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478A -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 Google Patents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478A
KR19990082478A KR1019980706211A KR19980706211A KR19990082478A KR 19990082478 A KR19990082478 A KR 19990082478A KR 1019980706211 A KR1019980706211 A KR 1019980706211A KR 19980706211 A KR19980706211 A KR 19980706211A KR 19990082478 A KR19990082478 A KR 1999008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unit
cover plate
operated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디븐 잔 윌리엄 래배르히
Original Assignee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Publication of KR1999008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배터리 유닛은 무선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같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를 위해 고안된 것이고, 내부에 하나 또는 여러개의 전기-화학적 셀과, 전기적 접속 접점을 포함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은 대략 밀폐형 직사각형 블록 형태를 구비한다. 만족할만하고 안정적인 안내(guiding)를 위해서는 배터리 유닛의 홈(groove) 및/또는 융기부(ridge)가 최소한 덮개판의 측면에 인접해야 한다. 최소한 덮개판에 인접하게 하는 이유는, 배터리 유닛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의 융기부 및/또는 홈과 일치하게 짝을 이루게 하려 함이다. 덮개판에는 배터리 유닛이 부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 비대칭 위치부가 구비되고, 외부 비대칭 위치부와 모양과 위치가 일치하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위치부가 배터리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간의 상호 작용를 위해 구비된다. 접속 접점은 덮개판의 하부표면에 인접하게 존재한다.

Description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본체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전기 장치, 구체적으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사용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지난 수년간 휴대폰의 사용은 증가 하고 있는데, 그 결과 재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상기 무선 전화기나 노트북 컴퓨터 같은 중량이 가벼운 휴대 장치에서, 배터리의 질량이 장치의 전체 질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본체와는 독립되어 장치에 가능한 한 긴 사용 시간을 공급하는 것과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를 가능한 한 가볍게 만드는 것이다. 긴 사용 시간은 큰 배터리 질량을 수반하고, 다시 말해 이는 더 무거운 장치가 되기 때문에 이 두 목적은 상호 대립된다. 따라서 높은 전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매우 작은 질량의 배터리의 실현에 대한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많은 연구가 행해진다. 예컨데, 하나 또는 여러개의 전기-화학적 셀이 제공된 편평한 배터리의 개발 분야에서 연구는 계속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같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화학적 셀이 존재하고, 전기적 접속 접점을 포함하는 덮개판이 제공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판은 직사각형 상부 표면과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한 직사각형 하부 표면, 장측 표면과 단측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터리 유닛이 제공되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와 더 관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하우징 및 배터리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화기의 하우징의 몇몇 부분의 상세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화기의 하우징의 또 다른 상세 횡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부분적으로 해석된 배터리 유닛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터리 부분이 어떻게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부분과 작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전화기의 부분과 작용하는 도 1의 배터리 유닛의 변형 부분의 평면도
도 7은 전화기 회로의 블록도.
본 발명은 0발명의 목적에 따라 전제부에서 언급한 종류의 배터리 유닛을 제공해야 하고,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질량을 더 줄이는데 기여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housing)의 홈(groove) 및/또는 융기부(ridge)과 짝을 이루어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배터리 유닛을 안내(guiding)하기 위한 덮개판의 장측표면과 최소한 인접하게 위치한 융기부 및 홈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융기부 및/또는 홈은 가이딩, 다시말해 배터리 유닛의 활주를 위해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housing)의 홈(grove) 및/또는 융기부(ridge)와 짝을 이루어서 배터리 유닛 내에 존재하므로, 배터리는 작은 두께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에 의해서 만족스럽게 지지 될 수 있고,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외부벽의 요소가 될 수 있다. 배터리 유닛의 상부표면은 동시에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의 요소로 동작 할 수 있어서, 그것으로부터 전체 질량을 감소시키는데 한 몫 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홈 및/또는 융기부는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유닛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유닛이 부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 비대칭 위치부를 제공하고 그것과 모양과 위치가 일치하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위치부를 배터리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간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제공된다. 