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242A -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242A
KR20180133242A KR1020180155035A KR20180155035A KR20180133242A KR 20180133242 A KR20180133242 A KR 20180133242A KR 1020180155035 A KR1020180155035 A KR 1020180155035A KR 20180155035 A KR20180155035 A KR 20180155035A KR 20180133242 A KR20180133242 A KR 2018013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metal
food composition
cicada larva
functional food
cadm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633B1 (ko
Inventor
손진성
Original Assignee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8015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굼벵이의 건조 분말의 제조 시에 굼벵이 맛을 개선시켜 복용하는 사람의 순응성을 향상시킨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 등 해독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 성분은 절식시킨 굼벵이를 구기자 나무의 잎을 물로 5 내지 20초 동안 데친 후 40 ~ 60℃에서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굼벵이 건조 분말,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테인(Cysteine) 및 시스틴(cys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 함유 아미노산, 토코페롤, 피리독신, 아스코르빈산.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이다.

Description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maintenance of mineral balance in body and detoxification heavy metal using grub}
본 발명은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 등 해독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굼벵이의 건조 분말의 제조 시에 굼벵이 맛을 개선시켜 복용하는 사람의 순응성을 향상시킨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 등 해독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로 생활이 편리해진 반면 이로 인한 환경오염은 인간의 생활환경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중 토양이나 수질의 중금속 오염은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이행, 축적되어 급성 또는 만성 중독을 일으킬 수 중금속은 종류에 따라 유기 혹은 무기 화합물을 형성하면 생체 내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며, 또한 미세먼지 내지 황사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은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에 흡수되어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금속은 생체 내로 들어가면 쉽게 배출되지 않으며 축적량이 증가할 경우 체중감소, 빈혈, 장기의 생화학 및 형태학적 변화, 뇌 손상 등의 중독현상을 일으키며 칼슘, 철분, 아연, 셀레늄 등의 필수 무기원소와 장내 흡수 단계에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조직 내 이들 함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일부 유독성 금속은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체조직과 반응하여 체내에 서서히 독 작용을 나타내고 특히 생물학적 반감기가 길어 일단 중독이 되면 완치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드뮴(Cd)은 중금속 중에서 가장 독성이 높은 물질 중의 하나이며 환경 중금속으로,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Satoh, M., et al., Tohoku J. Exp. Med., 196, pp23-32, 2002). 역학 조사에 따르면 소량의 카드뮴일지라도 장기간 섭취되면 카드뮴이 표적 장기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인간이 평생 섭취하는 총 카드뮴의 양은 대략 2000 mg(Klaassen, C.D., Casarett and Doull'sToxociology,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New York, pp822-826, 2001) 정도이며, 음식이나 작업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카드뮴을 만성적으로 섭취할 경우, 카드뮴이 축적된 조직의 세포를 사멸시켜 기관(organ)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Falck, F.Y.Jr., et al., Am. J. Ind. Med., 4, pp541-549, 1983). 카드뮴은 주로 간과 신장에 축적되고, 낮은 용량일지라도 만성적으로 축적된 카드뮴은 폐, 간, 신 세뇨관 질환을 야기한다.
카드뮴 노출에 의해 유도된 세포의 형태적인 변형은 세포퇴화, 염증성 반응, 섬유화를 포함한다.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조직손상의 병리적 기전은 세포 괴사 및 높은 세포교체율과 관련된다(Sauer, J.M., et al., Toxicology, 121, pp155-164, 1997).
