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591B1 -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591B1
KR100641591B1 KR1019990029953A KR19990029953A KR100641591B1 KR 100641591 B1 KR100641591 B1 KR 100641591B1 KR 1019990029953 A KR1019990029953 A KR 1019990029953A KR 19990029953 A KR19990029953 A KR 19990029953A KR 100641591 B1 KR100641591 B1 KR 10064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ubber composition
diameter
bead wire
receiv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923A (ko
Inventor
데이브베일리
마크에반겔리스타
윌리엄슈타이너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Publication of KR2000001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8Drums of the undercut type without toroidal expansion, e.g. with provisions for folding down the plies, for positioning the beads under the surface of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14Locking the beads on the drum; details of the drum in the bead locking areas, e.g. drum 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28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one bladder acting on each side of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35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two or more bladders acting on each side of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될 제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101)을 가지는 쇼울더 드럼(10)을 포함하며, 상기 주 수용표면은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주 수용표면(101)의 측면 모서리에 축방향의 쇼울더(102)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10)은 축(11)상에 탑재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드럼(10)과 동축관계로 탑재된 하나 이상의 연결된 축방향 이동가능한 크라운(14,14')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10)은 하나 이상의 쇼울더(102)에 동축관계로 병치된 측면 돌기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크라운(14,14')은 상기 측면 돌기부 아래에 부분적으로 축방향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측면 돌기부(106)는 외경이 상기 주 수용표면(101)의 직경보다 작은 준-원통형 지지표면(107)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 크라운(14,14')은 상기 측면 돌기부(106)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표면(141,141')을 가지는 타이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제조장치, 타이어, 타이어 제조방법. 쇼울더 드럼.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평면 P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드럼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경에 따른 장치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 타이어의 몇 가지 제조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축방향 단면에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장치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장치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장치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
도 8은 도5의 선 VIII에서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구성으로 도시된 장치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 타이어의 몇 가지 제조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축방향 단면에서의 개략도.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 타이어의 몇 가지 제조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축방향 단면에서의 개략도.
도 12A 내지 도 12G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 타이어의 몇 가지 제조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축방향 단면에서의 개략도.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역활을 하는 어셈블리 드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기술과 달리 케이스 뼈대가 비드 주위에 말려, 와이어 및 케이스 뼈대 사이에 배치된 케이스 뼈대 절곡부를 형성하며, 케이스 뼈대 및 각각의 비드에 하나 이상의 강화 와이어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조에 관한것이다.
어떤 제조 방법은 쇼울더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드럼을 채택하며, 특히 축방향 이동을 설명함으로서 와이어는 쇼울더에 이동된다. 재료 사이의 단순한 접착에 의해 또는 추가 수단에 의해, 상기 와이어는 쇼울더에 접하여 유지된다. 상기 드럼은 직접적으로 비드 와이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고무 조성물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덮어씌워진 비드 와이어로 구성되는 독립하여 제조된 반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 "비드 와이어 복합체"란 용어는 비드 와이어 만을 의미하는데 사용되고, 비드 와이어는 고무조성물부에 의해 덮여지며, 선태적으로는 다른 고무조성물부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고무 플라이와 같은 비드 와이어 충전재용 코팅 조성물을 또한 포함한다.
예켄데, 상기 케이스를 말기 위한 팽창하지 않는 단일의 작동 위치 및 제조된 타이어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뽑아내기 위한 (반경방향으로) 수축위치를 설명하는 공보 FR 1,397,751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는 각각의 케이스의 제조 동안에, 각각의 쇼울더상에 위치되고 축방향 이동가능한 보조 수단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일단 상기 케이스 뼈대는 그 단부가 상기 드럼표면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드럼상에 위치되면, 상기 드럼은 하기 공정 단계에 의해 타이어를 제조하는 역활을 한다.
--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압저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부를 상기 드럼의 쇼울더에 적용하는 단계와,
-- 그 후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상기 드럼의 쇼울더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 마지막으로, 상기 케이스 뼈대의 단부를 들어올리고 그들의 위치변화없이 상기 복합체 주위로 상기 뼈대를 절곡하는 팽창가능한 덮개로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절곡 수단의 작동단계.
그래서, 상기 비드와 뼈대 사이에 케이스 뼈대의 절곡부를 배치하는 것은 상기 드럼으로는 불가능하다. 실제로, 비드 복합체가 케이스에 이미 위치될 때,상기 방법으로는 비드 복합체 하에서 케이스 뼈대의 단부를 절곡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케이스 뼈대의 절곡부가 상기 비드 와이어 및 상기 케이스 뼈대 사이에 위치되는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사용함으로서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다.
1999년 4월 15에 출원된 특허출원 EP 99/107552는 비드 와이어의 위치설정을 위한 그리고 그런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하여 설계된 두 개의 홈을 포함하는 드럼과 적합한 방법을 개시한다. 이 드럼은 때때로 평평한 드럼으로 불리는 종류의 드럼에 속한다. 1999년 4월 15에 출원된 특허출원 EP 99/107551은 전술한 것과 유사지만, 두 개의 비드에서 비드 와이어가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타이어의 제조를 위하여 설계된 드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쇼울더 드럼", 즉 상기 비드 와이어를 위한 위치설정 홈이 없는 드럼으로 알려진 타입의 어셈블리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쇼울더 드럼을 위한 적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타이어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주 수용표면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보다 작은 직경의 제 1 원통형 지지표면에, 하나 이상의 케이스 뼈대의 측단부가 수직하게 위치되고 돌출되도록,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상에 상기 케이스 뼈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 뼈대의 단부상에 고무 조성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위치된 고무조성물부가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고무조성물부 주위로 상기 측 단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조성물부가 놓여진 지점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만들어진 절곡부 상에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실제로, 상기 드럼의 두 개의 측면은 유사하게 설계되므로 상기 케이스 뼈대의 측 단부의 나머지 하나도 나머지 제 1 원통형 지지표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돌출되며, 나머지 제 1 원통형 지지표면은 주 수용표면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나머지 측면상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유익하게, 상기 고무조성물부 주위로 상기 케이스 뼈대의 단부의 절곡은 다음 단계에 의해 완성된다.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단부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상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상기 케이스 뼈대의 중심까지 축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의 축방향 접근을 계속하고 상기 고무 조성물부를 가로지르는 단계.
