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095A -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095A
KR19990082095A KR1019980705817A KR19980705817A KR19990082095A KR 19990082095 A KR19990082095 A KR 19990082095A KR 1019980705817 A KR1019980705817 A KR 1019980705817A KR 19980705817 A KR19980705817 A KR 19980705817A KR 19990082095 A KR19990082095 A KR 1999008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ternal combustion
main body
fuel supply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베르트 게르하르트
빌리 스트롤
요헨 로제
에리히 아일러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8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5Valve seating in direction of flow
    • Y10T137/7836Flexible diaphragm or bellows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ntrol Of The Air-Fuel Ratio Of Carburetor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연결로(40)와 연결된 압력실(44) 및 그 외부 테 영역에서 케이싱(54) 내에 설치된, 압력실(44)을 분리하는 막(49)을 구비한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비조립된 부품군(23)은 케이싱(54) 내에 삽입된 막(49)과 함께 본체(30)에 고정될 수 있고 막(49)은 본체(30)에 있는 정지부(47)에 접할 수 있다.
이 장치는 특히 압력의 조정을 위해 연료공급시스템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이러한 장치는 DE 44 02 224 A1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저장용기에 배치된 이송 펌프를 갖고 있고 이 펌프는 저장용기의 개구를 통하여 도입될 수 있다. 저장용기에 있는 개구는 압력조정기가 부착된 폐쇄부재에 의해 폐쇄가능하다. 압력조정기는 압력실을 갖고 있는데, 이 압력실은 이송 펌프의 고압측, 내연기관 및 방출관에의 연결로를 갖고 있다. 그리고 폐쇄부재는 개구를 폐쇄하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플랜지 모양의 본체를 갖고 있다. 본체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내로는 압력실의 방출실로의 연결로를 형성하고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이 들어가 있다. 본체의 오목부는 압력실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변형가능한 막으로 덮여있고 이 막은 시트로서 연결관의 정면측면과 공동작용한다. 이 막은 스프링에 의해 연결관 쪽으로 가압되어 있고 압력실내에 있어 일정 압력이 초과되면 막은 압력실을 방압실과 연결시키기 위해 연결관을 해방시킨다. 막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는 막이 오목부내에 삽입되고 스프링이 위로 놓여지고 그런 다음 막은 덮개와 함께 본체에 밀착고정된다. 공지의 장치에서는 막이 견고하게 삽입되기 전에 스프링의 힘이 막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막이 약간 옆으로 밀리고 그럼으로써 기능장애(예컨대 압력조정오류, 밀폐불완전 등)가 생길 수 있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없다. 그 장치가 모터공간 내에 설치되면 밀폐불완전성은 대단히 위험해 질 수 있다.
DE 44 02 224 A1에 의한 다른 장치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요소는 플랜지를 지니고, 그 플랜지에는 외측으로 휘어진 자유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 플랜지는 본체의 밴드에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막의 외부 테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플랜지의 자유단부는 밴드에 배치된 후크와 뒤에서 맞물리고 그럼으로써 케이싱의 플랜지는 본체에 지지되고 막은 고정된다. 이 구조는, 막이 압력실에의 연결관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오목부의 후크가 막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견인력을 수용해야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경우 발생되는 큰 지지력은 후크에 의해 충분히 수용될 수 없고 따라서 조정압력의 강하가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은, 케이싱을 지지하는 본체가 비교적 유연하고 약간 변형가능한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특히 그러하다. 그 위에 장기간 사용한 후 예컨대 합성수지의 팽창으로 인해 재질피로가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지요소의 플랜지는 충분한 장력 하에 본체의 오목부에 배치되지 못하고 막이 오목부에 고정되어 버릴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해 졌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개념에 의한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내연기관에 연료를 저장용기로부터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도 1의 저장용기의 폐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예비조립된 부품군을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변형예의 횡단면도.
도 4는 예비조립된 부품군을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추가 변형예의 횡단면도.
도 5는 연료분배관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압력실내 압력펄스의 감쇠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청구항 1에 의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는 상기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단히 제조가능하고 기능이 확실한 예비조립부품군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종속항들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주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의 유리한 추가양태 및 개량형이 실현가능하다.
