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645A -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645A
KR19990082645A KR1019980706387A KR19980706387A KR19990082645A KR 19990082645 A KR19990082645 A KR 19990082645A KR 1019980706387 A KR1019980706387 A KR 1019980706387A KR 19980706387 A KR19980706387 A KR 19980706387A KR 19990082645 A KR19990082645 A KR 1999008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anglement
breaking means
tamper
container lid
high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295B1 (ko
Inventor
요시히로 카이추카
Original Assignee
도케 케이시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케 케이시,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케 케이시
Publication of KR1999008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0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0Tamper-ring remaining connected to closure after initial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5Vertical or axial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40Bridg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배설되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의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의 원주방향 일측에 제1의 고강도 교락부를 배설하고, 원주방향 타측에 제2의 고강도 교락부를 배설하고, 이렇게 하여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을 장착하는 때에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그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와 이 수나사의 하방에 위치하는 맞물림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량음료 등을 위한 유리 혹은 합성수지제 용기에 적용되는 용기뚜껑으로서, 예를 들면 특공소 58-32103호 공고, 특공소 62-18421호 공보, 특개평 4-311461호 공보, 특개평 6-54544호 공보 및 특개평 8-8095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형태의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이 널리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뚜껑은 원형 상면벽과 이 상면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벽(skirt wall)을 구비하고 있다. 스커트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스커트벽은 원주방향 파단수단 보다 상방에 있는 주부(主部)와 원주방향 파단수단 보다 하방에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로 구획되어 있다. 스커트벽 주부의 내주면에는 용기의 구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와 협동으로 작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내주면에는 용기의 구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턱부와 협동으로 작용하는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방향 파단수단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고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스커트벽의 주부(主部)에 접속하고 있는 복수개의 교락부(橋絡部)를 포함하고 있고, 이와 같은 복수개의 교락부 중의 1개는 횡단면적이 큰 고강도 교락부이다.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선방향 파단수단은 재료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스코어(score) 혹은 비연속부를 포함하는 슬릿(slit)(재료를 그 두께방향으로 완전히 절단하거나 혹은 성형시에 재료를 그 두께방향 전체에 걸처 존재되지 않도록 하여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을 장착하여 밀봉하는 때에는 구경부에 용기뚜껑을 끼워 폐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렇게 하여 구경부의 수나사에 용기뚜껑의 암나사를 나사결합한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나사결합의 진행에 따라 용기뚜껑은 하강되고, 용기뚜껑의 맞물림수단은 구경부의 맞물림턱부를 탄성적으로 넘어가서 그의 하면에 맞물려지게 된다. 용기의 구경부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용기뚜껑의 암나사가 구경부의 수나사를 따라 이동되게 되어 양자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용기뚜껑은 개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이 구경부의 맞물림턱부에 맞물려지기 때문에 탬퍼 에비던트 저부는 상승이 저지되고, 이것에 기인하여 원주방향 파단수단에 응력이 생성되고,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교락부가 1개의 고강도 교락부를 제외하고 파단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거동이 생성되는 것이 의도된다. 즉,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에서의 스코어(score)가 파단되거나, 혹은 슬릿의 비연속부가 파단되고, 이렇게 하여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띠 모양으로 전개되고, 이것에 의해 맞물림턱부에 대한 맞물림수단의 맞물려짐이 해제되고, 그리고 나서 용기뚜껑의 전체가 개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승되어 구경부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의 경험에 의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용기뚜껑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즉, 용기의 구경부를 개봉하는 경우에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에서의 스코어가 파단되거나, 혹은 슬릿의 비연속부가 파단되어,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띠 모양으로 전개되는 것이 의도되고 있으나, 축선방향 파단수단에서의 스코어 혹은 슬릿의 비연속부의 파단을 대신하여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1개의 고강도 교락부가 파단되고, 따라서 스코어 혹은 슬릿의 비연속부가 파단되지 않고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무단(無端; endless)의 환상 형태인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스커트벽의 주부에서 완전히 분리되고, 용기의 구경부에 무단(endless)의 환상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잔류시켜 용기뚜껑의 다른 부분이 구경부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폐기물의 소위 재료별 수집의 견지에서 혹은 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해, 무단(endless)의 환상 형태의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적절한 절단공구에 의해 띠 모양으로 전개하여 용기의 구경부에서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용기뚜껑에서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배설되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을,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렇게 하면, 용기의 구경부를 개봉하는 때에,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교락부(橋絡部)가 1개의 고강도 교략부를 제외하고 파단되면, 탬퍼 에비던트 저부는 필연적으로 띠모양으로 전개되고, 따라서 충분하고 확실하게 용기뚜껑의 전체가 용기의 구경부에서 이탈된다. 그러나, 단지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배설되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을,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허용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즉,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을 장착하는 때, 특히 용기뚜껑의 맞물림수단이 구경부의 맞물림턱부를 탄성적으로 넘어가는 때에,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그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확장되고, 이것에 기인하여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복수개의 교락부 중의 적어도 몇 개가 파단되게 된다.
