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845A - 거스름돈작성장치 - Google Patents

거스름돈작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45A
KR20000005845A KR1019990020254A KR19990020254A KR20000005845A KR 20000005845 A KR20000005845 A KR 20000005845A KR 1019990020254 A KR1019990020254 A KR 1019990020254A KR 19990020254 A KR19990020254 A KR 19990020254A KR 20000005845 A KR20000005845 A KR 2000000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change
sheet
contain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677B1 (ko
Inventor
오시타미즈오
Original Assignee
이케베 다케시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베 다케시,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케베 다케시
Publication of KR2000000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07D9/065Devices for wrapp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거스름돈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수단과, 하부시트를 공급하는 하부시트 공급수단(14)과, 상부시트를 공급하는 상부시트 공급수단(25)과,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투입수단과, 하부시트 공급수단(14)에 의해서 공급된 하부시트와 상부시트 공급수단(25)에 의해서 공급된 상부시트를 이들 사이에 현금투입수단으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시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는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27)을 구비하므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거스름돈 작성장치{Change fra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하는 현금 종류 및 수량의 거스름돈을 준비할 때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또는 원하는 현금 종류 및 수량의 지폐 또는 화폐를 포장하는 현금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폐를 취급하는 점포에서는, 그 날의 매상액을 은행에 맡기고, 은행은 이 매상액의 정산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대규모 점포가 은행에 맡기는 화폐량이 방대해지고, 또한 야간금고에 매상액을 맡길 경우 등의 안전성의 문제도 있어, 이들 점포의 매상액을 은행의 비즈니스 서비스 회사 혹은 경비보장회사 등이 회수하여, 집중처리 센터에서 집중적으로 정산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정산처리를 행하는 집중처리 센터에서는, 각 거래처가 다음 날 거스름돈으로 사용하기 위한 현금(이하, 거스름돈이라 함)을 준비하는 것이 요망되고, 이러한 거스름돈을 작성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147184호).
이러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콘베이어로 반송되는 거스름돈 상자를 향하여 현금투입수단에서 현금을 투입하고, 필요한 현금이 거스름돈 상자에 투입되면, 이 거스름돈 상자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해 현금을 주머니로 옮기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거스름돈 작성장치에서는, 거스름돈 상자로부터 현금을 주머니로 옮기는 작업에 사람의 손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거스름돈 작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콘테이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콘테이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하부시트 공급장치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부시트 공급장치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하부시트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하부시트 삽입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a)는 펼쳐진 상태, (b)는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하부시트 공급장치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 인출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 인출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의 로킹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인출아암의 복귀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 압입부의 압입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 절단시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누름부 상승시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 삽입부가 펼쳐질 때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부시트 삽입부가 접혀질 때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동전팩 투입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동전팩 투입장치의 투입장치 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소묶음지폐 투입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소묶음지폐 투입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재치대 및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재치대 및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소묶음지폐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소묶음지폐의 투입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소묶음지폐의 투입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소묶음지폐의 정렬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8은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파지 반송장치의 소묶음지폐 상으로의 이동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는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파지 반송장치의 소묶음지폐의 파지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은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파지 반송장치의 소묶음지폐의 파지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1은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파지 반송장치의 소묶음지폐의 장전위치의 변경상태를 나타낸다.
도 32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소묶음지폐 투입장치에의한 소묶음지폐의 장전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a) 및 장전방향을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b)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장전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장전조정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상부시트 공급장치, 라벨 인자 첩부(貼付)장치 및 접착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상부시트 공급장치 및 접착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상부시트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상부시트 공급장치, 라벨 인자 첩부장치 및 접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부시트의 인출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부시트의 인출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0은 도 3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부시트의 로킹 후를 나타낸다.
도 41은 도 3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인출아암의 복귀 후를 나타낸다.
도 42는 도 3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접착장치의 접착 작동시를 나타낸다.
도 43은 도 3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부시트의 절단시를 나타낸다.
도 44는 도 3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접착장치의 이격시를 나타낸다.
도 45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l실시예의 리프팅장치 및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리프팅장치 및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리프팅장치 및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리프팅장치 및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거스름돈 팩이 들어 올려질 때를 나타낸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지지부의 하강후를 나타낸다.
도 50은 도 4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지지부의 거스름돈 팩 지지시를 나타낸다.
도 51은 도 4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거스름돈 팩 반송시를 나타낸다.
도 52는 도 48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거스름돈 팩 이송시를 나타낸다.
도 53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입력 데이터의 기억 이미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의 거스름돈 데이터의 팩 데이터로의 분할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2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2실시예의 상부시트 공급장치, 라벨 인자 첩부장치, 접착장치 및 낱장 지폐 팩 작성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2실시예의 낱장 지폐 팩 작성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낱장 지폐 하강전을 나타낸다.
도 58은 도 57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낱장 지폐 하강시를 나타낸다.
도 59는 도 57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낱장 지폐 삽입 고정시를 나타낸다.
도 60은 도 57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부시트 접착시를 나타낸다.
도 61은 도 57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부시트 접착후를 나타낸다.
도 62는 도 57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낱장 지폐 팩부의 반송시를 나타낸다.
도 63은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2실시예에 의해 작성된 거스름돈 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2실시예의 리프팅장치 및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의 리프팅장치 및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메인 콘베이어(콘베이어)
14...하부시트 공급장치(하부시트 공급수단)
16∼21, 23... 동전팩 투입장치(현금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
22...소묶음지폐 투입장치(현금투입수단, 소묶음지폐 투입수단)
25...상부시트 공급장치(상부시트 공급수단)
26...라벨 인자 첩부장치(라벨 인자 첩부수단)
27...접착장치(거스름돈 팩 작성수단, 접착수단)
30...거스름돈 팩 체크장치(거스름돈 팩 체크수단)
32...낱장 지폐 투입장치(현금투입수단, 낱장 지폐 투입수단)
36...데이터 입력장치(데이터 입력수단)
38...콘테이너 본체(거스름돈 팩 작성수단, 받침부)
44...오목부
60...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하부시트 공급수단)
94...동전 포장기
98∼104...동전팩 투입제어부(현금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
123...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현금투입수단, 소묶음지폐 투입수단)
163...낱장 지폐 투입제어부(현금투입수단, 낱장 지폐 투입수단)
180... 상부시트 공급 접착제어부(상부시트 공급수단,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 접착수단)
204...라벨 인자 첩부제어부(라벨 인자 첩부수단)
236...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거스름돈 팩 체크수단)
BS...하부시트
C...동전팩
L...라벨
P...거스름돈 팩
S1...소묶음지폐
TS...상부시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거스름돈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수단과, 하부시트를 공급하는 하부시트 공급수단과, 상부시트를 공급하는 상부시트 공급수단과,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투입수단과, 상기 하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를 이들 사이에 상기 현금투입수단으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시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는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이, 하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하부시트와 상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를 이들 사이에 현금투입수단으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시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게 되므로, 작성된 거스름돈을 주머니로 옮기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주머니 대신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로 거스름돈 팩의 팩 부재를 작성하므로, 팩 부재 자체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데다가, 현금투입수단으로부터 하부시트 상으로 현금을 투입할 때 현금의 낙하 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할 수 있어, 봉형상의 동전팩이 부러지거나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거스름돈 팩의 중량을 계량하고, 그 계량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거스름돈 팩 체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거스름돈 팩 체크수단이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거스름돈 팩의 중량을 계량하고, 그 계량 데이터와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게 되므로, 작성 오류가 발생한 거스름돈 팩이 그대로 투입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은, 상기 하부시트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하부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가지며, 그 오목부의 하부시트 상에 상기 현금투입수단으로부터 현금이 투입된 뒤 그 현금을 덮도록 상기 상부시트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상부시트가 펼쳐지는 받침부와,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가 하부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시트를 사용하여도 하부시트가 펼쳐진 오목부에 의해 현금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복수개 마련됨과 동시에 그 복수개의 받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콘베이어에 동일 피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금 투입수단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 받침부의 피치에 대응시켜 각 현금 투입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각 받침부에 유지된 하부시트에 각 현금 투입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현금을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각 거스름돈 팩마다의 내용 데이터를 각각 다른 라벨에 인자함과 동시에, 상부시트에 그 상부시트가 사용되는 거스름돈 팩에 대응하는 내용 데이터의 라벨을 첩부하는 라벨 인자 첩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거스름돈 팩에 자동적으로 그 거스름돈 팩에 대응하는 내용 데이터가 기재된 라벨이 첩부되게 되므로, 이러한 내용 데이터를 기재한 명세표를 동봉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6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5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라벨 인자 첩부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상기 라벨에 인자하는 내용 데이터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라벨에 인자하는 내용 데이터에 포함하기 때문에, 작성된 거스름돈 팩의 라벨로부터 그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7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현금투입수단은 소묶음지폐를 투입하는 소묶음지폐 투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금 투입수단이 소묶음지폐를 투입하는 소묶음지폐 투입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묶음지폐를 포함한 거스름돈 팩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8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현금 투입수단은 낱장 지폐를 투입하는 낱장지폐 투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금 투입수단이 낱장 지폐를 투입하는 낱장지폐 투입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낱장지폐를 포함한 거스름돈 팩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9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현금 투입수단은 동전팩을 투입하는 동전팩 투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금 투입수단이 동전팩을 투입하는 동전팩 투입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전팩을 포함한 거스름돈 팩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0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청구항9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동전팩 투입수단은,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동전팩을 작성하는 동전포장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전팩 투입수단은,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동전팩을 작성하는 동전포장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회수한 낱개의 동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 1∼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거스름돈을 팩에 채우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를 다시 양적으로 패킹할 수 있도록 적절히 분할된 팩 데이터(후술)에 따라 거스름돈을 패킹한다.
상기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단형상의 메인 콘베이어(콘베이어;11)와, 상기 메인 콘베이어(11)에 동일 피치로 부착된 다수의 동일 형상의 콘테이너(12)를 가지고 있으며, 현금을 채운 거스름돈 팩을 각 콘테이너(12)마다 작성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상류측 및 하류측은 메인 콘베이어(11)에 의한 상측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것이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우측이 상류측이고 좌측이 하류측이다. 또한, X방향은 상측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을, Y방향은 상측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거스름돈 작성장치를 메인 콘베이어(11)의 정지상태를 가지고 설명하면, 이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류측에 배치된 하부시트 공급장치(하부시트 공급수단;14)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15)와, 이들 하부시트 공급장치(14)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15)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b))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16)과, 상기 콘테이너(12(12b))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c))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17)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콘테이너(12(12c))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d))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18)과, 상기 콘테이너(12(12d))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e))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l9)과, 상기 콘테이너(12(12e))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f))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20)과, 상기 콘테이너(12(12f))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g))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21)를 가지고 있다.
또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상기 콘테이너(12(12g))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h))에 대하여 마련된 소묶음지폐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소묶음지폐 투입수단;22)과, 상기 콘테이너(12(12h))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i))에 대하여 마련된 동전팩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23)과, 상기 콘테이너(12(12i))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k))에 대하여 마련된 장전 조정장치(24)와, 상기 콘테이너(12(12k))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m, 12n))에 대하여 마련된 상부시트 공급장치 (상부시트 공급수단;25), 라벨 인자 첩부장치(라벨 인자 첩부수단;26) 및 접착장치(거스름돈 팩 작성수단, 접착수단;27)를 가지고 있다.
또한, 거스름돈 작성장치는, 콘테이너(12(12n))보다 하류측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o))에 대하여 마련된 리프팅장치(28)와, 상기 리프팅장치(28)의 위쪽에 마련된 이송장치(29)와, 메인 콘베이어(11)의 최하류측에 대하여 이와 평행하게 마련된 체크장치(거스름돈 팩 체크수단;30)와, 체크장치(30)의 하류측에 마련된 백 패킹 체크장치(31)와, 콘테이너(12(12i))와 콘테이너(12(12k)) 사이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j))의 근방에 마련된 낱장지폐 투입장치(32)와, 상기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인접하여 마련된 제어장치(33)를 가지고 있다. 제어장치(3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행하는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와 거스름돈 팩의 데이터 등이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장치(데이터 입력수단;36)가 마련되어 있다.
콘테이너(1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콘베이어(11)에 연결된 콘테이너 본체(거스름돈 팩 작성수단, 받침부;38)와, 상기 콘테이너 본체(38)에 부착된 누름부(39)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콘테이너(12)가 메인 콘베이어(11)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를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콘테이너 본체(38)는, 메인 콘테이너(11)의 연장방향인 X방향에 따름과 동시에 연직으로 세워져 마련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벽부(40,40)와, 양 벽부(40)의 X방향에 있어서 동측이 되는 각 단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Y방향을 따라 연직으로 세워져 마련된 벽부(40)보다 긴 한 쌍의 벽부(41,41)와, 양 벽부(40) 및 양 벽부(41)로 둘러싸인 공간부의 하부를 막도록 수평연장되는 평판상의 저면부(42)를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콘테이너 본체(38)는, 중앙에 상측 개구에서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모양의 오목부(44)가 형성된 상자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콘테이너 본체(38)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연직방향으로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테이너 본체(38)의 저면부(42)에는 거의 전 범위에,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5)이, X방향을 따르는 다수의 동일 피치의 가상선과 Y방향을 따르는 다수의 동일 피치의 가상선으로 형성되는 격자의 각 교차점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벽부(40)가 수평 연장되는 상면의 오목부(44)측에는 각각 내열성의 실(seal) 받침부재(46)가 고정되어 있고, 양 벽부(41)의 수평 연장되는 상면의 오목부(44)측에는 내열성의 실 받침부재(47)가 고정되어 있다. 양 실 받침부재(46) 및 양 실 받침부재(47)는 이들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틀형상을 이루고 있다.
누름부(39)는, 콘테이너 본체(38)의 네 모서리의 관통공(43)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는 축부(49)와, 수평 연장된 상태로 모든 축부(49)의 상단부에 고정된 직사각형의 틀형상을 이루는 누름부재(50)와, 수평연장된 상태로 모든 축부(49)의 하단부에 고정된 직사각형의 틀형상을 이루는 작동부재(5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누름부재(50)는, 콘테이너 본체(38)의 양 벽부(40) 및 양 벽부(41)의 양 실 받침부재(46) 및 양 실 받침부재(47)보다 외측의 상면인 삽입고정면(52) 상에 실 받침부재(46, 4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축부(49)가관통공(43)보다 길게 되어 있으므로 콘테이너 본체(38)의 삽입고정면(52)에 대하여 접촉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시트(BS)를 누름부재(50)와 삽입고정면(52)과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의 누름부재(50)의 상면의 높이는 실 받침부재(46, 47)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콘테이너(1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 콘베이어(1l)에 동일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베이어(11)에는, 콘테이너(12)를 콘테이너(12)의 배치 피치와 같은 피치로 1피치씩 단속적(이동과 정지를 반복)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53;도 2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장치(53)에는 그 구동을 제어하는 콘베이어 구동제어부(54;도 3 참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하부시트 공급장치(14)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시트 공급장치는, 도 6∼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해 있는 콘테이너(12(12a))의 상류측, 또한 상측에 배치된 지지부(56)에 로울형상으로 감긴 상태로 지지된 긴 자모양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시트(BS)를 인출하여 이것을 콘테이너(12(12a))에 대하여 그 상측에 배치하도록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부시트(BS)를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을 따라 인출하는 하부시트 인출장치(57)와, 인출된 하부시트(BS)를 로킹하는 하부시트 로킹장치(58)와, 인출된 하부시트(BS)를 절단하는 하부시트 절단장치(59)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에는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하부시트 공급배치 제어부(하부시트 공급수단;60;도 3 참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시트 인출장치(57)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아래쪽에 Y방향으로 배치된 지지축(62)과, 상기 지지축(62)의 양단에 각각 하단측이 지지된 한 쌍의 인출아암(63)과, 지지축(62)보다 상측에 X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인출아암(63)의 중간부분에 연결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64)를 가지고 있고, 양 인출아암(63)의 상단부 사이에는, 하부시트(BS)를 삽입고정하는 삽입고정부(65)가 콘테이너(12(12a))상방에 걸쳐지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구동장치(64)는, 인출아암(63)을 요동시킴으로써 삽입고정부(65)를 콘테이너(l2(12a))의 상류측의 기본위치와 하류측의 인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인출아암(63)의 상단부에 마련된 삽입고정부(65)는, Y방향으로 연장배치된 삽입고정 베이스(66)와, 상기 삽입고정 베이스(66)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67)와, 이들 구동장치(67)에 연결됨과 동시에 삽입고정 베이스(66)의 상측에 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삽입고정체(68)를 가지고 있으며, 구동장치(67)의 작동에 의해 삽입고정체(68)를 삽입고정 베이스(66)에 근접시킴으로써 이들 삽입고정체(68) 및 삽입고정 베이스(66)로 하부시트(BS)를 삽입고정하는 한편, 구동장치(67)의 작동에 의해 삽입고정체(68)를 삽입고정 베이스(66)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하부시트(BS)의 삽입고정을 해제한다.
