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775B1 -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775B1
KR101283775B1 KR1020130012121A KR20130012121A KR101283775B1 KR 101283775 B1 KR101283775 B1 KR 101283775B1 KR 1020130012121 A KR1020130012121 A KR 1020130012121A KR 20130012121 A KR20130012121 A KR 20130012121A KR 101283775 B1 KR101283775 B1 KR 10128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titussive
expectorant
hwangch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웅
김재용
반상오
김희숙
강후원
장욱진
설희진
이규옥
이동욱
김선오
김재갑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3001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775B1/ko
Priority to PCT/KR2014/000680 priority patent/WO20141198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bstract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황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해 또는 거담제거에 작용하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천연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안전한 진해 또는 거담제거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용하여 추출한 황칠 잎 조추출물에 비극성용매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의 비극성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또는 거담제거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LAL COMPOSITION FOR ANTI-TUSSIVE ACTIVITY OR DISCHARGE OF PHLEGM ACTIVITY COMPRIS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본 발명은 천연물인 황칠 유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사용한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원료인 황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황칠 잎 추출물을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기침해소(진해) 또는 가래제거(거담)가 가능한 황칠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칠나무는 생물학적 분류로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간,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도료로 경제적 가치가 있으며, 완도, 해남 및 보길도 등 전라남도의 서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의 한라산 일대에 자생하는 상록활엽교목이다.
상기 황칠나무는 높이가 15 m에 달하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상기 황칠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꽃은 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양성화이다. 상기 황칠나무의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흑색으로 열린다. 전통 공예인 황칠에 사용되는 상기 황칠나무의 진액은 8월 내지 9월에 채취한다.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고 한다. 황칠은 투명한 천연 도료로 삼국시대부터 가구, 가죽, 옷감, 금속, 종이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황칠을 한 목공예품은 금빛을 띠면서도 바탕의 나무결을 생생하게 떠오르게 하여 목공예품을 한층 화사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목공예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황칠은 도료로서의 작용 이외에도 약리작용이 일부 알려져 있는데, 명나라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에서 황칠은 번열을 제거하며, 술로 인한 황달과 눈 이 노랗게 되는 증상을 풀어주고, 나병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의 성분은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성분인 비휘발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다.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강장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황칠나무 수액을 바르게 되면 머리를 맑게 하고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은은하고 매혹적인 향기를 품고 있어 여성들의 향수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민간에 구전되어 오는 안식향(安息香, pterostyrax hispidum)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황칠 수액으로 안식향을 만들었던 만큼 황칠 제품에서 풍기는 향은 독특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항산화, 항균 또는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황칠에서 특정성분을 분리할 경우 의약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옻칠과 달리 피부 알레르기를 거의 유발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나 황칠을 적당히 2차 가공하여 건강식품으로도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산업화를 고려할 때 g당 9만원 내지 10만원에 판매되는 수액에 비해 kg당 12,000원 내지 25,000원 정도 판매되는 황칠나무 잎(생잎 기준)을 사용했을 때 훨씬 더 경제성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황칠 원액의 주성분인 세스퀴테르펜의 일부 물질은 독특한 방향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쓴맛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방향성과 쓴맛의 특성으로 인하여 황칠 원액을 건강식품화 할 경우 오히려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고, 진해 또는 거담에 관련한 연구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황칠 수액에 비해 경제성이 뛰어난 천연원료인 황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황칠 잎 추출물을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안전한 숙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1959호에는 전통의 한방이나 민간의학에서도 항암과 암치료에 효과가 좋은 식물로 알려진 옻나무, 황칠나무, 후코이단(다시마 미역 등 해조류), 키토산(게 새우의 껍질), 비단풀, 울금, 주목, 마늘, 삼백초, 하늘타리, 천마, 한련초, 까마중, 돌나물, 뱀딸기, 삿갓나물, 조릿대, 지치, 짚신나물, 석창포 등을 일반 물을 사용하지 않고, 해양생태환경을 파괴하여 생태교란동물로 지정된 강장동물인 해파리의 추출액만을 이용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을 주원료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Apoptosis 유도작용을 이용한 암의 치료와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01387호에는 황칠나무 추출물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황칠나무 추출물에 감국, 측백엽, 상백피, 만형자 및 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효모 숙성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하는 경우 추출물의 농도를 높여 염모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자극 및 피부염을 방지하여 모발 및 두피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8529호에는 세균을 살균시키거나 유해성분을 제독시키는 기능이 전혀 없는 기존의 황칠수액에 숯분말, 나노은 분말, 맥반석 분말, 은행나무 분말을 혼합하여 살균 및 제독기능과 방부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황칠을 제조하는 살균 및 제독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황칠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8-026683호에는 황칠나무에서 수액을 채취하여 제조되는 황금색 천연도료인 황칠 도료용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및 케톤류 용제 중에서 선택되는 용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용해성, 흐름성, 점도 조절의 주역할을 수행하는 진용제로 사용하고, 진용제의 용해성이나 증발속도조절을 주목적으로 하는 조용제로 알콜류 용제를 사용하며 희석용으로는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하는 황칠 도료용 용제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천연원료인 황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황칠 잎 추출물을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기침해소(진해) 또는 가래제거(거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과는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진해 또는 거담활성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황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해 또는 거담해소에 작용하는 약학조성물 및 고부가가치를 갖는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안전한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칠 잎 추출물 또는 비극성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황칠 잎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용한 추출물 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황칠 잎 조추출물에 비극성용매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분획용매로 사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상기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의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1일당 투여량은 체중 kg당 10 내지 2000mg/kg의 양으로 음용할 수 있다.
