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315A - 휴대용무선전화기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무선전화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315A
KR19990088315A KR1019990017447A KR19990017447A KR19990088315A KR 19990088315 A KR19990088315 A KR 19990088315A KR 1019990017447 A KR1019990017447 A KR 1019990017447A KR 19990017447 A KR19990017447 A KR 19990017447A KR 19990088315 A KR19990088315 A KR 1999008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ttery
antenna
battery pack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919B1 (ko
Inventor
스코트디.비틀러
브라이언제이.하셈머
마크디.잔닉크
스코트알.윌콕스
알버트엘.나겔레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Publication of KR1999008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휴대용 무선전화기(100) 구조가 기술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양호하게는 절첩가능하고, 제1 하우징(102) 및 제1 하우징에 힌지로 연결된 제2 하우징(108)으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은 전지팩 커버용 전지 커버(114) 및 전지팩(115) 수납용 리세스를 갖는다. 분리식 전지(2600)는 무선전화기에 결합되어, 적어도 전지 커버의 한 부분을 커버한다. 절첩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제1 하우징은 표시창(126) 및 스피커(120)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분은 추가로 키패드(keypad; 136) 및 안테나(20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 {PORTABLE RADIOTELEPHONE ARRANGEMEN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소형화 경량화되고, 플라스틱 하우징은 통상 얇아지고 하우징을 고정하는 충분한 래치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거의 없다. 휴대용 무선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서, 하우징을 조립이 용이하고 공간의 이용이 효과적이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개량된 무선전화기 구조가 필요하다.
도1은 개방 상태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사시도.
도2는 폐쇄 상태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사시도.
도3은 휴대용 무선전화기 상부 하우징의 후방 상부 좌측에서 본 분해도.
도4는 상부 하우징의 정면 상부 우측에서 본 분해도.
도5는 도1의 선 5-5를 따른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선 6-6을 따른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선 7-7을 따른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8은 상부 하우징 부분 조립체의 사시도.
도9는 절결된 상부 하우징의 부분 조립체의 사시도.
도10은 상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11은 종래 기술의 음향 응답을 도시한 그래프.
도12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음향 응답을 도시한 그래프.
도13은 상부의 전면과 우측에서 도시된 하부 하우징의 분해도.
도14는 상부의 전면과 우측에서 도시된 하부 하우징의 분해도.
도15a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기 보드에 부착된 하강 위치의 안테나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15b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기 보드에 부착된 하강 위치의 안테나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15c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기 보드에 부착된 하강 위치의 안테나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16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위치 내의 이동 가능한 접촉을 갖는 안테나의 단면도.
도16b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위치 내의 이동 가능한 접촉을 갖는 안테나의 단면도.
도17은 도1의 휴대용 무선전화기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커버, 전지팩, 후방 하우징부, 송수신기 보드 및 전방 하우징부에 또는 일부에 실시된 전지 접촉 장치를 도시한 후방의 좌측 상부 분해 사시도.
도18은 도1의 휴대용 무선전화기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도17의 전지 접촉 장치를 확대 창을 사용하여 도시한 전지팩의 일부를 나타낸 후방의 좌측 하부 분해 사시도.
도19는 도17의 전지팩 하부 평면도.
도20은 도1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하부 절첩되고 내부 표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17의 전지 접촉 장치의 스프링을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도1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하부 하우징 후방의 좌측 상부 사시도.
도22는 도21의 선 22-2을 따른 하부 하우징에 수납된 전지팩의 제1 단면도.
도23은 도21의 선 22-22을 따른 하부 하우징에 수납된 전지팩의 제2 단면도.
도28은 본 발명에 의해 배치된 조립된 힌지의 정면도.
도29는 도28에 도시된 힌지 조립체의 분해도.
도30은 회전축에서 취한, 도1에서 도시된 무선전화기의 단면도.
도31은 보호 커버(3100)의 전방의 좌측 저사시도.
도32는 보호 커버(3100)의 후면도.
도33은 보호 커버(3100)의 상부면도.
도34는 보호 커버(3100)의 우측면도.
도35는 보조 전지에 부착된 보호 커버(3100) 정면의 좌측 저면도.
도36은 보호 커버(3100) 전방의 좌측 저면도.
도37은 보호 커버(3600)의 후방 평면도.
도38은 보호 커버(3600)의 상부면도.
도39는 보호 커버(3600)의 우측면도.
도40은 전지(1702)에 부착된 보호 커버(3100) 전면의 좌측 저면도.
도41은 전지(2408)에 부착된 보호 커버(3100) 전면의 좌측 저면도.
도4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지(2408)의 상부로부터 도시된 분해도.
도4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2408)의 하부로부터 도시된 분해도.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가 기술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양호하게 절첩되고,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힌지로 연결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은 전지팩 커버용 전지 커버 및 전지팩 수납용 리세스를 갖는다. 또한, 분리식 전지는 무선전화기에 결합되어 적어도 전지 커버의 한 부분을 커버한다. 절첩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제1 하우징은 표시창 및 스피커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분은 추가로 키패드(keypad)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1은 휴대용 무선전화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100)는 휴대 전자 장치로, 특히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통하여 무선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휴대형 전자 장치이다. 휴대형 무선전화기(100)는 셀 방식 전화기 시스템에서 작동할 수 있고 통상 휴대용 셀 방식 전화기로 불린다.
휴대용 무선전화기(100)는 힌지(116)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하우징(102) 및 하부 하우징(108)을 갖는다. 휴대용 무선전화기(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를 갖는다. 또한 방향 축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휴대용 무선전화기(100)는 절첩식 또는 대합조개 형상의 전화기로 통상 불린다.
상부 및 하부(102, 108) 하우징은 옷의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고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양호한 크기로, 크기가 매우 작은 하우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길이는 대략 83 mm이고, 폭은 42 mm 이고, 깊이(도2의 폐쇄 위치에서)는 26 mm 크기를 갖는다.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 108)은 내구성 있고 폴리카보나이트 같은, 어느 정도 가요성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상부 하우징(102)은 전방 하우징부(104) 및 후방 하우징부(106)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 하우징부(104)는 힌지(116)의 배럴부(118)를 형성한다. 표시부 렌즈(126)는 상부 하우징(102)에 포함되고 그의 상부 표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이다. (선택사양인) 핑거 리세스(128)는 상부 하우징(102)의 전방 좌측 표면을 따라 형성되고, (선택사양인) 핑거 리세스(130)는 상부 하우징(102)의 전방 우측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102)은 전방 표면 상에 귀 위치부를 갖고, 사용자의 귀는(도1 및 도2에는 도시되지 않음) 스피커로부터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위치된다. 개구(122) 및 개구(124)와 같은 다수의 추가 개구는, 귀 위치부(120) 내의 전방 표면상에 형성된다. 또한, 개구(132)는 좌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개구(134)는 우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02)과 마찬가지로, 하부 하우징(108)은 전방 하우징부(110) 및 후방 하우징부(112)에 의해 형성된다. 통상의 전화기 키(0-9, * 및 #)와 기능 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 키(136)는 하부 하우징(108)의 전방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더욱이, 다수의 입력키(138)는 하부 하우징(108)의 좌측 표면 상에 노출되어 있다. (도2에서) 안테나(202)는 하부 하우징(108)의 상부 표면에 위치된다. 개구(140)는 하부 하우징부(108)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입/출력 데이터의 통신 또는 담배 라이터 어댑터(도시되지 않은)를 통한 전기 에너지를 받기 위해 구비된 전기 접속부(142)를 노출시킨다. 분리식 배터리 커버(114)는 하부 하우징(108)의 하부 표면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1 및 도2에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를 덮는다. 개구(148)는 전방 표면상에 형성되어, 마이크로폰으로 대화를 위해 (도1 및 도2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의 입이 위치된다. 핑거 리세스(144)는 전방 좌측 표면을 따라 형성되고, 핑거 리세스(146)는 하부 하우징(108)의 전방 우측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100)가 폐쇄 상태(도2의)일 때, 핑거 리세스(128, 130)는 핑거 리세스(144, 146)와 합치며, 휴대용 무선전화기(100)의 개방을 위한 도움을 제공하도록 협력한다.
도3 및 도4는 상부 하우징(102)의 상부 분해 사시도 및 하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하우징(102)은 표시부 조립체(320), 가요성 커넥터(336), 스피커(342), 표시부 개스켓(348), 스피커 개스켓(362), 펠트(364), 힌지 조립체(370) 및 표시부 렌즈(126) 뿐만 아니라 전방 하우징부(104) 및 후방 하우징부(106)를 포함한다.
후방 하우징부(106)는 외부면(302), 내부면(304) 및 하우징 쉘 벽의 상부를 따르는 결합 외주(mating perimeter)를 갖는 하우징 쉘(shell)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면(302)은 사실상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다. 탭(327, 329)은 통상 후방 하우징부 좌측 상의 결합 외주(306) 일부의 경계 내에 그리고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탭(323, 325)은 통상 후방 하우징부(106)의 우측면 상의 결합 외주(306)의 일부의 경계 내에 그리고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탭(323, 325, 327, 329)은 통상 내부 표면(304)으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탭(312, 314) 및 L형 탭(316, 318)은 후방 하우징부(106)의 상부 단부 상의 결합 외주(306)의 일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L형 탭(308, 310)은 좌측 및 우측 상의 결합 외주(306)의 일부를 따라서 각각 형성된다. L형 탭(316, 318)은 통상 상부 단부로부터 떨어져 내부 표면(304)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L형 탭(308, 310)은 통상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각각 내향,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벽(404)(도4의)은 후방 하우징부(106) 상에 형성되고 도시된 형상으로 내측 표면(304)으로부터 통상 외향 연장된다.