또한, 삽입고정체(68) 및 삽입고정 베이스(66)에는, 이들이 하류측의 인출위치에 위치할 때에 연직방향을 따르는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네 개의 홈부(69)가 하류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시트 로킹장치(58)는, 하류측의 인출위치에 위치하는 삽입고정부(65)의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하에 이동축체(70)를 배치한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71)와, 각 구동장치(71)의 이동축체(70)의 아래쪽에 각각 두 개씩 고정된 핀(7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71)에 의해서 하강된 핀(72)은, 인출위치에 위치하는 삽입고정부(65)의 홈부(69)에 삽입됨과 동시에 핀(52)의 하단면은 상기 콘테이너(12(12a))의 하류측의 누름부재(50)의 상면에 거의 접하는 위치까지 하강된다.
하부시트 절단장치(59)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상류, 또한 상측에 Y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면에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된 커터 레일(74)과, 상기 커터 레일(74)의 상측에 그 커터 레일(7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75) 및 상기 가이드 레일(75)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76)를 갖는 에어 구동식 등의 구동장치(77)와, 그 하단부가 커터 레일(74)의 홈부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이동체(7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원판상의 커터(7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77)에 의해서 이동체(76)가 이동되면, 커터(78)가 커터 레일(74) 위를 Y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커터 레일(74) 상에 깔린 하부시트(BS)를 절단한다.
이어서, 하부시트 배치장치(1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시트 배치장치(15)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시트 압입부(80)와, 하부시트 삽입부(81)와, 이들을 승강시키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82)와,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누름부(39)를 승강시키는 에어 실린더 등과같은 복수개의 구동장치(83)(도 7 참조)를 가지고 있다.
구동장치(82)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축체(84)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양 승강 축체(84)의 하단부에 하부시트 압입부(80)가, 그 하부시트 압입부(80)보다 상측 위치에 하부시트 삽입부(81)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시트 압입부(80)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오목부(44)의 약간 내측 범위로 넓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평판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테두리부의 하부가 원호상으로 목귀질되어 있고, 구동장치(82)의 구동으로 상기 콘테이너(12(12a))의 오목부(44)에 대하여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시트 압입부(81)는, 양 승강 축체(84)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86)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방향(도 9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으로 각각의 이동 축체(87A, 87B)를 배치하고, 또한 각각의 이동 축체(87A, 87B)를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86)에 부착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88A, 88B)와, Y방향(도 9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으로 각각의 이동 축체(89A, 89B)를 배치하고, 또한 각각의 이동 축체(89A, 89B)를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86)에 부착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90A, 90B)와, 각 구동장치(88A, 88B)의 이동 축체(87A, 87B)에 각각 고정된 수평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91A, 91B)와, 각 구동장치(90A, 90B)의 이동 축체(89A, 89B)에 고정된 수평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92A, 9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동장치(82, 83, 88A, 88B, 90A, 90B)는, 상기 하부시트 공급 배치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장치(88A)가 그 이동 축체(87A)를 상류측으로, 구동장치(88B)가 그 이동 축체(87B)를 하류측으로, 구동장치(90A)가 그 이동 축체(89A)를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우측으로, 구동장치(90B)가 그 이동 축체(89B)를 콘테이너(12)의 이동 방향을 향하여 좌측으로 각각 돌출시키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날개부(91A, 91B, 92A, 92B)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된 펼쳐진 상태가 된다.
한편, 구동장치(88A)가 그 이동 축체(87A)를 하류측으로, 구동장치(88B)가 그 이동 축체(87B)를 상류측으로, 구동장치(90A)가 그 이동 축체(89A)를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좌측으로, 구동장치(90B)가 그 이동축체(89B)를 콘테이너(12)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우측으로 각각 인입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91A, 91B, 92A, 92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된 접힌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접힌 상태에 있을 때, 모든 날개부(91A, 91B, 92A, 92B)의 외측끝테두리부의 평면에서 본 위치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누름 부재(50)의 약간 내측 범위에 배치된다.
한편,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모든 날개부(91A, 91B, 92A, 92B)의 외측끝테두리부의 평면에서 본 위치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누름 부재(50)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하부시트 공급장치(14)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15)의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삽입고정부(65)가 기본위치에 있어서 하부시트(BS)의 선단부를 삽입고정체(68) 및 삽입고정 베이스(66)로 삽입고정하며, 하부시트 로킹장치(58)가 모든 핀(72)을 상승시키고, 또한 하부시트 배치장치(15)가 하부시트 압입부(80) 및 하부시트 삽입부(81)를 상승시키며, 또한 하부시트 삽입부(81)가 날개부(91A, 91B, 92A, 92B)를 접힌 상태로 한 상태로부터(도 10 참조), 먼저,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구동장치(64)의 작동으로 인출아암(63)을 하류측으로 요동시키고, 삽입고정부(65)를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상류측(일단측)인 기본위치로부터 하류측(타단측)의 인출위치까지 이동시킨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콘테이너(12(12a))의 상측으로 하부시트(BS)를 인출시킨다. 여기서, 인출된 하부시트(BS)의 선단위치는, 콘테이너(12(12a))의 누름 부재(50)보다 하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인출된 하부시트(BS)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테이너(12(12a))의 오목부(44)의 형상에 맞게 설치된 상태이며, 또한 콘테이너(12(12a))의 누름부재(50)보다 Y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그 Y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부시트(BS)를 인출한 상태에서,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로킹장치(58)의 구동장치(71)에 의해 핀(72)을 하강시키고, 이들을 삽입고정부(65)의 홈부(69)에 삽입시킨다(도 12 참조). 그 결과, 핀(72)이 삽입고정체(68) 및 삽입고정 베이스(66)에 의해 삽입고정된 하부시트(BS)의 상기콘테이너(12(12a))에 있어서의 하류측 부분을 찔러 걸어 멈춤시킨다.
이어서,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구동장치(67)의 작동에 의해 삽입고정체(68) 및 삽입고정 베이스(66)를 이격시켜 이들에 의한 하부시트(BS)의 삽입고정을 해제시킨 후, 구동장치(64)의 작동으로 인출아암(63)을 상류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삽입고정부(65)를 상류측의 기본위치로 되돌린다(도 13 참조).
계속해서,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배치장치(15)의 구동장치(82)에 의해 하부시트 압입부(80) 및 하부시트 삽입부(81)를 하강시킨다(도 14 참조). 그러면, 하부시트 로킹장치(58)가 하부시트(BS)의 하류측을 로킹하고, 또한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삽입고정부(65)가 하부시트(BS)의 삽입고정을 해제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오목부(44) 상에 연장되는 하부시트(BS)가 로울형상으로 감긴 측으로부터 더욱 인출되면서 하부시트 압입부(80)에 의해 상기 오목부(44)로 압입된다. 이에 따라, 하부시트(BS)는 오목부(44)의 형상에 맞춰진다.
이어서,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기본위치로 되돌려 놓은 삽입고정부(65)의 삽입고정체(68) 및 삽입고정 베이스(66)를 근접시켜 이들로 하부시트(BS)를 삽입고정시킨다.
그리고,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절단장치(59)의 가이드 레일(75)을 따라 이동체(76)를 이동시킴으로써, 커터(78)를 회동시키면서 커터 레일(74)의 홈부(미도시)를 따라 이동시키고, 그 결과, 커터(78)가 하부시트 인출장치(57)에 의해서 인출되어 그 일부가 커터 레일(74) 상에 배치된 하부시트(BS)를 절단한다(도 15 참조). 그와 동시에, 하부시트 로킹장치(58)의 핀(72)을 구동장치(71)에 의해 상승시켜 하부시트(BS)의 로킹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커터(78)에 의한 하부시트(BS)의 절단위치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서, 하부시트(BS)의 하부시트 압입부(80)에 의해 압입되는 부분과 삽입고정부(65)로 삽입고정되는 부분과의 사이가 된다.
또한,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삽입고정부(65)의 상류측의 복귀 위치인 기본위치는, 커터 레일(74)의 상류측의 근방이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시트 절단장치(59)에 의한 하부시트(BS)의 절단전에, 하부시트 인출장치(57)의 삽입고정부(65)를, 하부시트(BS)의 삽입고정을 해제시켜 상류측의 기본위치로 되돌리고, 또한 상기 기본위치에서 하부시트(BS)를 삽입고정시킴으로써, 하부시트 인출장치(57)가 하부시트(BS)의 형상을 유지하고 벗겨짐 등을 방지하여 하부시트 절단장치(59)에 의한 절단을 양호하게 한다.
이어서,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의 누름부(39)의 작동부재(51)를 구동장치(83)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압압하고, 그 누름 부재(50)를 상승시켜 콘테이너 본체(38)의 삽입고정면(52)으로부터 이격시킨다(도 16 참조).
그리고,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삽입부(81)의 구동장치(88A, 88B, 90A, 90B)에 의해 날개부(91A, 91B, 92A, 92B)를 펼친 상태로 한다(도 17 참조). 그러면, 이들 날개부(91A, 91B, 92A, 92B)는 누름 부재(50)와콘테이너 본체(38) 사이에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펼쳐진다. 그 결과, 하부시트 압입부(80)에 의해서 오목부(44)로 압입된 하부시트(BS)의 오목부(44)로부터 돌출되는 측의 끝테두리부가 펼쳐지기 전의 날개부(91A, 91B, 92A, 92B)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91A, 91B, 92A, 92B)의 펼쳐짐으로 인하여 누름 부재(50)와 콘테이너 본체(38)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하부시트(BS)는 사방 모든 끝테두리부가 누름 부재(50)와 콘테이너 본체(38)와의 사이로 끼워진다.
이어서,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하부시트 배치장치(15)의 구동장치(88A, 88B, 90A, 90B)에 의해 날개부(91A, 91B, 92A, 92B)를 접은 후, 구동장치(83)에 의해 누름부(39)를 하강시킴으로써, 누름 부재(50)를 콘테이너 본체(38)의 삽입고정면(52)에 근접시켜서 하부시트(BS)의 끝테두리부를 누름 부재(50)와 콘테이너 본체(38)에 의해 삽입고정시킨다. 그 결과, 하부시트(BS)가 오목부(44)의 형상에 맞춰진 상태에서 콘테이너 본체(38)에 펼쳐지게 되고, 또한 외주측이 누름 부재(5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된다(도 18 참조).
그리고,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구동장치(82)에서 하부시트 압입부(80) 및 하부시트 투입부(81)를 상승시켜, 콘테이너 본체(38)의 오목부(44)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여기서, 하부시트(BS)는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a))에 세트된 상태에서, 콘테이너(12(12a))의 누름 부재(50)보다 X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측 및 Y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시트(BS)가 적어도 전체적으로 누름 부재(50)의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누름 부재(50)에의한 지지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한 대의 콘테이너(12(12a))로의 하부시트(BS)의 세트가 완료하게 되고, 이 완료에 따라 하부시트 공급 배치 제어부(60)는, 팩 작성 종합 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6대의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는, 거의 동일한 구성의 것으로서, 각각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원기둥 모양의 동전팩(C)을 작성하는 동전포장기(94)와, 상기 동전포장기(94)에서 작성된 동전팩(C)을 콘테이너(12)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동전팩 콘베이어(95)와, 상기 동전팩 콘베이어(95)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96)와, 동전팩 콘베이어(95)에 의해 투입된 동전팩(C)을 팩 데이터에 따라 계수하면서 대응하는 콘테이너(12)로 투입하는 계수 투입장치(9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는, 각각 동전팩 투입제어부(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98∼101, 103, 104)의 대응되는 것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동전포장기(94)는, 낱개의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105)와, 그 호퍼(105)에 투입된 낱개의 동전을 소정 매수 집적시키고 포장지를 감음으로써 원기둥 모양의 동전팩을 작성하는 포장기 본체(106)와, 상기 포장기 본체(106)에서 작성된 동전팩(C)을 방출시키는 방출부(107)를 가지는 것으로서, 방출부(107)는 동전팩(C)을 X방향에 평행하게 한 상태로 방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동전팩 콘베이어(95)는, 이동하는 무단벨트(108)를 갖는 것으로서, 거의 수평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포장기(94)의 방출부(107)로부터 무단벨트(108)의 상면 상으로 방출된 동전팩(C)을 X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채, 그 동전팩(C)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 부재(96)는, 무단벨트(108)의 측부로부터 콘테이너(12) 측으로 갈수록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109)와, 그 경사부(109)의 콘테이너(12) 측의 단부로부터 무단벨트(108)의 이동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진부(110)를 갖는 절곡형상의 봉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무단벨트(108)의 상면의 약간 상측으로 그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무단벨트(108)에 의해 반송되는 동전팩(C)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안내하고, 상기 축선방향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한다.
계수투입장치(97)는, 동전팩 콘베이어(95)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동전팩 콘베이어(95) 측에 배치된 가이드부(111)와, 상기 가이드부(111)의 동전팩 콘베이어(95)에 대하여 반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투입부재(112)와, 그 투입부재(112)를 그 회전량을 제어하면서 회전시키는 구동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96)의 직진부(110)는 가이드부(11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111)는, 동전팩 콘베이어(95)에서 반송되어 가이드 부재(96)에 의해 축선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동전팩(C)을 축선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 상태로 안내한다.
투입부재(112)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축(1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되어 있고, X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l5)가 외주부에 동일 피치로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네 곳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입부재(112)는, 구동부(113)에 의한 회전 중에 홈부(115)가 가이드부(111)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11)로부터 동전팩(C)을 하나, 축선방향의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홈부(l15)에 수용하게 함과 동시에, 그 홈부(115)가 하방을 향함으로써, 동전팩(C)을 그 축선방향의 위치가 정해진 채 하방으로 투입시킨다. 그리고, 구동부(113)가 투입부재(112)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계수와 동시에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투입부재(112)의 동전팩(C)의 투입위치는 항상 일정하고, 대응되는 콘베이어(12)의 오목부(44)의 상측 소정위치로 되어 있으며, 동전팩(C)을 그 축선방향을 X방향에 평행하게 한 상태로 오목부(11)의 하부시트(BS) 상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동전팩 투입제어부(9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1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l2b))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6)에 의해서 10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을 팩 데이터에 따라 필요한 수량만큼 투입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동전팩 투입제어부(99)는,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2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c))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7)에 의해서 5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을, 동전팩 투입제어부(100)는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3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d))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8)에 의해서 1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을, 동전팩 투입제어부(101)는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4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e))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9)에 의해서 50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을, 동전팩 투입제어부(103)는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6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g))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21)에에 의해서 5엔 동전 50개의 동전팩을, 동전팩 투입제어부(104)는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7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i))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23)에 의해서 1엔 동전 50개의 동전팩을 각각 필요한 수량만큼 투입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동전포장기(94), 동전팩 콘베이어(95), 가이드 부재(96) 및 계수투입장치(97)를 갖는 동전팩 투입장치가 한 종류의 동전에 대하여 한 대 마련되고, 이러한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가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모든 동전의 종류에 마련되게 된다.
나머지 동전팩 투입장치(20)는, 동전팩 투입제어부(현금 투입수단, 동전팩 투입수단;102)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팩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동전팩 장전 제5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f))에 대하여 500엔 동전 20개의 동전팩을 투입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호퍼(105), 포장기 본체(106) 및 방출부(107)를 갖는 동전포장기(94)와, 상기 동전포장기(94)에서 작성된 동전팩을 계수하면서 대응하는 콘테이너(12(12f))로 투입하는 계수투입장치(9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동전팩 투입장치(20)의 동전포장기(94)의 방출부(107)는, 동전팩을 Y방향을 향한 상태로 방출시키도록 되어 있고, 계수투입장치(97)는 이 상태의 동전을 계수하면서 일정한 투입위치로부터 대응하는 콘테이너(12(12f))로 낙하시킨다.
