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569A - 비디오 편집장치, 편집장치 및 휴대형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편집장치, 편집장치 및 휴대형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569A
KR19990082569A KR1019980706307A KR19980706307A KR19990082569A KR 19990082569 A KR19990082569 A KR 19990082569A KR 1019980706307 A KR1019980706307 A KR 1019980706307A KR 19980706307 A KR19980706307 A KR 19980706307A KR 19990082569 A KR19990082569 A KR 1999008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editing
recording
operation panel
video
edi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520B1 (ko
Inventor
노리아키 도비마츠
겐지 효도
기미코 요시나리
마사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8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8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outside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8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with computer as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조작패널의 하부에 기록재생부를 배치하며, 기록 재생부의 기록매체 착탈용 스페이스를 상기 조작 패널밖에 배치한다. 또한,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수단과,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그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편집하여 기록하는 편집수단을 구비한다.
또는, 셔틀 제어수단과, 이 셔틀 제어수단의 조작위치를 바꾸지 않고, 셔틀 모드를 리셋트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한다.
또는, 표시부와 조작패널과, 기록 및/재생부와, 배터리 장착부와,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비디오 편집 장치, 편집 장치 및 휴대형 편집 장치
종래부터, 비디오 편집 장치는 방송국의 편집 스튜디오내나 방송차량내 등에 설치되는 거치형의 대형기가 일반적이고, 뉴스의 취재 현장까지 간단히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뉴스 취재를 한 후, 그 취재 현장에서 비디오 편집 작업을 즉시 실행하고자 하면, 항상 방송 차량을 대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방송 차량을 대동할 수 없는 원격지나 방송 차량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해외 지국 등에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뉴스 취재를 한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로 뉴스를 촬영한 생 테이프를 방송국까지 갖고 가거나, 전송하여, 방송국의 편집 스튜디오내의 비디오 편집 장치를 사용하여, 그 생 테이프에 촬영되어 있는 뉴스의 영상/음성을 편집하여, 방영용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취재 현장의 긴박한 현장감이나 취재 내용을 가장 숙지하고 있는 것이, 실제로 뉴스 취재를 한 취재자 자신이고, 따라서, 그 취재자 자신이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반면, 취재 현장에서 방송국까지 귀사하는 동안의 시간의 경과나 피로의 진행 등에 따라서, 취재 현장의 긴박한 현장감이나 취재 내용에 대한 기억의 흐려짐이 생기기 때문에, 비디오 편집 작업에 당황하는 일이 많은 것이 현상이다. 더구나, 방송국에 전송된 생 테이프를, 취재 내용을 전혀 모르는 편집 스튜디오내의 편집자가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편집 작업 그 자체에 많은 시간을 요함으로, 취재 현장의 긴박한 현장감을 정확히 방영하기 위한 테이프 만들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아뭏든, 방송국의 편집 스튜디오내에서 비디오 편집 작업을 행하는 방법으로는 뉴스 방영용 테이프 만들기에 시간이 걸리고, 속보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뉴스 방영의 관점에서는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최근, 뉴스의 취재 현장까지 간단히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00)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소형이며, 직사각형인 편집 장치 본체(301)의 내부에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302)를 수납하여, 편집 장치 본체(301)의 앞단면에 배치한 수직인 조작 패널(303)에 카세트 삽입구(304)를 형성하여, 테이프카세트를 그 카세트 삽입구(304)로부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302)내에 삽입하고, 조작 패널(303)에 설치된 다수의 조작키나 스위치류로 이루어진 편집 조작부(305)의 조작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 편집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조작 패널(303)에 카세트 삽입구(304)를 배치하게 되면, 큰 면적을 차지하는 카세트 삽입구(304)에 의해서, 편집 조작부(305)의 유효 면적이 크게 제한되어, 다수의 조작 버튼이나 스위치류의 배치의 자유도도 한정되기 때문에, 조작 패널(303)의 소면적화에 한계가 있고, 편집 장치 본체(301) 전체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조작 패널(303)이 수직이면, 편집 조작부(305)를 조작하는 데에 있어서, 인간 공학적인 관점에서 난점이 있다.
그래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303)의 카세트 삽입구(304)에서 아래쪽의 일부에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개폐 패널(306)을 형성하고, 그 개폐 패널(306)에 편집 조작부(305)를 탑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편집 조작부(305)의 유효 면적이 한층 제한되는 것 때문에, 편집 장치 본체(301)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개폐 패널(306)의 전면에 이물 등이 존재하면, 개폐 패널(306)을 개폐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를 선택해야만 됨으로, 신속한 작업이 요구되는 취재 현장에서의 비디오 편집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가 불편함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높은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대폭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편집 장치 및 휴대형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편집 장치는 조작 패널의 하부에 기록 재생부를 배치하여,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 착탈용 스페이스를 조작 패널밖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조작 패널을 개폐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조작 패널을 개방함으로써,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조작 패널을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 착탈 기구를 상기 조작 패널과 거의 동방향에 승강되는 팝-업(pop-up)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표시 패널을 상기 조작 패널의 상부에 접어개는 것이 가능한 개폐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기록 재생부가 재생 전용기와 기록 전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기록 재생부가 카세트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운반용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편집장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 그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편집하여 기록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 대상을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또는 비디오 편집 장치로 전환하는 재생 대상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재생 제어 수단 및 재생 대상 전환 수단을 조작 패널상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SDI(SeriaI Digital Interface) 규격에 의한 데이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로부터 이송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서 편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교대로 표시하는 1개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 장치는 셔틀 제어 수단과, 셔틀 제어 수단의 조작 위치를 전환하지 않고, 셔틀 모드를 리셋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집 장치는 조그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셔틀 제어 수단의 셔틀 모드로부터 조그 제어 수단의 조그 모드로 이행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집 장치는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편집점을 결정하며, 또한, 그 편집점을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집 장치는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1회째의 조작이 상기 셔틀 제어 수단의 리셋을 위한 조작으로 되고, 2회째 이후의 조작이 편집점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편집 장치는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이 일평면내에서의 이동에 의한 조그 모드와,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의 누름에 의한 리셋 모드를 갖고,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누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집 장치는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누름 조작마다 편집점을 결정하는 모드와, 누름 조작마다 조그 모드/셔틀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예비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편집 장치는 표시부와, 조작 패널과, 기록 및/또는 재생부와, 배터리 장착부와,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휴대형 편집 장치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와 공통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휴대형 편집 장치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 기구가 상기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배터리 착탈 기구와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편집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개폐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배터리장착부를 상기 표시부의 개폐 스페이스외에서, 표면 패널위에 배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편집 장치, 편집 장치 및 휴대형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비디오를 이용하여 뉴스(영상/음성)를 촬영하는 뉴스 취재를 하였을 때에, 비디오 카메라의 생테이프에 촬영되어 있는 영상/음성을 편집하여, 방영용 테이프를 만들기 위해서 비디오 편집 작업을, 그 뉴스 취재 후에, 그 취재 현장에서 즉시 실행할 수 있도록, 취재 현장까지 간단히 운반할 수 있는 비디오 편집 장치, 편집 장치 및 휴대형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예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와 대비한 종래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종래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가 비디오 시스템에 적용되었을 때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간에서의 비디오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회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2대의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2대의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표시 패널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표시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의 확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레코더측으로 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플레이어측으로 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에 의해서 행하는 비디오 편집 작업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도이다.
도 13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의 비디오 편집을 위한 제어회로를 도시한 블록 회로도이다.
도 14는 운반용 수단과 2대의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결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배터리의 착탈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를 장착한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2대의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가 접속 코드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와 그 커넥터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조그/셔틀 다이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 중의 리셋 회전자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21의 A-A 화살표로 나타낸 일부 노치 저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에 있어서의 조그의 회전 검출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에 있어서의 조그 다이얼의 회전 검출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에 있어서의 셔틀 다이얼과 회전자의 연결 기어를 전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을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개방 상태, 카세트 컴파먼트를 다운 상태로 하였을 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를 팝-업 상태로 하였을 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조작 패널의 록크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0은 다운 상태의 팝-업식 카세트 컴파먼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1은 팝-업 상태의 팝-업식 카세트 컴파먼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2는 상기 다운 상태의 팝-업식 카세트 컴파먼트이고,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와 상기 조작 패널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3은 상기 팝-업 상태의 팝-업식 카세트 컴파먼트이고,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와 상기 조작 패널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4는 상기 다운 상태에 있는 카세트 컴파먼트의 록크 기구를 안쪽에서 보았을 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5는 상기 록크 기구의 록크 해제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와 상기 조작 패널의 2개의 록크 기구를 동시에 자동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7a 및 도 37b는 상기 록크 기구의 매니얼 록크 해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상기 록크 기구의 매니얼 록크 해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39는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로딩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0은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에 의해서 테이프 로딩 상태로 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의 드럼 입구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의 드럼 출구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에 관해서 도 3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서, 다음(1) 내지 (7)의 항목 순서로 설명한다.