본 발명은, 구경부(口頸部)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와 이 수나사의 하방에 위치하는 맞물림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료 등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탬퍼 에비던트(tamper evident) 특성(부정을 저지르기 위해 용기뚜껑이 조작되고, 그의 흔적이 남는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뚜껑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축선방향파단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용기뚜껑을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도 6은 제1의 고강도 교락부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도 7은 제1의 고강도 교락부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도 8은 제1의 고강도 교락부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뚜껑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선 B-B에 따른 부분횡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배설되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교락부가 1개의 고강도 교락부를 제외하고 파단되면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필연적으로 띠모양으로 전개되는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을 장착하는 때에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그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확장되고, 이것에 기인하여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복수개의 교락부 중의 적어도 몇 개가 파단되는 것이 충분하고 확실하게 방지되는, 신규하고 개량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교락부 중의 2개를 횡단면적이 큰 고강도 교락부로 하고, 이와 같은 2개의 고강도 교락부를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된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의 양측에 배설하고, 일방의 고강도 교락부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혹은 이것에 근접한 일단에서 원주방향 일방으로 연장되고, 타방의 고강도 교락부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혹은 이것에 근접한 일단에서 원주방향 타방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으로서, 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하방에 위치하는 맞물림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이고,
상면벽과 상기 상면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벽을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은 상기 원주방향 파단수단 보다도 상방에 있는 주부(主部)와 상기 원주방향 파단수단 보다도 하방에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주부(主部)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경부의 상기 수나사와 협동으로 작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경부의 상기 맞물림턱부와 협동으로 작용하는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주방향 파단수단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상기 스커트벽의 주부(主部)에 접속하고 있는 복수개의 교락부(橋絡部)를 포함하고, 상기 교락부 중의 1개는 큰 횡단면적을 갖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이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배설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교락부는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에 더하여 큰 횡단면적을 갖는 1개의 제2의 고강도 교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와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원주방향에서 볼 때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혹은 이것에 근접한 일단에서 원주방향 일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혹은 이것에 근접한 일단에서 원주방향 타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를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맞물림수단을 상기 맞물림턱부에 맞물려지게 함으로써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시키는 때에는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와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적어도 일방은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 보다도 크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시키는 때에는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파단되지만,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는 파단되지 않고 잔류하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띠 모양으로 전개되어 상기 맞물림턱부에 대한 상기 맞물림수단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포함하는 용기뚜껑 전체가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은 1.50 내지 4.50 ㎟ 이고,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은 0.80 내지 2.20 ㎟ 인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시키는 때의 용기뚜껑 회전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1.00 내지 3.00 ㎜ 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그 하단에서 연장되는 얇은 벽으로된 컬(thin-walled curl)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슬릿은 상기 상기 얇은 벽으로된 컬(thin-walled curl)에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어 있거나 혹은 전혀 연장되어 있지 않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수지제 용기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수지제 용기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경질 폴리에틸렌 같은 적절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는 도면부호 2 로 표시된 용기 뚜껑은 원형 상면벽(4)과 그 상면벽(4)의 주연(周緣)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스커트벽(6)을 구비하고 있다. 스커트벽(6)에는 원주방향 파단수단(8)(이 원주방향 파단수단(8)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이 형성되어 있고, 스커트벽(6)은 원주방향 파단수단(8)보다도 상방에 있는 주부(主部)(10)와 원주방향 파단수단(8) 보다도 하방에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로 구획되어 있다.