또한, 동전팩 투입장치(20)가 다른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와 달리 동전팩을 Y방향을 향한 상태로 방출시키는 것은, 500엔 동전의 20개 묶음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동전팩을 방출시키므로, 그 방향을 다른 것과 달리 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전팩 투입장치(20)를 다른 동전팩 투입장치(16∼l9, 21, 23)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 동전팩 투입장치(16∼23)는, 정지상태의 콘테이너(12)의 각각 다른 것에 대하여 동전팩을 투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전팩 투입제어부(98∼104)는 각각 대응하는 콘테이너(12)에 필요한 동전팩을 모두 투입한 다음,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장의 지폐를 하나로 묶은 다수의 소묶음지폐(S1)를 정렬상태로 수납가능한 각 지폐의 종류별 수납부(133∼136)를 갖는 수납상자체(118)와, 각 지폐의 종류별 수납부(133∼136)에 각각 마련되어, 소정의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h))에 대하여 장전시키고자 하는 소묶음지폐(S1)를 한 다발씩 팩 데이터에 따라 투입하는 투입장치(119)와, 각 투입장치(119)로부터 투입된 소묶음지폐(S1)를 각각 소정위치에 놓아두는 재치대(120)와, 상기 재치대(120) 상의 소묶음지폐(S1)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장치(l21)와, 재치대(120) 상에서 정렬된 소묶음지폐(S1)를 팩 데이터에 따라 한 다발씩 파지하여 소정의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콘테이너(12(12h))에 장전시키는 파지반송장치(122)를 가지고 있으며, 투입장치(119), 정렬장치(121) 및 파지반송장치(122)는,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현금 투입수단, 소묶음지폐 투입수단;123)(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납상자체(118)는, 콘테이너(12) 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배치된 저판부(125)와, 저판부(125)의 콘테이너(12)측의 끝테두리로부터 저판부(125)에 수직하게 설치된 판부(126)와, 저판부(125)의 콘테이너(12)에 대하여 반대측의 끝테두리부로부터 저판부(125)에 수직하게 설치된 판부(127)와, 저판부(125)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 끝테두리부로부터 저판부(125)에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판부(128,129)와, 이들 판부(128,129)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칸막이 판부(130∼132)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납상자체(118)에는, 판부(128)와 칸막이 판부(130)와의 사이, 칸막이 판부(130)와 칸막이 판부(131)와의 사이, 칸막이 판부(131)와 칸막이 판부(132)와의 사이 및 칸막이 판부(132)와 판부(129)와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구되는 네 개의 수납부(133∼136)가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부(133∼136)는 각 지폐의 종류별로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수납부(133) 및 수납부(134)는 천엔권용, 수납부(135)는 5천엔권용, 수납부(136)는 장래에 사용될 만엔권용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장래에 사용될 경우로는, 예컨대, 금융 자유화에 따라 일반 점포에서도 외화환전이 가능해지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일반 점포에서도 만엔권을 지불할 준비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이다. 물론, 수납부(133∼136)를 어떠한 종류의 지폐용으로 할 것인지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각 수납부(133∼136)에는, 자기 무게에 의해 판부(126)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압체(137)가 각각 마련된다. 즉, 각 수납부(133∼136)에는, 소묶음지폐(S1)가판부(126)와 평행을 이루며, 길이 방향을 X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저판부(125)의 경사를 따라 아래로부터 위로 쌓아 올려지게 되고, 그 가장 상측의 소묶음지폐(S1)보다 상측에 압압체(137)가 배치됨으로써, 그 압압체(137)가 소묶음지폐(S1)를 판부(126)의 방향으로 압압한다.
각 수납부(133∼136)의 저판부(125)의 판부(126) 측에는, 관통공(미도시)이 각 수납부(133∼136)마다 형성되어 있고, 투입장치(119)는 대응하는 관통공에 삽입 통과가능한 투입 핀(139)과, 상기 투입 핀(139)을 저판부(125)에 대하여 상측으로 돌출 및 하측으로 인입되도록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14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투입장치(119)는, 구동장치(140)에 의해서 투입 핀(139)을 저판부(125)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판부(126)에 접촉되어 있던 최하측의 소묶음지폐(S1)를 판부(126)를 따라 방출시킨 후, 투입 핀(139)을 저판부(125)로부터 인입시킴으로써 다음의 소묶음지폐(S1)를 판부(126)에 접촉시킨다.
재치대(120)는, 수납상자체(118)의 판부(126)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서 그 콘테이너(12)측으로 수평배치되어 있고, X방향으로 수납상자체(l18)와 거의 같은 범위로 연장되어 있고, 투입장치(119)에 의해 수납상자체(118)로부터 방출된 소묶음지폐(S1)를 재치시킨다.
재치대(120)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테이너(12)측 및 콘테이너(12)에 대하여 반대측의 양 끝테두리부에 다수의 홈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가 팩 데이터에 따라 투입장치(119)에 의해 수납상자체(1l8)로부터 방출시킨 소묶음지폐(S1)는, X방향에서는 수납부(133∼136) 중 수납되어 있던 것과 위치를 맞추어 재치대(120) 상에 올려진다. 바꾸어 말하면, 각 지폐의 종류별로 다른 위치에 올려진다.
정렬장치(121)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치대(120)의 상방의 수납상자체(118)측(도 23에 있어서의 상측)에 X방향을 따라 마련된 각기둥 모양의 정렬부재(143)와, 상기 정렬부재(143)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재(143)를 X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144)를 가지고 있다.
이 정렬장치(121)는, 정렬부재(143)를 콘테이너(12)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시킨 상태로 함으로써, 수납상자체(l18)로부터 방출된 소묶음지폐(S1)를 그 상방을 통과시키게 되고, 그 결과 수납상자체(118)로부터 방출된 소묶음지폐(S1)가 재치대(120) 상에 올려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가 구동장치(144)에 의해 정렬부재(143)를 콘테이너(12)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정렬부재(143)가 재치대(120) 상의 소묶음지폐(S1)의 수납상자체(118) 측에 접촉되고, 이것을 압압하여 그 자세를 정렬부재(143)를 따르게 하며 또한 그 Y방향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이 위치는 구체적으로는 재치대(120)의 양측의 홈부(141)의 중앙위치이다.
파지반송장치(122)는,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으로, 재치대(120)의 각종 지폐별로 다른 위치에 방출되어 정렬되는 모든소묶음지폐(S1)에 대하여 1대로 공용된다. 파지반송장치(122)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상자체(118)의 상측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46), 상기 가이드 레일(146)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47), 상기 이동체(147)에 Y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 가이드 레일(148) 및 상기 가이드 레일(148)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49)를 갖는 에어 구동식 등의 반송구동장치(150)와, 그 반송구동장치(150)의 이동체(149)에 설치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151) 및 그 가이드 축(151)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체(152)를 갖는 에어 구동식 등의 승강구동장치(153)과, 이동체(152)에 부착된 파지부(154)를 가지고 있다.
파지부(154)는, 이동체(152)에 고정된 베이스(156)와, 양측에 이동축체(157)를 가지고, 이들 이동축체(157)를 Y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베이스(156)에 장착된 에어 실린더 등의 파지구동장치(158)와, 파지구동장치(158)의 양측의 이동축체(157)에 상호 경면대칭을 이루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파지구동장치(158)에 의해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 쌍의 후크(159)와, 파지구동장치(158)의 아래쪽에 이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하강방향으로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된 누름부재(160)를 가지고 있다.
후크(159)는, 경면대칭을 이루는 다른 후크(159)의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재치대(120)의 홈부(141)를 상하로 통과할 수 있는 하판부(161)를 각각 가지고 있고, 상기 하판부(161)보다 상측에 누름부재(160)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의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는, 투입장치(119)의 투입 핀(139)을 수납상자체(118)로부터 인입하고, 파지반송장치(122)의 파지부(154)를 재치대(120)의 윗쪽으로부터 후퇴시키고, 정렬장치(121)의 정렬부재(143)를 수납상자체(118)측으로 위치시킨 상태(도 25 참조)에서, 팩 데이터에 따라 수납상자체(118)의 소정의 수납부(133∼136)의 투입장치(119)의 투입 핀(139)을 수납상자체(118) 내로 돌출시킴으로써, 대응하는 소묶음지폐(S1)를 정렬부재(143)를 넘게 하여 재치대(120) 상에 올려 놓는다(도 26 참조). 여기서, 소묶음지폐(S1)는 X방향에서는 각종 지폐별 방출위치로 방출된다. 또한, 투입 핀(139)은, 그 후 바로 수납상자체(118)로부터 후퇴된다.
이어서,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는, 정렬부재(143)를 콘테이너(12)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도 27 참조), 소묶음지폐(S1)의 Y방향의 정렬 및 위치 결정을 행한 후, 정렬부재(143)를 수납상자체(118)측으로 되돌림과 동시에, 이 소묶음지폐(S1)의 바로 위인 소정의 파지위치에 같은 팩 데이터에 따라 반송구동장치(150)에 의해서 파지부(154)를 이동시킨다(도 28 참조). 이 때,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l23)는, 승강구동장치(153)에 의해 파지부(154)를 상승상태로 하고 또한 파지구동장치(158)에서 후크(159)들을 상호 이격상태로 하고 있다.
이어서, 파지위치에 있는 상기 파지부(154)를 승강구동장치(153)에 의해 하강시킨다. 그리고, 후크(159)의 하판부(161)가 재치대(120)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소정의 높이까지 파지부(154)를 하강시킨 후, 파지구동장치(158)에 의해 대향되는 후크(159)들을 근접시켜 소묶음지폐(S1)의 바로 아래까지 이동시킨다(도 29 참조).여기서, 상기 파지부(154)의 하강에 의해 누름부재(160)가 소묶음지폐(S1)에 접촉하여 가압력에 반발하여 상승한다.
이어서,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는, 승강구동장치(153)에 의해 파지부(15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파지부(154)는, 후크(159)를 재치대(120)의 홈부(141)를 통과시키면서 재치대(120)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그 때 누름부재(160)의 가압력에 의해 소묶음지폐(S1)를 대향하는 양측의 후크(159)의 하판부(161)에 눌러붙인다.
그리고,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는, 이와 같이 양측의 후크(159)와 압압부재(160)에 소묶음지폐(S1)를 삽입고정시킨 상태에서 반송구동장치(150)를 구동하고 소정의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h))의 상방위치로 파지부(154)를 이동시킨다(도 30 참조). 그리고, 파지부(154)를 승강구동장치(153)에 의해 하강시킨 후, 파지부(154)의 양측의 후크(159)를 파지구동장치(158)에 의해 이격시켜고, 파지하고 있던 소묶음지폐(S1)를 낙하시켜,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h))의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장전시킨다.
여기서,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는, 소정의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h))에 대한 파지부(154), 즉 소묶음지폐(S1)의 Y방향의 위치를 팩 데이터에 따라 그 콘테이너(12(l2h))에 장전되는 다른 현금의 내용 등에 따른 최적의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즉, 다른 현금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도 3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44)의 수납상자체(118)측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장전시키거나, 도 31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44)의 수납상자체(118)에 대하여 가장 반대측에 장전시키거나, 도 31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44)들의 사이 위치에 장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h))에 대하여 필요한 소묶음지폐(S1)를 전부 장전시키면,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l23)는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파지부(154)를 이동체(152)에 대하여 연직 축방향으로 90°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정의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h))에 대한 파지부(154), 즉 소묶음지폐(S1)의 방향을 팩 데이터에 따라 그 콘테이너(12(12h))에 장전되는 다른 현금의 내용 등에 따른 최적의 자세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팩(C) 등의 다른 현금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X방향에 소묶음지폐(S1)의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거나,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방향에 소묶음지폐(S1)의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파지부(154)의 위치와 자세를 조합하여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낱장지폐 투입장치(32)는,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서, 팩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j))에 대한 낱장지폐를 집적상태로 투입한다. 즉,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점포단위 또는 레지스터 단위로 입력되는 거스름돈 데이터로부터 팩 데이터가 작성되기는 하지만, 준비해야 할 각 종류별 지폐의 매수(금액)가 100장 단위라면 상기한 소묶음지폐(S1)를 준비하면 되지만, 경우에 따라 지폐의 종류별로 30장, 50장 등과 같이 100장이 되지 않는 지폐를 준비하여야 할 때, 이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의해 낱장지폐를 투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서는, 한 번의 투입으로 투입이 가능한 한도 매수(지폐량)가 미리 정해져 있고,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에서는 소정의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위치한 콘테이너(12(12j))에 대하여 투입할 낱장지폐의 총 투입매수(총지폐량)가 이 한도 매수를 넘는 경우에는, 한번 투입의 투입매수가 한도매수 이내가 되도록 여러번 분할하여 투입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총 투입매수가 한도 매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종류의 지폐를 한번에 투입하게 되는데, 물론 각 종류별로 분류한 상태에서 집적시켜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이 필요한 경우,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는 지폐 종류별로 분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같은 종류에 대하여도 분할이 필요한 경우에는, 투입하는 회수가 가장 적어지도록 분할하여 투입한다.
여기서, 콘테이너(12)의 근방에는, 콘테이너(12)가 소정의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면, 이것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알리는 장전경보장치(164)와, 작업자에 의한 압압조작(외부조작)이 입력되는 확인버튼(165)과, 분할 투입이 행해지는 경우에, 이것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분할경보장치(166)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은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콘테이너(12)가 소정의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면,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는 장전경보장치(164)에 의해 이것을 알림과 동시에, 그 콘테이너(12(12j))에 대한 팩 데이터에 따라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의해 낱장지폐를 투입하게 된다.
여기서, 낱장지폐를 한번에 투입하는 경우,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는, 그 낱장지폐를 낱장지폐 투입장치(163)에 의해 투입함과 동시에, 그 후 확인 버튼(165)이 한번 조작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낱장지폐를 여러번 분할하여 투입하는 경우,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는 분할경보장치(166)에 의해 알림과 동시에, 낱장지폐의 첫 번째의 투입을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의해 행하게 하고, 그 후 작업자에 의해 확인 버튼(165)이 조작될 때까지 낱장지폐 투입장치(32)의 다음의 투입을 규제한다. 한편, 작업자에 의해 확인 버튼(165)이 조작되면, 다음 투입을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의해 행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회의 투입에 대한 확인 버튼(165)의 조작입력을 전제로 차례로 투입을 행하게 하여, 분할된 마지막 투입이 행해진 후 확인 버튼(165)이 조작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서는, 상기 이동허용신호가 낱장지폐 투입제어부(l63)로부터 출력될 때까지 콘테이너(12(12j))의 다음 한 피치만큼의 이동을 규제한다. 한편, 이 이동허용신호가 출력되면, 이것을 조건의 하나로 하여 콘테이너(12(12j))를 한 피치만큼 이동시킨다.
이어서, 장전조정장치(24)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전조정장치(24)는, 콘테이너(12) 내에 투입된 동전팩 등의 장전상태를 조정하는 것으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장지폐 장전위치의 하류측의 소정의 조정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k))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장전조정 제어부(168)(도 3 참조)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장전조정장치(24)는, 조정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k))의 상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67) 및 그 가이드 레일(167)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69)를 갖는 에어 구동식 등의 구동장치(170)와, 그 구동장치(170)의 이동체(169)의 하단부에 고정된 조정부재(171)와, 조정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k))의 약간 윗쪽에 배치되어 그 콘테이너(12(12k))에 있어서의 동전팩(C)의 장전상태를 감시하는 센서(172)를 가지고 있다.
조정부재(171)는, Y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173)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그 양측이 바깥쪽에 위치할수록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74)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173)의 배치위치는, 동전팩 투입장치(16∼21,23)의 동전팩(C)의 투입 낙하위치와 일치되어 있다.
센서(172)는, 동전팩(C)의 적재높이가 콘테이너(12(12k))보다 상측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전팩(C)에 의해서 광로가 차단됨으로써 이것을 검출하는 광학식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장전조정제어부(168)는, 센서(172)에 의해 동전팩(C)이 검출되면, 동전팩(C)의 장전상태가 불량이라고 판정하여, 구동장치(170)에 의해 조정부재(171)를 하강시킨다(도 34 참조). 그러면, 상기 조정부재(171)가 적재된 동전팩(C)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이를 옆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압압하여 적재된 상태를 무너뜨려 장전상태를 조정한다.
또한, 센서(172)를 설치하지 않고, 조정 위치에 위치한 콘테이너(l2(12k))에 대하여 반드시 조정 부재(171)를 적어도 한번 하강시켜 동전팩(C)의 장전상태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장전조정장치(24)를 낱장지폐 장전위치의 하류측의 소정의 조정 위치에 더하여, 더욱 상류측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콘테이너(12)의 상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부시트 공급장치(2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시트 공급장치(25)는, 도 35∼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위치보다 하류측의 소정의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m))의 상측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상부시트(TS)를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m))보다 상류측, 또한 상측에 배치된 지지부(176)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176)에 로울형상으로 감긴 상태로 지지된 긴 자 모양의 상부시트(TS)를 인출하고, 이것을 콘테이너(12(12m))에 대하여 오목부(44) 내에 충전된 현금을 덮도록 배치시킨다.
상부시트 공급장치(25)는, 상부시트(TS)를 거의 콘테이너(12)의 반송방향을 따라 인출하는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와, 인출된 상부시트(TS)를 걸어 고정하는 상부시트 로킹장치(178)와, 인출된 상부시트(TS)를 절단하는 상부시트 절단장치(179)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에는, 이들 구동을 제어하는 상부시트 공급접착 제어부(상부시트 공급수단,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 접착수단;180)(도 3 참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시트 인출장치(177)는,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의 아래쪽에 Y방향으로 배치된 지지축(182)과, 상기 지지축(182)의 양단에 각각 하단측이 지지된 한 쌍의 인출아암(183)과, 지지축(182)보다 상측에 X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인출아암(183)의 중간부분에 연결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184)를 가지고 있으며, 양 인출아암(183)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부시트(TS)를 삽입고정하는 삽입고정부(185)가, 콘테이너(12(12m))를 Y방향으로 넘도록 마련된다. 구동장치(184)는, 인출아암(183)을 요동시킴으로써 삽입고정부(185)를 상류측의 기본위치와 하류측의 인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인출아암(183)의 상단부에 마련된 삽입고정부(185)는, Y방향으로 배치된 삽입고정 베이스(186)와, 그 삽입고정 베이스(186)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187)와, 이들 구동장치(187)에 연결됨과 동시에 삽입고정 베이스(186)의 상측에 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삽입고정체(188)를 가지고 있으며, 구동장치(187)의 작동에 의해 삽입고정체(188)를 삽입고정 베이스(186)에 근접시킴으로써 이들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에 의해 상부시트(TS)를 삽입고정하는 한편, 구동장치(187)의 작동에 의해 삽입고정체(188)를 삽입고정 베이스(186)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부시트(TS)의 삽입고정을 해제한다.
