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134A - 압력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134A
KR19990067134A KR1019980703080A KR19980703080A KR19990067134A KR 19990067134 A KR19990067134 A KR 19990067134A KR 1019980703080 A KR1019980703080 A KR 1019980703080A KR 19980703080 A KR19980703080 A KR 19980703080A KR 19990067134 A KR19990067134 A KR 1999006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regulating
housing
fuel
regulat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777B1 (ko
Inventor
헬무트 쉬베글러
쿠르트 헤르브스트
롤렌드 홰플
루드비그 배흘레
토마스 그레고리우스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6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599Pressure regulating type valve
    • Y10T137/5994Diaphragm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5Valve seating in direction of flow
    • Y10T137/7836Flexible diaphragm or bellows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공지된 차량용 압력 조절 밸브는 높은 비용과 연결될 수밖에 없는 비교적 많은 개별부품으로 구성되어있다.
제안된 압력 조절 밸브(2)의 경우에는 차단부재(10, 10a, 10b, 10c)는 하우징부재(4, 4a)에 사출성형된다. 이로 인해 압력 조절 밸브(2)의 제조시 조립비용이 절감된다.
압력 조절 밸브는 특히, 내연 기관을 구비한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에 적당하다.

Description

압력 조절 밸브
오늘날 널리 보급되어있고 많은 부품수로 제조되어있는 압력 조절 밸브는, 주로 절곡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체로 사전조립된 다수의 상이한 개별부품을 포함한다. 조립체 중의 하나는 예를 들면 격막과 폐쇄체를 갖는다. 폐쇄체는 예를 들면 구부재, 지지소자, 스프링 디시 및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들 부품은 함께 결합되고 지지된다. 추가적인 조립체는 금속노즐이 사출성형되어있는 하우징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는 중심구멍을 가진 펀칭된 박판으로 구성되어있고 박판은 중심구멍의 영역에 있어 만곡되어있다. 이 중심구멍에는 금속노즐이 사출되어 배치되어있다. 금속노즐을 지지하는 하우징부재는 절곡에 의해 상부 부재를 구성하는 추가적인 하우징부재와 연결되어있다. 두 하우징부재 사이에는, 두 하우징부재를 연결하기 전에, 폐쇄체를 가진 격막(다이아프램)이 삽입된다.
금속노즐을 지지하는 하우징부재에는 지지링, 밀폐소자 및 지지원반이 장착된다. 밀폐소자는 지지링과 지지원반 사이의 O 링이다.
공지된 압력 조절 밸브에서의 결점은 조립으로 서로 결합해야하는 개별부재의 수가 크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설치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 개별부품들이 확실하게 서로 연결되고 설치중 손상되지 않는가도 고려해야만 할 점이다.
압력 조절 밸브는 빈번히 요구되기 때문에, 개별 압력 조절 밸브에서는 작은 절약도 압력 조절 밸브의 제조 비용인 경우는 전체적으로 보아 큰 절약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대개념에 따른 압력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밸브의 단면도.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한 종래기술에 비해 압력 조절 밸브의 설치시 조립결합되어야하는 개별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압력 조절 밸브의 설치중 장착단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이 현저히 간단화되고 장착착오의 우려 및 그로 인한 기능방해가 명백히 감소될 수 있다.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청구의 범위 독립항에 기재된 압력 조절 밸브의 유리한 추가 형태 및 개량물이 가능해진다.
연료복귀유로가 사출성형된 차단부재에 의해 안내되면(그 부재를 통해 뻗으면) 바람직하게 필요한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공지된 압력 조절 밸브와는 달리, 공지된 압력 조절 밸브의 경우에는 연료복귀유로가 그 안으로 통과하는, 제조에 비용이 들고 극히 중요한 금속노즐과 하우징부재 사이의 결합이 생략배제될 수 있다.
밸브시이트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출성형된 차단부재에 배치될수 있다. 사출성형되는 차단부재로서는 밸브시이트를 형성하는데 매우 적합한 재료가 문제점 없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밸브하우징의 하우징부재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부재에는 폐쇄체가 그 위로 가압되는 밸브시이트가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 조립할 개별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하우징부재는 밸브시이트로 사용되기에 좋은 재료물성을 갖는다. 하우징부재에 있어 밸브시이트의 기계적 처리는 바람직하게 문제점 없이 실현된다.
