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499A -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499A
KR20000004499A KR1019980025942A KR19980025942A KR20000004499A KR 20000004499 A KR20000004499 A KR 20000004499A KR 1019980025942 A KR1019980025942 A KR 1019980025942A KR 19980025942 A KR19980025942 A KR 19980025942A KR 20000004499 A KR20000004499 A KR 2000000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xtract
ethyl acetate
tree
hwangch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019B1 (ko
Inventor
곽상수
김명조
문제학
이행순
권석윤
김환묵
한상배
이창우
정병석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8002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0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생산되는 천연 도료 황칠의 원료인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Lev) 또는 그 수액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다시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등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한 황칠나무 추출물로 구성되며, 상기 추출물은 탁월한 항암 활성에 더하여 항산화 활성도 나타내므로 신기능성 의약품, 식품 첨가물, 음료 첨가물 및 건강보조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본 발명은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생산되는 천연 도료 황칠의 원료인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Lev) 또는 그 수액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다시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등을 사용하여 분획한 황칠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항암제 및 항산화제로서 신기능성 의약품, 식품 첨가물, 음료 첨가물 및 건강보조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황칠나무는 우리나라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에만 자생하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 하며 오래전부터 가구 등에 칠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2).
황칠은 아름다운 황금빛이 나는 천연 투명 도료로서, 옛 백제의 특산품이었으며 조선시대에도 부채나 화선지 등에 칠로서 사용되었고 특히 황칠을 한 목공예품은 높이 평가되었다. 황칠은 금빛을 띠면서도 바탕의 나무결을 생생하게 떠오르게 하여 목공예품을 한층 화사하게 치장하는 최상의 도료일 뿐만 아니라 락카나 옻칠과는 달리 항파단성이 있어 부채에도 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황칠의 우수성 때문에 황칠을 한 것만이 우리의 전통공예품이라고 주장하는 부류의 사람도 있다.
황칠나무는 중국 당태종이 백제에 사신을 보내어 구할 정도로 귀하게 사용되었고, 명나라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 (本草綱目)에는 황칠나무가 번열 (몸에 열이 몹시나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괴로운 증세) 제거, 술해독, 안질 및 황달 치료, 화상 치료, 나병 치료 등에 효과가 있음이 기술되어 있다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 문광도서, 1590).
그러나 황칠나무의 성분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황칠나무의 수지성분에 대한 초보적인 내용만 있을 뿐 황칠을 대상으로 항암 또는 항산화 활성 등의 약리활성 물질에 대한 보고는 국내외적으로 전혀 없었다. 또한, 최근에 비로소 황칠나무의 자생지 분포와 자생지 환경조건 등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도 이루어졌다 (정병석 등, 한국생물공학회 10:393, 1995).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황칠나무가 약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과 옻칠 목제품이 오래된 유적지에서 원형이 보존된 형태로 발굴되는 등의 내구성을 고려하면 황칠에는 다양한 약리활성물질이 존재할 것이 기대된다 (Terada, et. al., Bull. Chem. Soc. Japan, 62: 2977, 1989; Terada, Chemistry, 45: 851, 1990). 이외에도 황칠은 옻칠과 달리 피부 알레르기를 거의 유발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므로 의약품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황칠나무에 함유된 약리활성물질을 분리하는 경우 의약품 등에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은행잎 추출액, 인삼 추출액 등과 같이 약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황칠나무 수액의 추출물은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미 본 발명자들은 옻나무 (Rhus verniciflua STOKES) 수피의 상처(wounding) 부위로부터 분비되는 수액에서 상처로 인한 산화적인 스트레스에서 자신을 보호하는 생체방어물질 (항산화물질)이 생산될 수 있고, 실제로 중국, 우리나라의 약 7,000년, 약 2,000년전의 옻칠 목제품이 내구성을 보이며, 옻 수액이 실제로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민간 암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옻칠의 원료인 옻 수액으로부터 강한 항암, 항산화 및 항곰팡이 활성을 지니는 4종의 우루시올계 화합물을 분리한 바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4193호).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로부터 새로운 약리활성물질을 확인하고자 연구한 결과, 황칠나무 수액에서 항암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메탄올로 추출하거나 이에 더하여 다양한 유기용매 및 이를 사용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신기능성 의약품, 음료 및 식품 등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또는 그 수액의 추출물 (이하 '황칠나무 추출물'이라 한다) 및 그의 신기능성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서의 용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수피 또는 수액을 메탄올로 추출하고 다시 핵산 (n-hexane)으로 분획하거나, 이에 더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하거나, 다시 부탄올로 더 분획한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 때 황칠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핵산으로 분획한 황칠나무 