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504A - 타이어제조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제조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04A
KR19990083504A KR1019990014969A KR19990014969A KR19990083504A KR 19990083504 A KR19990083504 A KR 19990083504A KR 1019990014969 A KR1019990014969 A KR 1019990014969A KR 19990014969 A KR19990014969 A KR 19990014969A KR 19990083504 A KR19990083504 A KR 1999008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ifting
receiving surface
carcass reinforcement
b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063B1 (ko
Inventor
도미니끄 꼬르다일라뜨
뮤흘호프올리비에
빠니그헬브루노
Original Assignee
로버트 히에벨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히에벨,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filed Critical 로버트 히에벨
Publication of KR1999008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14Locking the beads on the drum; details of the drum in the bead locking areas, e.g. drum 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64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radially expandable, contractible mechanical means, e.g. circumferentially spaced arms, spring rollers,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를 위한 반경방향 팽창 가능한 조립 드럼(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드럼은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수용면(receiving surface; 3)을 갖는 본체(10)를 가지며, 상기 본체는 중심축에 부착되며, 상기 드럼은 수용면(3)의 일단부(30)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20)를 가지며, 상기 리프팅 장치는 중심축(2) 둘레에 원형으로 분포한 복수의 리프팅 핑거(lifting finger; 22, 22´)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는 반경방향으로 다소 연장하고 제조물 조립용 베어링면(bearing surface)을 제공하며, 상기 핑거(22, 22´)는 제어 수단(23, 23´)의 작동 하에 반경방향 병진이동에 의해서 드럼(1)의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조립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카커스(carcass) 보강재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각 비드(bead) 내의 하나 이상의 보강 비드 와이어는 카커스 보강재가 그 둘레에 감겨있고 접어올림부(turn-up)를 형성하며, 상기 타이어는 통상의 것과 비교하여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부가 비드 와이어와 카커스 보강재 자체 사이에 배열된다. 타이어의 이해를 위해서 공보 FR2,716,645호를 참조할 수 있다.
비드 와이어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부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 드럼이 카커스 보강재 접어올림 장치를 갖추는 것은 공지되어 잇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3,698,987호를 인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원환형 제 1 팽창성 공기주머니(bladder)를 포함하는 접어올림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접어올림 조작을 위해 필요한 상기 제 1 공기주머니의 위치이동은, 제 1 공기주머니에 횡단 추력을 가하는 금속 칼라(collar) 또는 제 2 팽창성 공기 주머니로 이루어진 중간 요소에 의해서 수행된다. 미국 특허 제 4,087,306호에서, 접어올림 장치는, 팽창 압력 상승의 유일한 효과에 의해,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횡방향 구름 운동을 스스로 발전시키는 접어올림 공기주머니로 이루어 진다.
이들 드럼 및 접어올림 장치는, 카커스 보강재가 팽창되지 않은 소직경의 드럼에 위치하고 비드 와이어가 카커스에 대해 그들의 고정 상태에 축방향으로 대향할 때, 카커스 보강재 상의 비드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드럼을 팽창시키는 과정 및 그 이후 접어올림 장치를 작동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공정 단계를 사용하는 타이어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관련 비드 와이어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의 각 측단의 접어올림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드럼은 비드 와이어 하에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을 위치시키는 것을 위한 제조 방법의 변형에 적합하지 않다. 접어올림 장치의 작동이, 그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부가 형성되는, 비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고정 점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한, 상기 비드 와이어 하에 일련의 반경방향 접어올림부를 생성하는 동안, 카커스 보강재가 접어올려지는 상태를 보며 비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굽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이 비드 와이어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 드럼에 의해 그 사용이 가능한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수용면을 갖는 본체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 드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드럼은 중심축에 부착되고 수용면 일단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프팅 장치는 중심축 둘레에 원형으로 분포된 복수의 리프팅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는 반경방향으로 다소 연장되어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베어링면을 제공하며, 상기 핑거는 제어 수단의 작용에 의한 위치이동 운동에 의해 드럼의 외부를 향하여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전개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드럼의 두 가지 상이한 구성 즉, 상부에 수축 상태 및 하부에 팽창 상태를 도시하는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드럼의 리프팅 핑거의 확대도.
