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832A - 자기판독장치및광학프린터 - Google Patents

자기판독장치및광학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832A
KR19990082832A KR1019990011429A KR19990011429A KR19990082832A KR 19990082832 A KR19990082832 A KR 19990082832A KR 1019990011429 A KR1019990011429 A KR 1019990011429A KR 19990011429 A KR19990011429 A KR 19990011429A KR 19990082832 A KR19990082832 A KR 1999008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ecording sheet
pressing
rea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529B1 (ko
Inventor
모모세츠토무
고야부아키라
무라타사다오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8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기록시트의 반송경로를 짧게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해 짐과 동시에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최대한으로 기록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자기판독장치 및 광학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자기판독장치(50)는 자기헤드(33) 및 헤드 누름부(34)를 갖는 판독유닛(35)과, 종이이송롤러(21) 및 종이 누름 롤러(22)를 갖는 반송기구부(30)를 갖춘다. 반송기구부(30)는 판독유닛(35)의 판독부분에서 체크지(P)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L)상에서 판독유닛(35)과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설된다. 종이이송롤러(21)에는 3개의 반송부(21a1∼21a3)가 형성되고, 이들에 대응하는 3개의 종이 누름 롤러(22a1∼22a3)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자기판독장치 및 광학 프린터{MAGNETIC READER AND OPTICAL PRINTER}
본 발명은 예를들어 카드, 종이시트, 플라스틱 등과 같은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자기판독기 및 광학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자기정보는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과 같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형태도 포함한다.
최근 상거래나 점포에서 파는 물건에는 은행번호, 구좌번호 등 정보가 MICR문자로 인쇄된 퍼스널 체크지가 널리 이용되고 그와같은 퍼스널 체크지의 MICR문자를 판독하는 장치가 제안된다. 이와같은 장치에서는 퍼스널 체크지의 표면에 인쇄된 MICR문자에 대해 자기헤드를 접촉시킴으로써 그 내용을 판독함과 동시에 그 내용에 기초하여 인자헤드에 의해 퍼스널 체크지의 뒷면에 인쇄하도록 복합적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복합처리장치에 있어서는 MICR문자를 확실하게 판독하기 위해 예를들어 도 5a, 5b에 도시하는 자기판독장치(100)가 마련된다.
이 자기판독장치(100)는 퍼스널 체크지(다음 「체크지」라고 함)(P)를 반송경로를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반송기구부(102)와, 체크지(P)의 표면에 기록된 MICR문자(101)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유닛(105)을 갖고 있다. 여기서 판독유닛(105)은 체크지(P)의 반송경로내에서 반송기구부(102)의 근방에 배설된다.
반송기구부(102)는 회전구동을 받는 반송롤러(103)와 그 반송롤러(103)에 대해 체크지(P)를 압착하여 누르는 종이 누름 롤러(104)로 구성된다. 다른쪽 판독유닛(105)은 체크지(P)의 MICR문자(101)에 접촉가능한 위치에 배설된 자기헤드(106)와 자기헤드(106)에 대해 체크지(P)를 압착하여 누르는 헤드누름 롤러(107)로 구성된다.
이 경우 반송기구부(102)와 판독유닛(105)이 간섭하지 않도록 반송기구부(102)의 반송부분과 판독유닛(105)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이와같은 자기판독장치(100)에 있어서는 반송기구부(102)에 의해 체크지(P)를 일정 속도로 화살표시 A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헤드 누름 롤러(107)로 체크지(P)를 자기헤드(106)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체크지(P)의 MICR문자(101)를 읽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자기판독장치(100)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반송기구부(102)와 판독유닛(105) 사이의 소정거리에 상당하는 경로길이 만큼 여분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기록시트의 반송경로가 길어져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했다.
