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105A - 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105A
KR19990088105A KR1019990016303A KR19990016303A KR19990088105A KR 19990088105 A KR19990088105 A KR 19990088105A KR 1019990016303 A KR1019990016303 A KR 1019990016303A KR 19990016303 A KR19990016303 A KR 19990016303A KR 19990088105 A KR19990088105 A KR 1999008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telephone
telephone apparatu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시마이사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8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8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synthesized vocal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미혹(迷惑)전화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동시에, 통화하고 싶은 상대로부터의 착신에는 확실히 응답할 수 있는 전화단말을 제공한다.
착신시에, 키조작부의 응답키가 눌러자면, 제어회로는 NCU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을 폐결(閉結)하고, 전환회로 및 메시지메모리를 제어하여, 송신메시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발신자측)에 송신하여, 발신자측에 자기소개를 행할 것을 요구한다.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발신자측에서 송신되어 오는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가 NCU, 전환회로를 통해서 스피커에 공급되고, 스피커에서 자기소개가 방음된다.

Description

전화장치{A telephone apparatus}
본 발명은, 전화단말에 관한 것이다.
장난전화나 불필요한 세일즈나 권유의 전화 등의 소위 미혹(迷惑)전화가 종래부터 문제로 되어 있고, 이 문제에 대응하는 방책으로써 이하와 같은 몇개의 방책이 실현 혹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화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하나로서, 착신측의 전화단말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통지하고, 착신시에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응답조작을 하기 전에,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발신자측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소위 발신자번호 통지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되어오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알고있는 상대처로부터의 착신에 대해서는 안심하고 응답할 수 있는 동시에, 전화에 나오고싶지 않은 상대처로부터의 착신이나 알지 못하는 전화번호의 상대처로부터의 착신, 더욱이는 전화번호를 통지하지 않도록하여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착신의 경우에는, 응답을 하지 않도록할 수 있으므로 미혹전화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또, 일본 특개소62-222751호 공보에는, 미혹방지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제안되고 있는 미혹방지기능은, 착신시에 자동응답하고, 전화단말의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앤서메시지를 발신자측에 송신한다. 그리고, 이 송신한 앤서메시지에 따라서 발신자측이 응답하여온 경우에는, 호출음을 방음하도록 한다.
즉, 이 미혹방지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은, 착신시에 있어서 바로 호출음을 방음하는 것이 아니고, 발신자가 앤서메시지에 대하여 응답하여온 경우에만, 호출음을 방음함으로써, 장난전화나 잘못된 전화 등에 의한 호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일본 특개평4-262654호 공보에는, 장난전화 격퇴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제안되고 있는 장난전화 격퇴기능은, 장난전화에 응답하게 된 경우, 전화단말에 설치되어 있던 장난전화의 격퇴버튼키를 누르므로써, 장난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을 소정시간 녹음하고, 이 녹음한 음성을 장난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게 반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 장난전화 격퇴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은, 장난전화에 응답하게 된 경우에, 이것을 효과적으로 격퇴하는 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의 발신자번호 통지서비스의 경우, 전화회사와의 계약에 의해 또는, 발신시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발신자는 자기의 전화단말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통지하지 않도록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또, 공중전화에서 걸려진 전화의 경우, 착신측의 전화단말에는 공중전화로부터의 착신인 것이 통지된다.
이 때문에,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통지하지 않도록하여 전화를 걸어온 경우나, 공중전화에서 걸려진 전화의 경우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알지 못하고 전화가 아니면 아니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에 나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하면, 가족이나 지인이 공중전화나 전화번호를 통지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전화단말에서 전화를 걸어온 경우 등, 응답하여야 할 사람으로부터의 전화에 응답할 수 없게 되게 된다.
또, 발신자번호 통지서비스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측의 전화단말에 통지되는 발신자측의 전화번호는, 전화단말에 할당된 번호이다. 이 때문에 가족이나 지인이 언젠가는 다른데서 전화를 걸어왔을 때에는, 사용된 전화단말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는 통지되는 것의,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에게는 낯설지 않은 전화번호가 통지되게 된다. 이 경우,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전화를 걸은 발신자 본인을 특정하는 것은 할 수 없고, 응답하여야 할 사람으로부터의 전화에 응답하지 않는 등 불편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고려된다.
이와 같이, 발신자번호 통지서비스의 경우, 통지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근거지에 발신자를 예외없이 인식, 식별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통지하지 않도록 하여 전화를 걸어온 경우나, 공중전화에서 걸려진 전화의 경우, 더욱이는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전화번호가 통지된 경우에도,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걸려온 전화에 응답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경우가 있고, 미혹전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일본 특개소62-222751호 공보기재의 미혹방지기능 부착의 전화단말을 이용하는 것도 유효하다고 고려된다. 그러나, 미혹방지기능 부착의 전화단말의 경우, 장난전화나 잘못된 전화 혹은, 소망하지 않는 세일즈나 권유의 전화라도 발신자가 앤서메시지에 대해서 응답하여 왔을 때에는, 호출음은 방음된다. 이 경우에는, 착신측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알지 못한 채로 응답하지 않으면 아니되므로, 장난전화 등의 소위 미혹전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 없다.