실제로 가요성인 가요성 커넥터(336)는 (도시되지 않음) 도전체를 통하여 ( 위에 위치된) 도전성 패드(353, 338)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도전성 패드(340)를 포함한다. 표시부 조립체(320)는 좌측을 따라 트랙(322, 324)과, 우측을 따라 트랙(326, 328)과, 그리고 상부 단부를 따라 구멍(330, 332)이 구비된 하우징을 갖는다. 트랙(322, 326)은 그 위에 형성된 포획부(catch)를 갖고 있으나, 트랙(324, 328)은 그렇지 않다. 도전성 패드(334)는 표시부 조립체(320)의 표면 상에 구비되고 (도시되지 않은) 도전체를 통하여 표시부 회로에 결합된다.
전방 하우징부(104)는 내부 표면(372), 외부 표면(374) 및 하우징 쉘의 벽 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 외주(376)를 갖는 하우징 쉘을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 표면(374)은 대체로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L형 탭(378)은 결합 외주(376)의 경계 근처 및 경계 내의 후방 하우징부(106)의 좌측 상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L형 탭(380)은 결합 외주(376)의 경계 근처 및 경계 내의 후방 하우징부(106)의 우측 상에 형성된다. L형 탭(378, 380)은 통상 내부 표면(304)으로부터 외향, 좌 우측면으로부터 각각 내향 연장된다. L형 탭(308, 310) 뿐 아니라 후방 하우징부(106)의 L형 탭(378, 380)도 후크 또는 유연성 후크(hook)로 기술될 수 있다. 포획부(catch)는 결합 외주(376)의 경계 내 및 근처에 각각, 좌 우측 상에 형성된다. 포획부(382, 384)는 통상 내부면(372)으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내부 표면(372)근처에 각각 개구부를 형성한다.
슬롯(315, 317)은 결합 외주(376)의 경계 내에 그리고 그 근처 좌측 상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슬롯(319, 321)은 결합 외주(376)의 경계 내에 그리고 그 근처 우측 상에 형성된다. 전방 하우징부(104)의 상부 단부는, 통상 내부 표면(372)으로부터 전방 하우징부(104)의 하부 단부로 내향 연장된 벽(308)을 형성한다. 슬롯(307, 309) 및 슬롯(311, 313)은 벽(305)과 내부면(372)사이에 형성된 공동 내의 벽을 통하여 형성된다.
표시창(387)은 결합 외주(376) 경계 내에 형성된다. 슬릿(388, 390)은 표시창(387)에 인접한 전방 하우징부(104) 상에 형성된다. 핀(392, 394)과 핀(397, 399) 및 벽(301, 303)은 통상 내부면(304)으로부터 외향 연장 된다. 개구(122, 124)는 전방 하우징부(104) 상에 형성되고, 귀 위치부 내에 위치된다.(도4).
표시부 개스켓(348)은 그의 좌측 상에 노치(350, 352) 및 구멍(358)에 의하여 그리고 그의 우측의 노치(354, 356) 및 구멍(360)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심 개구를 형성한다. 표시부 렌즈 렌즈(126)는 하부 단부 상에 탭(396, 398)을 형성한다. 펠트(364)는 좌측 및 우측 상에 구멍(366, 368)을 각각 갖는다.
상부 하우징(102)은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가요성 커넥터(336)는 표시부 조립체(320)의 표면상에 위치되고, 도전성 패드(353)는 도전성 패드(334)에 결합되어, 표시부 조립체(320)와 몇몇 도전성 패드(340) 사이에 전기적 통로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스피커(342)의 도전성 패드(344)는 가요성 커넥터(336)의 도전성 패드(338)에 납땜되어, 스피커(342)와 몇몇 도전성 패드(340) 사이에 전기적 통로를 제공한다.
표시부 렌즈(126)는 전방 하우징부(104)의 (도4의) 결합 외주(402)의 둘레에 접착제로 부착 및 위치되고, 탭(396, 398)은 슬릿(388, 390) 내에 각각 삽입된다. 자석(346)은 (도3의) 내부 표면(372) 상에 위치되고, 종국적으로는 다른 요소에 의해 제자리에 위치된다. 펠트(364)는 핀(397, 399)이 구멍(366, 368)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도록 내부 표면(372) 상에 위치된다.
표시부 개스켓(348)은 표시창(387) 둘레의 내부 표면(372)에 접착제로 부착되고, 핀(392, 394)이 구멍(358, 360)을 통하여 각각 삽입된다. 표시부 조립체(320)는 표시창(387) 위에 위치되고, 포획부(382, 384)는 트랙(324, 328)에 따라서 각각 활주하고, L형 탭(378, 380)은 외향 굴곡되고 트랙(322, 326)을 따라서 각각 활주하며, 트랙(322, 326)의 포획부에 결합될 때까지 핀(392, 394)은 구멍(330, 332)을 통하여 삽입된다. 접착 시일은 표시부 조립체(320) 및 표시부 개스켓(348)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부 조립체(320)는 전방 하우징부(104)에 고정되고 표시창(387) 둘레의 내부 표면(372)에 접착제로 부착된다.
표시부 조립체(320)와 함께, 스피커 개스켓(362)은 스피커(342)의 전방 외부 에지에 접착제로 부착되고 스피커(342)는 스피커(342)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벽(301, 303) 사이에 내부 표면(372) 상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스피커 개스켓(362)은 스피커(342)와 내부 표면(372) 사이에 접착 시일을 형성하며, 스피커(342)의 전방측은 내부 표면(372) 및 개구(122) 주위에서 둘러싸인다. 가요성 커넥터(336)의 단부는 배럴부(118) 내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힌지 조립체(370)는 배럴부(118) 내에 적재된다. 도8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부(10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후방 하우징부(106)의 전방 단부는 탭(312, 314)이 슬롯(307, 309)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고 L형 탭(316, 318)이 슬롯(311, 313)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도록 전방 하우징부(104)의 전방 단부 쪽으로 위치된다. 후방 하우징부(106)의 하부 단부는 L형 탭(308, 310)이 외향 굴곡되고 포획부(384, 384)를 따라 각각 활주하고 포획부(384, 384)의 개구 내에 포획될 때까지 전방 하우징부(104)의 하부 단부 쪽으로 기울여진다. 탭(323, 325)은 슬롯(315, 317)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고, 탭(327, 329)은 슬롯(319, 321)을 통하여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전방 및 후방 하우징부(104, 106)는 상부 하우징(102)을 형성하게 하고, 결합 외주(306, 376)는 결합된다.
도5는 도1의 선 5-5를 따른 상부 하우징(102)의 단면도이고, 벽(305)의 슬롯(311)을 통해 삽입된 L형 탭(316)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L형 탭(318) 및 슬롯(313)을 표시한다. L형 탭(316)은 상부 하우징(102)의 외부면의 일부에 형성된 벽(305) 아래의 슬롯(311)을 통해 위치한다. 도5는 또한 벽(404)에 내부 공동(504)으로부터 사실상 격리된 내부 공동(502)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102)을 도시한다. 도10은 내부 공동(502, 504)과 사실상 격리된 벽(404)을 상세히 도시한 상부 하우징(102)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선 6-6을 따른 상부 하우징(102)의 단면도이고, 각각 포획부(382, 384)의 개구 내에 포착된 L형 탭(308, 310)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Z-방향에서 후방 하우징부(106) 대한 전방 하우징부(104)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7은 도1의 선 7-7을 따른 상부 하우징(102)의 단면도이고, 슬롯(315) 내에서 삽입되고 포착된 탭(323)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슬롯(315)은 탭(323)을 결합할 정도의 크기로 되어, 결합 외주(306, 376 본문에서 Y-방향)를 따르는 방향에서 전 후방 하우징(104, 106) 사이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실제 움직임은 상부 하우징(102)이 굽힘 및 비틀림 및 꼬임을 받을때 다른 방법으로 일어난다. 도시되고 설명된 구조는 각기 슬롯(317, 319, 321)내의 탭(325, 327, 329)의 삽입을 표시한다.
상기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전화기(100)의 하우징은 비틀림 및 휨과 같은 물리적 스트레스를 더 잘 다루고, 의도되지 않은 분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이된다. 예를 들어, 상부 하우징(102)의 상부 단부가 하부 단부 대해 휘거나 비틀릴때, 전방 및 후방 하우징 부분(104, 106)은 대체로 서로에 대해 조립된 위치에 남아있다.
도9는 (다른 부품들 없이) 조립된 전방 및 후방 하우징부(104, 106)와 외부 표면(302)의 일부의 절단 부분(9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5, 도9 및 도10을 함께 참조하면, 귀 위치부(120) 내에 위치된 개구(122)는 통로를 통하여 스피커(342)의 전방측으로 통한다. 특히, 개구(122)는 통로를 통하여 스피커(342)의 스피커 진동판의 전방측으로 통한다. 따라서, 음압은 스피커(342)의 전방측으로부터 파를 형성하고 스피커 진동판은 개구(122)를 갖는 통로를 통하여 귀 위치부(120)의 전방에 형성된 (제1 공기층인) 공기층에 음향학적으로 연결된다. 스피커(342)의 후방측은 스피커 진동판을 포함하는 (도8에 도시된) 바스켓 상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음압은 스피커(342)의 후방측으로부터 파를 형성하고 스피커 진동판은 스피커 바스켓의 개구를 통하여 (제2 공기층인) 내부 공동(502)에 음향학적으로 연결된다.
