)은 여기에 사용된 아날로그방송수신회로를 나타내고, 수신회로(10)의 대부분은 하나의 칩에 집적된다. 또한, 수신회로(10)는 예를들면, FM방송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아날로그 방송의 수신시에,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는, 전자동조방식의 아날로그 동조회로(12)에 공급되어 목적으로 하는 주파수(fRX)의 수신신호(SRX)가 선택되어 꺼내어지고, 이 수신신호(SRX)가 고주파수증폭기(13)를 통해 믹서회로(14)에 공급된다.
또한, 국부발진회로(15)는 그 주파수가 수신주파수(fRX)로부터 중간주파수(fIF)만큼 떨어져 있는 국부발진신호(SLO)를 형성하는 PLL로 구성되어 있고, 이 신호(SLO)는 믹서회로(14)에 공급된다. 이때, 국부발진회로(15)를 구성하는 PLL의 VCO(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된 제어전압의 일부는 선국전압으로서 안테나동조회로(12)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신신호(SRX)는 중간주파신호(SIF)(중간주파수(fIF))로 주파수변환된다. 이 경우에, 수신신호(SRX)가 도 1a에 도시된 공존형 방송파신호일 때, 중간주파신호(SIF)는 중간주파수(fIF)의 위치에서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SA)를 주파수 변환하여 얻어진 중간주파신호(SAI)를 갖고, 또한 그 양측(또는 일측)에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SD)를 주파수 변환하여 얻어진 중간주파신호(SDI)를 갖는다. 수신신호(SRX)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SA)일 때, 중간주파신호(SIF)는 중간주파신호(SAI)만을 가진다.
중간주파신호(SIF)가 대역통과필터(16)에 공급되어 아날로그 방송의 중간주파신호(SAI)를 꺼내고, 신호(SAI)는 증폭기(17)를 통해 FM복조회로(18)에 공급되어 스테레오콤포지트(stereo composite) 신호를 복조하고, 이 신호는 스테레오복조회로(19)에 공급되어 좌우채널의 음성신호(L, R)를 꺼낸다. 수신회로(10)에서, 아날로그방송파신호의 수신은 상기한 바와같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 절전/표시회로(30)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수신신호(SRX)가 공존형 방송파신호일 때, 도 1b에 도시된 중간주파신호(SIF)는 믹서회로(14)로부터 꺼내지고, 이 신호(SIF)는 대역통과필터(26)에 공급되어 디지털 방송의 중간주파신호(SDI)를 꺼내고, 이 신호(SDI)는 증폭기(27)를 통해 디지털복조회로(28)에 공급된다. 복조회로(28)는 이와같이 공급된 중간주파신호(SDI)에 디지털 방송의 방송방식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행하여 좌우채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L, R)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증폭기(17)에서 중간주파신호(SAI)의 일부는 레벨검출회로(31)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SA)의 수신레벨이 소정의 값 이상일 때, "H"레벨을 갖는 검출신호(S31)가 꺼내지고, 신호(S31)는 AND회로(33, 36)에 공급된다. 실제로, 검출회로(31)는 그 출력신호(S31)에 의거하여 LED(37)를 구동하여 동조표시를 행하는 동조표시회로이다.
또한, 증폭기(27)에서 중간주파신호(SDI)의 일부분은 레벨검출회로(32)에 공급된다. 디지털신호의 방송파신호(SD)의 수신레벨이 소정레벨 이상일 때, "H"레벨을 갖는 검출신호(S32)가 꺼내지고 신호(S32)는 AND회로(33)에 공급된다.
AND회로(33)의 출력신호(S33)는 파워제어회로(34)에 공급되고, S33 = "H"일 때, 그 동작전압은 파워제어회로(34)로부터 디지털복조회로(28)에 공급된다.
또한, 검출회로(32)의 검출신호(S32)는 펄스형성회로(35)에 공급되고, 다음 변화행동을 갖는 펄스(P35)를 형성하고, 이 펄스(P35)는 AND회로(36)에 공급된다.
S32 = "L"인 경우, 레벨은 "H"레벨에 고정되고,
S32 = "H"인 경우, 레벨은 예를들면 0.5초마다 반전된다.
AND회로(36)의 출력신호(S36)는 표시장치, 예를들어 LED(37)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 동작이 수신신호(SRX)에 따라 행해진다.
