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420A - 목적지호출 제어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승강기군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적지호출 제어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승강기군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420A
KR19990087420A KR1019980706839A KR19980706839A KR19990087420A KR 19990087420 A KR19990087420 A KR 19990087420A KR 1019980706839 A KR1019980706839 A KR 1019980706839A KR 19980706839 A KR19980706839 A KR 19980706839A KR 19990087420 A KR19990087420 A KR 1999008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roups
destination call
group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6518B1 (ko
Inventor
파울 프리들리
미로스라프 코스트카
쿠르트 쉬타인만
Original Assignee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6859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874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Publication of KR1999008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1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 B66B2201/232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where the time needed for a passenger to arrive at the allocated elevator car from where the call is made is taken into acc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1Shafts divided into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러한 수 개의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을 위한 제어에서, 승객은 이동 목적지를 임의의 원하는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에 원하는 층을 운행하는 승강기군 (G1 내지 G5) 을 알 필요없이 입력할 수 있다. 큰 건물들에서는, 개개의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에 의해 운행되는 층 영역들이 구조상의 이유로 명확히 살펴볼 수 없는 방식으로 서로의 옆에 배치되어, 승객이 승강기를 찾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다수군 제어는 항상 가장 적합한 승강기를 모든 사용가능한 승강기들 중에서 선택하고, 수 개의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에 의해 운행되는 층 영역들이 겹칠 때, 관련된 모든 승강기들 중에서 선택된다. 환승해야할 경우에, 연결 승강기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난다.

Description

목적지호출 제어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승강기군용 제어 시스템
예컨대, EP 356 731 을 통해 공지된 군제어 장비 (group control equipment) 등을 위하여 종래의 목적지호출 제어 뿐만 아니라 종래의 2-버튼 제어를 이용하면, 승객은 먼저 원하는 층을 운행하는 군을 찾아야 한다. 그런 후에만, 종래의 제어인 경우에, 적절한 업 (UP) 또는 다운 (DOWN) 층호출 또는, 목적지호출 제어인 경우의 목적지호출이 입력될 것이다. 사람들의 통행흐름이 목적지호출 군제어의 경우로 단순화되더라도, 적절한 승강기군을 찾아야 하는 것은 여전히 남아 있다.
승강기군을 위한 동적섹터할당 (dynamic sector allocation) 을 이용한 목적지호출 제어가 US 5 382 761 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경우에, 신규 목적지호출은 목적지층을 포함한 섹터를 운행하는 케이지 (cage) 에 할당되거나, 신규 목적지호출이 현재의 섹터 또는 목적지 층과 인접하여 있는 섹터와 아직 관련이 없는 케이지에 할당되어, 이것으로 확장된다. 그러한 경우에서의 제어는 이미 고정된 섹터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장 작은 섹터에 신규 목적지호출을 할당한다. 운행되는 섹터를 나타내는 개개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각 승강기 상에 배치된다.
동적섹터할당을 이용한 전술한 목적지호출 제어의 경우에, 승객은 원하는 목적지 층에 들어갈 수 있고, 그런 후 디스플레이를 참고하여 그 층을 운행하는 승강기를 찾아야만 한다. 수 개의 승강기들이 존재한다면, 특히 최다 통행 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주정류소 (main stop) 에 있을 때에는 정확한 승강기를 찾는 것은 어렵다. 게다가, 개개의 승강기군들이 서로 인접하여 승강 또는 하강 시퀀스로 배치되지 않을 때에 정확한 승강기를 찾는 것은 더욱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목적지호출 제어 (destination call control) 및 즉시할당 (immediate allocation) 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에 관한 것으로 모든 목적지호출 제어는 일반적인 다수군 제어로 결합된다.
큰 건물에서 사람들을 운송하는 종래의 해결책은 각각의 승강기군으로 운행되는 개개의 구역으로 건물을 분할하는 것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서 도시되고, 다음에서 더 면밀히 설명된다.
도 1 은 상이한 섹터들을 운행하는 승강기 장치의 주정류장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3 개의 승강기군을 이용한 승강기 장치의 주정류장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양면 승객 이송하는 3 개의 승강기군을 이용한 승강기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다수군 제어용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를 도시한다.