스커트벽(6)의 주부(10)의 외주면에는 그 하단부 근방에 하방으로 향하여 외경이 점차 증대하는 원추형상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의 주부(10)의 하단부, 즉 원추대형상부(14) 보다도 하방에 있는 부분 및 이것에 연속해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외주면도 하방으로 향하여 외경이 약간 혹은 점차 증대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부(10)의 외주면에서의 원추형상부(14) 보다도 상방에 있는 부분에는 거기에 위치되어 있는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형상(16)이 형성되어 있다. 주부(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암나사(18)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노치(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노치(20)는 용기의 구경부가 개봉될 때의 소위 통기로를 구성한다. 또한 주부(10)의 내주면에는 그 상단부에 환상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상돌기(22)와 상면벽(4)의 내면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는 용기뚜껑(2)의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된 밀봉 라이너(24)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봉 라이너(24)는 상면벽(4)의 내면에 연화 용융상태의 합성수지 소재를 공급하고, 그 합성수지 소재를 압축공구로 압축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성형될 수 있다. 밀봉라이너(24)를 위한 합성수지 소재는 연질 폴리에틸렌 같은 비교적 연질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내주면 상부에는 하방을 향한 환상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상견면(26)보다도 하방에서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플랩편(flap piece) (2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것처럼, 이러한 플랩편(28)은 용기의 구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턱부에 맞물려지게 하는 맞물림수단을 구성한다. 플랩편(28)의 각각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내주면에 접속된 기연(基緣)(30)에서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2)을 장착하는 때의 용기뚜껑의 폐회전방향, 즉 도 1에 있어서 상방에서 보아 시계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져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랩편(28)의 각각의 기연(基緣)(30) 자체도 용기뚜껑(2)의 상기 폐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호상(弧狀)으로 연장되어 나온 얇은 벽으로된 컬(thin-walled curl)(32)이 부설되어 있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는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을 구성하는 슬릿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얇은 벽으로된 컬(32)의 상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으나, 얇은 벽으로된 컬(32) 내로는 전혀 연장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어 있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의 형성 조작에서의 절단오차에 따라 얇은 벽으로된 컬(32) 내로 슬릿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혹은 전혀 연장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도 된다). 필요에 따라, 얇은 벽으로된 컬(32)의 선단까지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을 구성하는 슬릿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을 구성하는 슬릿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랩편(28)의 기연(基緣)(30)과 교차하지 않고, 플랩편(28)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을 구성하는 슬릿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즉, 중심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것 대신에 어느 정도 경사지게 하여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랩편(28)의 기연(基緣)(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원주방향 파단수단(8)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된 복수개의 교락부(橋絡部)(36a, 36b, 36c 및 36d)를 포함하고 있다. 원주방향파단수단(8)이 배설되어 있는 횡단면도에 있어서, 교락부(橋絡部)(36a, 36b, 36c 및 36d)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스커트벽(6)의 주부(10)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는 절단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탬버 에비던트 저부(12)는 교락부(36a, 36b, 36c 및 36d)를 통하여 주부(10)에 접속되어 있다. 교락부(36a)는 (다음에 언급하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원주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고, 실질상 동일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교락부(36b)도 (다음에 언급하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원주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고, 실질상 동일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교락부(36a)와 교락부(36b)는 동수 배치되어 있으며, 교락부(36b)의 각각은 인접하는 교락부(36a)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교락부(36a)의 각각의 횡단면적은 충분히 작고, 또한 교락부(36b)의 각각의 횡단면적도 교락부(36a)의 횡단면적보다는 약간 크지만 충분히 작고, 교락부(36a) 및 교락부(36b)는 충분히 용이하게 파단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교락부(36c)는 횡단면적이 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이다. 