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271B1 - 전지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271B1
KR100312271B1 KR1019990017235A KR19990017235A KR100312271B1 KR 100312271 B1 KR100312271 B1 KR 100312271B1 KR 1019990017235 A KR1019990017235 A KR 1019990017235A KR 19990017235 A KR19990017235 A KR 19990017235A KR 100312271 B1 KR100312271 B1 KR 10031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trusion
battery
contacts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269A (ko
Inventor
재닌크마크다니엘
하셈머브라이언존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Publication of KR1999008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지 접속 장치(116)는 두개의 단부(1708, 1709)와 이들 단부(1708, 1709) 사이에서 연장된 표면(1712)을 갖춘 하우징(1706)을 갖는다. 하우징(1706)은 상기표면(1712)이 단부(1708, 1709)들 보다 실제로 큰 면적을 갖도록 얇게 되어 있다. 전지(1702)는 하우징(1706)에 배치된다. 상기 장치(116)는 각 단부(1708, 1709)로부터 연장되는 정합 돌출부(1722, 1800)를 갖는다. 장치(116)는 또한 단부(1708, 1709)보다는 표면(1712)에 위치한 접점(1760 내지 1763)을 갖는다. 접점(1760 내지 1763)은 전지(17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장치(116)는 낮은 프로파일 전지팩만으로 되거나, 또는 형상 요소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지(1702)를 전자 장치(100)의 전자 회로(1700)에 접속하도록 전자 장치(100)에 마련된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지 접속 장치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를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라 전화기같은 무선 전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전기 화학적 전지 셀 또는 약칭으로 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받는다. 전지는 접속 장치를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장치는 전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전자 회로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지를 전자 회로에 부착하고 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역 정합 형태를 사용한다. 이러한 제거 가능성은 전자 회로의 작동을 통해 방전되는 전지의 교체를 허용하므로 중요하다. 공지의 전지 접속 장치의 예로는 1995년 7월 25일자로 캐스타네다 등에게 허여되고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5,436,088호(명칭; 전지 크래들)와 1985년 7월 30일에 리어터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32,194호(명칭; 전지 작동식 송수신기용 하우징)에 공개된 것이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제조업자들은 이러한 장치들의 소형화를 계속 해야한다. 이 장치들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전지는 얇게 만들어진다. 그 결과로, 얇은 전지에 의해 얻어진 두께의 감소를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얇은 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전지 접속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도1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닫힌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장치를 열린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장치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커버, 전지팩, 후방 하우징부, 송수신기 보드 및 전방 하우징부에 또는 이들의 일부에 실시된 전지 접속 장치를 도시한 후방 좌측 상부 분해 사시도.
도4은 도1의 장치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도3의 전지 접속 장치를 확대창을 사용하여 도시한 전지팩의 일부를 나타낸 후방 좌측 하부 분해 사시도.
도5는 도3의 전지팩의 하부 평면도.
도6은 도1의 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후방 하우징부의 내부 표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3의 전지 접속 장치의 스프링을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1의 장치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하부 하우징에 수납된 전지팩을 도시한 후방 좌측 상부 사시도.
도8은 도7의 단면선(8-8)에서 취한 하부 하우징에 수납된 전지팩의 제1 단면도.
도9는 도7의 단면선(9-9)에서 취한 하부 하우징에 수납된 전지팩의 제2 단면도.
전지 접속 장치는 두개의 단부와 이들 사이에서 연장된 표면을 갖춘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상기 표면이 각 단부보다 실제로 큰 면적을 갖도록 얇게 되어 있다. 전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이 장치는 각 단부로 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 장치는 또한 하우징의 단부보다는 하우징의 표면에 위치된 접점을 갖는다. 이 접점들은 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장치들은 낮은 프로파일 전지팩으로만 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 형상 인자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지와 전자 장치의 전자 회로 조합체를 접속하도록 전자 장치에 있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장치의 부가 구조물은, 전자 회로 조합체를 수납하고 전지팩 하우징을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제2 하우징과,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해 리세스 내에 있는 수납 슬롯과, 전지팩 접점과 정합하기 위해 리세스 내에서 전자 회로 조합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화 통신 장치, 특히 셀룰라 전화기로서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멀리 떨어진 하나 이상의 장치와 무선 신호를 통신하기 위해 도3의 안테나(102)와 송수신기 회로(1700)를 사용한다.