또한, 황칠 잎 조추출물에 비극성용매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분획용매로 사용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의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1일당 투여량은 분획물이 체중 kg당 1 내지 1000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획물로서 황칠 잎 추출물의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의 1일당 투여량은 상기 분획물이 1 내지 1000 mg/kg 체중 포함되는 함량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며, 상기 호흡기 질환은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선종, 고립성폐결절, 폐결핵, 농흉, 폐농양, 감기, 독감 또는 폐의 조직구 증식증인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경피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 액으로 제형화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인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기침해소(진해) 또는 가래제거(거담)를 할 수 있으며, 천연물인 황칠 잎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기침해소(진해) 또는 가래제거(거담)를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황칠 잎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은 황칠 잎 추출물의 추출과 분획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3는 황칠 잎 추출물에 대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은 황칠 잎 추출물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황칠 잎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황칠 잎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의 피부감작실험 동물모델에서의 allergy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황칠 잎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황칠 잎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용한 추출물 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황칠 잎 조추출물에 비극성용매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분획용매로 사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어 진해 또는 거담용 음료로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의 1일당 투여량은 체중 kg당 10 내지 2000mg/kg의 양으로 음용할 수 있다.
황칠 잎 추출물의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의 1일당 투여량은 상기 분획물이 1 내지 1000 mg/kg 체중 포함되는 함량이다.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의 추출방법은 황칠 잎을 증류수로 수세한 다음 증류수와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한 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분획용매에 용해시켜 분획물을 얻는 감압여과 장치로 여과, 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며,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경피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 액으로 제형화된 것인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1. 황칠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도 2은 황칠 잎 추출물 및 유기용매에 의한 분획물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다. 건조된 황칠 1kg을 증류수로 수세한 다음 증류수 20L를 가하고, 전기약탕기로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액은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감압회전농축기로 농축하였다.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다시 동량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 과정으로 2번 더 추출, 여과 및 감압 농축한다. 농축된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기 (Freeze dryer)에서 동결건조 하였다. 건조 후 황칠 잎 열수 추출물 279g (24.9%)을 얻었다.
2. 황칠 잎의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가용 분획물의 제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황칠 잎의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가용 분획물의 제조는 황칠 잎 열수 추출물 249g을 증류수 1L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분획 여두 깔대기에 넣고 헥산(Hexane) 1L를 첨가하여 water층과 hexane 층을 분리하였고 이와 같은 공정을 3번 반복하였다.
동일한 과정을 통해 클로로포롬(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물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각 분획물을 얻었고,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을 감압여과 장치로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뒤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2.1. 헥산 가용성 분획 분리
황칠 잎 열수 추출물 249g을 lL의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에 분획여두에 넣고 헥산 1L를 첨가하여 헥산 불용성층(수층)과 헥산가용성층을 분리하였다. 다시 헥산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헥산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2.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분리
헥산불용성 분획(수층)에 클로로포름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클로로포름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클로로포름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3.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분리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를 수집하였다.