교락부(36d)도 비교적 큰 횡단면적을 갖는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의 상단에서 반시계방향(원주방향 일방)으로 간격(L1)을 두고 위치하는 일단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34)의 상단에서 시계방향(원주방향 타방)으로 간격(L2)을 두고 위치하는 일단에서 시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2)을 장착할 때 및 용기의 구경부에서 용기뚜껑(2)을 이탈할 때 용기뚜껑(2)에 후술하는 작용이 확실히 일어나도록 하기위해서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의 횡단면적(A1)은 1.50 내지 4.50 ㎟ 정도이고,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의 횡단면적(A2)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a)의 횡단면적 보다도 작아서(A2 < A1) 0.08 내지 2.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L1) 및 간격(L2)는 1.00 내지 3.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용기뚜껑(2)의 제작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뚜껑(2)의 본체(즉, 밀봉라이너(24)를 제거한 부분)를 적절한 합성수지로부터 압축성형 혹은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한다. 성형된 용기뚜껑 본체에 있어서는, 원주방향파단수단(8)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고, 원주방향파단수단(8)의 부위에서 스커트벽(6)의 주부(10)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는 횡단면의 전체영역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얇은 벽으로된 컬(32)은 아직 컬되어 있지 않고, 도 1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실질상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다음과 같은 절단공정을 수행하여 원주방향 파단수단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처럼, 스커트벽(6)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환상견면(26) 보다도 약간 상방에서 하방을 향한 환상견면(38)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상견면(38)에서 하방으로 환상견면(26) 보다도 약간 상방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돌기(40a) 및 돌기(40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0a)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설되며, 실질상 동일한 형상이다. 돌기(40b)도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실질상 동일한 형상이다. 돌기(40a)와 돌기(40b)는 동수 배치되어 있으며, 돌기(40b)의 각각은 인접하는 돌기(40a)의 중간에 위치되게 한다. 돌기(40a)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의 영역에 위치하는 돌기(40a)를 제외)는 상기 교락부(36a)를 한정하고, 돌기(40b)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의 영역에 위치하는 돌기(40b)를 제외)는 상기 교락부(36b)를 한정한다. 따라서, 돌기(40a)의 횡단면 형상은 교락부(36a)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돌기(40b)의 횡단면 형상은 교락부(36b)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한다. 원주방향파단수단(8)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공정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가 존재하는 각도 영역만을 남기고, 스커트벽(6)을 그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원주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절단한다. 이러한 절단에 사용되는 절단 칼날은 돌기(40a) 및 돌기(40b)에는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절단의 편의상 돌기(40a) 및 돌기(40b)의 반경방향 외측부는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얻어지므로, 돌기(40a) 및 돌기(40b)의 주부(主部)는 절단되지 않고 잔류되게 하고, 이렇게 하여 교락부(36a 및 36b)가 생성된다. 이어서,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가 존재하는 각도영역에서, 스커트벽(6)의 외주면에서 스커트벽(6)의 두께방향의 소정의 깊이까지(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두께의 절반 정도의 깊이까지) 절단 칼날을 작용시켜 스커트벽(6)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이렇게 하여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를 생성한다. 도 2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처럼,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돌기(40a)와 1개의 돌기(40b)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의 일부를 한정하고 있다. 다음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절단칼날을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 작용시켜,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두께방향 전체에 걸처 축선방향으로 절단하고, 축선방향파단수단(34)을 구성하는 슬릿을 형성한다.
상기 절단공정 이후에, 아직 컬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얇은 벽으로된 부분에 가열 컬 공구를 작용시켜,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형태로 컬시켜 얇은 벽으로된 컬(34)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압축공구를 사용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성형공정에 의해 밀봉라이너를 형성하고, 이렇게 하여 용기뚜껑(2)을 완성한다.