귀 위치부(120) 내에 또한 위치된 개구(124)는 통로를 통하여 내부 공동(504)으로 통한다. (다른 다수의 추가 개구도 마찬가지로 내부 공동(504)으로 통한다.) 따라서, 귀 위치부(120)의 전방의 공기층은 개구(124)를 갖는 통로를 통하여 (제3 공기층인) 내부 공동(504)에 음향학적으로 연결된다. 귀 위치부(120)의 외부에 위치된 개구(132, 134)도 마찬가지로 통로를 통하여 내부 공동(504)으로 통한다. 따라서, 내부 공동(504)은 귀 위치부(12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기층인 (제4 공기층인) 외부 노출 공기층에 음향학적으로 연결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100)의 사용 중에, (예를 들어, 도5에 점선으로 표시된) 귀 영역(ear volume)은 귀 위치부(12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 형성된다.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밀봉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귀 영역은 귀 위치부(120)의 전방에 형성된 공기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피커(342)의 전방측으로부터 음압파는 개구(122)를 갖는 통로를 통하여 귀 영역에 음향학적으로 연결된다. 귀 영역은 (예를 들어, 개구(124)인) 다수의 추가 개구를 갖는 통로를 통하여 내부 공동(504)에 음향학적으로 또한 연결된다.
특히 도9에서, 음압파 유동(810)은 음향 신호가 생성되고 귀 영역이 귀 위치부(120)와 사용자의 귀 사이에 형성될 때 스피커 진동판의 전방측으로부터 음압파를 나타낸다. 음압파 유동(8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파는 귀 영역에 도달하는 곳인 개구(122)로부터 그리고 통로를 통하여 향하게 된다. 음압파의 일부는 사용자의 귀로 들어간다. 음압파의 일부는 다수의 추가 개구(예를 들어, 개구(124))로 그리고 통로를 통하여 (그리고 또한 도9에 도시되지 않은 펠트(364)를 통하여) 내부 공동(504)으로 강제로 들어가게 된다. 그 다음, 음압파는 개구(132)와 상부 하우징(102)의 외부를 통하여 외부 노출 공기층으로 강제로 전달된다. 음압파 유동(812)은 음성이 존재할 때 스피커(342)의 후방측으로부터 음압파 유동을 나타낸다. 음압파 유동(81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파 스피커(342) 및 상기 스피커 진동판의 후방측으로부터 내부 공동(502)으로 향하게 된다.
도11은 낮은 자유 공기 기본 진동 공진 주파수의 다이나믹형 스피커를 사용하는 기존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향 주파수 응답 곡선(1102, 1104)의 그래프(1100)를 도시한다. 각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102, 1104)은 주파수 대 음압 레벨을 도시한다. 특히, 종래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귀덮개가 인공 귀(IEC-318 형, 도시되지 않음)에 밀봉된 경우 음향 주파수 응답 곡선(1102)이 얻어졌다. 귀 위치부(120)가 인공 귀와 함께 누출 링 어댑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개봉된 경우 음향 주파수 응답 곡선(1104)이 얻어졌다. 음향 주파수 응답 곡선(1102)이 표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저역 상승이 밀봉된 상태에서 존재한다.
도12는 휴대형 무선전화기(100)의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202, 1204)의 그래프(1200)를 도시한다. 그래프(1200)는 도11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다. 특히, 귀 위치부(120)가 인공 귀에 밀봉된 경우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202)이 얻어지고, 귀 위치부(120)가 누출 링 어댑터를 사용하여 밀봉되지 않은 경우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204)이 얻어졌다.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202, 1204)이 표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100)를 사용한 밀봉 상태에서 저역 손실 내지 상승이 되지 않았다.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202)은 사실상 음향 주파수 공진 곡선(1204)과 같다. 따라서 휴대용 무선전화기(100)는 사실상 귀 위치부(120)의 밀봉과는 관계없는 음향 주파수 공진을 제공한다. (상기 결과는 도11의 종래의 휴대형 무선 전화기의 결과와 비교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저부 하우징(108)의 분해 사시도이다. 특히, 안테나(202)는 상부(1301)를 갖는 저부 하우징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는 저부 슬리브 부분(1303)을 갖는 슬리브(1302)에 의해 커버된다. 상부(1301)는, 또한 상부 접점 부분(1305), 숄더(shoulder) 부분(1307) 및 플랜지 부분(1308)을 갖는 이동 가능한 접점(1306)으로 연장된 위프(whip) 부분(1304)에 연결된다. 결합 위치(1309)는 저부 슬리브 부분(1303)의 아래에 위치된다. 안테나는 또한 나사 부분(1312)을 갖는 부싱(1310)을 포함한다. 안테나 연결은 도1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도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전방 하우징부(110)는 리세스(1313)를 갖는 후프(hoop; 1312), 리세스를 갖는 후프(1314), 리세스(1317)를 갖는 후프(1316), 리세스(1319)를 갖는 후프(1318)를 추가로 포함한다. 외견상으로 상기 후프는 저부 하우징(112) 스냅과 서로 일치되게 설계된다. 전방 하우징부(110)는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분리 가능한 전지 수납용 리세스(1322, 1324) 및 마이크 부분(1320)을 포함한다. 키(136)를 갖는 키패드(1330)는 전면 하우징부(110) 아래에 도시된다. 주름을 갖는 마일라 시트(1340)는 키패드와 키보드(1343) 사이에서 결합된다. 경보 장치 그로밋(1344)은 경보 장치(1346)에 결합된다. 송수신기 보드(1300)는 또한 제1 접점 요소(1352) 및 제2 접점 요소(1354)를 갖는 상부 접점부(1350)와, 송수신기 보드에 연결된 저부 접점부(1358) 및 상부 접점부(1360)를 갖는 저부 접점부(1356)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그로밋(1361)은 송수신기 보드(1300)에 부착된 마이크로폰(1363)을 커버한다. 상기 송수신기 보드는 안테나 튜브(1342) 유지를 위한 안테나 튜브 클립(1362, 1364)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의 메모 녹음 장치의 직동을 위한 버튼(1366) 및 조명 파이프(1368)는 후방 하우징부 릿세스(1372, 1374) 내로 각각 삽입된다. 상기 후방 하우징부(1310)의 나사 부분(1311) 수납을 위한 나사 부분을 갖는 안테나 리셉터클(1370)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부(112)는 리세스(1376, 1378, 1380, 1382)를 추가로 포함한다. 스냅(1384, 1386)은 각각 리세스(380, 1382)를 통해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스냅은 리세스(1376, 1378)내에 위치되나, 보이지는 않는다.
접점 블럭(1387)은 리세스(1389, 1391)를 갖는 웰(1388) 내에서 연결되어 구성된다. 진동기(1392)와 관련된 그로밋(1394)은 접점 블럭(1387)의 리세스(1401) 내에 결합된다. 리세스(1402, 1404, 1406, 1408)는 접점 블럭의 접점(1410, 1412, 1414, 1416)에 각각 접근하게 한다. 접점 블럭의 접점부(1418, 1420)는 진동기 및 그로밋(1394)이 접점 블럭(1387) 내로 삽입될 때, 진동기(1392)의 접점을 형성하는 리세스(1401) 내로 연장된다. 특히, 진동기 외부 하우징 상의 제1 접점(1424) 및 제2 접점(1422)은 접점(1420, 1418)에 연결된 진동기 외부 하우징과 각각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접점 블럭(1387)은, 저부 하우징 내 후크(1434) 내로의 플랜지 (1430) 삽입시, 웰(1388) 내로 삽입된다. 스냅(1396, 1397, 1398)은 접점 블럭이리세스(1389, 1390, 1391)내로 웰 내로 피봇될때, 각각 삽입된다.
도15-16은 송수신기 보드(1300) 안테나 결합을 도시한다. 무선 회로와 정합 회로와 접지면 및 다른 요소들은 송수신기 보드 위에 위치된다. 무선 회로는 예를 들어, 송수 절환기, 트랜스, 수신기, 변조기, 복조기 내지 트레이스와 연결된 상기 무선 회로의 부품, 또는 상기 부품들과 트레이스의 조합일 수 있다. 정합 회로는 피드 단자(236)와 무선 회로 사이에 양호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 회로는 예를 들어, 한 아암(arm) 내의 커페시터 C와 다른 아암 내의 인덕터 L1와 레그부 내의 접지된 인덕터 L2를 갖는 T-연결 회로일 수 있다.
안테나(202)는 통상 제1 안테나 부분, 예를 들어, 적어도 상부 부분(1301) 내 나선형 코일 및 제2 안테나 부분, 예를 들어, 로드(rod) 부분(1304)의 적어도한 부분을 갖는 복합 안테나이다. 제1 안테나 부분은 제2 안테나 부분에 의해 고정되고, 제2 안테나 부분으로의 직접적인 전기 접속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 도면을 참조항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202)는 수축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접점(1306)은 로드 부분(1304)의 아래 근처 위치한다.
안테나(202)는 피트 단자 또는 하우징에 대한 안테나의 물리적 위치, 내지 안테나가 수신하는 전기 신호의 강도, 안테나의 전기적 임피던스 등의 안테나 위치를 나타내는 많은 변수를 갖는다.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내지 범위로부터 이탈됨 없이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 및 본 발명의 상기 무선전화기의 구조에서 이미 설명된 것들에 더하여져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부분과 제2 안테나 부분 사이의 경계는 피드 단자(1350)가수축 위치에서 안테나와 연결되는 영역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테나 부분은 로드 부분(1304)의 일부, 또는 로드 부분(1304)의 전체 및 나선형 코일(1602)의 일부일 수 있다. 더욱이, 제1 안테나 부분 및 제2 안테나 부분은 상이한 형들의 요소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 부분은 1/4 파장, 접지 접속, 접지면에의 인접 대신에, 상이한 파장, 임피던스와 접속, 내지 접지된 도전성 튜브에 둘러싸여질 수 있다. 또한 피드 접점과 부싱은 동일한 부품일 수 있고, 피드 접점 또는 접지 접점은 상기 하우징 또는 하우징 내면의 부품에 배치될 수 있다.