특히, 상기 고무 조성물부 외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단부의 영역에 반경방향으로 외부로 압축함으로서, 케이스 뼈대의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더우기,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 주 수용표면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보다 작은 직경의 제 1 원통형 지지표면에, 하나 이상의 케이스 뼈대의 측단부가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일반적 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상에 상기 케이스 뼈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 뼈대의 단부상에 고무 조성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위치된 고무조성물부가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고무조성물부 주위로 상기 측 단부를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조성물부가 놓여진 지점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만들어진 절곡부 상에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실제로, 모든 점에서 동일하지 않지만(비드 와이어 직경이 각각의 절곡부에서 동일하지 않은 타이어가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어도 구조적으로 유사하다면, 상기 케이스 뼈대의 두 개의 측단부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가 하기에 제시된다. 설명 내내, 여러 가지 변경예에서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에 의해 지시된다. 이런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쉽게 대칭 또는 비대칭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에, 축의 절반만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은 평면 CP의 우측에 위치된 다양한 형상의 장치 부분에 대한 설명에만 제한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의 림이 대칭일 때, 또는 그들이 상이한 직경일 때, 본 발명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장치(1)는 축(11)상에 탑재된 어셈블리 드럼(10), 절곡장치(12), 비드 와이어 복합체 내부 공간을 깨끗하게 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상기 드럼(10)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수단(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 접근수단, 예컨데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유지하는 후크 핑거(hook finger)를 가진 링(ring) 또는 자기 결합부를 가진 링 또는 그 밖에 크라운의 형태일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장치는 도 4B에 도시된 압저기 핑거(13)를 포함한다. 상기 압저기 핑거는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 접근수단과 일체될 수 있다.
상기 드럼(10)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절곡수단(12)은 중심축(11)상에 미끄럼가능하게 탑재된 지지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수단(12)은 또한 상기 지지체(122)에 의해 지지되는 팽창가능한 막(121)을 포함한다. 상기 막 대신에, 상승 핑거를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절곡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착상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도 5 및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어셈블리 드럼(1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주 수용표면(101) 및 하나 이상의 쇼울더(shoulder)(10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표면(101)은 링크(105)에 의해 탑재된 상기 드럼의 작동위치에 원주상으로 병치된 세그먼트(103)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축(11)상에 탑재된 지지체(104)에 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세크먼트(103)는 상기 드럼상에 제조된 케이스가 (축방향으로) 뽑아질 수 있도록 상기 드럼(10)을 반경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을 허용하다. 그래서, 상기 세그먼트(103)는 몇 개의 원주상으로 인접한 세그먼트의 시스템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세그먼트(103)는 몇 개의 원주상으로 인접한 세그먼트의 시스템을 구성하며, 어떤 세그먼트(B)의 원주 측면은 상기 드럼 내부로 수렴하고(통상적으로, "아치(arches)"라 불린다), 다른 세그먼트(A)의 원주 측면은 드럼의 외부 로 수렴한다(통상적으로, "키(keys)"라 불린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아치가 처음으로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도2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의 작동 위치에서 세그먼트(103)는 실선으로 표시되며, 반면에 연속적인 세그먼트(A,B)가 연속적인 원통형 표면을 형성하고, 수축위치에서 동일한 세그먼트(A,B)는 점선으로 도시되며, 상기 세그먼트(B)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덮개는 상기 표면 세그먼트(A)에 의해 형성된 것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래서 상기 드럼(10)은 타이어 케이스를 조립하는 단 하나의 반경방향 작동 위치와 케이스의 적출을 위한 하나의 수축위치를 가진다.
상기 드럼(10)은 또한 상기 드럼(10)에 고정되고 일체인 측면 돌기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돌기부는 상기 주 수용표면(101)보다 작은 직경의 일반적인 원통형 지지표면(107)을 가지므로, 상기 쇼울더(102)는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가 측방향 접근에 의해 상기 쇼울더상에 위치됨을 허용하기 위하여 깨끗하게 유지된다.
상기 세그먼트(103)의 반경방향 단면의 형상, 즉 쇼울더(102)에 의해 연장된 바와 같이 주 수용표면(101)으로 구성되는 외부 표면의 형상은 다소 변할 수 있다. 예컨데, U.S 특허 1,911,59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의 형상은 쇼울더에 직각이 아닐 수 있다. 즉, 상기 축에 직각인 평면에 포함되지 않는 어떠한 부분도 가지지 않고, 상기 쇼울더는 다소 반경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반경방향 단면에서 본다면, 상기 쇼울더는 다소 기울었지만, 여전히 둥근 모서리를 가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는 상기 드럼과 동축을 가 지는 측면 크라운(14,14')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일반적으로 측면 돌기부(10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 지지표면(141,141')을 가진다. 상기 측면 크라운(14,14')은 축(11)상에 탑재되고 후술된 바와 같이, 드럼(10)에 관해 축방향을 이동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변경에 따라서, 상기 측면 크라운(14)은 상기 장치(1)의 중심에 대하여 내향축방향으로 상기 절곡수단(12)상에 탑재되고, 축방향 이동시, 상기 수단과 일체를 형성한다. 상기 측면 크라운(14)의 지지표면(141)의 직경은 그들의 작동위치에서의 세그먼트(103)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그것은 상기 세크먼트 아래로 삽입될 것이다. 그래서 상기 절곡수단(12)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크라운(14)이 상기 드럼(10)을 너머 축방향으로 나아가는 도 1에 도시된 횡방향 전진위치와 상기 크라운(14)이 드럼(10)에 의해 숨겨지는 철수위치 사이에서, 상기 크라운이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측면 크라운(14')은 상기 측면 돌기부(106)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상기 어셈블리 드럼(10)상에 탑재되고, 상기 측면 돌기부(106)를 너머 상기 절곡수단(12)까지 축방향으로 나아가는 전진 위치 및 상기 측면 돌기부(106) 아래의 철수위치 사이에서 상기 세그먼트(103)에 관해 축방향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절곡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사용된 상기 막의 길이조절을 허용하며, 축방향 미끄럼운동시, 상기 크라운(14')은 상기 절곡수단을 덮을 수 있다. 그래서,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언급되겠지만, 상기 절곡 막(121)의 팽창시, 상기 측면 크라운(14')은 전진위치에 있고, 상기 막 은 측면 돌기부(106)상에 놓여진 제품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비드 와이어 및 각각의 비드를 위한 뼈대(carcass) 사이에 절곡된 케이스 뼈대를 가진 두 개의 상이한 직경의 비드를 가지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원한다면, 상기 평면 P 에 관하여 비대칭인 장치가 제공되고, 이로 인해 상기 평면 P 의 양 측면상에 각각 배치된 상기 크라운 및 측면 돌기부는 상이한 직경의 지지표면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크라운 및 측면 돌기부의 상대적 배치에 의해 상기 평면의 양면상에서 일치한다.