장치상에서 배터리의 배치가 잘못되면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는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게다가 배터리 유닛은 바람직 하지 못한 부하(unfavorable loads)에 노출되게 되는데,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짝지어진 부분과 협조하는 외부 비대칭 위치부가 배터리 유닛의 덮개판에 적절하게 제공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부하는 예상되는 작은 질량의 배터리 유닛, 결과적으로 그것으로부터 가급적 비교적 얇고 깨지기 쉬운 배터리 의 견지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배터리 유닛의 접속 접점은 덮개판의 하부표면에 인접하게 존재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내부로 향하게 면해진다. 배터리 유닛과의 전기적 접촉은 배터리 유닛이 제 위치에 끼워 넣어지면 자동적으로 수행되어지는데, 이것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서 적절한 전원이 공급되어짐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의 흥미로운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유닛이 기껏해야 2 - 3 밀리미터(㎜)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배터리 유닛이 덮개판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는 예컨데 옷의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기 용이해야 하는 특히, 무선전화나 또 다른 통신 장치같이 매우 가벼운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 적합하다. 매우 얇고 유연한 디자인의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디자인에서 큰 자유를 허락한다. 왜냐면 유연한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의 구부러진 벽으로 이음매 없이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덮개판의 질량을 추가하는 형태의 규격 개조는 결과적으로 구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흥미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더욱이 접속 접점은 외부로부터 접속 접점에 엑세스(accessable)하기 쉬운 개방위치와 접속 접점이 덮혀진 페쇄위치 사이에서 분리가능한 이동 가능 커버 부재로서 덮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배터리 유닛의 접속 접점은 적절하게 덮혀져 있으므로 예컨데, 여분 배터리로 사용되는 분리된 배터리 유닛은 옷의 호주머니나 지갑, 가방 등으로 쉽게 운반될 수 있다.
추가로 선행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폐쇄 위치부를 향해 스프링 압력을 가하는 이동 가능한 커버 부재와, 커버 부재가 배터리 유닛의 상부와, 하부 표면과 평행한 판에서 이동 가능한 것과, 커버 부재가 경사 수단을 제공하는 것 및, 커버 부재가 경사 수단에서의 힘을 통해 페쇄 위치부에서 개방 위치부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터리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 부재는 장치 요소와 커버 부재 사이에서 서로 작용을 함으로써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상의 바른 위치로 배터리 유닛을 배치한 후에 자동적으로 개방 될 수 있다. 이것은 앞으로 자세한 설명이 있을 것이다.
배터리 유닛이 다른 레벨의 전원 전압을 요구하는 장치에 사용될 때, 또는 상호적으로 다른 전원 전압의 장치로 사용될 때, 접속 접점의 위치부는 배터리 유닛상에 표준 규격화된 위치부의 일부분 형태로 존재한다. 예컨데 접속 접점은 비트 패턴 형태로 서로서로 배열 될 수 있으므로 3개의 위치부는 8가지의 서로 다른 경우로 정의 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와 관련해서 아주 중요하고, 덮개판, 융기부 및/또는 홈, 위치부, 접속 접점, 커버 부재, 경사 수단등의 구조와 위치를 고려해 볼 때 이전에 정의된 표준규격에 배터리 유닛과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가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번째의 실시예는,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라 표준 규격화된 배터리 유닛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이는 각기 다른 제조업자에게서부터 제조되어 나온 배터리 유닛은 역시 각기 다른 제조업자에게서부터 제조되어 나온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가 서로 작동 가능하게 한다. 배터리 유닛 하단부에 접착해 있는 접촉지점을 인식하는 것이나, 그것을 대신하는 바 코드 같은 식별 마크를 인식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보면 캐패시턴스, 전압, 배터리 유닛의 또 다른 특징들을 인식하는 것이다. 판독 수단과 처리 수단은 상기 경우에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내에서 그 경우에 상기 마크를 해석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를 가동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지금부터 몇 가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해서 좀더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일치하는 부분은 상기 도면과 같은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 1은 무선 전화기(3) 같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를 위한 배터리 유닛(1)을 도시한다. 전화기는 도에서 도시되는 안테나(5), 하우징(7), 덮개(9)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후부를 밀폐하기 위한 힌지(hinge)(11)가 달려 있다. 배터리 유닛(1)은 예컨데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덮개판(13)이 제공되고, 그 내부는 전기-화학적 셀이 존재하는데 상기 셀은 미 도시되고, 본 발명에서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 덮개판(13)은 직사각형의 상부 표면(15)과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한 직사각형의 하부표면(55)(도 4참조), 장측면(17, 19) 및 본 도면에서는 단지 단측면(21) 만 보이는 단측면을 갖는 대략 밀폐형 직사각형 블록 모양을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융기부는 덮개판(13)의 장측면(17, 19)에 인접하게 존재한다. 도 1에서는 장측면(19)에 인접한 융기부(23)만을 볼 수 있다. 확인되는 융기부(도 4참조)는 측면(17)에 인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융기부들은 전화기(3)의 하우징(7)의 홈에서 배터리 유닛이 안내(guiding) ,다시 말하면 슬라이딩 하는 것을 제공한다. 도 1에서 홈(25)만이 하우징 내의 개구부(27) 측면에서 볼 수 있는데 상기 홈은 배터리 유닛(1)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홈은 개구부(27)의 다른 측면, 즉 홈(25)과 대향해서 존재한다.
