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066A -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066A
KR20180024066A KR1020160108417A KR20160108417A KR20180024066A KR 20180024066 A KR20180024066 A KR 20180024066A KR 1020160108417 A KR1020160108417 A KR 1020160108417A KR 20160108417 A KR20160108417 A KR 20160108417A KR 20180024066 A KR20180024066 A KR 2018002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ixture
functional food
food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031B1 (ko
Inventor
손진성
Original Assignee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6010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0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 등 해독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검정콩, 검정깨, 뽕잎, 쇠비름, 야콘, 사상자, 석창포, 하수오, 초과, 등삼칠 및 산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여 탈모방지, 발모촉진, 혈류개선 및 고지혈증 예방의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detoxification heavy metal using dendropanax morbiferum and grub}
본 발명은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 등 해독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시켜 탈모방지, 발모촉진, 혈류개선 및 고지혈증 예방의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로 생활이 편리해진 반면 이로 인한 환경오염은 인간의 생활환경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중 토양이나 수질의 중금속 오염은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이행, 축적되어 급성 또는 만성 중독을 일으킬 수 중금속은 종류에 따라 유기 혹은 무기 화합물을 형성하면 생체 내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며, 또한 미세먼지 내지 황사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은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에 흡수되어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금속은 생체 내로 들어가면 쉽게 배출되지 않으며 축적량이 증가할 경우 체중감소, 빈혈, 장기의 생화학 및 형태학적 변화, 뇌 손상 등의 중독현상을 일으키며 칼슘, 철분, 아연, 셀레늄 등의 필수 무기원소와 장내 흡수 단계에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조직 내 이들 함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일부 유독성 금속은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체조직과 반응하여 체내에 서서히 독 작용을 나타내고 특히 생물학적 반감기가 길어 일단 중독이 되면 완치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드뮴(Cd)은 중금속 중에서 가장 독성이 높은 물질 중의 하나이며 환경 중금속으로,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Satoh, M., et al., Tohoku J. Exp. Med., 196, pp23-32, 2002). 역학 조사에 따르면 소량의 카드뮴일지라도 장기간 섭취되면 카드뮴이 표적 장기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인간이 평생 섭취하는 총 카드뮴의 양은 대략 2000 mg(Klaassen, C.D., Casarett and Doull'sToxociology,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New York, pp822-826, 2001) 정도이며, 음식이나 작업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카드뮴을 만성적으로 섭취할 경우, 카드뮴이 축적된 조직의 세포를 사멸시켜 기관(organ)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Falck, F.Y.Jr., et al., Am. J. Ind. Med., 4, pp541-549, 1983). 카드뮴은 주로 간과 신장에 축적되고, 낮은 용량일지라도 만성적으로 축적된 카드뮴은 폐, 간, 신 세뇨관 질환을 야기한다.
카드뮴 노출에 의해 유도된 세포의 형태적인 변형은 세포퇴화, 염증성 반응, 섬유화를 포함한다.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조직손상의 병리적 기전은 세포 괴사 및 높은 세포교체율과 관련된다(Sauer, J.M., et al., Toxicology, 121, pp155-164, 1997).
일반적으로, 저용량의 독성물질은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지만, 높은 수준의 독성물질노출은 나중에 세포괴사를 일으킨다(Raffray, M., et al., Pharmacol. Ther., 75, 153-177, 1997). 세포사멸자극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는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 배드(Bad)를 방출하고, 배드의 미토콘드리아로의 전위를 촉진하며 배드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BclXL와 상호작용하여 세포사를 증가시킨다(Nomura, M., et al., J. Biol. Chem.,278, pp2058-2065, 2003).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 최근에 납과 카드뮴 중독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유소, 단백질, 셀레늄 및 미량 원소들의 효능이 연구되고 있으며 홍차 및 녹차 카테킨이 카드뮴 중독으로 인한 신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혈압을 정상화시켰다는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해물질이 체내 유입되면 체내에서 유해물질을 빠르게 배설하기 위해 생물학적 변형작용 (biotransformation)이 진행되고 결국 이러한 작용을 통해 유해물질은 체외로 배설되게 된다. 이러한 대사과정은 크게 두 개의 단계로 나누어 설명되는데, 즉 체내로 흡수되는 환경오염물질이나 약물과 같은 이물질은 간 조직에서 phase 1 반응 또는 phase 2 반응에 의하거나 두 단계를 모두 통해 체외로 배설된다. phase1 효소는 cytochrom P450을 포함하며 소수성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반응성 전자를 갖도록 변화시켜 반응성이 높은 화합물로 전환한다. phase 2 효소는 glutathion S-transferase, UDP-glucuronosyl transferase, guinone reductase가 있는데 이들은 대사성이 높은 물질을 안정한 물질로 전환시켜 쉽게 배설되도록 돕는다(Liska DJ. Alter med rev 3: 187 -198,1998).
