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947B1 -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947B1
KR101194947B1 KR1020120012172A KR20120012172A KR101194947B1 KR 101194947 B1 KR101194947 B1 KR 101194947B1 KR 1020120012172 A KR1020120012172 A KR 1020120012172A KR 20120012172 A KR20120012172 A KR 20120012172A KR 101194947 B1 KR101194947 B1 KR 10119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xane
ethyl acetate
frac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현
Original Assignee
박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현 filed Critical 박소현
Priority to KR102012001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과 같은 간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의 가지 및 잎의 유기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간암 세포를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간암치료제 및 관련 질환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s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Lev.}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과 같은 간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황칠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으로 질환의 초기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악화되어서야 발견된다. 간경화, 간암 등은 각종 간질환이 만성적으로 진행될 경우 공통적으로 이르는 마지막 단계이다. 그 원인으로는 알코올, 약물, 화학약품, 바이러스성 간염, 담도질환, 대사성질환, 자가면역성 질환 등이 있으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아 간은 초기의 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이다. 정신적 휴식을 가질 경우 손상된 간세포는 복구되지만 급박한 현대사회에서 정신적 휴식의 여유를 찾을 수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간 손상을 가중시켜 인체가 방어 해독 작용을 하지 못해 면역 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간암을 포함한 만성 간질환은 우리 나라 성인에게 있어서 입원 빈도 5위의 높은 유병율을 나타내는 질환이다(1994년 의료보험 관리공단 통계연보). 1996년 통계청 사망 원인 통계연보를 보면 인구 10만명당 남성의 간암 사망률은 33명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높고, 만성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인구 10만명당 44명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간 경변증과 간암 등의 만성 간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질환이며, 주로 간을 침범하는 전신적 감염으로서 A, B, C, D 및 E 등의 간염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 간염과 더불어 간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알코올이다. 알코올에 기인한 간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분류되며, 간에 약간의 지방이 축적된 것부터 진행된 간경화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과도한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중 가장 초기에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 지방간이다. 알코올성 간염은 과량의 만성 알코올 섭취자의 20~30%에서 발병하며,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만성 알코올 섭취자의 10~15% 정도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경화는 만성간염이나 알코올성 간질환 등에 의한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간손상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간경화가 되면 간기능의 저하가 현저해지고 간을 통과하는 혈류에 장애가 생기므로 복수, 위장출현, 간성 혼수 등의 합병증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B형,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염 바이러스의 보균자 혹은 간경화를 오랜동안 앓고 있던 사람에게서 간암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진단시 이미 심하게 진행되었거나 간기능 저하가 심하여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종래 간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암부위를 절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질병의 상태에 따라 수술이 위험하거나 시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항암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간동맥을 통하여 항암제를 직접 간암조직 내로 주입하거나 항암제 투여후에 암종으로 연결된 혈관을 폐색시키는 치료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간암은 사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미 발병한 간암의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되어야 한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우리나라의 남부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고 한다. 본초강목에는 황칠나무가 번열 제거, 안질 및 화상치료, 나병에 효과가 있으며 무해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황칠은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성분인 비휘발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있고, 특히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강장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황칠나무와 관련하여 알려진 바로는 황칠은 자연의 금색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공예품에 사용하는 도료의 원료로서의 용도가 개시된 바 있으며(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0-50522), 황칠나무의 잎 추출 물 분획의 항암 작용과 황칠 추출 분획의 α-토코페롤보다 다소 약한 항산화작용(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0-0004499호)이 있으며, 황칠나무 방향 성분의 신경계에 대한 진정 작용과 강장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 등을 중심으로 기능성 물질을 탐색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간질환의 치료에 상당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천연물에 기인한 것으로서 부작용이 없어 이를 요하는 식품이나 의약의 분야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의 가지와 잎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과 같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의 가지 및 잎의 유기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간암 세포를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간암치료제 및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이나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라프도.