또한,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에는, 이들이 하류측의 인출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연직방향을 따르는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네 개의 홈부(189)가 하류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시트 로킹장치(178)는, 하류측의 인출위치에 위치하는 삽입고정부(185)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190)와, 각 구동장치(190)의 아래쪽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되어 각 구동장치(19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핀(191)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190)에 의해서 하강된 핀(191)은 인출위치에 위치하는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의 홈부(189)에 삽입 통과된다.
상부시트 절단장치(179)는,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의 상류에, 또한 상측에 Y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그 상면에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된 커터 레일(192)과, 상기 커터 레일(192)의 상측에 그 커터 레일(19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93) 및 상기 가이드 레일(193)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94)를 갖는 에어 구동식 등의 구동장치(195)와, 커터 레일(192)의 홈부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이동체(195)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원판상의 커터(19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195)의 이동체(194)가 이동되면, 커터(196)가 커터 레일(192) 위를 이동하고, 그 결과, 커터 레일(l92) 상에 펼쳐진 상부시트(TS)를 절단한다.
이어서, 라벨 인자 첩부장치(26)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라벨 인자 첩부장치(26)는, 상부시트(TS)를 로울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76)와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일면이 접착면으로 된 라벨(L)을 접착면 측에서 보유하는 라벨 시트(LS)를 로울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98)와, 라벨 시트(LS)를 반송함과 동시에 팩 데이터에 따라 라벨 시트(LS)의 각 라벨에 소정의 내용을 인자하는 인자부(199)와, 상기 인자부(199)에서 인자가 행해진 라벨 시트(LS)를 아래쪽으로 180°절곡함으로써, 라벨 시트(LS)로부터 라벨(L)을 일부 벗겨 돌출시키는 로울러 등의 절곡부(200)와, 상기 절곡부(200)에 의해서 일부 벗겨진 라벨(L)을 상측으로부터 진공압에 의해 흡착하여 유지하는 승강가능한 유지부(201)와, 라벨(L)이 벗겨진 라벨 시트(LS)를 감아들이는 권취부(202)와, 유지부(201)의 하강에 의해 이에 유지된 라벨(L)을 상부시트(TS)에 상측으로부터 첩부시킬 때 상부시트(TS)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첩부대(203)를 가지고 있으며, 인자부(199), 유지부(201) 및 권취부(202)에는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라벨 인자 첩부제어부(라벨 인자 첩부수단;20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라벨(L)은 각 콘테이너(12)마다, 즉 각 거스름돈 팩(P)마다 인자되어 작성되게 되고, 첩부되는 거스름돈 팩(P) 내에 충전되는 현금의 종류마다의 수 및 바코드 데이터 등이 인자된다.
이어서, 접착장치(2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접착장치(27)는,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m))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된 가로방향 접착부(206)와, 상부시트 공급위치보다 1피치 하류측의 세로접착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n))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된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가지고 있다.
가로방향 접착부(206)는, 한 쌍의 이동축체(210)(도 42 참조)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211)와, 각 이동축체(210)에 고정됨과 동시에 높이 및 Y방향의 위치를 서로 맞춘 상태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실부(208)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실부(208)는, 가열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구동장치(211)에 의해 하강되면,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m))의 Y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실 받침부재(47)에 각각 전면적으로 접촉된다.
세로방향 접착부(207)는, 한 쌍의 이동축체(212)(도 42 참조)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213)와, 이동축체(212)에 고정됨과 동시에 높이 및 X방향의 위치를 서로 맞춘 상태에서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실부(209)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실부(209)는 가열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구동장치(213)에 의해 하강되면, 상부시트 공급위치보다 1피치 하류측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n))의 X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실 받침부재(46)에 전면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콘테이너(12)의 1피치만큼 상류측으로 이동시킨 가상상태를 평면에서 본다고 가정하면, 세로방향 접착부(207)의 양 실부(209)와 가로방향 접착부(20)의 양 실부(208)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단부와 겹쳐져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틀형상이 된다.
여기서, 가로방향 접착부(206)와 세로방향 접착부(207)는, 구동장치(211, 213)가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일체로 승강되도록 되어 있고, 그 승강은 상술한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의 상부시트 공급장치(25), 라벨 인자 첩부장치(26) 및 접착장치(27)의 작동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라벨 인자 첩부제어부(204)에서는, 팩 데이터에 따라 라벨 인자 첩부장치(26)에 의해 각 콘테이너(12)마다의 데이터를 콘테이너(12)의 순서에 따라 라벨(L)에 인자한다. 또한, 이러한 라벨(L) 중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에 대한 것을 유지부(201)에 의해서 라벨 시트(LS)로부터 받아들여, 상부시트(TS)에, 상기 콘테이너(12(l2m)) 상으로의 상부시트(TS)의 인출 전에 미리 첩부시킨다.
이와 같이 라벨(L)의 첩부가 완료된 상태에서, 삽입고정부(65)가 기본위치에 있고 상부시트(TS)의 선단부를 근접하는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에 의해 삽입고정하고, 상부시트 로킹장치(178)가 핀(191)을 상승시키고, 또한 가로방향 접착부(206)와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상승시킨 상태(도 38 참조)에서, 우선, 상부시트 공급접착 제어부(180)는,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의 구동장치(184)의 작동에 의해 인출아암(183)을 하류측으로 요동시키고, 삽입고정부(185)를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의 상류측(일단측)인 기본위치로부터 하류측(타단측)의 인출위치까지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콘테이너(12(12m))의 상측으로 상부시트(TS)를 인출시킨다(도 39 참조). 여기서, 인출된 상부시트(TS)의 선단위치는, 콘테이너(12(12m))의 누름 부재(50)보다 하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인출된 상부시트(TS)는, 콘테이너(12(12m))의 누름 부재(50)보다 Y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측까지 연장되는 폭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시트(TS)는 적어도 전체적으로 실받침부재(46, 47)보다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좋다.
인출된 상부시트(TS)에는,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m))에 대한 라벨(L)이 그 오목부(44)의 거의 중앙위치가 되는 위치에 첩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는, 상부시트 로킹장치(178)의 구동장치(190)에 의해 핀(191)을 하강시켜서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의 홈부(189)에 삽입시킨다. 그 결과, 핀(191)이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에 의해 삽입고정된 상부시트(TS)의,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에 있어서의 하류측 부분을 찔러 로킹한다(도 40 참조).
이어서,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는,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의 구동장치(187)의 작동에 의해 삽입고정체(188) 및 삽입고정 베이스(186)에 의한 상부시트(TS)의 삽입고정을 해제하고, 그 후 구동장치(184)의 작동에 의해 인출아암(183)을 상류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삽입고정부(185)를 상류측의 기본위치로 되돌린다(도 41 참조).
계속해서,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는, 구동장치(211, 213)에 의해 가로방향 접착부(206)와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동시에 하강시키고,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와의 중첩 부분을, 가로방향 접착부(206)의 전후의 실부(208)와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의 전후의 실 받침부재(47)와의 사이에서 끼운다. 이와 동시에,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와의 중첩 부분을, 세로방향 접착부(207)의 좌우의 실부(209)와 상부시트 공급위치보다 1피치 하류측의 세로 접착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n))의 좌우의 실 받침부재(46)와의 사이에서 끼우게 된다(도 42 참조).
그러면,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l2(12m))에 있어서는, 상부시트(TS) 및 하부시트(BS)가 오목부(44)에 대하여 전후가 되는 두 곳에서 직선상으로 열접착되고, 세로 접착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n))에 있어서는, 상부시트(TS) 및 하부시트(BS)가 오목부(44)에 대하여 좌우가 되는 두 곳에서 직선상으로 열접착된다. 여기서, 실부(208, 209) 및 실 받침부재(46, 47)는, 그 배치에 의해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를, 콘테이너(12)의 오목부(44)의 외측, 그리고 누름 부재(50)의 내측에서 접착시키게 된다.
실부(208, 209)가 실 받침부재(46, 47)에 접촉되는 이후의 타이밍에서,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는, 시트 인출장치(177)의 상기 기본위치에 되돌려 둔 삽입고정부(185)에서 상부시트(TS)를 삽입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는, 상부시트 절단장치(179)의 이동체(194)를 가이드 레일(193)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커터(196)를 회동시키면서 커터 레일(192)의 홈부(미도시)를 따라 이동시키고, 그 결과, 상기 커터(196)가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에 의해 인출되고 그 일부가 커터 레일(192) 상에 펼쳐진 상부시트(TS)를 절단한다(도 43 참조). 또한, 커터(196)에 의한 절단위치는, 상부시트(TS)의 콘테이너(12(12m))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서 가로방향 접착부(206)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부분과 삽입고정부(185)에 의해 삽입고정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위치가 된다.
여기서,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의 삽입고정부(185)의 상류측의 복귀 위치인 기본위치는, 커터 레일(192)의 상류측의 근방이다. 이 때문에, 상부시트 절단장치(179)에 의한 상부시트(TS)의 절단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의 삽입고정부(185)를, 상부시트(TS)로의 삽입고정을 해제시켜 상류측의 기본위치로 되돌리고 그 기본위치에서 상부시트(TS)를 삽입고정시킴으로써, 상부시트 인출장치(177)가 상부시트(TS)의 형상을 유지하고 말림 등을 방지하여 상부시트 절단장치(179)에 의한 절단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세로 접착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n))에 있어서는, 1피치 전의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로방향 접착부(206)에 의해 상부시트(TS) 및 하부시트(BS)의 전후의 열접착이 행해지고 상부시트(TS)의 절단도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세로 접착위치에서 세로방향 접착부(207)에 의해 상부시트(TS) 및 하부시트(BS)의 좌우의 열접착이 행해짐으로써, 상부시트(TS) 및 하부시트(BS)는 이들 사이에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현금보다 외측의 사방이 접착된 상태의 거스름돈 팩(P)이 된다. 그리고, 라벨(L)은 거스름돈 팩(P)의 상면의 거의 중앙에 첩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는, 가로방향 접착부(206) 및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접착에 필요한 소정시간 하강시킨 후, 이들을 상승시키면(도 44 참조),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로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 타이밍은 콘테이너(12(12m))에 있어서의 상부시트(TS)의 절단보다 뒤의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리프팅장치(28)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팅장치(28)는, 이동제어부(215)(도 3 참조)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으로서, 도 45∼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접착위치보다 하류측의 소정의 이송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o))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그 콘테이너(12(12o))로부터 거스름돈 팩(P)을 들어 올린다.
리프팅장치(28)는, 콘테이너(12(12o))의 아래쪽에 배치된 베이스(216)와, 콘테이너(l2(12o))의 다수의 관통공(45)과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맞추어 베이스(216) 상에 다수개 연직으로 마련된 핀 부재(217)와, 베이스(216)를 승강시킴으로써 핀 부재(217)를 승강시키는 에어 구동식 등의 한 쌍의 구동장치(21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218)를 작동시킴으로써, 핀 부재(217)는 이송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o))로부터 완전히 하방으로 후퇴하는 후퇴위치와, 관통공(45)에 삽입됨으로써 오목부(44)의 저면부(4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단부를 콘테이너(12(12o))보다 상측까지 돌출시키는 돌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한다. 그 결과, 핀 부재(217)는 후퇴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어떠한 콘테이너(12)의 이동에도 간섭하지 않고 후퇴하며, 돌출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이송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o))의 오목부(44) 내에 수납되어 있던 거스름돈 팩(P)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콘테이너(12(12o))보다 상측까지 들어 올린다(도 48 참조). 또한, 이러한 리프팅시 거스름돈 팩(P)은 콘테이너(12(12o))의 누름부재(50)보다 내측이 들어 올려짐으로써, 누름 부재(50)와 콘테이너본체(38)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 있던 하부시트(BS)를 누름 부재(50)와 콘테이너 본체(38)와의 사이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이송장치(29)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장치(29)는, 이송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베이어(12(12o))의 대략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리프팅장치(28)에 의해 들어 올려진 거스름돈 팩(P)을 유지하여 이송처로 반송시키는 것으로, 이송 제어부(215)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이송장치(29)는, 이송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o))의 상측에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가이드 레일(220) 및 상기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221)를 갖는 에어 구동식 등의 반송구동장치(222)와, 상기 반송구동장치(222)의 이동체(22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축체(223)를 배치한 상태로 장착되는 에어 실린더 등의 승강구동장치(224)와, 이동축체(223)의 하단에 장착된 지지부(225)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225)는, 이동축체(223)의 하단에 고정되는 베이스(227)와, 상기 베이스(227)에 X방향으로 이동축체(228)를 배치하고 또한 이동축체(228)들을 상호 반대로 향한 상태로 장착되는 한 쌍의 에어 실린더 등의 지지구동장치(229)와, 각 지지구동장치(229)의 이동축체(228)에 상호 경면대칭을 이루도록 앞뒤로 장착됨과 동시에 양 지지구동장치(229)에 의해 서로 근접 및 이격되는 지지체(230)를 가지고 있다.
지지체(230)는, 다른 지지체(23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판부(231)를 각각 가지고 있고, 각 하판부(231)의 연장 선단측에는 홈부(232)가 다수 형성되어 빗살모양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홈부(232)의 Y방향의 위치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장치(28)의 핀 부재(217)의 위치에 맞추어져 있고, 이에 따라, 양 하판부(231)는 핀 부재(217)들 사이의 위치로 진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송제어부(215)는, 이송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o))의 바로 위의 소정의 리프팅 위치로 반송구동장치(222)에 의해 지지부(225)를 이동시키고, 또한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상승시키고, 또한 지지구동장치(229)에 의해 지지체(230)들을 상호 이격시킨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리프팅장치(28)의 핀 부재(217)에 의해 상기 콘테이너(12(12o))의 거스름돈 팩(P)이 들어 올려지면(도 48 참조),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하강시킨다(도 49 참조). 그리고, 지지체(230)의 하판부(231)가 거스름돈 팩(P)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소정높이까지 지지부(225)를 하강시키면, 지지구동장치(229)에 의해 지지체(230)들을 상호 근접시키고, 각각의 홈부(232)에 핀 부재(217)를 통과시킴으로써, 양 하판부(231)를 핀 부재(217)들 사이의 위치로 집어넣는다(도 50 참조).
이어서, 이송제어부(215)는,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지지부(225)는, 거스름돈 팩(P)을 양 하판부(231)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들어 올려 핀 부재(217)로부터 이격시킨다. 동시에, 구동장치(2l8)를 구동하고, 리프팅장치(28)의 핀 부재(217)를 콘테이너(12(12o))의 아래 쪽의 후퇴위치에 후퇴시킨다(도 51 참조).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상승시키면, 이송제어부(215)는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송제어부(215)는, 이와 같이 거스름돈 팩(P)을 들어 올린 상태의 지지부(225)를 반송구동장치(222)에 의해 콘테이너(12(12o))의 옆쪽에 병설된 체크장치(30)의 상방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 지지부(225)를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하강시킨 다음, 지지부(225)의 양 지지체(230)를 지지구동장치(229)에 의해 이격시켜, 들어 올려진 거스름돈 팩(P)을 체크장치(30) 위로 받아 넘긴다(도 52 참조).
체크장치(30)는, 메인 콘베이어(11)의 옆쪽에서, 그 메인 콘베이어(11)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거스름돈 팩(P)이 그 위로 이송되는 벨트 콘베이어(234)와, 그 벨트 콘베이어(234) 상으로 이송된 상태의 거스름돈 팩(P)의 중량을 계량하는 중량계량부(235)를 가지고 있고, 상기 중량계량부(235)에서 계량된 중량을 체크함과 동시에 벨트 콘베이어(234)의 구동을 제어하는 거스름돈 팩 체크 제어부(거스름돈 팩 체크수단;2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236)에는, 각 거스름돈 팩(P)마다의 팩 데이터의 종류별 수량으로부터 각 거스름돈 팩(P)마다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가 산출되어 기억되어 있고, 각 거스름돈 팩(P)마다에 기준 데이터와 중량계량부(235)에 의해 검출된 계량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이들 오차가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내에 있으면, 그 거스름돈 팩(P)에 있어서는, 벨트 콘베이어(234)를 구동하여 하류측의 팩킹 체크대(238)(도 1 참조)로 반출한다. 그리고, 반출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면, 팩작성 종합제어부(35)로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허용범위를 넘는 경우, 거스름돈 팩 체크 제어부(236)는 필요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소정 회수만큼 상기 계량 및 비교를 재시행한다. 그리고, 소정회수의 계량 및 비교로도 허용범위를 넘는 경우, 작성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경보를 행한다. 그리고, 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236)는, 상기 거스름돈 팩(P)에 대하여 벨트 콘베이어(234) 상에서 배제된 것이 중량계량부(235)에서 검출될 때까지,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이동허용신호를 출력시키지 않고 대기하며, 벨트 콘베이어(234) 상에서 배제된 것이 중량계량부(235)에서 검출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로 이동허용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236)는, 실제의 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백 팩킹 체크장치(31)(도 1 참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지 않은 백은, 거스름돈 팩(P)을 단위 그룹으로 수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각 백에는 각각 바코드 데이터 등이 기재된 반출표(미도시)가 미리 발행되어 첨부되게 된다.