(1) 수신신호(SRX)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SA)인 경우
이 경우에, S31="H"이다. 또한, S32="L"이고, 따라서 P35="H"이다. 따라서, S36="H"이므로 LED(37)는 계속하여 켜진다.
또한, 이 경우에, S32="L"이고, 따라서 S33="L"이다. 따라서, 파워제어회로(34)로부터 복조회로(28)로의 동작전압의 공급은 중지된다. 따라서, 복조회로(28)에서는 전력이 전혀 소비되지 않는다.
(2) 수신신호(SRX)가 공존형 방송파신호인 경우
이 경우에, S31="H"이다. 또한, S32="H"이므로, 펄스(P35)는 예를들어 0.5초마다 반전된다. 따라서, 신호(S36)는 펄스(P35)와 동기하여 반전되고, 따라서 LED(37)는 간헐적으로 켜진다. 즉, 켜졌다 꺼졌다 한다.
또한, 이 경우에, S31="H"이고, S32="H"이므로, S33="H"이다. 따라서, 동작전압은 파워제어회로(34)에서 복조회로(28)로 공급된다. 따라서,복조회로(28)는 그 복조처리를 행하고, 이에의해 디지털 방송에 의거하여 복조회로(28)로부터 음성신호(L, R)를 출력한다.
(3) 방송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 경우에, S31="L"이므로, S36="L"이고, LED(37)는 꺼진다.
또한, S31="L"이고, S32="L"이므로, S33="L"이고 따라서 복조회로(28)에 어떤 동작전압도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수신기에 의하면, 단순히 쇄선아래의 회로를 부가하므로써 여기에 사용된 아날로그 방송수신회로(10)에 어떤 큰 변경을 하지 않고도 디지털 방송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수신된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일 때, LED(37)는 계속해서 켜진다. 공존형 방송에 대해서, LED(37)는 켜졌다 꺼졌다 하고, 어떤 방송도 수신되지 않을 때, LED(37)는 꺼진다. 따라서, LED(37)의 턴온상태에 의거하여 방송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만약 방송이 수신되면, 또한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인지 공존형 방송(디지털 방송)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수신된 방송이 디지털 방송을 포함할 때만 동작전압이 디지털 복조회로(28)에 공급되므로, 여분의 전력소비가 억제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방송수신기의 소비전력은 대략 30mW와 같다. 한편,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소비전력은 대략 1W정도이고 이것은 아날로그 방송수신기의 소비전력의 약 30배에 대응한다. 따라서, 만약 동작전압이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에서 항상 디지털 복조회로(28)에 공급되면, 아날로그 방송이 수신될 때도 전력을 크게소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수신기에서, 아날로그 방송이 수신될 때, 디지털 복조회로(28)로의 동작전압의 공급이 중지되므로, 여분의 전력소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복조회로(28)의 동작은 선국시에 정지되므로, 디지털 복조회로(28)에서 발생하는 어떤 잡음신호도 선국동작과 수신레벨의 검출을 방해하지 않고, 디지털방송파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AND회로(36)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검출회로(31)의 최후단의 트랜지스터(Q31)는 오픈 컬렉터로 정해지고, 컬렉터와 전원단자(T31) 사이에 전류제한용 저항기(R31)와 LED(37)가 직렬로 접속된다.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SA)의 수신레벨이 소정값 이상일 때, 트랜지스터(Q31)가 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수신회로(10)가 아날로그 방송만 수신하는 수신기용일 때, 상기 접속에 의해 동조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펄스형성회로(35)의 출력단자는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32)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된다. 그 컬렉터는 저항기(R33, R32)를 통해 전원단자(T31)에 접속된다. 저항기(R32, R33) 사이의 중간점은 트랜지스터(Q3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와 컬렉터는 LED(37)에 병렬로 접속된다. 형성회로(35)의 출력신호(P35)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S32="L"인 경우에는, 출력신호(P35)는 "L"레벨에 고정되고,
S32="H"인 경우에는, 출력신호(P35)는 0.5초 마다 반전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1) 수신신호(SRX)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SA)인 경우
이 경우에, S32="L"이고 따라서 P35="L"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2)는 오프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33)도 오프된다. 또한, 이 때, 트랜지스터(Q31)는 아날로그 방송파신호를 수신하므로써 온된다. 따라서, LED(37)는 계속해서 켜진다.
