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64Y1 -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 Google Patents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64Y1
KR200491164Y1 KR2020190003574U KR20190003574U KR200491164Y1 KR 200491164 Y1 KR200491164 Y1 KR 200491164Y1 KR 2020190003574 U KR2020190003574 U KR 2020190003574U KR 20190003574 U KR20190003574 U KR 20190003574U KR 200491164 Y1 KR200491164 Y1 KR 200491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image
wall surface
interior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찬호
Original Assignee
송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찬호 filed Critical 송찬호
Priority to KR2020190003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창문이 없는 실내 벽면에 가상의 창문 이미지를 화분과 함께 장식함으로써 벽체의 개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실내 장식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 형상을 이루어 실내 벽면(100)에 구비되는 창문 이미지부(10)와; 상기 창문 이미지부(10)의 하부에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20)와; 상기 화분 받침대(20)상에 안착 구성되는 화분(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INTERIOR WALL DECORATED WITH WINDOW-SHAPED POTS}
본 고안은 화분을 이용한 실내 벽면장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벽면에 창문 그림과 함께 화분을 설치하여 폐쇄 벽면의 개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실내 장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흙·돌·물·나무 등의 자연재료와 인공물 및 건축물에 의해 미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특정한 구역을 말하는데, 그 구성 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테라스, 벤치, 잔디와 지피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 등이 있다.
그리고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한다. 정원은 주거문화의 반영일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원은 실외 또는 실내에 많이 설치되는 것으로, 비용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크기 이상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실내에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 공간 활용 및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식물이 벽면에 배치되는 형태의 벽멱녹화용 화분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실내 화분장치는 창문이 없는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폐쇄성으로 인해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76518호(2015.03.0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17508호(2018.01.05.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제로는 창문이 없는 실내 벽체에 가상의 창문 그림을 화분과 함께 구성시킴으로써 폐쇄 벽면의 개방감 및 실내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 형상을 이루어 실내 벽면에 구비되는 창문 이미지부와; 상기 창문 이미지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와; 상기 화분 받침대상에 안착 구성되는 화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문 이미지부는 실내 벽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실사 사진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분 받침대는 고정앵글 및 앵커볼트에 의해 실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구조는, 실제로는 창문이 없는 실내 벽면에 가상의 창문 이미지를 화분과 함께 장식함으로써 벽체의 개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실내 장식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벽면 장식 구조체 분리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 벽면 장식 구조체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내 벽면 장식 구조체 설치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내 벽면 장식 구조체의 실사 사진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식 구조체 분리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식 구조체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식 구조체 분리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식 구조체 설치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응용 예에 따른 창문 이미지부 부분 단면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응용 예에 따른 끼움링 부품 상세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실내 벽면 장식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창문 형상을 이루어 실내 벽면(100)에 구비되는 창문 이미지부(10)와, 상기 창문 이미지부(10)의 하부에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20)와, 상기 화분 받침대(20)상에 안착 구성되는 화분(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창문 이미지부(10)는 실내 벽면(100)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도 3에서와 같은 일러스트 이미지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실사 사진을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받침대(20)는 고정앵글(21) 및 앵커볼트(22)에 의해 실내 벽면(10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화분(30)은 인조화분 또는 실제의 생화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제 창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창문 이미지부(10)에 커텐 등의 구성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커텐 역시 가상의 이미지 형태로 구비하거나 또는 실제 커텐을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실내 벽면 장식 구조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내 벽면 장식 구조는 실제 화분(20)이 벽면에 배치되는 가운데, 화분(20)의 배경으로 창문 이미지부(10)를 통해 창문이 나타내어지게 됨으로써 벽면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즉, 실제 창문과 유사한 그림 또는 사진으로 이루어진 창문 이미지부(10)를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실내 개방감을 느끼게 해 주는 가운데, 이러한 창문 앞쪽에 화분(20)이 화분 받침대(20)와 함께 입체적인 설치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실내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창문 이미지부(10)는 일러스트(그림) 벽지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실사(사진) 벽지를 벽면(100)에 부착시킴으로써, 사실적인 창문 이미지가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창문이 없는 실내 벽면에 가상의 창문 이미지를 화분과 함께 장식함으로써 벽체의 개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실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내 벽면(100)에는 조도 조절을 위한 LED램프(40)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별도의 조절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거나 시간 타이머에 의한 LED램프(40)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창문 이미지부(10)의 배경 조명을 통한 장식 효과가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시간에 따라 밝기 및 색상의 자동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창문 이미지부(10)를 통해 태양의 일출 또는 일몰시 석양이 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내 벽면(100)에는 송풍팬(50)이 구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창문 이미지부(10)에는 바람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50) 전면에는 창문 이미지부(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철망(60)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송풍팬(50) 구동에 따른 바람이 통공(11)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화분(30)의 꽃이 흔들리면서 실외로 부터 창문을 통해 바람이 불어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화분(30)의 꽃 향기가 실내에 퍼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철망(60)에 의한 창문 이미지부(10)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과 함께 송풍팬(50)에 의한 창문 이미지부(10)의 마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응용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창문 이미지부(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에는 링 형상으로 성형 제작된 끼움링(12)이 각각 끼워져 구성된다.
이때, 끼움링(12)은 실리콘 40~60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0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30중량%, 이산화티탄 미립자 10~2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10중량%, 알파텍스트린 1~10중량%, 불소수지 1~5중량%의 비율로 혼합조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탄력성 재질의 끼움링(12)으로 인해 통공(11) 형상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바람의 유동 공간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끼움링(12)은 탄력성의 실리콘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성분 외에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열변형이 방지되고, 이산화티탄 미립자는 끼움링(12)의 내구성을 강화하여 형상 변형 내지는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알파텍스트린은 이산화티탄 미립자의 뭉침현상을 방지하고, 불소수지는 끼움링(12)의 표면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통공(11)과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창문 이미지부(10)를 이루는 창문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다른 실시 예로 제시된 구성은 필요에 따라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창문 이미지부 20 : 화분 받침대
21 : 고정앵글 22 : 앵커볼트
30 : 화분 100 : 벽면