추가로 이 장치는, 예컨대 압력조정기를 구성하기 위한 고가의 부재들이 본체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예비조립부품군의 간단한 형상이 얻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연결관은, 연료환류로가 그 안을 통과하는 정지부와 함께, 사출공구에 의해 본체와 더불어 합성수지부재로서 성형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체의 제조시에는 정지부(스토퍼) 제조를 위한 추가비용은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추가로 예비조립부품군의 구조에 의해, 부품군의 조립중 스프링이 꺾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리하여 막이 케이싱에 대해 또한 본체에 있는 정지부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되는 것이 보장된다. 그럼으로써 장착시 막이 움직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기능작동의 장애(예컨대 압력조정 장애, 밀폐불량 등)가 배제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태에 의해 예비조립부품군은 인장력하에 고정을 통해 본체에 배치된다.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링, 파열 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예비조립부품군의 설치 후 본체내에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한 장착이 행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예비조립부품군이 본체에 수납되게 하는 구조상 간단한 형상이 그 위에 가능해진다.
고정부의 추가의 다른 실시형태는, 스냅요소들을 가진, 본체내에 사출성형된 고정링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 요소들은 장착시 구부러질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싱의 고정부분을 뒤쪽으로부터 결합한다.
고정부의 추가의 유리한 양태는 예비조립부품군의 케이싱의 고정부분을 둘러싸는 절곡부에 의해 얻어진다.
예비조립부품군은 유리하게도 탱크플랜지의 본체 및 연료분배관의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예시적 배치와는 상관 없이 이 예비조립부품군은 상기한 고정원리에 따라 탱크와 내연기관 또는 주입밸브 사이의 추가의 적당한 장소들에도 배치가능하다.
추가의 종속 청구항에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 및 추가변형이 주어져 있다.
본 발명의 수개의 정선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 축척은 상이하다.
도 1에 간략히 도시된 장치는 저장용기(12)로부터 연료를 내연기관(10)에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 장치는 이송 펌프(14)를 갖고 있고, 이 이송 펌프는 저장용기(12)에 배치되어 거기에서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송 펌프(14)는 임의의 방법으로 완성될 수 있고 펌프는 그의 흡입측에서 저장용기(12) 내의 저류부(16)로부터 연료를 흡입한다. 저장용기(12)는 벽(18)에 개구(20)를 갖고 있고 그 개구를 통해서 이송 펌프(14)가 삽입될 수 있다. 개구(20)는 이송 펌프(14)의 삽입 후 폐쇄부재(22)로 폐쇄될 수 있고, 이송 펌프(14)의 고압측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 폐쇄부재(22)를 통과한다. 이송 펌프(14)의 압력측과 폐쇄부재와의 연결로에는 연료필터(24)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예비조립된 부품군의 수납을 위한 폐쇄부재(22)의 형상이 도시되어있는데, 그 부품군은 도 2를 위해 바람직하게 정선된 실시예에서는 압력조정기(24)의 일부를 구성한다. 예비조립된 부품군은 이하에서는 예비조립부품군(23)으로 지칭될 것이다. 여기서 폐쇄부재(22)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된 플랜지 모양의 본체(30)를 갖고 이 본체는 저장용기(12)의 개구(20)를 덮는다. 폐쇄부재(22)의 외부 테와 저장용기(12)의 벽(18) 사이에는 밀폐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폐쇄부재(22)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저장용기(12)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폐쇄부재에서 결정위치가 표시될 것이며, 여기서, "안쪽으로"의 배치는 저장용기(12)의 내부쪽으로 의미하고, "외측에" 배치는 저장용기(12) 외부 쪽을 의미한다.
본체(30)에는 안쪽을 향한 연결관(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관에는 이송 펌프(14)의 고압측과 연결되기 위한 관(표시 안됨)이 연결될 수 있다. 그 위에 본체(30)로부터는 추가의 연결관(37)이 돌출하고, 그 연결관에는 내연기관(10)과의 연결을 위한 관(표시 안됨)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33 및 37)은 본체(30) 내에 형성된 유로(35 및 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관(33)의 유로(35)는 평면(21)에 대략 수직으로 뻗는다. 연결관(37)의 유로(36)는 평면(21)에 평행으로 외측으로 뻗는다. 연결관(33 및 37)은 다른, 거의 임의의 각도로 평면(21)에 대해 또는 상호간에 대해 배치될 수도 있다.
유로(35)와 (36) 사이의 이행부는 유로(38)와 연결되어 있고 이 유로는 본체(30)의 오목부(43) 내로 연결되어 있다. 오목부(43)의 중앙에서는 본체(30)에 연결관(45)이 배치되어 있고, 그 연결관은 유로(46)에 연결되어 있고 그 유로는 내측으로 향하는 연결관(50)에 연접되어 있고, 그 연결관에는 관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45)은 그의 내측으로 향한 정면표면에 정지부(47)를 갖고 있고, 그 정지부는 폐쇄상태에서는 막장치(48)에 의해 폐쇄된다. 이 막장치(48)는 막(49)을 갖고 있고, 그의 외측으로 향한 측면에는 폐쇄위치에서 정지부(47)에 접하는 접시형 부재(51)가 배치되어 있다. 막(49)의 다른 측면에는 내측으로 접시형 부재(52)가 배향되어 있고 그 접시형 부재에는 스프링(53)이 지지되어 있다. 오목부(43)에는 막(49)에 의해 폐쇄된 압력실(4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45)에는 환류유로(55)가 배치되어 있다. 환류유로(55)는 연결관(45)의 정면측에 배치된 정지부(47)로부터 유로(46)까지 뻗는다. 그리하여 연료는 정지부(47)로부터 환류유로(55), 유로(46) 및 연결관(50)을 통해 저장용기(12) 내로 흐를 수 있다.