도 5 는 고층 건물에서 수 개의 승강기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필드를 갖는 승강기 케이지의 내부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7 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2 개의 디스플레이 필드를 갖는 승강기 케이지의 내부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목적지호출 제어를 이용한 승강기용 제어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를 두며, 목적지호출이 특정 승강기군에 할당되지 않은 임의의 원하는 호출 등록 장치에서 입력될 수 있고, 할당된 승강기는 명백하고 단순하게 승객을 인식한다.
본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 1 항에서 특징지워진 발명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점들은, 건물이 개개의 승강기군만이 운행되는 개개의 구역 (층영역) 으로 분할되는 것을 승객이 알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나타난다. 그와 동시에, 수 개 군의 승강기에 의해서 운행되는 층 영역을 알 필요가 없다. 수 개의 승강기군들에 의해서 운행되는 구역이 겹쳐질 때, 논의되는 모든 승강기들 중에서 그 선택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목적지호출 제어를 이용한 승강기에 대하여, 청구항 제 1 항에서 나타낸 다수군 제어에서의 장점과 신규성은 종속항들 (subclaims) 에서 상세히 기술된 방법들에 의해서 가능하다. 케이지가 또다른 승강기로 환승되어야 하는 층에 도착하기 전에, 승객들이 다른 승강기군 중 어느 승강기가 그들의 목적지호출과 관련되는지를 알고, 케이지를 떠난 후 승강기가 발견되는 방향을 안다. 환승층 (transfer storey) 상에서 목적지호출이 다시 입력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간을 벌 수 있게 되고, 승객이 몰리거나, 그와 연결된 상호 방해를 피할 수 있다.
도 1 은 상이한 섹터들을 운행하는 4 개의 승강기군들을 이용하여 승강기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승강기군은 하나 이상의 승강기들로 구성된다. 건물에서, 섹터들은, 예컨대, 다음의 승강기군들에 할당된다: 하나의 승강기군 G1 은 1 층 내지 6 층을 운행하고, 승강기군 G2 는 1 층, 및 7 층 내지 9 층을 운행하고, 승강기군 G3 는 1 층, 및 10 층 내지 13 층을 운행하고, 승강기군 G4 는 1 층, 및 14 층 내지 20 층을 운행한다. 도착 승객은 군 (G1, G2, G3 및 G4) 에 할당된 섹터들을 이제 알 필요가 없으며, 또한 목적지 층을 운행하는 그룹 (G1, G2, G3 및 G4) 에 직접 원하는 이동 목적지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그는 군들 (G1, G2, G3 및 G4) 에 인접하게 배치된, 임의의 원하는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를 이용하여 모든 이동 목적지에 탭 (tap) 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승강기 (A, B, C 내지 Z) 는 즉시 승객에게 디스플레이 장치 (DS) 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지게 된다. 승강기들 (A, B, C 내지 Z) 은 승강 또는 하강 시퀀스로 배치된 라틴 문자 또는 숫자들로 편리하게 식별된다. 그러한 경우에, 모든 승강기들 (A, B, C 내지 Z) 은 알파벳순으로 배치된 문자들 또는 숫자들에 의해, 운행되는 층 영역들과 무관하게 나타내어진다. 할당된 승강기가 각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로부터 명백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승강기들이 식별된다.
상기 해결책은 작동하기가 매우 간단하고, 승객이 원하는 승강기 (A, B, C 내지 Z) 를 찾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승객흐름이 곧 풀리고, 가속화된다. 따라서, 주정류장에서 특히, 최다 통행 시간 동안에도, 공간을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다.
도 2 는 각각 상이한 섹터들을 운행하는 3 개의 승강기군을 갖는 승강기 장치의 주정류장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예컨대, 제 1 군 (G1) 의 승강기들은 1 층 내지 10 층을 운행하고, 제 2 군 (G2) 의 승강기들은 1 층 및, 21 층 내지 30 층을 운행하고, 제 3 군 (G3) 의 승강기들은 1 층 및, 11 층 내지 20 층을 운행한다.