사출성형된 차단부재는 아주 간단히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방식으로 차단부재는 연료유입로와 연료복귀로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밀폐는 추가적으로 비용상 유리한 성질의 추가밀폐소자, 바람직하게는 O 링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밀폐는 직접 차단부재상에 성형된 밀폐부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추가적으로 조립을 위한 개별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사출성형된 차단부재는 바람직하게 연료공급장치와 압력 조절 밸브를 둘러싸는 환경부 사이를 밀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차단부재와 연료공급장치 사이에는 밀폐소자, 바람직하게는 압력 조절 밸브에 지지된 O 링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차단부재는 별도의 밀폐소자는 생략될 수 있도록 형상화 될 수도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차단부재에 성형된 밀폐부에 의해 비용을 들이지 않고 실현될 수 있다.
사출성형된 차단부재가 일체 결합적으로 형성되도록 형상화되어있으면, 사출성형된 차단부재의 사출성형 기법적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성형법에 의한 제조 및 폐쇄체와 격막과의 결합에 의해 설치시 조립되는 개별부품의 수는 바람직하게 추가적으로 명백히 감소될 수 있다.
폐쇄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면, 압력 조절 밸브의 제조비용은 감소되고 이에 의해 전체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된다.
본 발명의 정선된 특히 유리한 실시예들이 도면에 표시되어있고 다음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실현되는 압력 조절 밸브는 연료공급장치에 있어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압력 조절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연료공급장치에서 연료의 압력을 조절해야하는 내연기관에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조절 밸브는 연료공급장치에 있는 한 설치지점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설치지점은 예로서 연료공급장치에 속하는 연료분배관의 개구 또는 연료공급장치의 연료펌프의 하우징에 있는 개구이다. 연료공급장치에 의해 연료는 압력관을 통하여 압력 조절 밸브를 수납하는 설치지점에 도달하고 그 연료복귀관은 잉여 연료를 설치지점으로부터 연료저장용기에 복귀시킨다. 연료조절밸브는 압력관에 있어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경우 설명을 위해 바람직하게 선정되고 예로서 실시되고 특히 유리한 압력 조절 밸브(2)의 대칭축을 따른 반부단면도를 보여준다. 예로서 선정된 이 압력 조절 밸브의 경우는 사실상 회전대칭적 형상에 대한 것이다. 그다지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상세부(개별부품)를 가급적 크게 표시할 수 있기 위해 도면을 위해 선정된 압력 조절 밸브의 단면평면은 단지 대칭축의 한쪽 면만에 대해 표시되었다.
압력 조절 밸브(2)는 밸브하우징(4), 격막(6), 폐쇄체(8), 차단부재(정지편; 10) 및 폐쇄스프링(12)을 포함한다. 본 설명을 위해 선정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밸브하우징(4)은 두 개의 하우징부재(4a 및 4b)로 조립되어있다. 도면에 있어 하부의 하우징부재 4a는 이하 하부 하우징부재(4a)로 지칭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기에서는 하우징부재 4b는 상부 하우징부재(4b)로 지칭될 것이다. 압력 조절 밸브(2)의 설치위치는 임의이기 때문에, 하부 하우징부재(4a)로 표시된 하우징부재(4a)가 설치상태에서는 소위 상부 하우징부재(4b)의 상부에 있을 수도 있다. 격막(6)은 하부하우징(4a)과 상부 하우징(4b) 사이에 그 둘레를 따라 밀접하게 삽입 설치되어있다.
폐쇄체(8)는 예를 들면 편평한 구부재(8a), 지지소자(8b), 스프링소자(8c) 및 스프링(8d)을 포함하고 있다. 격막(6)은 중앙의 절결부를 갖고있고 이 절결부의 주위를 따라 폐쇄체(8)내에서 지지소자(8b)와 스프링디시(8c) 사이에 밀착적으로 삽입 장착되어있다. 구부재(8a)에는 편평한 면(8f)이 있다.