최근 잠재적 암예방 물질로서 콜리플라워, 양배추, 케일, 브로콜리와 같은 십자화과 채소류의 황함유물질인 gulcosinolates와 암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gulcosinolates는 biotransformation enzyme 발현을 변화시킴으로써 항암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phase 1 반응 또는 phase 2의 효소 활성의 유도와 관련된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만 이에 비해 중금속 물질에 대한 해독작용에 관한 연구와 과학적 자료는 미흡하며, 중금속 체내 축적 및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문헌 1] 한국 특허 공개 제 2000-0004499호 [문헌 2] 한국 특허 공개 제 2003-0079205호 [문헌 3] 한국 특허 공개 제 2004-01077853호 [문헌 4] 한국 특허 공개 제 2004-0107852호 [문헌 5] 한국 특허 공개 제 2005-0036093호
이에, 본 발명은 유해 중금속인 납과 카드뮴 독성에 대한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의할 만한 중금속 제독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중금속 해독용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채취한 뿌리, 잎, 줄기 및 가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칠나무 분말과 굼벵이 건조 분말의 혼합물에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을 배양한 후 상기 목이버섯이 배양된 혼합물 또는 이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채취한 뿌리, 잎, 줄기 및 가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칠나무 분말과 굼벵이 건조 분말의 혼합물을 거핵 대추 및 생강 달인 물에 침지 시킨 후 목이버섯 균을 배양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발휘하도록 상기 혼합물은 검정콩, 검정깨, 뽕잎, 쇠비름, 야콘, 사상자, 석창포 및 하수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고지혈증 예방 및 혈류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은 초과, 등삼칠 및 산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카드뮴, 납, 수은 등의 중금속에 의해 유래한 활성산소종의 제거 효능을 MDA(malondialdhyde) 수준, Cu,Zn-수퍼옥시드 디스무타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 활성(catalase activity)을 실험한 결과, 이들의 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하며, 또한 중금속을 속을 투여한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대상으로 혈중 중금속의 배출 정도를 확인한 결과, 중금속 배설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중금속 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종래에 알려져 있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혈류 개선, 고지혈증 예방 효과가 있는 성분들 함께 섭취되었을 때 이들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우수한 특징을 보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채취한 뿌리, 잎, 줄기 및 가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칠나무 분말과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목이버섯 균을 배양한 후 상기 목이버섯이 배양된 혼합물을 그대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거나 이 혼합물의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수림이며, 전남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서만 자생 및 재배되는 난대성 수종이다. 황칠의 수지는 황금색이고 내열, 내구, 내수성이 강하며 부착성 및 광택이 좋아 예로부터 전통공예품에 천연도료 및 민간 의약품 소재로 쓰이고 있다. 또한, 황칠은 세스퀴테르펜 등의 정유 성분뿐만 아니라, 아라키딕산, 팔미틱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맥경화, 간기능 개선, 항산화, 뼈 재생 촉진, 면역 증강, 항균,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칠나무 전체, 황칠나무의 일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일 부분들의 혼합물 중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가능하며, 또한 건조하거나 건조하지 않고 목이버섯의 배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굼벵이는 한방으로부터 오랫동안 다양한 질환에 약으로 사용돼 왔으며 현재 농가에서 널리 사육돼 한방이나 민간요법에 사용되고 있으며 딱정벌레목(Coleopteran), 꽃무지과(Etonian)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이다.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을 배양하기 위하여 채취한 황칠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과 굼벵이 분말의 혼합물에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을 접종하게 되는데, 이때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가공하여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을 배양하기 위하여 특별하게 목이버섯 전용 배양액을 추가하거나 부가할 필요는 없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양액을 혼합물에 부가하여 배양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원발명의 변형된 예이다.