밸브(60)는 막장치(48)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몸체(60)는 접시형 부재(51) 내에 있는 오목부내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53)은 막장치(48)를 정지부(47)쪽으로 민다. 압력실(44)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이면 밸브몸체(60)는 정지부(47)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압력실(44)로부터 환류유로(55)내로의 연료통로는 차단된다.
압력실(44)에 있어 연료의 압력이 일정치보다 크면, 막장치(48)는 스프링(53)에 의해 생기는 반발력에 맞서 이동되고 밸브몸체(60)는 정지부(47)로부터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연료는 압력실(44)로부터 환류유로(55)내에 도달한다.
스프링(53)은 반발력을 막장치(48) 위에 가한다. 반발력은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가스실을 제공하여 이것이 공압적으로 막(49)에 작용하여 막장치(48)를 정지부(47)에 밀게 할 수도 있다.
유로(35 및 38)는 연료연결로(40)를 이룬다. 연료연결로(40)는 본체(30)를 통해 뻗고 있다. 연료연결로(40)에 의해 이송 펌프(14)에 의해 공급된 연료 또는 운반된 연료의 일부는 압력실(44)내로 전달된다.
압력조정기(24)의 예비조립부품군(23)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2부분 케이싱(54)을 갖고 있다. 케이싱(54)의 상부는 이하에서는 제 2케이싱부재(57)로 지칭될 것이고 하부는 이하 제 1케이싱부재(56)로 지칭된다. 케이싱(54)은 상기한 정선된 실시예와는 달리 예컨대 셋 또는 셋 이상의 케이싱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케이싱부재(56)와 제 2 케이싱부재(57)는 바람직하게는 강판으로 구성된다. 제 1 케이싱부재(56)와 제 2 케이싱부재(57)는 그 자유단부에 상호 대향하고 상호 평행 배치된 두 개의 섹션(58, 59)을 갖고 있고, 그 섹션들 사이에서 막(49)은 그 테 영역에 밀착고정되어 있다. 케이싱부재(57)의 섹션(59)에는 추가 부분(61)이 연결되어있고 그 추가 섹션은 제 1 케이싱부재(56)의 섹션(58)과 맞물려 있다. 제 1 케이싱부재(56)와 제 2 케이싱부재(57)의 테 영역도 서로 압접되거나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고착되어 막(49)이 그의 외부 테 영역에서 고정되게 한다. 이 절곡에 의해 제 1 케이싱부재(56)는 제 2케이싱부재(57)에 고착되며 그리하여 막장치(48) 또는 막(49)은 확실하게 수용된다. 제 2 케이싱부재(57)는 개구(62)를 갖고, 그 개구는 막장치(48)의 압력실(44) 쪽 측면과 오목부(43) 내에 있는 압력실(44) 사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싱부재(56,57)의 외주부를 섹션(58,59,61)의 영역에서 주위절곡함으로써 2부재 케이싱(54)의 제 1 케이싱부재(56)와 제 2 케이싱부재(57) 사이에는 강고한 결합부(70)가 형성된다. 강고한 결합부(70)에 의해 막장치(48)의 막(49)의 외주영역은 두 케이싱부재(56)와 (57) 사이에서 밀폐 고정된다.