상기 장치의 다양한 부분의 회전축 주위로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수단은 어떠한 상세한 설명도 필요치 않다. 제조될 타이어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배치를 위한 표면으로 역활을 하므로,상기 드럼(10) 뿐만 아니라 상기 절곡수단(12)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수단(12)의 회전구동은 축(11)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절곡수단은 예컨데 축방향 내면상의 지지표면(141)상에 삽입된 팽창가능한 관형 챔버(109)에 의해 상기 드럼(10)상에 결합될 수 있다. 그 때, 상기 절곡 수단(12)은 팽창에 의해 결합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J와 관련하여, 방사상 케이스 뼈대를 가진 승용차 타이어의 제조공정이 설명될 것이며, 케이스 뼈대, 상기 타이어의 각각의 비드에 하나 이상의 강화비드, 그리고 특히 상기 비드와이어 및 상기 케이스 뼈대 사이에 배치된 절곡부를 형성하는 상기 비드 중 하나의 제조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조공정은 상기에 설명된 타입의 단일의 비드 또는 그 타입의 두 개의 비드를 가지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과 비슷한 역활을 하고, 방사상 케이스를 가진 승용차 타이어의 선택된 예는 본 발명을 상기 타입의 타이어에 국한 시키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J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장치(1)의 제 1 변경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공정을 도시하며, 상기 장치(1)의 제 2 변경에 대한 공정작업은 전자로부터 쉽게 유추될 수 있다.
도 4A에 따라서, 상기 드럼(10)은 작동위치에 있고, 상기 측면 크라운(14)은 전개 위치 즉 축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으며, "내부 시트(sheet)"라 불리는 고무 시트(NI)는 주 수용표면(101)상에 놓이고, 그후 "케이스 플라이(ply)"라 불리는 직물 코드 플라이(NC)가 놓인다. 상기 시트 및 플라이(NI, NC)는 총괄하여 "케이스 뼈대"(A)로 불린다.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주 수용표면(101)을 너머 그리고 측면 돌기부(106) 및 측면 크라운(14), 게다가 절곡막의 일부를 너머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측면 돌기부(106)의 각각의 지지표면(107), 측면 크라운(14)의 지지표면(141)상에 내향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압저기 핑거(13)의 도움으로 막(121)의 일부상에 내향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변경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 시트는 약간의 장력하에서 위치될 수 있다. 결과적인 수축경향은 자발적으로 단부(A')의 직경수축을 발생시키며, 상기 케이스 뼈대가 상기 수용 및 지지 표면에 정확하게 적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A')는 상기에 서술된 바와 같이 평평화 작업 또는 롤링 작업을 받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고무 조성물부(P1)는 측면 크라운(14)의 지지 표면(141)상에 배치된 케이스 뼈대의 단부(A')의 면적상에 위치된다. 언급된 예에서, 상기 고무 조성물부(P1)은 4변형 형상을 가지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유익하게, 표준 ASTM:D-1646에 따라서 측정된, 100℃ 에서 70이상의 무니(Mooney)점도 ML(1 + 4)를 가지는 고무 조성물부(P1)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고무 조성물(P1)는 매우 단단하고 상기 고무 조성물부(P1) 주위로 단부(A')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그 후 , 상기 절곡막은 팽창되며, 축방향으로 위치된 단부(A')를 측면 크라운(14) 및 고무 조성물(P1)의 외향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리하여 상기 단부(A')의 들어올려진 면적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도록 고무 조성물부(P1) 주위로 회전된다. 케이스 뼈대(A)와 접촉하는 막(121)의 최소 부분이 선택되고 처리되어 상기 케이스 뼈대(A)가 상기 막의 최소 부분에 고착되지 않게 한다(예컨데, 그 표면은 적합한 직물로 덮여지기 때문에).
도 4F에 따라서, 그 후 상기 절곡막(121)은 수축된다. 상기 들어올려진 단부(A')는 여전히 실질적인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위치에 있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비드 와이어 복합체 접근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접근된다. 상기 예에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정사각형 단면의 비드 와이어(T)로 구성되며, 상기 정사각형 단면의 비드 와이어(T)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 구성되며, 고무 조 성물부(P2)에 의해 방사상으로 둘려 싸인다.
상기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 상에 위치될 때 까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은 계속되며, 이로 인해 절곡된 단부(A')와 함께, 단부(A')의 일부에 의해 덮여진 고무 조성물부(P1)을 가로지른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계속 접근되어, 상기 절곡된 단부(A')를 거쳐 상기 쇼울더(102)와 접촉하며, 상기 접혀진 단부(A')는 상기 비드 와이어(T) 및 상기 케이스 뼈대(A)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절곡부 상에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배치는 제 2 동축 원통형 지지표면(107)에 수직이며, 주 수용 표면(101) 및 제 1 짖 표면(141,141') 사이에 있으며, 상기 주 수용 표면(101)의 직경은 제 2 지지 표면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 2 지지 표면의 직경은 제 1 지지 표면의 직경보다 크다(또한 하기 741,711,751 을 보라).
그 후, 상기 측면 크라운(14)은 상기 중심(평면 CP)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지지 표면(141)(도 3에서는 141')을 측면 돌기부(106) 아래로 철수 시키며, 이로인해 케이스 뼈대(A)에 의해 둘러싸인 고무 조성물부(P1)는 상기 절곡 막(121)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다(도 4H).
상기 절곡 막(121)은 다시 팽창되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에 대해 고무 조성물부(P1)를 진동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비드 와이어 복합체에 관해 고무 조성물부(P1)를 다소 방사상으로 들어 올리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대해 측 방향으로 고무 조성물부(P1)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단계가 완성된 후, 상기 절곡 막(121)은 수축된다. 상기 케이스의 거친 비드는 그 형상을 유지한다(도 4J).
그 후, 상기 타이어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들이 놓여지고, 상기 타이어는 경화된다. 본 발명은 이 제조 부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많은 방법들이 당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그래서 이 제조 태양은 본 발명의 문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조된 타이어 케이스에 공통되는 요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드럼을 포함하는 장치와 함께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은 제 1 작동 위치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쇼울더에 배치된 비드 와이어 복합체의 사용을 허용하는 쇼울더를 가진다.
상기 장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장치들은 5,6,7과 함께 시작되는 부호에 의해 각각 지시된다.
상기 장치(5,6,7)는 각각 어셈블리 드럼(50,60,70)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50,60,70)은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본체(51,61,7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51,61,71)는 축(52,62,72)상에 탑재되며, 상기 본체(51,61,71)는 조립될 부품을 위한 수용표면(511,611,711) 및 쇼울더(514,614,714)를 가진다.
게다가, 상기 장치(5,6,7)는, 전기 예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비드 와이어 복합체의 내경를 깨끗하게 하면서, 상기 드럼(50,60,70)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가 능한 비드 와이어 복합체 접근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제조 공정을 통해 이해되겠지만, 전기 예와 반대로, 상기 장치(5,6,7)는 압저기 핑거 없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드럼(50,60,7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평면(P)에 관해 대칭이므로, 하기 설명은 상기 도면에서의 평면 P의 우측에 위치된 반-드럼에 국한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대칭드럼에 국한되지 않는다.
중앙 본체(51,61,71)는 제조될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의 치수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축(52,62,72) 주위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반-본체(512,612,712)와, 중앙 크라운(513,613,713), 그리고 축(52,62,72)에 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중앙 크라운(513,613,713)을 포함한다.