백 팩킹 체크장치(31)는, 백의 반출표의 바코드 데이터를 읽어들임과 동시에 거스름돈 팩(P)에 첩부된 라벨(L)의 바코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스캐너(239)와, 작업자에 대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240)를 가지고 있고, 바코드 데이터의 대조 등을 행하는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도 3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에는, 상기한 반출표를 발행시키는 반출표 발행장치(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데이터 입력장치(36) 및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입력장치(36)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계약처, 점포 및 레지스터의 등록을 행하는 초기등록 모드와, 거스름돈 데이터를 등록하는 거스름돈 데이터 등록 모드와, 배송일을 기준으로 한 작성일의 대응관계를 등록하는 대응관계 등록 모드와, 작성일을 입력시킴으로써 그 작성일의 화폐 종류별 수량을 계산시키는 준비금 계수 모드와, 거스름돈 팩을 작성시키는 거스름돈 팩 작성 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모드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된다.
초기 등록 모드가 선택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그 제어 본체부(243)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초기 등록 모드용 가이드 메뉴를 표시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입력장치(36)에 계약처, 점포, 배송 루트 및 레지스터의 입력을 행하게 하고, 이 입력에 따라 계약처 등록부(244)에 계약처를 등록시키고, 점포 등록부(245)에 계약처의 점포 및 배송 루트를 등록시키며, 레지스터 등록부(246)에 점포의 레지스터를 등록시킨다.
즉, 데이터 입력장치(36)에서 하나의 계약처(다른 계약처와 식별가능한, 예컨대 명칭)가 입력되면, 제어 본체부(243)는 계약처 등록부(244)에 이것을 기억시키고, 이어서 데이터 입력장치(36)에서 그 하나의 계약처에 대한 각 점포(같은 계약처의 다른 점포와 식별가능한, 예컨대 명칭)가 입력되면 점포 등록부(245)에 이들을 상기 하나의 계약처와 관련지어 기억시키고, 이들 각 점포의 배송 루트(다른모든 배송 루트와 식별가능한, 예컨대 명칭)가 입력되면 점포 등록부(245)에 이들을 상기 하나의 계약처와 관련지어 기억시키고, 데이터 입력장치(36)에서 상기 각 점포의 각각에 대한 각 레지스터(같은 점포의 다른 레지스터와 식별가능한, 예컨대 레지스터 번호)가 입력되면 레지스터 등록부(246)에 각 레지스터를 점포와 관련지어 기억시킨다. 이러한 등록이 필요한 모든 계약처에 대하여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계약처, 점포, 배송 루트 및 레지스터의 등록의 이미지로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지어진 계약처와 점포와 레지스터가 계층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각 점포에 병렬로 배송 루트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도 53에 있어서의 「A사」참조). 또한, 레지스터는 등록하지 않아도 되며,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약처와 점포가 계층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도 53에 있어서의 「B사」참조). 그리고, 레지스터가 계층의 최하층이 되는 경우에는 레지스터 중 하나가 단위 그룹이 되고, 또한 점포가 계층의 최하층이 되는 경우에는, 점포 중 하나가 단위 그룹이 된다(도 53에 있어서는 단위 그룹을 사각틀로 둘러싸서 표시하고 있다).
물론, 초기 등록 모드에서는 이미 기억되어 있던 데이터를 읽어 내고 수정하여 다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 계약처의 복수의 점포라도 배송절차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배송 루트가 따로 설정되고, 다른 계약처의 복수의 점포라도, 같은 배송 루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53에 있어서의 「α루트」「β루트」참조).
이어서, 거스름돈 데이터 등록 모드가 선택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그 제어 본체부(243)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거스름돈 데이터 등록 모드용 가이드 메뉴를 표시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초기 등록 모드에서 등록된 단위 그룹마다의 거스름돈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여기서, 제어 본체부(243)는,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를, 도 53에 이미지를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단위 그룹과 관련지어 거스름돈 데이터 기억부(247)에 기억시킨다. 또한, 거스름돈 데이터로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스름돈을 배송하는 「배송일」과 현금의 「각 종류마다의 수량」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배송일이 다른 거스름돈 데이터끼리는 현금의 각 종류마다의 수량이 공통되더라도, 서로 다른 거스름돈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이와 같이 거스름돈 데이터는 소정의 단위 그룹마다 입력되어 설정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하루 단위로 입력되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 거스름돈 데이터 등록 모드라도 이미 기억되어 있던 데이터를 읽어내고 수정하여 다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계약처의 하나를 단위 그룹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계약처 단위, 계약처의 점포 단위 및 점포의 레지스터 단위의 어느 것이라도 입력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한 현금의 종류란, 10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5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1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50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5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1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500엔 동전 20개의 동전팩, 만엔권 100장의 소묶음 지폐, 5000엔권 100장의 소묶음 지폐, 천엔권 100장의 소묶음 지폐, 만엔권의 낱장지폐, 5000엔권의 낱장지폐 및 천엔권의 낱장지폐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해 자동 작성할 대상은 아니지만,상기 거스름돈 데이터에는, 지불용으로 준비하는 만엔권 1000장(소묶음 지폐 10다발) 의 큰묶음, 5000엔권 1000장(소묶음 지폐 10다발)의 큰묶음, 천엔권 1000장(소묶음 지폐 10다발)의 큰묶음, 500엔 동전 2000개의 큰포대, 100엔 동전 4000개의 큰포대, 50엔 동전 4000개의 큰포대, 10엔 동전 4000개의 큰포대, 5엔 동전 4000개의 큰포대, 1엔 동전 5000개의 큰포대 등의 입력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대응관계 등록 모드가 선택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그 제어 본체부(243)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대응관계 등록 모드용 가이드 메뉴를 표시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초기등록 모드에서 등록된 각 점포마다 배송일을 기준으로 한 작성일의 대응관계를 설정 입력시킨다. 이 입력된 대응관계를 제어 본체부(243)는 대응관계 기억부(248)에 점포와 관련지어 기억시킨다. 여기서, 배송일을 기준으로 한 작성일의 대응관계는 바꾸어 말하면 배송일에 대하여 며칠전을 작성일로 할지의 여부이고, 이 대응관계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거스름돈 데이터로서 배송일이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작성일을 설정하게 되고, 이 설정한 작성일을 각 거스름돈 데이터의 일부로서 거스름돈 데이터 기억부(247)에 각각 배송일과 관련지어 기억한다.
즉, 거스름돈 데이터의 일부인 배송일을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작성일을 거스름돈 데이터의 일부로서 설정 등록하는 것이다.
물론, 이 대응관계 등록 모드에서도 이미 기억되어 있던 데이터를 읽어 내고 수정하여 다시 기억시킬 수 있다.
준비금 계수 모드가 선택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그 제어본체부(243)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준비금 계수 모드용 가이드 메뉴를 표시하고,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작성일을 입력시킨다.
그리고, 제어 본체부(243)는 이 입력된 작성일을 준비금 계산부(24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준비금 계산부(249)는, 입력된 작성일을 가지는 거스름돈 데이터를 거스름돈 데이터 기억부(247)로부터 모두 읽어 내어 집계하고, 그 작성일에 필요한 준비해야 할 화폐의 종류별 수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화폐의 종류별 수량을 작성일과 함께 인자장치(미도시)에 인자시킨다.
거스름돈 팩 작성 모드에는, 계약처별 작성 모드와 배송 루트별 작성 모드가 있고, 거스름돈 팩 작성 모드의 계약처별 작성 모드가 선택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그 제어 본체부(243)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계약처별 작성 모드용 가이드 메뉴를 표시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작성일 및 계약처를 입력시킨다.
그리고, 작성일 및 계약처가 입력되면, 제어 본체부(243)는 이 입력된 작성일 및 계약처를 계약처별 작성지시부(250)로 출력한다. 그러면, 계약처별 작성지시부(250)가 거스름돈 데이터 기억부(247)로부터 입력된 작성일 및 계약처의 거스름돈 데이터만을 읽어 내고, 이들 거스름돈 데이터를 제어본체부(243)로 출력한다.
거스름돈 팩 작성 모드의 배송 루트별 작성 모드가 선택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그 제어 본체부(243)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배송 루트별 작성 모드용 가이드 메뉴를 표시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작성일 및 배송 루트를 입력시킨다.
그리고, 작성일 및 배송 루트가 입력되면, 제어 본체부(243)는 이 입력된 작성일 및 배송 루트를 배송 루트별 작성지시부(251)로 출력한다. 그러면, 배송 루트별 작성지시부(251)는 거스름돈 데이터 기억부(247)로부터, 입력된 작성일 및 배송 루트의 거스름돈 데이터만을 읽어 내고, 이들 거스름돈 데이터를 제어 본체부(243)로 출력한다.
여기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와 팩 데이터 기억부(253)를 더 가지고 있다.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는, 거스름돈 팩 작성 모드에서 읽어낸 각 단위 그룹마다의 거스름돈 데이터가 제어 본체부(243)로부터 출력되는 것으로, 각 단위 그룹마다의 거스름돈 데이터에 관하여, 거스름돈 데이터에 대응하는 현금량(수량 또는 중량)을 사전에 계산함과 동시에, 그 현금량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은 경우에, 현금량이 기준값 이내로 유지되도록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하여 팩 데이터 기억부(253)에 기억시킨다.
즉,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는, 하나의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데이터에 대응하는 모든 현금량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고, 모든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거스름돈 데이터를 하나의 팩 데이터로서 상기 단위 그룹과 관련지어 기억시킨다. 한편, 모든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은 경우에는, 현금량이 기준치 이내가 되도록, 또한 동종의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동종은 동일한 팩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거스름돈 데이터를 가장 적은 수의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하여 단위 그룹과 관련짓고 또한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된 것과 맞추어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 모든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를, 도 5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54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전팩만의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는 경우로 하고, 각 동전팩 각각에 대하여 30개를 기준값으로 하고 있다.
우선, 모든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에는, 각 종류마다 현금량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동종의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에는, 이 동종의 현금량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그 종류의 거스름돈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데이터를 작성한다.(도 54에 있어서는, 거스름돈 데이터에 있어서 10엔의 동전팩만이 50개로 기준값 30개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 10엔의 동전팩을 30개와 20개로 분할하고 있다). 한편, 동종의 현금이 기준값을 넘지 않은 종류의 것에 대해서는, 거스름돈 데이터를 각 종류별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데이터를 작성한다(도 54에 있어서는 10엔 이외의 동전팩이 여기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렇게 작성된 분할 데이터는, 다른 종류의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된다.
그리고, 데이터수가 최소가 되도록 분할 데이터들을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시킨다(도 54의 팩 데이터 참조).
이와 같이 작성된 분할 데이터와 분할 데이터간의 조합이 모두 팩 데이터로서 단위 그룹과 관련지어져 팩 데이터 기억부(253)에 기억된다. 이 때, 동일한 단위 그룹의 팩 데이터에는 각각 분할된 모든 수와, 분할된 다른 것과의 식별용 번호가 붙여진다.
그리고, 이러한 팩 데이터를 모든 단위 그룹에 대하여 작성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의 제어내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처음으로,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의해서 준비금 계수 모드가 선택되어 미리 작성일이 입력되고, 상기 작성일에 필요한 준비해야 할 화폐의 종류별 수량이 계산되어 인자되고, 이 인자된 준비금 데이터에 따라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동전팩(C)이 되는 낱개의 동전, 소묶음지폐(S1)가 소정위치에 미리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의해 거스름돈 팩 작성 모드가 선택되고, 계약처별 작성 모드 혹은 배송 루트별 작성 모드가 선택되어 작성일이 입력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모드에 맞추어 각 단위 그룹마다의 거스름돈 데이터를 거스름돈 데이터 기억부(247)로부터 읽어 내고,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에 의해 팩 데이터의 작성을 행하게 한다.
한편,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에 지령을 출력하고, 반출표 발행장치에서 백에 대한 반출표를 인쇄시킨다. 여기서, 단위 그룹이 점포인 경우, 반출표에는 계약처와 점포가 인쇄되고, 단위 그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도 인쇄된다. 또한, 단위 그룹이 레지스터인 경우, 반출표에는 계약처, 점포, 레지스터가 인쇄되고, 단위 그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도 인쇄된다.
그리고, 모든 거스름돈 데이터가 팩 데이터가 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먼저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a))에 대하여 첫 팩 데이터를 대응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차례로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는 콘테이너(12)에 대하여 하나씩 팩 데이터를 대응시키게 된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하나의 팩 데이터는, 하나의 콘테이너(12)에 의해서 거스름돈 팩(P)이 작성될 때까지는 상기 콘테이너(12)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콘테이너(12)에 대하여 항상 대응되게 된다. 또한, 팩 데이터는, 같은 단위 그룹인 것은 정리되고 부여된 번호순으로 콘테이너(12)에 대응된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하부시트 공급 배치제어부(60)에 지령을 출력하고, 하부시트 공급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a))에 대하여 하부시트 공급장치(14)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15)에 의해 하부시트(BS)를 공급하고 배치하여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팩 데이터를 갖는 콘테이너(12)에는 모두 하부시트(BS)가 공급 배치되게 된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동전팩 투입제어부(98)로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1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b))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6)에 의해 100엔 동전 50개 묶음 동전팩을 그 콘테이너(12(12b))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동전팩 투입제어부(99)에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2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c))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7)에 의해 5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을 그 콘테이너(12(12c))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동전팩 투입제어부(100)에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3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d))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8)에 의해 1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을 그 콘테이너(12(12d))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동전팩 투입제어부(101)로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4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e))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19)에 의해 50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을 그 콘테이너(12(12e))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동전팩 투입제어부(102)로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5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f))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20)에 의해 500엔 동전 20개 묶음의 동전팩을 그 콘테이너(12(12f))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동전팩 투입제어부(l03)로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6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l2g))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21)에 의해 5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을 그 콘테이너(12(12g))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로 지령을 출력하고, 소묶음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h))에 대하여 상기 콘테이너(12(12h))에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에 의해 소묶음지폐를 그 콘테이너(12(12h))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또한, 동전팩 투입제어부(104)에 지령을 출력하고, 동전팩 장전 제7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i))에 대하여 동전팩 투입장치(23)에 의해 1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을 상기 콘테이너(12(12i))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장전시킨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에 지령을 출력하고,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j))에 대하여,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의해 낱장지폐를 그 콘테이너(12(12j))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만큼 한번 떠는 여러번으로 나누어 투입시킨다. 그러면, 작업자가 투입된 낱장지폐를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j))에 장전시킨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장전조정 제어부(168)로 지령을 출력하고, 조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k))에 대하여, 센서(172)로 동전팩의 장전상태를 검출시키고, 상기 센서(172)에 의해 동전팩이 검출되면, 동전팩의 장전상태가 불량하다고 판정하여, 구동장치(170)에 의해 조정부재(171)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정부재(171)가 적재된 동전팩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이것을 옆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압압하여 흩뜨려 장전상태를 조정한다.
여기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라벨 인자 첩부제어부(204)로 지령을 출력하고, 콘테이너(12)에 대응된 팩 데이터 순으로 라벨 인자 첩부장치(26)에 팩 데이터의 내용의 인자를 행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인자의 내용 데이터로는, 단위 그룹이 점포인 경우, 해당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계약처와, 점포와, 현금의 각 종류마다의 수량과, 각 종류마다의 수량에 따라 산출되는 거스름돈 팩의 계산상의기준중량과, 단위 그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가 인쇄된다.
한편, 단위 그룹이 레지스터인 경우, 해당하는 팩 데이터에 포함되는 계약처와, 점포와, 레지스터와, 현금의 각 종류마다의 수량과, 각 종류마다의 수량에 따라 산출되는 거스름돈 팩의 계산상의 기준 중량과, 단위 그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가 인쇄된다.
여기서, 단위 그룹이 어떠한 것이라도,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데이터가 복수로 분할된 것 중 하나의 팩 데이터인 경우에는, 분할되어 있다는 식별표시로서, 분할된 모든 수가 분모가 되고, 분할된 다른 것과의 식별용 번호가 분자로 된 분수가 인자되는 한편,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데이터가 하나의 팩 데이터가 된 경우에는, 이러한 분수의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라벨 인자 첩부제어부(204)로 지령을 출력하고, 이러한 라벨(L)을 상부시트(TS)의 상기 레벨(L)에 대응하여,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에 대하여 인출되는 부분에 라벨 인자 첩부장치(26)로 첩부시킨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상부시트 공급 접착제어부(180)에 대하여 지령을 출력하고,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의 하부시트(BS)의 상측에 장전된 현금을 덮도록 상기 라벨(L)이 첩부된 상부시트(TS)를 상부시트 공급장치(25)에 의해 공급시킨다. 그리고, 접착장치(27)에 의해 상부시트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m))의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를 전후에서 접착시키고, 세로 접착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n))의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를 좌우에서 접착시킨다.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이송제어부(215)에 대하여 지령을 출력하고, 이송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o))로부터 거스름돈 팩(P)을 리프팅장치(28)로 들어 올려 이송장치(29)에 의해 체크장치(30)의 벨트 콘베이어(234)로 이송시킨다.
