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303B1 -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303B1
KR101504303B1 KR1020130031670A KR20130031670A KR101504303B1 KR 101504303 B1 KR101504303 B1 KR 101504303B1 KR 1020130031670 A KR1020130031670 A KR 1020130031670A KR 20130031670 A KR20130031670 A KR 20130031670A KR 101504303 B1 KR101504303 B1 KR 10150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mmunication protocol
signal
protoco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733A (ko
Inventor
유재혁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코리아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13003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30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66B2201/4646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탑승부와 원격에 위치하는 기계실에 설치되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운행 제어 장치; 기계실에 설치되고, 운행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며, 분석의 결과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엘리베이터의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른 전원 스위칭을 통해 엘이디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션 센서, 및 엘이디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ELEVATOR CENTRAL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대부분의 건물에는 사람이나 화물의 이송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층 건물이나 용적률이 큰 건물 내에는 다수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횟수 및 시간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사람의 수 및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사용자를 이송하는 기능만을 지닌 엘리베이터가 아닌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엘리베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1-125425호(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공개일: 2011년 11월 21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위한 신호의 통신 기반인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와 상관 없이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중앙에서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되 다양한 국가의 언어에 대한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탑승자(예: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외국인 등)의 엘리베이터 사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와 원격에 위치하는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운행 제어 장치;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운행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엘리베이터의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른 전원 스위칭을 통해 엘이디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엘이디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은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성 인식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의한 음성 인식 과정 및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제어부; 상기 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미리 설정된 음성 인식 정보를 저장한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 상기 표시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음성 인식 시각 표시부; 및 상기 표시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청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치는 제조사별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토콜 테이블; 상기 운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프로토콜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운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에 전송하는 프로토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 장치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의 구동에 연동하여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는 경도를 높이기 위한 보호코팅층을 구비하되, 상기 보호코팅층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 35중량부,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 20중량부,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위한 신호의 통신 기반인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와 상관 없이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중앙에서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음성을 인식하되 다양한 국가의 언어에 대한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탑승자(예: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외국인 등)의 엘리베이터 사용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에 채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성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로토콜 변환 장치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에 채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0)는 건물의 일측에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100)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홀(1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홀(110)에는 사각형상의 엘리베이터 탑승부(120)가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홀(110)의 일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100)를 호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1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150)이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150)에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층 선택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는 다수의 층 선택 버튼(1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탑승을 원하는 승객은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140)을 눌러 상기 엘리베이터(100)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호출된 엘리베이터(100)에 탑승한 승객은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120)의 내측에 설치된 층 선택 버튼(160)을 눌러 자신이 원하는 층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150)은 상기 층 선택 버튼(160)을 통해 승객(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층 선택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150)은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120)의 내측에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명 장치와 광고 표시 장치가 더 설치된다.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광고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200)은 음성 인식 장치(210), 운행 제어 장치(220), 프로토콜 제어 장치(230), 조명 장치(240) 및 광고 표시 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도 1의 "160" 참조)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하나의 언어만을 인식할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국가의 언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탑승자가 있으면 음성 인식을 위한 다국어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상기 다국어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상기 탑승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다국어 음성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어느 나라의 언어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장치(21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탑승부(도 1의 "120" 참조)와 원격에 위치하는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도 1의 음성 인식 장치(210)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는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310), 음성 안내부(320), 음성 입력부(330), 음성 인식 제어부(340) 및 메인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31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에 필요한 음성 인식 명령어, 각 나라의 음성 정보(다국어 음성 정보), 다국어 음성 안내 정보 및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음성 안내부(320)는 도 2의 조명 장치(240)에 구비된 모션 센서(미도시)에 의해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 장치(2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안내부(320)는 상기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에 탑승한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330)는 