(1)···비디오 편집 시스템의 구성 설명
(2)···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개요 설명
(3)···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표시 패널의 설명
(4)···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의 설명
(5)···비디오 편집 작업의 설명
(6)···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결합 방법의 설명
(7)···배터리 장착부의 설명
(8)···조그/셔틀 다이얼의 설명
(9)···표시 패널, 조작 패널의 개폐 기계의 설명
(10)···카세트 컴파먼트의 설명
(11)···카세트 컴파먼트의 오토 이젝트 기구의 설명
(12)···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유지 방법의 설명
(13)···조작 패널과 카세트 컴파먼트의 연결 수단의 설명
(14)··테이프 로딩 기구의 설명
(1)···비디오 편집 시스템 구성의 설명
우선, 도 3은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를 사용하여 비디오 편집을 하기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비디오 카메라의 일례이고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에 해당하는 베터 캠코더(상품명; 소니주식회사의 등록상표)로 칭하게 되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를 사용하여 뉴스 취재 등을 할 때에, 그 취재 현장까지 간단히 운반하는 것이 가능한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장치(2, 3)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 중, 1대번째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는 기록 전용기인 레코더로 구성되어 있고, 2대번째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는 재생 전용기인 플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는 기록 매체로서 테이프 카세트(4)를 사용하지만, 상기 테이프 카세트(4)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와 공용된다. 그러나, 상기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에는 그 밖의 테이프 카세트도 사용 가능하다. 또, 테이프 카세트(4)에는 디지틀 카세트, 아날로그 카세트의 2종류가 있다. 또한, 이들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및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에는 이들에 공통으로 착탈 가능한 배터리(5)가 사용된다. 단지, 사용 가능한 전원은 배터리 및 AC 전원을 바꾸어 사용하는 2전원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를 사용하여 뉴스(영상/음성)을 촬영하는 뉴스 취재를 하였을 때에, 그 취재 현장에서, 취재자 자신이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 중의 1대 혹은 2대를 조작하여,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생 테이프(테이프 카세트(4))에 촬영되어 있는 영상/음성을 편집하여, 방영용 테이프(테이프 카세트 4)를 만들기 위한 비디오 편집 작업을 즉시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비디오 편집 작업에는 레코더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에 의해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재생 제어를 행하고, 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로 생 테이프를 재생하여, 그 재생된 영상/음성을 레코더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표시부 혹은 플레이어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의 표시부에서 모니터하면서, 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에 세트한 기록 테이프(테이프 카세트(4))에 편집한 영상/음성을 기록하는 방법과,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생 테이프를 플레이어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에 세트하여 재생하면서, 레코더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에 세트한 기록 테이프(테이프 카세트(4))에 편집한 영상/음성을 기록하는 방법인 2개의 방법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 플레이어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도 레코더측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에 의해서 재생 제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4는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 중의 어느 한쪽에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를 재생 제어하는 경우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와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간에 있어서의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의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간과, 이들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중의 어느 한쪽과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간을 접속 케이블인 VTR-9 핀 프로토콜 대응의 RS-422 케이블(6)에 의해서 접속한다. 그리고, 그 케이블(6)을 통해서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 중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 재생 제어 신호(S1)를 이송하여,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내에서 생 테이프를 재생한다. 그리고, 그 생 테이프에서 재생된 합성 비디오 신호인 비디오 데이터(영상/음성)(S2)를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중의 어느 한쪽에서 받아들여 비디오 편집 작업을 행하지만, 이 때, 비디오 데이터(S2)는 SDI 변환기(7)에서 변환된 SDI 규격에 의거한 SDI 비디오 신호(S3)가 사용되고 있고,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와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 편집 작업을 고능률로 행할 수 있다. 또,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간에서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등도, 당연히 SDI 비디오 신호(S3)로 된다.
이러한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에 의한 비디오 편집 작업에 의해서 만들어진 뉴스 방영용 테이프 비디오 데이터도 SDI 비디오 신호(S4)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W 송출 시스템(8)이나 디지틀 변조기(9)를 사용하여 위성 회선 등을 이용하여 송출하는 시스템 등에 의해서 방송국(10)으로 고속으로 전송할 수가 있어, 방송국(10)으로서는 비디오 편집 마지막 뉴스(영상/음성)를 그대로 즉시 방영할 수가 있다. 따라서, 뉴스 취재로부터 뉴스 방영까지 요하는 시간을 종래와 비교하여 대폭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뉴스의 높은 속보성을 확립할 수가 있다.
(2)···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개요 설명
다음에,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장치에 해당하는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는 조작 버튼이나 스위치류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 동형상, 동치수로 구성되어 있고, 각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외형 치수는 전후 방향의 길이 L1=약 443mm, 좌우 방향의 폭 W1=약 211mm, 최대두께(후단측이 가장 두껍다)T1=약 149mm의 소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 수단(68)에 의해서 좌우에 나란히 결합하여 들고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결합 상태에서도, 전체의 좌우방향의 폭 W2=약 422mm로 소형의 것이다. 따라서, 이들 각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를 1대씩 분리하여 운반하는 것은 대단히 용이한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고,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동형상, 동치수의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에는 그 위면 패널(12a)의 앞단측에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13)내에 표시 패널(14)과 조작 패널(15)이 수납되며, 상기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내에서 조작 패널(15)의 하부 위치에 기록 재생부에 해당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패널(12a)의 후단측의 상부에는 배터리 장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 및 조작 패널(15)은 모두 상하 방향에의 회전 방식을 채용한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휴대시 등의 비사용시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5)의 상부에 표시 패널(14)을 접어개도록 하여(도 5a 중 화살표 y1, y2방향의 역방향으로 접어개도록함), 이들 표시 패널(14) 및 조작 패널(15)을 오목부(13)내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비디오 편집 작업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4)을 윗쪽으로 열어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 조작 패널(15)은 후술하는 록크 수단에 의해서 도 5a에 도시한 폐쇄 위치로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록크되며, 표시 패널(14)은 후술하는 록크 수단에 의해서 도 5a에 도시한 폐쇄 위치로 조작 패널(15)에 대하여 록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시 패널(14)의 앞단면에 장착되어 있는 록크 해제 손잡이(18)를 도 5b 중에 도시한 화살표(y3)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그 록크를 해제하여, 상기 표시 패널(14)을 도 3에 도시한 개방 위치까지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3)···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표시 패널의 설명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표시 패널(14)의 전면에는 표시부에 해당하고, 재생 화상이나 E-E 화상을 표시하며, 그위에 타임 데이터 및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센터업 메뉴 등을 수퍼 임포즈하는 LCD(액정) 모니터(21)를 비롯하여, BRIGHT/CONTRAST(밝기/대비) 손잡이(22), 타임 코드 조작 버튼(23), 오디오 레벨 미터(24), 서브 LCD(25), 오디오 모니터 스피커(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14)을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폐쇄 위치로 접어개면, 이들 LCD(액정) 모니터(21), BRIGHT/CONTRAST(밝음/대비) 손잡이(22), 타임 코드 조작 버튼(23), 오디오 레벨 미터(24), 서브 LCD(25), 오디오 모니터 스피커(26) 등은 모두 폐쇄되어지게 된다. 또, 상기 조작 손잡이나 버튼류 및 후술하는 조작 손잡이나 버튼류는 모두 자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서브 LCD(25)에는 채널 컨디션·입력 비디오 레벨 표시, 타임 코드 표시, VITC/LTC 표시, 525/625 표시, 카세트 종류·테이프 잔량 표시, 배터리 잔량 표시, 오디오 설정 페이지 선택, VITC/AUTO 표시, VITCON/OFF 표시, 소스 비디오 신호 표시 등의 비디오 편집 작업에 필요한 LCD 메뉴의 홈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LCD(25)의 주변에는 상기의 홈페이지의 희망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27) 및 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P/D0WN 버튼(28)이 설치되어 있다.