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236)는, 이송된 거스름돈 팩(P)의 팩 데이터의 각 종류별 수량으로부터 그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 기준 데이터와 중량계량부(235)에서 검출된 실제의 계량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이들의 오차가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내이면, 이 거스름돈 팩(P)에 있어서는, 벨트 콘베이어(234)를 구동하여 하류측의 백 팩킹 체크대(238)로 반출한다.
또한, 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236)는, 실제의 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장치에 실제의 계량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그 결과, 작업자는 이 계량 데이터와 거스름돈 팩에 첩부된 라벨(L)에 기재된 계산상의 중량 데이터를 보고 오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시트 공급 배치제어부(60), 각 동전팩 투입제어부(98∼104), 소묶음지폐 투입제어부(123), 낱장지폐 투입제어부(163), 장전조정 제어부(168), 상부시트 공급 접착제어부(180), 이송제어부(215) 및 거스름돈 팩 체크제어부(236)로부터 출력되는 이동허용신호의 각각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받으면 ON되는 이동제어 플래그를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가지고 있고, 이상의 콘테이너(12)에 관계되는 각 장치의 작동이 완료되고, 모든 이동제어 플래그가 ON되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콘베이어 구동제어부(54)에 지령을 출력하여 콘테이너(12)를 1피치만큼 이동시킨다. 한편, 1피치만큼 콘테이너(12)를 이동시키면,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이동제어 플래그를 모두 OFF시킨다.
이상에 의해, 콘테이너(12)에 하부시트 공급장치(14) 및 하부시트 배치장치(15)에 의해 하부시트(BS)가 배치되면, 그 콘테이너(12)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따라 이동순으로 동전팩 투입장치(16)로부터 10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고, 동전팩 투입장치(17)로부터 5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며, 동전팩 투입장치(18)로부터 1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된다.
또한, 이동순으로 동전팩 투입장치(19)로부터 500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고, 동전팩 투입장치(20)로부터 500엔 동전 2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며, 동전팩 투입장치(21)로부터 5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고,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로부터 소묶음지폐가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며, 낱장지폐 투입장치(32)로부터 낱장지폐가 작업자에 의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되고, 동전팩 투입장치(23)로부터 1엔 동전 50개 묶음의 동전팩이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필요에 따라 장전된다.
또한, 이동순으로 장전조정장치(24)에 의해 필요에 따라 장전상태가 조정되고, 그 콘테이너(12)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따른 인자가 이루어진 라벨(L)이 라벨 인자 첩부장치(26)에 의해 첩부된 상부시트(TS)가 상부시트 공급장치(25)에 의해 하부시트(BS) 상에 현금을 덮도록 공급되고, 또한 접착장치(27)에 의해 앞뒤가 접착되며, 이어서 접착장치(27)에 의해 좌우가 접착되고, 이송장치(29)에 의해 체크장치(30)로 이동되어 중량 체크가 행해지고 백 팩킹 체크장치(31)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거스름돈 팩(P)의 백 팩킹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서는, 직전의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의 백 팩킹의 완료를 나타내는 확인신호가 출력되면, 백 팩킹 체크장치(31)에 체크장치(28)로부터 다음에 반출될 거스름돈 팩(P)의 단위 그룹을 산출하고,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로 출력한다. 그러면,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는, 백을 준비해야 할 상기 단위 그룹을 표시장치(240)에 표시시킨다. 즉 단위 그룹이 점포인 경우에는 계약처와 점포를 표시시키는 한편, 단위 그룹이 레지스터인 경우에는 계약처, 점포 및 레지스터를 표시시킨다.
그러면, 작업자는 이 표시와 같은 단위 그룹이 기재된 반출표가 첨부된 백을 준비하고, 상기 반출표의 바코드 데이터를 스캐너(239)로 읽어 들여 입력시킨다. 그러면,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는, 그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단위 그룹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단위 그룹과 표시장치(240)에 표시한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한다는 표시를 표시장치(240)에 행하게하고, 또한 일치시 특유의 소리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백의 단위 그룹과 표시장치(240)에 표시한 단위 그룹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일치한다는 표시를 표시장치(240)에 행하도록 하고, 또한 불일치시 특유의 소리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거부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올바른 백의 바코드 데이터를 읽어 들이게 함으로써 상기한 일치시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준비한 백의 단위 그룹과 표시장치(240)에 표시한 단위 그룹이 일치하면,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는 체크장치(30)로부터 반출되어 온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한다. 그리고, 이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가 작업자에 의해 스캐너(239)로 읽어들여져 입력되면, 그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단위 그룹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단위 그룹과 준비한 백의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들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한다는 표시를 표시장치(240)에 행하도록 하고, 또한 일치시 특유의 소리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이 단위 그룹이 복수의 팩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백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거부하고 또한 같은 단위 그룹의 다음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이 단위 그룹이 하나의 팩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거부하고 또한 다음 백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하는 상태로 됨과 동시에, 표시장치(240)에 이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의 백 팩킹이 완료되었다는 표시를하게 하고,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이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의 백 팩킹이 완료되었다는 확인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거스름돈 팩(P)의 단위 그룹과 준비한 백의 단위 그룹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일치한다는 표시를 표시장치(240)에 행하게 하고 또한 불일치시 특유의 소리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다음 거스름돈 팩(P) 혹은 백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거부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올바른 거스름돈 팩의 바코드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함으로써 상기한 일치시의 상태가 된다.
또한, 단위 그룹이 복수의 팩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가 입력되면, 같은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가 모두 읽어들여져 입력될 때까지, 다른 백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거부하고 또한 같은 단위 그룹의 다음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고, 같은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의 바코드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면, 다른 거스름돈 팩(P)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거부하고 또한 다음 백의 바코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표시장치(240)에 이 단위 그룹의 모든 거스름돈 팩(P)의 백 팩킹이 완료되었다는 표시를 하게 하고, 또한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이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의 백 팩킹이 완료되었다는 확인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시트 공급장치(14)에 의해서 공급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 공급장치(25)에 의해서 공급된 상부시트(TS)를 이들 사이에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 및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장치(27)에 의해 접착시켜서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하게 되므로, 작성된 거스름돈을 자루로 옮기는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루 대신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로 거스름돈 팩(P)의 팩 부재를 작성하므로, 팩 부재 자체의 원가를 줄일 수 있고,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로부터 하부시트(BS) 상으로 동전팩을 투입할 때 그 낙하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동전팩의 부러짐이나 무너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크장치(30)가 작성된 거스름돈 팩(P)의 중량을 계량하고, 그 계량 데이터와,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입력된 팩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게 되므로, 작성 오류가 발생한 거스름돈 팩(P)이 그대로 흘러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테이너(12)가 하부시트(BS)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오목부(44)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시트(BS)를 사용하더라도, 하부시트(BS)가 펼쳐진 오목부(44)에 의해 현금이 탈락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한다. 따라서, 저렴한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확실하게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 및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가 콘테이너(12)의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콘테이너(12)에 보유된 하부시트(BS)에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 및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로부터 차례로 현금을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하부시트(BS)에 대한 모든 현금의 투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거스름돈 팩(P)에는 자동적으로 그 거스름돈 팩(P)에 대응하는 단위 그룹, 현금의 각 종류마다의 수량 등의 내용 데이터가 기재된 라벨(L)이 첩부되게 되므로, 이러한 내용 데이터를 기재한 명세표를 동봉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거스름돈 팩(P)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라벨(L)에 인자하는 내용 데이터에 포함하므로, 작성된 거스름돈 팩(P)의 라벨(L)로부터 그 거스름돈 팩(P)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체크장치(30)를 없애고 거스름돈 팩(P)의 실제 중량의 비교를 사람의 손으로 행할 경우에도,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묶음지폐(S1)를 투입하는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 및 동전팩(C)을 투입하는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를 가지고 있으므로, 낱장지폐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묶음지폐(S1) 및 동전팩(C)을 포함한 거스름돈 팩(P)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는,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동전팩(C)을 작성하는 동전포장기(94)를 가지고 있으므로, 회수한 낱개의 동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의해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거스름돈데이터 분할부(252)가 그 거스름돈 데이터에 대응하는 현금량을 사전에 계산함과 동시에, 그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 현금량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한다. 그리고,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에 의해서 거스름돈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에는, 분할된 각 팩 데이터마다의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금량이 많은 것이 계산상 얻어진 경우, 그 현금을 복수의 거스름돈 팩(P)으로 분할하게 되므로, 수량이 많아 팩 부재에 다 수용할 수 없어 넘치거나, 중량이 무거워져 팩 부재가 이송장치(29)로부터 탈락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확실하게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가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할 때, 동종의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동종은 동일한 팩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분할하므로, 거스름돈 데이터 분할부(252)에서 분할된 각 팩 데이터마다의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하더라도, 다른 거스름돈 팩(P)에 걸쳐 동종의 현금이 수용되는 것이 동종의 현금량이 기준값을 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없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거스름돈 팩(P)으로 분할되었을 때, 다른 거스름돈 팩(P)에 걸쳐 동종의 현금이 수용됨으로써 발생하는, 예컨대 수량의 오인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벨 인자 첩부장치(26)가, 거스름돈 데이터가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거스름돈 데이터의 내용이 인자된 라벨(L)을 대응하는 거스름돈 팩(P)에 첩부상태로 하는 한편, 거스름돈 데이터가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각 팩 데이터의 내용이 인자된 각 라벨(L)을 각각 대응하는 거스름돈 팩(P)에 첩부상태로 하므로, 각 거스름돈 팩(P)에 수용된 현금의 내용을 라벨(L)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거스름돈 팩(P)의 내용을 각각에 첩부된라벨(L)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라벨 인자 첩부장치(26)가,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기준 중량을 대응하는 라벨(L)에 인자하는 한편,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각 팩 데이터의 각각에 따라 산출되는 각 기준 중량을 대응하는 라벨(L)에 인자하므로, 각 거스름돈 팩(P)에, 수용된 현금의 기준 중량을 라벨(L)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거스름돈 팩(P)의 기준 중량을 각각에 첩부된 라벨(L)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라벨 인자 첩부장치(26)가,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하였는지의 식별(상기의 경우 분수)을 라벨(L)에 인쇄함과 동시에, 거스름돈 데이터를 복수의 팩 데이터로 분할한 경우에는, 이들 팩 데이터의 각 다른 라벨(L)에 공통의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른 것이라는 표시(분수의 분모)를 인쇄하므로, 거스름돈 팩(P)의 라벨(L)로부터 그 거스름돈 팩(P)은 복수로 분할된 것 중 하나인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로 분할된 것인 경우에는 분할된 다른 것이 어느 것인지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뒤따르는 마무리 분류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포단위로 거스름돈 데이터를 입력하면, 점포단위로 거스름돈 팩(P)이 필요에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작성되고, 레지스터 단위로 거스름돈 데이터를 입력하면, 레지스터 단위로 거스름돈 팩(P)이 필요에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작성되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작성단위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테이너(12(12a))의 상측에 하부시트 공급장치(14)로부터 공급된 하부시트(BS)가 배치되면, 하부시트 압입부(80)가 오목부(44)에 대하여 진입하여 콘테이너(12(12a)) 상에 배치된 하부시트(BS)를 콘테이너 본체(38)의 오목부(44)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하부시트 삽입부(81)가, 오목부(44)에 삽입된 하부시트(BS)의 오목부(44)로부터 돌출되는 측의 끝테두리부를 콘테이너 본체(38)와 누름 부재(50) 사이의 위치에 삽입시킨다. 그 결과, 하부시트(BS)가 오목부(44)를 따라 상자모양이 됨과 동시에 오목부(44)로부터 돌출하는 끝테두리부가 로킹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자모양으로 된 하부시트(BS)에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에 의해 동전팩(C)을 투입함으로써, 동전팩(C)의 낙하높이를 더욱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동전팩(C)에 발생하는 부러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시트 삽입부(81)가 하부시트(BS)의 끝테두리부를 콘테이너(12(12a))의 콘테이너 본체(38)와 누름부재(50)와의 사이에 삽입하기 전에, 구동장치(83)가 누름부재(50)를 콘테이너 본체(38)의 삽입고정면(52)에 대하여 이격시키므로, 하부시트 삽입부(81)에 의한 하부시트(BS)의 끝테두리부의 삽입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83)가, 하부시트 삽입부(81)가 하부시트(BS)의 끝테두리부를 콘테이너 본체(38)와 누름부재(50) 사이의 위치에 삽입한 후 누름부재(50)를 콘테이너 본체(38)의 삽입고정면(52)에 대하여 근접시키므로, 이들 사이위치에 삽입된 하부시트(BS)의 끝테두리부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시트(BS)의 끝테두리부를 콘테이너 본체(38)와 누름부재(50)와의 사이위치에 확실하게 삽입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삽입한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시트 인출장치(57)가 긴 자모양의 하부시트(BS)를 삽입고정하여 콘테이너(12(12a))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하부시트(BS)를 콘테이너(12(12a))의 상측으로 인출한 후, 하부시트 절단장치(59)가 하부시트(BS)의 콘테이너(12(12a))에 있어서의 상류측을 절단하고, 콘테이너(12(12a))에 대하여 하부시트(BS)를 공급한다. 따라서, 미리 콘테이너(12(12a))에 맞추어 절단한 상태의 하부시트(BS)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하부시트(BS)의 원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부시트 로킹장치(58)가 하부시트 인출장치(57)에 의해서 인출된 하부시트(BS)의 콘테이너(12(12a))에 있어서의 하류측을 로킹하면, 하부시트 인출장치(57)가 하부시트(BS)로의 삽입고정을 해제하여 콘테이너(12(12a))의 상류측으로 되돌아가 하부시트(BS)의 콘테이너(12(12a))에 있어서의 상류측을 삽입고정한다. 그리고, 하부시트 절단장치(59)에 의해 하부시트(BS)를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시트 인출장치(57)가 하부시트(BS)의 형상을 유지하며 말림 등을 방지하므로, 하부시트(BS)를 확실하게 하부시트 절단장치(59)에 의해서 절단시킬 수 있고, 또한 하부시트 인출장치(57)가 복귀함으로써, 이어지는 하부시트(BS)의 인출에 바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의 동전포장기(94)가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원기둥 모양의 동전팩(C)을 작성함과 동시에 상기 동전팩(C)을 그 축선방향을 메인 콘베이어(11)의 연장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상태로 방출하면, 그 동전팩(C)은 그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전팩 콘베이어(95)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96)에 의해 축선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후, 메인 콘베이어(11)에 부착된 콘테이너(12)에 계수투입장치(97)에 의해 투입된다. 이와 같이, 동전팩(C)은 가이드 부재(96)에 의해 축선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로 콘테이너(12)로 방출되므로, 동전팩(C)의 방출위치가 안정되게 된다. 따라서, 동전팩(C)을 확실하게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동전포장기(94), 동전팩 콘베이어(95), 가이드 부재(96) 및 계수투입장치(97)로 이루어지는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는 각각 한 종류의 현금에 대하여 한쌍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동전팩 투입장치(16∼19, 21, 23)가 모든 종류의 현금별로 나뉘어 마련되어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동전팩을 거스름돈으로서 준비할 때, 모든 동전팩을 항상 부족하지 않도록 공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모든 종류의 동전팩의 위치를 정한 상태에서 콘테이너(12)로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전팩(C)의 공급의 작업에 요하는 노동력을 줄일 수 있고, 복잡한 제어도 불필요하며, 또한 모든 종류의 동전팩(C)을 확실하게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는, 각 현금의 종류별 수납부(133∼136)로부터 투입장치(119)가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한 다발씩 소묶음지폐(S1)를 투입하면, 파지반송장치(122)가 그 소묶음지폐(S1)를 파지하여 대응하는 콘테이너(l2(12h))에 장전시킨다. 따라서, 소묶음지폐(S1)의 반송에 사람의 손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파지반송장치(122)가 각 현금 종류별 소묶음지폐(S1)의 전부에 대하여 하나 마련되므로,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정렬장치(121)가 투입장치(119)에 의해 투입된 소묶음지폐(S1)의 위치를 정렬하게 되므로, 파지반송장치(122)에 의해서 소묶음지폐(S1)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묶음지폐(S1)를 확실하게 콘테이너(12(12h))에 장전할 수 있다.
또한, 파지반송장치(122)가 대응하는 콘테이너(12(12h)) 내에서의 소묶음지폐(S1)의 장전위치를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변경하므로, 콘테이너(12(12h)) 내의 장전 스페이스에 치우친 상태로 소묶음지폐(S1)가 장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테이너(12) 내의 장전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소묶음지폐 (S1)를 장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반송장치(122)가 대응하는 콘테이너(12(12h)) 내에서의 소묶음지폐(S1)의 장전자세를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변경하고자 하면, 다른 동전팩(C) 등과 간섭되어 버리는 등의 경우에, 소묶음지폐(S1)의 장전자세를 변경하여 다른 동전팩(C) 등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콘테이너(12(12h)) 내에 장전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테이너(12(12h)) 내의 장전 스페이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소묶음지폐(S1)를 장전할 수 있다.