일반적으로, 저용량의 독성물질은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지만, 높은 수준의 독성물질노출은 나중에 세포괴사를 일으킨다(Raffray, M., et al., Pharmacol. Ther., 75, 153-177, 1997). 세포사멸자극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는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 배드(Bad)를 방출하고, 배드의 미토콘드리아로의 전위를 촉진하며 배드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BclXL와 상호작용하여 세포사를 증가시킨다(Nomura, M., et al., J. Biol. Chem.,278, pp2058-2065, 2003).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 최근에 납과 카드뮴 중독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유소, 단백질, 셀레늄 및 미량 원소들의 효능이 연구되고 있으며 홍차 및 녹차 카테킨이 카드뮴 중독으로 인한 신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혈압을 정상화시켰다는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해물질이 체내 유입되면 체내에서 유해물질을 빠르게 배설하기 위해 생물학적 변형작용 (biotransformation)이 진행되고 결국 이러한 작용을 통해 유해물질은 체외로 배설되게 된다. 이러한 대사과정은 크게 두 개의 단계로 나누어 설명되는데, 즉 체내로 흡수되는 환경오염물질이나 약물과 같은 이물질은 간 조직에서 phase 1 반응 또는 phase 2 반응에 의하거나 두 단계를 모두 통해 체외로 배설된다. phase1 효소는 cytochrom P450을 포함하며 소수성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반응성 전자를 갖도록 변화시켜 반응성이 높은 화합물로 전환한다. phase 2 효소는 glutathion S-transferase, UDP-glucuronosyl transferase, guinone reductase가 있는데 이들은 대사성이 높은 물질을 안정한 물질로 전환시켜 쉽게 배설되도록 돕는다(Liska DJ. Alter med rev 3: 187 -198,1998).
최근 잠재적 암예방 물질로서 콜리플라워, 양배추, 케일, 브로콜리와 같은 십자화과 채소류의 황함유물질인 gulcosinolates와 암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gulcosinolates는 biotransformation enzyme 발현을 변화시킴으로써 항암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phase 1 반응 또는 phase 2의 효소 활성의 유도와 관련된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만 이에 비해 중금속 물질에 대한 해독작용에 관한 연구와 과학적 자료는 미흡하며, 중금속 체내 축적 및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체내 미네랄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면역 기능의 유지, 세포 활성 유지, 질병 예방에 매우 중요한데, 파괴된 균형을 바로잡아 주면서 동시에 그 균형을 유지하여 주는 식품에 관한 연구 역시 미약한 실정이다.
[문헌 1] 한국 특허 공개 제 2000-0004499호 [문헌 2] 한국 특허 공개 제 2003-0079205호 [문헌 3] 한국 특허 공개 제 2004-0107853호 [문헌 4] 한국 특허 공개 제 2004-0107852호 [문헌 5] 한국 특허 공개 제 2005-0036093호
이에, 본 발명은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유해 중금속인 납과 카드뮴 독성에 대한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굼벵이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의할 만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 제독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 해독용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굼벵이 건조 분말의 맛을 개선하여 굼벵이가 주는 불쾌함을 없애는 방법을 완성하게 되어 본 발명이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굼벵이의 건조 분말의 제조 시에 굼벵이 맛을 개선시켜 복용하는 사람의 순응성을 향상시킨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 등 해독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식시킨 굼벵이를 구기자 나무의 잎을 물로 5 내지 20초 동안 데친 후 40 ~ 60℃에서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굼벵이 건조 분말 600 mg,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테인(Cysteine) 및 시스틴(cys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 함유 아미노산 1500 mg,
토코페롤 25 mg,
피리독신 17 mg,
아스코르빈산 85 mg,
칼슘 40 mg,
마그네슘 20 mg,
아연 10 mg, 및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 79 m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혈중 중금속의 배출 정도를 확인한 결과, 중금속 배설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중금속 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체내 미네랄의 균형이 파괴되었을 때 이를 정상으로 회복하여 주며, 정상의 상태일 경우에는 이를 유지하여 주슨 효과가 있어 세포 활성 유지, 면역력 강화 등에 매우 유용하며, 더더욱 굼벵이 주는 불쾌한 맛을 개선하여 환자의 순응성을 향상시켜 유용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절식시킨 굼벵이를 구기자 나무의 잎을 물로 5 내지 20초 동안 데친 후 40 ~ 60℃에서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굼벵이 건조 분말 600 mg,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테인(Cysteine) 및 시스틴(cys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 함유 아미노산 1500 mg,
토코페롤 25 mg,
피리독신 17 mg,
아스코르빈산 85 mg,
칼슘 40 mg,
마그네슘 20 mg,