도 4는 지지 요소 내에 배열된, 도 3에 도시한 리프팅 핑거의 부분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상기 핑거가 두 가지 작동 상태에 있는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한 드럼의 리프팅 핑거의 확대도.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리프팅 핑거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는, 축방향 부분 단면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립 드럼 2 : 중심축
3 : 수용면 5 : 플레이트(plate)
6 : 지지 요소 10 : 본체
12 : 중심링 14 : 로드(rod)
18 : 수용홈 20 : 리프팅 장치
22, 22´ : 리프팅 핑거 23, 23´ : 구동 잭(jack)
24, 24´ : 홈 25 : 나사
27 : 복귀 벨트 28, 28´ : 롤러
30 : 수용면의 자유단 31 : 굽은 로드
32 : 복귀 스프링 38 : 베이스
41, 42 : 세그먼트(segment) 50 : 안내 비드(bead) 와이어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제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카커스 보강재를 일반적인 원통형 수용면에 놓는 단계,
- 그 후, 고무 합성물 스트립(strip)을 카커스 보강재 일단부에 놓는 단계,
- 그 후, 상기 단부를 고무 합성물 스트립 둘레에 접어올리는 단계 및,
- 비드 와이어를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어올림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고무 합성물 스트립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 단부의 접어올림은, 상기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단부가 비드 와이어를 누르게 될 때까지, 비드 와이어를 카커스 보강재 중심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용면의 팽창과 동시에 비드 와이어의 축방향 전진을 계속함으로써 유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카커스 보강재 단부는 고무 합성물 스트립 바로 아래에서, 드럼의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은 스트립을 감싸는 방법에 의해 스트립 둘레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수용면을 갖는 본체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드럼은 중심축에 부착되며 수용면 일단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리프팅 장치는 중심축 둘레에 원형으로 분포된 복수의 리프팅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는 반경방향으로 다소 연장하고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베어링면을 제공하며, 상기 핑거는 제어 수단의 작용에 의한 위치이동 운동에 의해 드럼의 외부를 향하여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전개가능하다.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라는 표현은 리프팅 핑거의 축방향 이동이 존재하더라도 원하는 동작에 있어서 무시할 만하다는 의미이다.
반경방향 전개가능한 요소를 갖는 이러한 리프팅 장치는, 수용면에 대하여 조립되는 제조물의 단부를 상승시킬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 다소 연장되는 핑거에 상기 요소를 결합함으로써, 자유롭고 따라서 접근가능한 상기 상승된 단부를 떠날 수 있다.
(실시예)
도 1에 따르면, 반경방향 팽창가능한 조립 드럼(1)은, 중심축(2)에 부착되며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수용면(3)을 갖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제작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bead wire)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중심축(2) 상에서 축방향 이동가능한 두 개의 반원통(semicylinder; 11)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반원통(11)은 중심축(2)에 대하여 고정된 중심링(12)에 의해서 분할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상기 드럼은, 드럼 축에 수직인 중앙 평면(P)에 대하여 대칭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의 평면(P) 좌측에 위치하는 반쪽 드럼 만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드럼의 종류가 본 발명의 범주를 대칭적인 드럼에 한정시키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반원통(11) 및 링(12)은 각각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 41, 42)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한다. 세그먼트(41)는 중심축(2) 둘레에 원형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세그먼트(42)는 마찬가지로 중심축(2) 둘레에 원형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체(10)의 각 요소의 결합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세그먼트(41)는 로드(rod; 14)에 의해 대향 세그먼트(42)와 관련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로드의 일단은 세그먼트(42)를 관통하고 타단은 세그먼트(41)에 만들어진 구멍(15) 속에서 활주하며 장착된다.
드럼(1)이 팽창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세그먼트(41, 42)는 세그먼트(41) 하측에 위치한 팽창실(17)의 작동에 의해 반경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잭(jack)의 제어에 의해 팽창이 가능하다. 이들 반경방향 이동에 있어서, 세그먼트(41)는 로드(14)에 의해서 링(12)의 세그먼트(42)을 이끈다.
도 2는 다음 두 가지 구성부를 도시한다.