Claims (5)

  1. 창문 형상을 이루어 실내 벽면(100)에 구비되는 창문 이미지부(10);
    상기 창문 이미지부(10)의 하부에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20); 및
    상기 화분 받침대(20)상에 안착 구성되는 화분(30)을 포함하되,
    상기 실내 벽면(100)에는 송풍팬(50)이 구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창문 이미지부(10)에는 바람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1)에는 끼움링(12)이 끼워져 구성되되, 상기 끼움링(12)은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산화티탄 미립자, 프로필렌글리콜, 알파텍스트린, 불소수지의 혼합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문 이미지부(10)는 실내 벽면(100)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실사 사진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분 받침대(20)는 고정앵글(21) 및 앵커볼트(22)에 의해 실내 벽면(1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50)의 전면에는 창문 이미지부(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철망(6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5. 삭제
KR2020190003574U 2019-08-28 2019-08-28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KR200491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74U KR200491164Y1 (ko) 2019-08-28 2019-08-28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74U KR200491164Y1 (ko) 2019-08-28 2019-08-28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64Y1 true KR200491164Y1 (ko) 2020-02-26

Family

ID=6963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574U KR200491164Y1 (ko) 2019-08-28 2019-08-28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6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20Y1 (ko) * 2001-05-09 2001-10-15 오임춘 실내장식용 창문형 인테리어 벽지
KR200345831Y1 (ko) * 2003-12-31 2004-03-25 영 신 김 조명기구가 내장된 선반
KR200360364Y1 (ko) * 2004-02-07 2004-08-30 이용식 이미지 창문
KR100476518B1 (ko) 1996-04-03 2005-05-16 인벤티오 아게 목적지호출제어시스템을갖는복수의승강기군용제어시스템
KR20170046117A (ko) * 2017-04-18 2017-04-28 김남수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1817508B1 (ko) 2015-11-09 2018-01-11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18B1 (ko) 1996-04-03 2005-05-16 인벤티오 아게 목적지호출제어시스템을갖는복수의승강기군용제어시스템
KR200245120Y1 (ko) * 2001-05-09 2001-10-15 오임춘 실내장식용 창문형 인테리어 벽지
KR200345831Y1 (ko) * 2003-12-31 2004-03-25 영 신 김 조명기구가 내장된 선반
KR200360364Y1 (ko) * 2004-02-07 2004-08-30 이용식 이미지 창문
KR101817508B1 (ko) 2015-11-09 2018-01-11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20170046117A (ko) * 2017-04-18 2017-04-28 김남수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143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CN104912454A (zh) 空气净化窗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US20150313094A1 (en) Modular microenvironment tile
KR101547646B1 (ko) 포켓형 버티칼 팜
KR200491164Y1 (ko)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US6202349B1 (en) Winding device, and a vessel incorporating advantages of a flower-arranging vase, a flower-pot, and an artificial-flower basket
KR20080097302A (ko) 벽면 조경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011377B1 (ko)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KR200166815Y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분받침대
KR20130013098A (ko) 이끼를 이용한 액자
KR101510956B1 (ko) 벽걸이 화분프레임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KR20100004465U (ko)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20150002601U (ko) 수직형 실내 조경장치
CN203692034U (zh) 空中垂挂栽培花盆及采用该花盆的吊灯花盆组合
KR200437492Y1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0338832Y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JPH1136122A (ja) 観賞用人造植物
KR100886646B1 (ko) 이동 가능한 실내외 정원플랜트
KR200210383Y1 (ko) 벽등화분받침대
CN212232308U (zh) 植物墙装置
JP2000270678A (ja) 植物育成,観賞用電気スタンド兼装飾器具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