또 종래기술의 경우는 체크지(P)상에 있어서 반송기구부(102)와 판독유닛(105) 사이에 상당하는 영역은 판독되지 않기 때문에 MICR문자(101)의 판독범위에 스페이스상의 제약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MICR문자(101)를 판독할 때에 헤드누름 롤러(107)가 자기헤드(106)에 체크지(P)의 테두리 부분을 압착하는 것으로 반송기구부(102)의 반송력에 대해 판독유닛(105)에 의한 한쪽으로 치우친 백텐션이 일어나 체크지(P)가 사행(斜行)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체크지(P)나 단표용지 등 폭이 다른 기록시트가 반송롤러(103)와 종이 누름 롤러(104)에 눌릴 경우 종이가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단차에 의해 종이 누름 롤러(104)가부분적으로 기록시트(예를들어 체크지(P))에 닿아 종이 누름 롤러(104)가 반송롤러(103)에 대해 경사진 상태 이른바 한쪽만 닿는 상태가 된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체크지(P)가 사행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록시트의 반송경로를 짧게함으로써 소형화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최대한으로 기록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자기판독장치 및 광학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시트 사이즈에 상관없이 안정된 상태로 기록시트를 반송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체크지에 기록된 MICR문자를 양호하게 판독할 수 있는 자기판독장치 및 광학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진 본 발명의 자기판독장치는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자기판독장치로서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자기판독장치로서, 기록시트에 접촉함으로써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검출하는 자기정보 검출헤드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에 압착하여 누르기 위한 판독 누름 부재를 갖는 판독유닛과, 상기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반송부재에 압착하기 위한 반송 누름 부재를 각각 적어도 하나 갖고, 상기 판독유닛의 판독부분으로부터 상기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상에서 상기 자기정보검출 헤드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설된 반송기구부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프린트는 이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이 기록시트에 접촉하여 검출하는 자기정보 검출헤드 및 이 기록시트를 이 자기정보 검출헤드에 압착하기 위한 판독 누름 부재를 갖는 판독유닛과, 이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이 기록시트를 이 반송부재에 압착하기 위한 반송 누름 부재를 각각 적어도 하나 갖고, 이 판독유닛의 판독부분에서 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상에서 상술한 자기정보 검출헤드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반송기구부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프린터는 이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이 기록시트에 접촉하여 검출하는 자기정보 검출헤드 및 이 기록시트를 이 자기정보 검출헤드에 압착하기 위한 판독 누름부재를 갖는 판독유닛과, 이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이 기록시트를 이 반송부재에 압착하기 위한 반송 누름부재를 각각 적어도 하나 갖고, 이 판독유닛의 판독부분에서 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상에서 상술한 자기정보 검출헤드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반송기구부와, 이 반송기구부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시트에 대해 상술한 자기정보 검출헤드에서의 판독결과에 기초하여 인자하는 인자기구부를 갖춘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상에 판독유닛과 반송기구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록시트의 판독처리에 필요한 반송경로 길이를 극히 짧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기술과 같이 기록된 정보의 판독불능 영역이 생기지 않고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최대한으로 기록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 누름 부재를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내에 여러개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라도 반송부재 및 반송 누름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끼워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여러개의 반송 누름 부재를 대응하는 반송부재를 각각 독립하여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시트에 대해 각 반송누름 부재가 균일한 상태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두께가 다른 기록시트에 대해 한쪽만 닿는 상태를 피할 수 있어 안정된 상태로 기록시트반송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반송기구부는 여러개의 반송 누름 부재를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에 있어서 반송방향 중심선을 끼우는 위치에 배설한 제 1반송기구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시트에 대해 대략 균등한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의 외측에 상기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반송부재에 압착하기 위한 반송 누름 부재를 갖는 제 2반송기구부를 갖고, 제 2반송기구부에서의 압착하중이 제 1반송기구부에서의 압착하중 이하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규격상 최소폭내에 있어서 주반송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규격상 최소폭의 외측에 배설된 제 2반송기구부에 의해 보조적인 반송력을 부여함으로써 여러가지의 종이폭을 갖는 기록시트에 대해 안정된 반송을 행하여 양호한 판독 및 인자를 할 수 있다.
또한 반송부재의 반송면에 조면화 처리를 실시하면 반송부재의 반송면과 기록시트 사이의 마찰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압착하중을 증가시키지 않고 기록시트의 반송력을 크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판독 누름 부재로서 상기 기록시트에 대한 접촉면이 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을 따라 만곡된 탄성부재로 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시트와 판독 누름 부재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기록시트의 반송저항이 적어진다. 또 판독 누름 부재로서 롤러를 이용할 경우와는 달리 접촉면의 위치는 자기정보 검출헤드에 대해 일정하기 때문에 거기에 철분 등이 퇴적된 경우라도 철분 등에 의한 잡음은 대략 일정하여 그 제거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판독 누름 부재가 탄성부재의 만곡된 표면을 따라 탄성부재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시트형상 부재를 갖추고, 이 시트형상 부재가 기록시트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록시트가 자기정보 검출헤드와 판독 누름 부재 사이를 통과할 때의 시트형상 부재와 기록시트 사이의 마찰계수를 0.2이하가 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찰계수가 작은 시트형상 부재에 의해 더욱 더 기록시트와 판독부재 사이의 마찰이 적어져 한층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기판독장치 및 광학 프린터를 갖춘 복합처리장치(1)의 일실시예의 전체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자기판독장치의 요부를 반송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본 개략정면도.