도15a는 송수신 보드(1300)에 부착된 하강 위치의 안테나(202)를 상세히 도시한다. 하강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접점(1306)은 접지 단자(1356)에 접촉된다. 특히, 접지 단자(1356)는 만곡부(1502) 및 플랜지(1308) 위의 접지 위치(1505)에 이동 가능한 접점(1306)에 전기 접속을 위한 접점부(1504)를 포함한다. 안테나가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능한 접점(1306) 또한 수축 위치에 있다. 수축 위치내에서, 제1 안테나 부분은 사실상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제2 안테나 부분은 하우징의 내부에 송수신기 보드(1300) 상의 접지면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더욱이, 피드 단자(1350)는 직접적인 전기 접촉 또는 전기 용량적 연결로,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부분의 저부 단부 같은 안테나의 제2 연결 부분(130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 단자(238)는 제1 연결 위치(245)와 예를 들어, 직접적 전기 접촉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1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가 상향 이동할 때, 이동 가능한 접점부는 피드 단자(1350) 쪽으로 진행된다. 상기 안테나가 상향으로 계속 나갈 때,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부는 도15c에서 도시된 바 같이 완전히 연장될 때 까지 피드 단자(1350)를 포함한 접점부와 접촉된다. 연장 위치에서, 제1 안테나 부분 및 제2 안테나 부분은 대체로 하우징으 외부에 위치된다. 더욱이, 안테나의 제1 연결 위치(1503),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접점부(1306)의 저부 단부는 피드 단자(1350)와, 예를 들어, 직접적 전기 접촉 같은 전기적 접촉으로 연결된다. 즉, 도15c에서 도시된 바 같이 안테나가 완전히 연장될 때, 도16b에서 도시된 바 같이, 이동 가능한 접점부 또한 완전히 연장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부(도16a에서 더 자세히 도시된)의 마찰력 및 접지 단자(1356)의 상부 접점 부분(1360) 및 피드 단자(1350)의 제1, 제2 접점 요소(1352, 1354)의 스프링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부를 통해 로드 부분이 연장될 때 상부 부분이 이동 가능한 접촉에 대하여 더 연장된다. 즉, 접지 단자(1356)의 상부 접점 부분(1360) 및 피드 단자(1350)의 제1, 제2 접점 요소의 스프링력은, 하강 위치에서 안테나가 처음으로 상향으로 진행될 때, 또는 안테나가 진행되고 이동 가능한 접점부가 접촉된 후,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이동 가능한 접점이 연장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또는, 접점부의 상기 스프링력 및 이동 가능한 접점부의 마찰력은, 상기 안테나가 완전히 연장된 부분으로 나가고 이동 가능한 접점부의 플랜지(1308)가 부싱(240)에 접촉되고 나서 로드 부분에 대하여 이동 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도16에서 도16a는 접힌 위치에 있는 이동 가능한 접점(1306)을 갖는 안테나를 도시한다(안테나가 하강 위치 내에 있거나 또는 내지 안테나가 완전히 연장되기 전). 도16a의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상부 부분(1301) 내에 나선형의 코일(244)이 위치된다. 상기 나선형 코일은, 나선형 코일을 위한 지지부를제공하는 절연성 재료(1604)를 감싸고 있다. 슬리브(1302)는 상기 나선형 코일 및 절연성 재료를 둘려싸며, 나선형 코일을 안테나 요소(1608)와 연결시키는 접점(1602) 주위에 연장된다. 슬리브(1302)는 상부 부분(1301) 아래의 하부 슬리브 위치(1303)로 절첩되고 연장된다. 슬리브(1610)는 하부 슬리브 부분(1303) 아래로 연장되고, 안테나 요소(1608)를 커버한다.
이동 가능한 접점부(1306)의 확대도에서 이동 가능한 접점부(1306)와 안테나 요소(1608)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접점 부분(1616)을 갖는 접점부(1614) 쌍을 도시한다. 양호하게는, 네 개의 접점부는 몇개의 접점부가 사용되더라도, 로드 주위에서 균등하게 이격된다. 각 접점부(1614)는 또한 도1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접점부의 하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플랜지(1618)를 포함한다. 특히, 이동 가능한 접점부가 피드 단자(1350), 접지 단자(1356), 또는 부싱(240)의 힘에 의해 하향 이동될 때, 각 플랜지(1618)는 견부 부분(1307)에 지지되어, 이동 가능한 접점부의 더 이상의 어떤 움직임도 저지한다. 도1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부분(1616)은 이동 가능한 접점부(1306) 상부의 근처 위치에서, 효과적으로 안테나의 길이를 연장시켜, 이동 가능한 접점부(1306)로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도16a 및 16-b에서는, 안테나가 만곡될 때와 같이 도16b에서 도시된 바 같이 이동 가능한 접점부가 완전히 연장될 때 이동 가능한 접점부의 이동은 최소화 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1305)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1308)는 부싱(240)이 안테나 리셉터클(1370) 내로 나사 결합될 때 무선전화기로부터 안테나가 제거되는 것을 저지한다.
도17에서는 점선으로, 도22 및 도23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전지(1702)는 전지 접속 장치(115)의 전지팩(1704) 내에 수납된다. 전지(1702)는 실제로 전지(1702)를 감싸는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에 일치하는 표준 사각형 중실 형상이다. 하우징(1706)은 전방 및 후방 단부(1708, 1709)와, 단부(1708, 1709)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들과 직교하고 모서리(1714)에서 단부(1708)와 결합하는 우측부(1710)와, 단부(1708, 1709)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들과 직교하고 모서리(1716)에서 단부(1708)와 결합하는 좌측부(1711)와, 단부 및 측부(1708 내지 1711)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 및 측부에 직교하고 모서리(1718)에서 단부(178)와 결합하는 하부 표면(1710)을 갖도록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적합한 재질로 성형된 트레이부를 갖는다. 트레이부는 전지(1702)를 수납하고 지지한다. 하우징(1706)의 상부 표면 (1713)을 한정하는 접착 라벨(1717)은 전지(1702)를 커버하며, 부분적으로 단부, 측부 및 표면(1708 내지 1712)을 감싼다. 접착 라벨(1717)은 마일라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컷된다. 전지(1702)와 하우징(1706)은, 단부와 측부(1708 내지 1711)중 어느 하나보다 상당히 큰 면적을 갖는 표면(1712, 1713)에 의해 예시된 것처럼, 얇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부(1708 및 단부(1709))의 높이(1702)는 대략 7 mm이고, 단부(1708 및 단부(1709))의 길이(1721; 즉, 하우징 (1706)의 폭)는 대략 35 mm이고, 그리고 단부(1708, 1709)들 사이의 길이(1719; 즉, 표면 (1712)의 길이와 하우징(1706)의 길이)는 대략 50 mm이다.
도17 내지 도19에 도시된 바 같이 정합 돌출부(1722, 1723, 1800, 1801)를 갖는 전지팩(1704)은 하우징(1706) 상에 지지된다. 돌출부(1722, 1723)는 표면(1712)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모서리(1718)에서 단부(1708)에 위치된다. 돌출부 (1722)는 단부(1708)의 우측 절반부(즉, 단부(1708)와 모서리(1716)의 중간부)상에, 예를 들어, 모서리(1714)로부터 1 mm 정도에 위치한다. 돌출부(1722, 1723)는 실제로 평평하고 단부(1708)에 대해 평행한 사각형 표면을 지닌 말단부(1726, 1727)를 각각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말단부(1726, 1727)는 폭이 약 3 mm, 높이는 약 2 mm이고, 단부(1708)로 부터 약 1.85 mm에 있다.
돌출부(1800, 1801)는 단부(1709)의 좌측 및, 우측 절반부에, 각 측면부(1710, 1711)로부터 4 mm 정도로 직각 위치한다. 돌출부(1800, 1801)는 하우징(1706)의 표면(1712, 1713)에 평행한 각각의 상부 표면(1802, 1803)과, 각 하우징(1706)의 단부(1709)에 대해 경사진 각각의 하부 표면(1804, 1805)을 갖는다. 돌출부(1800)의 말단부(1806)는 상부 및 하부 표면(1802, 1804)의 수렴부로부터 형성되고, 돌출부(1801)의 말단부(1807)는 상부와 하부 표면(1803, 1805)의 수렴으로부터 형성된다. 말단부(1806, 1807)는 돌출부(1722, 1723)의 말단부(1726, 1727)보다 면적이 작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표면(1804, 1805)은, 바람직하게는 35도이나, 하우징(1706)의 말단부(1709)에 대해 30도와 70도 사이의 임의의 각(1808)을 형성하고, 말단부(1806, 1807)는 폭이 약 2 mm이고, 단부(1709)로부터 1.2 mm 이격되어 있다.