(4)···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조작 패널의 설명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조작 패널(15)의 표면에는 테이프 주행 시스템 제어부(30), 편집 조작부(31), 오디오 콘트롤부(32), 타임 코드/세트업 메뉴 조작부(33) 등이 설치되어 있고,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측에는 RECINHI(기록 금지) 스위치(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테이프 주행 시스템 제어부(30)는 2축식 콘트롤러에 해당하는 2축식 조그/셔틀 다이얼(36), PREROLL(프리롤) 버튼(37), REC(기록) 버튼(38), EDIT(편집) 버튼(39), PLAY(재생) 버튼(40), FFWD(빨리감기) 버튼(41), 서치 버튼(42), STOP(정지) 버튼(43), REW(되감기) 버튼(44), EJECT(이젝트) 버튼(45), PLAYER(플레이어)/RECORDER(레코더(1)) 버튼(46)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EJECT 버튼(45)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내의 테이프 카세트(4)의 이젝트를 행한다. 그리고, PLAYER/RECORDER 버튼(46)은 플레이어 버튼(46a)과 RECORDER 버튼(46b)을 갖고 있고, 플레이어 버튼(46a)을 누르면,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테이프주행 시스템 제어부(30) 및 편집 조작부(31)의 조작 버튼이 플레이어측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측에 대하여 기능하는 상태로 바뀌어지고, 레코더 버튼(46b)를 누르면, 레코더측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자체에 대하여 기능하는 상태로 바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PLAYER/RECORDER 버튼(46)은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치(2)의 도 9에 도시한 테이프 주행 시스템 제어부(30) 및 편집 조작부(31)의 조작 버튼에 해당하는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 대상을 바꾸기 위한 재생 대상 전환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편집 조작부(31)에는 ASSEMBLE(어셈불) 버튼(49), INSERT(인서트) 버튼(50), TRIM(미수정) 버튼(51), ENTRY(엔트리) 버튼(52), IN/OUT(편집 개시점 /편집 종료점) 버튼(53), REVIEW(리뷰) 버튼(54), AUTOEDIT(자동 편집) 버튼(55), PREVIEW(프리뷰) 버튼(56), DELETE(삭제) 버튼(57), AUDIOIN(오디오 편집 개시점 지정) 버튼(58) 등이 설치되어 있고, 플레이어측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측에는 상기 각 버튼(49, 50, 54, 55, 56)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5)···비디오 편집 작업의 설명
다음에, 도 12는 비디오 편집 작업의 개요를 설명하는 것으로, 상기 비디오 편집 작업에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에 의해서 뉴스 내용이 촬영(기록)되어 있는 생 테이프(T1)의 기록내용(영상/음성)중의 희망하는 편집 장소를 타임 코드와 함께 방영용의 새로운 테이프(T2)의 선두로부터 순차 기록하여 가는 어셈블 편집과, 기록 마지막 테이프(T3)의 임의의 위치에, 생 테이프(TI)의 기록 내용이 희망하는 편집 장소를 타임 코드와 함께 끼워 넣는 인서트 편집이 있다. 또, 상기 인서트 편집에는 기록 마지막이나 테이프(T3)가 불필요한 부분을, 별도의 영상/음성으로 교체시키거나, 영상을 편집한 테이프(T3)에 음악이나 나래이션을 넣거나, 음성을 편집한 테이프(T3)에 영상을 넣거나, 타임 코드의 재기록 등의 수법이 채용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편집 작업시에는 우선 플레이어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또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에 의해서 생 테이프(T1)를 재생 제어하고, 그 재생 화상/음성을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의 LCD 모니터(21)나 오디오 모니터 스피커(26)에 의해서 모니터하면서, 그 생 테이프(T1)의 재생 화상/음성이 희망하는 편집 장소의 설정, 즉, 생 테이프(TI)의 재생 정지를 되풀이하면서, 편집 개시점인 IN점과 편집 종료점인 OUT점을 순차 설정하여 생 테이프(T1)에 기록한다. 그리고, 생 테이프(Tl)의 재생 화상/음성이 희망하는 모든 편집 장소의 설정이 종료하면, 그 생 테이프(T1)를 한번 되감고 나서 두 번째 재생하면서,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테이프(T1)(T3)에 먼저 설정한 편집 장소를 순차 기록하여 간다. 또, 이 때, AUTOEDIT(자동편집) 버튼(55)을 누르면, IN점 OUT점 간의 편집 장소를 순차 자동 편집할 수가 있고, 수동 편집시에는 EDIT(편집) 버튼(39)을 누르고, REC(기록) 버튼(38)의 조작에 의해서 IN점-OUT점 간의 편집 장소를 순차 편집한다.
그런데, 상기 비디오 편집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에는 PLAYER(플레이어)/RECORDER(레코더) 버튼(46)이 설치되어 있어, 그 플레이어 버튼(46a)를 누르면,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테이프 주행 시스템 제어부(30) 및 편집 조작부(31)의 조작 버튼의 제어 대상을 플레이어측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또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측에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레코더측의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해서 플레이어측의 테이프 주행 시스템 제어 및 편집 제어를 행하게 되어, 대단히 편리하다. 또, RECORDER 버튼(46b)를 누르면, 상기 조작 버튼의 제어 대상이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측으로 바뀌어진다. 또한, 상기한 편집 장소를 찾기 위한 테이프 주행 제어는 조그/셔틀 다이얼(36)에 의한 조그 모드/셔틀 모드/배리어블 모드로 행하여진다. 그리고, 조그 모드로서는 -1 내지 +1배속의 재생이 가능하고, 셔틀 모드로서는 -24 내지 +24배속(21 스텝)의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배리어블 모드에서는 -1 내지 +1배속(47 스텝)의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편집 장소의 IN점/OUT점의 설정 및 기록은 IN/OUT 버튼(53)을 누름으로써 행하여지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의 푸쉬 동작(누름)에 의해서도 할 수 있다.
또, 도 13은 레코더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조작 패널(15)로부터의 각 제어 신호가 패널 CPU(64)를 통해 시스템 콘트롤회로(65)에 입력되고, 시스템 콘트롤 회로(65)는 RS-422 프로토콜 변환기(66)에서 변환된 리모트 콘트롤 신호를 인터페이스(67)를 통해 레코더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또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로 출력하며, 이들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또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의 테이프 주행 시스템 제어부(30) 및 편집 조작부(31)를 제어한다. 한편, 시스템 콘트롤 회로(65)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서보 IC(59)를 통해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의 캡스턴 서보회로(60) 및 릴 서보 회로(61)에 캡스턴 서보 신호 및 릴 서보 신호를 출력하여 캡스턴 모터(232) 및 릴 모터(230)를 회전 제어함과 동시에, 회전 헤드 드럼(224)을 회전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의 테이프(T1)(T3)의 주행 제어를 행하면서, 시스템 콘트롤 회로(65)는 비디오 신호 입력 인터페이스(63)와 접속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62)를 제어하여,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 또는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3)로부터 인터페이스(67)를 통해 입력되는 생 테이프(TI)의 편집 장소를 테이프(Tl)(T3)에 기록하기 위한 편집 작업을 행하게 된다.
(6)···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결합 방법의 설명
다음에, 도 5a, 도 6 및 도 14는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를 좌우에 나열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 수단(68)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합 수단(68)은 한 쌍의 코인 나사(69)에 의해서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앞단면 사이에 걸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운반용 핸들(70)과, 각각 4개의 멈춤나사(71)에 의해서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하면 및 표면 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연결판(7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를 일체로 연결한 상태로, 운반용 핸들(70)에 의해서 손에 들고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를 개별 혹은 일체로 결합한 상태로 어깨에 매어달아 운반하기 위한 도시하지않은 숄더 벨트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숄더 벨트 설치용 훅(73)이, 이들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앞단측의 좌우 양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7)···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 도 15a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배터리-장착부(17)에는 배터리 단자(76)와, 배터리-착탈 기구(7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착탈 기구(77)는 배터리(5)의 한측면(5a) 사이에 형성된 요철 끼워맞춤부(78, 79)에 의한 도브테일(dovetail) 구조에 의해서, 도 17 중, 화살표(y4) 방향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즉 배터리(5)를 배터리 장착부(17)에 재치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요철 끼워맞춤부(78, 79)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배터리(5)의 일단면(5b)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핀(80)을 배터리 단자(76)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시켜, 배터리(5)를 배터리 장착부(17)상에 자동 록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17)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록크 해제 레버(81)를 상기 화살표(y4)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배터리(5)의 록크를 해제하고, 그 배터리(5)의 배터리 장착부(17)상에서 상술한 상기 화살표(y4)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간단히 뗄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후단면에도 같은 배터리 장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공통의 배터리(5)를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와,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간에서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또,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휴대시 등의 비사용시에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17)에 커버(8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도 18,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패널(83) 사이에서, 이들 2대의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는 케이블 코드(84) 및 커넥터(85)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의 케이블 코드(84)에는 리셋 콘트롤용 RS-422 케이블이 사용되어 있다.
(8)···조그/셔틀 다이얼의 설명
다음에,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축식 콘트롤러에 해당하는 조그/셔틀 다이얼(36)은 안쪽 다이얼 및 조그 제어 수단에 해당하는 조그 다이얼(87)과 외측 다이얼 및 셔틀 제어 수단에 해당하는 셔틀 다이얼(88)을 구비하고, 리셋 수단에 해당하는 리셋 회전자(89)가 셔틀 다이얼(88)의 하부의 내주에 내장되어 있다.