도 2는 시험물질 투여후 트랜스아미나아제 활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3은 시험물질 투여후 혈청내 SOD 활성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4는 시험물질 투여 후 혈청 내의 카탈라아제 활성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 잎 또는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a) 황칠나무의 잎 또는 가지를 세절한 후 에탄올에 넣고 95~100℃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여과액을 40~60℃로 냉각시키고 생성된 잔사를 여과하여 얻어진 2차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 b)의 농축물을 물로 현탁한 후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용매로 하여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고 농축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단계 c)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메탄올로 용해한 후 이를 세파덱스(Sephadex) LH-20 담체가 충진된 컬럼에 로딩하고 먼저 물로 세척한 후에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증발농축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정제 분획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후술하는 실험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수한 간 세포 보호 효과를 갖기 때문에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의 간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황칠나무의 가지 헥산 정제 분획물(DH) : 가지 에틸아세테이트 정제 분획물(DE) : 가지 부탄올 정제 분획물(DB) : 잎 헥산 정제 분획물(DHL) : 잎 에틸아세테이트 정제 분획물(DEL): 잎 부탄올 정제 분획물(DBL)이 10-20 중량% : 15-25 중량% : 10-20 중량% : 10-20 중량% : 15-25 중량% : 10-2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은 인체를 보호하면서도 간암을 치료함과 동시에 허약해진 신체기능을 북돋아주어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중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량은 특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추가로 공지의 생약제 성분을 보조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조 생약 성분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되는 경우에 이들의 첨가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 20 중량%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공지의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효 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를 가하고,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액상으로 만들 수 있는 건조품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경구제나, 주사제, 점적용제 등의 비경구제 중의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투여할 수 있다.
의약용 담체는, 상기 투여형태 및 제형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고, 경구제의 경우는, 예를 들어 전분, 유당, 백당, 만니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콘 스타치, 무기염 등이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의 조제에 있어서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비경구제의 경우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희석제로서의 주사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주사용 식물유, 참기름, 낙화생유, 대두유, 옥수수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용해 내지 현탁시켜서 필요에 따라 살균제, 안정제, 등장화제, 무통화제 등을 가함으로써 조제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제제 형태에 따른 적당한 투여경로로 투여된다. 투여방법은 특히 한정할 필요는 없고, 내용, 외용 및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주사제는,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피하, 피내 등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그 제제형태, 투여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10㎍~2,000 ㎎/㎏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특정 시약의 약물동력학적인 특성 및 그의 투여 모드 및 경로; 수여자의 나이, 건강, 체중; 증상의 성질 및 정도, 동시 치료의 종류, 치료의 빈도 및 목적하는 효과 등의 공지의 요인에 따라서 투여량이 변화함은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일반 건강식품 또는 다이어트나 피로회복, 숙취해소용 등의 다목적 기능을 갖는 기능성 건강 식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를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건강기능식품 및 일반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식품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감미료를 포함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 실험군 별로 평균값과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α=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1: 황칠나무의 가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본 실시예의 황칠 나무는 전남 장흥에서 6-7 월에 직접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채취하여 세절한 황칠나무의 가지 2 Kg을 에탄올 50L에 넣고, 약 97℃의 수조에서 48시간 정도 추출하고, 고형분을 여과하여 제거한 추출액을 약 50℃로 냉각시키고 거즈로 여과하여 상징액을 취하였다. 