본 기술 분야 숙련자들은 전지팩(1704)에 종래의 기술의 전지 접속 장치의 정합 리세스가 아닌 정합 돌출부(1722, 1723, 1800, 1801)를 장착함으로써, 단부(1708, 1709)에 리세스 위한 추가적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하우징(1706)의 길이(즉, 길이 (1719))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하우징(1706)을 전지(1702)의 표준 사각형 중실 형상에 보다 잘 맞게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지팩(1704)은 하우징(1706)의 우측 및, 좌측(1710, 1711)에 각각 장착된 연장된 핀(1900, 1728)을 갖는다. 특히, 핀(1900)은 측부(1710)의 전방 절반부(즉, 측부(1710)의 중간과 모서리(1716) 사이)에 위치하고, 핀(1728)은 측부(1711)의 전방의 절반부(즉, 측부(1710)의 중간과 모서리(1714) 사이)에 위치한다.
전지팩(1704)은 하우징(1706)의 표면(1712)에 지지된 접점(1730, 1731, 1732, 1733)을 갖는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표면(1712)의 전방 절반부(즉, 표면(1712)의 중간과 단부(1708) 사이)에 위치하여 각 접점(1730 내지 1733)의 일부가 모서리(1718)에 중첩하게 한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이들의 정확한 접속을 보장하는 치수를 갖도록 하우징(1706)의 가장 큰 표면(1712)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점(1730 내지 1733)은 단부(1708)의 높이(1720)보다 큰 약 8 mm의 길이(1901)와, 약 2.5 mm의 폭을 갖고, 접점들(1730 내지 1733)중 인접한 것으로부터 약 1 mm 정도 이격된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도금된 베릴륨 구리 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 재료로 성형되고, 바람직하게는 표면(17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706)안에 사출 성형된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전지(1702)와 점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을 통해 하우징(1706)에 배치된 전지 회로 조합체(도시되지 않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지 접속 장치(115)는 치수적으로 제한되고 용이하게 휴대가능한 전지팩(이 전지팩(1704)은)으로 실현된다. 전지팩(1704)의 돌출부(1722, 1723, 1800, 1801)는 적절하게 위치되고, 보기 좋은 정합 정렬을 이루기에 충분한 수이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쉽고 정확한 접속을 위한 위치, 치수 및 간격면에서 충분하다. 전지팩(1704)의 이점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전지 접속 장치(115)는, 전지팩(1704)을 수납하고 전지(1702)와 송수신기 보드(1300)의 전자 회로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무선 전화기(100)의 부분을 포함하기 위해 더욱 연장될 수 있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 연결 장치(115)는 송수신기 보드(1300)의 전자 회로를 갖고 리세스(1740) 내의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하부 하우징(108)을 포함한다.다. 하부 하우징(108)뿐만 아니라 리세스(1740)도 전방 및 후방 단부벽(1742, 1743)과, 단부벽(1742, 1743)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벽에 직교하며 모서리 (1810)에서 단부벽(1742)에 결합되는 우측벽(1744)과, 단부벽(1742, 1743)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벽에 직교하며 모서리(1811)에서 단부벽(1742)에 결합되는 좌측벽(1745)과, 단부벽 및 측벽(1742 내지 1745)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벽 및 측벽에 직교하며 모서리(1812)에서 단부벽(1742)에 결합되는 기부(1746)를 갖도록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성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부벽(1742, 1743)은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길이(1719) 보다 조금 긴 약 51.25 mm의 거리(1747)로 이격 되고, 측벽(1744, 1745)은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폭(1721)보다 약간 긴 약 36.5 mm에서 39 mm사이의 좀더 다양한 거리(1748)로 이격되고, 단부벽(1742)은 기부(1746)와 단부벽(1742)의 상부 모서리(1749) 사이에서 측정된 높이로서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단부(1708)의 높이(1720)와 거의 같은 약 7 mm의 높이(1814)를 갖고, 단부벽(1743)은 기부(1746)와 단부벽(1743)의 상부 모서리(1751)사이에서 측정된 것으로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단부(1708)의 높이(1720)보다 작은 약 5 mm의 높이(1750)를 갖는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접속 장치(115)의 사각형 수납 슬롯(1752, 1753, 1816, 1817)은 하부 하우징(108)의 리세스(1740)에 성형된다. 수납 슬롯(1752, 1753)은 단부벽(1743)의 우측 및 좌측의 반부에서 측벽(1744, 1745)과 약 2 mm 정도 떨어져 각각 위치한다. 수납 슬롯(1752, 1753)은 각각 내부의 평평한 천정 표면(1754, 1755)에 의해 단부벽(1743)의 상부 모서리(1751)에 인접하게 경계를 이룬다. 수납 슬롯(1816, 1817)은 기부(1746)와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되도록 모서리(1812)에서 단부벽(1742)에 위치한다. 수납 슬롯(1816)은 단부벽(1742)의 우측 절반부(즉, 단부벽(1742)의 중간과 모서리(1810)의 사이)에 모서리(1812)로 부터 약 3.5 mm 이격되게 위치한다. 수납 슬롯(1817)은 단부벽(1742)의 좌측 반부(즉, 단부벽(1742)의 중간과 모서리(1811)의 사이)에 모서리(1811)로 부터 약 3.5 mm 이격되게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납 슬롯(1816, 1817)은 수납 슬롯(1816, 1817)의 기부(1746)부터 상부 모서리(1818, 1819)까지 측정된 폭 3 mm 및 높이 2 mm 보다 약간 크다.
수납 슬롯(1816, 1817)은 각 전지 연결 장치(115)의 스프링(1820, 1821)을 지지한다. 스프링(1820, 1821)은 각 수납 슬롯(1816, 1817)에 위치하고 이들의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다. 도20에서 도시된 바 같이, 후방 하우징(108)로부터 분리된 스프링(1820, 1821)은 전방 및 후방 아암(2000, 2001, 2002, 2003)과 일체적으로 결합하도록 성형된 V형 스프링 핑거이다. 각각의 후방 아암(2002, 2003)의 각 단부에 대향 단부에서 각각의 전방 아암(2000, 2001)은 로킹 톱니를 갖는 장착 표면을 갖는다. 각각의 전방 아암(2000, 2001)의 각 단부에 대향 단부에서 후방 아암(2002, 2003)은 각각 힘을 받는 노우즈-형상 표면을 갖는다. 도20의 정지 위치에서 도시된 바 같이, 스프링(1820, 1821)은 아암(2002, 2003)을 아암(2000, 2001) 쪽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해 편향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1820, 1821)은 베릴륨 구리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된 얇은 판으로부터 스탬핑 가공되고, 각각의 아암(2002, 2003)이 약 0.15 N/mm 또는 다른 적당한 값의 스프링력을 갖도록 전술된 형상으로 절곡된다.
스프링(1820, 1821)은 각각의 수납 슬롯(1816, 1817) 뒤의 후방 하우징부 (108)의 내부 표면(2008)에 성형된 리셉터클(2006, 2007)에 각각 조립된다. 스프링(1820, 1821)의 조립체는 각각 점선(2009, 20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립시, 아암(2000, 2001)의 장착 표면은 리셉터클(2006, 2007)에 각각 고정되고, 아암의 노우즈(2002, 2003)는 각 수납 슬롯(1816, 1817)에 있게 된다. 일단 조립되면, 각각의 아암(1816, 1817)의 노우즈는 충분한 힘을 받을때 단부벽(1742)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 접속 장치(115)는 리세스(1740)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커버(114)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래치(1757)를 더 포함한다. 래치(1757)는 후방 하우징부(108)에 이동 가능식으로 지지되고 단부벽(1742)의 일부를 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1757)는 각 수납 슬롯(1816, 1817)으로부터 약 6 mm 정도 떨어져 단부벽(1742)의 중간에 위치하고 그 위치에서 단부벽(1742)의 높이(1814)의 약 70 % 정도를 차지한다. 단부벽(1742)에 전기 접점같은 추가적인 구조물용 공간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을지라도, 래치(1757)는 후방 하우징부(112)라고 명시된 얇은 형상 요소와 일치되게 성형된 커버(114)의 견고한 결합을 허용한다.
전지 접속 장치(115)는 송수신기 보드(1300)에 장착되어 송수신기 보드(1300)의 전자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1760, 1761, 1762, 1763)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점(1760 내지 1763)은 리세스(1740)의 기부(1746)에 형성된 스롯식 개구(1764, 1765, 1766, 1767)를 통해 각각 연장되도록 후방 하우징부(110, 112)사이의 송수신기 보드(1300)의 조립후 후방 하우징부(112)의 리세스(1740)에 지지된다. 각 접점(1760 내지 1763)은 기부(174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편향 가능한 힘을 받는 노우즈 형상의 표면을 갖는 스프링 핑거를 사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접점(1760 내지 1763)은 베릴륨 구리 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각각의 노우즈 형상 표면이 약 0.2 N/mm 또는 다른 적절한 값의 스프링력을 나타내도록 전술된 형상으로 만곡된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화기(100)에 위치하는 전지 접속 장치(115)의 부분들을 이용하기 위해 전지팩(1704)은 하부 하우징(108)에 조립된다. 전지팩(1704)은 도17 및 도18의 리세스(1740)의 기부(1746)에 대해 약 15도 정도의 작은 각으로 배향되고, 단부(1780)의 상부 모서리(1708)가 도21에 화살표(2100)로 도시된 것처럼 단부벽(1742)의 상부 모서리(1749)에 접하도록 리세스(1740)에 위치하며 여기서 파선은 전지팩(1704)의 2102를 도시한다. 도17 및 도18에서 상부 모서리(1708)와 단부벽(1742)의 연결부 상의 돌출부(1722, 1723)는 돌출부(1722, 1723)의 말단부(1726, 1727)가 각 스프링(1820, 1821)에 결합되어 이를 누르도록 각 수납 슬롯(1816, 1817)에 수납된다. 그런 다음, 도21의 화살표(2104)로 도시된 것 처럼, 전지팩(1740)의 단부(1709)가 리세스(1740)로 이동되고, 단부벽(1743)의 상부 모서리(1751)를 지나쳐 각 돌출부(1800, 1801)의 도17 및 도18에서 경사각 표면(1804, 1805)을 활주한다. 단부(1709)는 돌출부(1800, 1801)가 수납 슬롯(1752, 1753)에 각각 정렬될 때까지 이동된다. 전지팩(1740)의 지지된 각 접점(1709)의 이러한 이동중에, 전지팩(1740)의 접점(1730 내지 1733)은 리세스(1740)에 지지된 각 접점(1760 내지 1763)에 결합되고 가압된다. 조립을 완성하기 위해, 돌출부(1800, 1801)가 수납 슬롯(1752, 1753)에 각각 수납될 때까지 전지팩(1740)은 스프링(1820, 1821)이 도21의 화살표(2106) 방향으로 전지팩(1740)을 연장시켜 가압할 수 있게 해제된다.
