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496A -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496A
KR20000000496A KR1019990047550A KR19990047550A KR20000000496A KR 20000000496 A KR20000000496 A KR 20000000496A KR 1019990047550 A KR1019990047550 A KR 1019990047550A KR 19990047550 A KR19990047550 A KR 19990047550A KR 20000000496 A KR20000000496 A KR 2000000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s
beans
rice
mixed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성
Original Assignee
허태곤
두보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곤, 두보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태곤
Priority to KR101999004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496A/ko
Publication of KR2000000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미(白米)를 제외한 다양한 종류의 곡식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곡에 있어서, 균형적인 영양을 섭취할 수 있으며 식사중에 다양한 곡식에 의한 이질감을 없앨 수 있도록 곡식의 크기를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류와 곡류를 혼합한 혼합곡의 제조방법은 두류의 표피층을 탈피하는 단계(S2)와, 탈피된 두류를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단계(S3)와, 곡류와 절단된 두류를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S6)와, 탱크로부터 곡류와 절단된 두류를 일정 비율로 인출하여 혼합하는 단계(S7) 및, 혼합된 두류와 곡류를 일정 무게로 포장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며, 그리고, 혼합하는 단계(S7)에서 곡류와 두류의 혼합비율은 15±1%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15±1%의 팥 및 옥수수와, 18±1%의 찹쌀과, 25±1%의 찰현미 및 현미와, 10±1%의 할맥 및, 17±1%의 수수와 조 및 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Mixed cereals as size of rice and its product method}
본 발명은 백미와 함께 혼합하여 취반(炊飯)하는 혼합곡에 관한 것이며, 특히, 취반함에 있어 편리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씹을 때에 느끼는 이질감을 감소시키면서 균형된 영향을 섭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곡식을 혼합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시아인들이 주식으로 이용하여 온 백미는 과식을 초래하고 동물성 식품을 요구하게 됨으로 비만의 원인이 되었으며, 백미에 다량 함유된 탄수화물은 당질 대사를 혼란하게 하여 성인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곡식을 백미에 혼합하여 취반함으로써, 백미가 가지고 있은 영양소와 함께 다양한 곡식이 가지는 영양소를 함께 섭취하였다.
이런 대표적인 곡식으로는 찹쌀, 기장, 흑미, 팥, 현미, 찰현미, 수수, 옥수수, 콩, 서리태, 흑태, 밤콩, 할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곡식이 가지고 있는 모양, 크기, 수분함량, 영양소 또한 다양하다.
그러나, 이런 다수의 곡식을 백미와 혼합하여 동시에 취반함에 있어서, 백미가 익는 시간과 각 곡식이 익는 시간이 달라, 백미만으로 밥을 짓는 것보다 곡식을 혼합하여 밥을 짓을 때에 수분조절 및 가열시간조절 등에서 더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곡식이 혼합된 밥을 짓더라도 백미가 가지는 경도와 각각의 곡식이 가지는 경도가 다르기 때문에, 씹으면서 이질감을 느끼게 되며, 곡식의 색깔 또한 다양하여 취반하고 난 후에 밥의 색깔은 다양해진다.
따라서, 백미로만 지은 밥에 익숙해진 사람에게는 육안을 통한 시각적 이질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취반 전에, 백미와 곡식을 수십분 또는 수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켜, 백미와 곡식의 표면에 수분함량을 증가시킨 후에 열을 가해 밥을 지으면 입안에서의 이질감을 약간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 백미와 다양한 종류의 곡식을 물에 침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곡식을 혼합한 혼합곡을 백미와 함께 섭취하여 균형된 영양을 얻을 수 있고, 입 안에서 느끼는 이질감을 감소시키며, 백미와 비슷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곡의 제조방법의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미와 함께 혼합하여 취반하는 혼합곡에 있어서, 표피층이 탈피되고,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되는 두류와, 소정의 혼합비율로 상기 두류와 곡류를 혼합하는 혼합곡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곡의 비율은 15±1%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15±1%의 팥 및 옥수수와, 18±1%의 찹쌀과, 25±1%의 찰현미 및 현미와, 10±1%의 할맥 및, 17±1%의 수수와 조 및 기장인 혼합곡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류의 종류인 백태, 서리태, 흑태, 밤콩, 옥수수는 6~8등분되고, 상기 팥은 2~3등분 되는 혼합곡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류와 곡류를 혼합한 혼합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류의 표피층을 탈피하는 단계와, 탈피된 상기 두류를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곡류와 상기 절단된 두류를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곡류와 상기 절단된 두류를 일정 비율로 인출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두류와 곡류를 일정 무게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곡류와 두류는 15±1%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15±1%의 팥 및 옥수수와, 18±1%의 찹쌀과, 25±1%의 찰현미 및 현미와, 10±1%의 할맥 및, 17±1%의 수수와 조 및 기장의 혼합비율로 혼합된 혼합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두류의 크기를 상기 백미의 크기의 1.4~1.6배의 크기로 절단한 혼합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단계의 사이에는 석발기를 이용한 석발단계가 추가되는 혼합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곡의 제조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제조방법은 먼저, 두류(豆類)를 그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S1a), 두류의 표피층을 벗긴 후에(S2), 백미의 크기로 절단한다(S3). 그리고, 절단되면서 날카로워진 두류의 절단면을 연마한다(S4).
