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378A -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378A
KR19990086378A KR1019980019327A KR19980019327A KR19990086378A KR 19990086378 A KR19990086378 A KR 19990086378A KR 1019980019327 A KR1019980019327 A KR 1019980019327A KR 19980019327 A KR19980019327 A KR 19980019327A KR 19990086378 A KR19990086378 A KR 1999008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grip
cover
screw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572B1 (ko
Inventor
이석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8001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5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572B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핸들그립을 설치하고 나면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이를 가려주기 위하여 별도의 캡을 제작하여 사용함에 따라 부품비가 추가되는 것은 물론 상기 캡이 핸들그립에서 쉽게 이탈되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그립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 체결편(111)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으로는 상,하측에 걸림구(112)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스냅핀 형상으로 된 한쌍의 지지편(113a)(113b)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지지편(113a)(113b)및 걸림구(112)와 상응된 위치에 삽지구(121)와 걸림턱(122)이 형성된 덮개(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110)를 스크류로 체결하더라도 상기 몸체(110)에 덮개(120)가 결합되므로서 스크류가 덮개(120)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서 미관을 향상시켜 종래 스크류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캡을 삭제하므로 부품비 절감은 물론 캡을 사용하지 않아 핸들그립을 사용도중 전처럼 캡이 떨어질 우려가 없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심어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핸들그립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핸들그립을 몸체와 덮개로 구성하여 몸체를 먼저 도어의 인너패널에 스크류로 설치한후 상기 몸체에 덮개를 끼워 스크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종래 스크류를 사용하여 핸들그립을 설치한후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캡을 사용하던 것을 삭제하므로서 부품비 절감을 이룰수 있는 동시에 캡을 사용하지 않아 캡이 핸들그립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소할수 있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심어줄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그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량의 성격, 구조, 디자인에 크게 영향을 크게 미치는 구조물로서, 대부분의 승용차 도어에는 앞힌지 뒷열림 타입이 채용되고 있으나 특수한 타입의 도어로서는 차체의 측면을 따라서 이동 개폐되는 슬라이드 도어, 루프 또는 프런트 필러에 힌지가 있어서 상,하 개폐되는 걸윙 도어가 있다.
상기 도어의 몸체는 아우터패널과 인너패널이 헤밍결합 되는데, 상기 아우터패널은 통상 강판을 사용하며, 디자인에 따라서 면의 강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뒷면에 보강재를 붙이는 경우가 있으며, 근간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박판으로 하거나 알루미늄이나 수지를 쓰는 예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패널과 인너패널의 두께를 너무 얇은 것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손가락등으로 패널을 눌렀을 때 오목하게 패는 등 강성이 약하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는 주로 고장력 강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인너패널은 상기 아우터패널과 거의 같은 두께의 강판이 쓰이지만 이우터패널과는 대조적으로 강성이 높게 유지되어야 하는 가공의 성형품으로서 도어레귤레이터, 도어힌지 및 도어새시등이 설치되며, 각 부품의 설치부나 벨트라인 개구부는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보강한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 시스템은 도어힌지, 도어 체크링크, 도어 핸들, 도어록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 힌지는 무거운 도어를 받치기 때문에 통상 위,아래로 2 개 설정하여 도어의 지지와 도어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힌지는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내구신뢰성이 있어야 하며, 충돌등 과대한 충격입력이 가해지더라도 힌지의 본체가 분리되지 않는 등 높은 강도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힌지본체의 재료, 공법은 강판 프레스재 또는 주철제이며, 부쉬로는 힌지핀의 미끄러운 회전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함유소결합금 등을 사용한다.
상기의 도어 체크링크는 도어가 반개일때의 유지기능, 도어가 전개일때의 스토퍼기능이 있으며, 도어힌지와 마찬가지로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내구신뢰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도어핸들은 차밖으로부터의 개폐를 위한 도어 아웃사이드핸들과 차 내에서의 개폐를 위한 도어인사이드핸들이 있는데, 어느것이나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기능과 링크계를 통하여 도어록을 해방하는 기능이 있으며, 또한 도어핸들에는 도어록 해방에 필요한 부하에 견딜뿐 아니라 실용상의 과다한 조작력에도 견딜수 있는 강도와 되풀이 사용에 견디는 내구신뢰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의 개폐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를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즉, 도어를 차량 밖에서 열을 때에는 아웃사이드핸들을 잡은후 당겨주면 도어록장치가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리는 것이고, 도어를 닫아줄때에는 도어의 몸체를 손으로 밀어주면 도어가 닫혀지게 된다.