- 중심축(2)의 축선(C) 상부에는, 드럼(1)이 수축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고, 팽창실(17)은 수축되어 있다.
- 중심축(2)의 축선(C) 하부에는, 드럼(1)이 팽창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고, 팽창실(17)은 팽창되어 있다.
도 1의 플레이트(5)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링(12)의 세그먼트(42)에 결합되어 있다. 반원통(11)의 축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반원통(11)과 링(12) 사이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들 플레이트(5)는 반원통(11)의 세그먼트(41)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덮는다. 링(12)은 또한 드럼(1)의 반경방향 팽창시 플레이트(5)의 축방향 유지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41)는 드럼(1)의 외부를 향하는 그 측단부에서, 타이어 비드 와이어 수용홈(18)을 지닌 지지 요소(6)를 갖는다. 따라서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수용면(3)은 플레이트(5)의 외측면 그룹,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덮이지 않은 세그먼트(41) 부위 및, 지지 요소(6)의 외측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1)은 수용면(3)의 자유단(30)에 배치되는 리프팅 장치(20)를 수반하며, 상기 자유단(30)은 지지 요소(6)의 외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칭적인 드럼(1)은 수용면 각단에 리프팅 장치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핑거(finger)'라는 용어는 작은 단면을 갖는 윤곽(profile)을 의미한다.
리프팅 장치(20)는, 직사각 단면을 가지며 중심축(2) 둘레에 원형으로 분포되어 반경방향으로 다소 연장되는 복수의 리프팅 핑거(22)를 갖는다.
이들 리프팅 핑거(22)는 드럼(1) 중심에 대하여, 수용홈으로부터 짧은 간격만큼 떨어져 수용홈 외측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베어링면(221)을 각각 제공한다. 상기 핑거(22)는 세그먼트(41) 상에 반경방향 변위되어 부착되며, 드럼(1)의 팽창 운동시 세그먼트(41)와 일체가 된다.
따라서 리프팅 핑거(22)는, 베어링면(221)이 수용실(3)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휴지 상태로부터, 베어링면(221)이 중심축(2)과 동축이며 수용면(3)보다 큰 직경의 원통면을 구성하는 전개 상태까지, 반경방향 병진 운동에 의해 드럼(1)의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 전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리프팅 핑거(22)는 조립되는 제조물에, 불연속적이고 원형으로 분포된 복수의 베어링면(221)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개 상태에서, 베어링면(221)에 놓인 제조물 단부는 수용면(3)에 놓인 상기 제조물 중심부로부터 상승된다.
리프팅 핑거(22)의 자유단 즉, 드럼(1)의 반경방향 외측부는, 핀(pin; 29)에 자유회전 상태로 부착되며 베어링면(221)을 갖는 롤러(28)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롤러(28)는 리프팅 핑거(22) 전개시에, 상승되는 제조물 내의 응력 발생을 피하게 하고, 핑거와 제조물 사이에 "구름"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각 핑거(22)는, 관련 지지 요소(6) 외측면에 나타나고 상기 요소에 형성된 채널(channel; 60) 내부를 활주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홈(18)에 대하여 드럼(1) 외측에 위치한, 각 지지 요소(6)의 자유단(61)은 반경방향에 수직한 면에 U자형 단면을 나타내는데, U자형 단면의 아암(arms)은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은, 단부가 베어링면(221)에 놓이는 제조물을 위치시키는 시점에, 휴지중인 리프팅 핑거(22)가 상기 단부에, 베어링면(221) 둘레 전체에 연장하는 수용면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 이들 제조물 단부는 또한, 지지 요소(6) 단부(61)의 U자형 외측면(62)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는 제조물이 드럼(1) 상에서 적합한 위치에 놓이도록 돕는다.
아래에서, 동일한 참조부호가 리프팅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공통적인 부품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리프팅 장치(20)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1) 상의 각 리프팅 핑거(22)의 반경방향 내측단(223)은 축방향 연장부(222)를 갖는다. 리프팅 핑거(22)의 휴지 상태에서 각 연장부(222)는 관련 세그먼트(41)에 수반되는 지지면(411)을 누른다.