도 1을 위해 바람직하게 선정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단부재(10)는 밸브하우징(4)의 하부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된 제 1 영역(10a), 하부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된 제 2 영역(10b), 하부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된 제 3 영역(10c)을 포함한다. 제 1 영역(10a)은 이하 노즐(10a)이라 지칭될 것이다. 제 2 영역(10b)은 이하 지지원반(10b)이라 지칭되고 제 3 영역(10c)은 지지링(10c)으로 지칭될 것이다. 차단부재(10)의 여러 영역에 대한 이들 기호는 현재의 설명을 가급적 명확하게 형상화 할수 있도록하기 위해 추가적인 도면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사용될 것이고, 다만 몇 개의 실시예에서는 영역들 (10a, 10b, 10c) 사이의 이행이 유동적일 수 있고 몇 개의 선정된 실시예에서는 노즐(10a)과 지지원반(10b)과 지지링(10c) 사이가 예리하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차단부재(10)의 성형된 노즐(10a)은 폐쇄체(8)에 접근되어있고 밸브시이트(16)가 위치해있는 내측부(10a')를 갖고있고 노즐(10a)은 폐쇄체(8)에 원격해있는 외측부(10a")를 갖고 있다. 노즐(10a)을 통해 단계적으로 형성된 연결개구가 뻗고 있다. 연결개구는 노즐(10a)의 사출 또는 주조에 사용된 성형몰드의 대응형상에 의해 생성된다. 그러나 연결개구는 천공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개구는 연료복귀로(20)로 사용된다. 연료복귀로(20)는 내측부(10a')로부터 외측부(10a")로, 즉 밸브시이트(16)로부터 연료복귀관(34)으로 뻗고 있다.
격막(6)은 연료실(24)을 밸브실(26)로부터 분리한다. 밸브실(26)은 연결부(28)를 통해 비표시된 관을 지나 예를 들면 비표시된 내연기관의 비표시된 흡입관에 연결된다.
압력 조절 밸브(2)는 연료공급장치(30)에 속해있다. 도면에는 연료공급장치(30)의 단지 일부영역만이 표시되어있다. 도시된 연료공급장치(30)의 일부영역은 도면의 일부에 조망을 보다 좋게하기 위해 쇄선으로 표시되어있다. 연료공급장치(30)에는 압력관(32)으로서 역할을 하는 구멍이 있다. 압력관(32)의 구멍은 직경(32b)을 갖고 있다. 연료공급장치(30)의 압력관(32)의 구멍에 있는 외각부품(33)은 연료복귀관(34)의 개시부를 형성한다. 환언하면, 부재번호 33은 복귀류단관을 표시한다. 연료복귀관(34)의 외각부품(33)은 내경(34b)을 갖는다. 비표시된 전기구동 연료펌프는 연료를 비표시된 연료저장용기로부터 압력관(32)내로 운반한다. 내연기관에 의해 소용되지 않은 연료는 압력관(32)으로부터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연료복귀관(34)으로 흘러 거기서 연료저장용기 내로 환류한다.
하부 하우징부재(4a)는 박판으로부터 펀칭된 박판성형부재인데, 이 부재는 펀칭 및 스탬핑에 의해 형상화 된 것이다. 그래서 하우징부재(4a)는 디이프 드로우 컵으로 호칭된다. 그러나 하우징부재(4a)는 예를 들면 칩 절삭가공법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가공품일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되어있고 바람직하게 선정된 형상으로 되어있는 하부 하우징부재(4a)는 여러 영역에의 분할 배치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하우징부재(4a)는 내부영역(4c), 방사방향으로 뻗는 중간영역(4d), 원통상 또는 약간 원추상으로 뻗는 중간영역(4e) 및 외부영역(4f)을 갖는다.
외부영역(4f)은 주위절곡되어있다. 그렇게하여 생긴 이 절곡부에 의해 두 하우징부재(4a 및 4b)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고, 격막(6)은 그 외주가 두 하우징부재(4a 와 4b)사이에 단단히 끼어 고정되어있다. 외부영역(4f)은 연료공급장치(30)에 대해 압력밸브(2)를 축방향으로 공간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 1은 밸브하우징(4)의 중간영역(4d)을 관통하는 개구를 보여준다. 개구는 연료유입로(32a)로서의 역할을 한다. 연료유입로(32a)는 연료공급장치(30)의 압력관(32)을 연료공간(24)과 연결시킨다.
폐쇄스프링(12) 및/또는 밸브실(26)의 압력으로 폐쇄체(8)에 있는 면(8f)이 밸브시이트(16)로 완전히 밀린다. 압력관(32)에서의 연료의 압력, 즉 연료공간(24)에서의 연료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이면, 구부재(8a)는 밸브시이트(16)위에 접하게되며 연료공간(24)으로부터 연료복귀로(20)로의 연료의 연통은 없다. 연료공간(24)에서의 연료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이 될 때는, 폐쇄체(8)는 밸브시이트(16)로부터 상승되며 연료는 연료공급장치(30)의 압력관(32)으로부터 연료유입로(32a)를 지나, 연료공간(24)을 지나, 폐쇄체(8)와 밸브시이트(16) 사이의 틈을 지나, 연료복귀로(20)를 지나 연료공급장치(30)의 연료복귀관(34)내에 도달할 수 있다.