또, 일본 특개평4-262654호 공보기재의 장난전화 격퇴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의 경우에는, 장난전화를 걸어온 상대의 음성을 그 대로 장난전화를 걸어온 상대에게 반신할 수 있으므로, 장난전화에 응답하게된 때에는 이것을 효과적으로 격퇴할 수 있다. 그러나 장난전화 격퇴기능은, 장난전화에 응답하게된 경우에 효과가 있는 기능이며, 장난전화 자체를 방지하는 기능은 아니다.
그래서,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기능을 가지는 전화단말의 경우에는,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기능을 활용하여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에 의해, 발신자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통화하고 싶은 상대인 경우에, 예를 들면 핸드세트를 집어드는 등,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전환하여 통화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기능은 착신에 대하여 자동응답하고, 상대처의 용건메시지를 전화단말의 메모리 등에 기억유지하여 놓도록하는 기능이므로,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에 의해 발신자를 확인하고, 발신자가 통화하고 싶은 상대라고 알았어도 통화모드로 전환하였을 때에는,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가 종료하고 전화회선이 개방되게 되어,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할 수 없게 되는 것이 많다.
이상의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미혹전화를 확실히 방지하는 동시에, 통화하고 싶은 상대로부터의 착신에는 확실히 응답할 수 있는 전화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신호를 통신하는 전화장치에 있어서,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서 상기 수신수단을 거쳐서 상기 정보신호로서 접속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접속요구정보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수신통지수단과,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 대한 메시지인 메시지정보를 기억하는 메시지기억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지시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입력수단과,
상기 통지수단이, 상기 접속요구정보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고 있을 때에,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기억수단에 기억된 메시지정보를 상기 정보신호로서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로 향해서 상기 송신수단에 출력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 커뮤니케이션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정보신호로서 상기 접속요구정보와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정보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송신수단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의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전화장치는, 전화장치 케이스체와, 수화기(handset)와를 또한 갖추고,
적어도 상기 수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장치 케이스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은, 상기 수화기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화기가 상기 전화장치 본체에서 떨어진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수신수단, 상기 송신수단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의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의 사이의 정보신호의 통신을 차단(disconnec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7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전화장치는, 시간을 재는 계시수단과,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서 상기 수신수단에 커뮤니케이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커뮤니케이션정보 검출수단과를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메시지 기억수단에 기억된 메시지정보가, 상기 송신수단에서 출력된 타이밍에서 상기 계시수단이 소정시간 계시하기까지,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 검출수단에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서 커뮤니케이션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 상기 전화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의 통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8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7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계시수단으로 계시하는 상기 소정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9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커뮤니케이션정보를 기억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억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원격조작장치에서 출력되는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조작신호 수신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명령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소정의 명령을 나타내는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음성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의 발명의 전화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전화장치이며,
상기 메시지 기억수단에 기억된 메시지정보는,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자기소개를 요구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서 행해지는 착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서 행해지는 착신시의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NCU(네트워크·콘트롤·유닛) 2. 착신검출회로
3. 음성검출회로 4,5. 전환기
6.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 9a,9b. 증폭회로
10. 핸드세트 10SP. 수화기
10MC. 송화기 11. 증폭회로
12. 스피커 13. 증폭회로
14. D/A변환회로 15. 송신메시지메모리
20. 제어회로 21. CPU
22. ROM 23. RAM
24. 시스템버스 31. 링거
32. 시계회로 33. 리모트커맨더 수광부
34. 음성검출부 35. LCD(액정디스플레이)
36. 조작키부 36a. 응답키
36b. 통화키 36c.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
36d. 재생키 36e. 절단키
36DA. 다이얼키 37. 조그다이얼
38. 리모트커맨더 39. 케이스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옥외에서 옥내에 인입된 전화선(L)에 로제트를 통하여 유선으로 접속되고, 옥내에 설치되어서 사용되는 가정용의 전화단말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NCU(네트워크·콘트롤·유닛)(1), 착신검출회로(3), 전환기(4, 5),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 증폭회로(9a, 9b), 수화기(10SP), 송화기(10MC)를 가지는 핸드세트(10), 증폭회로(11), 스피커(12), 증폭회로(13), D/A변환회로(14), 메시지메모리(15), 제어회로(20)를 갖추고 있다.
제어회로(20)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각부를 제어하는 것이며, CPU(21), ROM(22), RAM(23)이 시스템버스(24)를 통하여 접속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여기서 ROM(22)은,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 있어서 실행되는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억된 것이다. 또 RAM(23)은, 각종의 처리에 있어서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이 제어회로(2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거(31), 시계회로(32), 리모트커맨더 수광부(33), 음성검출부(34), LCD(액정디스플레이)(35), 다수의 조작키를 가지는 조작키부(36), 조그다이얼(37)이 접속되어 있다.