추출물을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ODS 중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다시 수행하여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황칠나무 추출물을 톨루엔으로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다시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용 또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신기능성 의약품, 음료, 건강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에 첨가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우리나무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피 또는 수액으로부터 얻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Lev)의 수액 또는 수피를 채취하여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거나 이에 더하여 다시 유기 용매로 분획함으로 항암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수액 또는 수피의 추출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수액에 증류수와 메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한 다음 유기용매로 핵산 (n-hexane),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및 부탄올 (n-buthanol) 등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함으로써 메탄올 분획, 핵산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 등을 분리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암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각 분획을 사용하여 조사한다.
또한, 상기에서 얻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 그래피 및 중압 ODS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정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톨루엔으로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 칼럼으로 톨루엔, 톨루엔 : 핵산, 핵산, 핵산 :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 :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의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암세포주에 비교적 강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얻고 다시 2차 실리카겔 칼럼으로 핵산을 이용하여 용출시키고, 다시 ODS 중압 칼럼에 통과시킴으로써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더욱 정제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얻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정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 칼럼으로 톨루엔, 톨루엔 :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메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로 용출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분획을 얻어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다음 세파덱스 LH-20 칼럼으로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활성물질을 더욱 정제하였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에스알비 법(SRB법) 등을 사용하여, 피부 (Melanoma) 암 세포주, 폐 (Lung) 암 세포주, 전립선(Prostate) 암 세포주, 위 암 세포주, 결장 (Colon) 암 세포주, 위 (Renal) 암 세포주, 췌장 암 세포주 등의 성장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인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 , DPPH)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황칠나무의 핵산 분획 및 아세테이트 분획은 암세포주에 대해 강한 성장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황칠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은 항산화 활성을 강하게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독성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물에 녹여 이를 마우스 (군당 10 마리)에 각각 1 g/kg 을 투여한 다음 14일 동안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치료용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carrier), 부형제 (forming agent), 희석제 (diluent)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30 - 300 mg 정도를 투여하나 50 - 200 mg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위투여형 제제는 전술한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활성물질을 20 - 100 mg 의 함량이 되도록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10 - 50 mg 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칠나무 수액의 용매 분획
전라남도 보길도에서 채취한 황칠나무 수액 (Dendropanax morbifera Lev)의 수액 또는 수피를 용매로 분획하였다. 우선 수액 20 g에 증류수 500 ml과 메탄올 (methyl alcohol) 100 ml을 첨가한 다음 핵산 (n-hexane) 500 ml을 첨가하여 물층과 핵산 층으로 분획하였다. 물 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500 ml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과 물 층으로 분획하고, 물 층에 다시 n-부탄올 (n-buthanol) 500 ml을 첨가하여 부탄올 층과 물 층으로 최종적으로 분획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감압 농축한 결과, 핵산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을 각각 5 g, 11.3 g, 2.5 g, 1.1 g씩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황칠나무 수액의 용매 분획의 항암 활성 조사
실시예 1 에서 얻은 각 분획을 이용하여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에스알비 방법 (SRB법, Skehan, et al.,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 1989)으로 조사하였다. 이 때 암세포로는 피부 암세포주 (Melanoma)인 UACC62, 폐(Lung) 암세포주인 A549, 전립선 (Prostate) 암세포주인 PC-3, 위 (Renal) 암세포주인 UO-31, 결장 (Colon) 암세포주인 HCT15 를 사용하였다.