상기 반-본체(512,612,712) 및 중앙 크라운(513,613,713)은 각각 마주보는 복수의 측면 세그먼트(522,622,722) 및 중앙 세그먼트(523,623,723)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 세그먼트(522,622,722)는 축(52,62,72) 둘레에 원주상으로 병치되고, 또한 상기 중앙 세그먼트(523,623,723)는 축(52,62.72) 둘레에 원주상으로 병치된다. 상기 본체(51,61,71)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 세그먼트(522,622,722)는 막대(515,615,715)에 의해 마주 보는 중앙 세그먼트(523,623,723)에 관하여 안내되며, 상기 막대(515,615,715)의 일단은 중앙 세그먼트(523,623,723)를 관통하며, 나머지 단부는 마주보는 측면 세그먼트(522,622,722)에 의해 지지되는 보어(bore)(516,616,716)내에 미끄럼가능하게 탑재된다.
상기 드럼(50,60,70)이 팽창된 위치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 세그먼트(522,622,722) 아래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팽창챔버(517,617,717)의 작용하에서, 상기 세그먼트(522,622,722)는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중앙 크라운(513,613,713)의 중앙 세그먼트(523,623,723)는 상기 막대(515,615,715)에 의해 상기 측면 세그먼트(522,622,722)와 일체이므로, 중앙 크라운(513,613,713)의 중앙 세그먼트(523,623,723)는 반경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에 의해, 판(518,618,718)은 중앙 크라운(513,613,713)의 세그먼트(523,623,723)에 고정된다. 반-본체(512,612,712)의 축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조립될 제품용 중앙 크라운(513,613,713) 및 상기 반-본체(512,612,712)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판(518,618,718)은 반-본체(512,612,712)의 세그먼트(522,622,7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더우기 상기 드럼(50,60,70)의 반경방향 팽창동안, 상기 중앙 크라운(513,613,713)은 상기 판(518,618,718)이 축방향을 유지하도록하는 역활을 한다. 물론, 팽창챔버를 제외한 다른 요소가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팽창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상될 수 있다.
조립될 제품을 위한 상기 수용표면(511,611,711)은 상기 판(518,618,718)의 외부표면 전체 와 상기 판(518,618,718)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상기 세그먼트(522,622,722)의 면적으로 구성된다.
하기에서,첫째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장치(5,6)에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둘째로 도 7과 관련하여 장치(7)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 다.
상기 드럼(50,60)은 측면 돌기부(54,64)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돌기부(54,64)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상기 본체(51,61)와 일체이고 조립될 제품을 위한 지지면(541,641)을 가진다. 상기 측면 돌기부(54,64)는 본체(51,61)의 쇼울더(514,614)와 함께 동축관계로 병치되고, 상기 주 수용표면(511,611) 보다 작은 직경의 지지표면(541,641)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 돌기부(54,64)의 가능한 실시예는 반-본체(512,612)의 세그먼트(522,622)를 각각 신장시키는 세그먼트를 가진 측면 돌기부를 형성하는데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상기 측면 돌기부(54,64)는 상기 본체(51,61)상 조립요소일 수 있다.
상기 장치(5,6)는, 측면 돌기부(54,64)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축상에 탑재된 절곡수단(55,65)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수단(55,65)은 장치(1)의 예에서와 같이 절곡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리프팅 핑거(lifting finger)를 포함하는 절곡수단(55,65)이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핑거"는 작은 단면 부재를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상기 절곡수단(55,65)은 상기 드럼(50,60)과 독립되며,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단은 상기 드럼(50,60)과 일체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상기 리프팅 수단을 위한 각각의 지지체로서 상기 반-본체(512,612)의 세그먼트(522,622)를 사용하는 것은 유용한다.
상기 절곡수단(55,65)은 직사각 단면의 복수의 리프팅 핑거(551,651)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핑거(551,651)는 중심 축(52,62) 주위에 원형으로 분배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프팅 핑거(551,651)는 드럼(50,60)의 중심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외부에, 상기 측면 돌기부(54,64)의 자유단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배치되고, 조립될 제품을 위한 접촉표면(522,652)을 각각 제공한다. 상기 리프팅 핑거(551,651)는 원통형 지지체(553,653)상에 각각 반경 방향 이동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원통형 지지체(553,653)는 잭(554,654)에 의해 중심 축(52,62)상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탑재된다.
그래서, 각 리프팅 핑거(551,651)의 본체(51)의 반경방향 내부 단부는 연장부(558,658)를 가지며, 연장부(558,658)는 스크류에 의해 축방향으로 대응 잭(554,654)에 결합되며, 상기 대응 잭(554,654)은 상기 원통형 지지체(553,653)에 의해 지지된 리세스(555,655)에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다.
상기 리프팅 핑거(551,651)는 상기 드럼(50,60)의 외부를 향해, 정지 위치로부터 전개위치까지 반경방향으로 전개가능하다. 그리고 정지 위치로 상기 리프팅 핑거(551,651)의 복원을 보장하기 위하여, 탄성복원밴드(559,659)가 축 방향 연장부(558,658)의 어셈블리를 둘러싼다.
상기 리프팅 핑거(551,651)는 조립된 제품에 불연속적으로 그리고 원주상으로 분배된 복수의 접촉 표면(552,652)를 제공한다.
유익하게, 상기 드럼(50,60)의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리프팅 핑거(551,651)의 자유단은 축상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탑재된 그리고 접촉표면(552,652)을 가지는 롤러(557,657)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557,657)는 상기 핑거와 제품 사이에 구름접촉을 보장하면서, 리프팅 핑거(551,651)의 전개시 상승된 제품에 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도 5에 따라서, 상기 드럼(50)은 팽창 수단(57)을 가지며, 특히 상기 팽창수단(57)은 두 개의 상이한 팽창 위치까지, 두 개의 팽창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팽창챔버(517)를 포함한다. 이런 방법으로, 상기 드럼은 세 개의 상이한 안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는 주 수용 표면 둘레에 말린 가상의 스트링의 세 개의 상이한 원주 전개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상기 드럼(50)의 두 개의 연속적인 팽창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결책이 구상될 수 있다. 선택된 예에 있어서, 상기 팽창수단(57)은 지지 링(573) 상에 탑재된 제어 링(572)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링은 축(52)상에 탑재되고, 측면 돌기부(54)의 자유단 부근에, 본체(51)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더욱 완전을 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링(573)은 제어링(572)과 상호 작용하는 내부 원통형 쇼울더(573')를 가진다.
상기 제어링(572)은 드럼(50)의 본체(51)에 관해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며, 회전시, 상기 지지 링(573)은 상기 본체(51)에 일체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돌기부(54)는 제어링(572)에 의해 지지된 캠(574)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캠 종동부(542) 및 지지링(573)에 반경방향으로 개구(575)를 가진다. 상기 예에서, 측면 돌기부(54)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는 캠과 결합되는 캠 종동자 및 대응 개구를 가진다.