링거(31)는 호출음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시계회로(32)는 현재시각을 제공하는 동시에 캘린더기능을 갖추고, 일자의 관리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리모트커맨더 수광부(33)는, 리모트커맨더(38)로부터의 적외선의 리모트커맨더 제어신호를 수광하고, 이것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회로(20)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리모트커맨더(38)를 사용함으로써도, 응답조작이나 정보설정조건 등의 여러가지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음성검출부(34)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이나 손짓을 지시입력정보로서 접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착신시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네」라고 하는 소리를 발하거나, 손벽을 치므로써 당해 전화단말에 대하여 직접조작을 행하지 않고, 응답하는 것등을 할 수 있게 된다. LCD(3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자나 시각 혹은 전화번호 등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된 비교적 큰 표시화면을 가지는 것이다.
또 조작키부(3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응답키(가응답 조작키)(36a), 통화키(본응답 조작키)(36b), 부재중 집지키는모드 설정키(36c), 용건데이터 재생키(36d), 절단키(36e), 다이얼키군(36DA) 등의 각종의 조작키를 갖추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한다.
또 조그다이얼(37)은, 회동키와 누르는버튼과의 2개의 기능을 합쳐서 갖는 것으로, 회동키로서 조작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면 메뉴 등에 있어서의 항목선택동작이 행해지고, 또 누르는버튼으로서 누르는 조작을 하였을 때에는, 선택된 항목의 결정입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를 갖추고,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기능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이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게 부재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7)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용건메시지를 기억하는 용건메시지 메모리(8)를 갖추는 외,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를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하는 기록유닛이나,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된 용건메시지를 재생하는 재생유닛을 갖추는 것이다.
전환기(4)는,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 NCU(1)와를 접속할 것인가, NCU(1)와 핸드세트(10) 등이 접속된 전환기(5)와를 접속할 것인가를 전환하거나,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의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된 용건메시지를 재생하기 의해,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 후술하는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하는 것이다. 이 전환기(4)는 제어회로(20)에 의해 전환제어되고, 이 전화단말이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가 아닐 때에는, NCU(1)와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되고, 이 전화단말이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되면, NCU(1)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를 접속하도록 전환된다. 또 전환기(4)는, 용건재생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후술도 하는 바와 같이, 착신시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바로 핸드세트(10)를 통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대하여,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음성메시지)를 송신하고, 당해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의 음성신호를 접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기(5)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도 하는 바와 같이 전환기(5)는 제어회로(20)에 의해 전환제어되고, NCU(1)와 핸드세트(10)와를 접속하여 통화가능하게할 것인지,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송신한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를 방음하도록 할 것인지를 전환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환기(5)는 후술도 하는 바와 같이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고, 예를 들면 응답키(36a)가 눌러지면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송신한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를 방음하도록 전환되는바, 통화키(36b)가 눌러지면 NCU(1)와 핸드세트(10)와를 접속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NCU(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신검출회로(2)나 폐결된 전화회선을 통해서 상대처에서 음성신호가 송신되어 왔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음성검출회로(3)를 갖추는 외, 도시하지 않으나 오프훅/온훅스위치, 다이얼러 등을 갖추고 전화회선의 접속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착신시에 있어서 NCU(1)는, 착신검출회로(2)에 의해 착신을 검출하면 이것을 제어회로(2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회로(20)는, 링거(31)를 제어하여 호출음을 방음하고,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에 착신이 있는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오프훅이 조작되면, NCU(1)는 전화회선을 커넥트하고 통화가 가능한 상태를 확립하여, 상대처와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후 온훅조작되면 NCU(1)는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종료시켜서 폐결한 전화회선을 디스커넥트한다.
또 발신시에 있어서, NCU(1)는 사용자에 의해 오프훅이 조작된 후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면 키조작부(36)의 다이얼키군(36DA)이 조작되면, 전화회선을 폐결하고 싶은 상대처를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키군(36DA)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NCU(1)에 송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상대처와의 전화회선의 폐결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NCU(1)에 의해 폐결된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신호는, 통상시에 있어서는 핸드세트(10)의 수화기(10SP)에 공급되고, 폐결된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신호가 수화기(10SP)에서 방음된다.
또, 핸드세트(10)의 송화기(10MC)에 수음된 음성신호는, NCU(1)를 통하여 NCU(1)에 의해 폐결된 전화회선에 송출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의 전환단말의 사용자의 음성이 전화회선을 통하여 상대처에 송신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걸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 있어서, 핸드세트(10) 이외의 구성요건은 케이스체(39)에 수용되어 있다.