도 3은 도 2의 자기판독장치의 요부를 반송경로 위쪽에서 본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헤드 누름 부재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단면도로서 헤드누름 부재가 지지암의 고정부 안에서 지지되어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종래기술의 자기판독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종래기술의 자기판독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다음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기판독장치 및 광학 프린터를 갖춘 복합 처리장치(1)의 전체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합처리장치(1)는 예를들어 체크지에 기록된 MICR문자를 판독하는 기능과, 체크지 등의 기록시트에 인자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록시트는 인쇄작업을 할 수 없는 자기기록시트도 포함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합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커버(2)의 내부 뒤쪽에 롤지(R)가 배치되고, 그 앞쪽에 롤지(R)를 반송하기 위한 종이반송부(3)가 마련된다.
한편 종이반송부(3)의 앞쪽에는 롤지(R) 등에 인자하기 위한 인자부(4)가 종이반송부(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인자부(4)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앞 커버(5)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인자부(4)는 잉크젯 방식에 의해 인자하는 것이다. 이 인자부(4)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프레임에 부착된 가이드레일(7)을 따라 그 양측부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복합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종이 이송방향 또는 이와 직교하는 종이폭 방향 중 어떤 방향에 대해서도 인자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인자부(4)에 있어서는 종이 반송부(3)에 마련된 플라텐부(8)와 대향하는 부위에 인자헤드(4a)가 배치된다.
한편 롤지(R)는 권심부(卷芯部)와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지지롤러(10)(11)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 롤지(R)는 장치본체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그 선단부가 나오도록 되어있다.
종이 반송부(3)에 있어서는 롤지(R)의 반송경로가 형성되어있다. 즉 종이반송부(3)는 종이안내부(12) 및 반송롤러(13)에 의해 롤지(R)의 이송방향을 반전하고, 반송롤러(14)에 의해 본체 윗커버(15)에 마련된 배출구(16)로부터 인자 후의 롤러지(R)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체 윗커버(15)는 지축(1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하게 부착되고 이에 의해 롤지(R)를 덮도록 구성된다.
또 본체의 상부 중앙에는 본체 윗커버(15)와 본체 앞 커버(5)에 의해 체크지(P)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8)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18) 근방에는 한쌍의 윗롤러(19)(20)가 마련된다. 또한 종이반송부(3)와 인자부(4) 사이에는 서로 대향하는 뒤에 설명하는 반송롤러(21) 및 종이 누름 롤러(22)가 마련된다. 또 종이 삽입구(27)근방에는 접착 분리가 가능한 한쌍의 삽입용 롤러(23)(24)가 마련된다. 또한 한쌍의 가이드부재(25)(26)가 장치 앞부분에서 삽입용 롤러(23)(24) 및 반송롤러(21), 종이 누름 롤러(2)를 경유하여 윗롤러(19)(20)를 향해 뻗도록 마련되고, 이에 따라 종이 삽입구(27) 및 체크지(P)의 반송경로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자기판독장치의 요부를 반송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본 개략정면도로서 도 3은 도 2의 자기판독장치의 요부를 반송경로 위쪽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기판독장치(50)는 도 1에 도시하는 복합처리장치(1)에 마련된반송롤러(반송부재)(21) 및 종이 누름 롤러(반송누름 부재)(22) 근방에 판독유닛(35)이 마련되어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부재(25)의 한쪽 단부(도면중 우측단부)에는 체크지(P)의 MICR문자(도시하지 않음)가 기록된 측의 기준단 테두리(P1)를 안내하기 위한 기준부(25a)가 마련된다.
이 위치결정부(25a)의 근방에는 MICR문자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헤드(자기정보 검출헤드)(33)와 체크지(P)를 자기헤드(33)에 압착하여 밀착시키기 위한 헤드 누름 부재(판독 누름 부재)(34)를 갖는 판독유닛(35)이 마련된다.
여기서 자기헤드(33)와 헤드누름 부재(34)는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설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자기헤드(33)는 반송경로에 대해 가이드부재(25)측에 있어서 지지부재(29)에 고정되고 MICR문자를 판독하는 판독면(33a)이 가이드부재(26)측을 향하고 있다.
헤드 누름 부재(34)는 그 접촉면(34a)을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헤드누름 부재(34)는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부착된 지지암에 고정된다. 그리고 헤드 누름 부재(34)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한 지지암의 상하이동에 따라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에 대해 접착 분리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힘을 조절함으로써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에 대한 압착력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에 대한 적정한 압착력은 120∼180gf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헤드 누름 부재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단면도로서 헤드누름 부재가 지지암의 고정부안에서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헤드 누름 부재(34)는 지지암에 형성된 고정부(36a)내에 삽입되고 헤드누름 부재(34) 및 고정부(36a)를 관통하는 고정핀(37)에 의해 그 내부에 고정된다.
헤드누름 부재(34)는 기대(基臺)(40)와, 이 기대(40)의 자기헤드(33)측 부위에 마련된 탄성부재(41)와, 또한 탄성부재(41) 위에 마련된 시트형상 부재(42)를 갖고 있다.