이 때, 우선, 조작 패널(15)의 하면을 구성하고 있는 판금제의 조작 패널 샤시(90)의 상부에 양면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된 회로 기판(91) 및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된 다이얼 홀더(92)가 복수의 멈춤 나사(93, 94)에 의해 수평으로, 상하 2층 상태에 고정되어 있고, 그 다이얼 홀더(92)의 중앙 상부에 일체 성형된 베어링부(92a)에 다이얼축(95)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축(95)은 다이얼 홀더(92)에 대하여 축주위인 화살표(a1, a2) 방향으로 회전 자유 가능함과 동시에, 축방향인 화살표(b1, b2) 방향으로 이동(승강)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축(95)의 상단에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된 조그 다이얼(87)이 그 중앙 하부에 일체 성형된 베어링부(87a)에 의해서 압입 등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그 다이얼축(95)의 하단에는 회전 검출판(96)이 멈춤나사(97) 및 접착에 의해서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검출판(96)은 회로 기판(91)에서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조그 다이얼(87)과 회전 검출판(96)은 다이얼축(95)을 통해 일체로 화살표(a1, a2) 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움과 동시에, 화살표(b1, b2)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 홀더(92)의 중앙 하면에 접착된 펠트 등의 마찰판(98)에 회전 검출판(96)이 아래쪽에서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셋 회전자(89)가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된 회전자 본체(100)와, 그 판금 등으로써 성형된 회전자 슬라이더(10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본체(100)가 그 중앙 상부에 일체 성형된 베어링부(100a)에 의해서 다이얼축(95)의 외주에서, 또한, 조그 다이얼(87)의 베어링부(87a)의 외주 위치에 삽입되어 있고, 이들 양베어링부(87a, 100a) 사이에는 2개의 레이디얼 배어링(102)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리셋 회전자(89)는 조그 다이얼(87)에 대하여 레이디얼 베어링(102)을 화살표(a1, a2)방향으로 상대 회전가능하다. 한편, 상기 리셋 회전자(87)는 조그 다이얼(87)과 일체로 화살표(bI, b2)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셔틀 다이얼(88)은 합성 수지 등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고, 수평인 원판부(88a)와, 그 원판부(88a)의 외주 상부에 동심원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링형상의 리브인 회전 손잡이부(88b)와, 그 회전 손잡이부(88b)에서 또한 외주 하부에 단차부(88c)를 통해 동심원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외주 플랜지부(88d)와, 원판부(88a)의 중앙에 일체 성형된 베어링부(88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셔틀 다이얼(88)은 그 베어링부(88e)에 의해서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본체(100)의 상부에서 그 베어링부(100a)의 외주에 화살표(a1, a2) 방향으로 상대 회전 자유롭게 및 화살표(b1, b2)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셔틀 다이얼(88)의 원판부(88a)가 조그 다이얼(87)과 리셋 회전자(89)와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조그 다이얼(87)이 셔틀 다이얼(88)의 회전 손잡이(88b)의 안쪽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셔틀 다이얼(88)의 단차부(88c)의 하면에 접착된 펠트판 등의 마찰판(103)이 다이얼 홀더(92)의 외주에 동심원형으로 일체 성형된 외주 플랜지부(92b) 상에 수평으로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 홀더(92)의 외주 플랜지부(92b)의 외주의 3개소에 일체 성형된 암(92c)의 상부에 가압링(104)이 3개의 멈춤나사(105)에 의해서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셔틀 다이얼(88)의 외주 플랜지부(88d)의 상부에 수평으로 접착된 펠트판 등의 마찰판(106)의 상부를 상기 가압링(104)이 아래 쪽으로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셔틀 다이얼(88)의 베어링부(88e)의 외주에서, 조그 다이얼(87)과 상기 셔틀 다이얼(88) 사이에, 초기 압축 응력이 주어진 스프링력이 강한 압축 코일 스프링(108)이 슬립링(109)을 통해 삽입되어 있다. 또한,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본체(100)의 베어링부(100a)의 하단의 내주에 스러스트 베어링(110) 및 워셔(111)가 끼워맞춤되어 있고, 다이얼 홀더(92)의 베어링부(92a)의 외주에서, 워셔(111) 사이에 초기 압축 응력이 주어진 스프링력이 약한 압축 코일 스프링(112)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양 압축 코일 스프링(108, 11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조그 다이얼(87)이 셔틀 다이얼(88)에 대하여 윗쪽인 화살표(b1) 방향으로 이동 가압되어 있고, 상기 조그 다이얼(87)과 일체로 화살표(b1) 방향으로 상승 가압되는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본체(100)와, 셔틀 다이얼(88) 사이에 화살표(b1, b2) 방향에서 연결 및 해제 가능한 연결수단(1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수단(114)은 셔틀 다이얼(88)의 원판부(88a)의 하면에 동심원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링기어(115)와, 회전자 본체(100)의 표면에 동심원형상의 배치에 일체 성형된 3개소의 부분 기어(1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 수단(114)의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에, 리셋 회전자(89)를 임의의 회전 위치로부터 리셋 위치(P1)로 자동적으로 회전 복귀시키기 위한 회전 복귀 수단(118)이 셔틀 다이얼(88)의 단차부(88c)의 내주와, 다이얼 홀더(92)의 내주 사이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복귀 수단(118)은 다이얼 홀더(192)의 내주에 형성된 2단계형상의 캠(119, 120)과,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슬라이더(101)의 선단의 하부에 장착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캠 종동 롤러(1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단계형상의 캠(119, 120)은 리셋 위치(P1)에 대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의 캠(119, 120)은 리셋 위치(P1)로부터 회전 양방향(화살표 a2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로 반경이 작게 되는 편심 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캠(119, 120) 사이에 단차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캠(120)의 종단에는 캠 종동 롤러(121)의 스토퍼(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본체(100)의 하면에 회전자 슬라이더(101)가 2개의 플랜지부 가이드 핀(124)과 2개의 평행한 가이드 홈(125)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기구에 의해서 다이얼 축(l95)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인 화살표(c1, c2)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자 본체(100)와 회전자 슬라이더(101)에 형성된 각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126, 127) 사이에 가압수단인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28)이 초기 인장 응력이 주어진 상태로 수평인 평행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인장 코일 스프링(128)에 의해서 회전자 슬라이더(101)가 회전자 본체(100)에 대하여 화살표(c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압되고, 캠 종동 롤러(121)가 캠(119, 120)에 대하여 화살표(c1) 방향에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자 슬라이더(101)의 중앙부에는 다이얼축(95) 및 압축 코일 스프링(112)에 대한 여유 구멍(1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그 다이얼(87)의 회전 위치 검출 수단(131)이, 회전 검출판(96)의 표면의 외주에 시일 접착등으로써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된 FG 패턴(132)과, 회로 기판(91)의 하면에 마운트된 광반사형의 2개의 포토커플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틀 다이얼(88)의 회전 위치 검출 수단(134)이, 셔틀 다이얼(88)의 외주 플랜지부(88d)의 하면에 시일 접착등으로써 동심 원형상으로 형성된 FG 패턴(135)과, 회로 기판(91)의 표면에 마운트된 광반사형의 2개의 포토커플러(13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그 다이얼(87)의 아래쪽(화살표 b2방향)에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137)이 회로 기판(91)의 표면에 마운트된 광투과형의 포토커플러(138)와, 리셋 회전자(89)의 회전자 본체(100)의 하면의 외주에 동심원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광셔터용 리브(13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셋 회전자(89)를 리셋 위치(Pl)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140)이, 회로 기판(91)상에 수직으로 마운트된 통전용의 2개의 검출 핀(141)과, 금속의 캠 종동 롤러(121)로 구성되어 있고, 리셋 회전자(89)가 리셋 위치(P1)로 복귀하여, 캠 종동 롤러(121)가 2개의 검출 핀(141) 사이에서 위치 결정되었을 때에, 그 2개의 검출 핀(141) 사이의 상기 캠 종동 롤러(121)에 의해서 셔트됨으로써, 그 리세트 회전자(89)의 리셋 위치(P2)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87)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2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108, 112)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그 다이얼(87)이 도 21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승 위치까지 화살표(b1) 방향으로 상승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회전 검출판(96)이 마찰판(98)에 화살표(b1) 방향에서 압착됨과 동시에, 연결수단(114)의 셔틀 다이얼(88)의 링기어(115)에 리셋 회전자(89)의 부분 기어(116)가 화살표(b2) 방향에서 걸어맞춤되어, 리셋 회전자(89)가 셔틀 다이얼(88)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프링력이 강한 압축 코일 스프링(10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셔틀 다이얼(88)의 마찰판(103)이 다이얼 홀더(92)의 외주 플랜지부(92b) 상에 화살표(b2) 방향에서 압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그 다이얼(87)은 마찰판(98)에 의한 마찰 토오크에 의해서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셔틀 다이얼(88)은 마찰판(103)의 마찰 토크에 의해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PLAY, FF, 조그 모드 등의 각 모드로부터 셔틀 모드로의 이행은 셔틀 다이얼(88)의 정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행하여지고, PLAY, FF, 조그 모드 등의 각 모드로부터 조그 모드에의 이행은 조그 다이얼(87)의 정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행하여진다. 단지, 상기 조그 모드에의 이행은 셔틀 모드가 리셋되어 있을 때에만 이고, 그 셔틀 모드의 리셋은 조그 다이얼(87)을 도 21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승 위치로부터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하강 위치까지 손으로 가볍게 누름으로써 행하여진다.