도1의 안테나(102)가 장치(100)의 하부 하우징(104)에 지지된 반면, 송수신기 회로(1700)는 연결부(110)를 따라 정합 가능한 하부 하우징(104)의 전방과 후방 하우징(106, 108)들 사이에 배치된 도3의 회로 기판(1701)에 지지된다. 무선 전화기 (100)의 상부 하우징(112)은 전자 장치(100)가 도1에 도시된 닫힌 또는 보관 위치로부터 도2에 도시된 열린 또는 사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힌지(114)를 통해 하부 하우징(104)에 회전 가능식으로 결합된다. 열린 위치에서, 사용자는 수화기 (202), 디스플레이 영역(204), 키패드(206) 및 마이크 영역(20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작동한다. 전자 장치(100)는 후방 하우징부(108)에 부착되도록 도1 및 도2에 도시된 착탈식 커버(118)를 갖춘 전지 접속 장치(116)를 통해 송수신기 회로(1700)와 결합되는 도3의 전지(1702)로부터 동력을 받는다.
도3에서는 점선으로, 도8 및 도9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전지(1702)는 전지 접속 장치(116)의 전지팩(1704) 내에 수납된다. 전지(1702)는 실제로 전지(1702)를 감싸는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에 일치하는 표준 사각형 중실 형상이다. 하우징(1706)은 전, 후방단(1708, 1709)과, 단부(1708, 1709)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들과 직교하고 모서리(1714)에서 단부(1708)와 결합하는 우측부(1710)와, 단부(1708, 1709)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들과 직교하고 모서리(1716)에서 단부 (1708)와 결합하는 좌측부(1711)와, 단부와 측부(1708 내지 1711)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와 측부에 직교하고 모서리(1718)에서 단부(178)와 결합하는 하부 표면 (1710)을 갖도록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적합한 재질로 성형된 트레이부를 갖는다. 트레이부는 전지(1702)를 수납하고 지지한다. 하우징(1706)의 상부 표면 (1713)을 한정하는 접착제 라벨(1717)은 전지(1702)를 덮으며, 부분적으로 단부, 측부 및 표면(1708 내지 1712)을 감싼다. 접착제 라벨(1717)은 밀라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다이 컷된다. 전지(1702)와 하우징(1706)은 단부과 측부(1708 내지 1711)중 어느 하나보다 상당히 큰 면적을 갖는 표면(1712, 1713)에 의해 예시된것처럼 얇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부[1708 및 단부(1709)]의 높이(1702)는 대략 7 mm이고, 단부[1708 및 단부(1709)]의 길이[1721; 즉, 하우징 (1706)의 폭]는 대략 35 mm이고, 그리고 단부(1708, 1709)들 사이의 길이[1719; 즉, 표면 (1712)의 길이와 하우징(1706)의 길이]는 대략 50 mm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 같이 정합 돌출부(1722, 1723, 1800, 1801)를 갖는 전지팩(1704)은 하우징(1706)상에 지지된다. 돌출부(1722, 1723)는 표면(1712)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모서리(1718)에서 단부(1708)에 위치된다. 돌출부 (1722)는 단부(1708)의 우측 반부[즉, 단부(1708)와 모서리(1716)의 중간부]이고, 모서리(1714)로부터 1 mm 정도에 위치한다. 돌출부(1722, 1723)는 실제로 평평하고 단부(1708)에 대해 평행한 사각형 표면을 지닌 말단부(1726, 1727)를 각각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말단부(1726, 1727)는 폭이 약 3 mm, 높이는 약 2 mm이고, 단부(1708)로 부터 약 1.85 mm에 있다.
돌출부(1800, 1801)는 단부(1709)의 좌, 우측 반부에, 각 측면부(1710, 1711)로부터 4 mm 정도로 위치한다. 돌출부(1800, 1801)는 하우징(1706)의 표면(1712, 1713)에 평행한 각각의 상부 표면(1802, 1803)과, 각 하우징(1706)의 단부(1709)에 대해 경사진 각각의 하부 표면(1804, 1805)을 갖는다. 돌출부(1800)의 말단부(1806)는 상부 및 하부 표면(1802, 1804)의 수렴부로부터 형성되고, 돌출부(1801)의 말단부(1807)는 상부와 하부 표면(1803, 1805)의 수렴부로부터 형성된다. 말단부(1806, 1807)는 돌출부(1722, 1723)의 말단부(1726, 1727)보다 면적이 작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표면(1804, 1805)은 하우징(1706)의 말단부(1709)에 대해 30도와 70도 사이의 어느 각(1808)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35도인 각도(1808)를 형성하고, 말단부(1806, 1807)는 폭이 약 2 mm이고, 단부(1709)로부터 1.2 mm 이격되어 있다.