상기 다국어 음성 안내 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검출하여 녹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330)는 상기 녹취된 음성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및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는 상기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입력부(330)에 의해 출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단어 및 음소를 검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는 반음소(anti-phoneme)에 의한 비인식 단어 및 음소의 제거를 통해 상기 탑승자의 발화(發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는 상기 검출된 단어 및 음소의 주파수를 고주파 및 저주파 대역으로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 및 저주파 대역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핵심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는 상기 검출된 핵심 주파수를 증폭하여 그 결과로서 핵심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는 상기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상기 핵심어와 일치하는 다국어 음성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는 상기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의한 음성 인식 과정 및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성 안내부(320)는 상기 표시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시각 표시부(미도시)를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음성 인식 청각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50)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 즉 상기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310), 상기 음성 안내부(320), 상기 음성 입력부(330),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34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에 구비된 층 선택 버튼(160)을 통해 입력된 신호(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에 의해 출력된 음성 인식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운행 제어 장치(220)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계실을 중심으로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상기 기계실에서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 장치(230)는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한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 장치(230)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엘리베이터의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치(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테이블(410), 프로토콜 분석부(420), 프로토콜 제어부(430) 및 메인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1의 프로토콜 변환 장치(230)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410)은 제조사별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분석부(420)는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로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분석부(420)는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로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제조사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토콜 분석부(420)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분석을 통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430)는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의 제조사와 상기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제조사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상이한 경우,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430)는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410)을 참조하여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430)는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440)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치(230), 즉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410), 상기 프로토콜 분석부(420),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43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230)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 및 상기 운행 제어 장치(220)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실을 중심으로 제조사가 서로 다른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상기 기계실에서 중앙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240)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 장치(2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션 센서와 엘이디, 보호 커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른 전원 스위칭을 통해 상기 엘이디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엘이디를 커버하여 외부 환경(충격,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션 센서의 출력 정보(감지 정보)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210)가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에 탑승한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데에 있어서 기초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는 그 경도를 높이기 위해 보호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보호코팅층에 대해서는 상기 광고 표시 장치(250)를 설명한 다음에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광고 표시 장치(250)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광고 표시 장치(250)는 상기 조명 장치(240)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의 구동에 연동하여 화면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 위에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여 그 경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상기 보호 커버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코팅층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 35중량부,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 20중량부,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포함하는 보호코팅층의 경도, 투과율, 내열성, 밀착성, 유연성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시편의 제조
실시예 1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g,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g을 아세톤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사출 성형으로 두께 20미크론의 시편을 제작하고, 아세톤을 휘발하였다.
실시예 2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35g,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2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5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40g,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5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0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0g,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3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0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으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25g,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5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2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g,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20g,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g,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20g을 아세톤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2, 비교예 1 ~ 4에서 제시된 조성을 표 1에 정리하였으며, 단위는 그램(g)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35 40 10 25 20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20 5 30 15 15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15 1 10 2 20
2. 경도 측정 및 평가 방법
상기 실시예 1 ~ 2,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해 하기 항목을 평가하였다.
1) 연필경도는 ASTM D3502(연필경도기 테스터기)로 측정하였다.
2) 투과율은 UV-vis 스펙트럼(DARSA PRO-5000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3) 내열성은 90℃에서 4시간 동안 방치 후 외관의 크랙 및 휨의 발생을 측정하였다.
4) 밀착성은 시편에 2mm 간격으로 선을 그어 바둑눈을 만든 후 TAPE 접착 후 수직방향으로 강하게 1회 당여서 박리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5) 유연성은 코팅 뒤 12시간 경과 후 180° 굽힘으로 크랙 유무를 판정하였다.
2-3. 결과 및 분석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연필경도 9H 9H 7H 5H 6H 5H