그리고, 조그 다이얼(87)을 손으로 화살표(a1, a2) 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회전 위치 검출 수단(131)에 의해 그 조그 다이얼(87)의 회전 위치가 검출되어, -1 내지 +1배속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임의의 회전위치로써 조그 다이얼(87)로부터 손을 떼면, 조그 다이얼(87)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셔틀 다이얼(88)을 손으로 화살표(a1, a2) 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회전 위치 검출 수단(134)에 의해서 그 셔틀 다이얼(88)의 회전 위치가 검출되어, -24 내지 +24배속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 때, 도 22에 있어서의 회전위치(P2)가 ±5배속으로 설정되고, 회전위치(P3)가 ±24배속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임의의 회전위치로써 셔틀 다이얼(88)로부터 손을 떼면, 셔틀 다이얼(88)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셔틀 다이얼(88)에 연결수단(11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리셋 회전자(89)가 리셋 위치(Pl)에 위치하고 있을 때가 셔틀 모드의 리셋 상태이고, 상기 셔틀 모드의 리셋 상태로부터 셔틀 다이얼(88)을 화살표(a1, a2)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 리셋 회전자(89)도 셔틀 다이얼(88)과 일체로 정회전 및 역회전된다. 그리고, 회전 복귀 수단(118)의 캠 종동 롤러(121)가 리셋 위치(P2)로부터 캠(119, 120)측으로 회전되며, 이들의 캠(119, 120)에 의해서 캠 종동 롤러(121)는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28)에 저항하여 화살표(P2) 방향으로 점차로 후퇴한다. 그리고, 그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28)의 반발력이 점차로 증대하여, 그 반발력에 의해서 주어지는 셔틀 다이얼(88)의 회전 부하가 점차로 증대하여 간다. 요컨대, 셔틀 다이얼(88)의 회전이 점차로 무겁게 된다. 그리고, ±5배속의 위치에서, 캠 종동 롤러(121)가 단차부(122)를 넘어서 캠(119)으로부터 캠(120)측으로 이행하고, 그 단차부(122)을 넘어서는 순간에 셔틀 다이얼(88)의 회전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5배속 내지 ±24배속의 경계점을 손끝의 감각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또, 셔틀 다이얼(88)을 최대 회전각까지 회전하면, 캠 종동 롤러(121)가 스토퍼(123)에 접촉되어, 그 셔틀 다이얼(88)의 회전이 멈춘다. 그리고, 셔틀 다이얼(88)을 임의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킨 상태로, 조그 다이얼(87)을 도 21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하강 위치까지 화살표(b2) 방향으로 손으로 누르면, 광 셔터용 리브(139)가 포토커플러(138)내에 화살표(b2) 방향에서 삽입되어, 누름 검출 수단(137)에 의해 조그 다이얼(87)의 누름이 검출된다.
그리고, 조그 다이얼(87)을 화살표(b2) 방향으로 누르면, 리셋 회전자(89)도 그 조그 다이얼(87)과 함께 눌러지고, 연결수단(114)의 링기어(115)로부터 부분 기어(116)가 화살표(b2) 방향으로 이탈된다. 그러면, 그 순간에, 회전 복귀 수단(118)의 캠(119, 120)에 의한 캠 종동 롤러(121)의 복귀 기능(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28)에 의해서 캠(119, 120)에 캠 종동 롤러(121)를 화살표(c1)방향에서 압착되어 있는 그 압착력의 분력에 의한 회전 이동의 활동(기능)에 의해서, 리셋 회전자(89)가 그 임의의 회전 위치로부터 리셋 위치(P1)까지 화살표(a1, a2) 방향으로 자조적으로 회전 복귀된다. 그리고, 캠 종동 롤러(121)가 2개의 검출 핀(141) 사이에서 위치 결정되어, 리셋 회전자(89)가 리셋 위치(P1)에 정지됨과 동시에, 2개의 검출 핀(141)에 의해서 그 리셋 위치(P1)에의 복귀가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조그/셔틀 다이얼(36)에 의하면, 셔틀 다이얼(88)을 임의의 회전위치로부터 일일이 리셋 위치(P1)까지 손으로 되돌리지 않아도, 조그 다이얼(87)을 손으로 가볍게 누르는 것만으로, 누름 검출 수단(137)에 의해서 셔틀 모드를 순간에 리셋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때, 셔틀 모드 중에 있어서의 조그 다이얼(87)의 1회째의 누름 조작이 누름 검출 수단(137)에 의해서 검출된 경우에는 셔틀 모드의 리셋 모드로 되고, 조그 다이얼(87)의 2회째 이후의 누름 조작을 누름 검출 수단(137)에 의해서 검출된 경우에는 그 2회째 이후의 누름 조작이 전술한 편집점인 IN점, OUT점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이 된다. 따라서, 비디오 편집 작업 중에 조그 다이얼(87) 또는 셔틀 다이얼(88)에 의해서 재생 속도를 제어하여 편집점을 찾으면서, 편집점의 IN점/OUT점을 그 조그 다이얼(87)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민첩하게 행할 수 있다.
(9)···표시 패널, 조작 패널의 개폐 구조의 설명
다음에,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4) 및 조작 패널(15)은 각각 좌우 한 쌍의 회전 지점(143, 144)에 의해서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인 화살표(d1, d2)방향 및 화살표(e1, e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은 도 27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폐쇄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거의 120도 회전각(θ1)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15)은 도 27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폐쇄위치와 도 28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카세트 이젝트를 위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각(θ2)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카세트 이젝트를 위한 개방 위치로부터 또한 윗쪽의 유지를 위한 개방위치까지 회전각(θ3)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2단계 개폐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술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4)을 도 27에 있어서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폐쇄 위치까지 화살표(d2) 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크하는 경우에는 그 표시 패널(14)의 전면(14a)의 앞단면(14b) 측의 끝부에 장착된 록크 클릭(145)을 조작 패널(15)의 표면(15a)의 앞단면(15b) 측의 끝부에 형성되어 있는 록크 구멍(146)내에 삽입함으로써 록크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의 앞단면(14b)에 장착된 록크 해제 손잡이(18)는 록크 클릭(145)을 록크 구멍(146)내에서 일방향에 슬라이드하여 표시 패널(14)의 록크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5)을 도 27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폐쇄 위치에 록크하는 록크 수단(147)은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가 수직인 전단벽(12a)의 두께내에 수직 형태로 배치되며, 회전 지점(148)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인 화살표(f1, f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록크 레버(149)와, 그 록크 레버(149)가 스토퍼(150)에 접촉하여 수직 상태로 정지하는 위치까지 록크 방향(화살표 f1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151)과, 조작 패널(15)의 앞단면(15b)의 안쪽에서, 조작 패널 샤시(90)에 고정된 피 록크핀(1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크 레버(149)의 상단부(149a)에 록크 클릭(153)이 형성되어 있고, 그 록크 클릭(153)의 상단면이 피 록크핀(152)을 유도하는 캠(15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의 앞단벽(12b)의 상단면에는 피 록크핀(152)을 가이드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돌기(1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의 록크 클릭(145)이 삽입되는 조작 패널(15)의 록크 구멍(146)이 상기 조작 패널(15)의 상하 방향(두께 방향)에 관통된 긴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록크 구멍(146)이 마니얼용 록크 해제 조작부에 겸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15)을 도 28에 있어서 도시한 폐쇄 위치로 화살표(e2) 방향에서 폐쇄하면, 피 록크핀(152)이 록크 레버(149)의 캠(154)에 화살표(e2) 방향에서 접촉되며, 상기 캠(154)에 의해서 록크 레버(49)가 인장 코일 스프링(151)에 저항하여 한번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한 후, 화살표(f1) 방향에 회전 복귀하여, 그 록크 클릭(153)이 피 록크핀(152)의 위쪽에 걸어맞춤되어, 조작 패널(15)을 폐쇄 위치에 록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15)을 폐쇄한 후, 그 조작 패널(15)의 상부에 표시 패널(14)을 접어갤 수 있도록, 그 표시 패널(14)을 도 27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폐쇄 위치로 화살표(d2) 방향에서 폐쇄하면, 그 록크 클릭(145)이 록크 구멍(146)내에 삽입되어, 조작 패널(15)의 피 록크핀(152)에 록크 레버(149)의 록크 클릭(153)과는 반대측에서 슬라이드 걸어맞춤하여, 표시 패널(14)이 그 폐쇄 위치에 록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 록크핀(152)은 표시 패널(14)의 록크핀을 겸용하고 있다.