각 리프팅 핑거(22)는 잭(23)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핑거의 연장부(222)는 나사(25)에 의해 잭(23)의 피스톤의 일단(232)에 결속된다. 각 구동 잭(23)은 관련 세그먼트(41)가 갖는 홈(24)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홈 내부에서 잭의 피스톤이 활주할 수 있고, 상기 홈은 상기 세그먼트(41)의 지지면(411)에 나타난다. 구동 잭(23)의 스트로크(stroke)는 리프팅 핑거(22)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리프팅 핑거(22)를 관련 세그먼트(41)에 결합하는 것은 상기 핑거를 구동 잭(23)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 지는데, 이들은 순차적으로 세그먼트(41)에 직접 결합된다. 더우기, 잭(23)에 대한 즉, 세그먼트(41)에 대한 리프팅 핑거(22)의 위치는 조절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 리프팅 핑거(22)의 축방향 연장부(222)는 나사(25)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26)을 갖는다. 나사(25)를 상기 구멍(26)에 위치시키는 것은, 관련 세그먼트(41)과 축방향으로 일체가 되는 잭(23)에 대한 리프팅 핑거(22)의 축방향 위치를 조절하며, 결과적으로 나사(25)를 구멍(26)에 위치시키는 것은 관련 지지 요소(6)에 대한 핑거(22)의 축방향 간격을 조절한다. 제조 방법의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 지겠지만, 위치하는 제조물의 치수에 따라서 리프팅 핑거의 축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리프팅 핑거(22)가 휴지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탄성 복귀 벨트(27)는 일련의 축방향 연장부(222)를 둘러싼다.
도 5a, 도 5b 및 도6에 도시한 리프팅 장치(20´)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핑거(22´)는 관련 세그먼트(41)에 결합된 베이스(38)에 각각 반경방향 변위된 채 부착된다. 리프팅 핑거(22´)의 구동 잭(23´)은 또한, 각 잭의 피스톤이 활주하는 홈(24´) 내부에서 관련 베이스(38)에 의해 지탱된다.
베이스(38)는 나사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표준 결합장치에 의해서 지지 요소(6)에 대한 축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각 리프팅 핑거(22´)는 굽은 로드(31)에 의해서 잭(23´)에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 로드(31)의 일단부(311)는, 리프팅 핑거(22´)의 일측 에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축방향 연장부(224´)와 상기 핑거의 타측 에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축방향 연장부(225´) 사이에 부착된 핀(321)에 힌지되며, 상기 단부(311)는 핀(321)의 통과를 위한 타원형 구멍을 갖는다.
- 로드(31)의 타단부(313)는, 관련 세그먼트(41)에 결합된 핀(323)에 힌지된다.
- 로드(31)의 엘보(elbow; 312)는 구동 잭(23´)의 피스톤의 단부(232´)에 결합된 핀(322)에 힌지되며, 상기 엘보(312)는 핀(322)의 통과를 위한 타원형 구멍(332)을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리프팅 핑거(22´)의 휴지 및 전개 상태에 관련하여 베이스(38)가 갖는 각부의 상태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리프팅 핑거(22´)의 사시도이며, 상기 핑거의 자유단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롤러(28´)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리프팅 핑거(22´)가 휴지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복귀 스프링(32)은 각 세그먼트(41)와 관련 로드(31) 사이에 부착되고, 드럼(1) 상의 각 리프팅 핑거(22´)의 반경방향 내측단(223´)은, 상기 핑거의 휴지 상태에서, 세그먼트(41)가 갖는 지지면(411´)을 누른다.
반경방향 카커스 보강재를 갖는 승용차 타이어 제조 방법을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상기 타이어의 각 비드 내에 하나 이상의 보강 비드 와이어 및 카커스 보강재를 포함하며, 특히, 이들 비드 중 하나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여기에서 카커스 보강재는 비드 와이어와 카커스 보강재 자신 사이에 배열되는 접어올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유형의 단일 비드 또는 두 개의 비드로써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반경방향 카커스를 갖는 승용차 타이어의 선택예는 본 발명을 상기 소울(sole)형 타이어에 한정시키지 않는다.