전화기(3)의 하우징(7)에서 배터리 유닛(1)이 부적절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유닛의 덮개판(13)이 전화기(3)와 대등하게 형성되고 배치된 위치부와 함께 작용하는 외부 비대칭 위치부(29, 31)에 제공된다. 하우징(7)의 개구단부에서 사실상, 상기 전화기에 배터리 유닛(1)의 각각의 부분(29, 3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33, 35)가 양측부에 제공되어 진다. 도 1에서 보여지고 공간(33, 35)을 한정하는 하우징(7)의 부분은 위치부(29, 31)와 짝을 이루는 전화기의 하우징(7)의 위치부를 형성한다. 배터리 유닛과 전화기의, 융기부(23)와 홈(25) 각각은 또한 비대칭으로 위치한다. 융기부(23)는 배터리 유닛의 덮개판(13)의 하부표면에 배터리 유닛의 상부표면(15)보다 더 가깝게 놓여있다. 융기부(23)의 상기 비대칭적 배치와 두 개의 위치부(29, 31)의 존재함 덕분에, 그것이 다른 모양을 갖든 갖지 않던 간에, 배터리 유닛이 하우징(7)상에서 위아래가 바뀌어 배치되는 것과 앞뒤가 바뀌게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전화기의 하우징(7)에서의 덮개(9)는 배터리 유닛(1)이 배치되고 난 뒤에 밀폐될 것인데, 덮개는 힌지(hinge)(11)가 축 위에 놓이게 되고, 잠금 브래킷(locking bracket)(37)에 의해 잠기게 된다(또한 도 2의 횡단면도 참조). 잠금 브래킷은 덮개(9)의 리세스(39)로 들어가고 하우징(7)의 리세스(43)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 버튼(pushbutton)(41)이 제공되어 질 것이다. 예컨데 잠금 브래킷(37)은 탄성 재료로 완전하게 제조 될 것이다.
도 3은 탄성부(47)에 의해 전화기의 하우징(7)에 연결되는 잠금 스터드(45)와 탄성부(47)를 지나서 전화기의 하우징(7)과 통합되게 형성되는 잠금 스터드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잠금 스터드는 리세스(49)와 함께 작용하는데, 리세스는 배터리 유닛의 위치부(31)의 하단측면에서 짝을 이루는 모양으로 존재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이 전화기의 하우징(7)에 삽입되어 질 때, 배터리 유닛(1)은 잠금 스터드(45)가 리세스(49)로 탄성적으로 그 자신이 스냅(snap)되는 방식으로 잠금 스터드(45)로 하우징에서 탄성적으로 잠기게 된다.
도 1은 힌지(hinging)로 동작하는 후부 덮게를 구비한 전화기를 도시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전화기의 후부는 양자택일로 배터리 유닛의 후부(21)의 형태에 상응하는 개구부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밀폐될 수 있어서 배터리 유닛이 제공되고 난 후, 전화기의 하단부와 배터리 유닛의 후부는 동일 평면상에 함께 놓이게 된다. 융기부(23)들 각각은 배터리 유닛의 전방에 작은 베벨표면(bevel surface)(51)을 구비하는 것이 더 명시된다. 상기 베벨표면은 통상적인 방법에서 배터리 유닛의 융기부가 전화기 하우징 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촉진시키게 도와 준다.