이 기술 분야 숙련자들은 전지팩(1704)에 종래의 기술의 전지 접속 장치의 정합 리세스가 아닌 정합 돌출부(1722, 1723, 1800, 1801)를 장착함으로써, 단부(1708, 1709)에 리세스를 위한 추가적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하우징(1706)의 길이[즉, 길이 (1719)]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하우징(1706)을 전지(1702)의 표준 사각형 중실 형상에 보다 잘 맞게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지팩(1704)은 하우징(1706)의 우, 좌측부(1710, 1711)에 각각 장착된 연장된 핀(1900, 1728)을 갖는다. 특히, 핀(1900)은 측부(1710)의 전방 반부[즉, 측부(1710)와 모서리(1716)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핀(1728)은 측부(1711)의 전방의 반부[즉, 측부(1710)와 모서리(1714)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전지팩(1704)은 하우징(1706)의 표면(1712)에 지지된 접점(1730, 1731, 1732, 1733)을 갖는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표면(1712)의 전방 반부[즉, 표면(1712)과 단부(1708)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각 접점(1730 내지 1733)의 일부가 모서리(1718)에 중첩하게 한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이들의 정확한 접속을 보장하는 치수를 갖도록 하우징(1706)의 가장 큰 표면(1712)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점(1730 내지 1733)은 단부(1708)의 높이(1720)보다 큰 약 8 mm의 길이(1901)와, 약 2.5 mm의 폭을 갖고, 접점들(1730 내지 1733)중 인접한 것으로 부터 약 1 mm 정도 이격된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도금된 베릴륨 구리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 재료로 성형되고, 바람직하게는 표면(17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706)안에 사출 성형된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전지(1702)와 점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을 통해 하우징(1706)에 배치된 전지 회로 조합체(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지 접속 장치(116)는 치수적인 제한된 용이한 휴대용 전지팩[이 전지팩은(1704)]으로 실현된다. 전지팩(1704)의 돌출부(1722, 1723, 1800, 1801)는 적절하게 위치되고, 보기 좋은 정합 정렬을 이루기에 충분한 수이다. 접점(1730 내지 1733)은 쉽고 정확한 접속을 위한 위치, 치수 및 간격면에서 충분하다. 전지팩(1704)의 이점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전지 접속 장치(116)는 전지팩(1704)을 수납하고 전지(1702)와 송수신기 회로(1700)의 전자 회로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자 장치(100)의 부분을 포함하기 위해 더욱 연장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 연결 장치(116)는 송수신기 회로(1700)의 전자 회로 조립체를 자체에 갖고 하부 하우징 (104)을 포함하고, 리세스(1740) 내의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04)뿐만 아니라, 리세스(1740)도 전, 후방 단부벽(1742, 1743)과, 단부벽(1742, 1743)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벽에 직교하며 모서리 (1810)에서 단부벽(1742)에 결합되는 우측벽(1744)과, 단부벽(1742, 1743)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벽에 직교하며 모서리(1811)에서 단부벽(1742)에 결합되는 좌측벽 (1745)과, 단부벽과 측벽(1742 내지 1745)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벽과 측벽에 직교하며 모서리(1812)에서 단부벽(1742)에 결합되는 기부(1746)를 갖도록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성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부벽(1742, 1743)은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길이(1719) 보다 조금 긴 약 51.25 mm의 거리(1747)로 이격 되고, 측벽(1744, 1745)은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폭(1721)보다 약간 긴 약 36.5 mm에서 39 mm사이의 좀더 다양한 거리(1748)로 이격되고, 단부벽(1742)은 기부(1746)와 단부벽(1742)의 상부 모서리(1749) 사이에서 측정된 높이로서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단부(1708)의 높이(1720)와 거의 같은 약 7 mm의 높이(1814)를 갖고, 단부벽(1743)은 기부(1746)와 단부벽(1743)의 상부 모서리(1751)사이에서 측정된 것으로 전지팩(1704)의 하우징(1706)의 단부(1708)의 높이(1720)보다 작은 약 5 mm의 높이(1750)를 갖는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 접속 장치(116)의 사각형 수납 슬롯(1752, 1753, 1816, 1817)은 하부 하우징(104)의 리세스(1740)에 성형된다. 수납 슬롯(1752, 1753)은 단부벽(1743)의 우, 좌측의 반부에서 측벽(1744, 1745)과 약 2 mm 정도 떨어져 각각 위치한다. 수납 슬롯(1752, 1753)은 각각 내부의 평평한 천정 표면(1754, 1755)에 의해 단부벽(1743)의 상부 모서리(1751)에 인접하게 경계를 이룬다. 수납 슬롯(1816, 1817)은 기부(1746)와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되도록 모서리(1812)에서 단부벽(1742)에 위치한다. 수납 슬롯(1816)은 단부벽(1742)의 우측 반부[즉, 단부벽(1742)과 모서리(1810)의 중간]에 모서리(1812)로 부터 약 3.5 mm 이격되게 위치한다. 수납 슬롯(1817)은 단부벽(1742)의 좌측 반부[즉, 단부벽(1742)과 모서리(1811)의 중간]에 모서리(1811)로 부터 약 3.5 mm 이격되게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납 슬롯(1816, 1817)은 수납 슬롯(1816, 1817)의기부(1746)부터 상부 모서리(1818, 1819)까지 측정된 폭 3 mm 및 높이 2 mm 보다 약간 크다.