예비조립부품군(23)은 본체(30)의 공간부(6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30)로부터 저장용기(12) 방향으로 보아, 본체(30)에 있는 오목부(43)는 반경방향 연장부(63a)에서 공간부(63)내로 이행된다. 예비조립부품군(23)의 섹션(59)의 본체(30) 쪽 표면은 본체(30)의 반경방향 연장부(63a)와 접촉한다. 오목부(43)와 반경방향 연장부(63a) 사이의 이행부에서 제 2 케이싱부재(57)와 본체(30) 사이에는 밀폐요소(64)가 배치되어 있고 이 요소는 본체(30)와 예비조립부품군(23) 사이의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밀폐요소(64)는, 연료가 케이싱(54)과 본체(30) 사이에서 압력실(44)로부터 유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예비조립부품군(23)을 밀폐하여 배치하기 위해 제 2 케이싱부재(57)의 섹션(59)이 캠 모양의 순환 융기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도록 하여 연장부(63a)와 맞물리게 할 수도 있다. 이들 캠 모양의 융기부는 반경방향 연장부(63a)에 있는 오목홈내에 맞물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장부(63a)는 평면적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또는 오목홈은 순환 융기부보다 작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당히 큰 면압, 그리고 그에 따른 양호한 밀폐작용과 부품군(23)의 공간부에 대한 양호한 고정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30) 내에 오목홈을 설치하지 않아도 융기부에 의해 높은 면압과 그에 따른 양호한 밀폐작용을 가진 금속 밀폐가 얻어진다. 그리하여 밀폐요소(64)는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의 밀폐재로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비조립부품군(23)은, 이 부품군이 그의 섹션(59)에 의해 반경방향 연장부(63a) 위에 접하게 될 때까지, 공간부(63) 내에 삽입된다. 공간부(63)는 환형이고 순환하고 저정용기(12) 내로 돌출하는 팽대부에 의해 둘러싸여있다. 이 팽대부는 비교적 좁고 따라서 간단한 스탬프에 의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다. 팽대부는 본체(30)의 변형가능 영역을 형성한다.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고정하기 전에 팽대부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팽대부는 섹션(58,59,61)을 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그럼으로써 케이싱(54)의 섹션(58,59,61)의 영역 및 본체(30)의 변형가능한 순환부위(66)에는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지지하는 고정부(80)가 생긴다. 예비조립부품군(23)의 섹션(58,59,61)은 예비조립부품군(23)의 케이싱(54)에 제공되는 고정부분(80a)을 구성하고 그 부분에는 본체(30)의 변형가능 부위(66)가 맞물릴 수 있다. 그럼으로써 고정부(80)는 본체(30)와 예비조립부품군(23) 사이의 위치에서 고정부분(80a)에 맞물린다.
케이싱(54)의 섹션(58,59,61)으로 구성된 고정연결로(70)는 안정되고 부하 가능한 케이싱(54)의 영역을 나타내기 때문에, 케이싱(54)의 이 영역은 예비조립부품군(23)과 본체(30) 사이에 있어 연결로(80)에 대한 고정부분(80a)으로서도 이용된다. 이것은 케이싱의 어느 영역도 고정부(80)를 케이싱(54)에 맞물리도록 고정하는데 추가적으로(여분으로) 보강될 필요는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 2 케이싱부재(57)는 목적에 맞게 원통형으로 뻗은 연장부(67)를 갖고 있고 그럼으로써 예비조립부품군(23)은 공간부(63)에 대해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접시형 부재(51) 내에 지지된 밸브체(60)는 연결관(45)의 정지부(47)에 대해 위치정확하게 배치되고 압력실(44)로부터 환류유로(55) 내로의 연료용 유로를 질서있게 폐쇄하는 것이 보장된다. 부품군(23)이 공간부(63) 내에 삽입된 뒤, 팽대부를 구부러지게 한다. 그리하여 예비조립부품군(23)은 본체(30)의 공간부(63) 내에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예비조립부품군(23)은 정밀하게 수납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다시 막장치(48)는 연결관(45)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정해지는 것이 보장된다.
케이싱(54)의 제 1케이싱부재(56) 내에는 방출개구(65)가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막(49)의 압력실(44) 반대쪽에 있는 공간은 주위공기와 유통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53)의 반발력은 방해받는 일 없이 정지부(47)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압력조정기(24)가 직접 내연기관(10)의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방출개구(65)를, 명료성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관을 통해, 예컨대 내연기관(10)에 이르는 흡인관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막장치(48)에 작용하는 반발력은 흡인관에서의 압력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본체(30)에 대한 예비조립부품군(23)의 고정부(80)는 가장자리 구부리기 대신에 변형가능 영역의 팽대부를 둘러 받치기 또는 받쳐 올리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 위에 예비조립부품군(23)의 이런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의해, 연결관(45)은 폐쇄부재(22)의 본체(30) 내에 일체화 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압력조정기(24)의 구조는 간단해 질 수 있고, 본체(30) 자체도 비용상 유리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변형가능 부위(66)의 역할을 하는 팽대부는 중단됨이 없이 공간부(63)의 외부테를 둘러싼다. 그러나 팽대부를 그 둘레의 한 장소 또는 여러 장소에서 중단되게 하고, 그리하여 본체(30)에 있는 공간부(63)의 테에서 저장용기(12) 내로 돌출하고 케이싱(54)의 고정부분(80a)을 넘어 뻗는 다수의 플랩을 형성되게 하며, 이들 플랩이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장착한 후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고정부(80)의 완성에 대한 추가의 가능성이다.