도 4에는 용기의 구경부(42)에 용기뚜껑(2)을 요구에 따라 장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같은 적절한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의 구경부(42)는 전체가 원통형상이고,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44)와 그 수나사(44)의 하방에 위치하는 환상 맞물림턱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청량음료 같은 적절한 내용물을 용기에 충전한 후에, 구경부(42)에 용기뚜껑(2)이 장착된다. 이때에는 구경부(42)에 용기뚜껑(2)이 끼워지고, 용기뚜껑(2)이 폐회전방향, 즉 도 4에서 상방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렇게 하여 용기뚜껑(2)의 암나사(18)가 구경부(42)의 수나사(44)에 나사결합되고 용기뚜껑(2)은 회전에 따라 하강된다. 용기뚜껑(2)의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 형성되어 있는 플랩편(28)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구경부(42)의 맞물림턱부(46)를 통과하고, 그 후에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맞물림턱부(46)에 맞물리게 된다. 플랩편(28)이 맞물림턱부(46)를 통과할 때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의 힘이 작용하고, 이러한 힘에 기인하여 탬퍼에비던트 저부(12)에서의 축선방향 파단수단(43)을 구성하는 슬릿이 확장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뚜껑(2)에 있어서는 원주방향에서 볼 때 슬릿의 일측에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도 2)가 존재하고, 타측에는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도 2)가 존재하고, 이들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와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에 의한 보지작용에 의해 슬릿의 바람직하지 않은 확장이 충분하고 확실하게 방지되고, 따라서 용기뚜껑(2)의 장착시에 교락부(36a 및 36b)(도 2)가 파단되는 것이 충분하고 확실하게 방지된다. 용기뚜껑(2)에서 상면벽(4)의 내면에 배설되어 있는 밀봉라이너(24)는 구경부(42)의 상면부에 밀접되고, 이것에 의해 구경부(42)가 밀봉된다.
용기의 구경부(42)를 개봉하는 때에는 용기뚜껑(2)을 개회전방향, 즉 도 4에서 상방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용기뚜껑(2)에서의 스커트벽(6)의 주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18)가 용기의 구경부(42)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44)를 따라 이동되게 하므로, 용기뚜껑(2)은 회전과 동시에 상승된다. 그러므로, 용기뚜껑(2)의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랩편(28)이 구경부(42)의 맞물림턱부(46)에 맞물리게 되어 상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스커트벽(6)에 배설되어 있는 원주방향파단수단(8)에서의 교락부(36a, 36b, 36c, 36d)(도 2)에 상당한 응력이 생성되고, 이러한 응력에 기인하여 횡단면적이 충분히 작은 교락부(36a 및 36b)가 파단되고, 또한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도 파단된다. 더욱이,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 부설되어 있는 얇은 벽으로된 컬(32)이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축선방향 파단수단(34)을 구성한다)의 연장선을 따라 파단된다. 얇은 벽으로된 컬(32)의 이러한 파단은 두께가 현저히 얇기 때문에 충분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단이 수행되면, 파단되는 것이 없이 잔류하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에 의해 스커트벽(6)의 주부(10)에 접속되어 연속해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가 존재하는 부분에서 호상(弧狀)으로 연장된 형태로 변형되고, 구경부(42)의 맞물림턱부(46)에 대한 플랩편(28)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나서,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를 포함하는 용기뚜껑(2)의 전체가 회전과 동시에 상승되고, 이러한 용기뚜껑(2)의 전체가 구경부(42)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개봉조작 도중에 용기뚜껑(2)이 약간 상승되어 밀봉라이너(24)가 구경부(42)의 상면부에서 이격되는 때에는 구경부(42) 안이 구경부(42)의 상면부와 밀봉라이너(24)의 사이와 함께 용기뚜껑(2)의 암나사(18)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20)(도 1)를 통하여 외부로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개봉조작 시에,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d)도 우발적으로 파단되어 버리면,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는 스커트벽(6)의 주부(10)에서 이탈되고, 따라서 용기뚜껑(2)의 탬퍼 에비던트 저부(12) 이외는 구경부(42)에서 이탈되지만,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는 구경부(42)에 잔류된다. 한편,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축선방향파단수단(34)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12)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나이프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얇은 벽으로된 컬(32)이 슬릿의 연장선을 따라 파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여기에 파단되어 잔류된 탬퍼 에비던트 저부(12)를 구경부(42)에서 충분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변형예에서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136c)의 단면적을 증대시켜 그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제1의 고강도 교락부(136c)의 도 5에서의 좌단부에서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112)는 전혀 절단되지 않고, 도 5에서의 좌단부에서 제1의 고강도 교락부(136c)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11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두께방향 전체에 걸처 존재하고 있다.