드럼(50)에 접근가능한 팽창위치는 제어링(572)의 각(angular) 위치에 종속된다. 상기 제어링(572)의 위치, 및 그 각 위치 그리고 캠(574)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결합 캠 종동부(542)는 상이한 반경 위치설정 범위를 가지며 이로 인해 상기 드럼(50)의 반경 팽창를 제한하며, 상기 개구(575)는 결합 캠 종동부(542)를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제어링(572)의 각 회전은 도시되지 않은 작동 잭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도 8에서, 각각의 캠(574)는 Z-형상을 가지며, Z의 각 면상에, 상기 결합 캠 종동부(542)의 가능한 위치는 상기 드럼(50)의 세 개의 위치, 즉 철수 위치, 중간 팽창 위치 및 최대 팽창 위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면, 상기 드럼(50)의 반경방향 팽창을 얻기 위하여 팽창 챔버(517)이외의 다른 요소가 구상될 수 있다. 상기 드럼(50)의 반경방향 위치를 제어링(572)의 원주상의 위치설정에 종속시키는 시스템은 팽창 챔버(517)에 국한되지 않는다.
단일의 제어링-지지링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것이 구상될 수 있다. 그러나,상기 드럼의 양 단부 사이의 팽창의 양호한 동기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본체의 각 단부에 하나 씩, 두 개의 사용이 적합하다.
앞으로 상기 장치(5)의 작동에 관해 읽을 때 더욱 잘 이해되겠지만, 상기 절곡수단은 리프팅 핑거(551)의 접촉표면(552)이 축(52)과 동축을 가지는 원통형 표면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도록 제조되며, 상기 접촉표면(552)의 직경은 다음과 같다.
-- 핑거의 정지 위치에서는, 상기 드럼(50)의 중간 팽창 위치에서,측면 돌기부(54)의 지지 표면(541)의 직경 이하이며,
-- 핑거의 팽창 위치에서는, 상기 드럼(50)의 중간 팽창 위치에서, 측면 돌기부(54)의 지지 표면(541)의 직경을 초과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있어서, 상기 드럼(50)은 수축 위치에 있으며,시트(NI) 및 플라이(NC)는 수용 표면(511)상에 놓이고 케이스 뼈대(A)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뼈대의 단부(A')는 수용 표면(511)dmf 축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절곡 수단(55)의 리프팅 핑거(551) 뿐만아니라 측면 돌기부(54)를 덮는다.
도 10B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측면 돌기부(54)의 지지표면(541)상에 각각 압착되며, 제어링(572) 및 지지링(573)에 의해서 드럼(50)의 제 1 팽창을 일으킨다. 중간 위치에서 드럼(50)의 팽창은 지지 표면(541)상에 단부(A')를 위치시키는 역활을 하고, 그것은 상기 절곡 수단(55)의 접촉표면(557)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조성물부(P1)는 측면 돌기부(54)의 지지표면(541)상에 놓여진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영역상에 놓여진다.
지금 리프팅 핑거(551)은 전개위치까지 반경방향으로 전개되고, 상기 접촉표면(557)은 지지표면(541)의 직경보다 큰 원통형 표면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며, 이로 인해 핑거(551)들은 측면 돌기부(54) 및 고무조성물부(P1) 외측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단부(A')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래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A')의 들어올려진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도록 고무조 성물부(P1) 주위로 회전된다.
도 10E에 따라서, 상기 리프팅 핑거(551)는 여전히 전개 위치에 있으면서, 비드 와이어 접급수단에 의해,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상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축방향으로 접근된다.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핑거(551)는 탄성 밴드(559)에 의해 정지 상태로 복원되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은 계속되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와 함께 단부(A')를 이동시켜 단부(A')를 접고, 단부(A')의 일부에 의해 덮여진 고무 조성물부(P1)를 가로지른다. 그러나,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상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핑거(551)는 선택적으로 복원된다.
그 후,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진행과 동시에, 상기 제어링(572)는 최대 팽창 위치로 드럼(50)을 팽창시키도록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지지표면(541)의 반경방향 팽창은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하여 고무 조성물부(P1)를 상승시킨다(도 10).
장치(6)에 관하여, 이미 설명된 요소[즉 드럼(60), 축(62), 드럼(60)과 일체인 측면돌기부(64), 및 절곡 수단(65)]외에, 상기 장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칼라(collar)(66)를 포함하며, 예컨데 상기 칼라(66)는 축(62)상에 탑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칼라(66)는 수용표면(6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축에 관해 이동가능하게, 수축위치 및 측면 돌기부(64)의 표면(641)을 덮는 위치 사이에 탑재된다. 장치(6)의 작동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칼라(66)의 존재는 고무 조성물부를 내려놓는 확고한 지지체 를 제공한다.
상기 칼라(66)는 축(62)상에 탑재된 지지체(6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체(67)는 축(62)과 동심관계이고 수축 위치에서 칼라(66)을 덮는 외부링(671)을 포함한다. 비드 와이어 복합체가 외부링을 가로지르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링(671)의 직경은 칼라(66)의 직경과 매우 비슷하다.
특히, 드럼(60)의 분해 또는 접근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67)는 축(62)상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탑재된다.
상기 드럼(6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 단부에, 상기 지지체(67)는 축(62)과 동심관계인 환형 챔버(672)를 가지며, 연결봉(674)에 의해 피스톤(673)에 연결된 칼라(66)를 작동시키는 피스톤(673)은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며, 축(674A)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차례로 지지체(67)상에 탑재된다. 상기 칼라(66)와 연결봉(674)의 연결은 베어링(675)과 일체인 축의 설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축은 연결봉(674)의 일단부에 형성된 신장된 개구(674B)로 들어간다. 상기 베어링(675)은 또한 외부링(671)에 관해 미끄럼 운동을 하며, 이동시, 외부링(671)은 칼라(66)를 안내한다. 연결봉(674)의 나머지 단부는 연결봉의 진동 운동을 유도하는 피스톤(673)과 상호 작용한다(예컨데, 피스톤(673)과 일체인 캠에 결합된 롤러에 의해).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상측 도면은 도 6에서 칼라가 점유하는 동일 위치에 있는 칼라를 도시하며 및 도 9의 하측 도면은 진동된 연결봉(674) 및 외부링(671) 아래로 수축된 칼라(66)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상기 드럼(60)은 단지 두 개의 작동 위치만을 가진다. 하나는 팽 창 덮개의 팽창 챔버(617)의 수축 위치에 대응하는 수축 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팽창 챔버(617)의 팽창 위치에 대응하는 팽창 위치이다. 그러나, 두개의 상이한 직경의 비드를 가진 타이어, 결과적으로 드럼과 일체인 두 개의 상이한 직경의 크라운을 가진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의 비대칭 실시예에 있어서, 그것은 드럼상에 팽창수단을 제공하는데 유익하며, 두 개의 연속적인 팽창 위치을 얻는 역활을 하며, 그래서 직경의 상이함은 제조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 막보다는 리프팅 핑거를 사용하는 절곡수단을 채택하는 것을 선호한다. 앞으로 공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절곡수단은 반경방향 이동이 가능해야하며, 이런 반경방향 이동은 리프팅 핑거에 의해 더욱 편리하게 달성된다.