이 경우 기대(4)의 자기헤드(33)측 부위는 체크지(P)의 반송방향을 따라 만곡모양으로 형성되고, 이 만곡된 면을 따라 탄성부재(41)가 접착되며 시트형상 부재(42)는 탄성부재(41)의 표면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반송되는 체크지(P)가 직접 닿는 것은 이 시트형상부재(42)의 표면으로 탄성부재(41)의 표면은 체크지(P)의 반송방향을 따라 만곡하는 면이 된다.
탄성부재(41)는 체크지(P)를 자기헤드(33)에 대해 압착할 때 체크지(P)를 자기헤드(33)를 따라 만곡시키도록 헤드 누름 부재(34)의 접촉면(34a)을 변형가능하게 한다.
시트형상부재(42)의 표면은 자기헤드(33)에 압착하고 있지 않을 때는 탄성부재(41)의 만곡면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만 자기헤드(33)측에 반송하는 체크지(P)를 압착하고 있을 때는 자기헤드(33)와 헤드누름 부재(34) 사이의 압착력에 의한 탄성부재(41)의 변형에 따라 체크지(P)에 대해 그 반송방향으로 면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크지(P)는 자기헤드(3)의 판독면(33a)에 밀접하게 되고, 그 표면의 자기잉크문자 판독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41)의 재질로서는 아크릴 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SBR), 우레탄고무, 불소고무(fluoro rubber) 등의 고무계 재료, 열가소성 에라스토마 등의 수지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로서 예를들어 미츠비시 몬산트화성 주식회사의 「산트프렌(상표)」(경도 : 55도)를 두께 약 1mm로 가공한 것을 탄성부재로서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형상부재(42)의 재질로서는 그 표면에 있어서 탄성부재(41)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것이 채용된다. 일반적인 탄성체의 마찰계수는 0.8이상이기 때문에 그 이하인 것을 이용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찰계수가 0.2이하의 시트형상부재를 채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사불화(四弗化) 에틸렌이나 고분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두께 0.1mm, 마찰계수 0.16의 대협기연 공업주식회사의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테입」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형상부재(42)는 탄성부재(41)의 표면에 대해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를 통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점착되고 완전하게는 고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헤드누름 부재(34)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암의 고정부(36a)에 압입되므로 시트형상부재(42)는 고정부(36a)의 내벽으로 눌리게 되어 탄성부재(41)에 대한 밀착이 유지된다.
또한 시트형상부재(42)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가 마련되고, 이 구멍부가 체크지(P)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기대(基臺)(40)에 마련된 돌기(43)와 감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트형상부재(42)는 체크지(P)에 직접 닿기 때문에 체크지(P)의 반송에 의한 그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반송방향의 하류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다. 상술한 기대(40)의 돌기(43)와 시트형상부재(42)의 구멍부 사이와의 결합은 이 인장력에 대해 시트형상부재(42)의 어긋남을 방지한다.
한편 체크지(P)와 접촉하고 있는 시트형상부재(42)의 표면이 장기적인 사용에 의해 소성적인 연장을 일으킨다고 해도 시트형상부재(42)는 탄성부재(41)에 대해 완전하게는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연장을 하류측으로 보내고 이것에 의해 판독면(33a)근방에서 탄성부재(41)와 시트형상부재(42) 사이의 밀착성이 확보된다.
이와같은 헤드누름 부재(34)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체크지(P)와 헤드누름 부재(34)의 접촉면적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므로 체크지(P)의 반송저항이 작아져 체크지(P)의 반송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헤드 누름 부재로서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와 달리 접촉면(34a)의 위치는 자기헤드(33)에 대해 일정하기 때문에 거기에 철분 등이 퇴적된 경우라도 철분 등에 의한 잡음레벨을 거의 일정하게 하고 있어 그 잡음제거가 용이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크지(P)가 자기헤드(33)와 헤드누름 부재(34) 사이를 통과할 때의 시트형상부재(42)와 체크지(P) 사이의 마찰계수를 0.2이하가 되도록 하면 더욱 더 체크지(P)와 헤드누름 부재(34) 사이의 마찰이 적어져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독유닛(35)에 대해 가이드부재(25)(26)의 다른쪽 단부(도면중 왼쪽단부)측의 인접하는 부위에 반송기구부(30)가 마련된다.
반송기구부(30)는 반송롤러(21)와 종이 누름 부(22A)(22B)(22C)로 구성된다.