도 3에는 폐쇄부재(22)의 본체(30)에 대한 예비조립부품군(23)의 고정부(80)의 실현방법이 도 2에 비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모든 도면에서 같거나 또는 같은 작용을 하는 부분은 같은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반대의미의 별도 기재가 없는 한, 한 도면에 따른 설명 및 도시는 모든 실시예에서 성립한다. 설명으로부터 가능성이 부정되지 않는 한, 여러 실시예들의 유니트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체(30)는 홈(71)을 갖고, 그 홈 내에는 예비조립부품군(23)을 공간부(63) 내에 위치시킨 후 링(72)이 배치된다. 이 링(72)은 파열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링은 예비조립부품군(23)을 공간부(63) 내에 확실하게 고정지지될 수 있게 한다. 링(72)은 그 둘레의 한 장소에서 반경방향으로 뻗는 슬릿을 갖는다. 링(72)은 탄성적이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을 발휘하고 그리하여 탄성 인장력을 보이면서 홈(71) 내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는 예비조립부품군(23)의 간단한 교체가 가능하고 공차보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링(72)은 홈(71) 내에 조립되기 전에는 횡단면에서 보아 접시형 부재 스프링과 유사한 대략 원추대 모양의 형태를 지닌다. 링(72)은, 먼저 링(72)의 내경부는 예비조립부품군(23)의 케이싱(54)의 고정부분(80a)의 섹션(61)에 접하고 링(72)의 외경부는 홈(71)의 섹션(61) 반대쪽 측면(71a)과 접촉하도록, 홈(71) 내에 삽입된다. 본체(30)의 측면(71a)과 반경방향 연장부(63a) 사이의 간격은, 링(72)이 홈(71) 내에 삽입되었을 때 지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링(72)의 두께와 섹션(58,59,61)을 포함하는 고정부분(80a)의 두께에 조화하여 일치되게 한다. 링(72)의 홈(71) 내 삽입에 의해 링(72)에는 예컨대 타격공구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면압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링(72)을 홈(71) 내에 삽입한 후에는 링(72)에는 인장력이 생겨, 고정부(80)는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탄성 인장력으로 고정지지한다.
이 실시예는 변형될 수도 있는데, 그것에 의하면 링(72)은 원주 방향으로 보아 약간 파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파형은, 링(72)의 파형상부가 홈(71) 내에 삽입된 후 지지방향으로 약간 면압을 받고 그래서 링(72)이 그의 탄성변형에 의해 고정부분(80a)을 인장력에 의해 본체(30)의 반경방향 연장부(63a)쪽으로 누르도록, 설치물에 조화된다. 또한 그 결과, 고정부(80)에 의해 예비조립부품군(23)은 본체(30)에 대해 실현 용이하고 내구성 있고 확실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예비조립부품군(23)을 공간부(63) 내에 위치시킨 뒤 접시형 스프링 모양의 링을 배치하고 이어서 본체(30)의 변형부위(66)를 받쳐올림이나 둘러받침 또는 굽힘에 의해 예비조립부품군(23)을 인장력하에 공간부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케이싱(57)의 중심부에 있는 개구(62)의 직경은 막장치(48)의 개구(62) 쪽 접시형 부재(51)의 직경보다 작다. 그리하여 제 2 케이싱(57)에는 충돌부(73)가 생기고 거기에는 막장치(48)의 접시형 부재(51)가 접할 수 있다.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설치하기 전에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로부터 분리한 뒤, 접시형 부재(51)를 충돌부(73)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설치되기 전에 충돌부(73)는 접시형 부재(51)를 억류제지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53)에 의해 막(49)은 과도하게 신장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얻어진다. 그리하여 예비조립부품군(23)은 용이하게 취급가능, 용이하게 위치가능해 지고, 예비조립부품군(23)은 본체(30)에 설치되기 전에도 손상으로부터 양호하게 보호된다.
예비조립부품군(23)이 본체(30)에 설치될 때에는, 충돌부(73)와 막장치(48) 사이에는 충분한 간격이 존재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막장치(48)는 충돌부(73)가 아닌 정지부(47)에 접촉할 수가 있다.