상기 방법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중심축(2)과 동심적인 안내 비드 와이어(50) 및 드럼(1)을 포함한다. 이러한 안내 비드 와이어(50)는, 반경방향으로 작동하며 드럼(1) 상에 비드 와이어의 동심적 유지를 확보하도록 그 원주상에 분포된 물림 에지를 가지는 와이어 운송 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리프팅 핑거(22)를 갖는, 드럼(1)의 리프팅 장치(20)가 선택되었다. 그러나, 리프팅 핑거(22´)의 사용은 아래에서와 같이 설명될 수도 있다.
드럼(1)의 리프팅 장치(20)가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리프팅 핑거(22)의 베어링면(221)은 수용면(3)을 연장한다. 직물 코드(cord) 플라이(ply)는 드럼(1)의 수용면(3) 상에 및 그 측면 연장부 상에 놓여지며, 상기 연장부는 U자형 표면(62) 및 리프팅 핑거(22)의 베어링면(2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플라이는 리프팅 핑거(22)에 대하여, 드럼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플라이는 단독으로 카커스 보강재(A)를 이룬다.
고무 합성물 윤곽(P)은 수용홈(18) 외측에 축방향으로, 카커스 보강재(A)의 측단부에 놓여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윤곽(P)은 사변형 단면을 갖지만, 다양한 단면을 상상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더우기, 충분히 단단한 윤곽(P)을 갖기 위해, 70보다 크거나 같은, 표준 ASTM:D-1646에 따라서 측정한, 100℃에서 무니(Mooney) ML (1 +4) 점도를 갖는 고무 합성물은 적합하게 선택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22)의 전개시 윤곽(P)을 감쌀 수 있도록, 윤곽(P)은 리프팅 핑거(22)의 베어링면(221) 상측에 위치한다. 카커스 보강재(A)에 대하여 강성 변화점을 이루는 점(R)은, 카커스 보강재(A)의 접어올림부 및 그에 따른 상기 보강재의 상기 점(R)에 대한 회전의 생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접어올림은, 통상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 점을 이루는 비드 와이어가 없어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스트립(strip)의 위치가, 카커스 보강재(18) 내의 상기 윤곽(P)을 감싸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커스 보강재(18)에 대한 리프팅 핑거(22)의 축방향 위치의 조절은, 윤곽(P)의 두께(E)에 따라서 유리하게 선택된다.
카커스 보강재(A)에 놓인 스트립의 길이를 "L"로 명명하면, 윤곽(P)은 예를 들어 리프팅 핑거(22)에 대하여, 핑거가 강성 변화점(R)으로부터 L/3내지 2L/3 범위의 거리에 있도록 위치한다.
그러면 리프팅 핑거(22)는 잭(23)의 작동에 의해 전개된다. 그러면 윤곽(P)은 상승되어 점(R) 둘레를 회전하고,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 또한 상승된다.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A´)는 어떠한 표면에도 놓이지 않고 자유롭게 유지된다.
그 후, 비드 와이어(T)를 수반하는 안내 비드 와이어(50)는 카커스 보강재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전진되고, 상기 보강재의 자유단은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드 와이어(T)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조된" 비드 와이어가 포함되었는데, 이것은 스트랜드(strand)나 코드(cord) 중 하나가 한 겹 이상 감겨 있는 코어(core)에 의해 형성된 비드 와이어이다.
도 7d에 따르면, 구동 잭(23)은 정지되고, 리프팅 핑거는 복귀 벨트(27)의 작용에 의해 휴지 상태로 복귀하고,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는 단독으로 비드 와이어(T)를 누른다.
그러면, 안내 비드 와이어(50)의 전진은 팽창실에 의한 드럼의 팽창과 동시에 일어나고, 상기 팽창실은 세그먼트(41)를 반경방향으로 상승시키고, 비드 와이어(T)는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를 이끌어 윤곽(P) 둘레에 접어올림부를 형성한다.
비드 와이어(T)가 원하는 최종 상태에 대응하는 축방향 위치에 있으면, 비드 와이어는 이완되고 팽창 상태로의 드럼의 팽창은 종료되어, 비드 와이어(T)의 위치를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며, 비드 와이어(T) 및 윤곽(P)은 도 7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커스 보강재(18) 내에 수용된다.