여기서 반송롤러(21) 및 종이 누름 부(22A)(22B)(22C)는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을 지나 기록시트반송방향(화살표시 A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L)을 따라 배설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종이 누름 부(22A) 및 종이 누름 부(22B)를 갖는 제 1반송기구부(30A)(30B)와, 종이 누름 부(22C)를 갖는 제 2반송기구부(30C)에 의해 반송기구부(30)가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반송기구부(30)의 반송롤러(21)는 예를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롤러축(21b)과 3개의 반송부(21a1)(21a2)(21a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반송롤러(21)에는 상기 기준선(L)과 평행한 직선(N)을 따라 뻗는 롤러축(21b)상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3개의 반송부(21a1)(21a2)(21a3)가 형성된다. 여기서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21a3)는 롤러축(21b)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21a3)의 체크지(P)와의 각 접촉위치(211)(212)(213)가 상기 기준선(L)상에 위치하도록 즉 이들 접촉위치(211)(212)(213)와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이 반송방향에 대해 동일위치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 반송롤러(21)는 그 롤러축(21b)의 양단부가 축받이(21d)(21e)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된다. 또한 롤러축(21b)상의 반송부(21a3)근방에 고정된 치차(21c)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반송롤러(21)는 그 반송부(21a1)(21a2)(21a3)가 가이드부(25)에 마련된 구멍(25a1∼25a3)에서 가이드부재(26)를 향해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있다.
한편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21a3)의 외주는 예를들어 플라즈마용사(溶射)에 의한 조면화처리가 실시된다. 이 경우 용사재료로서는 예를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산화크롬 등의 산화물 또는 텅스텐 카바이트, 크롬 카바이드 등의 탄화물이 이용된다.
이와같은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체크지(P)에 대한 마찰계수가 커져 큰 반송력이 얻어지므로 반송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21a3)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여러개의 종이 누름 부(22A)(22B)(22C)가 배설된다.
여기서 각 종이 누름 부(22A)(22B)(22C)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회동자재한 종이 누름 롤러(22a1)(22a2)(22a3)를 갖고 있다. 각 종이 누름 롤러(22a1)(22a2)(22a3)의 롤러축(22b1)(22b2)(22b3)은 롤러고정 고정부재(28)의 예를들어 장공(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21a3)에 대해 접착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된다.
또 각 종이 누름 롤러(22a1)(22a2)(22a3)는 동일한 직경을 갖고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 롤러축(22b1)(22b2)(22b3)이 상기 기준선(L)과 평행하게 일열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각 종이 누름 롤러(22a1)(22a2)(22a3)의 위쪽에는 각 롤러축(22b1)(22b2)(22b3)의 반송롤러(21)와는 반대측 부분으로 접하는 롤러 압착부재(22c1)(22c2)(22c3)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 롤러압착부재(22c1)(22c2)(22c3)에 대해 압축코일 스프링(31A)(31B)(31C)에 의해 각 종이 누름 롤러(22a1)(22a2)(22a3)가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21a3)에 대해 각각 독립하여 부세된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자기판독장치(50)에 있어서 반송롤러(21)의 각 반송부(21a1)(21a2)(21a3) 및 종이 누름 롤러의 각 종이 누름 부(22A)(22B)(22C)의 위치관계 등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에 있어 가이드부재(25) 기준부(25a)의 안내면(250)을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L1)으로 한다. 또 이 기준선(L1)에서 기록시트의 반송방향(화살표시 A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체크지(P)의 폭방향에 대해 체크지(P)의 규격상 최소폭에 상당하는 예를들어 68mm 떨어진 위치에서 기록시트반송방향으로 뻗는 선을 기준선(L2)으로 하고 또한 복합처리장치(1)의 처리가 가능한 체크지(P)의 최대폭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기록시트반송방향으로 뻗는 선을 기준선(L3)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판독장치(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기준선(L1)과 기준선(L2)에 끼워지는 범위에 기준선(L1)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자기헤드(33)와 헤드누름 부재(34),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와 종이 누름 롤러(22a1),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2)와 종이 누름 롤러(22a2)가 포함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준선(L1)과 기준선(L2)의 중앙에 있어서 기록시트반송방향으로 뻗는 직선(반송방향 중심선)을 M으로 하면 기준선(L1)과 직선(M)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에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와 종이 누름 롤러(22a1)가 배치되고, 직선(M)과 기준선(L2)에 의해 끼워지는 범위에 반송부(21a2)와 종이 누름 롤러(22a2)가 배치된다.
한편 기준선(L2)과 기준선(L3)에 끼워지는 범위에는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3)와 종이 누름 롤러(22a3)가 배치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 압축코일스프링(31A∼31C)에 의한 각 종이 누름 롤러(22a1∼22a3)의 반송롤러(21)에 대한 압착력을 F1,F2,F3으로 하고, 헤드누름 부재(34)의 자기헤드(33)에 대한 압착력을 f로 한 경우에 다음에 도시하는 관계식(1)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f<F3<F1,F2 … (1)
또한 종이 누름 롤러(22a1)(22a2)의 반송롤러(21)에 대한 압착력(F1)(F2)은 거의 같게 설정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처리장치(1)에 있어서 체크지(P)의 복합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체크지(P)의 기준단 테두리(P1)를 가이드부재(25) 기준부(25a)의 안내면(250)에 접하게 함으로써 위치결정이 행해진 상태에서 체크지(P)를 종이삽입구(27)로부터 삽입한다. 이 경우 체크지(P)의 MICR문자는 자기헤드(33)와 대향하는 위치가 된다.