한편, 미곡류 및 조류 또한 그 크기에 따라 선별은 한다(S1b). 이렇게 크기에 따라 선별된 미곡류 및 조류와 연마된 두류를 선별기를 통해 비중별로 선별하고(S5), 각 탱크에 저장한다(S6).
그리고, 각 탱크내에 저장된 내용물은 일정 비율로 배출되어 배합기에서 배합되며(S7), 미곡류 및 조류와 두류 이외에 물질을 제거하는 석발작업을 거친다(S8). 이렇게 형성된 혼합곡을 일정한 무게로 포장한다(S10). 한편, 포장공정을 제외한 각 공정에서 다음 고정으로 넘어갈 때, 필요에 따라 석발공정이 추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곡 제조방법에 있어서, 두류의 입선별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두류의 주원료는 백태, 서리태, 흑태, 밤콩, 팥, 녹두 및, 옥수수로서, 그 크기에 따라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팥과 녹두 및 옥수수로 구분한다(S1a). 그리고, 두류탈피기를 통과시켜 두류를 감싸고 있는 표피 즉, 껍질을 벗긴다(S2). 그러면, 백태, 서리태, 흑태, 밤콩과 같은 콩류는 이등분 된다.
이와 같이, 탈피된 상태의 두류는 스크류 커팅기(Screw cutting machine)에 의해 절단된다. 이 때, 절단하는 크기는 백미의 크기의 약 1.5배가 되는 약 2.5mm로 유지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략적으로 백태, 서리태, 흑태, 밤콩, 옥수수는 6~8등분으로 절단되고, 팥은 2~3등분으로 절단된다(S3).
한편, 이렇게 스크류 커팅기에 의해 절단된 곡류의 절단면은 날카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날카로운 면을 마모시키기 위해 연마기를 사용하는데, 곡류를 가압한 후에 서로 마찰시켜 곡류끼리 부딪혀서 날카로운 면이 마모되도록 한다(S4).
그리고, 미곡류 및 조류로는 찹쌀, 현미, 찰현미, 할맥, 수수, 조 및, 기장으로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선별을 한다(S1b). 한편, 미곡류는 백미의 크기와 비슷하고 조류는 백미에 비해 크기가 작으므로, 절단과정이나 연마과정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연마된 두류와 입선별된 미곡류 및 조류는 다시 한번 선별기를 통해 주 성분인 두류와 미곡류 및 조류 이외의 이물질, 주로 작은 돌과 같은 것들을 분리한다(S5).
이렇게 각각의 크기별로 분리된 두류와 미곡류 및 조류는 탱크에 저장되고(S6), 이렇게 저장된 두류와 미곡류 및 조류는 탱크로부터 일정 비율로 배출되어 혼합됨으로써, 혼합곡이 만들어진다(S9).
한편, 식품영향학적으로 각각의 곡식이 가지는 영양소를 표 1에서 나타냈다.
그리고, 이런 각각의 두류와 곡류 및 조류를 아래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혼합곡을 취반하여 영양성분을 측정하고, 100% 백미만을 취반하여 영양성분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냈다.