2.4. 부탄올 가용성 분획분리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선 분획(수층)에 부탄올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부탄올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부탄올 불용성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부탄올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5. 황칠 잎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 수득
황칠 잎 열수 추출물 249g에서 헥산 가용성 분획,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부탄올 가용성 분획을 감압 농축한 후에 동결 건조하여 헥산분획 0.096g (0.04%), 클로로포름 분획 0.57g (0.8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4.04g (1.63%), 부탄올 분획 54.74g (10.28%) 및 물 분획 168.64g (67.84%)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실험 동물사육
황칠 추출물의 진해 또는 거담 효과 측정을 위한 실험동물로서 생후 5주령 된 수컷 ICR 마우스 (18-22g) 및 8주령 된 체중 320±100g 내외의 수컷 SD Rat 흰쥐를 (주)샘타코 (SAMTACO, Korea)부터 구입 하여 동물 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22±2℃, 습도:50±5%, 명암: 12시간 light/dark cycle)으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3.1. 페놀레드(phenol red)를 이용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 (황칠 잎 열수 추출물)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거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컷 ICR 마우스를 정상군(normal), 양성대조군(control),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각각 3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은 살린(saline) 100μL를 경구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암모니움클로라이드(NH4Cl)를 1000mg/kg 농도로 200μL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은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각각 50, 100, 200mg/kg 농도로 100μL를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saline에 녹여 조제하였고, NH4Cl은 3차 증류수에 녹여서 조제하였다. 각 군을 경구투여 1시간 경과 후 0.2㎖의 페놀레드(phenol red) 10mg/kg을 복강 주사하였다.
각 군의 생쥐는 30분 경과 후 디에틸이더(dimethylether)를 이용하여 마취시키고 복부 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 시킨 후 기관(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의 생리식염수에 넣어 30분 간 조직을 세척 및 볼텍싱 (washing/ vortexing) 한 후 그 세정액을 원심분리(10,000rpm, 5min, 실온)하였다. 분리한 상층액으로 부터 0.9㎖를 취하여 이 용액에 0.1㎖의 1M NaOH를 가하여 발색시켰다. 이 용액을 흡광도 546nm에서 측정하여 기도로부터 추출된 페놀레드를 측정하였다. 이를 적출한 기도의 무게로 나누어 기도에 대한 페놀레드의 비율을 구하여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을 구하였다.
페놀레드를 이용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도 1g당 페놀레드 함량은 정상군에서 2.436μg/g,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NH4Cl군에서 3.476μg/g, 실험군인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50, 100, 200mg/kg 투여한 군에서는 각각 2.958 (21.4%), 3.108 (27.6%), 3.105 μg/g (27%) 값을 얻었다. 이는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페놀레드 함량 증가 즉, 점액분비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객담 배출능이 우수한 활성(거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3.2. 페놀레드(phenol red)를 이용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 (황칠 잎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 비교)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진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컷 SD Rat 생쥐를 정상군(normal), 정상대조군(control),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각각 3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은 살린(saline) 500μL를 경구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암모니움클로라이드(NH4Cl)을 1000mg/kg 농도로 1ml을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은 황칠 잎 열수 추출물, 황칠 잎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200mg/kg농도로 500μL를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saline에 녹여 조제하였고, 양성대조군에서 사용된 NH4Cl은 3차 증류수에 녹여서 조제하였다. 각 군을 경구투여 30분 경과 후 0.5㎖의 페놀레드(phenol red) 10mg/kg을 복강 주사하였다.
각 군의 흰쥐를 30분 경과 후 디에틸이더(dimethylether)를 이용하여 마취시키고 복부 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 시킨 후 기관(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의 생리식염수에 넣어 30분간 조직을 세척 및 볼텍싱(washing/vortexing) 한 후 그 세정액을 원심분리(10,000rpm, 5min, 실온)하였다. 분리한 상층액으로 부터 0.9㎖를 취하여 이 용액에 0.1㎖의 1M NaOH를 가하여 발색시켰다. 이 용액을 흡광도 546nm에서 측정하여 기도로부터 추출된 페놀레드를 측정하였다. 이를 적출한 기도의 무게로 나누어 기도에 대한 페놀레드의 비율을 구하여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을 구하였다.
페놀레드를 이용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놀레드 함량은 정상군에서는 2.6μg/g,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NH4Cl군에서 3.9μg/g, 실험군인 황칠 잎 열수 추출물 (200mg/kg), 황칠 잎 메탄올 추출물 (200mg/kg) 투여군에서 각각 3.1μg/g (19.2%), 2.2μg/g (효과 없음) 값을 얻었다. 이는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이 메탄올 추출물 보다 페놀레드 함량 증가 즉, 점액분비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객담배출능이 우수한 활성(거담활성)을 나타냄을 재확인 하였다.
