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320A - 용기 마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용기 마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320A
KR20240044320A KR1020230103927A KR20230103927A KR20240044320A KR 20240044320 A KR20240044320 A KR 20240044320A KR 1020230103927 A KR1020230103927 A KR 1020230103927A KR 20230103927 A KR20230103927 A KR 20230103927A KR 20240044320 A KR20240044320 A KR 2024004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ring
container
ring member
closure assembly
sto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섭
Original Assignee
서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섭 filed Critical 서동섭
Publication of KR2024004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뛰어나고, 최초 개방 시 엔드링과의 분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제작 과정에서 성형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갖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이 주입 및 배출되며, 기저부(基底部)에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입구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그 용기 입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입구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용기 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하단 측에 구비되어 용기 입구에 최초 조립 시 그 용기 입구의 걸림턱 하부에 위치되는 엔드링 부재;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 및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개 본체를 회전시켜 최초 개방할 시 상기 엔드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편이 파단되어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엔드링 구속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기 마개 어셈블리 {CLOSURE ASSEMBLY OF VESSEL}
본 발명은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뛰어나고, 최초 개방 시 엔드링과의 분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제작 과정에서 성형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갖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용기의 마개는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 용기의 용기 마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용기 마개를 뒤집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합성수지 용기의 용기 마개(102)는 용기 돌출 개방입구에 마개가 스크류 회전 결합방식으로 쉽게 열고 폐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용기 마개(102)가 용기에 체결되어 최초로 시장에 나올 때 용기 마개(102)는 용기의 입구에서 외부 외력에 의해 최초로 이탈되거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입구에 걸려지는 열림 방지용 환형링(열림 방지용 엔드링)(104)과 연결 브리지(10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용기입구에 잠겨져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입구에서 용기 마개(102)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용기 마개(102)와 열림 방지용 환형링(104)을 각각 잡으면서 서로 반대로 힘을 가하면 이 용기 마개(102)는 열림 방지용 환형링(104)과 분리되는데, 이때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브리지(105)가 파손되면서 용기 마개(102)는 용기입구에서 열려지게 되고 상기 열림 방지용 환형링(104)은 용기입구에 남아 있게 된다.
이 같은 종래 용기 마개는 용기입구에서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어 닫혀지거나 열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용기 마개의 이탈과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입구에서 함께 장착된 열림 방지용 환형링과의 체결구조가 불합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마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열림 방지용 환형링으로 인하여 용기입구 장착시 용기의 세련미와 외관미를 떨어뜨리고 사용자가 최초 결합된 양자 사이를 분리시키는 즉, 마개를 최초로 열고자 할 때 동심원적으로 배치되는 용기 마개와 열림 방지용 환형링의 이격 간격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브리지들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점도 종종 있었다.
또한, 종래 용기 마개는 용기의 용기 입구에 최초 조립될 시 걸림턱에 의해 연결 브리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21295(2006.11.3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96600(2001.11.07.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3395(2009.04.13.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뛰어나고, 최초 개방 시 엔드링과의 분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에서 성형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갖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내용물이 주입 및 배출되며, 기저부(基底部)에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입구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그 용기 입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입구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용기 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하단 측에 구비되어 용기 입구에 최초 조립 시 그 용기 입구의 걸림턱 하부에 위치되는 엔드링 부재;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 및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개 본체를 회전시켜 최초 개방할 시 상기 엔드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편이 파단되어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엔드링 구속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띠로 형성되며,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은 플렉시블한 환형 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은 주름부를 갖는 환형 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은 상기 엔드링 부재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주름부를 가지며, 상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면서 변형될 수 