도 6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변형예에서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236c)와 제2의 고강도 교락부(236d)의 쌍방영역에서 탬퍼 에비던트 저부(212)는 전혀 절단되지 않고, 제1의 고강도 교락부(236c)와 제2의 고강도 교락부(236d)의 쌍방이 이들의 원주방향 전역에서 탬퍼 에비던트 저부(21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두께방향 전체에 걸처 존재하고 있다. 한편, 제1의 고강도 교락부(236c)와 제2의 고강도 교락부(236d)의 원주방향 길이는 도 2에 도시한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와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의 원주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짧다. 그리고, 1개의 돌기(240b)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236c)을 한정하고 있으나, 이러한 1개의 돌기(240b)에 인접하여 그 우측에 위치하는 돌기(240a)는 제1 고강도 교락부(236c)를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교락부(236a)를 한정하고 있다.
도 7은 제1의 고강도 교락부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336c)는 축선방향 파단수단(334)을 구성하는 슬릿의 상단에 대하여 간격을 두지 않고, 축선방향 파단수단(334)을 구성하는 슬릿의 상단에서 도 7의 우방으로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제2의 고강도 교락부(336d)는 축선방향 파단수단(334)을 구성하는 슬릿의 상단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위치하지 않고, 축선방향 파단수단(334)을 구성하는 슬릿의 상단에서 도 7의 좌방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제1의 고강도 교락부(336c)와 제2의 고강도 교락부(336d)는 슬릿을 통해 서로 인접되어 있다.
도 8은 제1의 고강도 교락부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실시형태의 제1의 고강도 교락부(436c)는 축선방향 파단수단(434)을 구성하는 슬릿의 상단에 대하여 간격을 두지 않고, 축선방향 파단수단(334)을 구성하는 슬릿에서 우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고, 1개의 돌기(440b)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436c)를 한정하고 있는 반면, 돌기(440b)에 인접하여 그 우측에 위치하는 돌기(440a)는 제1의 고강고 교락부(436c)를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교락부(436a)를 한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 8의 제1의 고강도 교락부(436c)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제1의 고강도 교락부(36c)와 다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제2의 고강도 교락부(436d)는 축선방향 파단수단(434)을 구성하는 슬릿의 상단에 대하여 간격을 두지 않고, 축선방향 파단수단(434)을 구성하는 슬릿에서 좌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 그리고 1개의 돌기(440a)가 제2의 고강도 교락부(436d)를 한정하고 있는 것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제2의 고강도 교락부(36d)와 다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뚜껑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용기뚜껑(502)에 있어서는 상면벽(504)의 내면에는 밀봉라이너(5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라이너(524)는 용기의 구경부 내로 진입하여 내주면에 밀접되는 내측 환상 밀봉돌기(525)와 용기의 구경부의 상면 내지 외주면에 밀접되는 외측 환상 밀봉돌기(527)를 포함한다. 탬퍼 에비던트 저부(512)의 내주면에 배설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은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환상 돌출편(5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환상 돌출편(528)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512)의 내주면에 접속되어 있는 기연(基緣)(530)에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환상 돌출편(528)에는 그 선단에서 상기 기연(基緣) 근방까지 연장되는 슬릿(529)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적절한 합성수지로 용기뚜껑(502)을 형성하는 때에는 무리한 세기의 성형틀 이탈을 회피하기 위해 환상 돌출편(528)을 도 9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성형하고 성형틀에서 이탈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물림 수단이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상돌출편(528)으로 구성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것처럼, 탬퍼 에비던트 저부(512)에서 축선방향 파단수단(534)을 구성하는 슬릿에 정렬되어 환상돌출편(528)에도 그 기연에서 선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돌출편(528)에서의 이러한 슬릿은 절단칼날에 의해 탬퍼 에비던트 저부(512)를 절단하여 축선방향 파단수단(534)을 구성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때에 이것과 동시에 환상돌출편(528)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용기뚜껑(502)의 상술한 점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용기뚜껑(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필요하면,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상돌출편(528)(혹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된 복수개의 플랩편(28))을 대신하여, 당업자에게는 주지된 라체트편(ratchet piece) 등의 다른 적절한 형태의 맞물림수단을 탬퍼 에비던트 저부(512)의 내주면에 배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에 있어서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 배설되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용기의 구경부에서 용기뚜껑을 이탈시키는 때에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교락부가 1개의 고강도 교락부를 제외하고 파단되면,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필연적으로 띠 형태로 전개되고, 용기뚜껑의 전체가 용기의 구경부에서 이탈된다. 비록 고강도 교락부를 포함하는 전체의 교락부가 파단되고, 따라서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구경부에 잔류시키고, 용기뚜껑의 그 이외의 부분이 구경부에서 이탈되게 하여도 잔류되게 한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그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공구에 의해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절단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충분하고 용이하게 잔류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구경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뚜껑을 장착하는 때에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보지작용에 의해,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그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확장되는 것이 충분히 억제되고, 따라서 원주방향 파단수단에서의 복수개의 교락부 중의 적어도 몇 개가 파단되어 버리는 것이 충분하고 확실하게 방지된다.