탄성링(72)을 배치하는 대신에 나삿니를 가진 링을 사용하여 케이싱(54)을 공간부(63) 내에 고정하게 할 수도 있다. 제 1 케이싱부재(56)와 제 2 케이싱부재(57)의 섹션(58 및 59) 사이에 막(49)이 수납되어있기 때문에 막장치(48)는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나사 링이 제 2 케이싱부재(57)의 섹션(61)에 맞물리고 고정과정 중 막 군(48)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에는 도 2 및 도 3의 추가 변형예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80)의 역할이 본체(30) 내로 사출성형된 고정링(75)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고정링(75)은 그의 내측으로 향한 단부, 즉 그의 본체로부터 먼 단부에 주위를 따라 분포된 플랩(76)들을 갖고, 그 플랩들은 예비조립부품군(23)이 위치된 후에는, 이것들이 제 2 케이싱부재(57)의 섹션(61)을 뒤로부터 맞물리고 예비조립부품군(23)을 공간부(63) 내에 고정시키도록, 공간부(63) 내로 절곡되게 한다.
고정링(75)은 예컨대 탄성강으로 구성되고, 고정링(75)의 지지방향 길이는, 고정링(75)이 플랩(76)을 절곡할 때 탄성변형되고 고정링(75)의 이 탄성변형될 때 케이싱(54)을 반경방향 연장부(63)에 대해 고정하는 탄성인장력이 생기도록, 예비조립부품군(23)의 고정부분(90a)에 조화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고정링(75)은 본체(30)로부터 먼 그의 단부에 스냅요소를 갖고, 그 요소는 예비조립부품군(23)의 설치과정 시 바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그의 후크요소와 함께 제 2 케이싱부재(57)의 부분(61)에 뒤쪽으로부터 맞물리어 역시 공간부(63) 내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그 위에 예비조립부품군(23)의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80)의 다른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폐쇄부재(22)에 배치되는 압력조정기(24)를 보여준다. 압력조정기(24)는 저장용기(12) 내에 설치되고 소위 무환류(환류 없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무환류 시스템은 특징적인 면이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시스템에서는 내연기관(10)에 의해 요구되지 않은 과잉의 연료가 폐쇄부재(22) 내에 있는 압력조정기(24)를 통해 직접 저장용기(12) 내로 역류되고 그 때문에 과잉의 연료를 내연기관(10)으로부터 저장용기(12) 내로 환류시키는 어떤 환류관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분배관(82)내의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3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폐쇄부재(22)의 구성요소가 아니고 본체(30)는 연료분배관(82)의 요소이다. 본체(30)는 실질적으로 도 2에 표시된 형태에 상당하지만, 본체(30)를 저장용기(12)에 배치시키는 고정수단이 배치되어있지는 않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법들은 다 같이 예비조립부품군(23)을 본체(30)에 고정시키는데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료분배관(82)은 정상적으로는 내연기관(10)부근 모터실내에 배치된다. 연료는 이송 펌프(14)(도 1)로부터 관을 통해 연결관(33) 내의 유로(35)에 도달한다(도 5). 놀랍게도, 내연기관(10)에 의해 요구되지 않은 연료는 밸브시트 역할을 하는 정지부(47)와 밸브몸체(60) 사이의 압력실(44)로부터 환류유로(55)에 또한 거기에서 연결관(50)을 지나 또한 도시되지 않은 환류관을 통해 다시 저장용기(12) 내로 흐른다. 본체(30)에 형성된 연결관(37)내 유로(36)는 명료성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주입밸브에 이른다. 연료는 주입밸브를 통해 내연기관(10) 내에 도달한다. 필요한 주입밸브의 수에 따라 연료분배관(82)의 본체(30)에는 연결관(37)의 유로(36) 외에 추가의 병렬연결 유로 및 연결관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주입밸브의 각각은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연료분배관(82)에 이어질 수 있다.
그 위에, 그렇지만 압력조정기(24)는 연료공급시스템의 각각의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역시 막(49)을 가진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제 1 케이싱부재(56)와 제 2 케이싱부재(57) 사이의 그의 테 영역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에서도 두 케이싱부재(56,57)가 그 외주에서 절곡됨으로써 연결로(70)가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두 케이싱부재(56,57)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막(49)은 케이싱(54) 내에 견고하게, 밀폐적으로, 신뢰성있고, 내구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압력실(44)은 연료연결로(40)와 연결되어 있다. 연료연결로(40)를 통해 연료는 압력실(44)에 공급되거나 또는 압력실(44)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장치는 예컨대 압력실(44) 또는 연료연결로(40)에 있어 연료의 압력펄스를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장치는 따라서 통상적으로 압력감소기로 호칭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장치는, 막(49)이 비교적 큰 작동행정을 갖고있어 압력상승시 장치는 압력하강시에는 압력실(44)이 다시 내어놓을 수 있는 해당량의 연료를 수납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도 있고, 그렇기 때문에 그런 치수의 경우에는 이 장치는 연료저장기로도 호칭된다.
장치가 압력감쇠기와 연료저장기로 작용되어야 하면, 도 3에 도시된 환류유로는 생략된다.