있게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지는 환형 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는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삼각형의 편평부 사이에 삼각형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편평부는 밑변이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주름부는 이웃하는 편평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되 꼭지점에서 밑변에 수직한 주름라인이 엔드링 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는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사다리꼴의 편평부 사이에 삼각형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편평부는 긴 변이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주름부는 이웃하는 편평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되 꼭지점에서 밑변에 수직한 주름라인이 엔드링 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의 내경은 상기 걸림턱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에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 간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 본체의 결합 측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엔드링 부재가 회전되게 구성되는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은 상기 마개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엔드링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은 상기 마개 본체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성형 제작하는 성형 몰드의 회전으로 그 성형 몰드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 분리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 분리 수단은 상기 마개 본체의 내측 상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기 입구의 기저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기 입구의 기저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조립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된 후 용기 마개의 최초 개방 시 엔드링 부재와의 분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가지며, 기저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용기 마개를 열고 용기의 내용물을 부을 때, 용기 입구로부터 엔드링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용기 입구에서 엔드링 부재를 임의로 제거할 시,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제작 과정에서 성형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 용기의 용기 마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마개를 뒤집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나타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엔드링 구속 수단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엔드링 구속 수단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마개 본체가 분리되기 전의 상태(윗쪽 도면)와 마개 본체가 분리될 때의 상태(아랫쪽 도면)의 엔드링 구속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성형 몰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나타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엔드링 구속 수단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엔드링 구속 수단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마개 본체가 분리되기 전의 상태(윗쪽 도면)와 마개 본체가 분리될 때의 상태(아랫쪽 도면)의 엔드링 구속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는, 도 3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와, 연결편(300) 및 엔드링 구속 수단(400)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회전 연동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는, 내용물이 주입 및 배출되며, 기저부(基底部)에 둘레방향의 전장(全長)에 걸쳐 걸림턱(11)이 형성된 용기 입구(10)(도 9 참조)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그 용기 입구(10)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에 나사산부(110)가 형성되어, 용기 입구(1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구성되는 마개 본체(100); 상기 마개 본체(100)의 하단 측에 구비되는 엔드링 부재(end ring member)(200); 상기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 간을 연결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편(300); 및 상기 엔드링 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 본체(100)가 용기 입구(10)에 최초 결합될 시 상기 용기 입구(10)의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마개 본체(100)의 최초 개방 시 상기 용기 입구(10)의 기저부에 형성된 걸림턱(11)에 지지되어 엔드링 부재(200)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편(300)이 파단(破斷)됨으로써 상기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가 분리되도록 하는 엔드링 구속 수단(4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용기 마개 어셈블리는 상기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 간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 본체(100)가 용기 입구(10)에 최초 결합될 시, 상기 마개 본체(100)의 결합을 위한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엔드링 부재(200)가 회전되게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 입구(10)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그 용기 입구(10)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로서, 상기한 각 구성부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마개 본체(100)는 용기 입구(1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도록 내면에 나사산부(110)를 갖는 하부 개방의 원통형 또는 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개 본체(10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5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엔드링 부재(200)는 상기 마개 본체(100)의 하단 측에 구비되는 환형 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엔드링 부재(200)는 연결편(300)과 연계하여 용기 마개 어셈블리가 용기의 용기 입구(10)에 체결되어 최초로 시장에 나올 때 마개 본체(100)가 외부 외력에 의해 최초로 이탈되거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입구에 걸려 잠겨져 있도록 한다.