빈번하게, 큰 건물들에서 개개의 승강기군들 (G1, G2 및 G3) 로 운행되는 층 영역들은 구조상의 문제들로 인해, 승강 또는 하강 시퀀스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는다. 특히, 그런 건물들에서 승객이 원하는 승강기를 찾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이런 경우에도, 임의의 원하는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에 목적지 층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다수군 제어는 항상 모든 이용가능한 승강기들 중에서 가장 적합한 승강기를 선택하고, 수 개의 승강기군들 (G1, G2 및 G3) 에 의해 운행되는 층 영역이 겹칠 때에 관련된 모든 승강기들 중에서 선택이 이루어진다. 도 1 과 관련된 설명에서, 가장 적합한 케이지는 즉시 승객의 목적지호출에 할당되어, 승객들에게 디스플레이 장치 (DS) 상에서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러한 군 배치에서, 또한 각 승강기 케이지는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라틴 문자 또는 숫자를 승강 또는 하강 시퀀스로 제공한다.
도 3 은 승강기군들의 배치를 도시하며, 승강기 로비들이 양면에서 접근할 수 있고, 예컨대, 거울상 (mirror image) 으로 배치된 에스컬레이터들 (FT) 을 통하여 승객들이 주정류장에 도착한다. 경험에 의하면, 보통 다른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승객들이 처음에 승강기군에서 잘못된 방향을 선택한다. 상기 문제는 다수군 제어로 유사하게 해결할 수 있다; 승객은 임의의 원하는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에서 이동 목적지를 먼저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DS) 는 또한, 할당된 승강기의 방향에서 나타내는 화살표를 포함한다.
도 4 는 다수군 제어용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를 도시한다. 각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는 키보드 예컨대, 10 진 키보드 (decade keyboard) 와, 디스플레이 장치 (DS) 로 제공된다.
군들 (G1, G2 및 G3) 의 모든 목적지호출 제어는 하나의 중앙 다수군 제어로 접속된다. 개개의 접속이 통신 케이블 (버스) 또는, 송신기나 수신기를 이용한 무선으로 실현될 수 있다. 개개의 목적지호출 제어들이 직접 통신 케이블들 (버스) 또는, 송신기나 수신기를 이용한 무선으로 접속되고, 군 목적지호출 제어들 중 하나가 다수군 기능을 인수할 가능성이 또한 존재한다.
다수군 제어가 이제 관련된 모든 승강기들 (A, B, C 내지 Z) 중에서, 수 개의 섹터들이 겹치더라도, 가장 적합한 승강기를 식별한다.
목적지호출 제어의 원리는 먼저, 수 개의 승강기군을 제어하여 승객이 목적지층을 임의의 원하는 10 진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에서 입력할 수 있게 한다. 건물 (건물 영역) 내의 모든 승강기들은 따라서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다수군 제어는 원하는 층을 운행하는 최상의 승강기를 선택한다. 입력된 층 번호를 인식한 직후에 승객은 그에게 할당된 승강기의 승강기 목적지 ("A", "B" 등) 를 디스플레이 장치 (DS) 상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화살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 (DS) 상에서 부가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화살표는 승강기 도어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다수군 제어는 가장 적합한 승강기 예컨대, EP 301 173 (서비스 비용 최적화) 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승강기를 선택하는 처리를 최적화함으로써 작동한다. 게다가, 접근 경로들이 개별적으로 다수군 제어에서 "승강기 도어에서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까지의 각 거리를 위한 계산에 포함되며, 이것은 승객들의 대기 시간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수 개의 군들 중에서 승강기들을 선택하는 것은 상이한 군들에 의해 운행되는 층들과 주정류장에서만 가능하다.