투과율(%) 91.6 91.4 91.6 91.7 91.5 91.6
내열성 양호 양호 크랙 및 휨 크랙 및 휨 크랙 및 휨 크랙 및 휨
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유연성 양호 양호 크랙 크랙 크랙 크랙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경우 연필경도, 투과율, 내열성, 밀착성, 유연성 모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비교예 1 ~ 4의 경우 우수한 투과율과 밀착성을 가지지만 연필경도, 내열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 불량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탑승자가 둘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연속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엘리베이터(제1 엘리베이터)는 1층에서 5층까지 운행하고 다른 엘리베이터(제2 엘리베이터)는 5층에서 10층까지 운행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층 선택 버튼(도 1의 "160" 참조) 또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도 2의 "210" 참조)를 통해 5층이 입력 또는 인식되면, 상기 운행 제어 장치(도 2의 "220" 참조)를 통해 상기 제1 엘리베이터에는 '5층 Go'의 운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에는 '5층 Come'의 운행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가 둘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연속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환승에 따른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탑승객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음성 인식 장치
220: 운행 제어 장치
230: 프로토콜 변환 장치
240: 조명 장치
250: 광고 표시 장치
310: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
320: 음성 안내부
330: 음성 입력부
340: 음성 인식 제어부
410: 프로토콜 테이블
420: 프로토콜 분석부
430: 프로토콜 제어부

Claims (6)

  1. 건물 내 설치된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중앙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와 원격에 위치하는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운행 제어 장치;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운행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엘리베이터의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의 결과에 따른 전원 스위칭을 통해 엘이디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엘이디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 장치는
    N층 ~ M층을 운행하는 제1 엘리베이터 및 M층 ~ P층을 운행하는 제2 엘리베이터 각각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M층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엘리베이터를 M층으로 이동시키는 운행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를 M층으로 이동시키는 운행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치는
    상기 운행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1 엘리베이터 및 제2 엘리베이터 각각의 운행 제어신호를 제1 엘리베이터 및 제2 엘리베이터 각각의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제어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성 인식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관련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에 대응하는 음성 인식 명령어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의한 음성 인식 과정 및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제어부;
    상기 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미리 설정된 음성 인식 정보를 저장한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
    상기 표시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음성 인식 시각 표시부; 및
    상기 표시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청각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치는
    제조사별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토콜 테이블;
    상기 운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프로토콜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운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에 전송하는 프로토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 장치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의 구동에 연동하여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표시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경도를 높이기 위한 보호코팅층을 구비하되, 상기 보호코팅층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100중량부에 대하여,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15 ~ 35중량부,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 신나메이트 10 ~ 20중량부, 에틸 2-[3-(6-니트로벤졸[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7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KR1020130031670A 2013-03-25 2013-03-25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KR10150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670A KR101504303B1 (ko) 2013-03-25 2013-03-25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670A KR101504303B1 (ko) 2013-03-25 2013-03-25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33A KR20140116733A (ko) 2014-10-06
KR101504303B1 true KR101504303B1 (ko) 2015-03-20

Family

ID=5199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670A KR101504303B1 (ko) 2013-03-25 2013-03-25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9660B (zh) * 2016-11-24 2019-05-17 江苏旭云物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梯安全管理系统及方法
CN106882659B (zh) * 2017-04-10 2019-05-24 苏州睿绮电子有限公司 一种电梯用抗菌按键装置
CN109896378B (zh) * 2017-12-11 2020-10-13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监测方法、装置、电梯控制柜、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8737389B (zh) * 2018-05-02 2021-12-10 杭州句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外呼显示板通信协议的修改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420A (ko) * 1996-04-03 1999-12-27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목적지호출 제어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승강기군용제어 시스템
KR200298454Y1 (ko) * 2002-09-14 2002-12-16 김경락 엘리베이터내의 광고장치
KR20100070955A (ko) * 2008-12-18 2010-06-28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의 대기전력 절약시스템
KR101010211B1 (ko) * 2010-06-08 2011-01-21 유재혁 가변 프로토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420A (ko) * 1996-04-03 1999-12-27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목적지호출 제어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승강기군용제어 시스템
KR200298454Y1 (ko) * 2002-09-14 2002-12-16 김경락 엘리베이터내의 광고장치
KR20100070955A (ko) * 2008-12-18 2010-06-28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의 대기전력 절약시스템
KR101010211B1 (ko) * 2010-06-08 2011-01-21 유재혁 가변 프로토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33A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303B1 (ko) 엘리베이터 중앙 제어 시스템
KR101010211B1 (ko) 가변 프로토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1772750B (zh) 移动通信设备及其输入装置
CN102171124B (zh) 电梯的目的地楼层登记装置
US10457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ly interacting with elevators
US9384733B2 (en)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elevator
CN104692198B (zh) 电梯语音呼梯登记装置
JP515972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操作装置
WO2007026042B1 (en) Method and call system
CN103079979A (zh) 电梯的声音识别装置以及其控制装置
CN101875457B (zh) 电梯控制装置以及具有该电梯控制装置的电梯设备
KR20160043082A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N112607536B (zh) 一种电梯控制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11055452A1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5534103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CN102730497A (zh) 电梯的语音识别运行控制装置
CN108190664A (zh) 一种语音识别系统
CN204537277U (zh) 口岸车辆智能查验系统
CN104709783A (zh) 电梯设备
WO2019196366A1 (zh) 一种基于声带振动测量的液压支架语音控制系统及方法
KR101574868B1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CN101723218B (zh) 电梯的管制运行控制装置
CN108156326A (zh) 一种自动启动录音的方法、系统及装置
CN105600626A (zh) 一种电梯目的地楼层登记装置
CN107558921A (zh) 一种智能窗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