상기 엔드링 부재(20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500)의 다른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300)은 상기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 간을 연결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구성부로서, 마개 본체(100)를 최초 개방할 시 마개 본체(100)와 연결 부재(200) 각각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쉽게 파단되어 마개 본체(100)가 엔드링 부재(200)와 쉽게 분리되도록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띠(strap)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400)은 상기 엔드링 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 본체(100)가 용기 입구(10)에 최초 결합될 시 상기 용기 입구(10)의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마개 본체(100)의 최초 개방 시 상기 용기 입구(10)의 기저부에 형성된 걸림턱(11)의 하면에 지지되어 엔드링 부재(200)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편(300)이 파단(破斷)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가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400)은 상기 엔드링 부재(200)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주름부(412)를 가지며, 상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걸림턱(11)에 접촉하면서 변형될 수 있게 플렉시블(flexible)하게 이루어지는 환형 띠(4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 띠(410)의 내경은 상기 용기 입구(10)의 걸림턱(1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환형 띠(410)의 주름부(412)는 환형 띠의 둘레방향으로 확장 또는 펼쳐질 수 있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환형 띠(410)의 주름부(412)는 그 환형 띠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구부리거나 외측으로 펼칠 때 둘레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로, 상기 환형 띠(410)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삼각형의 편평부(411) 사이에 삼각형의 주름부(4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편평부(411)는 밑변이 엔드링 부재(200)의 내연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형의 주름부(412)는 이웃하는 편평부(41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되 꼭지점에서 밑변에 수직한 주름라인(412a)이 엔드링 부재(200)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환형 띠(4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상기 편평부(411)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다리꼴형의 편평부(411)에서 평행한 두 변 중에 긴 변이 엔드링 부재(200)의 내연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삼각형의 주름부(412)는 이웃하는 편평부(41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되 일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꼭지점에서 밑변에 수직한 주름라인(412a)이 엔드링 부재(200)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400)의 편평부(411)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일 실시 형태에 비하여, 엔드링 부재(200)의 기단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확장되어 편평부(411)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개 본체(100)의 분리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400)의 편평부(411)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편평부(411)의 일단부(기단부, 즉 자유단의 반대 측 단부)에는 배출공(413)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400)은 환형 띠로 형성되므로, 용기의 내용물을 붓고나서 용기 입구(10)에 잔존하는 잔존물이 환형 띠의 내측(도 4에서 바라볼 때 상부 측)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거나, 세척 시 세척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공(41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출공(413)은 주름부(412)에 형성될 수 있고, 편평부(411)와 주름부(412)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엔드링 구속 수단(400)은 도 9의 윗쪽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마개 어셈블리가 용기 입구(10)에 최초 결합 시 플렉시블하고 주름부(412)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형성됨으로 걸림턱(11)을 타고 넘어가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9의 아랫쪽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개 본체(100)를 최초 개방하기 위하여 개방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마개 본체(100)는 상승하게 되고, 연결편(300)으로 연결된 엔드링 부재(200)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마개 본체(10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엔드링 부재(200)에 형성된 엔드링 구속 수단(400)의 끝단부는 엔드링 부재(200)의 기단부에 걸림되고 이에 따라 엔드링 부재(200)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구속되고, 연결편(300)이 파단되면서 마개 본체(100)가 분리되어 용기 입구(1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 마개 어셈블리는 상기 마개 본체(100)와 엔드링 부재(200) 간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 본체(100)가 용기 입구(10)에 최초 결합될 시, 상기 마개 본체(100)의 결합을 위한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엔드링 부재(200)가 회전되게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500)은 상기 마개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510), 및 상기 엔드링 부재(200)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510)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턱(5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턱(510)과 제2 걸림턱(520)은 상기 마개 본체(100)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성형 몰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개 본체(100)에는 그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성형몰드 분리 수단(6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성형몰드 분리 수단(600)은 마개 본체(100)의 내측 상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나사산부(110)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몰드 분리 수단(60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메인 성형 몰드가 그 상단부에 마개 분리용 돌기(요철부)를 갖고 형성되고, 용기 마개 어셈블리의 마개 본체(100)에 나사산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가능한 나사산 성형부(별개의 구성부로 구성됨)가 메인 성형 몰드와 함께 구성된다. 그리고 몰딩 시 마개 본체(100)에 나사산부(110)가 성형되어 형성된다.