스프링(53)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인해 막장치(48)는 정지부(47) 쪽으로 밀린다. 압력실(44)에 압력이 없거나 압력실(44)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이면, 막장치(48)의 중앙의 가동 부분이 정지부(47)에 접촉한다. 압력실(44)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할 때에는 막장치(48)는 정지부(47)로부터 격리된다. 장치가 압력감쇠기의 기능을 하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정지부(47)는 막장치(48)가 접할 수 있는 종단충돌부 또는 휴지충돌부의 기능을 한다. 도 6의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도 3에 있는 밸브몸체(60)가 생략되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도 6에서는 막(49)과 견고하게 연결된 접시형 부재(51)가 종단충돌부 역할을 하는 정지부(47)와 접촉한다.
예비조립부품군(23)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80)는 역시 금속으로 구성된 본체(30)에도 실현가능하다. 이 때에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사출성형된 탄성 고정링(75) 대신에 압축된 또는 인장된 탄성 링이 본체(30)에 배치된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우선적으로 정선된, 예시적으로 도시된 모든 실시형태들은, 예비조립부품군(23)에 의해 막(49) 내지는 막장치(48)가 확실하게 수용 및 위치고정되고, 따라서 장치의 나머지 형상과는 상관없이, 특히 장치가 압력조정기로서, 압력감쇠기로서 또는 저장기로서 작동하는가에 관계없이, 예비조립부품군(23)은 위치정확하게 본체(30)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압력실(44)을 분리하는 막(49)은 확실하게 위치되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도면에 따라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막장치(48)는 실질적으로 예비조립부품군(23) 내에 있다. 장치에 대한 용도에 따라 밸브 시트 또는 종단충돌부 역할을 하는 정지부(47)는 본체(30)에 설치되어 있다. 정지부(47)는 간단히 본체(30)의 사출 내지는 주조 내지는 사출주조에 의해 본체(30)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정지부(47)를 본체(30)에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 또는 사소한 추가비용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예비조립부품군(23)이 정지부(47) 없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예비조립부품군(23)의 제조는 대단히 간단하다. 고정부(80)를 본체(30)에 배치함에 의해 예비조립부품군(23)이 간단히 고정될 수 있어, 여러 실시형태에 따라 예컨대 압력조정기로서 또는 예컨대 압력감쇠기나 저장기로서 작동할 수 있는 기능성 있는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두 케이싱부재(56,57)를 결합하고 막(49)의 외주를 인장고정하는 연결로(70)에 의해, 지금까지 이미 여러 개수로 설명되었고 최상의 것으로 증명되었고 간단히 제조가능한 것으로 입증된 절곡연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비조립부품군(23)에는 낭비적인 정지부가 배치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예비조립부품군(23)은 대단히 간단하고 확실하게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4)

  1. 본체(30)와, 본체(30)에 있는 압력실(44)과, 본체(30)를 통해 압력실(44)에 까지 이르는 연료연결로(40)와, 고정부(80)에 의해 본체(30)에 지지된 케이싱(54)과, 본체(30)에 있는 정지부(47)와, 압력실(44)을 분리시키고 반발력(53)에 의해 정지부(47)쪽으로 밀려있는 막장치(48)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54)은 하나 이상의 정지부(47) 반대쪽의 제 1 케이싱부재(56) 및 정지부(47) 쪽의 제 2 케이싱부재(57)를 포함하고 있으며, 두 케이싱부재(56,57)는 결합부(7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막장치(48)는 주위에 결합부(7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제 2 케이싱부재(57)는 막장치(48)가 정지부(47)에 접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공간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70)는 절곡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케이싱부재(56,57) 및 막장치(48)는 예비조립부품군(23)의 구성요소이고, 그 부품군은 고정부(80)에 의해 본체(30)와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80)는 케이싱(54)을 인장력을 지닌 채 본체(30)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80)는 케이싱(54)의 고정부분(80a)에 맞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80)는 본체(30)의 홈(71) 내에 삽입가능한 링(7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링(72)이 지지방향으로 탄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80)는 케이싱(54)이 본체(30)에 장착된 후 변형될 본체(30)의 부위(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80)는 본체(30) 내에 사출성형되어 있고 케이싱(54)을 뒤로부터 결합하는 고정링(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부(47)는 밸브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연료를 정지부(47)로부터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환류유로(5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부(47)는 종단충돌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케이싱부재(56,57)는 그 외주부의 영역에서 결합부(7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장치(48)는 결합부(70)에 의해 두 케이싱부재(56,57)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KR1019980705817A 1996-12-06 1997-11-17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KR19990082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50783.9 1996-12-06
DE19650783A DE19650783A1 (de) 1996-12-06 1996-12-06 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095A true KR19990082095A (ko) 1999-11-15

Family