3.3. 페놀레드(phenol red)를 이용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 비교)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진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컷 SD Rat 생쥐를 정상군(normal), 정상대조군(control),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각각 6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은 살린(saline) 500μL를 경구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암모니움클로라이드(NH4Cl)을 1000 mg/kg 농도로 1ml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은 황칠 잎 열수 추출물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각각 50mg/kg 농도로 500μL를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살린 및 에탄올에 녹여 조제하였고, 양성대조군에서 사용된 NH4Cl은 3차 증류수에 녹여서 조제하였다. 각 군을 경구투여 1시간 경과 후 0.5㎖의 페놀레드(phenol red) 10mg/kg을 복강 주사하였다.
각 군의 흰쥐를 30분 경과 후 디에틸이더(dimethylether)를 이용하여 마취시키고 복부 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 시킨 후 기관 (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의 생리식염수에 넣어 30분간 조직을 세척 및 볼텍싱 (washing/ vortexing)한 후 그 세정액을 원심분리(10,000rpm, 5min, 실온)하였다. 분리한 상층액으로 부터 0.9㎖를 취하여 이 용액에 0.1㎖의 1M NaOH를 가하여 발색시켰다. 이 용액을 흡광도 546nm에서 측정하여 기도로부터 추출된 페놀레드를 측정하였다. 이를 적출한 기도의 무게로 나누어 기도에 대한 페놀레드의 비율을 구하여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을 구하였다.
페놀레드(phenol red)를 이용한 기도에서의 점액분비량 측정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놀레드 함량은 정상군에서는 2.6μg/g,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NH4Cl군에서는 3.9μg/g, 실험군인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50 mg/kg),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mg/kg), 황칠 잎 열수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50mg/kg),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물층 분획물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4.8μg/g (84.6%), 3.8μg/g (46.2%), 2.5μg/g (유의성 없음), 2.6μg/g (유의성 없음) 값을 얻었다.
이 중에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페놀레드 함량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점액분비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객담배출능이 가장 우수한 활성(거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3.4 시트르산을 이용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진해활성 측정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진해활성을 측정하기위하여, 수컷 SD Rat 흰쥐를 대조군(control),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각각 2군으로 나누었다. 수컷 Rat 흰쥐에 황칠 물 추출물 (200 mg/kg)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 흰쥐를 플레테시스모그래프 챔버 (Buxco, U.S.A)에 넣어 안정을 유도한 후, 기침 유발제 (시트르산)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하였다. 1 M의 시트르산에 흰쥐를 10분간 노출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기침수를 10분 동안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진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시트르산으로 기침을 유발한 대조군에 비해 20.1 % 우수한 진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진해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투여용량(mg/kg) 기침횟수(회/min) 기침억제율(%)
대조군 - 110.2±17.3
실험군
(황칠 열수 추출물)
200 88.0±4.7 20.1
3.5. 피부감작실험을 통한 황칠 잎 열수 추출물, 분획물의 allergy 실험
황칠 잎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안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0gauge 인슐린 주사기로 암컷 nude 마우스 등에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10, 50, 70 및 100 mg/mL 농도로 각각 0.02mL 씩 피하 주입하였으며,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은 각각 50mg/mL 농도로 0.02mL 피하로 주입하였다. 30분 후 황칠 잎 열수 추출물과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의 allergy 유무를 판단하였다.
도 6은 황칠 잎 열수 추출물 및 황칠 열수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의 피부감작실험 동물모델에서의 allergy 결과를 나타낸다. 도 6A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농도 (10, 50, 70, 100 mg/mL) 별로 처리해서 확인한 결과 50mg/mL 농도 (최종농도 1mg) 이하에서는 알러지 반응이 유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농도별 알러지 반응 결과
황칠 물추출물(mg/mL)
10 50 70 100
Allergy 반응 - - ** **
Allergy 반응: -: 없음, *: 하, **: 중, ***: 상
다음으로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 잎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50mg/ml)의 경우, 헥산, 클로로포름, 물 분획물에서는 마우스 피부에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표 3).