배터리 유닛(1)은 수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를 갖는데, 예컨데 0.5㎜ 에서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은 두께 및 배터리 유닛의 덮개판(13)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화학적 셀의 구조의 적절한 선택과 덮개판 자체 재료의 적절한 선택은 덮개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축(53)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연한 배터리 유닛을 획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유닛 자체가 전화기의 하우징(7)의 만곡부에 적용할 수 있는, 그러나 매우 얇은 배터리 보다 상당히 큰 용량을 가진 배터리 유닛의 경우는 배터리 유닛(1)의 두께가 증가 될 수도 있다. 이 때 이러한 증가는 "표준" 하우징(7)의 외부 평면 바깥 부분에 놓인다. 이런 더 두꺼운 배터리 유닛이 제조될 때, 외부 만곡부는 배터리 유닛이 디자인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의 만곡에 적용 되어 질 것이다. 후자의 경우, 추가되는 어댑터 요소(도시 되지 않은)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로 통과하는 배터리 유닛의 주위에 링같은 것으로 제공되어 질 것이다. 이것은 외적으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는 배터리 유닛과 어댑터 요소가 삽입된 후에도 다시금 "매끄러운" 형태를 갖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중심부를 생략한 다소 확장된 규모로 하단측부로부터 도시된 배터리 유닛(1)을 도시하는데, 다수의 전기 접속 접점(5 7, 59, 61, 63)이 배터리 유닛의 하부표면(55)에 존재하는 것은 명확하다. 도면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접점은 배터리 유닛의 하우징(13)으로 다소 리세스된다. 상기 접속 접점은 예컨데, 배터리 유닛내의 다양한 전기-화학적 셀 또는 각각으로 존재하는 셀의 여러 접속 접합을 하여, 교류 전원 전압이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전기적 접속부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도시된 접속접점으로 여러 상호적으로 다른 전원 전압이 동시에 얻어진다.
도 5는 배터리 유닛의 접속 접점(57)과 접촉하는 전화기(3)에서의 한 개의 간단한 방법을 대략적으로 도시한다. 캐리어(65), 예컨데 인쇄회로기판(PCB)은 전화기에 존재하며, 휨단부(69)를 갖는 블래이드 스프링 형태로 탄성 금속 접촉 스프링(67)이 제공된다. 이 휨단부를 가지고, 블래이드 스프링(67)은 배터리 유닛의 접속 접점(57)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배터리 유닛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 될 때, 블래이드 스프링(67)은 손상없이 배터리 유닛의 덮개판(13)을 거쳐 슬라이딩한다. 블래이드 스프링(67)은 배터리 유닛이 전화기 하우징(7)상의 접속 접점(57)의 마지막 위치에 도달 할 때 까지 접속 접점(57)에 걸리지 않는다. 명확하게, 대안적 접촉 요소가 배터리 및/또는 전화기에 사용되어 지는데, 그러나 이런 요소는 당업자에게는 이미 공지된 것이고, 따라서 여기서는 더 이상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겠다.
도 6은 도 4의 배터리 유닛(1)이 어떻게 하부 벽(55)의 전방에서 슬라이드(71)의 형태로 커버 부재의 추가를 통해 변형되는 가를 도시한다. 커버 부재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접점(57, 59, 61, 63)이 덮혀지는 곳인 폐쇄 위치부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개방 위치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71)는 상기 접속 접점에 상응하는 개구부(57a, 59a, 61a, 63a)를 제공한다. 도 6에서, 화살표(73)의 방향인 상기 개구부의 폭을 거쳐 우측으로 진행하는 슬라이드(71)의 활주는 접속 접점 위에 개구부를 놓이도록 함으로써, 후자가 외부에서 엑세스해 오기가 용이하게 된다. 슬라이드에 도 6에서 도시된 폐쇄 위치부로 향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를 유도하는(urge), 대략적으로 묘사된 압축 스프링(75)이 제공된다. 슬라이드는 배터리 유닛의 하부표면(55)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가능하고 다소 슬라이딩 부재와 유사한데, 슬라이딩 부재는 그 자체가 마그네틱 테잎 카세트 또는 마그네틱 컴퓨터 디스켓같은 마그네틱 매체에서 사용되고 있음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슬라이드(71)의 구조, 탄성 수단(75), 슬라이드를 가이드하고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유닛의 덮개판(13)과 상응하는 요소등은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정말로, 이것들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위해 필수 불가결하게 중요하지는 않다.