도시하지 않은 종이 검출기에 의해 반송경로내의 체크지(P)를 확인하면 서로 떨어져있는 삽입용 롤러(23)(24)는 체크지(P)를 끼우고 자기판독장치(50)의 반송롤러(21) 및 종이 누름 롤러(22)를 향해 반송한다.
체크지(P)의 끝단이 반송롤러(2) 체크지(P)의 각 접촉위치(211)(212)에 도달하면 반송롤러(23) 및 삽입용 롤러의 회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삽입용 롤러를 이격상태로 또 지지암을 이동시켜 헤드누름 부재(34)를 자기헤드(33)의 판독면(33a)에 대해 체크지(P)를 통해 압접시킨다.
그 후 반송롤러(23)를 역회전시켜 체크지(P)를 종이 삽입구(27)측으로 반송하면서 자기판독장치(50)에 있어서 체크지(P)의 MICR문자의 판독처리를 행한다. 이 판독처리는 체크지(P)의 선단이 반송롤러(23)의 체크지(P)와의 각 접촉위치(211)(212)에 도달할 때 까지 행해진다. 그 후 지지암을 이동시켜 헤드누름 부재(34)를 자기헤드(33)에서 이간시키고 압접반송롤러를 정회전시킨다.
체크지(P)는 반송롤러(21) 및 종이 누름 롤러(22)의 반송에 의해 인자부(4)를 향해 반송되고, 그 후 원하는 인자가 행해져 배출구(18)에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L)위에 판독유닛(35)과 반송기구부(30)를 배설한 것으로 부터 기록시트의 판독처리에 필요한 반송경로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기술과 같이기록된 정보의 판독불능 영역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최대한으로 기록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들어 규격상의 최소폭 68mm의 체크지(P)가 삽입된 경우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체크지(P)가 반송롤러(21)의 2개의 반송부(21a1)(21a2)와 2개의 종이 누름 롤러(22a1)(22a2)에 의해 끼워져 반송된다.
여기서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로부터 체크지(P)에 대해서는 각 종이 누름 롤러(22a1)(22a2)의 압착력(F1)(F2)과, 반송부(21a1)(21a2) 및 체크지(P)사이의 마찰계수에 따른 반송력(Fa1)(Fa2)이 작용한다.
한편 자기헤드(33)에서는 체크지(P)에 대해 상기 압착력(f)과, 자기헤드(33) 및 체크지(P)사이의 마찰계수에 따른 저지력(fa)이 상기 반송력(Fa1)(Fa2)과 역방향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이 누름 롤러(22a1)(22a2)의 반송롤러(21)에 대한 압착력(F1)(F2)이 헤드누름 부재(34)의 자기헤드(33)에 대한 압착력(f)보다 크고,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3)의 외주(반송면)는 조면화 처리가 실시되기 때문에 반송롤러(21)에 의한 반송력(Fa1)(Fa2)은 자기헤드(33)에 의한 저지력(fa)에 비해 상당히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독유닛(35)의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설된 반송롤러(21)의 반송력(Fa1)에 의해 판독유닛(35)에서 저지력(fa)의 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종이의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아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3)에 의해 체크지(P)를 반송할 수 있다.
또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크지(P)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직선(M)의 양측부분에 각각 종이 누름 롤러(22a1) 및 종이 누름 롤러(22a2)를 배치하여 반송하는 하는 것으로부터 체크지(P)에 대해 대략 균등한 반송력을 부여하여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종이 누름 롤러(22a1)(22a2)가 독립하여 체크지(P)를 압착하는 것으로부터 체크지(P)를 균일한 반송력에 의해 반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크지(P)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좌우두께가 다른 슬립지 등의 기록시트라도 한쪽만 닿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한편 최대폭의 체크지(도시생략)(P)가 삽입된 경우, 이 체크지(P)에는 제 1반송기구부의 반송부(21a1)(21a2)로부터 상기 반송력(Fa1)(Fa2)이 작용하는 것에 더해 제 2반송기구부의 반송부(21a3)로부터 반송력(Fa3)이 작용한다.
이 반송력(Fa3)의 크기는 상술한 식(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의 반송력(Fa1)(Fa2)보다 작고, 자기헤드(33)의 저지력(fa)보다 크다.