(10)··카세트 컴파먼트의 설명
다음에, 도 30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에는 카세트 착탈 수단에 해당하는 팝-업식의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160)는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로 지지되어, 이들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의 후단이, 판금 등으로 구성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에 좌우 한쌍의 회전지점(163)을 통해 상하 방향인 화살표(g1, g2) 방향으로 up/DOWN (승강)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의 후단측의 하부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 사이에 형성된 좌우 각 한쌍의 스프링 걸림부(164, 165)간에 초기 인장 응력이 주어져 장착된 업 가압 수단에 해당하는 좌우 한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166)에 의해서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가 도 30에 도시한 다운 위치로부터 도 31, 및 도 10a에 도시한 화살표로 나타낸 V 방향에서 본 도 10b에 도시한 업 위치까지 화살표(g1) 방향으로 업 가압되어 있다. 또, 전술한 좌우 각 한쌍의 회전 지점(143, 144, 163)이 서로 근접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실제로는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앞단측이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의 앞단측의 안쪽에 좌우 한쌍의 회전지점(16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그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후단에 좌우 한쌍의 회전지점(16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우 한쌍의 상태 제어 레버(169)의 하단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에 좌우 한쌍의 회전 지점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상태 제어 레버(169)의 상단에 장착된 좌우 한쌍의 가이드 핀(171)이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에 거의 V 자형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가이드홈(172)내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에 의해서 도 30에 도시한 다운 위치와 도 31에 도시한 업 위치 사이에서 화살표(gl, g2) 방향에 UP/DOWN 되었을 때, 좌우 한쌍의 상태 제어 레버(169)에 의해서 그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좌우 한쌍의 회전 지점(167)의 주위에 회전 제어되어, 다운 위치에서는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와 평행한 수평 상태로 되고, 업 위치에서는 상기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좌우 한쌍의 팝-업 레버(161)의 경사각도 보다 작은 경사각도로 제어되며, 그 카세트 컴파먼트(160) 상부에 포개져 있는 조작 패널(15)이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4)의 화살표(h1, h2) 방향의 출입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의 한쪽의 측면에 장착된 일방향성을 갖는 댐퍼(173)의 피니온(174)이 한편의 팝-업 레버(161)에 회전 지점(163)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랙(175)에 맞물려 있어,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좌우 한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166)에 저항하여 업 위치로부터 다운 위치까지 손으로 화살표(g2) 방향으로 누를 때에는 부하를 작게하고,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좌우 한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166)에 의해서 다운 위치로부터 업 위치까지 화살표(g1) 방향에 업되었을 때에는 부하를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의 한편의 측면의 안쪽에는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다운 위치에서 록크하는 록크 수단(177)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록크 수단(177)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에 회전 지점(178)을 통해 전후 방향인 화살표(i1, i2)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록크 레버(179)와, 그 록크 레버(179)의 상단에 장착된 록크핀(180)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에 스프링 걸림 핀(181)을 통해 장착되어, 록크 레버(179)를 정지 위치까지 화살표(i1)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토션 스프링(182)과, 카세트 컴파먼트(160)측인 팝-업 레버(161)의 한쪽의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캠(183)을 갖는 록크 클릭(18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크 수단(177)에는 록크 해제 수단에 해당하는 록크 해제 레버(18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록크 해제 레버(185)는 가이드 핀(186)에 의해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의 가이드홈(187)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전후 방향인 화살표(j1, j2)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록크 해제 레버(185)의 일단부(185a)가 록크핀(1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도 30에 도시한 위치까지 화살표(g2) 방향으로 다운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크 클릭(184)의 캠(183)이 록크핀(180)에 접촉되어, 상기 록크핀(180)을 한번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션 스프링(182)에 저항하여 화살표(i2) 방향에 이동한 후, 상기 록크핀(180)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i1) 방향에 회전 복귀되어, 록크 클릭(184)이 록크핀(180)의 하측에 걸어맞춤되고,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그 다운 위치에 록크한다. 그리고,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4)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에 장착된다.
다음에,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2, 3)의 상술된 EJECT 버튼(45)을 누르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내에서의 자기테이프(T)의 언로딩 이후에, 후술하는 자동해제 수단에 의해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크 해제 레버(185)가 화살표(j2)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렇게 하면, 록크핀(180)이 트레이션 스프링(182)에 저항하여 화살표(i2) 방향에 이동되어 록크 클릭(184)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다운 위치에서의 록크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그리고,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66)에 의해서 도 30의 다운 위치로부터 도 31의 업 위치로 자동적으로 팝-업된다.
(11)···카세트 컴파먼트의 오토 이젝트 기구의 설명
다음에,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오토 이젝트 기구(190)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샤시(162)내에 장착된 복수의 레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조작 패널(15) 및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각각의 록크 해제 수단에 해당하는 2개의 록크 해제 레버(191, 192)가 각각 회전 지점(193, 19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들 양 록크 해제 레버(191, 192) 사이가 연동 링크(195)에 의해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의 로딩 모터(197)에 의해서 기어 트레인(198) 등의 전동 수단을 통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기능캠(199)이 구동 수단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능캠(199)에 형성된 캠홈(200)과, 그것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진 캠 종동 핀(201)으로 이루어진 캠 기구에 의해서 회전지점(202)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캠 종동 레버(203)의 선단이 한편의 록크 해제 레버(192)에 직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된 비디오 편집 작업 중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다운 위치에 다운되어 록크되며, 테이프 카세트(4)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에 장착되어, 자기 테이프(T)가 테이프 주행 경로상에 로딩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15)도 폐쇄 위치에 폐쇄되어 록크되어 있다. 그래서, 비디오 편집 작업 종료 후에, 조작 패널(15)상의 EJECT 버튼(45)을 누르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로딩 기구의 로딩 모터(197)에 의해서 기능 캠(199)이 예를 들면 화살표(k1)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자기 테이프(T)의 언로딩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 언로딩 동작 종료 후의 오버 스트록크 동작에 의해서 캠홈(200)과 캠 종동 핀(201)으로 이루어진 캠 기구에 의해서 캠 종동 레버(203)가 화살표(k2)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한쪽의 록크 해제 레버(192)가 화살표(k3) 방향에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연동 링크(195)가 화살표(k4)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쪽의 록크 해제 레버(191)도 화살표(k5)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렇게 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크 해제 레버(191)가 조작 패널(15)을 폐쇄 위치로 록크하고 있는 록크 수단(147)의 록크 레버(149)의 하단부(149b)를 화살표(k5)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록크 레버(149)를 인장 코일 스프링(151)에 저항하여 화살표(f2)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조작 패널(15)의 폐쇄 위치 에서의 록크를 해제한다. 그리고, 이것과 동시에,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크 해제 레버(192)가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다운 위치로 록크하고 있는 록크 수단(177)의 록크 해제 레버(185)의 타단(185b)을 화살표(j2)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록크 해제 레버(185)에 의해서 록크 레버(197)를 토션 스프링(182)에 저항하여 화살표(i2)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다운 위치에서의 록크를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도 28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166)에 의해서 다운 위치로부터 업 위치로 화살표(gl) 방향에 자동적으로 팝-업되어, 그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의해서 조작 패널(15)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화살표(e1)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눌러진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4)가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의 윗쪽으로 자동적으로 이젝트된다. 이 때,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고, 카셋트 컴파먼트(160)의 표면의 좌우 양단에 장착되어 있는 거의 반원형상의 좌우 한쌍의 밀어 올림용 돌기(205)에 의해서 조작 패널(15)이 화살표(e1)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다음에,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4)의 교환 후에,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두 번째 다운 위치로 다운하여 록크할 때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5)을 손으로 화살표(e2) 방향으로 밀어 내리고, 그 조작 패널(15)에 의해서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다운 위치까지 밀어 내린다. 그 때, 조작 패널(15)을 카세트 컴파먼트(160)상의 좌우 한쌍의 밀어 올림용 돌기(205)상에 평행하게 접촉하여,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다운 위치까지 평행 정밀도를 유지하여 확실하게 누를 수 있기 때문에, 다운 위치에서의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록크를 항상 확실히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세트 컴파먼트(160) 자체의 평행 정밀도를 강성이 높은 조작 패널(15)로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강성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 비용화를 촉진할 수 있다.
(12)···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유지 방법의 설명
도 37a 및 도 37b,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다운 위치로 다운하여 록크한 상태로, 조작 패널(15)의 록크 구멍(146)내에 드라이버 등의 간단한 공구(206)를 윗쪽으로부터 삽입하여, 록크 레버(149)를 인장 코일 스프링(151)에 저항하여 화살표(f2) 방향으로 움직이면, 조작 패널(15)의 폐쇄 위치에서의 록크를 간단히 해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록크 해제 후에, 조작 패널(15)을 도 27의 폐쇄 위치로부터 도 26 및 도 28에 1점쇄선으로 나타낸 유지를 위한 개방위치까지, θ2+θ3의 큰 개방 각도로 개방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의 카세트 컴파먼트(160)에서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테이프 로딩 기구 부분의 상부가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회전 헤드 드럼이나 고정 헤드, 테이프 가이드류 등의 테이프 주행 경로상의 각종 부분을 클리닝 크로스 등을 사용하여 마니얼 크리닝하도록 한 일상 보수 점검을 사용자가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자기테이프(T)가 테이프 주행 경로상에 슬랙하도록 했을 때에도, 조작 패널(15)을 유지하기 위한 개방 위치까지 큰 개방 각도로 개방하여, 마니얼로 테이프 취출을 행할 수도 있다.
(13)···조작 패널과 카세트 컴파먼트의 연결 수단의 설명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오토 이젝트하는 방식으로서는 도 28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를 다운 위치로부터 업 위치까지 화살표(g1) 방향으로 팝-업하였을 때,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업 위치에서 정지한 순간의 충격에 의한 관성력에 의해서, 조작 패널(15)이 카세트 컴파먼트(160)에서 윗쪽으로 화살표(e1) 방향으로 튀어 오른 후에, 다시 카세트 컴파먼트(160)상에 낙하하도록 하는「패턴」이라고 하는 충격음을 수반하는 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도 30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5)과 카세트 컴파먼트(160) 사이에, 이들 양자간을 연결 및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208)을 장착시키고,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팝-업때에 조작 패널(15)이 튀어 오름 조작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수단(208)은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한편의 측면에 회전지점(209)을 통해 전후 방향인 화살표(m1, m2)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레버(210)와, 조작 패널(15)의 한편의 측면의 하부에 설치판(211)을 통해 장착된 피 연결핀(212)과, 연결레버(210)를 스토퍼(213)에 접촉하여 정지하는 위치까지 화살표(m2) 방향에 회전 가압하는 가압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2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연결레버(210), 연결 핀(212) 및 인장 코일 스프링(214)의 설치 위치를 조작 패널(15)과 카세트 컴파먼트(160) 사이에서 반전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연결레버(210)의 유단부인 상단측에는 피 연결핀에 대한 플레어각(θ4)을 갖는 제1 걸어맞춤부(215)와, 여유각(θ5)을 갖는 제2 걸어맞춤부(216)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버(210)의 상단에는 피 연결핀(212)을 가이드하는 캠(2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208)에 의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다운 위치에 다운되어 록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패널(15)을 도 27에 도시한 폐쇄 위치까지 화살표(e2) 방향으로 폐쇄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연결 핀(212)이 연결 레버(210)에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연결 핀(212)이 연결 레버(210)의 캠(217)에 화살표(e2) 방향에서 접촉하여, 상기 연결 레버(210)가 인장 코일 스프링(214)에 저항하여 한번 화살표(m2)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화살표(m1) 방향으로 회전 복귀하여, 상기 연결 레버(210)의 제2 걸어맞춤부(216)에 피 연결핀(212)이 자동적으로 걸어맞춤되며, 연결 수단(208)은 해제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이 때에는 제2 걸어맞춤부(217)가 피연결 핀(212)에 대한 여유각(θ5)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술된 유지시와 같이, 조작 패널(15)의 록크를 마니얼로 해제하여, 상기 조작 패널(15)을 화살표(e1) 방향으로 끌어올리면, 연결 레버(210)는 인장 코일 스프링(214)에 저항하여 화살표(m2) 방향으로 간단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 패널(15)의 카세트 컴파먼트(160)의 연결 상태를 간단히 해제하여, 조작 패널(15)만을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개폐할 수가 있다.