상기 목이버섯은 목이버섯 속에 속하는 여러 식용버섯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목에 종균을 접종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생산지에서는 생것으로 식용되나 일반적으로 건조품이 이용된다. 목이버섯은 식이섬유 및 비타민 D, 아미노산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식물성 콜라겐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상기 상황버섯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편에 기록되어 있다. 갓은 지름 6∼12cm, 두께 2∼10cm로, 반원 모양, 편평한 모양, 둥근 산 모양, 말굽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표면에는 어두운 갈색의 털이 짧고 촘촘하게 나 있다가 자라면서 없어지고 각피화한다. 검은빛을 띤 갈색의 고리 홈이 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등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선명한 노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며 살도 황갈색이다. 자루가 없고 포자는 연한 황갈색으로 공 모양이다. 다년생으로 뽕나무 등에 겹쳐서 나는 목재부후균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귀중한 약재로서 한국에서는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약용하기 위해 달이면 노란색이거나 연한 노란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다. 한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본 발명에서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의 배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는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의 자실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의 균사체가 황칠나무의 조직과 조직 사이에 균일하게 퍼져서 황칠나무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과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에서 추출되는 유효성분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의 배양은 자실체가 막 생기기 시작할 때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 자실체에서도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유효성분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목이버섯 자실체가 어느 정도 큰 상태에서 배양을 멈추고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 자실체도 함께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의 배양이 완료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도 있으며, 또한 배양된 완료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의 배양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여 기능성 식품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혼합물을 전처리하여 목이버섯 또는 상황버섯이 배양되기 좋은 조건으로 만들 수 있는데, 이 전처리 장법은 상기 혼합물을 거핵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및 생강 달인 물에 침지 시켜 독성을 제거한 다음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목이버섯을 배양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핵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 및 생강 달인 물에 제조할 때 물과 혼합되는 대추 및 생강의 양, 달이는 시간 등은 반복적인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종래에 알려져 있는 식용 가능한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이 검정콩, 검정깨, 뽕잎, 쇠비름, 야콘, 사상자, 석창포 및 하수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혼합물이 초과, 등삼칠 및 산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여 고지혈증 예방 및 혈류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 실시예 : 중금속 배출 및 흡수 방지>
1. 실시예 1
황칠나무(줄기, 잎, 가지, 뿌리 및 이들의 혼합)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만든 다음 이 분쇄물 8kg에 굼벵이 분말 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압축하여 원통 모양의 펠릿 10개를 제조한 후 펠릿 하나 당 5개의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시중에서 구입한 목이버섯 종균을 10cc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목이버섯 자실체가 펠릿 밖으로 나와 보일 때쯤 배양을 중지하고 목이버섯 균사체가 퍼져있는 펠릿을 분쇄하여 이 분쇄물을 획득하였다.
100℃의 끓는 물 50리터에 넣고 물의 양이 1/2로 줄 때까지 계속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2. 실시예 2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다만, 펠릿을 분쇄한 후 100℃의 끓는 물 50리터에 넣고 물의 양이 1/2로 줄 때까지 계속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획득한 것에 차이가 있다.
3.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와 동일하면 다만 펠릿을 제조하기 전에 황칠과 굼벵이의 혼합물 10kg를 거핵 대추 5kg와 생강 5kg를 넣고 20시간 동안 달인 물 30리터에 10시간 침지 시킨 다음에 이를 압축하여 원통 모양의 펠릿을 제조한 것에 차이가 있다.
4. 실시예 4
본 실시예 4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목이버섯을 상황버섯으로 대체한 것에 차이가 있다.
5. 비교예 1
목이버섯 종균을 배양하지 않고 황칠나무와 굼벵이의 혼합물을 바로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열수 추출 과정 등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다.
6. 시험예 : 동물실험을 통한 중금속 배출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득물이 카드뮴, 납, 수은 등의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컷 Sprague-Dawley 랫드(6주령, 암컷, 수컷, 약 250g)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군당 10마리를 배정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카드뮴만을, 제 1군은 중금속으로 카드뮴을 투여하면서 이와 함께 실시예 1의 수득물을, 제 2군은 중금속으로 카드뮴을 투여하면서 이와 함께 실시예 2의 수득물을, 제 3군은 중금속으로 카드뮴을 투여하면서 이와 함께 실시예 3의 수득물을, 제 4군은 중금속으로 카드뮴을 투여하면서 이와 함께 비교예 1의 수득물을 투여하였다. 이때 하루에 카드뮴은 3㎍/g, 실시예와 비교예 수득물은 0.1mg/g을 사료와 함께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4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중금속의 배출 정도를 확인하였다.
중금속 및 추출물을 4주간 투여한 다음, 마지막 투여 2시간 후에 동물을 zoletil(zoletil 50, Virbac) 을 이용하여 과마취를 시킨 후에 혈액 중 납, 수은, 카드뮴의 검출을 위해서 혈청을 채취하고 또한 뇌조직, 간에서 산화적 손상 및 항산화효소의 조직 내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을 채취하였다.