상기 리프팅 핑거(651)의 접촉표면(652)이 중심축(62)과 동축관계인 원통형 표면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수단(65)이 제조되며, 상기 원통형 표면의 직경은 다음과 같다.
- 상기 핑거의 정지 위치에서, 칼라(66)의 전개를 허용하기 위하여, 드럼(60)의 수축위치에서 수용표면(611)의 직경보다 작다.
- 상기 핑거의 전개 위치에서, 드럼(60)의 수축위치에서 수용표면(611)의 직경보다 크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장치(6)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에 따라서, 드럼(60)은 수축 위치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전진 위치 에 있는 칼라(66)는 측면 돌기부(64)를 덮으며, 시트(NI) 및 플라이(NC)는 수용 표면(611)상에 놓이고, 케이스 뼈대(A)를 형성하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칼라(66)상에 위치한다. 전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계에서, 상기 칼라(66)는 케이스 뼈대(A)를 놓기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 후 도 11B에 있어서, 고무 조성물부(P1)는 칼라(66)상에 놓여진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영역상에 놓여진다. 케이스 뼈대(A)의 단부(A') 아래에 지지체를 가지는 것은 이 단계에서 유리하다.
그 후, 상기 칼라(66)는 외부링(671) 아래로 수축되고, 단부(A')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자리에 홀로 남아 있는 고무 조성물부(P1)를 지지한다.
그 후, 상기 리프팅 핑거(651)는 반경방향으로 전개되고, 측면 돌기부(64) 및 고무조성물부(P1)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단부(A')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래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A')의 들어올려진 영역은 고무 조성물부(P1) 주위로 회전되고,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11E에 따라서, 리프팅 핑거(651)가 여전히 전개 위치에 있는 동안에,비드 와이어 복합체 접근수단에 의해,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상에 위치될 때까지,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핑거(651)는 탄성 밴드(659)에 의해 정지 위치로 복원되고, 그후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은 계속되며, 비드 와이어 복합체와 함께 단부(A')가 접혀지도록 이동시키고, 단부(A')의 일부에 의해 덮여진 고무조성물부(P1)를 가로지른다.
그 후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과 팽창 챔버(617)의 팽창은 첫째 최대 팽창 위치로 드럼(60)을 팽창시키도록 동기되고, 제 2 지지표면(641)을 반경방향으로 상승시키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해 고무조성물부(P1)를 팽창시킨다(도 11G).
마지막으로, 도 7과 관련하여 장치(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드럼(70)의 본체(71)은 이미 설명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럼(70)은 제 1 크라운(75) 및 축(72)상에 탑재된 중간 크라운(74)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크라운(74)는 본체(71)(상기 중앙 본체(71)의 확장위치에서 명백히 나타남)의 쇼울더(714)중 하나와 제 1 크라운(75)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크라운(75) 및 중간 크라운(74)의 각각은 조립될 제품을 위한 지지표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표면은 제 1 크라운에 대하여 제 1 지지표면(751) 그리고 중간 크라운(74)에 대해서는 제 2 지지표면이다.
상기 두 개의 크라운(74,75)은 축방향 이동시에는 본체(71)와 일체이고, 각각의 팽창 챔버(742,752)에 의해 각각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상기 본체와 독립된다. 상기 언급된 챔버외에 다른 팽창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크라운 (75,74)의 수축위치에서, 제 1 크라운(75) 및 중간 크라운(74)의 외경, 즉 제 1 및 제 2 지지 표면(751,741)의 직경은 중앙 본체(71)의 수축 위치에서 수용표면(71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크라운(75)의 팽창위치에서 제 1 지지표면(751)의 직경은 중간 크라운(74)의 팽창위치에서 제 2 지지표면(741)의 직경보다 작으며, 중간 크라운(74)의 팽창위치에서 제 2 지지표면(741)의 직경은 중앙 본체(71)의 팽창위치에서 수용표면(711)의 직경보다 작다.
상이한 직경의 두 개의 비드를 제조하는 장치(7)의 비대칭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중간 크라운의 외경은 평면 P의 우측 및 좌측에서 상이하다.
상기 장치(7)는 제 1 크라운(75)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축(72)상에 탑재된 절곡수단(76)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수단(76)은 절곡막 또는 리프팅 핑거로 구성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절곡막(761)이 선택되며, 축(72)상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탑재된 지지체(762)에 의해 지지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장치(7)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에 따라서, 중앙 본체(71) 및 두 개의 크라운(75,74)는 각각 수축 위치에 위치하고, 시트(NI) 및 플라이(NC)는 수용표면(711)상에 놓여지며, 케이스 뼈대(A)를 형성하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크라운(75,74)의 제 1 및 제 2 지지표면(751,741)상에 위치되고 그들의 외부로 축방향으로 신장된다.
도 12B에 따라서, 중앙 본체(71) 및 중간 크라운(74)의 연속적인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두 개의 "계단부" 가 케이스 뼈대(A)에 대해 생성된다.
그 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조성물부(P1)는 제 1 지지표면(741)상에 놓여진 케이스 뼈대(A)의 단부 영역(A')상에 놓여진다.
그 후, 절곡수단(761)은 반경방향으로 전개되고, 제 1 크라운(75) 및 고무조성물부(P1)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단부(A')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래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단부(A')의 들어올려진 영역은 고무조성물부(P1) 주위로 회전되고,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된다.
그 후, 절곡막(761)은 수축되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 접근수단에 의해,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상에 위치할 때 까지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후,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은 계속되고,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와 함께 단부(A')가 접혀지도록 이동시키고, 단부(A')의 일부에 의해 덮여 있는 고무조성물부(P1)을 가로지른다.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비드 와이어(T) 및 케이스 뼈대(A) 사이에 위치된 절곡된 단부(A')에 의해 쇼울더(714)와 접촉할 때 까지, 접근된다.