아연 10 mg, 및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 79 mg을
포함하여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굼벵이는 한방으로부터 오랫동안 다양한 질환에 약으로 사용돼 왔으며 현재 농가에서 널리 사육돼 한방이나 민간요법에 사용되고 있으며 딱정벌레목(Coleopteran), 꽃무지과(Etonian)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으로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 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굼벵이의 일반 성분은 단백질 58% 정도 매우 높으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혈압강하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 올레인산(oleic acid) 가 전체 지방산 중에서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무기질 중 인과 칼륨, 비타민은 B3와 B9이 포함되어 있어 독소를 없애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알레르기 중상을 완화시키며 혈액 생성을 돕는 유아기 필수 아미노산인 히스티딘(histidine), 인지능력 개선 및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콜라겐 형성에 도움을 주어 연골형성을 돕는 프롤린(proline)이 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굼벵이는 민간에서 간질환 치료제로 애용된 생약으로, 국내에서 굼벵)의 간보호 효과가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다. 굼벵이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는 사염화탄소 유발 급성 간염에서 GOT, GPT, 담즙산, 빌리루빈 수치가 조사하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에서 실험용 쥐에 굼벵이 추출액을 투여한 결과 간경화 예방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하였다. 간경화가 진행 중인 쥐에서 간섬유화를 억제하는 현상이 나타나 치료제로서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굼벵이 건조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제조하기 전에 굼벵이를 절식시켜, 바람직하게는 4일 정도 절식시켜 굼벵이의 내장 속에 남아 있는 노폐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구기자 나무의 잎을 달인 물을 끓여 약 5 내지 20초간 데쳐 굼벵이를 죽이면서 표면에 대한 살균 효과 및 잡내를 제거한 다음에 40 ~ 60℃에서 건조(열풍 건조 또는 히터에 의한 건조 모두 가능)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구기자 나무는 학명이 Lycium chinense로서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으로서 고춧잎 같이 생긴 어린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도 심으며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열매는 구기자(拘杞子)라 하며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성분은 베타인, 베아크산틴, 카로텐, 티아민, 비타민A,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만성간염, 간경변증, 강장제, 해열제로 허리요통에 쓰이고, 뿌리 껍질은 지골피(地骨皮)라 하여 한방에서 소갈, 오한 등의 해열제로 이용된다.
상기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테인(Cysteine) 및 시스틴(cys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 함유 아미노산은 체내에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를 생성시켜 중금속으로 인해 생성된 체내에 산소를 함유한 유리기(free radical)를 제거시킨다. 또한 유리기가 세포 내 증가 또는 메탈로치오네인과 결합할 중금속 이온이 다량 존재할 경우 세포안으로 유입되어 메탈로치오네인과 결합하여 제거되거나 촉진인자(Metallothionein Transciprtion Factor, MTF)를 자극하게 된다. 그 결과 전사(transcription)가 진행되어 치오네인(Thionein)이 다량 합성되며, 세포내 유입될 중금속과 다시 결합하여 메탈로치오네인을 형성하게 된다. 생성된 메탈로치오네인은 대부분 아연 혹은 구리를 포함하는 메탈로치오네인이며, 이들은 다른 유해 중금속과의 친화력 차이로 인해 중금속 및 그 독성을 무력화한다. 결국 최종적으로 유해 중금속을 함유한 메탈로치오네인은 세포내의 리소좀(Lysosome)에 의해 분해 혹은 축적되거나 그 자체로 분비된다는 보고도 있다. 결국 체내에 축적된 중금속을 고분자 단백질과 결합시켜 고분자복합체인 메탈로치오네인(Metallothionein)의 생성을 유도하고 생성에 필요한 아미노산, 미네랄을 공급함으로써 유해 중금속의 독성을 무력화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중금속 제거용으로 비타민이 함유되는데, 비타민으로는 토코페롤, 피리독신 및 아스코르빈산이 있다. 토코페롤과 아스코르빈산은 주요 항산화제로서 글루타치온과 함께 세포에서의 산화작용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토코페롤은 비타민 E로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피리독신은 글루타치온의 대사 및 합성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고, 결합조직, 효소, 핵산, 면역물질의 생산을 촉진하고 뇌신경 전달물질의 생화학적 합성에 관여를 한다. 피리독신은 비타민 B6로 그의 염산염, 질산염 및 황산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효소의 작용을 보조하는 촉매 역할을 하며, 메탈로치오네인의 유도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 미네랄로서 함유되는 것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는 여러 영양성분과 함께 셀레늄이 주성분으로 포함된 건조 효모를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로서 사용한다. 셀레늄은 인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미네랄 성분으로서 산소를 소비하는 물질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면역계의 기능을 강화하는 작용도 한다.