상기 암 세포주는 10% 소태아 혈청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세포는 일 주일에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분주하여 유지하였다. 항암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세포 농도는 3,000 - 6,000 개/ml 이었으며, 상기 방법에 사용한 모든 시약은 100% 디메틸설포옥사이드 (dimethylsulfoxide, DMSO)에 녹이고 이를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시약의 농도를 10, 3, 1, 0.3, 0.1 ㎍/ml로 맞추었다.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일정한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하루가 경과한 다음 세포가 나타내는 기본적인 흡광도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Tz (Time/Zero) 플레이트로서 시료를 처리할 플레이트와 동일한 세포 농도를 가진 다른 플레이트를 50% TCA 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처리할 플레이트는 시료의 최종농도를 0.1% DMSO 로 맞추어 5가지 시료 농도로 처리하였다. Tz 플레이트는 1시간이 경과하면 수돗물 (Tap water)로 세척하고, 시료를 처리한 플레이트는 2일이 경과한 다음 50% TCA 를 웰당 50 ㎕씩 처리하여 고정하고 역시 1시간이 경과하면 수돗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플레이트는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그 후 0.4% SBR 용액(1% 아세트산에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웰당 100 ㎕씩 가한 다음 30분이 경과하면 1% 아세트산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이를 다시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다음 10 mM 트리스 염기 (pH 10.5)를 웰 당 100 ㎕씩 가하여 다시 용해시키고, 효소면역측정법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ELISA 해독기를 사용하여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GI50(㎍/ml)은 암세포의 성장을 50% 억제하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핵산 분획이 4종의 암세포주에 대해 성장을 강하게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핵산 분획은 위암 세포주인 UO-31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도 A549 와 UO-31 암세포에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때 비교군으로 아드리아마이신 (adriamycin)을 사용하였다.
각 용매 분획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 (단위 GI50: ㎍/ml)
분획/표준화합물 피부암세포주UACC62 폐암세포주A549 전립선암세포주PC-3 위암세포주UO-31 결장암세포주HCT15
핵산 분획 >30.0 4.78 17.28 1.33 5.7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30.0 4.71 >30.0 4.35 >30.0
부탄올 분획 >30.0 10.16 >30.0 9.81 >30.0
물 분획 >30.0 >30.0 >30.0 17.54 >30.0
아드리아마이신 0.19 0.30 0.26 0.89 0.73
<실시예 3> 황칠나무 수액으로부터 항암 활성 물질의 부분 정제
실시예 2에서 얻은 황칠나무 수액의 용매 분획 중 항암 활성이 가장 강한 핵산 분획을 대상으로 활성물질을 정제하였다. 핵산 분획 (5.0 g)중 4.9 g을 톨루엔으로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을 충전시킨 유리칼럼 (∮ 3 × 32 cm, Merck사)을 이용하여 톨루엔, 톨루엔 : 핵산, 핵산, 핵산 :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 :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의 용매순으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5개의 용출 분획 중에서 실험에 사용한 암세포주 모두에 비교적 강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 2 (0.72g), 분획 3 (1.97g), 분획 5 (0.15g)을 분리하였다. 분획 3 (1.97g)으로 다시 핵산을 이용하여 2차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7734, Merck)를 수행하고 이로부터 4개의 용출분획 (분획 3a 0.68g, 분획 3b 0.7g, 분획 3c 0.27g, 분획 3d 0.25g)을 얻었다. 이들 각 분획에 대한 항암 활성을 표 4 에 정리하였다. 함량도 많고 활성이 높은 분획 3b는 ODS 를 이용한 중압 칼럼으로 다시 5개의 분획 (분획 3b-1 89mg, 분획 3b-2 64mg, 분획 3b-3 35mg, 분획 3b-4 6mg, 분획 3b-5 24mg)으로 분리되고, 양이 적은 분획 3b-4 를 제외하고 상기 분획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3 에 정리한 바와 같이, 분획 3b-3 과 분획 3b-5 은 대부분의 인체 암세포주에 10ppm 이하에서 강한 암세포주 생장 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TLC 로 분석한 결과, 분획 3b-5 는 단일화합물로, 분획 3b-3 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유도체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1차 실리카겔 칼럼에 의한 각 분획별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 (단위 GI50: ㎍/ml)