따라서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규격상 최소폭내에 있어서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1)(21a2)에 의해 주반송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규격상 최소폭의 외측에 배설된 반송롤러(21)의 반송부(21a3)에 의해 보조적인 반송력을 부여함으로써 최대폭의 체크지(P)에 대해서도 안정된 반송을 행하여 양호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 최소폭과 최대폭 사이의 종이폭을 갖는 체크지(P)에 대해서도 종이폭 방향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주반송력(Fa1)(Fa2)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폭 및 최대폭의 체크지(P)와 같이 안정된 반송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시트로서 인자가능한 체크지를 이용하고, 장치로서 광학 프린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기록할 수 없는 기록시트 및 기록시트의 자기정보를 읽는 자기판독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예를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라즈마 용사에 의한 표면(조면화)처리를 실시한 반송롤러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분체에 의한 분체도장을 실시한 반송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이 누름 롤러의 종이 누름 부를 체크지의 규격상의 최소폭 내에 2개 포함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외측에 한개 배치시켰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체크지의 규격상의 최소폭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임의 수의 종이 누름 롤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롤러압착부재를 부세하기 위한 탄성부재는 압축코일 스프링 대신에 나사코일스프링, 인장스프링, 판형상의 스프링을 이용할 수 도 있다.

Claims (18)

  1.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자기판독장치로서,
    기록시트에 접촉함으로써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검출하는 자기정보 검출헤드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에 압착하여 누르기 위한 판독 누름 부재를 갖는 판독유닛과,
    상기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반송부재에 압착하기 위한 반송 누름 부재를 각각 적어도 하나 갖고, 상기 판독유닛의 판독부분으로부터 상기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상에서 상기 자기정보검출 헤드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설된 반송기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부는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내에 여러개 마련된 종이누름부재를 갖는 제 1반송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반송 누름 부재는 대응하는 반송부재를 각각 독립하여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반송 누름 부재는 상기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에 있어서 반송방향 중심선을 끼우는 위치에 배설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부는 상기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 외측에 상기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반송부재에 압착하여 누르기 위한 반송 누름 부재를 갖는 제 2반송기구부를 갖추고, 이 제 2의 반송기구부에서의 압착하중이 제 1반송기구부에서의 압착하중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재는 그 반송면이 조면화 처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누름 부재는 상기 기록시트에 대한 접촉면이 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을 따라 만곡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판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누름 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만곡된 표면을 따라 이 탄성부재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시트형상 부재를 갖추고 이 시트형상부재가 상기 기록시트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시트가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와 상기 판독 누름 부재 사이를 통과할 때의 상기 시트형상 부재와 상기 기록시트사이의 마찰계수를 0.2이하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판독장치.
  10. 자기정보를 갖는 기록시트에 대해 인자하는 광학 프린터로서,
    기록시트에 접촉함으로써 기록시트에 기록된 자기정보를 검출하는 자기정보 검출헤드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에 압착하여 누르기 위한 판독 누름 부재를 갖는 판독유닛과,
    상기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반송부재에 압착하기 위한 반송 누름 부재를 각각 적어도 하나 갖고, 상기 유닛의 판독부분에서 상기 기록시트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상에서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설된 반송기구부와,
    이 반송기구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기록시트에 대해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에서의 판독결과에 기초하여 인자하는 인자기구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부는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내에 여러개 마련된 종이누름부재를 갖는 제 1반송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반송 누름 부재는 대응하는 반송부재를 각각 독립하여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반송누름 부재는 상기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에 있어서 반송방향 중심선을 끼우는 위치에 배설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부는 상기 규격상 최소폭의 기록시트가 반송되는 범위 외측에 상기 기록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 및 상기 기록시트를 상기 반송부재에 압착하여 누르기 위한 반송누름 부재를 갖는 제 2반송기구부를 갖고, 이 제 2반송기구부에서의 압착하중이 상기 제 1반송기구부에서의 압착하중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재는 그 반송면이 조면화처리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누름 부재는 상기 기록시트에 대한 접촉면이 이 기록시트의 반송방향을 따라 만곡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누름 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만곡된 표면을 따라 이 탄성부재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시트형상부재를 갖추고, 이 시트형상부재가 상기 기록시트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시트가 상기 자기정보 검출헤드와 상기 판독 누름 부재 사이를 통과할 때의 상기 시트형상부재와 상기 기록시트의 마찰계수를 0.2이하가 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린터.