(2) 수신신호(SRX)가 공존형 방송파신호인 경우
이 경우에, S32="H"이므로, 펄스(P35)는 0.5초마다 반전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33)는 펄스(P35)의 반전에 따라 온/오프된다. 이때, 아날로그 방송이 수신되므로, 트랜지스터(Q31)는 온된다. 따라서, LED(37)는 펄스(P35)와 동기하여 켜졌다 꺼졌다 한다.
(3) 어떤 방송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 경우에, 트랜지스터(Q31)는 오프되므로, LED(37)는 꺼진다.
따라서, 방송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LED(37)의 상태에 의거하여 알 수 있고, 만약 방송이 수신되었다면,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인지 공존형 방송인지를 또한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신기에서는,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더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즉, 수신회로(10)와 디지털 방송을 위한 복조계(26∼28)는 도 2를 참고로 설명된 바와같이 구성되지만, 타이머회로(38)가 AND회로(33) 대신에 장치된다.
타이머회로(38)에는 검출회로(31, 32)의 검출신호(S31, S32)가 트리거 입력으로서 공급되고, 이 신호(S31, S32)들이 모두 "H"로 설정될 때 타이머회로(38)는 트리거된다. 타이머회로(38)는 타이머회로(38)가 트리거 되는 때로부터 소정 시간(τ)동안, 예를들면 대략 τ=1초동안 그 출력신호(S38)가 "H"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조회로(28)에서 디지털 처리의 동기가 복조회로(28)로부터 취해졌는지를 나타내는 동기 플래그는, 만약 동기가 취해진다면, "H"레벨의 동기 플래그(S28)가 꺼내어진다. 이 플래그(S28)는 타이머회로(38)에 공급되고, S28="H"인 경우에는, S38="H"의 상태가 유지된다.
출력신호(S38)는 파워제어회로(34)에 공급되고, S38="H"인 경우에 그 동작전압이 파워제어회로(34)로부터 디지털 복조회로(28)에 공급된다. 또한, 검출신호(S32) 대신에, 동기플래그(S28)가 펄스형성회로(35)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방송이 수신될 때, 이와같이 수신된 방송에 따라 다음 동작이 행해진다.
(1) 아날로그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 경우에, S32="L"이므로, 타이머회로(38)는 트리거되지 않고, S38="L"이 유지된다. 따라서, 동작전압이 파워제어회로(34)로부터 복조회로(28)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전력도 복조회로(28)에서 소비되지 않는다.
어떤 동작전압도 복조회로(28)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S28="L"이고 따라서, P35="H"이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므로, S31="H"이다. 따라서, S38="H"이고, 따라서 LED(37)는 계속해서 켜진다.
(2) 공존형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이 경우에, 방송이 수신될 때, S31="H"이고, S32="H"이다. 따라서, 타이머회로(38)는 트리거되고, S38="H"이다. 따라서, 동작전압은 파워제어회로(34)로부터 복조회로(28)로 공급되고, 복조회로(28)는 그 복조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될 때, 타이머회로(38)가 트리거될 때로부터 기간(τ)(예를들어 1초)가 경과되기 전에 복조회로(28)에서 동기가 취해지고, S28="H"로 설정된다.
동기플래그(S28)에 의해, S38="H"의 상태가 S28="H" 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동작전압은 기간(τ) 이후에도 계속해서 복조회로(28)에 공급되고, 복조회로(28)는 계속해서 복조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에 의거한 음성신호(L, R)가 복조회로(28)로부터 출력된다.
이 경우에, S28="H"이므로, 펄스(P35)는 0.5초마다 반전된다. 따라서, 신호(S36)는 펄스(P35)와 동기하여 반전되므로, LED(37)는 켜졌다 꺼졌다 한다. 반면, 디지털방송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때, 예를들면 S32가 잡음신호로 인해 "H"로 되어 있을 때, 타이머회로(38)가 트리거될 때로부터 기간(τ) 동안 뿐만아니라 기간(τ)후에도 복조회로(28)의 어떤 동기도 취해지지 않으므로, S28="L"의 상태가 여전히 유지된다. 만약 S28="L"이면, 기간(τ)이 경과할 때 상태는 S38="H"에서 S38="L"로 이동된다.
따라서, 기간(τ)이 경과할 때로부터 어떤 동작전압도 복조회로(28)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조회로(28)에서 어떤 전력도 소비되지 않는다.