혼합곡의 혼합비는 13%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 12%의 팥과 녹두 및 옥수수, 15%의 찹쌀, 13%의 찰현미, 12%의 흑미, 10%의 현미, 10%의 할맥, 5%의 수수, 5%의 차조, 5%의 기장 이다.
표 2의 성분분석은 한국식품연구소에서 분석한 실험 데이터이며, 표 2에서 나타내는 테이터는 혼합곡의 균형적인 영양성분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이다.
다음에서는 100% 백미로 밥을 지었을 때에 미색과 같은 좋은 밥의 색깔을 가지며, 씹었을 때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소 중에 하나인 수분함량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아래의 표 3은 다양한 곡식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나타낸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함량이 12% 내외인 곡류와, 수분함량이 6% 내외인 두류를 가공없이 단순 혼합하여 취반하면, 곡류와 두류의 수분함량 및 호화속도(수분이 표층에서 내부로 스며드는 속도)가 현저히 다르므로, 두류에는 그 표층부위에만 수분이 스며들게 된다. 그 후에, 열이 가해지면 두류는 익기 시작하였는데, 두류의 표층은 수분에 의해 익으면서 경도가 낮아지지만, 내부는 함유한 수분이 적어서 익더라도 경도가 높게 된다. 따라서, 이런 두류를 씹었을 때, 입안에서 이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취반전에 물에 침지하여 미리 불리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수분이 곡류 및 두류의 내부까지 스미도록 하여 두류의 표층과 내부가 균일하게 익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두류를 상기에서 설명한 절단과정과 연마과정을 통해 백미의 약 1.5배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두류의 전체 표면적이 넓어져 물에 침지하였을 때에 수분 흡수량은 가공되지 않은 두류보다 많은 물을 흡수하게 된다.
표 4에서는 20℃의 물에 백미와 현미와 가공된 백태 및 가공된 팥을 침지시킨 후에 흡수율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런 표 4에 도시된 결과를 가지고, 본 발명의 혼합곡과 백미를 3:7의 배합비로 혼합한 다음, 30분 이내로 침지한 후에, 가수하여 밥을 짓는다. 이 때, 가수되는 물의 양은 100%의 백미로 밥을 짓는 물의 양에 대비 약 1.4배로 가수하였을 때에 양호한 혼합곡을 섞은 밥이 된다.
앞에서 설명한 결과를 종합하여 입안의 이질감이 없도록 하며, 백미로만 취반된 밥의 미색과 비슷한 색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류의 표피를 탈피하고, 두류의 크기를 약 2.5mm로 절단한 후에, 두류와 곡류의 혼합비를 15%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15%의 팥과 옥수수와, 18%의 찹쌀과, 25%의 찰현미 및 현미와, 10%의 할맥 및, 17%의 수수와 조 및 기장으로 한 혼합곡을 만들고, 이런 혼합곡에 백미를 2 : 8의 비율로 혼합하여 취반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은 경도가 높은 두류의 표피를 탈피하고, 백미의 크기에 대비 약 1.5배로 절단하여 두류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호화속도를 빨리하여 취반시에 두류의 내부와 표층부가 익는 정도가 비슷하게 하여 씹을 때의 이질감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류의 표층을 탈피하고 절단함으로써, 두류는 백미의 색상 및 크기와 유사하게 되어 백미로만 지어진 밥에 익숙해진 어린아이들에게 거부감 없이 혼합곡을 먹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런 혼합곡은 약 10종의 곡식이 섞여 있어 혼합곡과 백미를 혼합하여 취반하였을 경우에 백미만이 가지는 특정 영양소 뿐만 아니라, 혼합곡 즉, 약 10종의 곡식이 가지는 각각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어 성장하는 어린아이에게 균형있게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백미와 함께 혼합하여 취반하는 혼합곡에 있어서,
    표피층이 탈피되고,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되는 두류와,
    소정의 혼합비율로 상기 두류와 곡류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비율은 15±1%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15±1%의 팥 및 옥수수와, 18±1%의 찹쌀과, 25±1%의 찰현미 및 현미와, 10±1%의 할맥 및, 17±1%의 수수와 조 및 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류의 종류인 백태, 서리태, 흑태, 밤콩, 옥수수는 6~8등분되고, 상기 팥은 2~3등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
  4. 두류와 곡류를 혼합한 혼합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류의 표피층을 탈피하는 단계와,
    탈피된 상기 두류를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곡류와 상기 절단된 두류를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곡류와 상기 절단된 두류를 일정 비율로 인출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두류와 곡류를 일정 무게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곡류와 두류는 15±1%의 백태와 서리태와 흑태 및 밤콩과, 15±1%의 팥 및 옥수수와, 18±1%의 찹쌀과, 25±1%의 찰현미 및 현미와, 10±1%의 할맥 및, 17±1%의 수수와 조 및 기장의 혼합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의 제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에서 두류의 크기를 상기 백미의 크기의 1.4~1.6배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의 제조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의 사이에는 석발기를 이용한 석발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곡의 제조방법.