슬라이드(71)는 전화기 하우징(7)에 있는 돌출부(79)와 함께 작용하기 위한 어버트먼트(abutment)로서 역할을 하는 어버트먼트 에지(77)를 구비한다. 도 6에서 대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79)는 어버트먼트 에지(77)와 함께 작용한다. 배터리 유닛(1)에 대해 돌출부(79)의 위치, 및 특히 슬라이드(71)에 대해 돌출부의 위치는 배터리 유닛이 전화기 하우징에 삽입 동안에 슬라이드(71)의 어버트먼트 에지(77)를 향해 돌출부(79)에 충돌하고, 슬라이드(71)는 최종위치로 화살표(73) 방향으로 배터리 유닛을 추가로 이용할 때 돌출부(79)에 의해 폐쇄위치부에서 개방위치부로 이동되도록 선택되는데, 거기서 접속 접점은 외부로 부터의 자유로운 액세스가 가능하다.
배터리 유닛에 있는 접속 접점의 위치는 일련의 표준 위치들에 속한다. 접점은 상기 표준위치에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예컨데 도 4에서 도시하는 위치(8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속접점이 없는 상태이다. 표준 위치에 기초로 하여, 설계자는 항상 기준에 맞는 전원 전압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에, 배터리 유닛의 제조자는 동일한 전압 또는 전압의 조합을 반드시 공급하지 않는 다양한 타입의 배터리를 제조할 선택권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덮개판(13), 융기부(23). 홈(25), 위치부(29, 31), 접속 접점(57, 59, 61, 63), 커버 부재(71), 어버트먼트 에지(77) 등이 이들 구성 및 배치에 관하여 배터리 유닛과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이전에 정의된 표준규격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표준화는 다른 제조업자에서 비롯되었을 지라도 배터리 유닛과 장치의 양호한 상호작용을 보강한다.
도 7은 무선 전화기(3)에 대한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전화기(3)는 안테나스위치(83)에 연결된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를 구비한다. 수신 경로는 동조가능한 고주파(HF)필터(85), 혼합단(87), 스위치가 가능한 중간 주파수 필터(89), 복조기(91), TDMA ("시간 분할 다중 접속")제어 장치(93), 음성 CODEC(코딩 및 디코딩 장치)(95), 스피커(97)의 캐스캐이드 형태 회로를 포함한다. 송신 경로는 마이크로폰(99), 음성CODEC(95), TDMA제어장치(93),변조기(101), 오프셋 발진기(103), 혼합단(105), 증폭기(107)의 캐스캐이드 형태의 회로를 포함한다. 전화기(3)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9)가 또한 제공되어 진다. 특정한 채널로 전화기(3)을 동조하게 도와주는 주파수 발생 회로(111)의 제어, TDMA제어장치(93)의 제어, 기판의 스캐닝(113), 및 LCD("액정 크리스탈 디스플레이")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제어하는 것 등의 일반적인 전화기 기능은 그 자체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기능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전화기(3)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9)에 연결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부(119)와 휘발성 메모리부(121)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117)를 더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부(119)는 전화기(3)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전화기(3)의 전기회로에 배터리 유닛(1)을 연결하는 전기적 접속 접점(57, 63)은 참조 도면 도4에 도시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9)의 전원만이 간략함을 위해 도시된다. 전화기(3)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9)에 연결된 디코딩회로(123)을 더 포함한다. 디코딩 회로(123)는 디코딩 회로의 입력단에서 식별 접속지점(125, 127, 129)에 연결되는데, 식별 접속지점(125, 127, 129)은 접촉지점(57, 59, 61, 63)과 같이 배터리 유닛(1)의 하단부에 존재한다. 식별 접촉지점(125, 127, 129)은 프로그램과 함께 비휘발성 메모리 부(119)에서의 용량, 전압, 및 또 다른 배터리 유닛(1)의 특징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데, 마이크로프로세서(109)는 3-비트 용량 코드를 인식하고, 그것에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5)상에 평균 예상 변환 시간 및/또는 대기 시간을 지시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한 개의 실시예 만을 참조해서 위에서 자세한 설명을 했지만, 발명은 결코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유닛의 본질적 특징은 융기부 및/또는 홈의 형태로 배터리 유닛의 장측에 가이드가 제공되는데, 그 결과 다른 크기와 비교해 볼 때 큰 길이/폭 비와 작은 두께를 갖는 배터리 유닛조차도 안정적이고 믿을만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의 외부 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화학적 셀이 있고, 전기적 접속 접점(57, 59, 61, 63)을 포함하는 덮개판(13)이 제공된, 무선 전화기(3), 노트북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등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를 위한 배터리 유닛(1)으로서, 상기 덮개판(13)은 직사각형 상부 표면부(15), 상기 상부 표면부(15)에 대향한 직사각형 하부 표면부(55)와, 장측 표면부(17, 19), 및 단측 표면부(21)를 갖는 밀폐형 직사각형 블록에 가까운 형태를 구비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배터리 유닛(1)에 있어서,