분획/표준화합물 피부암세포주LOX-IMVI 폐암세포주A549 전립선암세포주PC-3 백혈암세포주MOLT-4F 결장암세포주HCT15
분획1 >30.0 >30.0 >30.0 >30 22.0
분획2 13.96 17.05 20.58 4.81 12.55
분획3 9.82 13.97 8.06 7.28 10.68
분획4 >30.0 >30.0 12.05 12.20 20.97
분획5 12.53 16.24 15.07 16.70 13.07
아드리아마이신 0.32 0.35 1.03 0.043 0.35
2차 실리카겔 칼럼에 의한 분획별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 (단위 GI50: ㎍/ml)
분획/표준화합물 췌장암세포주MIA-Paca-2 폐암세포주A549 전립선암세포주PC-3 결장암세포주SW620 결장암세포주HCT15
분획 3a 10.21 24.68 16.36 15.13 14.99
분획 3b 28.98 >30 23.30 >30 >30
분획 3c 10.85 17.48 14.38 >30 16.62
분획 3d 22.24 >30.0 19.98 >30 24.73
아드리아마이신 0.09 0.27 0.48 0.17 0.73
중압 ODS 겔 칼럼에 의한 분획별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 (단위 GI50: ㎍/ml)
분획/표준화합물 췌장암세포주MIA-Paca-2 폐암세포주A549 전립선암세포주PC-3 결장암세포주SW620 결장암세포주HCT15
분획3b-1 >30 >30 >30 >30 >30
분획3b-2 >30 >30 >30 >30 >30
분획3b-3 6.89 9.13 8.78 12.96 9.01
분획3b-5 6.62 9.68 8.24 10.55 8.85
아드리아마이신 0.09 0.27 0.48 0.17 0.73
<실시예 4> 황칠나무 수액의 용매 분획의 항산화 활성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의 용매추출 분획은 자유라디칼 (Free radical)인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을 사용한 항산화활성 측정방법 (Blois, Nature, 188: 1199, 1958; Choi, et al., Kor. J. Phamacogn, 24: 299-303, 1993)으로 조사하였다. 유리 시험관에 4 ml 메탄올을 넣고 시료 화합물을 농도별 (2.5 - 30 ㎕)로 첨가한 다음 상기 DPPH (0.15 mM) 용액을 1 ml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17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RC50(㎍/ml)은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값을 50%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 표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칠나무 수액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단위 RC50: ㎍/ml)
분획/표준화합물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핵산 분획 540
에칠아세테이트 분획 148
부탄올 분획 140
물 분획 >2000
α-토코페롤 12
<실시예 5> 황칠나무 수액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의 부분 정제
실시예 4 에서 얻은 황칠나무 수액의 용매 분획 중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하고 함량이 많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대상으로 활성물질을 정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1.3 g)을 톨루엔으로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을 충전시킨 유리칼럼(∮ 5.5 X 60 cm, Merck사)을 이용하여, 톨루엔, 톨루엔 :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메탄올의 용매순으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로 용출되는 항산화 활성 분획 I (2.1 g)을 얻었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용해시킨 다음 세파덱스 LH-20 칼럼 (∮ 2.2 × 69 cm, Merck사)을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얻은 여러 개의 분획 중 2개의 항산화 활성 분획 (분획 Ia 0.34 g, 분획 Ib 0.17 g)을 분리하였다. 표 6 는 각 정제 단계에서 얻은 항산화 활성 분획들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항산화 활성 (단위 RC50: ㎍/ml)
분획/표준화합물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에칠아세테이트 분획 148
분획 I 35
분획 Ia 25
분획 Ib 23
α-토코페롤 12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약용성 및 내구성이 있으면서 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수종인 황칠나무의 수액 등을 이용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은 항암 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도 가지고 있어 신기능성 의약품 이외에도 식품 첨가물, 음료 첨가물 및 건강보조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황칠나무 수피 또는 수액을 메탄올로 추출하고 유기용매로 핵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거나, 다시 황칠나무의 핵산 분획 또는 에틸아세테이드 분획을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ODS 중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함으로써 얻은 항산화 활성 또는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2. 제 1항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기능성 음료.