또한, 낱장지폐 투입장치(32)가, 콘테이너(12)가 소정의 낱장지폐 장전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그 콘테이너(12(12j))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따른 낱장지폐를 계수하면서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콘베이어 구동제어부(54)가, 확인 버튼(165)의외부조작에 따라 콘베이어(12)의 이동을 제어하므로, 낱장지폐의 투입이 완료하여 작업자에 의해 확인 버튼(165)에 외부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소정의 낱장지폐 장전위치에서 콘베이어(12)를 정지시켜 둠으로써, 낱장지폐 투입장치(32)에 의해서 투입된 낱장지폐가 투입되지 않고 콘테이너(12)가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낱장지폐를 사람의 손에 의해 콘테이너(12(12j))로 투입시킬 때, 정확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낱장지폐 투입장치(32)는, 투입해야 할 낱장지폐의 총 지폐량이 소정량을 넘는 경우에는, 한번의 투입에 의해 투입되는 지폐량이 소정량 이내가 되도록 여러번으로 분할하여 투입을 행하므로, 낱장지폐를 기본적으로는 제한없이 거스름돈용으로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거스름돈용으로 낱장지폐가 대량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더구나, 낱장지폐를 여러번으로 분할하여 투입할 때 현금 종류별로 분할하여 투입하게 되므로, 낱장지폐를 종류별로 콘테이너(12(12j))에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낱장지폐를 종류별로, 예컨대 고무 밴드 등으로 구분하여 콘테이너(12(12j))에 투입하는 것 등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분할경보장치(166)는, 낱장지폐를 여러번으로 분할하여 투입할 때 경보를 하게 되므로, 분할하여 투입이 행해지는 것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분할 투입인 것을 인식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낱장지폐 투입장치(32)는, 낱장지폐를 여러번으로 분할하여 투입할때, 한번의 투입 후 확인 버튼(165)에 외부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다음의 투입을 규제하므로, 먼저 투입된 낱장지폐가 꺼내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낱장지폐가 투입되어서 이들이 서로 섞여버리는 일이 없다. 더구나, 콘베이어 구동제어부(54)가 마지막 투입 후 확인 버튼(165)에 외부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콘테이너(12)의 이동을 규제하므로, 분할 투입 도중 콘베이어(12)가 이동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낱장지폐를 여러번으로 분할하여 투입할 때에도, 예컨대 낱장지폐를 구분하여 콘테이너(12)에 투입하는 것 등이 용이하고 확실할 뿐만 아니라, 모든 낱장지폐를 확실하게 콘테이너(12(l2j))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접착장치(27)에 의해 현금이 수용된 오목부(44)의 외측에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를 접착시키게 되므로, 현금이 접착부분에 끼워져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저렴한 시트를 사용하여도 확실하게 거스름돈 팩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시트(BS)는 오목부(44)의 외측 부분이 콘테이너 본체(38)의 삽입고정면(52)과 하부시트 누름부재(50)에 의해 눌려지므로, 그 외측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접착장치(27)가, 콘테이너 본체(38)의 오목부(44)보다 외측, 그리고 누름부재(50)보다 내측에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를 접착시키므로, 하부시트 누름부재(50)를 마련하여도, 거스름돈 팩(P)을 하부시트 누름부재(50)와 콘테이너 본체(38)의 간극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가로방향 접착부(206) 및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서로 다른 장소에서 작동시킴으로써, 가로방향 접착부(206)에 의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의 접착과, 세로방향 접착부(207)에 의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의 접착을 따로따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의 접착과 좌우의 접착의 교차부분도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어, 접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더구나, 가로방향 접착부(206) 및 세로방향 접착부(207)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의 접착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부시트 인출장치(177)가 긴 자모양의 상부시트(TS)를 삽입고정하여 콘테이너(12(12m))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상부시트(TS)를 콘테이너(12(12m))의 상측으로 인출한 후, 상부시트 절단장치(179)가 상부시트(TS)의 콘테이너(12(12m))에 있어서의 상류측을 절단하고, 콘테이너(12(12m))에 대하여 상부시트(TS)를 공급한다. 따라서, 미리 콘테이너(12(12m))에 맞추어 절단한 상태의 상부시트(TS)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기 상부시트(TS)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시트 로킹장치(178)가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에 의해 인출된 상부시트(TS)의 콘테이너(12(12m))에 있어서의 하류측을 로킹하면, 상부시트 인출장치(177)가 상부시트(TS)의 삽입고정을 해제하고 콘테이너(12)의 상류측으로 되돌아가 상부시트(TS)의 콘테이너(12(12m))에 있어서의 상류측을 삽입고정한다. 그리고, 상부시트 절단장치(179)에 의해 상부시트(TS)를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시트 인출장치(177)가 상부시트(TS)의 형상을 유지하여 말림 등을 방지하므로, 상부시트절단장치(179)에 의해 상부시트(TS)를 확실하게 절단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부시트 인출장치(177)가 되돌아감으로써, 이어지는 상부시트(TS)의 인출에 바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장치(28)는, 작성된 거스름돈 팩(P)을 콘테이너(12(12o))의 오목부(44)의 저면부(42)로부터 핀 부재(217)를 돌출시킴으로써 오목부(44)로부터 들어 올리게 되고, 이 상태로 이송장치(29)가 거스름돈 팩(P)을 유지하면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오목부(44) 내에 형성된 거스름돈 팩(P)을 핀 부재(217)로 오목부(44)로부터 밖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이송장치(29)에 의한 유지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저렴한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로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하여도, 이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29)는 핀 부재(217)에 의해 들어 올려진 거스름돈 팩(P)을 빗살모양의 지지부(225)가 핀 부재(217) 사이로 들어간 후 상승함으로써 퍼 올려 이송시킨다. 따라서, 형상이 불안정한 거스름돈 팩을 아래쪽으로부터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29)에 의해 거스름돈 팩(P)을 자동적으로 체크장치(30)로 이송시켜 그 체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체크장치(30)에서는, 맞다고 판정된 거스름돈 팩(P)을 후속 공정에 자동적으로 반출하게 되므로, 인건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백 팩킹 체크장치(32)는, 준비해야 할 단위 그룹용 백의 데이터를 표시장치(240)에서 표시시키고, 작업자가 이것을 보고 대응하는 백을 준비하면, 이백에 대하여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가 단위 그룹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백의 단위 그룹과 표시장치(240)에 표시된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따라서, 백의 단위 그룹이 표시장치(240)에 표시된 단위 그룹과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그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에서 백의 단위 그룹과 표시장치(240)에 표시된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작업자는 이 백과 일치하는 단위 그룹의 거스름돈 팩(P)을 준비한다. 그리고, 이 거스름돈 팩(P)에 대하여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가 단위 그룹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거스름돈 팩(P)의 단위 그룹과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에서 인식된 백의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따라서, 거스름돈 팩(P)의 단위 그룹이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에서 인식된 백의 단위 그룹과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 등을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그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성된 거스름돈 팩(P)을 대응하는 백에 확실히 채울 수 있다.
또한, 백에 반출표를 미리 첨부해 둠으로써, 작업자가 준비한 백의 반출표의 바코드를 스캐너(239)로 읽어들이면,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가 그 바코드 데이터로부터 단위 그룹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단위 그룹과 표시장치(240)에 표시된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백의 단위 그룹 인식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거스름돈 팩(P)에 라벨(L)을 미리 첨부해 두므로, 작업자가 준비한 거스름돈 팩(P)의 라벨(L)의 바코드를 스캐너(239)로 읽어들이면,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가 상기 바코드 데이터로부터 단위 그룹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단위 그룹과백의 단위 그룹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거스름돈 팩(P)의 그룹 인식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백용과 거스름돈 팩용이 하나의 스캐너(239)로 공용되고 있으므로, 원가를 줄일 수 있고, 대응하지 않는 스캐너로 읽어들이려고 하는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용과 거스름돈 팩용이 하나의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로 공용되고 있으므로,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백의 단위 그룹과 일치하는 단위 그룹의 모든 거스름돈 팩(P)을 백 팩킹 체크제어부(241)가 인식하면, 표시장치(240)가 표시를 행하게 되므로, 백에 넣어야 할 거스름돈 팩(P)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잊어버리고 안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백에 넣어야 할 거스름돈 팩(P)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모든 거스름돈 팩(P)을 확실하게 백에 채울 수 있다.
또한, 장전조정장치(24)가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에 의해 콘테이너(l2(12k))의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에 투입된 현금의 장전상태를 조정하게 되므로, 현금의 장전불량으로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를 양호하게 접착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를 항상 양호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더구나, 장전조정장치(24)는 콘테이너(12(12k))의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으로 투입된 현금의 장전상태가 불량인 것이 센서(172)에 의해 검출된 경우, 구동장치(170)에 의해 조정부재(171)로 그 현금의 장전상태를 조정하게 되므로, 현금의 장전상태가 양호한 상태에서는 조정부재(171)를 작동시키는 일이없다. 따라서, 구동장치(170)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키지 않으므로,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데이터 입력장치(36)가 점포단위 및 레지스터 단위로 거스름돈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하루 단위로 거스름돈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날짜에 따라 다른 거스름돈을 준비해야 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거스름돈 팩(P)의 배송일과 작성일의 대응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입력장치(36)에 의해서 배송일을 입력하면, 최적의 작성일이 자동적으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배송일이 정해지면 자동적으로 최적의 작성일에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작성일을 입력하면, 준비금 계산부(249)가 이 작성일에 작성해야 할 거스름돈의 모든 거스름돈 데이터를 집계하여 준비해야 할 화폐의 종류별 수량을 계산하게 되고, 인자장치(미도시)가 준비금 계산부(249)에서 계산된 화폐의 종류별 수량을 인자하게 되므로, 작성일 전에 필요한 준비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계약처별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고자 할 경우, 계약처별 작성지시부(251)에 계약처를 입력시키면, 그 계약처별 작성지시부(25)가 입력된 계약처의 거스름돈 데이터를 모두 읽어내고, 이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제어 본체부(243)가 그 계약처의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계약처별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점포등록부(245)가 점포와 함께 배송 루트를 등록할 수 있으므로, 거스름돈 팩(P)의 배송 루트를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배송 루트별로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하고자 할 경우, 배송 루트별 작성지시부(251)에 배송 루트를 입력시키면, 그 배송 루트별 작성지시부(251)가 입력된 배송 루트의 거스름돈 데이터를 모두 읽어내고, 이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제어본체부(243)가 그 배송 루트의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배송 루트별로 거스름돈 팩(P)을 작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거스름돈 작성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 55∼도 65를 참조하여 이하에 제1실시예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레이아웃이 약간 변경되어 있다. 즉,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10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16), 5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17), 1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18), 500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19), 5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21), 500엔 동전 2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20), 1엔 동전 50개의 동전팩 투입용 동전팩 투입장치(23),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전경보장치와 확인 버튼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낱장지폐 투입제어부(현금 투입수단, 낱장지폐 투입수단;l63)에 의해서 제어되는 낱장지폐 투입장치(현금 투입수단, 낱장지폐 투입수단;32)으로부터 집적장태로 투입된 낱장지폐(S2)를 상부시트(TS)를 팩 시트로서 사용하여 팩킹하고 낱장지폐팩부(P1)를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가 마련된다.
이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시트 공급장치(25)의 지지부(176)와 인출아암(183)과의 사이에, 라벨 인자 첩부장치(26)보다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는, 옆쪽에 마련된 낱장지폐 투입장치(32)로부터 집적상태로 투입된 낱장지폐를 파지할 수 있는 핸드(256)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핸드(256)는 그 개방측을 하측으로 하고, 낱장지폐(S2)의 길이 방향을 Y방향을 따르게 하며, 또한 하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파지함과 동시에, 이 자세(이하, 승강자세라 함)로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는 상부시트(TS)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핸드(256)의 승강범위에 대하여 앞뒤로 배치되고 상호 근접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지지대(257)와, 이들 지지대(257)의 아래쪽에 핸드(256)의 승강범위에 대하여 앞뒤로 배치되고 상호 근접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실부(258)와, 이들 실부(258)의 아래쪽에 핸드(256)의 승강범위에 대하여 앞뒤로 배치되고, 상호 근접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삽입고정부(259)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지대(257)들은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는 위치까지 근접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시트(TS)의 지지대(257)의 위치에 있는 부분이 어느 콘테이너(12)에 대하여 펼쳐지는 부분인지는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상부시트(TS)의 지지대(257)의 위치에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팩 데이터에 따라, 낱장지폐 투입장치(32)가 낱장지폐(S2)를 집적상태로 투입하게 한다. 그러면,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가 핸드(256)에 의해 이 낱장지폐(S2)를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핸드(256)를 승강자세로 한다(도 57 참조). 그리고, 지지대(257)를 근접시켜 실부(258)를 이격시키고, 삽입고정부(259)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핸드(256)를 승강자세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핸드(256)는 지지대(257)들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도록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지지대(257) 상에 펼쳐진 상부시트(TS)를 낱장지폐(S2)로 아래쪽으로 압압한다. 그 결과, 상부시트(TS)는 하류측이 인출아암(183)에 의해 삽입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부(176) 측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낱장지폐(S2) 및 핸드(256)의 지지대(257) 사이의 통과를 허용한다. 그리고, 낱장지폐(S2)가 실부(258)보다 하측이 되는 소정위치까지 핸드(256)가 하강한다. 이 때, 상부시트(TS)는 지지대(257)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낱장지폐(S2)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절곡된 상태가 된다(도 58 참조).
이어서, 삽입고정부(259)가 상호 근접하여 낱장지폐(S2)를 상부시트(TS)와 함께 X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삽입고정함과 동시에, 핸드(256)가 낱장지폐(S2)의 삽입고정을 해제하여 상승하고, 지지대(257)들 사이의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후퇴한다(도 59 참조).
이 때, 핸드(256)와 삽입고정부(259)는, Y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낱장지폐(S2)를 삽입고정하도록 빗살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삽입고정부(259)가 낱장지폐(S2)를 상부시트(TS)와 함께 삽입고정한 후, 핸드(256)가 낱장지폐(S2)의 삽입고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낱장지폐(S2)의 집적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이어서, 실부(258)가 상호 근접함으로써, 절곡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상부시트(TS)를 낱장지폐(S2)보다 상측, 즉 절곡 중심에 대하여 반대측에서 삽입시키고, 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서 상부시트(TS)들을 열접착시킨다(도 60 참조). 이에 따라, 낱장지폐(S2)를 상부시트(TS)에서 팩 모양으로 한 낱장지폐 팩부(P1)가 상부시트(TS)에 형성된다. 또한, 낱장지폐 팩부(P1)의 Y방향의 양측의 개구로부터 낱장지폐가 탈락하지 않도록 낱장지폐(S2)보다 좌우 양측의 상부시트(TS)의 중첩부분을 더 접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실부(258)가 서로 이격되고, 삽입고정부(259)도 상호 이격되며, 지지대(257)도 상호 이격된다(도 61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상부시트(TS)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낱장지폐 팩부(P1)가 상부시트(TS)와 함께 상부시트 공급 접착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는 상부시트 공급장치(25)의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의 인출에 의해 반송되고(도 62 참조), 최종적으로 상부시트 공급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대응하는 콘베이어(12(12m))의 위까지 반송된다. 여기서, 상부시트(TS)는 그 하류측이 앞의 거스름돈 팩(P)의 작성으로 절단되게 되고, 그 후 상부시트 공급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대응하는 콘베이어(l2(12m)) 상으로 그 오목부(44)의 내측에 낱장지폐 팩부(P1)를 장전시키도록 상부시트 인출장치(177)에 의해 인출된 다음(도 56 참조), 접착장치(27)에 의해 대응하는 콘베이어(12(12m))의 하부시트(BS)와 접착됨과 동시에, 상부시트 절단장치(179)에 의해 상류측이 절단되어, 거스름돈 팩(P)의 일부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거스름돈 팩(P)은, 상부시트(TS)가 하부시트(BS)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낱장지폐 팩부(P1)에 낱장지폐(S2)가 지지되고,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와의 사이에 다른 현금이 충전된 상태가 된다(도 63 참조).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전 조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대신 소묶음지폐 투입장치(22)와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와의 사이의 소정의 조정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k))의 약간 상방에 마련되어 그 콘테이너(12(12k))에 있어서의 동전팩(C)의 장전상태를 감시하는 센서(261)와, 상기 조정위치에 위치하는 콘테이너(12(12k))의 근방에 마련되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를 행하는 장전불량 경보장치(262)와, 작업자에 의한 압압조작(외부조작)이 입력되는 확인 버튼(26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조정작업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261)는 동전팩(C)의 적재 높이가 콘테이너(12(12k))보다 상측의 소정위치에 달하면, 이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전팩(C)에 의해 광로가 차단됨으로써 이를 검출하는 광학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콘테이너(12)가 소정의 조정위치에 정지하면, 조정작업 제어부는, 센서(261)에 의해 동전팩(C)이 검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센서(261)에 의해 동전팩(C)이 검출되어 있으면, 동전팩(C)의 장전상태가 불량하다고 판정하고, 장전불량 경보장치(262)에 경보를 발하게 한다. 한편, 센서(261)에 의해 동전팩(C)이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전팩(C)의 장전상태가 양호하다고 판정하고,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하여 대응하는 이동허용 플래그를 ON시킨다.