고형분에 대하여 재차 상기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얻어진 상징액을 모두 합하고, 회전 증발 장치(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하에서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소량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황칠나무 가지 추출물(480 g)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황칠나무 가지 추출물을 물 10L로 현탁한 후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각 5L를 이용하여 순차 용매 분획하고 얻어진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황칠 헥산 분획물(120 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80 g), 부탄올 분획물(120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채취한 황칠나무의 잎을 세절하여 2 Kg을 에탄올 10L에 넣고, 약 97℃의 수조에서 48시간 전후로 추출하고 고형분을 여과하여 제거한 추출액을 약 50℃로 냉각시키고 거즈로 여과하여 상징액을 취하였다. 고형분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얻어지는 상징액을 모두 합하고, 회전 증발 장치(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하에서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소량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물(550 g)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물 10L로 현탁한 후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각 5L를 이용하여 순차 용매 분획하고 얻어진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황칠 헥산 분획물(150 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00 g), 부탄올 분획물(130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헥산 분획물의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헥산 분획물 100 g을 소량의 메탄올로 용해하고 이를 세파덱스(Sephadex) LH-20 담체가 충진된 유리컬럼(직경 3 cm, 길이 50 cm)을 이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용매 전개는 분획물을 로딩한 후에 물을 전개하여 물에 용출되어 나오는 물질이 없을 때가지 TLC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메탄올에 용출되어 나오는 분획을 얻고 이를 감압농축하여 최종적으로 메탄올 용출분획물(73 g, 이하 이 시료를 "DH: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g을 실시예 3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동일하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메탄올 용출 분획물 (85 g, 이하 이 시료를 "DE"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부탄올 분획물의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탄올 분획물 100 g을 실시예 3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동일하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메탄올 용출 분획물 (62 g, 이하 이 시료를 "DB"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헥산 분획물의 정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의 헥산 분획물 100 g을 소량의 메탄올로 용해하고 이를 세파덱스(Sephadex) LH-20 담체가 충진된 유리컬럼(직경 3 cm, 길이 50 cm)을 이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용매 전개는 분획물을 로딩한 후에 물을 전개하여 물에 용출되어 나오는 물질이 없을 때가지 TLC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메탄올에 용출되어 나오는 분획을 얻고 이를 감압농축하여 최종적으로 메탄올 용출분획물(75 g, 이하 이 시료를 "DHL"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정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g을 실시예 6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동일하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메탄올 용출 분획물 (85 g, 이하 이 시료를 "DEL"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부탄올 분획물의 정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의 부탄올 분획물 100 g을 실시예 6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동일하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메탄올 용출 분획물 (68 g, 이하 이 시료를 "HBL"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황칠나무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8에서 얻은 황칠나무의 개별 건조 추출물들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혼합하여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시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혼합비(중량)
9-1 DH50%, DHL50%
9-2 DE50%, DHL15%, DEL20%, DBL15%%
9-3 DE100%
9-4 DH10%, DE20%, DB20%, DEL 50%
9-5 DH5%, DE10%, DB5%, DHL20%, DEL40%, DBL20%
9-6 DH20%, DE40%, DB20%, DHL5%, DEL10%, DBL5%
9-7 DH15%, DE20%, DB15%, DHL15%, DEL20%, DBL15%
실시예 10: 캡슐의 제조
실시예 9-1의 황칠 추출물의 건조분말 30mg, 전분 1500 100.0mg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BP 1.0mg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 중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간암 치료용 파우치의 제조
실시예 9-2에서 얻은 황칠추출물 100g에 첨가제로서 감초 2g을 첨가하여 이를 통상의 방식으로 진공포장하여 파우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9-3에서 얻은 추출물의 건조 분말 5.0mg을 체질하고, 락토오스BP 150.0mg, 전분 BP 30.0mg 및 전젤라틴화 옥수수 전분 BP 15.0mg과 혼합한 후, 정제수를 적량 첨가하고 분말로 과립화시켰다. 상기 과립을 건조 시킨 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mg과 혼합하고 압착하여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13: 음료수의 제조
실시예 9-4에서 얻은 황칠나무의 추출물 100g에 구연산 20g, 아스파탐 17 g 및 비타민 C 30 g을 첨가한 후 나머지를 정제수로 첨가하여 음료수 10 ℓ를 제조하여 저온 살균하였다.