수납 슬롯(1816, 1817)은 각 전지 연결 장치(116)의 스프링(1820, 1821)을 지지한다. 스프링(1820, 1821)은 각 수납 슬롯(1816, 1817)에 위치하고 이들의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다. 도6에서 도시된 바 같이, 후방 하우징부(108)로부터 분리된 스프링(1820, 1821)은 전, 후방 아암(2000, 2001, 2002, 2003)과 일체적으로 결합하도록 성형된 V형 스프링 핑거이다. 각각의 후방 아암(2002, 2003)의 대향단에 서 각각의 전방 아암(2000, 2001)은 각각 로킹 톱니를 갖는 장착 표면을 갖는다. 각각의 전방 아암(2000, 2001)의 대향단에서 각각의 후방 아암(2002, 2003)은 각각 힘을 수용하는 노우즈-형상 표면을 사용한다. 도6의 나머지 부분에서 도시된 바 같이, 스프링(1820, 1821)은 각 아암(2002, 2003)을 아암(2000, 2001)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편향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1820, 1821)은 베릴륨 구리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된 얇은 판으로부터 스탬핑 가공되고, 각각의 아암(2002, 2003)이 약 0.15 N/mm 또는 다른 적당한 값의 스프링 력을 갖도록 전술된 형상으로 절곡된다.
스프링(1820, 1821)은 각각의 수납 슬롯(1816, 1817) 뒤의 후방 하우징부 (108)의 내부 표면(2008)에 성형된 리셉터클(2006, 2007)에 각각 조립된다. 스프링(1820, 1821)의 조립체는 각각 점선(2009, 20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립중, 아암(2000, 2001)의 장착 표면은 리셉터클(2006, 2007)에 각각 고정되고, 아암의 노우즈(2002, 2003)는 각 수납 슬롯(1816, 1817)에 있게 된다. 일단 조립되면, 각각의 아암(1816, 1817)의 노우즈는 충분한 힘을 받을때 단부벽(1742)에 실질적으로수직한 평면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 접속 장치(116)는 리세스(1740)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커버(118)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래치(1757)를 더 포함한다. 래치(1757)는 후방 하우징부(108)에 이동 가능식으로 지지되고 단부벽(1742)의 일부를 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1757)는 각 수납 슬롯(1816, 1817)으로부터 약 6 mm 정도 떨어져 단부벽(1742)의 중간에 위치하고 그 위치에서 단부벽 (1742)의 높이(1814)의 약 70 % 정도를 차지한다. 단부벽(1742)에 전기 접점같은 추가적인 구조물용 공간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을지라도, 래치(1757)는 후방 하우징부(108)라고 명시된 얇은 형상 요소와 일치되게 성형된 커버(118)의 견고한 결합을 허용한다.
전지 접속 장치(116)는 회로 기판(1701)에 장착되어 송수신기 회로의 전자 회로 조합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1760, 1761, 1762, 1763)을 더 포함한다. 접점(1760 내지 1763)은 리세스(1740)의 기부(1746)에 형성된 스롯식 개구(1764, 1765, 1766, 1767)를 통해 각각 연장되도록 후방 하우징부(106, 108)사이의 회로 기판(1701)의 조립후 후방 하우징부(108)의 리세스(1740)에 지지된다. 각 접점(1760 내지 1763)은 기부(174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편향 가능한 힘을 수용하는 노우즈 형상의 표면을 갖는 스프링 핑거를 사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접점(1760 내지 1763)은 베릴륨 구리 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각각의 노우즈 형상 표면이 약 0.2 N/mm 또는 다른 적절한 값의 스프링력을 나타내도록 전술된 형상으로 만곡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장치(100)에 위치하는 전지 접속 장치(116)의 부분들을 이용하기 위해 전지팩(1704)은 하부 하우징(104)에 조립된다. 전지팩 (1704)은 도3 및 도4의 리세스(1740)의 기부(1746)에 대해 약 15도 정도의 작은 각을 지향하고, 단부(1780)의 상부 모서리(1708)가 도7에 화살표(2100)로 도시된 것처럼 단부벽(1742)의 상부 모서리(1749)에 접하도록 리세스(1740)에 위치하며 여기서 파선은 전지팩(1704)의 2102를 도시한다. 도3 및 도4에서 단부(1708)와 단부벽(1742)의 연결부 상의 돌출부(1722, 1723)는 돌출부(1722, 1723)의 말단부 (1726, 1727)가 각 스프링(1820, 1821)에 결합되어 이를 누르도록 각 수납 슬롯 (1816, 1817)에 수납된다. 그런 다음, 도7의 화살표(2104)로 도시된 것 처럼, 전지팩(1704)의 단부(1709)가 리세스(1740)로 이동되고, 단부벽(1743)의 상부 모서리(1751)를 지나쳐 각 돌출부(1800, 1801)의 도3 및 도4에서 경사각 표면(1804, 1805)을 활주한다. 단부(1709)는 돌출부(1800, 1801)가 수납 슬롯(1752, 1753)에 각각 정렬될 때까지 이동된다. 전지팩(1704)의 단부(1709)의 이러한 이동중에, 전지팩(1704)의 접점(1730 내지 1733)은 리세스(1740)에 지지된 각 접점(1760 내지 1763)에 결합되고 가압된다. 조립을 완성하기 위해, 돌출부(1800, 1801)가 수납 슬롯(1752, 1753)에 각각 수납될 때까지 전지팩(1704)은 스프링(1820, 1821)이 도7의 화살표(2106) 방향으로 전지팩(1704)을 연장시켜 가압할 수 있게 해제된다.