그리고 차량내부에서 도어를 열을 때에는 인사이드핸들을 당겨 도어록장치를 해제시킨후 그대로 도어를 밀어주면 도어가 열리는 것이고,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도어의 몸체를 직접 당길수가 없어 도어의 몸체를 이루는 패널중 인너패널에 핸들그립을 설치하여 차량내에서 도어를 닫을 때에는 상기 핸들그립을 잡아 당겨야 만이 도어가 쉽게 닫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핸들그립을 설치시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내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체결공(31)이 형성된 핸들그립(30)을 구비한후 상기 핸들그립(30)을 인너패널(10)에 부착된 도어트림(20)에 밀착시킨후 스크류(40)를 핸들그립(30)과 도어트림(20)을 관통되게 한후 인너패널(10)에 체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나 이는 설치하고 난후 스크류(40)의 머리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의 캡(50)을 제작하여 먼저 스크류(40)를 체결하고 난후 핸들그립(30)에 형성된 체결공(31)에 끼워 스크류(40)의 머리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별도의 캡(50)을 제작함에 따른 부품비가 추가되는 것은 물론 캡(50)은 별다른 고정구조 없이 단순히 핸들그립(30)에 형성된 체결공(31)에 끼워놓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캡(50)이 체결공(31)에서 쉽게 이탈되는데, 상기 캡(50)은 크기가 작아 체결공(31)에 서 이탈되어 차량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 쉽게 분실되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그립을 설치하더라도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캡 삭제에 따른 부품비 절감을 이룰수 있는 동시에 캡을 사용하지 않아 캡이 핸들그립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어 소비자에게는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심어줄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그립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양단에 체결편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으로는 상,하측에 걸림구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스냅핀 형상으로 된 한쌍의 지지편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지지편및 걸림구와 상응된 위치에 삽지구와 걸림턱이 형성된 덮개로 구성되므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핸들그립을 몸체와 덮개로 분리하여 구성한후 우선 몸체를 스크류로 체결한후 그 몸체에 덮개를 체결하여 몸체를 취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종전처럼 스크류 노출 방지용 캡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종래 도어 핸들그립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2 는 종래 도어 핸들그립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도어 핸들그립 분리 사시도
도 4 a 는 도 3 의 A - A선 단면도
도 4 b 는 도 3 의 B - 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11 : 체결편
112 : 걸림구 113a,113b : 지지편
114 : 보스 115 : 리브
120 : 덮개 121 : 삽지구
122 : 걸림턱 123 : 가이드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핸들그립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 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b 는 도 3의 B - B 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그립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 체결편(111)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으로는 상,하측에 걸림구(112)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스냅핀 형상의 지지편(113a)(113b) 한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지지편(113a)(113b)및 걸림구(112)와 상응된 위치에 삽지구(121)와 걸림턱(122)이 형성된 덮개(120)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면 중앙에는 가이드용보스(114)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20)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용 보스(114)에 끼워지도록 가이드핀(123)을 돌설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핸들그립을 몸체(110)와 덮개(120)로 구분하여 제작한 후 먼저 몸체(110)를 인너패널(도면중 미도시)에 부착된 도어트림(도면중 미도시)에 밀착시킨 후 상기 몸체(110)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체결편(111)의 체결공(111a)을 통해 스크류를 회동시켜 상기 스크류가 도어트림을 통과한 후 인너패널에 박히도록 하여 몸체(110)를 고정시킨다.
이처럼 몸체(110)를 인너패널에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몸체(110)에 덮개(120)를 결합하는데 상기 몸체(110)내면 양측에는 한쌍의 지지편(113a)(113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13a)의 상측과 지지편(113b)의 하측으로는 걸림구(112)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에 결합되는 덮개(120)에는 상기 지지편(113a)(113b)과 걸림구(112)와 대응된 위치에 즉, 상기 지지편(113a)과 지지편(113b)사이에 끼워져 걸릴수 있는 삽지구(121)와 상기 걸림구(112)에 걸릴수 있는 걸림턱(122)이 돌설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덮개(120)를 몸체(110)에 결합시에는 덮개(120)에 형성된 삽지구(121)가 몸체(110)에 형성된 지지편(113a)과 지지편(113b)사이에 제대로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하여야 만이 덮개(120)가 몸체(110)에 견고하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삽지구(121)가 지지편(113a)과 지지편(113b)사이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들여다 보면서 상기 삽지구(121)가 제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는가를 살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본 발명은 몸체(110)의 내면 중앙에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가이드용보스(114)를 형성하고 덮개(120)에는 상기 가이드용 보스(114)에 끼워지는 가이드핀(123)을 돌설하는 것이다.