실시예 14: 분말제의 제조
실시예 9-5에 따른 추출물을 -80℃에서 얼린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얻고 이를 80메쉬로 분쇄한 후, 체에 거른 다음 통상의 분말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시럽의 제조
실시예 9-6의 추출물 100g을 정제수 500㎖에 녹이고, 여기에 백당 63.7g을 첨가하고, 별도의 용기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2.0g을 따로 정제수 400㎖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백당을 용해시킨 용액과 혼합하고, 메틸파라벤 0.28g과 프로필파라벤 0.12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에탄올 20㎖을 가한 나머지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용액의 용량이 1000㎖이 되도록 한 후 이를 현탁시켜 시럽제를 얻었다.
시험예 1: cell line을 이용한 in vitro 세포 독성
NIH3T3, Vero, HepG-2, Hep3B, MKN-45 및 MKN-28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예 9-7에 따른 황칠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칠나무의 추출물은 특별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간세포의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의 농도의 측정
체중 180~200g의 Sparague-Dawley계 수컷 흰쥐(각 실험군당 10 마리씩 사용)를 22±2℃에서 2주 이상 사육하여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뒤 실험에 사용하였고, 고형사료(삼양사료) 및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실시예 9-7)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6g/kg의 용량으로 1일 1회 경구 투여 하였고, 직후에 에탄올을 6g/kg되게 경구투여하고 절식시켜 간손상을 유발시켰다. 에탄올 최종투여 24시간 후 적출한 간조직을 생리식염수로 씻고 세절한 후 일부분을 정량하여 무게 5배에 해당하는 인산완충용액을 넣고 균질화시켰다. 균질화된 시료 0.5ml와 SDS 0.4ml를 넣고 37℃ 수조에서 가용화시켰다. 0.1N HCl 2ml와 0.67% TBA액을 넣고 혼합한 후, 95℃의 수조에서 50분간 가열시켰다. 빙수조에서 반응을 중지시키고 5ml의 부탄올을 넣었다. 이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블랭크(blank)는 지질을 제외한 모든 시약을 함유하고 동일 반응과정을 거쳐 구했다.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특허출원 10-2003-0038494호에 기재된 실시예 1 및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가지 물 추출물(이하 '음성대조군 1' 이라 함) 및 황칠나무 잎 물 추출물(이하 '음성대조군 2' 라 함)을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 시험군 동물수 MDA 농도
에탄올(양성 대조군) 10 0.113±0.008
에탄올 + 음성 대조군 1 10 0.084±0.006
에탄올 + 음성 대조군 2 10 0.092±0.003
에탄올 + 실시예 3 정제 분획물(DH) 10 0.061±0.006
에탄올 + 실시예 4 정제 분획물(DE) 10 0.059±0.007
에탄올 + 실시예 5 정제 분획물(DB) 10 0.062±0.002
에탄올 + 실시예 6 정제 분획물(DHL) 10 0.065±0.003
에탄올 + 실시예 7 정제 분획물(DEL) 10 0.063±0.007
에탄올 + 실시예 8 정제 분획물(DBL) 10 0.066±0.005
에탄올 + 실시예 9-7 혼합물 10 0.058±0.002
정상군 10 0.053±0.006
간세포의 MDA 농도가 높을수록 간기능이 저하된 것을 의미하므로, MDA 농도가 간기능 검사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이, 본 발명의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투여하고 간세포의 MDA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에 가까운 MDA 농도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약 2배 가까운 효능의 개선을 가져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과산화지질 생성을 억제하여 간보호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칠 추출물은 현저한 간세포 보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트랜스아미나아제 활성 측정
체중 220±10g의 8주령 웅성 흰쥐(Sprague-Dawley strain)를 샘타코(주)(오산, 대한민국)로부터 구입하여 본 발명자들의 동물사육실(22℃±1, 12시간 dark, 12시간 light)에서 1주 이상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그룹 I), DEN(diethylnitrosamine, Sigma Co., USA) 200㎎/㎏을 0.9%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복강내로 1회 투여하고, 2주후부터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CCl4)를 옥수수유(corn oil)에 50%로 희석하여 1 ㎖을 복강 내로 3주간 3회 투여한 대조군(그룹 II)과 간암 유발 후, 실시예 9-7에 따른 추출물을 농축하여 60㎎/㎏으로 구강 투여한 실험군(그룹 III)으로 설정하였다.