타이어의 다른 구성요소 제조물이 배치되고, 타이어는 가황처리된다. 본 발명은 제조 작업 중의 이러한 부분에 관련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는 수 많은 방법이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 작업 중의 이러한 부분은 언급할 필요가 없다.

Claims (12)

  1. 중심축에 부착되며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수용면(3)을 갖는 본체(10)를 가지는, 타이어 제조용 조립 드럼(1)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수용면(3)의 일단부(30)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20)를 가지며, 상기 리프팅 장치는 중심축(2) 둘레에 원형으로 분포된 복수의 리프팅 핑거(22, 22´)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는 반경방향으로 다소 연장하고 조립되는 제조물을 위한 베어링면을 제공하며, 상기 핑거(22, 22´)는 제어 수단(23, 23´)의 작동에 의한 반경방향 병진이동에 의해 드럼의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 전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각 리프팅 핑거(22, 22´)를 위한 구동 잭(23, 23´)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잭(23, 23´)의 스트로크는 관련 리프팅 핑거(22, 22´)의 반경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리프팅 핑거(22, 22´)는 수용면(3)의 단부(30)에 형성된 채널(60) 내부에서 활주하며 부착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수용면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럼(1) 상의 각 리프팅 핑거(22)의 반경방향 내측단(223)은 축방향 연장부(222)를 수반하며, 상기 축방향 연장부(222)는 리프팅 핑거(22)를 휴지 상태로 복귀시키는 벨트(27)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5. 제 2 항에 있어서, 각 리프팅 핑거(22´)는 복귀 스프링(32)에 의해 작용되는 로드(31)에 의해, 대응하는 구동 잭(2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럼(1)의 외측 반경방향 리프팅 핑거(22, 22´)의 단부는 자유 회전을 위하여 부착된 롤러(28, 28´)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프팅 핑거(22, 22´)는, 상기 수용면(3)에 대한 핑거의 상대적 축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용면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드럼(1)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고 중심축(2)과 동심인 안내 비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장치.
  9. 카커스 보강재(A)를 통상의 원통형 수용면에 놓는 단계,
    고무 합성물 윤곽(P)을 카커스 보강재(A)의 일단부(A´)에 놓는 단계,
    고무 합성물 윤곽(P) 둘레에 상기 단부(A´)를 접어올리는 단계 및,
    비드 와이어(T)를 상기에서 형성된 접어올림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고무 합성물 윤곽(P)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를 접어올리는 작업은,
    상기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향하도록 단부를 반경방향 상승시키고 나서,
    상기 단부(A´)가 비드 와이어(T)를 누를 때까지, 비드 와이어(T)를 카커스 보강재(A)의 중심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옮기고,
    수용면의 팽창과 동시에 비드 와이어(T)의 축방향 접근을 계속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는 고무 합성물 윤곽(P) 하측에서, 드럼(1) 외부를 향한 가압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면은 비드 와이어(T)를 위한 하나 이상의 카커스 보강재(18)을 가지며, 고무 합성물 윤곽(P)은 카커스 보강재 외측에 놓이고, 카커스 보강재(18)으로부터 상기 윤곽의 거리는 상기 윤곽(P)의 두께(E)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KR1019990014969A 1998-04-27 1999-04-27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 KR10055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5642 1998-04-27
FR9805642A FR2777826A1 (fr) 1998-04-27 1998-04-27 Procede de fabrication de pneumatiques et tambour d'assemblage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04A true KR19990083504A (ko) 1999-11-25
KR100559063B1 KR100559063B1 (ko) 2006-03-10

Family

ID=952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969A KR100559063B1 (ko) 1998-04-27 1999-04-27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53435B1 (ko)
JP (1) JP4290274B2 (ko)
KR (1) KR100559063B1 (ko)
CN (1) CN1274484C (ko)
BR (1) BR9901407A (ko)
DE (1) DE69915923T2 (ko)
ES (1) ES2215343T3 (ko)
FR (1) FR27778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095B1 (ko) * 2011-09-23 2013-06-17 (주)세화아이엠씨 성형 드럼용 핑거 비례 가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274B1 (en) 1998-07-23 2003-01-14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AU1097400A (en) * 1999-09-30 2001-05-10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he Pneumatic tyre having locked beads
US6845798B1 (en) 1999-09-30 2005-01-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 Locked bead construction