또한, 기간(τ)이 경과할 때, S28="L"이고, 따라서 P35="H"이다. 이때, S31="H"이고, 따라서 S36="H"이다. 따라서, LED(37)는 계속해서 켜진다. 즉, 검출회로(32)의 검출신호(S32)가 디지털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낼 때, 동작전압은 시간(τ) 동안 먼저 복조회로(28)에 공급되어 복조회로(28)의 동기가 취해졌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동기가 취해졌으면, 디지털 방송의 음성신호(L, R)가 정상적으로 복조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다음으로 복조회로(28)가 동작된다. 또한, LED(37)는 켜졌다 꺼졌다 하여 청취자에게 디지털 방송이 수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만약 동기가 취해졌는지에 대한 검사의 결과로 동기가 취해지지 않았으면, 디지털 방송의 음성신호(L, R)가 정상적으로 복조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다음으로 복조회로(28)는 꺼진다. 또한, LED(37)는 계속해서 켜져서 아날로그 방송의 수신이 허락되었음을 알린다.
(3) 어떤 방송도 수신되지 않을 때
이 경우에, S31="L"이므로, S38="L"이고, 어떤 동작전압도 복조회로(28)에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S31="L"이고, S36="L"이고 LED(37)는 꺼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수신기에 의하면, 디지털 복조회로(28)의 동기가 취해졌는지가 검사된다. 동기가 취해진 경우에만, 복조회로(28)로의 동작전압의 공급이 행해져서 복조회로(28)를 동작시키고, LED(37)가 깜박거리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더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동작전압은 판별에 필요한 기간(즉, 기간(τ))동안만 복조회로(28)에 공급된다. 따라서, 여분의 전력소비가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도 5는 수신회로(10)가 디렉트변환방식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아날로그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될 때, 수신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방송파신호는 전자동조방식의 안테나동조회로(12)에 공급되어 목적으로 하는 주파수(fRX)의 수신신호(SRX)를 선택하여 꺼내고, 수신신호(SRX)는 RF증폭기(13)를 통해 제 1 및 제 2믹서회로(14I, 14Q)에 공급된다.
또한, 국부발진회로(15)는 PLL로 구성되고, 수신주파수(fRX)와 동일한 발진주파수에 의거하여 위상이 90o만큼 다른 국부발진신호(SLI, SLQ)가 형성된다. 이 신호들(SLI, SLQ)은 믹서회로(14I, 14Q)에 각각 공급된다. 이 때, 국부발진회로(15)를 구성하는 PLL의 VCO(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된 제어전압의 일부는 선국전압으로서 안테나동조회로(12)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신신호(SRX)는 믹서회로(14I, 14Q)에서 중간주파신호(SII, SIQ)로 주파수 변환되고, 이 신호(SII, SIQ)는 믹서회로(14I, 14Q)로부터 꺼내어진다.
이 경우에, 국부발진신호(SLI, SLQ)의 주파수는 수신주파수(fRX)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방송이 수신될 때, 중간주파신호(SII, SIQ)는 예를들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같이 0의 중간주파수를 가지고, 아날로그 방송파신호(SA)가 주파수 변환된 신호(SAI, SAQ)가 저영역측에 제공되고, 또한 고영역측에는 디지털 방송파신호(SD)가 주파수 변환된 신호(SDI, SDQ)가 제공된다. 이때, 신호(SII, SIQ)는 국부발진신호(SLI, SLQ)의 위상과 관련하여 90o만큼 위상이 다르다.
중간주파신호(SII, SIQ)는 저역통과필터(16I, 16Q)에 공급되어 신호(SII, SIQ)로부터 신호(SAI, SAQ)를 꺼내고, 이 신호(SAI, SAQ)는 증폭기(17I, 17Q)를 통해 아날로그처리회로(40)에 공급된다. 처리회로(40)는 신호(SAI, SAQ)에 위상처리, 동작처리 등을 행하고, 또한 이 신호들에 스테레오 복조처리를 행하여 신호(SAI, SAQ)로부터 아날로그 방송의 음성신호(L, R)를 꺼낸다.