일단 조립되면, 전지팩(1704)은 하부 하우징(104)에 견고하게 수납되고 전지(1702)는 송수신기 회로(1700)의 전자 회로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8에 도시된 바 같이, 전지팩(1704)의 단부(1708)는 리세스(1740)의 단부벽(1742)에 인접하지 않고 나란히 놓이며, 전지팩(1704)의 단부(1709)는 리세스(1740)의 단부벽(1743)에 인접하며, 전지팩(1704)의 표면(1712)은 리세스(1740)의 기부 (1746)와 나란히 놓인다. 돌출부(1801)는 수납 슬롯(1753)에 수납되고, 돌출부 (1723)는 수납 슬롯(1817)에 수납된다. 단부(1709)가 단부벽(1743)에 인접하고 돌출부(1801)가 수납 슬롯(1753)에 수납된 상태로 있는 것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 스프링(1821)은 화살표(2200)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하중을 받고 있다. 하우징(1706)과 돌출부(1723)의 결합된 길이(즉, 도3의 1719의 길이)는 리세스(1740)의 길이(1747) 보다 약간 커서 돌출부(1723)는 수납 슬롯(1817) 내에 수납된 상태로 있게 해준다. 도8 및 도9에서 도시된 것처럼, 접점(1760 내지 1763)은 각각 화살표(2300)의 방향으로 접점(1730 내지 1733)에 힘을 가하는데, 이는 접점(1730 내지 1733)과 접점(1760 내지 1763)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보장하고, 돌출부(1801)의 비스듬한 표면(1803)을 수납 슬롯(1753)의 표면(1755)에 대해 편향시키고 돌출부(1723)를 수납 슬롯(1817)의 상부 모서리(1819)에 대해 편향시킴으로서 전지팩(1704)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전지팩(1704)을 통해 후방 하우징부(108)의 접점(1760 내지 1763)에 의해 가해진 힘의 결과로 발생되는 전방과 후방 하우징부(106, 108)의 접합점(110)에서의 분리와 이격을 피하기 위해, 전지 연결 장치(116)는 접점(1760 내지 1763)과 일치하게 위치하는 하우징 스냅(2302, 2303)을 더 포함한다. 전방과 후방 하우징부(106, 108)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하우징 스냅(2302, 2303)은 각 측벽(1744, 1745)에 인접한 리세스(1740)의 전방 하우징부(106)와 기부(1746)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특히, 도3, 도4 및 도9에 도시된 바 같이 각 스냅(2302, 2303)은 상호체결 루프와 톱니형 슬롯으로 성형된다. 도9에 도시된 바 같이, 접점(1760 내지 1763)이 그들 사이에 정렬 되도록 스냅(2302, 2303)이 위치함으로서, 접점(1760 내지 1763)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견디는 전방과 후방 하우징부(106, 108)의 신뢰성 있고 견고한 부착이 실현된다.