US20060137807A1 (en) * 2002-10-28 2006-06-29 Bosio Gian 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neumatic tyre for vehicle wheels
FR2873615A1 (fr) * 2004-08-02 2006-02-03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nroulage d'un manchon cylindrique autour d'un anneau torique
JP5171116B2 (ja) * 2007-06-04 2013-03-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タイヤ成型ドラム
KR101331081B1 (ko) 2012-09-07 2013-11-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벨트 제조용 가변벨트 성형드럼
SK500722017A3 (sk) * 2017-11-07 2019-06-04 Mesnac European Research And Technical Centre S.R.O. Pohonná sústava na pohon bubna na výrobu surových autoplášťov
NL2021842B1 (en) 2018-10-19 2020-05-13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3531A (en) * 1956-01-16 1963-06-11 Cleveland Trust Co Tire building machine
BE572590A (ko) * 1957-11-02
DE1108416B (de) * 1959-05-22 1961-06-08 Dunlop Gummi Cie Ag Deutsche Maschine zum Flachaufbau von Fahrzeugluftreifen
DE1262581B (de) * 1964-04-02 1968-03-07 Continental Gummi Werke Ag Reifenaufbautrommel mit einer Vorrichtung zum Anlegen von Karkassgeweberaendern
US3971694A (en) * 1966-02-25 1976-07-27 Nrm Corporation Manufacture of radial-carcass tires
DE2211657A1 (de) * 1972-03-10 1973-09-20 Continental Gummi Werke Ag Einrichtung an luftreifenaufbaumaschinen zum umschlagen der lagen um die reifenwulste
DE2221806A1 (de) * 1972-05-04 1973-11-15 Krupp Gmbh Reifenaufbaumaschine
JPS6045582B2 (ja) * 1979-12-25 1985-10-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形機のプライ折返し装置
JPH09226020A (ja) * 1996-02-27 1997-09-02 Bridgestone Corp タイヤ構成部材の折返し機構
JPH09309159A (ja) * 1996-05-21 1997-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成形ドラムにおけるタイヤ部材端の巻き上げ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095B1 (ko) * 2011-09-23 2013-06-17 (주)세화아이엠씨 성형 드럼용 핑거 비례 가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3435B1 (fr) 2004-03-31
FR2777826A1 (fr) 1999-10-29
KR100559063B1 (ko) 2006-03-10
JP4290274B2 (ja) 2009-07-01
JPH11320704A (ja) 1999-11-24
DE69915923T2 (de) 2005-03-10
CN1233555A (zh) 1999-11-03
BR9901407A (pt) 2000-04-18
CN1274484C (zh) 2006-09-13
EP0953435A1 (fr) 1999-11-03
ES2215343T3 (es) 2004-10-01
DE69915923D1 (de)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3445A (en) Tire building apparatus for building tires
US6250356B1 (en) Assembly drum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KR100559114B1 (ko) 턴업 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용 드럼
US6837292B2 (en) Tire building drum provided with a turn-up device
EP3037249A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KR19990083504A (ko) 타이어제조장치및방법
RU22238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шин
KR20100108538A (ko)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타이어 제조 드럼
KR102402226B1 (ko) 타이어 조립 드럼 및 상기 타이어 조립 드럼 상의 타이어 구성요소를 성형하는 방법
US4584038A (en) Tire building method
ITTO20090191A1 (it) Metodo e tamburo di formatura per carcasse di pneumatici
US3915788A (en) Tire bead ring supplying apparatus
JP5110973B2 (ja) タイヤ成型装置及びタイヤ成型方法
JPH09226020A (ja) タイヤ構成部材の折返し機構
KR100559064B1 (ko)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
US6408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KR100641591B1 (ko)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
US82930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bead
JP4450668B2 (ja) カーカスバンド折り返し装置
US20040011470A1 (en) Assembly drum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RU2312018C2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каркаса и барабан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ы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EP1588831B1 (en) Shaping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CN109661309B (zh) 充气轮胎的成形方法及装置
EP0692368B1 (en) Tire-forming dr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green tire
US201001164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