[착신시의 처리에 대하여]
또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시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대하여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고, 발신처로부터의 자기소개의 음성신호를 접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착신시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한 경우에는, 핸드세트(10)와 전화회선과의 사이에는 통신로는 형성되지 않고, 핸드세트(10)의 송화기(10MC)에 의해 수음되는 음성은 상대처에는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발신처로부터의 자기소개의 음성을 청취하여, 통화하여야 할 상대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발신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하고, 발신처가 통화하여야 할 상대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당해 전화단말을 통화가능한 상태로서 통화를 행하고, 통화하고 싶지 않은 상대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로하고, 발신처에 용건(음성메시지)을 남겨놓도록 하고, 발신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를 메시지메모리(8)에 기억시키도록 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발신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함으로써, 세일즈나 권유를 위한 전화인 것이 명백하게된 경우나, 자기소개없이 발신자를 특정할 수 없을 때에는, 전화회선을 개방하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폐결되어 있는 전화회선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착신시에 발신자로부터의 자기소개에 의거하여, 발신자를 특정한 후에 당해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착신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상술도 한바와 같이, NCU(1)의 착신검출회로(2)에 의해 착신이 검출되고 이것이 제어회로(20)에 통지되면, 제어회로(20)는 링거(31)를 제어하고 호출음을 방음하고, 착신이 있는 것을 당해 전화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호출음에 따라서, 예를 들면 핸드세트(10)를 집어들음으로써 오프훅조작을 한 경우에는, 제어회로(20)는 NCU(1)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을 폐결한다. 그리고 제어회로(20)는, 전환기(4)를 NCU(1)와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하는 동시에, 전환기(5)와를 NCU(1)와 핸드세트(10)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후술에도 한바와 같이 핸드세트(10)와 발신자측과의 사이에 통신로가 형성되고,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의 사이에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발신자에게 직접 듣는 등하여 발신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우인이나 지인 혹은 가족 등으로부터의 전화에는 응답하고 싶으나, 장난전화나 불필요한 세일즈나 권유의 전화에는 응답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링거(31)가 방음되어 있을 때에 키조작부(36)에 설치되어 있는 응답키(36a)를 누른다.
이 응답키(36a)가 눌러지면, 제어회로(20)는 바로 당해 전화단말을 통화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NCU(1)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을 폐결하는 동시에 전환기(5)를 NCU(1)와 스피커(12) 및 송신메시지 메모리(1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또한 이 경우, 이 전화단말은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술도 한바와 같이 전환기(4)는, NCU(1)와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되어 있다. 따라서 응답키(36a)가 눌러진 경우에는, 스피커(12) 및 송신메시지 메모리(15)와 발신자측의 전화단말과의 사이에 통신로가 형성된다.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는,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게 자기소개를 요구하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나, 후술도 하는 바와 같이, 착신에 응답하여 폐결된 전화회선을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측에서 개방하는 경우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게 송신하는 회선개방메시지가 기억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는, 예를 들면 「이 전화는 자기소개를 받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습니다. 수고스럽지만 자신의 성함을 말씀해 주십시오.」등,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대하여 자기소개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회로(20)는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서, 상술과 같은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독출하고, D/A변환회로(14)에 공급한다. D/A변환회로(14)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는 증폭회로(13)에 의해 증폭되고, 전환기(5) 및 전환기(4)를 통하여 NCU(1)에 공급된다.
NCU(1)는, 송신메시지 메모리(15)로부터의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전화회선을 통해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를 기다린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착신시에 응답키(36a)가 눌러지면, 전화회선을 폐결하는 것의 바로는 통화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고 가응답을 행하여,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기다리게 된다. 즉 응답키(36a)는, 가응답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송신한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서 자기소개의 음성신호가 송신되어온 경우에는, 이것이 NCU(1) 및 상술과 같이 전환되어 있는 전환기(4) 및 전환기(5)를 통하여 증폭회로(11)에 공급되고, 여기서 증폭된 후 스피커(12)에 공급되고,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가 스피커(12)에 의해 방음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OO입니다」혹은 「??회사의 OO입니다」등의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의 통화를 개시하기 전에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한 후, 전화에 전화에 나올 필요가 있는, 즉 통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키조작부(36)의 통화키(36b)를 누르거나 핸드세트(10)를 집어올리므로써, 오프훅하게 한다.
이와 같이 통화키(36b)가 눌려지거나, 핸드세트(10)를 집어올리므로써 오프훅하게 되면, 제어회로(20)는 전환기(5)를 NCU(1)와 핸드세트(10)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이때 전환기(4)는 상술한 바와 같이, NCU(1)와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되어 있으므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 핸드세트(10)와의 사이에 통신로가 형성되고,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핸드세트(10)를 통해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의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 있어서, 핸드세트(10)는 놓아둔 채의 상태라도, 양호하게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을 방음할 수 있는 동시에, 여기서부터의 음성을 수음하여 상대처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수화기(10SP), 송화기(10MC)에 대응하는 예를 들면, 별도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화키(36b)를 눌렀을 경우에는, 핸드세트(10)를 집어올리지 않고 오프훅의 상태가 되고, 핸드세트(10)를 놓은 채로 핸드세트(10)를 통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핸드세트(10)를 집어올렸을 때에도, 오프훅의 상태가 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통화키(36b) 및 핸드세트(10)가 집어올려졌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오프훅/온훅 검출스위치가 본응답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본응답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한 후, 예를 들면 친지로부터의 전화이긴 하나, 지금은 전화에 나가기 싫은 등의 경우에는,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36c)를 누른다.