이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
굼벵이 건조 분말 600 mg, 메티오닌(methionine) 1500 mg, 토코페롤 25 mg, 피리독신 17 mg, 아스코르빈산 85 mg, 칼슘 40 mg, 마그네슘 20 mg, 아연 10 mg, 및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 79 mg를 함유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굼벵이 건조 분말을 정제수에 10초간 데친 후에 50℃의 열풍으로 건조한 후 100메쉬 정도로 분말로 제조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나머지 구성 성분들은 건강식품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것을 구매하여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 비교 식품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굼벵이 건조 분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시험예 :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본 시험은 40대 남성 2명의 지원자를 모집하여 미네랄 함량 변화에 대하여 측정을 하였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섭취 전에 미네랄의 수치, 섭취 후의 미네랄 수치 및 균형 범위를 표 1(실시예 1의 결과) 및 표 2(비교예 1의 결과)에 나타냈으며, 섭취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비율의 함량을 전분에 넣고 총 4000mg으로 만든 후에 정제로 하여 하루에 2정씩 아침, 저녁으로 15일간 섭취한 후의 결과이다. 미네랄 측정은 발명자를 머리카락으로 하였다.
미네랄 균형범위(㎍/g) 섭취 전 (㎍/g) 섭취 후 (㎍/g)
Na 18 ~ 85 38.95 38.92
K 5 ~ 40 44.28 34.7
Ca 180 ~ 760 142.8 299.3
Mg 18 ~ 78 47.74 45.51
Zn 150 ~ 250 187.5 189.5
S 3000 ~ 55000 39718 39735
P 145 ~ 250 125.8 125.9
Cr 0.2 ~ 1.2 0.278 0.301
Mn 0.2 ~ 0.8 0.152 0.285
Co 0.01 ~ 0.05 0.013 0.013
Fe 6 ~ 15 27 12.2
Cu 15 ~ 35 65.57 32.1
Se 0.6 ~ 1.6 0.694 0.835
Li 0.01 ~ 0.2 0.013 0.017
V 0.02 ~ 0.1 0.025 0.031
Mo 0.02 ~ 0.1 0.036 0.035
미네랄 균형범위(㎍/g) 섭취 전 (㎍/g) 섭취 후 (㎍/g)
Na 18 ~ 85 37.75 38.25
K 5 ~ 40 49.75 48.95
Ca 180 ~ 760 289.4 299.9
Mg 18 ~ 78 47.74 45.51
Zn 150 ~ 250 151.2 158.2
S 3000 ~ 55000 35521 35355
P 145 ~ 250 125.8 125.9
Cr 0.2 ~ 1.2 0.278 0.301
Mn 0.2 ~ 0.8 0.141 0.142
Co 0.01 ~ 0.05 0.013 0.013
Fe 6 ~ 15 29.5 28.9
Cu 15 ~ 35 68.8 75.2
Se 0.6 ~ 1.6 0.694 0.835
Li 0.01 ~ 0.2 0.013 0.017
V 0.02 ~ 0.1 0.025 0.031
Mo 0.02 ~ 0.1 0.036 0.035
상기 표 1에서 보면 K, Ca, Mn, Fe, Cu에서 균형 범위를 벗어나 있었으나 섭취 후에는 모든 미네랄에서 균형 범위에 속하게 되는 효과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 2에서도 유사하게 K,Mn, Fe, Cu에서 균형 범위를 벗어나 있었으나 섭취 후에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시험예 : 동물실험을 통한 중금속 배출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카드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컷 Sprague-Dawley 랫드(6주령, 암컷, 수컷, 약 250g)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군당 10마리를 배정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카드뮴만을, 제1군은 중금속으로 카드뮴을 투여하면서 이와 함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이때 하루에 카드뮴은 3㎍/g, 실시예 조성물은 0.1mg/g을 사료와 함께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4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중금속의 배출 정도를 확인하였다.