ID=781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817A KR19990082095A (ko) 1996-12-06 1997-11-17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61574A (ko)
EP (1) EP0906505B1 (ko)
JP (1) JP4082738B2 (ko)
KR (1) KR19990082095A (ko)
CN (1) CN1075161C (ko)
AT (1) ATE236353T1 (ko)
BR (1) BR9707490A (ko)
DE (2) DE19650783A1 (ko)
ES (1) ES2196379T3 (ko)
WO (1) WO1998025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6590B2 (en) * 2002-09-20 2005-05-03 Siemens Vdo Automative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fuel pressure regulator
US6942787B2 (en) * 2002-12-20 2005-09-1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Filter module with pressure regulator
US6834673B2 (en) * 2002-12-20 2004-12-2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Pump module with pressure regulator
JP4128503B2 (ja) * 2003-08-29 2008-07-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BRPI0601281A (pt) * 2005-04-19 2006-12-19 Ti Group Automotive Sys Llc sistema de combustìvel lìquido para um motor de combustão injetado de combustìvel
US20080111088A1 (en) * 2006-11-10 2008-05-15 Roper Pump Company Self-contained relief valve adjustment device
JP2022176520A (ja) * 2021-05-17 2022-11-3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11846259B2 (en) * 2021-11-22 2023-12-19 Coavis Pressure regulator and fuel pump modul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8279A (en) * 1984-06-21 1987-10-20 Martin J. Field Fuel pressure regulator
DE3505625C2 (de) * 1985-02-19 1994-06-01 Bosch Gmbh Robert Kraftstoff-Druckregelvorrichtung
US4991556A (en) * 1988-09-28 1991-02-12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Automotive fuel rail assemblies with integral means for mounting fuel regulator
US5076320A (en) * 1990-10-19 1991-12-31 Siemens Automotive L.P. Fuel rail mounted fuel pressure regulator
DE4402224A1 (de) 1994-01-26 1995-07-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DE4409133A1 (de) * 1994-03-17 1995-09-21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entil
DE19581548B9 (de) * 1995-02-03 2008-11-06 Denso Corp., Kariya-shi Kraftstoffzuführsystem
DE19522042A1 (de) * 1995-06-17 1996-12-19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orrichtung
DE19705405A1 (de) * 1997-02-13 1998-08-2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6505B1 (de) 2003-04-02
ES2196379T3 (es) 2003-12-16
DE19650783A1 (de) 1998-06-10
JP4082738B2 (ja) 2008-04-30
US6161574A (en) 2000-12-19
JP2000504393A (ja) 2000-04-11
BR9707490A (pt) 1999-07-27
DE59709704D1 (de) 2003-05-08
EP0906505A1 (de) 1999-04-07
WO1998025024A1 (de) 1998-06-11
CN1210573A (zh) 1999-03-10
CN1075161C (zh) 2001-11-21
ATE236353T1 (de) 200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1566B1 (en) Vibration isolating fuel pump assembly
US11792944B2 (en) Valve for pressure compensation and/or for emergency venting of a container, in particular of a container of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s well as container with such a valve
US4729360A (en) Damper element
EP1084345B1 (en) Fuel rail damper
EP1602820A2 (en) Fluid coupling
US8434413B2 (en) Gas generator
KR20060052254A (ko) 일방향 밸브 조립체와, 금속 및 플라스틱 연료 탱크 상의필러 튜브의 설치 방법
US4679537A (en) Damping device
US6230685B1 (en) Pressure pulsation damper containing a free floating spacer
US7013878B1 (en) Fuel vapor separator
JP2004510090A (ja) 燃料タンクのための燃料ポンプ、燃料レベル計、およびロールオーバ型排気弁
US20190226437A1 (en) Valve for metering a fluid, connection piece for a valve, and fuel injection system
KR19990082095A (ko)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US6016831A (en)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system
KR20040076259A (ko) 일방향 밸브 조립체 및 공급 튜브의 설치 방법
CN101210530A (zh) 燃料分配器
KR19990082062A (ko)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CN101970850A (zh) 燃料供给模块
US5329899A (en) Fuel system pressure fuse
JP2007291866A (ja) 電動ポンプ保持装置
KR100852871B1 (ko) 내연 기관 연료 공급 장치의 동축으로 연달아 배열된 2개의 소자의 지지 클립에 의한 연결
US6517327B2 (en) Fuel pump isolation assembly
JP4582663B2 (ja) エアバッグユニットのガスジェネレータ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9682679B2 (en) Airbag inflator retainer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9990067134A (ko) 압력 조절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