Claims (6)

  1. 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하방에 위치하는 맞물림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으로서,
    상면벽과 상기 상면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벽을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은 상기 원주방향 파단수단 보다도 상방에 있는 주부(主部)와 상기 원주방향 파단수단 보다도 하방에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주부(主部)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경부의 상기 수나사와 협동으로 작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경부의 상기 맞물림턱부와 협동으로 작용하는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주방향 파단수단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상기 스커트벽의 주부(主部)에 접속하고 있는 복수개의 교락부(橋絡部)를 포함하고, 상기 교락부 중의 1개는 큰 횡단면적을 갖는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이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축선방향 파단수단이 배설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하단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교락부는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에 더하여 큰 횡단면적을 갖는 1개의 제2의 고강도 교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와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원주방향에서 볼 때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혹은 이것에 근접한 일단에서 원주방향 일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혹은 이것에 근접한 일단에서 원주방향 타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를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맞물림수단을 상기 맞물림턱부에 맞물려지게 함으로써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시키는 때에는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와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적어도 일방은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 보다도 크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시키는 때에는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파단되지만,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는 파단되지 않고 잔류하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가 띠 모양으로 전개되어 상기 맞물림턱부에 대한 상기 맞물림수단의 맞물려짐이 해제되고,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포함하는 용기뚜껑 전체가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은 1.50 내지 4.50 ㎟ 이고,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횡단면적은 0.80 내지 2.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경부에서 이탈시키는 때의 용기뚜껑 회전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는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강도 교락부의 상기 일단(一端)과 상기 제2의 고강도 교락부의 상기 일단(一端)은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의 상단에서 1.00 내지 3.00 ㎜ 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그 하단에서 연장되는 얇은 벽으로된 컬(thin-walled curl)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축선방향 파단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슬릿은 상기 상기 얇은 벽으로된 컬(thin-walled curl)에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어 있거나 혹은 전혀 연장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KR1019980706387A 1996-12-17 1997-12-17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KR100621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6188 1996-12-17
JP33618896A JP3847868B2 (ja) 1996-12-17 1996-12-17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8/336188 1996-12-17
PCT/JP1997/004649 WO1998026991A1 (fr) 1996-12-17 1997-12-17 Couvercle de recipient inviolable en resine synth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45A true KR19990082645A (ko) 1999-11-25
KR100621295B1 KR100621295B1 (ko) 2006-11-30

Family

ID=1829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87A KR100621295B1 (ko) 1996-12-17 1997-12-17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13334B1 (ko)
JP (1) JP3847868B2 (ko)
KR (1) KR100621295B1 (ko)
CN (1) CN1106329C (ko)
DE (1) DE69726735T2 (ko)
WO (1) WO1998026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315A (en) * 1996-12-17 1999-09-28 Japan Crown Cork Co., Ltd. Plastic container closure with tamper evident properties
WO2000034133A2 (en) * 1998-12-07 2000-06-15 Tjandra Limanjaya Closure cap
US6581792B1 (en) 1998-12-07 2003-06-24 Tjandra Limanjaya Closure cap
IT247417Y1 (it) * 1999-01-05 2002-08-22 Sacmi Capsula a vite con guarnizione riportata .