더 변형시킴에 따라, 목적지호출 입력은 또한 암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해당 문의 후에, 주로 공중 및 전자 송신부로 수신된 정보 송신기가 데이터를 인식 장치로 송신한다. 이러한 데이터가 원하는 목적지 층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포함하거나, 승강기 이용자의 식별용으로 이용되고, 따라서 정보의 항목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인식 장치 및 정보 송신기 사이의 통신은 예컨대, 라디오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수신된 데이터를 참고하여, 목적지 층이 처리 장치에서 구해지고, 다수군 제어에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에, 목적지호출 입력 처리가 자동적으로 접촉없이 이루어진다. 승객은 이제 군과 무관하게, 그의 호출을 지원하는 승강기에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도 5 에서, 높은 건물 (6) 에 배치된 승강기군들 (G1, G2, G3, G4 및 G5) 의 승강기 통로들이 1, 2, 3, 4 및 5 로 지정됨에 있어서, 관련된 승강기군의 단지 하나의 승강기 통로만이 매시간 도시된다. 승강기 통로들에서, 케이지들 (K1, K2, K3, K4 및 K5) 이 인도되어, 상기 승강기군들에 할당된 특정층 영역을 운행할 수 있다. 승강기군 G1 의 케이지 K1 은 주정류장 (HH) 아래에 있는 층들 뿐만 아니라, 주 정류장 HH 예컨대, 1 층에 의해 형성된 주 정류장과 제 1 환승층 (US1) 사이로 연장되는 제 1 층 영역을 운행한다. 승강기군 G2 의 케이지 K2 는 주정류장 (HH) 과, 제 1 환승층 (US1) 및 제 2 환승층 (US2) 사이로 연장된 제 2 층 영역을 운행하는 반면, 제 1 층 영역은 운행되지 않는다 (도 5 에서 빗금쳐서 식별). 승강기군 G3 의 케이지들 K3 에 의해 운행되는 제 3 층 영역은 제 2 환승층 (US2) 과 제 3 환승층 사이로 연장된다. 제 4 층 영역은 제 3 환승층 (US3) 및 최고층 (OS) 사이로 연장되며, 승강기군 G4 의 케이지 K4 로 운행된다. 승강기군 G5 의 케이지 K5 는 주정류장 (HH) 아래에 있는 층들 뿐만 아니라, 주 정류장을 운행하는 반면, 그 사이에 있는 층들을 운행하지 않는다 (도 5 에서 빗금쳐서 식별).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은 다수군 제어들에 의해 제어된다. 유사하게, 호출-등록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층들 상에 배치됨으로써, 원하는 목적지층들을 위해 장치호출이 입력될 수 있다. 호출 입력 직후에, 목적지층을 위해 선택된 가장 적합한 승강기의 식별 (예컨대, 문자 형태) 과 호출 입력 위치에 대한 선택된 승강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가 호출-등록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필드에 나타내어진다.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의 목적지호출 제어들은 함께 접속되어 다수군 제어로 결합되고, 원하는 목적지층을 위한 호출의 기입시에 상기 호출을 위해 가장 적합한 승강기가 동일한 층을 운행하는 모든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의 승강기들 중에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6 및 7 에서, 환승층 상의 정류장에서 케이지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승강기군의 케이지들을 도시한다. 또다른 승강기군의, 승강기 문자들을 갖는 표시판을 이용하여 식별되는 통로문 (9 및 10) 이 열려진 케이지 도어 (7) 를 통해 보여진다. 도 6 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EP-B 0 320 583 에 의해 유사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의 디스플레이 필드 (11) 가 승강기군들의 케이지에 배치되는 반면, 케이지 도어 (7) 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2 개의 디스플레이 필드들 (12 및 13) 이 도 7 에 따라서 제공된다. 승강기군의 디스플레이 필드들 (11, 12 및 13) 은 각각 다른 승강기군의 목적지호출 제어와 공통 환승층을 갖고 접속된다. 환승층의 번호, 승강기에 의해 운행될 수 없는 목적지층의 번호 형태의 모든 목적지호출 및, 상기 목적지호출과 관련되며, 방향 화살표들이 제공되는 문자들에 의해 식별되는 승강기들이 디스플레이 필드들 (11, 12 및 13) 에서 표시된다. 도 6 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런 경우에, 목적지호출 및 승강기의 모든 관련 사항들이 디스플레이 필드 (11) 에서 표시되는 반면, 도 7 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케이지 도어 (7) 의 우측에 있는 승강기에 할당된 목적지호출은 디스플레이 필드 (12) 의 우측에 표시되고, 케이지 도어 (7) 의 좌측에 있는 승강기에 할당된 목적지호출은 디스플레이 필드 (12) 의 좌측에 표시된다.