한편, 상술된 오토 이젝트시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의해서 조작 패널(15)을 화살표(e1)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카세트 컴파먼트(160)와 조작 패널(15)의 회전 지점(144)과 회전 지점(163)의 차이에 의해, 카세트 컴파먼트(160)가 업 위치까지 화살표(gl) 방향으로 업되었을 떼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 연결핀(212)이 연결 레버(210)의 제2 걸어맞춤부(217)로부터 제1 걸어맞춤부(215)로 이행하고, 연결수단(208)은 해제 금지 상태로 된다.
즉, 이 때에는 그 제2 걸어맞춤부(215)가 피 연결핀(212)에 대한 플레이저 각(θ4)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대한 조작 패널(15)의 화살표(e1) 방향에의 뛰어 올름 현상이 발생하여도, 피 연결핀(215)이 제1 걸어맞춤부(215)로부터 화살표(e1)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수단(208)은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대한 조작 패널(15)의 화살표(e1및 e2)방향의 튀어 오름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의해서 조작 패널(15)이 도 28에 실선으로 도시한 카세트 이젝트를 위한 개방위치까지 각도(θ2) 만큼 누르게되면, 연결 수단(208)이 비디오 편집 장치 본체(12)의 외부에 완전히 노출된다. 그리고, 도 32에 도시되어 있는 연결 레버(210)를 손끝으로 화살표(m2) 방향으로 가볍게 돌려서,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대한 조작 패널(15)의 연결을 해제하면, 상기 조작 패널(15)을 도 28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유지를 위한 개방 위치까지, 또한 각도(θ3) 만큼 화살표(e1) 방향으로 회전하여 크게 개방할 수 있다.
(14)···테이프 로딩 기구의 설명
다음에, 도 39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6)에는 테이프 로딩 수단에 해당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2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221)의 테이프 주행 경로는 공급릴대(222), 감김 릴대(223), 회전 헤드 드럼(224), 캡스턴(225), 풀이레이즈 헤드(226), CTL 헤드(227), 오디오 헤드(228) 및 복수의 테이프 가이드(22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릴대(221)를 회전 제어하는 릴 모터(230), 회전 헤드 드럼(224)을 회전 제어하는 드럼 모터(231), 캡스턴(225) 및 감김릴대(222)를 회전 제어하는 캡스턴 모터(2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221)의 테이프 인출 수단이, 경사 가이드와 수직 가이드를 탑재한 공급 슬라이더(233), 감김 슬라이더(234), 공급 텐션 레귤레이터 암(235) 및 감김 텐션 레귤레이터 암(236)이나 핀치롤러(237)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및 상술된 기능 캠(199)을 구동하는 로딩 모터(197)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4)가 다운 위치에 장착되면, 도 40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테이프 카세트(4)내의 좌우 한쌍의 테이프 릴(SR, TR)이 공급 및 감김 릴대(222, 223)상에 수평으로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이 후, 도 36에 도시한 로딩 모터(197)에 의해서 기능 캠(199)이 구동되어, 테이프 로딩 모드로 되며, 공급 슬라이더(233) 및 감김 슬라이더(234), 공급 텐션 레귤레이터(235) 및 감김 텐션 레귤레이터(236) 및 핀치롤러(237) 등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4)내의 자기 테이프(T)가 인출되어 테이프 주행 경로상에 로딩된다. 그리고, 드럼 모터(231)에 의해서 회전 헤드 드럼(224)을 회전 제어하면서, 릴 모터(230)에 의한 공급릴대(222)의 회전 제어, 캡스턴 모터(232)에 의한 캡스턴(225) 및 감김 릴대(233)의 회전 제어 및 캡스턴(231)에 대한 핀치 롤러(237)의 압착, 이간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자기테이프(T)를 테이프 로딩 경로상에서 주행 제어(정속 주행, 빨리감기 주행, 되감기 주행, 조그/셔틀 모드 주행 기타)를 하여, 상술된 자기테이프(T)의 비디오 편집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디오 편집 작업 종료 후에, EJECT 버튼(45)이 눌러지면, 로딩 모터(197)에 의해서 기능캠(199)을 역회전 구동하여, 테이프 언로딩 모드를 실행하고, 공급 슬라이더(233), 감김 슬라이더(234), 공급 텐션 레귤레이터(235), 감김 텐션 레귤레이터(236) 및 핀치롤러(237) 등을 테이프 카세트(4)내에 되돌림과 동시에, 자기테이프(T)를 공급 릴(SR) 등에 되감는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언로딩 모드의 오버 스트록크 동작에 의해서 상술된 카세트 컴파먼트(160) 및 조작 패널(15)의 자동 록크 해제 동작을 하여, 테이프 카세트(4)를 업 위치로 이젝트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된 일상 보수 점검 등은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헤드 드럼(224), 풀이레이즈 헤드(226), CTL 헤드(227)나 오디오 헤드(228) 등의 고정 헤드 및 테이프 가이드(229) 등을 클리닝 크로스 등을 사용하여 클리닝하게 된다.
또한, 자기 테이프(T)가 테이프 로딩 기구(221) 중에 슬랙스하여 언로딩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도 42에 도시한 마니얼 이젝트 수단(241)의 마니얼 이젝트 손잡이(242)을 마니얼 조작으로 화살표(n1)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서 반시계방향인 화살표(n2)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기능캠(199)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자기테이프(T)가 테이프의 풀어짐과 같이 부하가 작게 되기 때문에, 이후는 캡스턴 캡(244)을 집어서 마니얼 조작으로 캡스턴 캡(223)을 집어서 캡스턴(225)을 직접 반시계방향인 화살표(n3) 방향으로 순차 회전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자기테이프(T)가 감김릴(TR)에 점차로 감겨지고, 자기 테이프(T)가 TR에 완전히 감겨진 후에, 카세트 컴파먼트(160) 및 조작 패널(15)의 록크 수단(177, 147)이 록크 해제되어, 카세트 컴파먼트(160)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4)가 이젝트되어지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조작 패널의 하부에 배치한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 착탈용 스페이스를 그 조작 패널 외에 배치하여, 조작 패널의 투영 면적내에 기록 재생부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또한, 조작 패널의 유효 면적이 기록 매체 착탈용 스페이스에 의해서 제한되는 일이 없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 패널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작 버튼이나 스위치류등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함으로써,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하는 데에 있어서 높은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조작 패널의 투영 면적내에 기록 재생부를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조작 패널로 기록 재생부의 위뚜껑을 겸용할 수가 있어, 부품점수 및 조립공수의 삭감과 같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대폭적인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뉴스 취재를 할 때에,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를 취재 현장까지 간단히 운반할 수가 있어, 뉴스 취재 후에, 취재 내용을 가장 숙지하고 있는 취재자 자신이, 취재 내용의 기억이 완전히 흐려지지 않는 동안에, 그 취재 현장에서, 비디오 카메라의 생 테이프로부터 뉴스 방영용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비디오 편집 작업을 즉시, 더구나, 극적으로 효율성 있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취재 현장의 긴박한 현장감을 정확히 방영하기 위한 테이프를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만들 수 있고, 뉴스의 속보성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개폐식으로 구성한 조작 패널을 개방함으로써,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착탈 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조작 패널을 상하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 착탈 기구도 조작 패널과 거의 동방향에 승강되는 팝-업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착탈 조작을 원터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표시 패널을 조작 패널의 상부에 접어 가능한 개폐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휴대시에는 표시 패널을 조작 패널의 상부에 접어, 외형 치수를 대폭 축소할 수가 있어,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휴대성을 더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비디오 편집 장치의 기록 재생부를 재생 전용기와 기록 전용기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를 재생 전용기와 기록 전용기로 분리할 수가 있어, 각각의 대폭적인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성을 더한층 높일 수 있는 한편, 비디오 카메라를 재생기에 사용하면, 기록 전용의 1대의 비디오 편집 장치만을 뉴스의 취재 현장에 휴대하면 무방하게 되어, 뉴스 취재의 기동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기록 재생부를 카세트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카세트식 비디오 카메라의 카세트를 그대로 재생하여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이고, 높은 경제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운반용 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휴대성을 더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수단과,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 그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편집하여 기록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촬영한 영상을 그자리에서 편집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방영용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비디오 편집 작업을 즉시, 더구나, 지극히 효율성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취재 현장의 긴박한 현장감을 정확히 방영하기 위한 테이프를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만들 수 있고, 뉴스의 속보성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셔틀 제어 수단과, 상기 셔틀 제어 수단의 조작 위치를 전환하지않고서, 셔틀 모드를 리셋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비디오 편집 작업 중에 셔틀 제어 수단에 의해서 편집 작업을 하면서, 셔틀 모드의 리셋을 민첩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하는 데에 있어서가 높은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셔틀 모드를 리셋하기 위한 기구를 조작 패널 등에 새롭게 설치하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적어짐과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표시부와, 조작 패널과, 기록 및 /또는 재생부와, 배터리-장착부와,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가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의 사용시에만 배터리를 장착하고, 비사용시에는 배터리를 떼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형 비디오 편집 장치는 사용시 이외에, 예를 들면 이동할 때에 있어서 소형화된 상태로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는 자기테이프를 수납한 테이프 카세트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를 수납한 광디스크 카세트 등에 있어서도 양호하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조작 패널을 상하 방향에의 회전 방식의 개폐식으로 구성하였지만, 상부에 표시 패널을 장착한 조작 패널을 전후방향 등의 수평방향에 슬라이드하여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도 양호하다. 또한, 카세트 컴파먼트(1)는 팝-업식인 그 외에도 슬롯 인터리브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Claims (22)

  1. 조작 패널의 하부에 기록 재생부를 배치하여,
    상기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착탈용 스페이스를 상기 조작 패널 밖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을 개폐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조작 패널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기록 재생부의 기록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을 회전지점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이 구성하며,
    상기 기록재생부의 기록 매체 착탈 기구를 상기 조작 패널과 같은 방향으로 가깝게 승강되는 팝-업식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표시 패널을 상기 조작 패널의 상부에 접을 수 있도록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재생 전용기와 기록 전용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카세트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운반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상장치.