KR1019980025942A 1998-06-30 1998-06-30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KR10031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942A KR100318019B1 (ko) 1998-06-30 1998-06-30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942A KR100318019B1 (ko) 1998-06-30 1998-06-30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99A true KR20000004499A (ko) 2000-01-25
KR100318019B1 KR100318019B1 (ko) 2002-07-03

Family

ID=1954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942A KR100318019B1 (ko) 1998-06-30 1998-06-30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019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960A1 (en) * 1999-10-19 2001-04-26 Woo Shik Kim A recombinant urushi lacquer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457970B1 (ko) * 2002-03-22 2004-11-18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경조직 재생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황칠 추출물, 황칠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0494482B1 (ko) * 2002-04-02 2005-06-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0514430B1 (ko) * 2002-12-12 2005-09-14 대한민국 스클레로티니아 트리폴리오럼 bwc98-105 균주가 분비하는 클로버 제초활성 2차 대사산물 분리방법
KR100988072B1 (ko) * 2010-03-22 2010-10-18 정철화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283775B1 (ko) * 2013-02-04 2013-07-08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WO2014003232A1 (ko) * 2012-06-25 2014-01-03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4061838A1 (ko) * 2012-10-19 2014-04-2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426258B1 (ko) * 2012-12-17 2014-08-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올레이폴리오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101450726B1 (ko) * 2011-12-09 2014-10-16 이종수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 단백질 발현 저해제 및 그 추출방법
KR20150082811A (ko) * 2014-01-08 2015-07-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WO2015194809A1 (ko) * 2014-06-16 2015-12-23 농업회사법인 (주)함박재농장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조절 또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7039697A (ja) * 2015-08-20 2017-02-23 承憲 李 組成物
KR20180024066A (ko) 2016-08-25 2018-03-08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058251A (ko) 2016-11-23 2018-06-01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US10130668B2 (en) 2012-07-18 2018-11-2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Composition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or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R20180133242A (ko) 2018-12-05 2018-12-13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135845A (ko) * 2018-12-14 2018-12-21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675316B2 (en) 2015-12-30 2020-06-09 Rihu Healthcar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WO2023075489A1 (ko) * 2021-10-28 2023-05-04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수액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98A (ko) * 2002-11-21 2003-01-15 천성권 황칠나무를 이용한 술의 제조방법
KR101194947B1 (ko) * 2012-02-07 2012-10-25 박소현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014177A1 (ko) * 2012-07-18 2014-01-23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96370B1 (ko) 2016-02-05 2017-11-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2305665B1 (ko) 2020-08-10 2021-09-28 (주)네이처페어리 황칠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85149B1 (ko) 2021-12-08 2022-04-11 김희용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한 박하수(水)의 제조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960A1 (en) * 1999-10-19 2001-04-26 Woo Shik Kim A recombinant urushi lacquer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457970B1 (ko) * 2002-03-22 2004-11-18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경조직 재생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황칠 추출물, 황칠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0494482B1 (ko) * 2002-04-02 2005-06-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0514430B1 (ko) * 2002-12-12 2005-09-14 대한민국 스클레로티니아 트리폴리오럼 bwc98-105 균주가 분비하는 클로버 제초활성 2차 대사산물 분리방법
KR100988072B1 (ko) * 2010-03-22 2010-10-18 정철화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450726B1 (ko) * 2011-12-09 2014-10-16 이종수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 단백질 발현 저해제 및 그 추출방법