황칠 잎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50mg/ml)의 경우 알러지 반응 결과
황칠 분획물(50 mg/mL)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이트 부탄올
Allergy 반응 - - ** ** -
Allergy 반응: -: 없음, *: 하, **: 중, ***: 상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황칠 잎 열수 추출물 50mg/mL 농도 (최종농도 1mg),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의 헥산, 클로로포름, 물 분획물 각각 50mg/mL 농도 (최종농도 1mg)에서 피부에 대한 알러지 반응이 유발되지 않을 정도로 독성이 없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진해 또는 거담 활성에 안정성이 있는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진해 또는 거담용 의약조성물은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으며 진해 또는 거담제거 작용에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으로 복용이 용이하며,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로서 황칠 잎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진해 또는 거담제거 작용에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복용이 용이하며,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어 안정하게 사용될 수 있고, 진해 또는 거담 제거를 위한 원료를 자연에 서식하는 식물로 대체함으로 제조생산단가 절감과 산업화를 통한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황칠 잎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잎 조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1일당 투여량은 체중 kg당 10 내지 2000mg/kg의 양으로 음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황칠 잎 조추출물에 비극성용매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분획용매로 사용하여 분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의 1일당 투여량은 상기 분획물이 체중 kg당 1 내지 1000 mg/kg의 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경피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 액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12121A 2013-02-04 2013-02-04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KR10128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21A KR101283775B1 (ko) 2013-02-04 2013-02-04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PCT/KR2014/000680 WO2014119875A1 (ko) 2013-02-04 2014-01-23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21A KR101283775B1 (ko) 2013-02-04 2013-02-04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775B1 true KR101283775B1 (ko) 2013-07-08

Family

ID=4899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121A KR101283775B1 (ko) 2013-02-04 2013-02-04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3775B1 (ko)
WO (1) WO201411987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30B1 (ko) 2013-07-02 2015-02-0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진해, 거담활성을 갖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8068A (ko)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5147A (ko) * 2019-07-31 2021-02-10 (주)화인내츄럴 호흡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도라지 당절편의 제조방법 및 당침액복합조성물
KR20210015272A (ko) 2019-08-01 2021-02-10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간 및 신장 기능 개선용 황칠계 복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8395A (zh) * 2015-08-02 2015-10-07 闫花英 一种治疗风寒挟湿型咳嗽的中药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99A (ko) * 1998-06-30 2000-01-25 박호군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030079205A (ko) *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120101743A (ko) * 2011-02-17 2012-09-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덴드로파녹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9227A (ko) * 2011-04-20 2012-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112A (ko) * 2004-11-01 2004-11-17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100663284B1 (ko) * 2005-06-16 2007-01-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이 뛰어난 황칠나무의 종실추출물
KR101077523B1 (ko) * 2009-12-15 2011-10-27 한국인스팜(주)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99A (ko) * 1998-06-30 2000-01-25 박호군 항암 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030079205A (ko) * 2002-04-02 2003-10-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120101743A (ko) * 2011-02-17 2012-09-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덴드로파녹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9227A (ko) * 2011-04-20 2012-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30B1 (ko) 2013-07-02 2015-02-0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진해, 거담활성을 갖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8068A (ko)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5147A (ko) * 2019-07-31 2021-02-10 (주)화인내츄럴 호흡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도라지 당절편의 제조방법 및 당침액복합조성물
KR102624473B1 (ko) * 2019-07-31 2024-01-15 (주)화인내츄럴 호흡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도라지 당절편의 제조방법
KR20210015272A (ko) 2019-08-01 2021-02-10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간 및 신장 기능 개선용 황칠계 복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875A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775B1 (ko)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CN105146728B (zh) 一种芦荟烟草制品及其制作方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899443B1 (ko)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CN105146727A (zh) 一种芦荟烟草替代品及其制作方法
KR20130121324A (ko) 차즈기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 조성물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06017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101399992B1 (ko) 산마늘 및 산부추를 포함하는 천연 조미료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KR101470603B1 (ko)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073478B1 (ko) 천마, 오가피, 천궁 및 당귀가 혼합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1490030B1 (ko) 진해, 거담활성을 갖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773232B1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과 차즈기 잎 추출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식품 조성물
KR2015006864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의 특이냄새제거제 및 제조방법
KR101968891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CN115721685A (zh) 一种彼岸花的药物组合物和用途
KR102147592B1 (ko)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50004234A (ko) 진해, 거담활성을 갖는 황칠 잎 추출물을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159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Thoudam et al. Chapter-3 A Review Study on Nutraceutical and Nutritional Efficacy of Crassocephalum crepidioides
KR101397509B1 (ko) 동충하초와 유황오리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방법
KR20090121869A (ko) 옻된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