이때, 성형 몰드의 마개 분리용 돌기와 마개 본체(100)의 요철부가 요철 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성형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나사산부(110)의 풀림 방향으로 메인 성형 몰드 또는 나사산 성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산 성형부에서 마개 본체(110)가 분리되어 성형 몰드로부터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성형 몰드는 예시로 하는 것으로, 상기 마개 본체(100)의 성형몰드 분리 수단(600)는 성형 몰드의 구성이나 구조에 따라 나사산부의 형성과 함께 그 성형 몰드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의하면,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기 입구의 기저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이 뛰어나며,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될 시 용기 입구의 기저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조립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의 용기 입구에 조립된 후 마개의 최초 개방 시 엔드링과의 분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저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용기 입구에 최초 장착한 이후, 용기 마개를 분리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부을 때, 용기 입구로부터 엔드링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엔드링 부재가 내용물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용기 입구에서 엔드링 부재를 임의로 제거할 시, 엔드링 구속 수단이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탈락시켜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에서 성형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 입구
11: 걸림턱
100: 마개 본체
110: 나사산부
200: 엔드링 부재
300: 연결편
400: 엔드링 구속 수단
410: 환형 띠
411: 편평부
412: 주름부
412a: 주름 라인
413: 배출공
500: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
510: 제1 걸림턱
520: 제2 걸림턱
600: 성형몰드 분리 수단

Claims (11)

  1. 내용물이 주입 및 배출되며, 기저부(基底部)에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입구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그 용기 입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입구에 스크류 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용기 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하단 측에 구비되어 용기 입구에 최초 조립 시 그 용기 입구의 걸림턱 하부에 위치되는 엔드링 부재;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 및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개 본체를 회전시켜 최초 개방할 시 상기 엔드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편이 파단되어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엔드링 구속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띠로 형성되며,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은 플렉시블한 환형 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은 주름부를 갖는 환형 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 구속 수단은
    상기 엔드링 부재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주름부를 가지며, 상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면서 변형될 수 있게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지는 환형 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는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삼각형의 편평부 사이에 삼각형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편평부는 밑변이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주름부는 이웃하는 편평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되 꼭지점에서 밑변에 수직한 주름라인이 엔드링 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는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사다리꼴의 편평부 사이에 삼각형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편평부는 긴 변이 상기 엔드링 부재의 내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주름부는 이웃하는 편평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되 꼭지점에서 밑변에 수직한 주름라인이 엔드링 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의 내경은 상기 걸림턱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띠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와 엔드링 부재 간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 본체의 결합 측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엔드링 부재가 회전되게 구성되는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회전 구속 수단은 상기 마개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엔드링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은 상기 마개 본체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마개 어셈블리를 성형 제작하는 성형 몰드의 회전으로 그 성형 몰드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되는 성형몰드 분리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 분리 수단은
    상기 마개 본체의 내측 상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어셈블리.
KR1020230103927A 2022-09-28 2023-08-09 용기 마개 어셈블리 KR202400443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984 2022-09-28
KR20220122984 2022-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320A true KR20240044320A (ko) 2024-04-04

Family

ID=9063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927A KR20240044320A (ko) 2022-09-28 2023-08-09 용기 마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32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00A (ko) 2000-03-13 2001-11-07 도케 케이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KR100621295B1 (ko) 1996-12-17 2006-11-30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KR20090003395U (ko) 2007-10-08 2009-04-13 우리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 용기의 용기마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295B1 (ko) 1996-12-17 2006-11-30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KR20010096600A (ko) 2000-03-13 2001-11-07 도케 케이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KR20090003395U (ko) 2007-10-08 2009-04-13 우리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 용기의 용기마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0849A1 (en) Captive closure with stabilised opening angle
US6631820B2 (en) Tamper-evident dispensing closure with partial breakaway cover
US9701451B2 (en) Dispensing closure
US8584874B2 (en) Tamper-evident closure with directional molded retention tabs
US20080173611A1 (en) Tamper evident band with hook
EP3784586A1 (en) Closure
US11292641B2 (en) Plastic closure for a container having an integrity guarantee element
JPH05500936A (ja) いたずらを示すプラスチック製クロージャ
US20040168999A1 (e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locking band and container therefor
US20130119062A1 (en) Closure
JP2023507896A (ja) ねじ蓋を確実に繋ぎ留めておくためのアンカーリングを有する厚紙/プラスチック積層包装体用の再封可能な注ぎ口要素
PL203136B1 (pl) Zamykany pojemnik
KR20240044320A (ko) 용기 마개 어셈블리
JP4454202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具
WO2009141700A1 (en) Tamper evident closure
JP4803661B2 (ja) 不正開封防止ヒンジキャップ
JP5298350B2 (ja) 合成樹脂製蓋と容器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
JP5643136B2 (ja) 容器蓋
JP2013129430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CN110831867A (zh) 显窃启封闭物以及设有其的容器
RU219784U1 (ru)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JP7489093B2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の開封方法
JP562726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352899B2 (ja) 合成樹脂製蓋及びかかる蓋と容器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
JP5298348B2 (ja) 合成樹脂製蓋及びかかる蓋と容器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