    융기부 및/또는 홈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housing)(7)의 홈(grove) 및/또는 융기부(ridge)와 짝을 이루어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유닛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덮개판의 장측표면(17, 19)과 최소한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접속 접점(57, 59, 61, 63)이 상기 덮개판의 상기 하부표면(55)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이 배터리 유닛(1)이 부정확한 곳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응하게 형성되고 배치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3)의 위치부(29,31)와 작용하는 외부 비대칭 위치부(29, 3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의 유닛은 수 밀리미터(㎜)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유닛(1)은 상기 덮개판(13)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53)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접점(57, 59, 61, 63)은 상기 접속 접점이 상기 외부로부터 엑세스(accessable)가 가능한 열린 위치와 상기 접속 접점이 덮힌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이동가능한 커버부재(cover member)(71)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된 위치로 스프링 압력으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 부재(71)를 로드(load)하는 탄성 수단(75)이 존재하는데,
    상기 커버 부재(71)는 상기 배터리 유닛(1)의 상기 상부 표면(15)과 하부 표면(55)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 부재(71)는 어버트 먼트(abutment) 수단(77)이 제공 되고,
    상기 커버 부재(71)는 상기 어버트 어버트 먼트 수단(77)에 힘을 작용하여 커버링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 상에 존재하는 접속 접점(57, 59, 61, 63)의 위치부가 일련의 표준규격화된 위치부(57, 59, 61, 63, 81)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3), 상기 홈(23). 및/또는 융기부(25), 상기 위치부(29, 31), 상기 접속 접점(57, 59, 61, 63), 상기 커버 부재(71), 상기 어버트먼트 에지(77) 등이 이들 구성 및 배치에 관하여 배터리 유닛과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이전에 정의된 표준규격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유닛.
  8.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화학적 셀이 존재하고 전기적 접속 접점(57, 59, 61, 63)을 포함하는 덮개판을 구비한 배터리 유닛(1)이 제공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3)로서, 상기 덮개판(13)은 직사각형 상부표면(15), 상기 상부표면(15)에 대향한 직사각형 하부표면(55)과, 장측표면(17, 19), 및 단측 표면(21)을 갖는 밀폐형 직사각형 블록에 가까운 형태를 구비한 덮개판(13)이 제공되는 배터리 유닛(1)에 있어서,
    융기부 및/또는 홈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의 하우징(7)의 홈 및/또는 융기부와 짝을 이루어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유닛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덮개판의 장측표면(17, 19)과 최소한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접속 접점(57, 59, 61, 63)이 상기 덮개판의 상기 하부표면(55)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이 배터리 유닛(1)이 부정확한 곳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응하게 형성되고 배치된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3)의 위치부(29,31)와 작용하는 외부 비대칭 위치부(29, 3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KR1019980706211A 1996-12-13 1997-12-04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KR19990082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402738 1996-12-13
EP96402738.7 1996-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478A true KR19990082478A (ko) 1999-11-25

Family

ID=822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211A KR19990082478A (ko) 1996-12-13 1997-12-04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04690A (ko)
EP (1) EP0888644A1 (ko)
JP (1) JP2000505935A (ko)
KR (1) KR19990082478A (ko)
CN (1) CN1215504A (ko)
WO (1) WO19980264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35B1 (ko) * 2000-01-28 2003-07-16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착탈식 부속품용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7218B1 (en) * 1997-11-05 2006-03-01 Philips Consumer Communications France A battery unit and a portable battery-operated device including such a battery unit
US6496685B2 (en) * 1998-06-15 2002-12-17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phone with imbedded battery
TW385067U (en) * 1998-10-21 2000-03-11 Telepaq Technology Inc Improved structure for the battery slot terminals of palm type electric devices
US7186001B1 (en) 1999-01-06 2007-03-06 Armament Systems & Procedures, Inc. LED flashlight having clip extending from frame
US20030081395A1 (en) * 1999-06-15 2003-05-01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4430804B2 (ja) * 2000-08-31 2010-03-10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装置カバーケース構造および電子装置
GB2369519B (en) * 2000-11-22 2004-07-14 Nokia Mobile Phones Ltd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TW525688U (en) * 2002-07-16 2003-03-21 High Tech Comp Corp Fastener of latch lock