중금속 및 추출물을 4주간 투여한 다음, 마지막 투여 2시간 후에 동물을 zoletil(zoletil 50, Virbac)을 이용하여 과마취를 시킨 후에 혈액 중 납, 수은, 카드뮴의 검출을 위해서 혈청을 채취하고 또한 뇌조직, 간에서 산화적 손상 및 항산화효소의 조직 내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을 채취하였다.
카드뮴은 원자흡광광도-흑연로법 검사원리를 이용하여 원자에 높은 열을 가해 원자를 들뜬 상태로 만든 후 카드뮴 원자가 228.8 nm에서 광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시료 카드뮴 혈중 농도(㎍/ℓ)
대조군 6.286
실시예 1 1.802
상기 표 3의 시험 결과를 보면, 통상의 정상적인 혈액에서는 0.033㎍/ℓ가 측정되나 카드뮴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우 카드뮴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평균6.286 ㎍/ℓ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평균 제1군은 1.802㎍/ℓ,로 측정이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에 카드뮴의 농도가 상당량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시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시료 카드뮴 혈중 농도(㎍/ℓ)
대조군 6.147
비교예 1 6.142
상기 4를 보면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경우에는 카드뮴 배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하게 제조를 하였으나 굼벵이를 데치는 물로 정제수가 아닌 구기자 잎 달인 물을 사용한 것에 차이가 있다. 건조 구기자 잎 100g 당 물 1ℓ를 넣고 1시간 정도 끓인 물을 이용하였다.
6. 관능 시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성물에 대하여 남녀 20대 각 25명씩 총 50명을 선정하여 각 조성물을 섭취시킨 후에 맛이 우수한 쪽에 투표를 하게 하고 느낌을 적게 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50명 모두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는 구수한 맛이 느껴지며 다른 불쾌한 맛이 없어 거부감이 없이 먹을 수 있다고 하여 실시예 1보다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를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혈중 중금속의 배출 정도를 확인한 결과, 중금속 배설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중금속 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체내 미네랄의 균형이 파괴되었을 때 이를 정상으로 회복하여 주며, 정상의 상태일 경우에는 이를 유지하여 주슨 효과가 있어 세포 활성 유지, 면역력 강화 등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굼벵이를 이용하였다는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절식시킨 굼벵이를 구기자 나무의 잎을 물로 5 내지 20초 동안 데친 후 40 ~ 60℃에서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굼벵이 건조 분말 600 mg,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테인(Cysteine) 및 시스틴(cys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 함유 아미노산 1500 mg,
    토코페롤 25 mg,
    피리독신 17 mg,
    아스코르빈산 85 mg,
    칼슘 40 mg,
    마그네슘 20 mg,
    아연 10 mg, 및
    셀레늄 함유 건조 효모 79 m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80155035A 2018-12-05 2018-12-05 굼벵이와 구기자를 이용한 카드뮴 배출을 위한 기호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11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35A KR102114633B1 (ko) 2018-12-05 2018-12-05 굼벵이와 구기자를 이용한 카드뮴 배출을 위한 기호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35A KR102114633B1 (ko) 2018-12-05 2018-12-05 굼벵이와 구기자를 이용한 카드뮴 배출을 위한 기호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387A Division KR20180058251A (ko) 2016-11-23 2016-11-23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42A true KR20180133242A (ko) 2018-12-13
KR102114633B1 KR102114633B1 (ko) 2020-05-26

Family

ID=6467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035A KR102114633B1 (ko) 2018-12-05 2018-12-05 굼벵이와 구기자를 이용한 카드뮴 배출을 위한 기호성이 향상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350B1 (ko) 2020-09-21 2023-03-13 주식회사 서미바이오 꽃무지 성충을 이용한 조미용 소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99A (ko) 1998-06-30 2000-01-25 박호군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030079205A (ko)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040107853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KR20040107852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050036093A (ko)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파인엠 황칠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화장품조성물
KR100528720B1 (ko) * 2002-08-29 2005-11-15 주식회사 메디넥스 중금속 제거용 특수 영양식품
KR20160032851A (ko) * 2014-09-17 2016-03-25 정기호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99A (ko) 1998-06-30 2000-01-25 박호군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030079205A (ko)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0528720B1 (ko) * 2002-08-29 2005-11-15 주식회사 메디넥스 중금속 제거용 특수 영양식품