이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36c)가 눌러지면, 제어회로(20)는 전환기(4)를 NCU(1)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하고, 이 전화단말을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회로(20)는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는,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의 부재중 집지키는 메시지메모리(7)에 기억되어 있는 부재중 집지키는 것을 통지하고, 용건메시지를 남겨놓도록 촉구하는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를 전환기(4), NCU(1)를 통하여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게 송신하고,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음성메시지)를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에 따라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서 용건메시지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용건메시지는 NCU(1), 전환기(4)를 통하여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에 공급되어,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36c)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에의 이행지시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의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된 용건메시지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키조작부(36)에 설치되어 있는 재생키(36d)를 누르므로써, 언제든지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즉,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가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되고, 전화회선이 폐결된 후에 재생키(36d)를 누르면, 제어회로(20)는 전환기(4)를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 전환기(5)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하고, 다시 전환기(5)를 전환기(4)와 스피커(12)와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회로(20)는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에 대하여,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용건메시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용건메시지가 재생되어서, 전환기(4), 전환기(5), 증폭회로(11)를 통해서 스피커(12)에 공급되고, 용건메시지가 스피커(12)에서 방음되어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용건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한 후, 예를 들면 필요하지 않은 세일즈나 권유를 위한 전화인 것이 명백하게 된 경우나, 장난전화인 것이 명백하게 된 경우, 혹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가 자기소개를 하지 않기때문에 발신자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절단키(36e)를 누른다.
이 절단키(36e)가 눌러지면, 제어회로(20)는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예를 들면 「죄송하지만, 전화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등의 회선개방메시지를 독출하고, 이것을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대하여 송신한다. 즉 회선개방메시지는, 상술한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의 경우와 동일하게 D/A변환회로(14), 증폭회로(13), 전환기(5), 전환기(4) 및 NCU(1)를 통하여 전화회선에 송출되고,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된다.
그리고 회선개방메시지를 송신한 후, 제어회로(20)는 NCU(1)를 제어하여 폐결되어 있는 전화회선을 자동적으로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이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필요하지 않은 세일즈나 권유를 위한 전화나 장난전화, 혹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착신에 본응답하여 통화하지 않고, 폐결한 전화회선을 개방할 수 있다. 즉, 절단키(36e)가 회선개방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한 후, 소정 시간내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 자기소개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감시하고, 소정 시간내에 자기소개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상술의 절단키(36e)가 눌러진 경우와 동일하게 회선개방메시지를 송신하고, 폐결되어 있는 전화회선을 개방한다.
즉,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NCU(1)에 음성신호 검출회로(3)를 갖추고 있고, 이 음성신호 검출회로(3)에 의해 상대처로부터 송신되어온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검출회로(3)가 검출하면, 음성신호 검출회로(3)는 음성신호가 송신되어온 것을 제어회로(20)에 통지한다.
그리고 제어회로(20)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상대처에 송신한 시각을 시계회로(32)에서 얻는 동시에, 시계회로(32)의 현재시각을 감시하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동안, 예를 들면 수초∼수십초동안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 음성신호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처로부터 자기소개는 송신되어 오지않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회로(20)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한 후, 소정 시간내에 자기소개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회선개방메시지를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하고, NCU(1)를 제어하여 폐결한 전화회선을 개방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가응답을 행하고,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한 후, 예를 들면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가 전화회선을 개방하였을 때에는, NCU(1)는 전화회선이 개방된 것을 검지하여 회선을 개방하고, 온훅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화단말은, 복수의 다른 자기소개 요구메시지, 회선개방메시지가 ROM(22)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이 ROM(22)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중에서 좋아하는 것을 선출하고,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사용자가 소망의 메시지를 자신의 소리로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등록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고, 미리 준비된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 자신이 작성한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화단말은,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메시지수음용의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수음한 음성을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할 수 있다. 혹은,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핸드세트(10)의 송화기(10MC)와, 송신메시지 메모리(15)와를 전환기(5)를 통하여 접속하고, 송화기(10MC)에 의해 수음한 음성을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이 실시형태에 전화단말의 착신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도 한바와 같이, NCU(1)의 착신검출회로(2)에 의해 착신이 검출되면 이것이 제어회로(20)에 통지되고, 제어회로(20)는 링거(31)를 제어하여 착신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호출음을 방음한다(스텝(S101)).