전지팩(1704)은 도7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에 대해 전술된 단계들을 사실상 역으로 하여 하부 하우징(104)으로 부터 분해된다. 먼저, 전지팩(1704)은 돌출부 (1800, 1801)가 각각의 수납 슬롯(1752, 1753)에서 제거될 때 까지 화살표(2106)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고, 각각의 수납 슬롯(1816, 1817) 내의 스프링(1820, 1821)은 돌출부(1722, 1723)로부터 각각 가압되고, 단부(1708)는 단부벽(1742)에 인접한다. 다음으로, 전지팩(1704)의 단부(1709)는 돌출부(1800, 1801)가 단부벽 (1743)을 제거할 때까지 화살표(214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일단 제거되면, 전지팩(1704)은 리세스(1740)와 하부 하우징(104)으로부터 올려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의 분리 가능 결합 외에도, 전지팩(1704) 형태의 전지 접속 장치(116)는 탁상용 충전 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와의 접속도 가능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팩(1704)의 핀(1728, 1900)은 충전 장치 내에 성형된 대향 수직 가이드 슬롯과의 결합에 의해 충전 장치의 웰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설정은 충전 장치의 길이와 전체 점유 면적을 감소시켜 준다.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전지 접속 장치(116)는 정합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1706)의 각 단부(1708, 1709)에 중심 설정된 돌출부를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1706)의 평평하고 고정된 접점(1730 내지 1733)은 대안으로서 스프링 접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무선 전화기등의 무선 전화 통신 장치와 관련되어 도시되었지만, 전지 접속 장치(116)는 페이저, 탁상용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보조장치, 지상 통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무전기, 휴대용 카세트 레코더 플레이어, 유니버셜 또는 백업 파워 서플라이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에 해당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에 포함하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전지에 의해 얻어진 두께의 감소를 해치지 않으면서 얇은 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전지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있다.

Claims (10)

  1. 전지 접속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치된 전지(1702)를 갖고, 제1 단부(1708)와 제2 단부(1709) 및 이들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면적보다 큰 표면(1712)을 갖는 제1 하우징(1706)과,
    제1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표면에 위치하고 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제1 접점(1760 내지 1763)과,
    다수의 제1 접점과 별개로 하우징에 지지되고, 고정된 이동 불능식 정합 부재만 사용하여 제1 하우징을 제2 하우징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정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합 장치의 고정된 이동 불능식 정합 부재가 제1 하우징에 지지된 제1 및 제2 돌출부(1722, 1800)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가 제1 단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가 제2 단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제1 모서리(1718)에서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제1 돌출부가 제1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과 같은 평면으로 연장되고,
    정합 장치가 제1 하우징에 지지되고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과 같은 평면으로 연장되는 제3 돌출부(17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이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부(1710, 17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가 제2 모서리(1714)에서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제2 측부가 제3 모서리(1716)에서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제1 돌출부가 제2 모서리와 제1 단부의 중간부 사이에 위치하고,
    제3 돌출부가 제3 모서리와 제1 단부의 중간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의 말단부가 제1 단부에 평행한 평평한 사각형 표면(17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가 제1 하우징의 표면과 평행한 제1 표면(1802)과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에 대해 30도와 70도 사이의 각에서 위치 설정된 제2 표면(1804)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배치된 전자 회로 조합체(1700)를 갖고, 제1 하우징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제1 단부벽(1742)과 제2 단부벽(1743)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된 기부(1746)에 의해 한정되는 리세스(1740)를 갖는 제2 하우징(104)과,
    제2 하우징에 형성되고 제1 단부벽에 위치되는 제1 수납 슬롯(1816) 및 제2 하우징에 형성되고 제2 단부벽에 위치되는 제2 수납 슬롯(1752)과,
    리세스에 지지되고 기부에 위치하고 전자 회로 조합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수의 제2 접점(1760 내지 176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수납시에 제1 돌출부가 제1 수납 슬롯에 수납되고, 제2 돌출부가 제2 수납 슬롯에 수납되고, 표면이 기부에 나란해져서, 다수의 제1 및 제 2의 접점들이 정합되고 전지가 전자 회로 조합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1 접점이 표면에 평행한 위치에서 고정되고,
    다수의 제2 접점이 기부에 수직인 제1 평면에서 편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이 제1 및 제2 하우징부(106, 108)를 포함하고, 이들 제1 및 제2 하우징부가 주변에 형성된 다수의 스냅(2302, 2303)에 의해 접합점에서 결합되고, 다수의 제2 접점이 대향하는 다수의 스냅들 사이에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제1 수납 슬롯에 지지된 제1 스프링(18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이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 아암(2000, 2002)으로 형성된 V형 스프링 핑거이고, 제1 아암이 제2 하우징에 고정된 일단과 제2 아암에 결합된 타단을 갖고, 제2 아암이 제1 아암에 결합된 일단과 제1 수납 슬롯에 위치된 타단을 갖고 제2 아암의 타단이 제1 단부벽에 수직한 제2 평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접속 장치.