혈중 GOT와 GPT의 활성 측정은 340nm에서 흡광도(photometer 5010, Germany)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r-GTP 활성 측정은 Reitman-Frankel의 방법(참조문헌: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 56-63)에 따라 키트(kit) 시약(아산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r-GTP 기질액 1.0mL을 시험관에 넣고 37℃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혈청 0.02mL을 넣어 잘 혼합한 다음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정색시액 3.0mL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가 635nm에서 분광광도계(Kontron, Italy)로 측정하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시험물질 투여후 트랜스아미나아제 활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그룹 I, 정상군; 그룹 II, DEN 및 CCl4에 의해 유발된 간암 래트; 그룹 III, 실시예 9-7 추출물(60㎎/㎏) 투여 그룹.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흰쥐의 간을 적출하여 GOT와 GPT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모두 증가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정상군보다는 높았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시험예 4: 흰쥐 간조직으로부터 SOD 추출 및 활성도 측정
대조군과 실험군 흰쥐의 혈액을 신속히 분리하여 SOD(Superoxide Dismutase)를 추출하였다. 혈액을 10,000 x g,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SOD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효소원으로 이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바이오-라드 에세이(Bio-Rad assay)를 이용하였으며, -70℃의 deep freezer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SOD 활성도는 SOD 에세이 키트(Dojindo, Japan)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SOD 활성도를 계산하였다. 도 3은 시험물질 투여후 혈청내 SOD 활성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각 시험군은 상기 시험예의 것과 같다. 흰쥐의 혈청에서 SOD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는 높았으며, 실험군에서는 낮았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대조군에서 SOD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간 손상의 진행이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흰쥐의 간조직으로부터 카탈라아제 추출 및 활성도 분석
카탈라아제(catalase) 활성도 측정은 Aebi H(1983)의 방법[참조 문헌: Aebi H, Catalase. In: Bergmeyer HU. ed.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3rd ed. Weinheim: Verlag Chemie, 1983: 273-285.]에 준하여 50mM 인산칼슘 완충액(pH 7.2)에 기질인 10mM H2O2에 효소액을 가하여 최종 반응액이 3.0㎖이 되게한 다음 25℃에서 30초간 반응시키면서 240㎚ 파장에서 소실되는 H2O2의 양을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도의 단위는 15 초간에 1㎎의 단백이 반응하여 환원시킨 H2O2를 μM로 나타내었다. 도 4는 시험물질 투여 후 혈청 내의 카탈라아제 활성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각 시험군은 상기 시험예의 것과 같다. 카탈라아제의 활성은 정상군과 대조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는 정상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도 4 참조). 정상군에서 카탈라아제 활성이 낮은 것은 간세포의 손상이 미약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험군에서는 앞서 SOD의 활성은 높으나 카탈라아제의 활성이 낮은 것은 간세포에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져 간세포의 손상을 가속화시켰을 것으로 보이며, 황칠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카탈라아제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낮추어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험예 6: 추출물 함유 시제품의 관능 평가
실시예 13에 따른 제품과 비교용 시제품 생산과 시음 및 설문을 통하여 9점 만점으로 하여 풍미, 냄새, 기호도(선호도) 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는 특허출원 10-2003-0038494호의 추출물을 실시예 13의 것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시제품별 관능평가 결과
비교예 실시예 13
6.20±0.48 7.82±0.12
7.50±0.53 7.50±0.27
기호도 6.00±0.67 8.10±0.34
관능평가 결과, 풍미 및 기호도의 경우 시제품 본 발명의 것이 훨씬 양호하였으며 냄새의 경우 별 차이가 없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관능평가는 본 발명의 것이 훨씬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시험예를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의 황칠 추출물이 in vitro, in vivo 시험에서 여러 간독성에 의한 현저한 간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Claims (6)

  1.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a) 황칠나무의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에탄올에 넣고 95~100℃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여과액을 40~60℃로 냉각시키고 생성된 잔사를 여과하여 얻어진 2차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 b)의 농축물을 물로 현탁한 후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용매로 하여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고 농축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단계 c)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메탄올로 용해한 후 이를 세파덱스(Sephadex) LH-20 담체가 충진된 컬럼에 로딩하고 먼저 물로 세척한 후에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증발농축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정제 