WO2014003232A1 (ko) * 2012-06-25 2014-01-03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0130668B2 (en) 2012-07-18 2018-11-2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Composition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or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WO2014061838A1 (ko) * 2012-10-19 2014-04-2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426258B1 (ko) * 2012-12-17 2014-08-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올레이폴리오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101283775B1 (ko) * 2013-02-04 2013-07-08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WO2014119875A1 (ko) * 2013-02-04 2014-08-0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KR20150082811A (ko) * 2014-01-08 2015-07-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WO2015194809A1 (ko) * 2014-06-16 2015-12-23 농업회사법인 (주)함박재농장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조절 또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7039697A (ja) * 2015-08-20 2017-02-23 承憲 李 組成物
US10675316B2 (en) 2015-12-30 2020-06-09 Rihu Healthcar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20180024066A (ko) 2016-08-25 2018-03-08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058251A (ko) 2016-11-23 2018-06-01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133242A (ko) 2018-12-05 2018-12-13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135845A (ko) * 2018-12-14 2018-12-21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75489A1 (ko) * 2021-10-28 2023-05-04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수액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8019B1 (ko)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019B1 (ko)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Kołodziej et al. Antibacterial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aboveground parts of three Solidago species: Solidago virgaurea L., Solidago canadensis L. and Solidago gigantea Ait
EP1388343B1 (en) Use of a root extract from Rosa multiflora as antioxidant
Patra et al. Phytochemical profiling and bioactivity of a mangrove plant, Sonneratia apetala, from Odisha Coast of India
Atolani et al. Phytochemicals from Kigelia pinnata leaves show antioxidant and anticancer potential on human cancer cell line
KR100609492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예방용 기능성 식품
KR20020029210A (ko) 아위로부터 분리된 세스키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항암제 조성물
Faham et al. Calycopterin, an immunoinhibitory compound from the extract of Dracocephalum kotschyi
Karmakar et al. Antioxidant, analges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Mimusops elengi Linn. leaves
Nagah et al. Bioguided isolation and in-silico analysis of Hep-G2 cytotoxic constituents from Laurus nobilis Linn. cultivated in Egypt
Karale et al. Quantitative phytochemical profile, antioxidant and lipase inhibitory potential of leaves of Momordica charantia L. and Psoralea corylifolia L.
KR101209574B1 (ko) 이고들빼기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MAMMERI et al. Total phenolic contents,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enzymes inhibi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selective extracts from the Algerian Lavandula multifida
KR100460133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카테킨의 생산방법
James et al. Anti-diabetic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studies of ethanolic leaf extracts of Murraya koenigii and Telfairia occidentalis on alloxan-induced diabetic albino rats
KR100704006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봄맞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사포닌 화합물
KR20040009188A (ko)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nfat 전사 저해제
Kurup et al. Hepatoprotective efficacy of methanolic extract of monochoria vaginalis in acetaminophen induced toxicity in hep G2 cell lines
Saeed et al. HPLC Analysis and DPPH Assay of Some Bioactive Compounds in Pomegranate Peel Extracts
SAADAH et al. Phytochemical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rofiling of two plant parts of Sandoricum koetjape
Amari et al. Chemical Profiles and Biological Potential of Different Parts of Cyclamen Africanum Boiss. & Reuter—A Medicinal Plant
KR100202399B1 (ko) 오미자로부터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제 활성 저해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15385883B (zh) 一种香豆素类化合物制备方法及其在抗单胺氧化酶b抑制药物中的应用
US20070020346A1 (en) Botanical anticancer formulations
Akhtar et al. Hypoglycemic Potential of Combined Methanolic Extract of Seeds of Nigella sativa (Black Cumin) and Cicer Arietinum (Chickp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