그리고 제어회로(20)는,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조작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2)). 이 스텝(S102)의 판단처리는, 가응답조작 혹은 본응답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 여기서 가응답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응답키(36a)의 누름조작, 리모트커맨더(38)를 통한 응답조작, 혹은 음성이나 손벽에 의한 응답조작이며, 본응답조작은 통화키(36b)의 누름조작, 혹은 핸드세트(10)를 집어올리므로써 오프훅조작이다.
스텝(S102)의 판단처리에 의해, 제어회로(20)가 응답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그 응답조작이 가응답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3)). 여기서 가응답조작이 아니고, 본응답조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기(5)를 제어하여, 핸드세트(10)를 전화회선에 접속하여 핸드세트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의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함으로써,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을 통화모드로 하고(스텝(S115)),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의 사이에서 통화가능하게 한다.
스텝(S103)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가응답조작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NCU(1)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을 폐결한다(스텝(S104)).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20)는 스피커(12), 송신메시지 메모리(15)와 전화회선과 접속하도록 전환회로(4, 5)를 제어하고,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소개메시지를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하고(스텝(S105)), 상대처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를 접수하여, 스피커(12)에서 자기소개를 방음하도록 한다(스텝(S106)),
그리고 제어회로(20)는, 사용자에 의해 키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S107)), 키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그 키조작은 본응답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8)).
이 스텝(S108)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본응답조작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상술의 스텝(S115)의 처리와 동일하게, 핸드세트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의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함으로써,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을 통화모드로 하고(스텝(S109)),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의 사이에서 통화가능하게 한다.
스텝(S108)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본응답조작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키조작은,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36c)를 누르는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10)).
스텝(S110)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조작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20)는 전환기(4)를 제어하여, 전화회선과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를 접속함으로써,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을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로 하고(스텝(S111)),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를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하는 동시에, 당해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를 용건메시지 메모리(8)에 기억하도록 한다. 제어회로(20)는 예를 들면, 상대처가 전화회선을 개방한 것을 검지하고, 혹은 소정시간 경과한 경우에 전화회선을 개방하고, 온훅의 상태로 되돌리도록 한다.
또 스텝(S110)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조작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키조작은, 절단키(36e)를 누르는 절단모드 설정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12)).
스텝(S112)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절단모드 설정조작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송신메시지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회선개방메시지를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하고(스텝(S113)),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을 절단모드로 한다(스텝(S114)). 절단모드가 되면 NCU(1)를 제어하여, 폐결한 전화회선을 개방(절단)한다.
스텝(S112)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절단모드 설정조작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스텝(S107)으로부터의 처리가 반환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키조작이 본응답조작도 아니고,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조작도 아니고, 절단모드 설정조작을 행하지 않았을 때에도, 상술도 한바와 같이 회선회보메시지를 상대처에 송신하여 절단모드로 되고, 폐결한 전화회선을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회로(20)가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기다리는 소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키조작부(36)의 시각설정키를 조작함으로써, 제어회로(20)의 RAM(23)에 기억하고, 이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자기소개 요구메시지 송출 후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가 전화회선을 개방하였을 때에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전화회선이 개방된 것을 검지하고, 제어회로(20)의 제어에 의해 온훅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착신시에, 가응답하도록 하는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를 송신하여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자기소개를 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와 직접 통화하지 않고, 상대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자기소개를 청취함으로써,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를 알고 통화할 것인지,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로 할 것인지, 폐결한 전화회선을 개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 스스로가,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발신자)의 음성으로써 제공되는 자기소개를 청취함으로써 발신자가 누구인지, 즉 본래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싶은 상대인지, 소망하지 않는 세일즈나 권유 등 직접 말하고 싶지 않은 상대인지, 혹은 무언전화나 장난전화인지를 확인한 위에서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필요가 있는 착신과 소망하지 않는 세일즈나 권유 등의 전화, 혹은 무언전화나 장난전화의 착신과를 완벽히 구분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응답 후에 사용자에 의해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36c)가 눌러졌을 때에, 당해 전화단말을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하고, 폐결된 전화회선을 통하여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용건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억하는 경우에 이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를 갖추고 있고, 착신시에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용건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억할 수 있는 자동착신형의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물론 할 수 있다.
도 4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에 미리 자동착신형의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를 가지게 한 경우에, 착신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즉, 예를 들면 외출시 등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당해 전화단말의 키조작부(36)의 부재중 집지키는 모드설정키(36c)를 누르면, 이것이 제어회로(20)에 통지되고, 제어회로(20)는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된 것을 인식하고, 이것을 예를 들면 RAM(23)에 기억한다.
그리고, NCU(1)의 착신검출회로(2)에 의해 착신이 검출되고, 이 것이 제어회로(20)에 통지되면, 제어회로(20)는 먼저 RAM(23)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자기의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고,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01)).
이 스텝(S201)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NCU(1)를 제어하여 착신에 대하여 자동응답하는 동시에, 전환기(4)를 전환하여 전화회선과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부(6)와를 접속함으로써, 당해 전화단말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동작하게 된다(스텝(S202)).