분획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추출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황칠나무의 가지 헥산 정제 분획물(DH) : 가지 에틸아세테이트 정제 분획물(DE) : 가지 부탄올 정제 분획물(DB) : 잎 헥산 정제 분획물(DHL) : 잎 에틸아세테이트 정제 분획물(DEL): 잎 부탄올 정제 분획물(DBL)이 10-20 중량% : 15-25 중량% : 10-20 중량% : 10-20 중량% : 15-25 중량% : 10-2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지방간, 간염 또는 간경화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또는 가지 추출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정제 분획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황칠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황칠나무의 가지 헥산 정제 분획물(DH) : 가지 에틸아세테이트 정제 분획물(DE) : 가지 부탄올 정제 분획물(DB) : 잎 헥산 정제 분획물(DHL) : 잎 에틸아세테이트 정제 분획물(DEL): 잎 부탄올 정제 분획물(DBL)이 10-20 중량% : 15-25 중량% : 10-20 중량% : 10-20 중량% : 15-25 중량% : 10-2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지방간, 간염 또는 간경화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6. 삭제
KR1020120012172A 2012-02-07 2012-02-07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9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172A KR101194947B1 (ko) 2012-02-07 2012-02-07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172A KR101194947B1 (ko) 2012-02-07 2012-02-07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947B1 true KR101194947B1 (ko) 2012-10-25

Family

ID=4728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172A KR101194947B1 (ko) 2012-02-07 2012-02-07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30B1 (ko) 2012-11-20 2014-09-29 서남해안황칠협동조합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조절용, 혈당조절용,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90211B1 (ko) 2013-11-15 2015-02-06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1482A (ko) * 2017-07-25 2019-0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19B1 (ko) * 1998-06-30 2002-07-03 박호군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19B1 (ko) * 1998-06-30 2002-07-03 박호군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30B1 (ko) 2012-11-20 2014-09-29 서남해안황칠협동조합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조절용, 혈당조절용,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90211B1 (ko) 2013-11-15 2015-02-06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1482A (ko) * 2017-07-25 2019-0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6620B1 (ko) 2017-07-25 2019-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22482A3 (ko) * 2017-07-25 2019-03-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356468A (zh) * 2017-07-25 2020-06-30 朝鲜大学校产学协力团 包含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纤维化疾病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midt et al. Toxicological evaluation of a chicory root extract
EP306420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 f2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sulin resistance
KR101194947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11703B1 (ko) 배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01971B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US20110300246A1 (en) Herbal Extracts f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Oxidative Stress
JP2007269631A (ja) 中性脂肪蓄積抑制剤
CN108347988A (zh) 用于控制血糖水平、护肝以及用于预防和治疗相关医学病症的组合的组合物
Kadhim et al. Potential 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against cisplatin-induced acute nephrotoxicity in male rats
KR101701124B1 (ko) 모로헤이야, 대황, 황련 및 당귀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1529279B1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4006609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s including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6180B1 (ko)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8561B1 (ko)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14893B1 (ko)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644755B1 (ko)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18270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109566B1 (ko) 잣잎, 삼백초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40006823A (ko)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0783205B1 (ko) 운지버섯 추출물과 운지버섯 조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929388B1 (ko)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50078693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87742B1 (ko) 표고버섯과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