KR20040107853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KR20040107852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050036093A (ko)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파인엠 황칠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화장품조성물
KR20160032851A (ko) * 2014-09-17 2016-03-25 정기호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민신문에 게재된 ‘미래식량곤충’에 대한 기사 (2015.06.15.)* *
아시아투데이에 게재된 ‘굼벵이’에 대한 기사 (2016.11.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33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hrandish et al. Heavy metals detoxification: A review of herbal compounds for chelation therapy in heavy metals toxicity
Wilson et al. Vitamin E, antioxidants and lipid peroxidation in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of rabbits
Gargouri et al. Hyperglycemia, oxidative stress, liver damage and dysfunc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 are prevented by Spirulina supplementation
El-Sayed et al. Effect of Ficus carica L. leaves extract loaded gold nanoparticles against cisplatin-induced acute kidney injury
Sharma et al. Nutritional management can assist a significant role in alleviation of arsenicosis
JP2007153888A (ja) 体内浄化用組成物、それを用いた食品、入浴剤、化粧料、製剤及び有害金属排泄促進剤
Salehi et al. Plants of the genus Spinacia: From bioactive molecules to food and phytopharmacological applications
Abou Zaid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selenium nanoparticles and ferulic acid on acrylamide-induced neurotoxicity in rats
Samson et al. Haematological and hepatotoxic potential of onion (Allium cepa) and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s in rats
Karau et al. Phytonutrient, miner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and stem bark powders of Pappea capensis (L.)
Hassan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scavenging of cape gooseberry (Physalis peruviana L.) in hepatocellular carcinoma rats model
Khalil et al. Moringa oleifera leaves ethanolic extract influences DNA damage signaling pathways to protect liver tissue from cobalt-triggered apoptosis in rats
Ranasinghe et al. Cytoprotective remedies for ameliorating nephrotoxicity induced by renal oxidative stress
EP1901701A2 (en) Personal care and medicinal products incorporating bound organosulfur groups
Chaudhary et al.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Aloe vera against 7, 12-dimethylbenz (a) anthracene—induced skin papillomagenesis in mice
KR20180133242A (ko)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058251A (ko)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Thangapandiyan et al. Mentha piperita protects against Cadmium induced oxidative renal damage by restoring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suppressing inflammation in rats
Ali et al. Promising anti-oxidative therapeutic potentials of edible freshwater snail Bellamya bengalensis extract against arsenic-induced rat hepatic tissue and DNA damage
Karthishwaran et al. Assessment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Pergularia daemia (Forsk.)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on hamster buccal pouch carcinogenesis
Okutu Jackson et al. N. ameliorative effect of allium sativum and justicia carnea extracts co-administration on acute cadmium chloride-induced changes on liver function parameters of albino rats. World J. Pharm
EP3247323B1 (en) Chlorophyll composition
EP3182966B1 (en)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associated with menopause and climacteric
KR20180024066A (ko)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iftci et al. The effect of lipoic acid on macro and trace metal levels in living tissues exposed to oxidative s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8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8

Effective date: 202004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