일단 조립되면, 전지팩(1740)은 하부 하우징(104)에 견고하게 수납되고 전지 (1702)는 송수신기 보드(1300)의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22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팩(1740)의 상부 모서리(1708)는 리세스(1740)의 단부벽(1742)에 지지되지 않고 나란히 놓이며, 전지팩(1740)의 단부(1709)는 리세스(1740)의 단부벽(1743)에 인접하며, 전지팩(1740)의 표면(1712)은 리세스(1740)의 기부 (1746)와 나란히 놓인다. 돌출부(1801)는 수납 슬롯(1753)에 수납되고, 돌출부 (1723)는 수납 슬롯(1817)에 수납된다. 스프링(1821)은, 단부(1709)가 단부벽(1743)에 인접하고 돌출부(1801)가 수납 슬롯(1753)에 수납된 상태로 있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화살표(2200)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하중을 받고 있다. 하우징(1706)과 돌출부(1723)의 결합된 길이(즉, 도17의 1719의 길이)는 리세스(1740)의 길이(1747) 보다 약간 커서, 돌출부(1723)가 수납 슬롯(1817) 내에 수납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22 및 도23에서 도시된 것처럼, 접점(1760 내지 1763)은 각각 화살표(2300)의 방향으로 접점(1730 내지 1733)에 힘을 가하는데, 이는 접점(1730 내지 1733)과 접점(1760 내지 1763)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보장하고, 돌출부(1801)의 비스듬한 표면(1803)을 수납 슬롯(1753)의 표면(1755)에 대해 편향시키고 돌출부(1723)를 수납 슬롯(1817)의 상부 모서리(1819)에 대해 편향시킴으로서 전지팩(1740)절첩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전지팩(1740)을 통해 후방 하우징부(112)의 접점(1760 내지 1763)에 의해 가해진 힘의 결과로 발생되는 전방과 후방 하우징부(110, 112)의 접합점(113)에서의 분리와 이격을 피하기 위해, 전지 연결 장치(115)는 접점(1760 내지 1763)과 일치하게 위치하는 하우징 스냅(2302, 2303)을 더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하우징부 (110, 112)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하우징 스냅(2302, 2303)은 각 측벽(1744, 1745)에 인접한 리세스(1740)의 전방 하우징부(110)와 기부(1746)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특히, 도14, 도17, 도18 및 도23에 도시된 바 같이 각 스냅(2302, 2303)은 상호 체결 후프 및 톱니형 슬롯으로 형성된다. 도23에 도시된 바 같이, 접점(1760 내지 1763)이 그들 사이에 정렬 되도록 스냅(2302, 2303)이 위치함으로써, 접점(1760 내지 1763)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견디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부(110, 112)의 신뢰성 있고 견고한 부착이 실현된다.
전지팩(1740)을 도21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에 대해 전술된 단계들을 사실상 역으로 하여 하부 하우징(108)으로부터 분해된다. 먼저, 전지팩(1740)은 돌출부 (1800, 1801)가 각각의 수납 슬롯(1752, 1753)에서 제거될 때 까지 화살표(2106)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고, 각각의 수납 슬롯(1816, 1817) 내의 스프링(1820, 1821)은 돌출부(1722, 1723)로부터 각각 가압되고, 상부 모서리(1708)는 단부벽(1742)에 인접한다. 다음으로, 전지팩(1740)의 단부(1709)는 돌출부(1800, 1801)가 단부벽(1743)을 제거할 때까지 화살표(214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거되면, 전지팩(1740)은 리세스(1740)와 하부 하우징(108)으로부터 올려질 수 있다.
무선전화기(100)와의 분리 가능 결합 외에도, 전지팩(1740) 형태의 전지 접속 장치(116)는 탁상용 충전 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와의 접속도 가능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팩(1740)의 핀(fin: 1728, 1900)은 충전 장치 내에 성형된 대향 수직 가이드 슬롯과의 결합에 의해 충전 장치의 웰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설정은 충전 장치의 길이와 전체 점유 면적을 감소시켜 준다.
도24는 플랜지(2404, 2406)를 갖는 확장된 전지 커버(2402)와 확장된 전지를 보호하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전지(2408)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하우징 내에서 캡슐화된 LSQ8 셀일 수 있다. 도25의 단면도에서 전지(1702)의 자동-잠김 기능은 전지(1702)를 포함한 확하우징 커버(2402)의 사용을 가능하게한다. 전지와 확장된 커버(2402)사이에 공간(2502)이 유지된다.
도26은 래치(2602)와 프롱(prong: 2604, 2606)을 갖는 보조 전지의 사시도이다. 래치(2602)는 리세스(1780)와 정합되도록 구성되고, 프롱(2604, 2606)은 (1322, 1324)와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접점부(2610, 2612, 2614, 2616)는 대응 접점(1410, 1412, 1414, 1416)과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도27은 무선전화기(100)에 부착된 보조 전지(260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도28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 조립체(116)는 하우징(102)을 저부 하우징(108; 도1)에 연결한다. 아래 상세히 설명되는 힌지(116)는 도28의 정면도에서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며 도29의 사시도에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폐쇄 위치의 도2의 무선전화기(10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30은 조립된 힌지(제116)의 결합을 도시한다. 무선전화기가 조립될 때 힌지(116)는 상부 하우징(102)의 배럴 부분(118)에 배치된다. 힌지(116)가 수납된 상부 하우징(102)은 저부 하우징(108)의 두개의 너클(117, 119; 도2) 사이에서 회전식으로 결합된다. 힌지(116)의 구조는 상부 하우징(102)이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108)의 상부면(108)에 대하여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둔각으로 유지될 수 있게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점은 부품들이 무선전화기 하우징들과는 별개로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힌지(116)의 조립후에, 힌지(116)를 무선전화기 (100)에 장착할 때 개개의 부품들이 아닌 조립된 부품이 조립자 의해 취급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5,628,089호에서 개시된 힌지 조립체와는 달리 본 발명의 힌지 (116)는 힌지 부품들을 함께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다.
힌지(116)의 세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8에서 힌지(116)는 종동부(2802)등의 고정 요소, 캠(2804) 및 스프링(2806)등의 두개의 가동 요소(2808, 2810), 두개의 마찰 와셔 및 자체 보유 힌지(116)를 제공하도록 결합 상태로 유지된 로드(2812)를 포함한다.
도29에서는 힌지(116)의 양호한 실시예의 분해 좌측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 종동부(2802)는 세개의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 즉, 양호하게는 Y 형상. 또는 적당한 다른 형상의 커넥터(2901)와, 본체(2903)와, 샤프트(2905)를 포함한다. 종동부(2802)는 가능하면 여러 공급원으로부터 상용으로 입수할 수 있는 아세탈 수지나 테프론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이 좋다. Y 형상의 커넥터(2901)는 무선전화기 하부 하우징(108)의 너클(117, 119)중 하나에 있는 개구(도시생략)에 정합된다. 이 개구는 Y 형상의 커넥터(2901)를 수용하는 형상을 취하고 힌지를 제 위치에 체결한다.
종동부 본체(2903)는 평평한 하부 표면(2909)과 평평한 상부 표면(2911)을 갖는 원통형 부분으로 형성된다. 종동부 본체(2903)의 상부 표면(2911)에는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두개인 탭(2913)이 결합되어 있다(하나만 도시). 탭(2913)은 평평한 제1 표면(2915)과 만곡된 제2 표면(2917)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탭 (2913)들은 서로 180도로 이격된다. 또한, 튜브형의 샤프트(2905)가 종동부 본체 (2903)의 상부 표면(2911)에 결합되고 탭(2913)들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샤프트(2905)는 중실부(2919)와 원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등간격으로 이격된 스프링 보유 프롱(2921)으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보유 프롱(2921)의 수는 3개가 좋다. 각각의 프롱(2921)은 그 단부에 립(29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2905)의 외경이 스프링(2806)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하기 위해 로드(2812)는 프롱(2921)들 사이에 수납되고, 각 프롱의 내부표면은 로드(2812)에 대하여 견고하게 눌려진다. 이 로드는 ABS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2804)은 여러 공급원으로부터 상용으로 입수할 수 있는 테프론 충전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이다. 캠 (2804)의 일단은 평평한 링 표면(2925)을 형성한다. 캠(2804)의 타단은 종동부 본체(2903)의 상부 표면(2911)과 정합되도록 마루부(2929)와 골부(2931; 또한 도28에 도시)를 갖는 프로파일(2927)의 형상을 취한다. 힌지 부품의 조립중에 캠(2804)의 프로파일 단부(2927)는 종동부 샤프트(2905)의 바깥으로 삽입되고 종동부 본체(2903)의 상부 표면(2911)과 정합되어 종동부 탭(2913)이 도28에 도시된 것 처럼 캠(2804)의 계곡부(2931)에 수납되게 해준다.