KR1019990011429A 1998-04-01 1999-04-01 자기판독장치 및 프린터 KR100613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60798 1998-04-01
JP98-88607 1998-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832A true KR19990082832A (ko) 1999-11-25
KR100613529B1 KR100613529B1 (ko) 2006-08-16

Family

ID=139475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429A KR100613529B1 (ko) 1998-04-01 1999-04-01 자기판독장치 및 프린터
KR1019990011371A KR19990082820A (ko) 1998-04-01 1999-04-01 자기카드판독장치및그것을갖춘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371A KR19990082820A (ko) 1998-04-01 1999-04-01 자기카드판독장치및그것을갖춘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71002B1 (ko)
EP (1) EP0947945B1 (ko)
KR (2) KR100613529B1 (ko)
CN (1) CN1158624C (ko)
CA (1) CA2267730C (ko)
DE (1) DE699288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0389B4 (de) * 1999-07-01 2009-09-1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rtenlesevorrichtung für Chipkarten und/oder SIM-Karten mit unterschiedlicher Dicke
US20040045786A1 (en) * 2002-09-05 2004-03-11 Cheng-Kang Yu Banknote receiving system used in a ticket vendor or the like
US20050024404A1 (en) * 2003-07-28 2005-02-03 Kabalnov Alexey S. Systems and methods of associating printing information with print media
JP3882934B2 (ja) * 2004-07-13 2007-02-21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018632B2 (en) 2006-11-09 2011-09-13 Pertech Resources, Inc. Scanner/imager
ES2326841T3 (es) * 2006-12-28 2009-10-20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medios.
US8098391B2 (en) * 2007-11-12 2012-01-17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Document processing system having improved operational sequencing
JP5338424B2 (ja) * 2009-03-25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搬送方法
CN103106758B (zh) * 2011-11-11 2015-11-2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压纸板组件、压纸机构和薄片类介质处理装置
US20150370210A1 (en) * 2012-06-25 2015-12-24 Shandong New Beiyang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ultifunctional magnetic r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s well as printer
PL2994891T3 (pl) 2013-05-06 2022-03-14 Sicpa Holding Sa Przyrząd do odczytu i drukowania na książeczce
JP7225918B2 (ja) * 2019-03-01 2023-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846A (en) 1978-11-13 1980-04-08 Recognition Equipment Incorporated Document processing transport
US4456236A (en) 1981-10-29 1984-06-26 Xerox Corporation Plural mode recirculating document handler
US4624588A (en) * 1983-11-08 1986-11-25 Maverick Microsystems, Inc. Full field MICR encoder
US5053607A (en) 1986-10-06 1991-10-01 Carlson Steven R Point-of-sale device particularly adapted for processing checks
DE3704059A1 (de) * 1987-02-10 1988-08-18 Base Ten Systems Electronics G Vorrichtung fuer das aufbringen von informationen auf blattfoermige datentraeger, wie karteikarten oder dergleichen
US5302975A (en) * 1992-06-08 1994-04-12 Eastman Kodak Company Transport roller having compressible hubs
US5965862A (en) * 1994-10-18 1999-10-12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medium and for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medium
TW293899B (ko) * 1994-10-18 1996-12-21 Seiko Epson Corp
US5613783A (en) * 1995-03-27 1997-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 of sale printer with magnetic reader
US5867585A (en) * 1997-01-10 1999-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ilinear pressure pad for improved MICR reading and method
US5895904A (en) * 1997-05-27 1999-04-20 Y. Nissim Coporation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encoder utilizing a dot matrix printer head and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ctivating, and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820A (ko) 1999-11-25
CA2267730A1 (en) 1999-10-01
EP0947945A2 (en) 1999-10-06
CN1236935A (zh) 1999-12-01
CA2267730C (en) 2007-12-18
DE69928853T2 (de) 2006-07-27
US6171002B1 (en) 2001-01-09
DE69928853D1 (de) 2006-01-19
KR100613529B1 (ko) 2006-08-16
EP0947945B1 (en) 2005-12-14
EP0947945A3 (en) 2000-07-12
CN1158624C (zh)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529B1 (ko) 자기판독장치 및 프린터
JP2804058B2 (ja) 冊子類取扱い装置及び冊子類の頁替え方法
JP3370517B2 (ja) 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の構造
JP2007186315A (ja) 媒体搬送装置
JPH11345284A (ja) 磁気カ―ド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2693909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4930103B2 (ja) 媒体収納装置
JPH1149377A (ja) 給紙装置
US10549563B1 (en) Magnetic ink reading apparatus and printer
US20190362174A1 (en) Magnetic ink reading device and printer
JPH11232384A (ja) 磁気文字読み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字装置
JP3004933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3774629B2 (ja) 印字装置
JPH0869548A (ja) 搭乗券発行機
JP2751587B2 (ja) 媒体搬送ガイド
JP2580668Y2 (ja) カード印字部の送り装置
JPH05338299A (ja) 記録媒体搬送装置
JP2581348Y2 (ja) 磁気カードリーダの磁気カード搬送機構
JP4520164B2 (ja) ニップ誘導スロープ及び特殊プリンタ
JP2506173B2 (ja) 搬送ロ―ラ
JP2001307018A (ja) 磁気文字認識装置
JP2008213988A (ja) 媒体収納装置
JP201219878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磁気読み取り装置の配置構造
JP2000190585A (ja)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JPS63106255A (ja) 通帳類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