KR1019990047550A 1999-10-29 1999-10-29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0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50A KR20000000496A (ko) 1999-10-29 1999-10-29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50A KR20000000496A (ko) 1999-10-29 1999-10-29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96A true KR20000000496A (ko) 2000-01-15

Family

ID=1961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50A KR20000000496A (ko) 1999-10-29 1999-10-29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4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32B1 (ko) * 2010-01-14 2010-07-08 등룡알피씨영농조합법인 인지능력 증강용 혼합곡 조성물
KR20170049095A (ko) * 2015-10-28 2017-05-10 씨제이제일제당 (주) 대두와 쌀의 혼합 제국에 의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692A (ko) * 1994-02-17 1995-09-15 류종환 건강식 조리를 위한 조성물
KR960036935A (ko) * 1995-04-26 1996-11-19 최인환 인조 현미-잡곡쌀의 제조방법
KR0137595B1 (ko) * 1994-11-04 1998-04-25 서중일 혼합곡립의 제조방법
KR20000004543U (ko) * 1998-08-10 2000-03-06 김태점 영양 건강 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692A (ko) * 1994-02-17 1995-09-15 류종환 건강식 조리를 위한 조성물
KR0137595B1 (ko) * 1994-11-04 1998-04-25 서중일 혼합곡립의 제조방법
KR960036935A (ko) * 1995-04-26 1996-11-19 최인환 인조 현미-잡곡쌀의 제조방법
KR20000004543U (ko) * 1998-08-10 2000-03-06 김태점 영양 건강 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32B1 (ko) * 2010-01-14 2010-07-08 등룡알피씨영농조합법인 인지능력 증강용 혼합곡 조성물
KR20170049095A (ko) * 2015-10-28 2017-05-10 씨제이제일제당 (주) 대두와 쌀의 혼합 제국에 의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4954A (zh) 一种具有独特玫瑰香味的营养大米及其制备方法
Balogun et al. Quality attributes of tapioca meal fortified with defatted soy flour
KR20180063655A (ko) 올벼 쌀을 이용한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1341963A (zh) 土豆米线及生产方法
KR19980019365A (ko) 양념을 가미한 종합영양분이 함유된 가래떡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 strip of rice Cake synthetic nutritive food and soned contain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as well as equipment)
KR102044126B1 (ko) 감자를 이용한 옹심이의 제조방법
KR100296790B1 (ko) 고추장굴비의제조방법
LI et al. Utilization of breadfruit in low fat cookie formulation
KR20000000496A (ko) 백미의 크기로 분쇄한 혼합곡 및 그 제조방법
KR102320471B1 (ko) 감자 옹심이 및 그 제조방법
CN111802573A (zh) 一种用食叶草制作的粉利及其制作方法
KR101988984B1 (ko) 배건과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CN105010897A (zh) 一种苦荞麦膨化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342705B1 (ko) 참다래 분말 제조 방법 및 참다래 분말
KR100836961B1 (ko) 감자 옹심이의 제조방법
KR100449044B1 (ko) 콩(대두)의 성분이 함유된 쌀의 제조방법
KR102033429B1 (ko) 고구마가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추장
KR102667658B1 (ko) 쌀눈이 포함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4599B1 (ko) 톳을 포함하는 떡의 제조방법
KR102515173B1 (ko) 감자 가닥, 샐러드 재료 및 드레싱 소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86750A (ko) 쌀눈을 이용한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Onyekwelu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candies from tiger nut and coconut milk blends.
KR101188089B1 (ko) 발효 야채가 함유된 생크림의 제조방법
KR101845374B1 (ko) 발아 현미 가공 방법
KR101575342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곡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