캠(2804)은 다수의 립(2933)을 포함한다. 상기 립(2933)은 덮개(102)가 무선전화기 저부 하우징(108)에 대해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캠(2804)이 무선전화기 상부 하우징(102)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부 하우징(102)의 배럴부(118)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슬롯(도시생략)에 수납된다. 종동부 커넥터(2901)가 무선전화기 저부 하우징(108)의 너클(117,119)중 하나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종동부(2802)는 커버(102)가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하지 않게된다.
스프링(2806)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나선형이다. 힌지(116)는 조립하는 동안 스프링(2806)은 종동부 샤프트(2905)위에 위치하여 캠(2804)과 종동부 샤프트 (2905)의 스프링 보유 프롱(2921)의 립(2923)들 사이에 결합된다. 양호한 실시에에서, 제1 마찰 와셔(2808)은 캠(2804)의 평평한 링 표면(2925)과 스프링 (2806)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 마찰 와셔(2810)는 스프링(2806)의 타단부 스프링 보유 프롱(2921)의 립(2923)들 사이에 배치된다. 마찰 와셔(2808, 2810)는 무선전화기 상부 하우징(102)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 캠(2804)과 스프링 보유 프롱(2921)의 마모와 쪼개짐을 줄여준다.
전술한 것처럼 개별적 힌지 부품들이 일단 조립되면 힌지(116)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 또는 제조중에 무선전화기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자체 보유 부품이 된다. 만일 제조중에 무선선전화기에 사용되면, 힌지(116)는 도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전화기 상부 하우징(102)의 배럴(118) 안에 배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종동체 커넥터(2901)는 전화기 본체의 너클들(119)중 하나에 수납되어 그 안에 체결되어서 전화기 상부 하우징(102)이 개폐될 때 종동부(2808)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종동부 대향단에서 제2 마찰 와셔(2810)는 배럴(118)의 내부에 형성된 보유 숄더(217)에 인접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캠(2804)의 외부 표면상에 형성된 립(2933)은 상부 하우징(102)이 개폐될 때 캠(2804)이 커버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럴(118) 내부의 홈(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된다. 상부 하우징(102)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때 캠(2804)은 종동부 본체(2903)를 중심으로 180도로 회전하여, 종동부 본체(2903)의 각 탭(2913; 단지 하나만 도시)이 캠(2804)의 한 골부(2931; 혹은 오목부 근처)로부터 캠(2804)의 인접한 골부(2931; 오목부)로 재차 위치하게 된다. 상부 하우징(102)이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이동하면, 탭(2913)의 팁(2914)을 지나는 캠의 마루부(2929)의 회전은 상부 하우징(102)이 스프링을 폐쇄시키게 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102)이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이동하면 탭(2913)의 팁(2914)을 지나는 캠의 마루부(2929)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부 하우징(102)이 스프링을 개방하게 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상부 하우징(102)이 쉽게 개폐될 수 있게 한다.
도31 내지 35에서는 보조 전지(2600)용 안전 커버(3100)를 도시한다. 안전 커버(3100)는 프롱(2606, 2604) 수납용 리세스(3102, 3104)를 각각 포함한다. 안전 커버(3100)는 래치(2602) 수납용 리세스(3106)를 포함한다. 안전 커버(3100)는 도35에서 도시된 바 같이 보조 전지(2600)에 부착된다.
도36 내지 도41에서는 주전지용 안전 커버(3600)가 도시된다. 안전 커버(3600)는 수납 돌출부(1722, 1723) 내지 돌출부(1800, 1801)를 위해 특정하게 형성된 리세스를 갖는 손잡이(3602)를 포함한다. 특히, 리세스(3608)는 전지가 제1 방향 내에서 삽입될때 수납 돌출부(1801)에 구성되는 제1 부분(3610)과 전지가 제2 방향 내에서 삽입될때 수납 돌출부(1722)에 구성되는 제2 부분(3624)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리세스(3620)는 전지가 제1 방향 내에서 삽입될때 수납 돌출부(1801)에 구성되는 제1 부분(3622)과 전지가 제2 방향 내에서 삽입될때 돌출부(1722)에 구성되는 제2 부분(3624)을 포함한다. 안전 커버(3600)는 상기 기술된 돌출부(1800, 1801) 내지 수납 돌출부(1722, 1723)를 위해 특정하게 형성된 리세스(3632, 3634)를 갖는 손잡이(36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40에서는 전지(1702)에 부착된 안전 커버(3600)가 도시되고, 도31에서는 전지(2408)에 부착된 안전 커버(3600)가 도시된다. 상기 안전 커버는 한 손잡이 상에 하향 압박시 전지로부터 분리 작동되는 재료로 양호하게 형성된다.
도42 내지 도43에서 전지(2408)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특히, 하부 하우징(4200)은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접점(1733, 1732, 1731, 1730)에 각각 연장되는 접점(4202, 4204, 4206, 4208)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4200)은 접점(4202에서 4208) 영역 내의 공동(1409)과 공동(1411)을 포함한다. 공동은 하우징 내에전기 화학 셀 상의 회로를 상기 접점부가 작동되는 것을 기술한다. 부착층(4210), 양호하는 양면 부착층은, 저부 하우징(4200)에 셀(4211)을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부착층은 셀(4211) 상의 회로를 갖는 가요성 스트립(4212)을 정확히 위치하는데 쓰인다. 특히, 가요성 스트립의 후방 부분(4216)은 접점(4218, 4220, 4222, 4224)을 포함한다. 상기 부착층은 후방 부분 내지 접점부를 정확히 위치하는데 쓰여서 접점부가 점용접될 때 접점(4202, 4204, 4206, 4208)과 똑바로 중점되게 한다.
상부 하우징(4230)은 저부 하우징(4200)의 상부 상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4230)의 내부는 벽(4232) 및 지지벽(4234, 4236, 4238)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또한 제2 벽(4242) 및 지지 부재(4244, 4246, 4248)의 제2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벽(4232, 4242)은 가요성 스트립(4212) 회로(4214) 방어를 위한 리세스(424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벽은 전지팩 내에서 이용되는 표준 AAA셀을 지하게 구비된다. 세개의 AAA셀(4211)의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회로를 갖는 가요성 스트립은 통상 두개의 셀 사이에 위치한다. 끝으로, 절결부(4252, 4254)를 갖는 라벨(4250)은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이 결합되는 주위에서 위치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변형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넓은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변화 및 변형 모두에 적용하는 것이 첨부된 청구항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무선전화기 구조를 갖는 장치는 귀 위치부의 밀봉과 관계없는 음향 주파수 공진을 제공하며, 전방 하우징부는 분리 가능한 전지 수납용 리세스 및 마이크 부분을 갖는다. 힌지 형상은 조립시에 힌지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을 생략하므로 비용과 힌지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얇은 전지에 의해 얻어진 두께의 감소를 해치지 않으면서 얇은 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전지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있다.

Claims (5)

  1. 제1 하우징(102)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전지팩 수납용 리세스를 갖는 제2 하우징(112)과,
    상기 전지팩 커버용 전지 커버(114)와,
    상기 무선전화기에 결합되어 상기 전지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분리식 전지(2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표시창(12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스피커(12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키패드(13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안테나(20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
KR1019990017447A 1998-05-14 1999-05-14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 KR100334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78,794 1998-05-14
US09/078,794 US5933330A (en) 1998-05-14 1998-05-14 Portable radiotelephone arrangement having a battery pack and a detachable battery
US09/078,794 199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315A true KR19990088315A (ko) 1999-12-27
KR100334919B1 KR100334919B1 (ko) 2002-05-04

Family

ID=2214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447A KR100334919B1 (ko) 1998-05-14 1999-05-14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33330A (ko)
JP (1) JP2000041091A (ko)
KR (1) KR100334919B1 (ko)
CN (1) CN1147108C (ko)
BR (1) BR9914228A (ko)
DE (1) DE19922071C2 (ko)
GB (1) GB2337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187A (en) * 1998-05-14 2000-05-23 Motorola, Inc. Hinge assembly
US6188765B1 (en) * 1998-05-29 2001-02-13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radiotelephone
GB2346759B (en) * 1999-02-12 2003-06-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JP3258972B2 (ja) * 1999-03-18 2002-02-18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通信機
USD428403S (en) * 1999-06-29 2000-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6326543B1 (en) * 1999-10-07 2001-12-04 Motorola, Inc. Self-sealing accessible container
ATE289707T1 (de) * 1999-11-03 2005-03-15 Free Magcom As Q Tragbares funkgerät, wie mobiltelefon, ausgestattet mit schutzabschirmung
USD425503S (en) * 1999-11-19 2000-05-2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29228S (en) * 1999-11-19 2000-08-08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32510S (en) * 1999-11-19 2000-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D429709S (en) * 1999-11-19 2000-08-22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29488S (en) * 1999-11-19 2000-08-15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31539S (en) * 1999-12-06 2000-10-03 Wen-Yuan Kuo Telephone
US6171138B1 (en) * 2000-01-28 2001-01-09 Motorola,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removable components
FI20000377A (fi) * 2000-02-18 2001-08-18 Nokia Mobile Phones Ltd Monikäyttöinen akkujen latauslaite
JP2001285431A (ja) 2000-04-03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における内蔵バッテリー保持構造
GB2362774B (en) * 2000-05-26 2004-08-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JP2002027066A (ja) * 2000-07-06 2002-01-2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形携帯無線機
JP3456473B2 (ja) 2000-11-16 2003-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筐体
US7194291B2 (en) * 2001-06-26 2007-03-20 Gregory Kim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TW487258U (en) 2001-02-15 2002-05-11 Quanta Comp Inc Pivot structure of a mobile phone detachable from a base thereof
US6565380B1 (en) * 2001-02-27 2003-05-20 Mobigence, Inc. Battery contact arrangement
CN1394055A (zh) * 2001-06-28 2003-01-29 株式会社东芝 移动终端装置
US7609027B2 (en) 2001-11-09 2009-10-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audio component, or electrical combination having a selectively connectable battery charger
US20030160755A1 (en) * 2002-02-28 2003-08-28 Palm, Inc. Detachable expandable flexible display
US20070069975A1 (en) * 2001-11-28 2007-03-29 Palm, Inc. Detachable expandable flexible display
KR20030046862A (ko) * 2001-12-06 2003-06-18 유병오 핸드폰 커버(폴더)오픈구조.