즉, 덮개(120)를 몸체(1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덮개(120)를 몸체(110)에 근접시켜 덮개(120)에 형성된 가이드핀(123)의 선단이 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용보스(114)속으로 약간 삽지되도록 하면 덮개(110)에 형성된 삽지구(121)는 자동적으로 몸체(110)에 형성된 지지편(113a)과 지지편(113b)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덮개(120)를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어주게 되면 상기 삽지구(121)는 지지편(113a)과 지지편(113b)사이로 들어가면서 걸리는 것이며, 이와동시에 덮개(120)에 형성된 걸림턱(122)도 몸체(110)에 형성된 걸림구(112)에 걸리므로서 덮개(120)는 몸체(110)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이 견고하게 조립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용 보스(114)와 가이드핀(123)은 덮개(120)의 결합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즉, 위치설정용으로 활용할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핀(123)이 가이드용보스(114)속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덮개(120)가 상하,좌우 흔들릴 우려가 없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몸체(110)를 스크류로 고정시켰다 하더라도 상기 몸체(110)에 덮개(120)를 결합하게 되면 스크류가 덮개(120)에 의해 가려지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종전처럼 스크류를 가려주기 위한 별도의 캡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110)의 내면에 다수개의 강도 보강용 리브(115)를 형성하므로서 그만큼 몸체(110)의 강도를 향상시켜 핸들그립을 사용도중 쉽게 파손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그립을 구성시 몸체와 덮개로 구분하여 몸체를 스크류를 체결하여 결합시킨후 덮개를 결합하면 상기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향상시키므로서 종래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어 이를 가려주기 위한 별도의 캡을 삭제함에 따른 부품비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캡을 사용하지 않아 종전처럼 캡이 핸들그립에서 쉽게 이탈되어 소비자에게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그립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 체결편(111)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으로는 상,하측에 걸림구(112)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스냅핀 형상의 지지편(113a)(113b) 한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지지편(113a)(113b)및 걸림구(112)와 상응된 위치에 삽지구(121)와 걸림턱(122)이 형성된 덮개(1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그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면 중앙에는 가이드용보스(114)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20)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용 보스(114)에 끼워지도록 가이드핀(123)을 돌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 그립구조
KR1019980019327A 1998-05-27 1998-05-27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KR10027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327A KR100279572B1 (ko) 1998-05-27 1998-05-27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327A KR100279572B1 (ko) 1998-05-27 1998-05-27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378A true KR19990086378A (ko) 1999-12-15
KR100279572B1 KR100279572B1 (ko) 2001-03-02

Family

ID=6589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327A KR100279572B1 (ko) 1998-05-27 1998-05-27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6B1 (ko) * 2006-11-17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뒷문의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20220160852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06B1 (ko) 2013-02-06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과 풀핸들의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6B1 (ko) * 2006-11-17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뒷문의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20220160852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572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4297A2 (en) Inside-handle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door assembly
WO2008072440A1 (ja) 車両の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EP1165916B1 (en) Attachment clip for a door latch assembly
KR100279572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그립구조
CN217380131U (zh) 车门外侧手柄组件及车辆
JPS6149128B2 (ko)
KR102139053B1 (ko) 도어 록 키홀 커버 일체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4090818B2 (ja) 車両における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KR0163083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설치구조
KR100279571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취부구조
KR20050042320A (ko) 자동차의 사이드도어용 인너핸들
KR20020040346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JPS597131Y2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構造
KR101022692B1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 리드 잠금구조
JPH0349007Y2 (ko)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JP5336104B2 (ja) 扉への施錠装置の取付構造
JP3511962B2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取付け構造
KR0115104Y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설치구조
KR200162097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스톱퍼 기구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200155988Y1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몸체의 레버 체결구조
KR0128656Y1 (ko) 자동차 도어잠금 장치의 소음방지 구조
KR0181868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로드 고정구조
KR0152619B1 (ko)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