KR1019990017235A 1998-05-14 1999-05-13 전지 접속 장치 KR100312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8,458 US6157545A (en) 1998-05-14 1998-05-14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with end projections
US09/078,458 1998-05-14
US9/078,458 199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269A KR19990088269A (ko) 1999-12-27
KR100312271B1 true KR100312271B1 (ko) 2001-11-03

Family

ID=2214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235A KR100312271B1 (ko) 1998-05-14 1999-05-13 전지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57545A (ko)
KR (1) KR100312271B1 (ko)
CN (1) CN1134077C (ko)
BR (1) BR9901525A (ko)
DE (1) DE19921356B4 (ko)
GB (1) GB2339978B (ko)
TW (1) TW4173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9514B1 (en) 1997-07-30 2006-12-1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Cellular docking station
US20080207197A1 (en)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facing devices with communications networks
US6496685B2 (en) * 1998-06-15 2002-12-17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phone with imbedded battery
JP3258972B2 (ja) * 1999-03-18 2002-02-18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通信機
EP1169840A1 (de) * 1999-04-21 2002-01-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häuse
US6326543B1 (en) * 1999-10-07 2001-12-04 Motorola, Inc. Self-sealing accessible container
JP3952434B2 (ja) * 2000-03-29 2007-08-01 ローム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94291B2 (en) * 2001-06-26 2007-03-20 Gregory Kim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US6594479B2 (en) * 2000-12-28 2003-07-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Low cost MMW transceiver packaging
FR2824696A1 (fr) * 2001-05-10 2002-1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oitier de protection d'un appareil electronique, procede et outillage de fabrication d'un tel boitier
JP3925120B2 (ja) * 2001-07-24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本体側機器に対する装着部品の誤装着防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着部品
US7223494B2 (en) 2001-07-24 2007-05-29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mounting of mounting part on main body device, mounting part and battery pack used for this
KR100932819B1 (ko) 2001-07-25 2009-12-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단자 구조 및 장착 부품
US7120454B1 (en) 2001-12-26 2006-10-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es
US7095862B2 (en) * 2002-01-31 2006-08-22 Church Of Spirtual Technology Headphone amplifier
US8416804B2 (en) 2002-07-15 2013-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554187B2 (en) 2002-07-15 2013-10-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s and devices
US8275371B2 (en) 2002-07-15 2012-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connection-oriented services to devices
US8000682B2 (en) 2002-07-15 2011-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data
US8526466B2 (en) 2002-07-1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7200424B2 (en) 2002-07-15 2007-04-03 Bellsouth Inte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the use and movement of telephony devices
US8543098B2 (en) 2002-07-15 2013-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AU2002329533A1 (en) * 2002-08-28 2004-03-19 Nokia Corporation Battery holder
TW563904U (en) * 2003-01-29 2003-11-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lock device
TW570483U (en) * 2003-05-07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581377U (en) * 2003-05-09 200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581378U (en) * 2003-05-16 200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connected with a housing for a communication unit
TW568362U (en) * 2003-05-20 200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I227989B (en) * 2003-10-31 2005-02-11 Benq Corp Mobile phone having a side button which can fix a battery and adjust volume
JP4123517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KR100645263B1 (ko) * 2004-02-18 2006-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부가 구비된 일체형 캠 어셈블리 및 그것이구비되어 있는 이차전지
CN1941455A (zh) * 2005-09-30 2007-04-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及应用该电池的便携式电子装置
US7408784B2 (en) * 2005-11-04 2008-08-05 Dedicated Devices, Inc. Computer chassis assembly
US11196121B2 (en) 2006-08-28 2021-12-07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system
JP4245017B2 (ja)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CN101241974B (zh) * 2007-02-09 2010-09-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及应用该电池的具可换式机壳的便携式电子装置
US8033026B2 (en) 2007-09-21 2011-10-11 Black & Decker Inc. Adjustable and removable keel assembly and blade guide for a jigsaw
US10029322B2 (en) 2007-09-21 2018-07-24 Black & Decker Inc. Housing of a cutting tool including blade storage, integral blade guard and motor ventilation pathway
US9827623B2 (en) 2007-09-21 2017-11-28 Black & Decker Inc. Control of reciprocation speed and orbital magnitude of a jigsaw with a plurality of material and/or task descriptive icons
US9981327B2 (en) 2007-09-21 2018-05-29 Black & Decker Inc. Cutting angle indicator in jigsaw housing with dust extraction
CN101615663B (zh) * 2008-06-27 2011-1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CN101677494B (zh) * 2008-09-16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2012226826A (ja) * 2009-09-02 2012-11-15 Panasonic Corp 二次電池及び携帯電子機器