그 후, 고무조성물부(P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표면(75)의 직경이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를 지지하는 제 2 지지표면의 직경과 동일해 질 때까지 팽창 챔버(752)는 팽창되며, 이는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해 고무조성물부(P1)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린다(도 12F).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 뼈대의 절곡부가 상기 비드 와이어 및 상기 케이스 뼈대 사이에 위치되는 비드 와이어 복합체를 사용함으로서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쇼울더 드럼", 즉 상기 비드 와이어를 위한 위치설정 홈이 없는 드럼으로 알려진 타입의 어셈블리 드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쇼울더 드럼을 위한 적합한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32)

  1. 타이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보다 작은 직경의 제 1 원통형 지지표면(141, 141', 541, 66, 751)에, 하나 이상의 케이스 뼈대(A)의 측단부(A')가 수직하게 놓이고 돌출되도록,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상에 상기 케이스 뼈대(A)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상에 고무 조성물부(P1)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위치된 상기 고무조성물부(P1)가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고무조성물부(P1) 주위로 상기 측 단부(A')를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조성물부가 놓여진 지점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만들어진 절곡부 상에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해 상기 케이스 뼈대(A)의 절곡에 의해 덮여진 상기 고무조성물부(P1)를 반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나머지 측 단부도 또한, 주 수용 표면(101, 511, 611, 711)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나머지 면상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다른 제 1 원통형 지지표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돌출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상기 측 단부(A')를 내향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부(P1) 주위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절곡 단계는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단부(A')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상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를 상기 케이스 뼈대(A)의 중심까지 축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을 계속하고 상기 고무 조성물부(P1)를 가로지르는 단계에 의해 완성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상기 단부(A')의 영역에서 외향반경방향으로 압축함으로서 들어올려지는 타이어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절곡부 상의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상기 주 수용표면(101, 711) 및 상기 제 1 지지표면(141, 141', 751) 사이에 배치된 제 2 동축 원통형 지지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 수용표면(101, 711)의 직경은 제2 지지표면(107, 741)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2 지지표면(107, 741)의 직경은 제 1 지지표면(141, 141', 751)의 직경보다 큰 타이어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한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팽창 단계는
    상기 제 1 지지표면(141, 141')을 수축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 뼈대(A)의 절곡에 의해 덮여진 상기 고무조성물부(P1) 아래에 배치된 절곡장치(12)를 작동시키는 단계에 의해 완성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절곡부 상의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상기 주 수용표면(101, 711) 및 상기 제 1 지지표면(141, 141', 751) 사이에 배치된 제 2 동축 원통형 지지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 수용표면(101, 711)의 직경은 제2 지지표면(107, 741)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2 지지표면(107, 741)의 직경은 제 1 지지표면(141, 141', 75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하여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반경방향 팽 창은 상기 제 2 지지표면(741)의 직경만큼 상기 제 1 지지표면(751)의 팽창을 수행함으로서 완성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10. 타이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보다 작은 직경의 제 1 원통형 지지표면(141, 141', 541, 66, 751)에 하나 이상의 케이스 뼈대(A)의 측단부(A')가 수직하게 놓이도록,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상에 상기 케이스 뼈대(A)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상에 고무 조성물부(P1)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위치된 상기 고무조성물부(P1)가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고무조성물부(P1) 주위로 상기 측 단부(A')를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조성물부가 놓여진 지점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만들어진 절곡부 상에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해 상기 케이스 뼈대(A)의 플랩에 의해 덮여진 상기 고무조성물부(P1)를 반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나머지 측 단부도 또한,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과 동축관계이고 주 수용표면((101, 511, 611, 711)보다 작은 직경의, 나머지 면상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다른 제 1 원통형 지지표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돌출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부(P1) 주위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절곡 단계는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단부(A')를 반경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단부(A')가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상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를 상기 케이스 뼈대(A)의 중심까지 축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의 축방향 접근을 계속하고 상기 고무 조성물부(P1)를 가로지르는 단계에 의해 완성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는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상기 단부(A')의 영역에서 외향반경방향으로 압축함으로서 들어올려지는 타이어 제조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플랩(flap)상의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는 상기 주 수용표면(101, 711) 및 상기 제 1 지지표면(141, 141', 751) 사이에 배치된 제 2 동축 원통형 지지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 수용표면(101, 711)의 직경은 제2 지지표면(107, 741)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2 지지표면(107, 741)의 직경은 제 1 지지표면(141, 141', 751)의 직경보다 큰 타이어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한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반경방향 팽창 단계는
    상기 제 1 지지표면(141, 141')을 수축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이스 뼈대(A)의 절곡에 의해 덮여진 상기 고무조성물부(P1) 아래에 배치된 절곡장치(12)를 작동시키는 단계에 의해 완성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한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반경방향 팽창은 상기 제 2 지지표면(741)의 직경만큼 상기 제 1 지지표면(751)의 팽창을 수행함으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한 상기 고무조성물부(P1)의 반경방향 팽창은 상기 수용표면(511)의 팽창에 의해 완성되며, 상기 제 1 지지표면(541)은 상기 수용표면(511)과 일체이고 상기 수용표면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이어 제조방법.
  19. 제 10 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조성물부(P1) 주위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단부(A')의 절곡은 상기 제 1 지지표면(66)을 철수시키는 작업 다음에 이어지고, 상기 케이스 뼈대(A)의 플랩을 위해 제 2 지지표면(641)의 팽창과 동시에 상기 수용표면(611)의 팽창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비드 와이어 복합체(CT)에 관한 상기 케이스 뼈대(A)의 플랩에 의해 덮여진 상기 고무조성물부(P1)를 반경방향으로 본질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가 추가되는 타이어 제조방법.
  20. 타이어 제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조립될 제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101)을 가지는 쇼울더 드럼(10)을 포함하며, 상기 주 수용표면은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주 수용표면(101)의 측면 모서리에 축방향으로 쇼울더(102)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10)은 축(11)상에 탑재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드럼(10)과 동축관계로 탑재된 하나 이상의 연결된 축방향 이동가능한 크라운(14, 14')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드럼(10)은 하나 이상의 쇼울더(102)에 동축관계로 병치된 측면 돌기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크라운(14, 14')은 상기 측면 돌기부 아래에 부분적으로 축방향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측면 돌기부(106)는 외경이 상기 주 수용표면(101)의 직경보다 작은 준-원통형 지지표면(107)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 크라운(14, 14')은 상기 측면 돌기부(106)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표면(141, 141')을 가지는 타이어 제조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141, 141')의 전체가 상기 측면 돌기부(106) 아래로 철수될 수 있는 타이어 제조장치.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크라운(14)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절곡수단(12)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수단(12)은 축방향 이동시 측면 크라운(14)과 일체되는 타이어 제조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절곡수단(12)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크라운(14')은 상기 드럼(10)에 의해 지지되고, 축방향 미끄럼 운동시 상기 절곡수단(12)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는 타이어 제조장치.
  24. 타이어 제조장치(6)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조립될 제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611)을 가지는 쇼울더 드럼(60)을 포함하며, 상기 주 수용표면은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며, 상기 드럼(60)은 축(62)상에 탑재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축(62)상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축방향 이동가능한 칼라(66)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드럼(60)은 하나 이상의 쇼울더(614)에 병치된 하나 이상 의 측면 돌기부(64)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돌기부(64)는 외경이 상기 주 수용표면(611)의 직경보다 작은 준-원통형 지지표면(641)을 형성하며, 상기 칼라(66)는 상기 측면 돌기부(64)의 표면(641)을 덮을 수 있는 타이어 제조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주 수용표면(611)의 측면 모서리에 축방향으로 쇼울더(614)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26. 제 20항 내지 제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쇼울더는 상기 축에 수직한 평면에 포함되지 않는 어떠한 부분도 가지지 않고 반경방향으로 경사지는 타이어 제조장치.