카드뮴은 원자흡광광도-흑연로법 검사원리를 이용하여 원자에 높은 열을 가해 원자를 들뜬 상태로 만든 후 카드뮴 원자가 228.8 nm에서 광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시료 카드뮴 혈중 농도(㎍/ℓ)
대조군 6.086
실시예 1 2.012
실시예 2 1.902
실시예 3 1.891
실시예 4 1.904
비교예 1 4.12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든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이 우수하여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의 시험 결과를 보면, 통상의 정상적인 혈액에서는 0.033㎍/ℓ가 측정되나 카드뮴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우 카드뮴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평균 6.086 ㎍/ℓ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평균 제 1군은 2.012㎍/ℓ, 제 2군은 1.902㎍/ℓ, 제 3군은 1.891㎍/ℓ로 측정이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수득물의 경우에 카드뮴의 농도가 상당량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수득물을 투여한 제 4군에서는 감소는 하였으나 그 정도가 본 발명의 실시예 보다는 떨어지는 4.125㎍/ℓ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우수성을 더욱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 발모 효과>
1.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수출물을 수득하였으며, 다만, 펠릿은 만드는 혼합물에 검정콩, 사상자 및 하수오 분말을 각각 1kg 씩 더 포함시켜 제조한 것에만 차이가 있다.
2. 비교예 2
본 비교예는 검정콩, 사상자 및 하수오 분말을 각각 3kg 씩 준비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시험예 : 발모 효능 평가
마우스 발모 모델을 응용하여 모근 형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6 주령의 C57BL/6 암컷 마우스를 구입하여 일주일 간 환경에 적응하도록 한 후 7 주령이 되었을 때 바리캉을 이용하여 마우스 등의 털을 제거하였다. 이때 마우스의 모근은 모두 일제히 휴식기(telogen)에 접어들어 있었기 때문에 피부는 선홍색을 띠고 있었다. 모근이 형성되고 털이 자라면 피부는 다량의 멜라닌 색소에 의해 어두운 색으로 변하게 된다.
털을 제거한 다음날부터 10마리의 마우스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실시예 4의 추출물과 비교예 2의 추출물을 100 ㎕ (1500 ㎍/mouse/day)을 4 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휴식기(telogen)에 있는 모근을 성장기(anagen)로 전환시켜서 모근이 활성화되는 현상은 선홍색이던 피부색이 어두워지는 것을 통하여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털의 성장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각 추출물이 가지는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군에서는 2 주일이 채 되기 전에 피부색이 어두워지는 현상이 관찰되었고 이어서 발모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비교예 2의 추출물을 투여한 비교군의 마우스에서는 4주가 지난 후에야 피부색이 어두워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에는 종래의 발모 효과가 알려져 있는 기능성 성분들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 혈류 개선 효과>
1.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수출물을 수득하였으며, 다만, 펠릿은 만드는 혼합물에 초과, 등삼칠 및 산약 분말을 각각 1kg 씩 더 포함시켜 제조한 것에만 차이가 있다.
2. 비교예 3
본 비교예는 초과, 등삼칠 및 산약 분말을 각각 3kg 씩 준비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시험예 : 인체에 대한 혈류량 개선 효능 측정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피부의 혈류량 촉진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팔 부위에 경구투여 전, 후의 혈류량을 스웨덴 페리메드 AB (Perimed AB, Sweden)사에서 제조한 페리플럭스 시스템 5000 (PeriFlux System 5000 ) 혈류량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기기는 모세혈관을 흐르는 적혈구가 레이저 빛을 파장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파장을 회복섬유(returning fiber)가 잡아서 전기적 신호로 다시 전환시켜 이 전기적 신호를 수치로 표현하여 혈류량을 나타내 준다. 즉, 혈류량이 많을수록 수치는 높아지고 혈류량이 적을수록 수치는 낮아진다. 혈류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기기자체에서 제공하는 LDPF unit로 표현된다.