JP3943413B2 (ja) * 2002-02-25 2007-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畳式電子機器
US7052799B2 (en) * 2002-06-27 2006-05-30 Vocollect, Inc. Wearable terminal with a battery latch mechanism
US6910911B2 (en) 2002-06-27 2005-06-28 Vocollect, Inc.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KR101062936B1 (ko) * 2002-07-22 2011-09-07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전자 장치용 자가 개방 기구
US7181172B2 (en) * 2002-09-19 2007-02-20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integrated wireless device
EP1551068A4 (en) * 2002-10-11 2010-02-24 Panasonic Corp PORTABLE LECTRONIC DEVICE
JP3710780B2 (ja) * 2002-11-29 2005-10-2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部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BR0215993A (pt) 2002-12-22 2005-11-01 Fractus Sa Antena monopolo multi-banda para um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móvel e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móvel
WO2005076407A2 (en) * 2004-01-30 2005-08-18 Fractus S.A. Multi-band monopole antenna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6856792B2 (en) * 2002-12-30 2005-02-15 Motorola,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563904U (en) * 2003-01-29 2003-11-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lock device
TW566774U (en) * 2003-04-15 2003-12-11 Benq Corp Mobil phone and device for engaging battery thereof
US7504176B2 (en) * 2003-07-11 2009-03-17 Arris International, Inc. Capturing mechanism with a flexible tongue having guidetabs comprising hooks
JP4187607B2 (ja) * 2003-08-14 2008-11-2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式無線通信装置
US20050084747A1 (en) * 2003-10-17 2005-04-21 Allen Aaron R. Latch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0834626B1 (ko) * 2004-05-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DE202004010858U1 (de) * 2004-07-06 2004-11-04 Francotyp-Postalia Ag & Co. Kg Anordnung einer Kommunikationseinheit in einem Gerät
US20060023411A1 (en) * 2004-07-27 200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CN2763984Y (zh) * 2004-12-11 2006-03-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携带式电子装置电池盖结构
JP4624132B2 (ja) * 2005-02-24 2011-02-0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8503970B1 (en) 2005-09-01 2013-08-06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interchangeable speaker modules
US20070099593A1 (en) * 2005-11-02 2007-05-03 Timothy Thome Method for managing interchangeable accessory modules connec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99592A1 (en) * 2005-11-02 2007-05-03 Timothy Thom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interchangeable accessory modules
US8417185B2 (en) 2005-12-16 2013-04-09 Vocollect,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for robust voice data communication
JP4876583B2 (ja) * 2006-01-04 2012-02-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7773767B2 (en) 2006-02-06 2010-08-10 Vocollect, Inc. Headset terminal with rear stability strap
US7885419B2 (en) * 2006-02-06 2011-02-08 Vocollect, Inc. Headset terminal with speech functionality
KR100827082B1 (ko) * 2007-03-16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20080298627A1 (en) * 2007-05-31 2008-12-04 Laird Technologies, Inc. Water resistant audio module
US8126519B2 (en) * 2007-08-31 2012-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US20090101766A1 (en) * 2007-10-18 2009-04-23 Garmin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a battery cover
GB0721162D0 (en) * 2007-10-29 2007-12-05 Sonitor Technologies As Patient wrist tag
US20090176481A1 (en) * 2008-01-04 2009-07-09 Palm, Inc.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LBS) Through Remote Display
USD626949S1 (en) 2008-02-20 2010-11-09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Body-worn mobile device
USD605629S1 (en) 2008-09-29 2009-12-08 Vocollect, Inc. Headset
US8386261B2 (en) 2008-11-14 2013-02-26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Training/coaching system for a voice-enabled work environment
KR101202346B1 (ko) 2009-04-16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160287B2 (en) 2009-05-22 2012-04-17 Vocollect, Inc. Headset with adjustable headband
US20130003329A1 (en) * 2009-09-01 2013-01-03 Airo Wireless, Inc. Ruggedized handset housing
US8438659B2 (en) 2009-11-05 2013-05-07 Vocollect, Inc.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headset interface
JP4875176B2 (ja) * 2010-02-19 2012-02-15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及びカプラ
JP5423493B2 (ja) * 2010-03-12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137681A (en) * 2010-04-28 2011-11-01 Giga Byte Tech Co Ltd Mouse
JP5366217B2 (ja) * 2010-06-16 2013-12-1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Mimo通信装置
US8659397B2 (en) 2010-07-22 2014-02-25 Vocollec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ly identifying specific RFID tags
USD643400S1 (en) 2010-08-19 2011-08-16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Body-worn mobile device
USD643013S1 (en) 2010-08-20 2011-08-09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Body-worn mobile device
KR101750117B1 (ko) * 2011-01-10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SK50032011A3 (sk) * 2011-02-07 2012-09-03 Hih, S. R. O. Electrochemical source applicable particularly for hand electric tool
DE102011013368B4 (de) 2011-03-08 2024-02-01 Diehl Aerospace Gmbh Passagier-Serviceeinheit, Passagier-Servicekanal sowie Verkehrsmittel
KR20130097031A (ko) * 2012-02-23 2013-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108924A (ko) * 2012-03-2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 부싱
EP2688379B1 (de) * 2012-07-19 2017-06-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Baugruppe der Automatisierungstechnik
KR101397028B1 (ko) * 2012-09-13 2014-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3869900A (zh) * 2012-12-12 2014-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模组固定装置
KR101606143B1 (ko) 2013-03-11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식 배터리 팩을 갖는 전자 장치
JP6369815B2 (ja) * 2013-12-25 2018-08-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60023109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단자와 배터리의 접점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
IT201600125359A1 (it) * 2016-12-13 2018-06-13 Datalogic IP Tech Srl Terminale portatile
US10938088B2 (en) * 2017-07-07 2021-03-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se covers aligned for slot antennas on convertible computing devices
CN108336265B (zh) * 2017-12-29 2021-01-29 惠州市蓝微新源技术有限公司 一种带固定装置的抽屉式的电池柜结构
US11831090B2 (en) 2020-06-16 2023-11-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overlapping antennas
US11811436B2 (en) * 2020-09-30 2023-11-07 Skyworks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system arranged to pass coupled pow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229A (en) * 1991-07-15 1992-08-04 Galvin Jay M Power pack device
JP2912079B2 (ja) * 1992-04-03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の嵌合構造
JPH06104814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Ltd 通信装置
JP2833397B2 (ja) * 1993-01-29 1998-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機
US5548824A (en) * 1993-08-25 1996-08-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having a battery storage unit
JP2821376B2 (ja) * 1993-12-09 1998-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DE4440093A1 (de) * 1994-11-10 1996-05-15 Philips Patentverwaltung Handtelefon, z.B. Mobiltelefon
JPH08180846A (ja) * 1994-12-26 1996-07-12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における二次電池格納部構造
CA2174831C (en) * 1995-05-16 1999-09-07 Ricky Latella Battery contin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US5857148A (en) * 1995-06-13 1999-01-0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power thereto
US5604050A (en) * 1995-06-13 1997-02-18 Motorola Inc.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of latching thereby
US5783327A (en) * 1996-11-26 1998-07-21 Ericsson Inc. Modular stackable batteries for cellular 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33330A (en) 1999-08-03
CN1147108C (zh) 2004-04-21
GB2337398B (en) 2002-08-21
DE19922071C2 (de) 2003-03-27
DE19922071A1 (de) 1999-11-18
GB9910909D0 (en) 1999-07-07
CN1236250A (zh) 1999-11-24
JP2000041091A (ja) 2000-02-08
GB2337398A (en) 1999-11-17
KR100334919B1 (ko) 2002-05-04
BR9914228A (pt) 200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919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구조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KR100312271B1 (ko) 전지 접속 장치
US6549791B1 (en)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US6459890B1 (en)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US5836790A (en) Radio telephone connector
US20030062873A1 (en) Fast combinational charger
JP3750870B2 (ja) 組み合わせ留め具・電気コネクタを有する無線電話機
JPH10145473A (ja) 電話送受器用の電気コネクタ
JPH06152463A (ja) 携帯形無線端末装置
US6654464B2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and equipment which includes it
US6104916A (en) Hinge pin
US7101230B2 (en) Combined connector
JP4468514B2 (ja) アンテナ・アセンブリ
EP1699258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KR20000068149A (ko)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US2008016083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929277B2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KR19990088270A (ko) 휴대용무선전화기용하우징조립체
MXPA99004477A (es) Arreglo de radiotelefono portatil
US645988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artition wall
JP2002343494A (ja)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電気的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75605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KR100389991B1 (ko) 휴대형 절첩식 무선 통신 기기
JP4471888B2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