예컨대, 제 5 승강기군 (G5) 의 케이지 (K5) 가 주정류장 (HH) 에서 입력된 37, 38, 53 및 56 층 (도 6) 의 목적지호출이 할당되는 것을 가정한다. ` 관련된 케이지 (K5) 에 있는 승객들은 따라서, 환승층 US3 이전에, 53 층 및 56 층은 승강기군 G4 의 승강기 A 가 이용되어야 하고, 또는 37 층 및 38 층은 승강기군 G3 의 승강기들 K 가 이용되어야 한다는 것조차 알게 된다. 승강기군들 G4 및 G3 에서 선택된 승강기들의 관련사항들 각각이 승객들에게는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승강기들의 식별이 군 관련사항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Claims (8)

  1.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G1 내지 G5) 제어로서, 상기 호출이 목적지호출 입력 장치 (TE) 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정보 송신기 및 인식 장치에 의해 접촉없이 자동적으로 입력되고, 상기 할당된 승강기가 디스플레이 장치 (DS) 상에 알려지거나 청각적으로 알려지는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에 있어서, 모든 목적지호출 제어들이 공통의 다수군 제어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군 제어가 모든 군들 (G1 내지 G5) 중 관련되는 모든 승강기들 중에서 가장 적합한 승강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G1 내지 G5) 제어.
  2. 제 1 항에 있어서, 군 (G1 내지 G5) 의 개개의 승강기들의 제어들이 군제어에 접속되고, 그런 후, 상기 군제어들이 중앙 다수군 제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3. 제 1 항에 있어서, 군 (G1 내지 G5) 의 개개의 승강기들의 제어들이 군제어로 접속되고, 군 제어들 중 하나가 부가적으로 다수군 제어 기능을 인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들의 접속들이 통신 케이블 (버스) 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들의 접속들이 송신기 및 수신기에 의해서 무선으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군 제어와 접속된 상기 승강기들은 승객들이 일정한 목적지들을 명백하게 인식하도록 제공되며, 특히 A 내지 Z 의 라틴 문자들을 승강 또는 하강 시퀀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필드 (11) 가 승강기군들 (G1 내지 G5) 의 케이지들 (K1 내지 K5) 에 배치되며, 관련된 케이지에 의해 운행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승강기군으로 통과된 모든 목적지호출들과 상기 다른 승강기군에 관련되어 선택된 승강기와 그들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8. 제 7 항에 있어서, 2 개의 디스플레이 필드들 (12, 13) 이 상기 케이지들 (K1 내지 K5) 에서 제공되고, 케이지 도어 (7) 우측 및 좌측 옆에 배치되어서, 상기 케이지 도어 (7) 의 우측에 있는 승강기와 관련된 상기 목적지호출이 상기 우측 디스플레이 필드 (12) 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케이지 도어 (7) 의 좌측에 있는 승강기와 관련된 상기 목적지호출이 상기 좌측 디스플레이 필드 (13) 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호출 제어 및 즉시할당을 이용한 수 개의 승강기군 제어.
KR10-1998-0706839A 1996-04-03 1997-02-18 목적지호출제어시스템을갖는복수의승강기군용제어시스템 KR100476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86696 1996-04-03
CH866/96 1996-04-03
EP96810728.4 1996-11-01
EP96810728 1996-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20A true KR19990087420A (ko) 1999-12-27
KR100476518B1 KR100476518B1 (ko) 2005-05-16

Family

ID=2568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839A KR100476518B1 (ko) 1996-04-03 1997-02-18 목적지호출제어시스템을갖는복수의승강기군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065570A (ko)
EP (1) EP0891291B1 (ko)
JP (1) JP4187792B2 (ko)
KR (1) KR100476518B1 (ko)
CN (1) CN1093834C (ko)
AT (1) ATE193694T1 (ko)
AU (1) AU727288B2 (ko)
BR (1) BR9708759B1 (ko)
CA (1) CA2251143C (ko)
DE (1) DE59701849D1 (ko)
ES (1) ES2149569T3 (ko)
HK (1) HK1018609A1 (ko)
ID (1) ID16526A (ko)
MY (1) MY119168A (ko)
TW (1) TW423527U (ko)
WO (1) WO1997037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03B1 (ko) * 2013-03-25 2015-03-20 코리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200001299B (en) * 1999-04-01 2000-10-20 Inventio Ag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a transportation system.