KR100553200B1 (ko) * 2003-06-19 2006-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4123516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US20070052389A1 (en) * 2005-07-19 2007-03-08 Michiel Kooij Battery receptacle
US20070152630A1 (en) * 2005-12-29 2007-07-05 Winkler David A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hot swapping
JP5169703B2 (ja) * 2008-10-07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送信機
US8437125B2 (en) * 2009-08-24 2013-05-07 Nokia Corporation Housing for an electronic apparatus
DE102013008891B4 (de) 2013-05-27 2020-03-19 Fm Marketing Gmbh Fernsteuerung
CN104619136B (zh) * 2013-11-01 2017-11-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壳体及电子设备
CN105722348B (zh) * 2014-12-02 2020-03-17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产品及其外壳
CN105338771B (zh) * 2015-11-24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及其壳体结构
KR20240089465A (ko) 2021-10-22 2024-06-20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용 공간을 위한 배터리 가이드 블록 및 이를 통합한 자재 취급 차량
WO2023065344A1 (en) 2021-10-22 2023-04-2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Battery retention block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664A (en) * 1983-07-26 1987-06-02 Casio Computer Co., Ltd. Compact electronic equipment
JPS63211556A (ja) * 1987-02-26 1988-09-02 Toshiba Corp 電池収納部構造
US4904549A (en) * 1988-11-04 1990-02-27 Motorola, Inc. Battery housing with integral latch and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JP2893918B2 (ja) * 1990-10-09 1999-05-24 ソニー株式会社 接触端子構造
JP3398389B2 (ja) * 1991-05-17 2003-04-21 ソニー株式会社 電極装置
US5326652A (en) * 1993-01-25 1994-07-05 Micron Semiconductor, Inc. Battery package and method using flexible polymer films having a deposited layer of an inorganic material
US5314763A (en) * 1993-07-20 1994-05-24 Motorola, Inc. Battery latch
ES2109775T3 (es) * 1994-06-03 1998-01-16 Kokusai Electric Co Ltd Dispositivo electronico protegido contra las proyecciones de agua.
US5534366A (en) * 1995-11-22 1996-07-09 Motorola, Inc. Modular battery pack
US5863218A (en) * 1996-01-24 1999-01-26 Motorola, Inc. Battery terminal coupling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35B1 (ko) * 2000-01-28 2003-07-16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착탈식 부속품용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8644A1 (en) 1999-01-07
WO1998026461A1 (en) 1998-06-18
US6004690A (en) 1999-12-21
JP2000505935A (ja) 2000-05-16
CN1215504A (zh) 199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478A (ko)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 및 배터리 유닛
US7180754B2 (en) Connecting mechanism for a battery case and a body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312271B1 (ko) 전지 접속 장치
US6459890B1 (en)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US7746635B2 (en) Chip card catch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171386A1 (en) Battery pack
US6973186B2 (en) Slide type mobile phone using slide module
US20030085285A1 (en) SIM card carrier
US6007363A (en) Magnetically latchable device for electrically coupling a power source to a circuit
JPH11155004A (ja) データカードハウジング
US20070149059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JP3293178B2 (ja) 電池内蔵電子機器装置
US8084157B2 (en) Batter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GB2280537A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source se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JPH0850638A (ja) マイクロサーキットカードの読取り装置
KR19990037388A (ko)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통신 장치 및 이와 같은 전화통신 장치에 적합한 축적 장치
GB2299192A (en) Portable telephones
JPH113691A (ja) 電子機器
JP2000268883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充電装置
US20060147794A1 (en) Battery holder
JP4118408B2 (ja)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器並びに電子機器及び電池パック
KR1006088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KR200171949Y1 (ko) 심 카드용 소켓
KR20023760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전자기기의전원공급장치
KR100598087B1 (ko)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배터리 케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