그리고, 장전불량 경보장치(262)가 경보를 발하면, 작업자가 장전상태가 불량인 것을 인식하여, 조정위치에 있는 콘테이너(12(12k))의 현금의 장전상태를 수작업으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현금의 장전상태를 조정한 다음, 작업자에 의해 확인 버튼(263)이 조작되면, 조정작업 제어부는,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하고 대응하는 이동허용 플래그를 ON시킨다.
여기서, 조정작업 제어부는, 센서(261)에 의해 동전팩(C)이 검출된 경우에는, 확인 버튼(263)이 조작될 때까지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팩 작성 종합제어부(35)는 이동허용 플래그가 하나는 OFF상태가 되므로, 콘테이너(12)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고, 그 결과, 그 시점에서 조정위치에 있는 콘테이너(12)의 하부시트(BS)로 그 후에 상부시트(TS)가 공급되어 열접착되어 버리는 것을 규제하게 된다. 한편, 확인 버튼(263)이 조작되면, 장전조정 제어부는 팩 작성 종합제어부(35)에 대하여 이동허용신호를 출력시켜 대응하는 이동허용 플래그를 ON시키므로, 그 시점에서 조정위치에 있는 콘테이너(12(12k))의 하부시트(BS)로 그 후에 상부시트(TS)가 공급되어 열접착되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프팅장치(28) 및 이송장치(29)의 구성이 다르다.
즉, 제2실시예의 리프팅장치(28)는,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재(217)의 높이가 서로 다르고, 구체적으로는, 평면에서 보아 격자의 교차점위치에 배치된 핀 부재(217)의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의 양 외단측의 것, 바꾸어 말하면, 평면에서 보아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핀 부재(217)의 전부가 내측의 것에 대하여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이송장치(29)는, 도 64 및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5)가 서로 다르며, 구체적으로는 지지구동장치(229)의 각 이동 축체(228)에 상호 경면대칭을 이루도록 각각 지지축(267)을 통해 연결된 하부 후크(264)와, 각 하부 후크(264)의 상측에 각각 배치된 상부 누름부(265)를 가지고 있다. 하부 후크(264)는, 경면대칭을 이루는 다른 하부 후크(264)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지지축(26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베이스(227)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구동장치(229)의 구동에 의해 지지축(266)을 중심으로 선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하부 후크(264)가 그 선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하였을 때, 그 하부 후크(264)의 선단에 접촉하는 위치에 상부 누름부(265)가 마련된다.
또한, 상호 접촉할 수 있는 하부 후크(264)의 선단 상부와, 상부 누름부(265)의 하부에는 거스름돈 팩(P)을 삽입고정하였을 때, 그 중량에 의해 거스름돈 팩(P)이 누락되지 않도록 큰 마찰계수의 마찰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전후 양측의 하부 후크(264)는 각각 Y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빗살모양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후크(264)들의 Y방향의 사이 위치는, 리프팅장치(28)의 높이가 높은 외측의 핀 부재(217)들의 위치에 맞추어져 있고, 이에 따라, 하부 후크(264)는 핀 부재(217)의 사이 위치에 진입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제어부(215)는, 이송장치에 정지하고 있는 콘테이너(12(12o))의 바로 위의 소정의 위치로 반송구동장치(222)에 의해 지지부(225)를 이동시키고, 또한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상승시키며, 또한 지지구동장치(229)에 의해 전후 양측의 하부 후크(264)를 상부 누름부(265)에 대하여 이격시킨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장치(28)에 의해 상기 콘테이너(12(12o))의 거스름돈 팩(P)이 들어 올려진 후의 타이밍에서,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전후 양측의 하부 후크(264)와 상부 누름부(265) 사이의 위치가 거스름돈 팩(P)의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의 접착부분의 높이에 맞을 때까지 지지부(225)를 하강시키면, 지지구동장치(229)에 의해 전후 양측의 하부 후크(264)를 회동시켜 이들을 핀 부재(217)들 사이의 위치로 삽입시키면서 하부 후크(264)와 상부 누름부(265)에 의해 거스름돈 팩(P)의 전후 양측의 접착부분 근방을 삽입고정시킨다(도 64 참조).
이 때, 리프팅장치(28)의 핀 부재(217)는 외측이 높게 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현금이 중앙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따라서, 지지부(225)의 삽입고정 위치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지지부(225)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지지부(225)가 거스름돈 팩(P)의 전후 양측을 삽입고정한 상태에서 거스름돈 팩(P)을 들어 올려 핀 부재(217)로부터 이격시키고, 체크장치(30)의 상방위치로 이동시켜며, 그 후 지지부(225)를 승강구동장치(224)에 의해 하강시킨 후, 지지부(225)의 하부 후크(264)를 회동시켜 그 하부 후크(264)와 상부 누름부(265)에 의한 거스름돈 팩(P)의 삽입고정을 해제하고 거스름돈 팩(P)을 체크장치(30) 위로 넘긴다.
이상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핀 부재(217)에 의해 들어 올린 거스름돈 팩(P)을 핀 부재(217)들 사이로 삽입된 하부 후크(264)와 거스름돈 팩(P)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누름부(265)로 삽입고정한 다음, 이들 상부 누름부(265) 및 하부 후크(264)가 상승함으로써 이송되기 때문에, 이들 상부 누름부(265) 및 하부 후크(264)를 콤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상이 불안정한 거스름돈 팩(P)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장치(28)의 핀 부재(217)는외측의 것이 내측의 것에 비하여 높이가 높게 되어 있으므로, 핀 부재(217)에 의해 들어 올릴 때, 거스름돈 팩(P)의 중앙측으로 현금을 모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누름부(265) 및 하부 후크(264)에 의해 거스름돈 팩(P)을 삽입고정할 때, 현금도 삽입고정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낱장지폐 투입장치(32)가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낱장지폐를 계수하면서 투입 집적시키면,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가 이 낱장지폐를 팩 시트로서의 상부시트(TS)에 의해 팩킹하여 낱장지폐 팩부(P1)를 작성하고, 이 낱장지폐 팩부(P1)를 상부시트 공급장치(25)가 대응하는 콘테이너(12(12m))에 장전한다. 따라서,낱장지폐(S2)가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정리되고 또한 대응하는 콘테이너(12(12m))에 장전되게 된다. 따라서, 낱장지폐를 포함한 거스름돈 팩(P)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고, 따라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낱장지폐 팩 작성장치(255)의 핸드(256) 및 지지대(257)가 상부시트(TS)에 집적상태의 낱장지폐(S2)를 누름으로써 그 상부시트(TS)를 절곡 상태로 하여, 실부(258)가 상부시트(TS)의 절곡측에 대하여 반대측들을 상호 접착시켜, 낱장지폐 팩부(P1)를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낱장지폐 팩부(P1)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기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낱장지폐(S2)의 팩 시트를 상부시트(TS)로 겸용하므로, 낱장지폐 팩 작성을 위한 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낱장지폐의 반송을 상부시트 공급장치(25)로 겸용하므로, 장치전체의 제조단가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에 의해 콘테이너(12(12k))의 오목부(44)의 하부시트(BS) 상으로 투입된 현금의 장전상태가 불량인 것을 센서(261)가 검출하면, 장전불량 경보장치(262)가 경보을 행함과 동시에 조정작업 제어부가 결과적으로 접착장치(27)에 의한 상기 거스름돈 팩(P)에 있어서의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의 접착을 규제한다. 그리고, 장전불량 경보장치(262)의 경보로 알게 된 작업자가 현금의 장전상태를 조정한 후, 확인 버튼(263)에 외부조작을 입력시키면, 조정작업 제어부가 접착장치(27)에 의한 그 거스름돈 팩(P)에 있어서의 하부시트(BS)와 상부시트(TS)의 접착의 규제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현금의 장전불량으로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가 양호하게 접착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이들의 접착이 행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TS)와 하부시트(BS)를 항상 양호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테이너(12)를 콘테이너(12)의 배치 피치와 같은 피치로 1피치씩 단속적으로 구동장치(53)에 의해 이동시킨다고 설명하였는데, 그 이외의 중간위치에서도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이 때에도,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로부터 동전팩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테이너(12) 내에 동전팩만을 다량으로 장전하는 경우, 동전팩을 X방향으로 2열로 장전하도록 하는 것이 거스름돈 팩(P)으로서 바람직한 크기로 정리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동전팩 투입장치(16∼21, 23)는 콘테이너(12)가 소정의 피치위치에 있을 때는, 콘테이너(12)의 하류측의 벽부(41)를 따라 동전팩을 장전하고, 콘테이너(12)가 일시정지한 중간위치에 있을 때는, 콘테이너(12)의 상류측의 벽부(41)를 따라 동전팩을 장전할 수 있도록 그 배치를 정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이 하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하부시트와 상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를 이들 사이에 현금 투입수단으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시켜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게 되므로, 작성된 거스름돈을 자루에 옮기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루 대신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로 거스름돈 팩의 팩 부재를 작성하므로, 팩 부재 자체의 원가를 줄일 수 있고, 현금 투입수단으로부터 하부시트 상으로 현금을 투입할 때 현금의 낙하높이를 비교적 낯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동전 팩의 부러짐이나 흐트러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따르면, 거스름돈 팩 체크수단이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거스름돈 팩의 중량을 계량하고, 그 계량 데이터와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게 되므로, 작성 오류가 발생한 거스름돈 팩이 그대로 흘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받침부가 하부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시트를 사용하여도 하부시트가 펼쳐진 오목부에 의해 현금이 탈락하는 것 등을 방지한다.
따라서, 저렴한 시트를 이용하더라도 확실하게 거스름돈 팩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현금 투입수단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 받침부의 피치에 대응시켜서 각 현금 투입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각 받침부에 유지된 하부시트로 각 현금 투입수단으로부터 차례로 현금을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하부시트에 대한 모든 현금의 투입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거스름돈 팩에 자동적으로 그 거스름돈 팩에 대응하는 내용 데이터가 기재된 라벨이 첩부되게 되므로, 이러한 내용 데이터를 기재한 명세표를 동봉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거스름돈을 작성할 때의 인건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라벨에 인자하는 내용 데이터에 포함하므로, 작성된 거스름돈 팩의 라벨로부터 그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거스름돈 팩의 실제의 중량과 기준 데이터의 비교를 사람의 손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도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현금 투입수단이 소묶음지폐를 투입하는 소묶음지폐 투입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묶음지폐를 포함한 거스름돈 팩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현금 투입수단이 낱장지폐를 투입하는 낱장지폐 투입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낱장지폐를 포함한 거스름돈 팩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현금 투입수단이 동전팩을 투입하는 동전팩 투입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전팩을 포함한 거스름돈 팩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거스름돈 작성장치에 의하면, 동전팩 투입수단은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동전팩을 작성하는 동전포장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회수한 낱개의 동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거스름돈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수단;
    하부시트를 공급하는 하부시트 공급수단;
    상부시트를 공급하는 상부시트 공급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 투입수단; 및
    상기 하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를 이들 사이에 상기 현금 투입수단으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시켜서 거스름돈 팩을 작성하는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거스름돈 팩의 중량을 계량하고, 그 계량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거스름돈 팩 체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스름돈 팩 작성수단은;
    상기 하부시트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하부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가지며, 그 오목부의 하부시트 상에 상기 현금 투입수단으로부터현금이 투입된 후에 그 현금을 덮도록 상기 상부시트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상부시트가 펼쳐지는 받침부; 및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복수개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받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에 동일 피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거스름돈 팩마다의 내용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라벨에 인자함과 동시에, 상부시트에 그 상부시트가 사용되는 거스름돈 팩에 대응하는 내용 데이터의 라벨을 첩부하는 라벨 인자 첩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인자 첩부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입력된 거스름돈 데이터에 따라 산출되는 거스름돈 팩의 중량의 기준 데이터를 상기 라벨에 인자하는 내용 데이터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투입수단은, 소묶음 지폐를 투입하는 소묶음 지폐 투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투입수단은, 낱장지폐를 투입하는 낱장지폐 투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투입수단은, 동전팩을 투입하는 동전팩 투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팩 투입수단은, 낱개의 동전으로부터 동전팩을 작성하는 동전포장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작성장치.
KR1019990020254A 1998-06-05 1999-06-02 거스름돈 작성장치 KR100355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416398A JP3364156B2 (ja) 1998-06-05 1998-06-05 釣銭作成装置
JP10-174163 1998-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45A true KR20000005845A (ko) 2000-01-25
KR100355677B1 KR100355677B1 (ko) 2002-10-09

Family

ID=1597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254A KR100355677B1 (ko) 1998-06-05 1999-06-02 거스름돈 작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97565B2 (ko)
EP (1) EP0962895B1 (ko)
JP (1) JP3364156B2 (ko)
KR (1) KR100355677B1 (ko)
CN (1) CN100350435C (ko)
DE (1) DE69932771T2 (ko)
TW (1) TW419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6082A1 (de) 2000-09-15 2002-04-04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Geldeinheiten
WO2003046841A1 (en) 2001-11-23 2003-06-05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NL1021255C2 (nl) * 2002-08-12 2004-02-13 Transposafe Systems Holland B Inrichting voor het verpakken van in een kluis gedeponeerde pakketjes.
US7958700B2 (en) * 2006-04-04 2011-06-14 Scott Allen Weitze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coins
ES2357977T3 (es) * 2007-09-28 2011-05-04 TETRA LAVAL HOLDINGS &amp; FINANCE SA Miembro para formar envases sellados de productos alimenticios vertibles a partir de un tubo de material de envasado.
CN103910101B (zh) * 2013-01-07 2016-06-22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扫描称重贴标机及其使用方法
JP2017054295A (ja)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605663A (ko) * 1965-04-30 1966-10-31
US3958394A (en) * 1972-01-12 1976-05-25 Mahaffy & Harder Engineering Company Continuous movement packaging machine
JPS5192692A (ko) * 1975-02-12 1976-08-13
FR2437035A1 (fr) * 1978-09-21 1980-04-18 Roulomat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 conditionnement, a la manutention et a la distribution de pieces de monnaie
US4229927A (en) * 1978-10-06 1980-10-28 J. Sainsbury Limited Process and apparatus for vacuum packing
US4322465A (en) * 1980-08-08 1982-03-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lear, autoclavable, sealed container having good water vapor barrier properties and flex crack resistance
US4409773A (en) * 1981-04-14 1983-10-18 Brandt, Inc. Coin wrapping machine
JPS5831486A (ja) * 1981-08-18 1983-02-24 株式会社東芝 紙葉束放出装置
JPS5862786A (ja) * 1981-10-09 1983-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金銭出納システム
JPS58172522A (ja) * 1982-04-02 1983-10-11 Ishida Scales Mfg Co Ltd コインカウンタ−
FR2555547B1 (fr) * 1983-11-29 1986-10-03 Redoute Catalogue Procede d'emballage d'objets groupes et poste d'emballage
US4674060A (en) * 1984-07-25 1987-06-16 Brand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ing currency and for confirming the count of strap currency
JP2549111B2 (ja) * 1987-03-31 1996-10-30 株式会社東芝 通貨両替機
US4940162A (en) * 1988-10-17 1990-07-10 Autovend, Inc. Rolled coin dispenser
JP3174093B2 (ja) * 1991-07-08 2001-06-1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レジ別釣銭作成システム
FR2712253B1 (fr) * 1993-11-10 1996-01-19 Mecaplastic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alimentaires, chimiques ou pharmaceutiques et barquettes de conditionnement correspondantes.
JP3253837B2 (ja) * 1995-11-17 2002-02-0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釣銭作成装置
JPH09147168A (ja) * 1995-11-24 1997-06-06 Laurel Bank Mach Co Ltd 釣銭作成装置
US5827117A (en) * 1996-05-13 1998-10-27 Mag-Nif Incorporated Coin sorter and packager
US6023459A (en) 1996-12-04 2000-02-08 Northern Telecom Limited Frequency assignment in wireless networks
JP3081578B2 (ja) * 1997-12-26 2000-08-28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精査システム及び釣銭作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05030A1 (en) 2002-01-17
KR100355677B1 (ko) 2002-10-09
EP0962895B1 (en) 2006-08-16
TW419639B (en) 2001-01-21
CN1241760A (zh) 2000-01-19
CN100350435C (zh) 2007-11-21
JPH11353523A (ja) 1999-12-24
EP0962895A2 (en) 1999-12-08
DE69932771D1 (de) 2006-09-28
DE69932771T2 (de) 2007-08-16
JP3364156B2 (ja) 2003-01-08
US6397565B2 (en) 2002-06-04
EP0962895A3 (en)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230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KR100386463B1 (ko) 거스름돈 작성장치
KR100386462B1 (ko) 거스름돈 작성장치
KR100355677B1 (ko) 거스름돈 작성장치
JP3583293B2 (ja) 釣銭作成装置
JP3515371B2 (ja) 釣銭作成装置
JP3459569B2 (ja) 釣銭作成装置
JP3510111B2 (ja) 釣銭作成装置
JP3506910B2 (ja) 釣銭作成装置
JP3510109B2 (ja) 釣銭作成装置
JP3510110B2 (ja) 釣銭作成装置
JP3428900B2 (ja) 釣銭作成装置
JP3506911B2 (ja) 釣銭作成装置
JP3712570B2 (ja) 釣銭作成装置
JP2021111050A (ja) 釣銭準備金作成装置および貨幣纏め機
JP2001076204A (ja) 釣銭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