EP1273524B1 (en) 1999-09-15 2004-12-01 Tjandra Limanjaya Closure cap
JP5160315B2 (ja) * 2008-06-09 2013-03-1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6276972B2 (ja) * 2013-11-12 2018-02-0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US20220041339A1 (en) 2020-08-07 2022-02-10 Niagara Bottling, Llc Single anchor closure
IT202200006653A1 (it) * 2022-04-04 2023-10-04 Sacmi Tappi per un contenitore e metodo per produrre un tappo per un contenitore.
KR20240044320A (ko) 2022-09-28 2024-04-04 서동섭 용기 마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9536A1 (fr) * 1973-07-02 1977-05-27 Somepla Sa Nouvelle capsule a vis inviolable et imperdable
JPS49100949U (ko) * 1973-12-14 1974-08-30
JPS5832103A (ja) 1981-08-20 1983-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測定装置
US4805792A (en) * 1984-04-17 1989-02-21 Continental White Cap, Inc. Litterless tamper indicating closure
JPS6218421A (ja) 1985-07-17 1987-01-27 Hitachi Chem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2159351U (ko) * 1986-03-25 1987-10-09
DE3762328D1 (de) * 1986-07-11 1990-05-23 Interplastic Ag Sicherheitsband an einem gebindeverschluss.
US5080246A (en) * 1989-09-01 1992-01-14 Anchor Hocking Packaging Company Closure having a spring open tamper evidencing band
JPH0688602B2 (ja) * 1991-03-01 1994-11-09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JP3209538B2 (ja) 1991-04-08 2001-09-17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ピルファープルーフ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H0654544A (ja) 1992-07-24 1994-02-25 Honda Motor Co Ltd 電力変換装置
JP3727675B2 (ja) 1994-09-13 2005-12-1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KR970001659U (ko) * 1995-06-14 1997-01-21 병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6735T2 (de) 2004-10-21
JP3847868B2 (ja) 2006-11-22
CN1106329C (zh) 2003-04-23
DE69726735D1 (de) 2004-01-22
EP0913334B1 (en) 2003-12-10
CN1213348A (zh) 1999-04-07
EP0913334A4 (en) 2000-07-26
KR100621295B1 (ko) 2006-11-30
WO1998026991A1 (fr) 1998-06-25
EP0913334A1 (en) 1999-05-06
JPH10175656A (ja) 199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3804B (zh) 改进的显示开封的封闭件和包装
JP2701880B2 (ja) 容器用蓋及びその製造方法
US4978017A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KR100307372B1 (ko) 개봉흔적 표시마개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JP3161977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3313364B2 (ja) 開封指示キャップおよび該キャップの製作方法
EP1086023B1 (en) Plastic screw cap with tamper-evident ring
KR100621295B1 (ko)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EP0381118B1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JPS6218421B2 (ko)
US5074425A (en) Plastic closure cap
JPH08244802A (ja) キャップ
JP3825078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JP3939808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3727675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4762426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JP3697490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S60183355A (ja) ピルフア−プル−フ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JP3538760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4350440B2 (ja) キャップ、および該キャップと容器の組合せ
JP3303121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の製造方法
JP3654957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H0834458A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JP4195248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H0858818A (ja) 開封明示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