또, 이 스텝(S201)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20)가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제어회로(20)는 도 3을 이용하여 상술한 스텝(S101)에서 스텝(S115)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여,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미리 자동착신형의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를 설정하여 놓으므로써, 착신에 자동응답하고, 부재중 집지키는 통지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를 용건메시지 메모리에 기억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은, 자동착신형의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를 가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술도 한바와 같이,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기능을 활용하여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에 의해, 발신자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통화하고 싶은 상대인 경우에, 예를 들면 핸드세트를 집어올리는 등,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하여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경우,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기능을 활용하여 상대처로부터의 용건메시지에 의해, 발신자를 확인하는 경우와 달리 이 전화단말의 사용자가 착신이 있는 것을 인식하여 가응답조작을 행함으로써,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의 송신 및 자기소개의 수신, 그리고 방음을 행하도록 하므로 자기소개를 듣는 것을 놓친다던지, 통화모드에의 전환이 늦어지는 등이 없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확실히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하고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를 판별하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통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바로 통화모드로 하여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는 음성에 의해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하는 것으로써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대처의 전화단말이 디스플레이를 갖는 것일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를 송신하고, 문자메시지에 의해 자기소개를 요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음성에 의한 자기소개메시지와 문자에 의한 자기소개메시지의 양편을,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착신이 사용자로 인식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응답 지시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대하여 자기소개가 요구되므로, 사용자는 확실히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로부터의 자기소개를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발신자측에서 송신되어 오는 자기소개를 청취하고,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장난전화나 잘못된전화 혹은 소망하지 않는 세일즈나 권유의 전화 등의 미혹전화의 경우에는, 통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미혹전화를, 미혹전화가 걸려지는 사용자측에 있어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발신자측에서 송신되어 오는 자기소개를 청취하고, 발신자가 통화하고 싶은 상대인 경우에 본응답지시를 입력함으로써, 바로 통신로를 형성하여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에 따라서 발신자측에서 송신되어 오는 자기소개를 청취하고, 발신자가 통화하고 싶지 않은 상대인 경우에 이행지시를 입력함으로써, 부재중 집지키는 전화모드로 이행하여 발신자측으로부터의 용건메시지를 기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자기소개 요구메시를 송신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발신자가 자기소개를 행하지 않고, 발신자측으로부터 자기소개의 음성신호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나, 불필요한 세일즈나 권유의 전화인 것이 명확히 된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회선개방 지시입력을 행함으로써, 전화회선을 폐결하고 자기소개를 행하지 않은 상대처와 통화하지 않고, 전화회선을 개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회선개방 지시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자기소개 요구메시지의 송출 후부터 소정 시간내에 발신자측으로부터의 자기소개가 없었던 경우에는, 폐결되어 있는 전화회선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위 무언전화 등의 장난전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전화단말마다 그 전화단말에 걸려오는 전화의 상황 등에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자기소개메시지를 송신한 후부터 발신자로부터의 자기소개를 기다리는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가응답 지시입력은 복수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행할 수 있게 되고, 확실히 전화를 걸어온 상대처에 대하여 자기소개요구를 송신하여 자기소개를 요구할 수 있고, 미혹전화를, 미혹전화가 걸려지는 사용자측에 있어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화단말에 의하면, 본응답 지시입력은 복수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행할 수 있게 되고, 발신처가 통화하여야할 상대인 경우에는, 확실하고 신속하게 통화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2)

  1.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신호를 통신하는 전화장치에 있어서,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서 상기 수신수단을 거쳐서 상기 정보신호로서 접속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접속요구정보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수신통지수단과,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 대한 메시지인 메시지정보를 기억하는 메시지기억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지시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입력수단과,
    상기 통지수단이, 상기 접속요구정보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고 있을 때에,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기억수단에 기억된 메시지정보를 상기 정보신호로서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로 향해서 상기 송신수단에 출력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 커뮤니케이션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정보신호로서 상기 접속요구정보와,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정보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송신수단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의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는, 전화장치 케이스체와, 수화기(handset)와를 또한 갖추고,
    적어도 상기 수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장치 케이스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은, 상기 수화기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화기가 상기 전화장치 본체에서 떨어진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수신수단, 상기 송신수단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 상기 커뮤니케이션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의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의 사이의 정보신호의 통신을 차단(disconnec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는, 시간을 재는 계시수단과,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서 상기 수신수단에 커뮤니케이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커뮤니케이션정보 검출수단과를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메시지 기억수단에 기억된 메시지정보가, 상기 송신수단에서 출력된 타이밍에서 상기 계시수단이 소정시간 계시하기까지,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 검출수단에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에서 