  8.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 그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편집하여 기록하는 편집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대상을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 또는 비디오 편집 장치로 전환하는 재생 대상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 수단 및 재생 대상 전환 수단을 조작 패널상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SDI(Serial Digital Interface) 규격에 기초를 둔 데이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장치로부터 보내어진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서 편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교대로 표시하는 1개의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13. 셔틀 제어 수단과,
    상기 셔틀 제어 수단의 조작 위치를 바꾸지 않고, 셔틀 모드를 리셋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조그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셔틀 제어 수단의 셔틀 모드로부터 조그 제어 수단의 조그 모드로 이행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편집점을 결정하고, 또한, 그 편집점을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1회째의 조작이 상기 셔틀 제어 수단의 리셋을 위한 조작으로 되며, 2회째 이후의 조작이 편집점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이 일평면내에서의 이동에 의한 조그 모드와,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의 누름에 의한 리셋 모드를 가지며,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누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제어 수단의 누름 조작마다 편집점을 결정하는 모드와, 누름 조작마다 조그 모드/셔틀 모드를 전환하여 행하기 위한 예정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
  19. 표시부와,
    조작 패널과,
    기록 및 /또는 재생부와,
    배터리 장착부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편집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카메라 일체형 기록 재생 장치와 공통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편집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 기구가 상기 카메라 일체형기록 재생 장치의 배터리 착탈 기구와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편집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개폐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상기 표시부의 개폐 스페이스 밖에서, 윗면 패널상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편집 장치.
KR10-1998-0706307A 1996-12-17 1997-12-17 비디오편집장치,편집장치및휴대형편집장치 KR100505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7163 1996-12-17
JP33716396 1996-12-17
JP97-266875 1997-09-30
JP26687597 1997-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69A true KR19990082569A (ko) 1999-11-25
KR100505520B1 KR100505520B1 (ko) 2005-12-01

Family

ID=2654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07A KR100505520B1 (ko) 1996-12-17 1997-12-17 비디오편집장치,편집장치및휴대형편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08965B1 (ko)
JP (1) JP4320789B2 (ko)
KR (1) KR100505520B1 (ko)
GB (1) GB2325559B (ko)
WO (1) WO19980275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39B1 (ko) * 2009-05-15 2010-01-22 보은전자방송통신(주) 영상 편집용 모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141B1 (en) * 1998-12-31 2001-11-13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eterogeneous media object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JP2001052424A (ja) * 1999-08-10 2001-02-23 Nippon Columbia Co Ltd 操作ダイヤル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40210916A1 (en) * 1999-08-10 2004-10-21 Masayuki Hori Control dial and optical disk apparatus having the control dial
JP2002341955A (ja) * 2001-05-17 2002-11-29 Pioneer Electronic Corp 回転式操作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楽音再生装置
JP4189182B2 (ja) * 2002-08-23 2008-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7340157B2 (en) * 2002-11-20 2008-03-04 Apacer Technology Portable transcription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priority
JP3988717B2 (ja) * 2003-12-02 2007-10-1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
JP4419903B2 (ja) * 2005-04-15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4760105B2 (ja) * 2005-04-15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US20070182822A1 (en) * 2005-12-12 2007-08-09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mposer
US7733659B2 (en)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US9237685B2 (en) 2006-08-18 2016-01-12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US7489257B2 (en) * 2006-09-11 2009-02-10 Doron Izakov Traffic law violation recording and transmitting system
EP2401178B1 (en) 2009-02-27 2016-11-16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US10158847B2 (en) * 2014-06-19 2018-12-18 Vefxi Corporation Real—time stereo 3D and autostereoscopic 3D video and image edit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6391A (ja) * 1984-12-07 1986-06-24 Nec Corp タイムベ−スコレクタ−装置
JPS61136391U (ko) * 1985-02-15 1986-08-25
JPS6387652A (ja) * 1986-09-30 1988-04-18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デイスク再生装置
JPS6387652U (ko) * 1986-11-27 1988-06-08
EP0423681B1 (en) * 1989-10-16 1997-04-23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cross-fader
KR910013870A (ko) 1989-12-31 1991-08-08 강진구 캠코더의 편집시스템
EP0522330B1 (en) * 1991-06-18 1998-04-15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integrated video recorder apparatus
US5355450A (en) 1992-04-10 1994-10-11 Avid Technology, Inc. Media composer with adjustable source material compression
JPH06295567A (ja) * 1993-04-09 199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ータブル編集装置
JPH06342580A (ja) 1993-05-31 1994-12-13 Sony Corp 編集装置
WO1996005695A1 (fr) 1994-08-12 1996-02-22 Sony Corporation Dispositif portable de montage audiovisuel
CN1168299C (zh) 1995-02-23 2004-09-22 阿卫德技术公司 包括多数据流配置控制转换的便携式视频录制设备
WO1997010673A1 (fr) 1995-09-11 199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collecte de donnees video/audio utilisant une camera video, et son systeme d'edition
WO1998018255A2 (en) 1996-10-18 1998-04-30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of an information signal so as to enable edi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39B1 (ko) * 2009-05-15 2010-01-22 보은전자방송통신(주) 영상 편집용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08965B1 (en) 2003-08-19
GB2325559B (en) 2001-06-20
GB2325559A (en) 1998-11-25
WO1998027554A1 (fr) 1998-06-25
KR100505520B1 (ko) 2005-12-01
JP4320789B2 (ja) 2009-08-26
GB9817567D0 (en)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520B1 (ko) 비디오편집장치,편집장치및휴대형편집장치
JP2644157B2 (ja) カムコーダデッキの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4442462A (en) Video recorder/camera having a shared drive
EP0354783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 use with tape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US5859744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single motor for operating tape loading mechanism, pinch roller driving mechanism, reel driving mechanism, brake mechanism and mode identifying mechanism
KR910009298B1 (ko) 복수의 카세트 테이프를 구비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JPS6245619B2 (ko)
KR100190529B1 (ko) Vtr을 내장한 컴퓨터시스템
US4580183A (en)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704910B2 (ja) 携帯型編集装置
KR940006382B1 (ko)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5016834A (en) Adaptor for a small-sized tape cassette
JPH11111118A (ja) 2軸式コントローラと編集装置
JPH11110858A (ja) 携帯型編集装置
JP2008135161A (ja) ビデオ編集装置
JPH11112917A (ja) 携帯型ビデオ編集装置
JPH11112916A (ja) 携帯型編集装置
GB2355845A (en) Portable video editing apparatus
US5283703A (en) Video cassette recorder usable video tape having opposed magnetic recording surfaces and a drum movable means
JPS60205848A (ja) 記録再生装置
JPH10178607A (ja) 着脱自在なlcdユニット付き小型編集装置
JPH0713169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146061A (ja) 記録又は再生装置
JPS58125263A (ja) アダプタと結合できる情報の記録又は再生装置
JPS58128048A (ja) 情報の記録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