또한, 믹서회로(14I, 14Q)로부터의 중간주파신호(SII, SIQ)는 대역통과필터(26I, 26Q)에 공급되어 신호(SII, SIQ)로부터 신호(SDI, SDQ)를 꺼내고, 이 신호(SDI, SDQ)는 증폭기(27I, 27Q)를 통해 디지털 처리회로(50)에 공급된다. 처리회로(50)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방식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행하여 중간주파신호(SDI, SDQ)로부터 음성신호(L, R)를 복원한다.
또한, 증폭기(17I, 17Q)의 중간주파신호(SAI, SAQ)는 레벨검출회로(31)에 공급되어 검출신호(S31)를 꺼낸다. 증폭기(27I, 27Q)의 중간주파신호(SDI, SDQ)는 레벨검출회로(32)에 공급되어 검출신호(S32)를 꺼낸다. 이 검출신호(S31, S32)는 도 2(또는 도 3)의 수신기에 나타난 바와같이 절전/표시회로(30)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 수신기는 또한 여기에 사용된 아날로그 방송파신호용수신회로(10)에 많은 변경을 하지 않고도 디지털 방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이와같이 수신된 방송파신호가 아날로그 방송파신호인지 공존형 방송파신호인지를 LED(37)의 턴온상태에 의거하여 알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방송파신호에 포함될 때만, 동작전압이 디지털 복조회로(28)에 공급되므로, 여분의 전력소비가 억제될 수 있다. 선국시에, 디지털 처리회로(28)에 발생하는 잡음신호는 선국동작과 수신레벨의 검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파워제어회로(34)는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디지털 복조회로(28)의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회로가 되어도 좋다. 또한, 신호(S31, S32, S28)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어 신호(S33, S36, S38)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기에 사용된 아날로그 방송파신호용 수신회로에 많은 변경을 하지 않고도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방송파신호가 아날로그 방송파신호인지 공존형 방송파신호인지를 표시장치의 턴온상태에 의거하여 또한 알 수 있다.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방송파신호에 포함될 때만 동작전압이 디지털 복조회로에 공급되고, 따라서 여분의 전력소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선국시에는, 디지털복조회로의 동작이 중지된다. 따라서, 디지털처리회로에서 발생하는 잡음신호는 선국동작과 수신레벨의 검출레벨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디지털 복조회로의 동기가 취해질 때만 복조회로가 동작하므로, 디지털 방송파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Claims (6)

  1.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와 디지털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인접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되는 방송방식의 수신기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아날로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회로와,
    디지털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수신회로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이 디지털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복조회로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1검출회로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2검출회로와,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에 동작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서 디지털 복조회로에는 선국시에 제 1검출회로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하고 제 2검출회로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할 때만 제어회로에 의한 동작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및 제 2검출회로는 소정 레벨 이상의 신호 강도에서 수신이 행해졌는지를 검출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방송의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턴온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의 턴온상태는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사이에 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방송의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턴온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의 턴온상태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방송의 방송파신호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턴온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의 턴온상태는 상기 제 1검출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 2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와 디지털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인접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되는 방송방식의 수신기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아날로그 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회로와,
    디지털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수신회로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이 디지털방송에 의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복조회로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1검출회로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하는 제 2검출회로와,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에 동작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에서 동기가 취해질 때 동기를 취했음을 나타내는 동기 플래그가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에 제공되고, 선국시에 상기 제 1검출회로가 아날로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검출회로가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신호를 검출할 때 상기 디지털복조회로에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한 동작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로의 동작전압의 공급은 동기플래그가 동작전압의 공급으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상기 디지털복조회로에서 동기가 취해졌음을 나타낼 때 계속되고, 동기플래그가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에서 동기가 취해지지 않았음을 나타낼 때 상기 디지털 복조회로로의 동작전압의 공급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19990021710A 1998-06-16 1999-06-11 수신기 KR100609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788698A JP3912459B2 (ja) 1998-06-16 1998-06-16 受信機