  27.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50)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조립될 제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511)을 포함하는 중앙 본체(51)를 가지며, 상기 주 수용표면은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주 수용표면(511)의 측면 모서리에 축방향으로 쇼울더(514)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본체(51)는 축(52)상에 탑재되며, 상기 드럼은 두 개의 상이한 팽창 위치를 향한 상기 드럼(50)의 팽창 수단(57)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상기 드럼은 상기 주 수용표면 주위에 말려진 스트링의 세 개의 상이한 원주 전개에 의해 세 개의 상이한 안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는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
  28. 제 2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쇼울더(514)에 동축관계로 병치되며 쇼울더(514)와 일체인 측면 돌기부(54)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돌기부(54)는 상기 주 수용표면(511)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
  29.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70)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조립될 제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주 수용표면(711)을 포함하는 중앙 본체(71)을 가지며, 상기 주 수용표면은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며, 상기 중앙본체(71)는 축(72)상에 탑재되며, 상기 드럼(70)은 상기 축(72)상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측면 크라운 및 하나의 중간 크라운(75, 74)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크라운(74)은 상기 중앙 본체(71)의 쇼울더(714)중 하나와 상기 측면 크라운(7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 크라운 및 측면 크라운(74, 75)은 축방향 이동시 상기 중앙 본체(71)와 일체이고 각각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며 상기 중앙 본체(71)과 독립된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주 수용표면(711)의 측면 모서리에 축방향으로 쇼울더(714)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
  31. 제 29 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크라운(74)의 수축위치에서,상기 측면 크라운의 외경 및 상기 중앙 크라운(75, 74)의 외경은 상기 본체(71)의 수축 위치에서 수용표면(71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측면 크라운(75) 의 팽창위치에서 측면 크라운(75)의 외경은 중간 크라운(74)의 팽창위치에서 중간크라운(74)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중간 크라운(74)의 팽창위치에서 중간 크라운(74)의 외경은 상기 본체(71)의 팽창위치에서 상기 수용표면(711)의 직경보다 작은 타이어 제조용 쇼울더 드럼.
  32. 제 27항 내지 제 3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는 상기 축에 수직한 평면에 포함되지 않는 어떠한 부분도 가지지 않고 반경방향으로 경사지는 타이어제조용 쇼울더 드럼.
KR1019990029953A 1998-07-23 1999-07-23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64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9594 1998-07-23
FR9809594A FR2781412A1 (fr) 1998-07-23 1998-07-23 Procede de fabrication de pneumat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23A KR20000011923A (ko) 2000-02-25
KR100641591B1 true KR100641591B1 (ko) 2006-11-02

Family

ID=952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953A KR100641591B1 (ko) 1998-07-23 1999-07-23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74448B1 (ko)
KR (1) KR100641591B1 (ko)
CN (1) CN1193871C (ko)
BR (1) BR9902890A (ko)
CA (1) CA2278412A1 (ko)
DE (1) DE69916938T2 (ko)
ES (1) ES2219955T3 (ko)
FR (1) FR2781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119B2 (en) 2002-03-11 2004-12-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adially expansible tire assembly drum and method for forming tires
CN100418750C (zh) * 2002-10-28 2008-09-17 倍耐力轮胎公司 制造车轮充气轮胎的方法与装置
WO2004037522A1 (en) * 2002-10-28 2004-05-06 Pirelli Pneumatici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neumatic tyre for vehicle wheels
WO2004060642A2 (en) * 2002-12-30 2004-07-22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Tire building apparatus and assembly process
BR0317878A (pt) * 2002-12-30 2005-12-06 Michelin Rech Tech Aparelho e processo de montagem para confeccionar um pneu
JP4580424B2 (ja) * 2004-03-31 2010-11-10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車輪用タイヤ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CN100355555C (zh) * 2005-07-27 2007-12-19 天津市橡塑机械研究所有限公司 大型工程子午线轮胎四段组合成型机组
CN1323828C (zh) * 2005-09-08 2007-07-04 三角轮胎股份有限公司 工程子午胎坯胎的成型方法
JP5110973B2 (ja) * 2007-06-18 2012-1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成型装置及びタイヤ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1594A (en) * 1926-08-23 1933-05-30 Paul A Frank Tire building drum
US2605198A (en) * 1946-08-14 1952-07-29 Wingfoot Corp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US2951526A (en) * 1956-10-02 1960-09-06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machine
BE626929A (ko) * 1962-02-28 1900-01-01
DE2511160A1 (de) * 1975-03-14 1976-09-23 Continental Gummi Werke Ag Vorrichtung zum aufbauen einer karkasse fuer fahrzeugluftrei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4448B1 (fr) 2004-05-06
CN1249236A (zh) 2000-04-05
DE69916938T2 (de) 2005-05-04
FR2781412A1 (fr) 2000-01-28
CN1193871C (zh) 2005-03-23
BR9902890A (pt) 2000-04-11
DE69916938D1 (de) 2004-06-09
CA2278412A1 (fr) 2000-01-23
EP0974448A1 (fr) 2000-01-26
ES2219955T3 (es) 2004-12-01
KR20000011923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434B1 (en) Tire building drum with turn-up apparatus
EP1645403B1 (en) Method for molding bead portion of green tire and bead portion molding device
JP5095862B2 (ja) 車両車輪のタイヤ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641591B1 (ko) 타이어 제조 장치 및 방법
EP0468580B1 (en) Mechanism for supporting and retaining the beads when building pneumatic tyres
US200902724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a radial tire
US20050279444A1 (en) Tire building apparatus and assembly process
US5181982A (en) Tire forming drum including stitching supports
JPH0247341B2 (ko)
US65062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US3718520A (en) Tire building drum
JP5506796B2 (ja) 車両ホイール用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8367523B (zh) 成型鼓和用于将轮胎接合件组装在轮辋上的方法
JP2006168367A (ja) タイヤ製造ドラム用の交錯させられたビード固定セグメント
EP07927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up tyre components
US6983782B2 (en) Assembly drum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US5500066A (en) Process for the building of tires using a clamped turn-up bladder
JP4290274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組立体ドラム
US6408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US200300419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KR950015122B1 (ko) 생타이어 성형장치
JP2001038821A (ja) タイヤの製造装置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EP0692368A1 (en) Tire-forming dr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green tire
WO2004060642A2 (en) Tire building apparatus and assembly process
JPS633085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60515

Effective date: 200607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