CN102148340A (zh) * 2010-02-04 2011-08-1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US8578615B2 (en) 2011-09-12 2013-11-12 Black & Decker Inc. Jigsaw with deployable keel and tiltable shoe
US9559628B2 (en) 2013-10-25 2017-01-31 Black & Decker Inc. Handheld power tool with compact AC switch
EP4178184A1 (en) * 2021-11-09 2023-05-10 Hand Held Products, Inc. Battery fault detection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664A (en) * 1971-12-21 1973-04-17 Repco Inc Battery latching mechanism
US3969796A (en) * 1975-09-17 1976-07-20 General Electric Company Releasable fastening arrangement for a radio housing and a battery housing
US4213078A (en) * 1976-07-26 1980-07-15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holder and connector for a radio receiver or the like
US4469765A (en) * 1983-03-04 1984-09-04 Motorola, Inc. Shock absorbing battery housing
US4532194A (en) * 1983-09-07 1985-07-30 James P. Liautaud Housing for a battery operated transceiver
US4653115A (en) * 1985-03-27 1987-03-24 Holcomb Jack N Transmitter battery case
US4871629A (en) * 1988-02-04 1989-10-03 Black & Decker Inc. Latching arrangement for battery packs
GB8820230D0 (en) * 1988-08-25 1988-09-28 Steeper Hugh Ltd Battery & battery receptacle arrangement
US4904549A (en) * 1988-11-04 1990-02-27 Motorola, Inc. Battery housing with integral latch and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US4969206A (en) * 1989-07-18 1990-11-06 Phyle Industries Limited Portable data collection device with RF transmission
US5251329A (en) * 1990-03-07 1993-10-05 Sony Corporation Radio telephone apparatus with microphone mounted in battery case
US5436088A (en) * 1994-05-02 1995-07-25 Motorola, Inc. Battery cradle
DE4192975T (ko) * 1990-11-30 1992-12-10
WO1992022146A1 (en) * 1991-06-03 1992-12-10 Motorola, Inc. Portable radio battery latch
US5225760A (en) * 1991-11-18 1993-07-06 Leiserson Steven G Rechargeable power pack
US5260636A (en) * 1991-11-18 1993-11-09 Steven G. Leiserson Plug-in rechargeable battery unit
GB2270793B (en) * 1992-09-21 1996-05-01 Nokia Mobile Phones Uk Battery pack
GB2273226B (en) * 1992-12-01 1997-03-26 Nokia Mobile Phones Uk A battery pack
US5378556A (en) * 1993-04-05 1995-01-03 Dual Voltage Co. Ltd. Battery pack
US5317247A (en) * 1993-04-19 1994-05-31 Motorola, Inc. Integrated battery contact and retentive protrusion
US5620242A (en) * 1993-04-19 1997-04-15 Motorola, Inc. Portable radio battery latch
JP3048784B2 (ja) * 1993-05-14 2000-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器及び電子機器
US5308716A (en) * 1993-09-20 1994-05-03 Motorola, Inc. Battery pack retention apparatus
US5635814A (en) * 1995-02-16 1997-06-03 International Components Corporation Modular battery system having a pluggable charging module
US5697070A (en) * 1995-06-05 1997-12-09 Lucent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for portable transceiver
US5857148A (en) * 1995-06-13 1999-01-0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power thereto
US5604050A (en) * 1995-06-13 1997-02-18 Motorola Inc.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of latching thereby
US5607792A (en) * 1996-02-05 1997-03-04 Motorola, Inc. Battery latch
US5607791A (en) * 1996-07-08 1997-03-04 Motorola, Inc Battery interface structure for an electr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57545A (en) 2000-12-05
GB2339978B (en) 2002-04-17
CN1134077C (zh) 2004-01-07
CN1236193A (zh) 1999-11-24
GB2339978A (en) 2000-02-09
KR19990088269A (ko) 1999-12-27
DE19921356A1 (de) 1999-11-18
BR9901525A (pt) 2000-01-18
DE19921356B4 (de) 2005-01-13
GB9910912D0 (en) 1999-07-07
TW417325B (en) 200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271B1 (ko) 전지 접속 장치
US5766794A (en)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of latching thereby
CA2178187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power thereto
US5151643A (en) Integral hang-up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US5664973A (en) Conductive contact
JP2842308B2 (ja) 電子機器のバッテリケース実装構造
KR100682570B1 (ko)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US5909102A (en)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employing fixed latching members
KR19990088315A (ko) 휴대용무선전화기구조
US2002018780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inim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value of electromagnetic waves
US6071640A (en) Battery mounting assembly for a radio
US6175505B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connecting a memory card
US6266544B1 (en) Adapter for portable telephone usable as mobile telephone in vehicle
US20020106932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KR19990082478A (ko)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US6957976B2 (en) I/O connector with lock-release mechanism
US6203363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removable battery terminal
JPH09306576A (ja) バッテリィ用端子
JP3122429B2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US6807067B2 (en) Battery-Locking mechanism
US7747009B2 (en)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CN213152110U (zh) 终端设备
US821831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ver
US645988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artition wall
MXPA99004479A (en) Bater conn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