JP2000335839A (ja) * 1999-04-22 2000-12-05 Inventio Ag 輸送システム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
JP4870863B2 (ja) * 2000-04-28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最適管理方法、及び最適管理システム
JPWO2003000579A1 (ja) * 2001-06-25 2004-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EP1270486B1 (de) * 2001-06-29 2018-01-03 Inventio AG Verfahren zur Auswahl des günstigsten Weges mit Umsteigen der Kabinen bei mehreren Aufzugsgruppen
US6655501B2 (en) * 2001-06-29 2003-12-02 Inventio Ag Method for selection of the most favorable elevator of an elevator installation comprising at least two elevator groups
FI112792B (fi) * 2001-08-14 2004-01-15 Kone Corp Hissin matkustajalle informatiivinen kerrosnumeronäyttö kerroksesa ja korissa
FI112062B (fi) * 2002-03-05 2003-10-31 Kone Corp Menetelmä matkustajien allokoimiseksi hissiryhmässä
WO2004058616A1 (en) * 2002-12-30 2004-07-15 Otis Elevator Company Core space saving through intergroup communication
SG137672A1 (en) 2003-04-25 2007-12-28 Inventio Ag Device with movable door seal for a displaceable door panel of a lift installation and a lift installation with such a device
DE502004010757D1 (de) 2003-06-27 2010-04-01 Inventio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m Zonenbetrieb betriebenen Aufzugsgruppe
US7040458B2 (en) * 2003-06-27 2006-05-09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destination protocol control with flexible user interface
EP1491481B1 (de) * 2003-06-27 2010-02-17 Inventio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m Zonenbetrieb betriebenen Aufzugsgruppe
WO2005019084A1 (en) * 2003-08-11 2005-03-03 Otis Elevator Company Correlating elevators destination floors with elevators serving those floors by means of color
US7559408B2 (en) * 2004-05-19 2009-07-14 Otis Elevator Company Correlating sounds to elevators serving destination floors
EP1666398B1 (de) 2004-12-01 2013-06-19 Inventio AG Verfahren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in einem Gebäude
EP1666399B1 (de) * 2004-12-01 2012-10-31 Inventio AG Verfahren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in einem Gebäude
FI117009B (fi) * 2005-03-08 2006-05-15 Kone Corp Opastusjärjestelmä
US7921968B2 (en) * 2005-03-18 2011-04-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raffic control including destination grouping
US8177036B2 (en) * 2005-07-18 2012-05-15 Otis Elevator Company Communication of elevator reassignment information in a group elevator system
JP2009502691A (ja) 2005-08-04 2009-01-29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ユーザ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へと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
JP4881955B2 (ja) * 2005-11-16 2012-02-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行き先入力付き群式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エレベータ乗場備品の割付け
WO2007061422A1 (en) * 2005-11-28 2007-05-31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entry elevator system including elevators with multiple doors
FI118381B (fi) 2006-06-19 2007-10-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EP1970342A1 (de) * 2007-03-15 2008-09-17 Inventio Ag Anzeigevorrichtun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für ein Aufzugsystem
WO2009024853A1 (en) *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ES2578524T3 (es) * 2008-01-17 2016-07-27 Inventio Ag Procedimiento para la asignación de llamadas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e instalación de ascensor con una asignación de llamadas según este procedimiento
JP4663762B2 (ja) * 2008-06-23 2011-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ES2382834T3 (es) 2008-07-31 2012-06-13 Inventio Ag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con opciones específicas de usuario
JPWO2010032625A1 (ja) * 2008-09-19 2012-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装置
FI121009B (fi) * 2008-10-24 2010-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FI20080640L (fi) * 2008-11-28 2010-05-29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WO2010095220A1 (ja) * 2009-02-18 2010-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I121881B (fi) * 2009-11-24 2011-05-31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ryhmän modernisoimiseksi
JP5260484B2 (ja) * 2009-12-21 2013-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ー
CN102753464B (zh) * 2010-02-19 2016-06-22 奥的斯电梯公司 结合重定向器信息的电梯调度系统中最佳群选择
KR101651533B1 (ko) * 2010-02-26 2016-08-2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그룹 스코어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방법
JP5273567B2 (ja) * 2010-04-20 2013-08-2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行先階登録装置
EP2669231A4 (en) * 2011-01-26 201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CN102556783A (zh) * 2011-07-12 2012-07-11 江苏镇安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分区的电梯交通预测群控方法及其监测实现
KR101617559B1 (ko) * 2011-11-28 2016-05-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FI124013B (fi) * 2012-11-14 2014-01-31 Kone Corp Menetelmä, järjestely ja hissijärjestelmä
WO2015124826A1 (en) * 2014-02-20 2015-08-27 Kone Corporation Displaying information in elevator arrangement
US10569991B2 (en) 2014-11-13 2020-02-2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overlay system
CN107200245B (zh) * 2016-03-16 2021-05-0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多轿厢电梯的乘客引导系统
US10155639B2 (en) 2016-06-08 2018-12-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notice system
JP6781110B2 (ja) * 2017-06-26 202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ゲート連動システム及び群管理制御方法
AU2018386879B2 (en) * 2017-12-21 2021-12-09 Inventio Ag Method and elevat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s on the basis of destination calls
EP3598259B1 (en) * 2018-07-19 2021-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00087105A1 (en) * 2018-09-14 2020-03-1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transportation by providing passenger handoff between a plurality of elevators
KR200491164Y1 (ko) 2019-08-28 2020-02-26 송찬호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8001A5 (de) * 1979-12-21 1985-02-28 Inventio Ag Gruppensteuerung fuer aufzuege.