피 시험자는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실험실에 20 ~ 30 분 정도 적응을 시킨 후 투여하기 전 혈류량을 시험부위인 전팔(forearm)부위에 측정하였고, 실시예 5와 비교예 3의 추출물을 2주간 하루에 1g/kg 투여하여 다시 혈류량을 측정하여 전, 후의 혈류량 측정값의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계산하여 시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경우에는 38.8 %의 탁월한 혈류량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보다는 떨어지는 29.8%의 혈류량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에는 종래의 혈류 개선 효과가 알려져 있는 기능성 성분들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채취한 뿌리, 잎, 줄기 및 가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칠나무 분말과 굼벵이 건조 분말의 혼합물에 목이버섯 균사체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후 상기 목이버섯이 배양된 혼합물 또는 이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한 뿌리, 잎, 줄기 및 가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황칠나무 분말과 굼벵이 건조 분말의 혼합물을 거핵 대추 및 생강 달인 물에 침지 시킨 후 목이버섯 균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검정콩, 검정깨, 뽕잎, 쇠비름, 야콘, 사상자, 석창포 및 하수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초과, 등삼칠 및 산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여 고지혈증 예방 및 혈류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20160108417A 2016-08-25 2016-08-25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880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17A KR101880031B1 (ko) 2016-08-25 2016-08-25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17A KR101880031B1 (ko) 2016-08-25 2016-08-25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066A true KR20180024066A (ko) 2018-03-08
KR101880031B1 KR101880031B1 (ko) 2018-07-20

Family

ID=6172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417A KR101880031B1 (ko) 2016-08-25 2016-08-25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000B1 (ko) * 2018-11-28 2020-02-17 이경훈 굼벵이를 사육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726B1 (ko) 2019-12-13 2021-10-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99A (ko) 1998-06-30 2000-01-25 박호군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030079205A (ko)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040107853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KR20040107852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050036093A (ko)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파인엠 황칠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화장품조성물
KR20130037956A (ko) * 2011-10-07 2013-04-17 최재홍 황칠나무를 이용한 알칼리 액상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50069671A (ko) * 2013-12-16 2015-06-24 (주)이푸른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330B1 (ko) * 2015-12-29 2017-06-20 안규창 목이버섯이 배양된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99A (ko) 1998-06-30 2000-01-25 박호군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030079205A (ko)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040107853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KR20040107852A (ko)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050036093A (ko)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파인엠 황칠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화장품조성물
KR20130037956A (ko) * 2011-10-07 2013-04-17 최재홍 황칠나무를 이용한 알칼리 액상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50069671A (ko) * 2013-12-16 2015-06-24 (주)이푸른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굼벵이농장 다녀온 후기 :: 굼벵이 사육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qufquf1dl/220723174240) (2016.05.3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000B1 (ko) * 2018-11-28 2020-02-17 이경훈 굼벵이를 사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031B1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wis Broccoli; the green beauty: a review
Kim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f fresh and aged black garlic extracts
Wang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staghorn sumac (Rhus typhina)
Seal Nutritional composition of wild edible fruits in Meghalaya state of India and their ethno-botanical importance
KR100860209B1 (ko) 유황이 함유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이를첨가한 사료로 사육, 생산한 돈육
Mann et al. Evaluation of nutritional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Indian buckwheat grains
Mann et al.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an underutilized fruit tree Choerospondias axillaris i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A review
KR101880031B1 (ko)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D’Antuono et al. Impact on health of artichoke and cardoon bioactive compounds: Content, bioaccessibility, bioavailability, and bioactivity
Ariyanto et al. Identification of the chemical profile of Rhizophora mucronata mangrove green leaves from the eastern coast Ofasahan, North Sumatra, Indonesia.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10037020A (ko) 양잠산물과 한약재를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058201A (ko)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수경재배 인삼 잎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수경재배 인삼 잎 분말
Prinsloo et al. Marula [Sclerocarya birrea (A. Rich) Hochst]: A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Krishnakumari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Calocybe indica, a tropical Indian edible mushroom on hyperglycemia induced oxidative stress
Etesin et al. Screening for minerals and anti-minerals composition of Gongronema latifolium (utasi) leaf
Airaodion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aceutical Potential of Velvet Tamarind (Dialium guineense wild) Fruit Pulp
Vimala et al. Usage of Indian Gooseberry (Emblica officinalis) seeds in health and disease
Olalekan et al. Evaluation of the phytochemical, antioxidant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hyllanthus muellerianus leaves
Jan et al. Extraction of leaf pigments, carbohydrate and protein content from fresh leaves of Tinospora cordifolia (Willd.)
KR102612962B1 (ko)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58251A (ko) 굼벵이를 이용한 체내 미네랄 균형 유지,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체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Adekunle et al. Proximate, phytochemical and mineral compositions of roasted seeds of coffee senna (Senna occidentalis Linn).
Aissaoui et al. In vivo evaluation of antioxydant potential and antihyperglycemic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