커뮤니케이션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와 상기 전화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커뮤니케이션정보의 통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계시수단으로 계시하는 상기 소정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커뮤니케이션정보를 기억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억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조작장치에서 출력되는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조작신호 수신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명령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명령을 나타내는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음성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기억수단에 기억된 메시지정보는, 통신상대처의 전화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자기소개를 요구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KR1019990016303A 1998-05-14 1999-05-07 전화장치 KR19990088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31719 1998-05-14
JP10131719A JPH11331358A (ja) 1998-05-14 1998-05-14 電話端末および電話端末においての着信時の応答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105A true KR19990088105A (ko) 1999-12-27

Family

ID=1506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303A KR19990088105A (ko) 1998-05-14 1999-05-07 전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97766B1 (ko)
JP (1) JPH11331358A (ko)
KR (1) KR19990088105A (ko)
CN (1) CN12362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0959B1 (en) * 2000-03-10 2005-09-06 Nortel Networks Limited Remote broadcast of call announce and call screening information
FR2841016B1 (fr) * 2002-06-18 2004-09-10 Somfy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reseau d'elements de commande d'equipements
CN100531328C (zh) * 2005-08-05 2009-08-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拒听电话功能的电视装置及控制方法
JP4863837B2 (ja) * 2006-10-20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話装置
ITFO20100006A1 (it) * 2010-07-02 2012-01-02 Giorgio Cico Box telefonico detto interceptor
JP2012075066A (ja) * 2010-09-30 2012-04-12 Brother Ind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836385B1 (ko) * 2011-11-14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CN104301486A (zh) * 2013-07-18 2015-01-21 索尼公司 电子设备及通话控制方法
CN104660773B (zh) * 2015-03-09 2018-03-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骚扰电话处理方法和骚扰电话处理装置
JP2019097122A (ja) * 2017-11-27 2019-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応答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339804B2 (ja) * 2019-07-31 2023-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通信機器および制御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2751A (ja) 1986-03-25 1987-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迷惑防止機能付電話機
US4908845A (en) * 1986-04-09 1990-03-13 Joyce Communication Systems, Inc. Au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for verbally handicapped
US4734930A (en) * 1986-11-06 1988-03-29 Alvaro Quiros Voice recording apparatus
US4993060A (en) * 1988-02-23 1991-02-12 Kelly Gavan E Portable device for use by a news reporter
US5029198A (en) * 1990-01-17 1991-07-02 Geary A. Walpole Telephone call respon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5031205A (en) * 1990-04-23 1991-07-09 Stephen Phillips Auto response phone system
GB2248154A (en) * 1990-08-23 1992-03-25 William Campbell Donelson Telephone call screening device
JPH04262654A (ja) 1991-02-18 1992-09-18 Takakomu:Kk 留守番電話装置
US5189692A (en) * 1991-04-26 1993-02-23 George Ferrara Telephone operator simulator
US5454036A (en) * 1994-06-15 1995-09-26 Gleeman; Alan N. Attended messaging machine
US5717739A (en) * 1995-10-13 1998-02-10 Dyer; Dwayne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 operator to provide pre-recorded information to a customer
US5745562A (en) * 1995-12-27 1998-04-28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station voice announce device and method
US5850435A (en) * 1996-03-01 1998-12-15 U S West, Inc. Method for audible caller name announcement with call list feature
US5828742A (en) * 1996-08-02 1998-10-27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Caller discrimination within a telephone system
US5903628A (en) * 1996-11-12 1999-05-11 Northern Telecom Limited Caller information (CLID) controlled automatic answer feature for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97766B1 (en) 2003-07-22
JPH11331358A (ja) 1999-11-30
CN1236254A (zh)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1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r forwarding messages
WO2006133337A2 (en) Call logging and call logging notification at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gateway
KR19990088105A (ko) 전화장치
WO1999060765A1 (en) Call handling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s
JP2004328059A (ja) 簡易セキュリティ機能付きボタン電話システムおよび該ボタン電話システムを構成するボタン電話主装置
US20010016507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originator acknowledge function
JPH0750708A (ja) コードレ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747042B2 (ja) 電話音声記録機能による伝言送達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通信端末
CN101296456A (zh) 具有虚拟引导式通话功能的移动通话终端及其通话方法
JP3148547B2 (ja) 電話機
KR100468026B1 (ko)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S5977750A (ja) 着信アナウンス付電話転送装置
JPH09214599A (ja) 特定者着信方法および特定者着信機能付き電話機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20030056051A (ko) 발신자번호표시를 이용한 특정 번호 선택적 거부 방법 및그 방법을 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JPH1188511A (ja) 多機能電話機着信応答システム
JP2581960Y2 (ja) 被保留状態の解除機能を有するボタン電話装置及び構内交換機
JP2651694B2 (ja) 自動電話回線切替装置
KR19980084186A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걸려온 전화의 자동수신 방법
JPH03201756A (ja) 応答拒否サービス方式
JPH10164185A (ja) 端末機器での発呼者番号情報を利用した着信自動転送方法
JPS6271355A (ja) オンフツクダイヤル発信機能付電話機
JP2001053885A (ja) 不在応答システム
JPH08163210A (ja) 電話機及び発信者/受信者識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