CA1315900C (en) * 1988-09-01 1993-04-06 Paul Friedli Group control for lifts with immediate allocation of target cells
AU5702290A (en) * 1989-06-12 1990-12-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system
JP2664782B2 (ja) * 1989-10-09 1997-10-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FI88789C (fi) * 1990-05-10 1993-07-12 Kone Oy Foerfarande foer val av en hiss i en hissgrupp
FI98362C (fi) * 1991-07-16 1997-06-10 Kone Oy Menetelmä hissiryhmän modernisoimiseksi
ATE121051T1 (de) * 1991-09-27 1995-04-15 Inventio Ag Auf den stockwerken angeordnete rufregistrier- und anzeigeeinrichtungen für aufzüge.
US5317114A (en) * 1991-11-27 1994-05-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dynamic sector assignments
JP3175264B2 (ja) * 1992-01-30 2001-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GB2290885B (en) * 1992-05-15 1996-05-08 Hitachi Ltd Elevator system
US5300739A (en) * 1992-05-26 1994-04-05 Otis Elevator Company Cyclically varying an elevator car's assigned group in a system where each group has a separate lobby corridor
JP3551618B2 (ja) * 1996-05-20 2004-08-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H09315708A (ja) * 1996-05-29 1997-12-09 Otis Elevator Co 群管理エレベー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03B1 (ko) * 2013-03-25 2015-03-20 코리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8759B1 (pt) 2009-05-05
WO1997037922A1 (de) 1997-10-16
CN1214025A (zh) 1999-04-14
ID16526A (id) 1997-10-09
ES2149569T3 (es) 2000-11-01
HK1018609A1 (en) 1999-12-30
AU727288B2 (en) 2000-12-07
EP0891291A1 (de) 1999-01-20
JP2000507908A (ja) 2000-06-27
JP4187792B2 (ja) 2008-11-26
BR9708759A (pt) 1999-08-03
CA2251143C (en) 2006-07-11
KR100476518B1 (ko) 2005-05-16
ATE193694T1 (de) 2000-06-15
CA2251143A1 (en) 1997-10-16
EP0891291B1 (de) 2000-06-07
US6065570A (en) 2000-05-23
CN1093834C (zh) 2002-11-06
MY119168A (en) 2005-04-30
TW423527U (en) 2001-02-21
DE59701849D1 (de) 2000-07-13
AU1587797A (en)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420A (ko) 목적지호출 제어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승강기군용제어 시스템
JP5091875B2 (ja) 呼びに関連するエレベータかご識別
EP1910206B1 (en) Communication of elevator reassignment information in a group elevator system
US82057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destination calls in elevator system
US7036635B2 (en) System and display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elevator passengers
US7559408B2 (en) Correlating sounds to elevators serving destination floors
AU2013254885A1 (en) Method, call-giving device, elevato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733104B1 (en) Method, arrangement and elevator system
US20130248300A1 (en) Elevator system
CN107108149B (zh) 通过电梯控制装置处理呼叫输入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电梯设备
US864083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dernizing an elevator group
CN1286205A (zh) 为视力有障碍者在升降机方面提供上升引导
JPH06321445A (ja) エレベータ
US7322446B2 (en) Elevator call assignment indications for multiple elevators in each of a plurality of elevator hoistways
JP2712972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337368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819323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KR100497183B1 (ko) 빌딩내의 엘리베이터 정보장치
KR20230171208A (ko) 다중 엘리베이터 그룹 환승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000052085A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