JP98-167886 199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02A true KR20000006102A (ko) 2000-01-25
KR100609504B1 KR100609504B1 (ko) 2006-08-04

Family

ID=1585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710A KR100609504B1 (ko) 1998-06-16 1999-06-11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14600B1 (ko)
EP (1) EP0966120A3 (ko)
JP (1) JP3912459B2 (ko)
KR (1) KR100609504B1 (ko)
CN (1) CN11231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6589B1 (en) 2000-05-17 2008-01-09 Sony Deutschland GmbH AM receiver
US20050191983A1 (en) * 2002-07-25 2005-09-01 Heiko Korner Receiving arrangement for a radio signal
JP2004221803A (ja) 2003-01-14 2004-08-05 Sharp Corp サイマル放送受信装置
JP4134301B2 (ja) * 2004-02-12 2008-08-20 新潟精密株式会社 Fm受信機
KR100555663B1 (ko) * 2004-06-10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음향신호의 자동보정장치및 그 보정방법
EP1844606A1 (en) * 2005-01-28 2007-10-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both analogue and digital televisio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JP4610512B2 (ja) * 2006-04-05 2011-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回路
JP4173171B2 (ja) 2006-06-13 2008-10-2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及び搬送波検出方法
WO2008026694A1 (fr) * 2006-08-31 2008-03-06 Clarion Co., Ltd. Recepteur de diffusion et procede de recherche de canal de diffusion
WO2009040940A1 (ja) 2007-09-28 2009-04-02 Pioneer Corporation 放送受信装置、放送識別方法、放送識別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8649989B2 (en) * 2010-08-13 2014-02-11 Tektronix, Inc. Time-domain triggering in a test and measurement instrument
CN103401574B (zh) * 2013-08-08 2016-08-24 昆腾微电子股份有限公司 Fm接收芯片的解调模式转换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63114T1 (de) * 1991-11-01 1998-02-1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Rundfunkübertragungssystem und rundfunkempfänger
US5588022A (en) * 1994-03-07 1996-12-24 Xetr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M compatible digital broadcasting
US5956624A (en) * 1994-07-12 1999-09-21 Usa Digital Radio Partners Lp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broadcasting and receiving digital and analog signals
JPH08130489A (ja) * 1994-10-31 1996-05-21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ー
JPH08130490A (ja) * 1994-11-02 1996-05-21 Hitachi Ltd 共用化受信装置
JPH10247855A (ja) * 1997-03-04 1998-09-14 Sony Corp 放送信号受信装置
JPH10256932A (ja) * 1997-03-10 1998-09-25 Alps Electric Co Ltd アナログ・ディジタル放送共用受信チューナ
KR100309099B1 (ko) * 1997-06-21 2001-12-15 윤종용 채널 선국방법 및 장치
TW451588B (en) * 1997-12-15 2001-08-21 Sharp Kk Tuner for digital and analog use
KR100326287B1 (ko) * 1998-03-31 2002-06-26 윤종용 저장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선택이 이루어지는 디지털tv수상기및 그방법
KR100313856B1 (ko) * 1998-06-16 2001-12-17 윤종용 디지털/아날로그방송겸용오디오신호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04174A (ja) 2000-01-07
KR100609504B1 (ko) 2006-08-04
CN1239357A (zh) 1999-12-22
JP3912459B2 (ja) 2007-05-09
EP0966120A2 (en) 1999-12-22
EP0966120A3 (en) 2005-04-13
US6714600B1 (en) 2004-03-30
CN1123130C (zh)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504B1 (ko) 수신기
US20050272385A1 (en) Receiver
US20020003494A1 (en) GPS receiver
JP2007288631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KR100621656B1 (ko) 수신기 및 수신방법
JP2008017292A (ja) ラジオ放送受信装置およびラジオ放送の自動選局装置
JP4173171B2 (ja) ラジオ受信機及び搬送波検出方法
JP3660974B2 (ja) Rds受信機及びその受信方法
CA2265259C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2265260C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H06204926A (ja) 2チューナダイバシテイrds受信機
JPH0613943A (ja) ラジオ受信機
JP3969393B2 (ja) 受信機
US5732340A (en) FM receiver
JPH03212029A (ja) 自動追従方法
JP3782636B2 (ja) ラジオ受信機
JP2001320290A (ja) 放送方式判別装置及び放送方式判別方法
KR20000038177A (ko) 알디에스 수신기의 수신 지역 자동 선택 방법
JP2603750Y2 (ja) ラジオ受信機
JPH10209817A (ja) ラジオ受信機のシーク方法
JPH0738596B2 (ja) ラジオ受信機の自動追従方法
JPH10209988A (ja) Rds復調回路
JPH02206920A (ja) Rdsの自動追従方法
JPH01208030A (ja) ラジオ受信方法
JPH03201724A (ja) ラジオ受信機の自動追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