차단부재(10)의 지지원반(10b) 및 지지링(10c)은 중간영역(4e)에서 하부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이 성형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하부 성형부재(4a)와 연결된다. 지지원반(10b)은 그 주위에 나사부를 갖고있고, 그 나사부는 압력 조절 밸브(2)가 연료공급장치(30)의 압력관(32)의 직경(32b)내에 용이하게 나사 삽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원반(10b) 및 지지링(10c)은 압력 조절 밸브(2)를 연료공급장치(30)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압력 조절 밸브(2)가 연료공급장치(30)에 설치된후 압력 조절 밸브(2)를 배치된 위치에서 방사방향으로 지지한다.
압력관(32)을 주위에 대해 밀폐시키기 위해 밸브하우징(4)과 연료공급장치(30) 사이를 밀폐하는 하우징밀폐부위(36)가 배치되어있다. 하우징밀폐부위(36)는 연료가 압력관(32)으로부터 주위에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밀폐부위(36)는 삽입된 밀폐소자(36a)를 포함하고 있다. 밀폐소자(36a)는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된 지지원반(10b)과 사출성형된 지지링(10c) 사이에 제공된 주위홈 내에 삽입된 O 링이다. 압력 조절 밸브(2)가 연료공급장치(30)에 장착되면, 밀폐소자(36a)는 압력관(32)의 직경(32b)에 대해 방사방향 외향으로 압박되어 압력 조절 밸브(2)의 하부 하우징부재(4a)가 그 안에 삽설된다.
밸브하우징(4)과 연료공급장치(30) 사이의 밀폐를 위해 밀폐부위(38)가 제공되어있다. 이 밀폐부위(38)는 연료가 압력관(32)으로부터 연료복귀관(34)내로 소망스럽지 않게 유입 또는 누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환언하면 밀폐부위(38)는 연료유입로와 연료복귀로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밀폐부위(38)는 밀폐소자(38a)를 수용하고있고 밀폐소자(38a)는 노즐(10a)의 주위에 제공된 홈 내에 삽입된 O 링이다. 밀폐소자(38a)는 탄성적이고 노즐(10a)의 홈에 대해 또한 외각부재(33)의 직경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압박된다.
표시된 압력 조절 밸브(2)의 종단면도가 나타내는 것 처럼, 하부 하우징부재(4a)는 내부영역(4c)에서 심하게 절곡되어있다. 노즐(10a)은 강성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또는 기타의 사출성형 또는 주조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데 밸브하우징(4)의 하부 하우징부재(4a)의 내부영역(4c)에 사출성형 배치된다. 내부영역(4c)의 심한 절곡에 의해, 노즐(10a)과 하부 하우징부재(4a) 간의 고정을 뒷받침하는 사출성형 노즐(10a)과 하우징부재(4a) 사이의 걍력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사출성형된 노즐(10a)이 특히 안정되게 하우징부재(4a)와 결합되고 노즐(10a)의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부재(4a)의 하부영역(4c)에는 홀(4g)이 형성된다. 하우징부재(4a)의 형상에 따라서는 홀(4g)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홀(4g)이 배치될수도 있다.
지지원반(10b) 및 지지원반(10c)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노즐(10a)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환언하면 전체 차단부재(10)가 사출 또는 주조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도 1에 예시된 것 처럼 노즐(10a), 지지원반(10b) 및 지지링(10c)이 서로 분리되어 하우징부재(4a)와 연결된다 하더라도, 이들 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공구는, 노즐(10a), 지지원반(10b) 및 지지링(10c) 전체가 한 공동의 사출성형공정으로 제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추가적인, 선별된, 특별히 유리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모든 도면에서 같거나 작용이 같은 부재는 같은 부재번호로 되어있다. 반대로 설명되거나 도면표시되지 않은 한, 도면중의 하나에 따른 설명 또는 표시는 다른 실시예에도 성립한다. 그렇게는 안된다는 주석이 없는 한, 여러 실시예의 개별부품들은 서로 결합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단부재(10)의 노즐(10a)이 중간영역(4d) 을 따라 차단부재(10)의 지지원반(10b)에 까지 뻗어있다. 노즐(10a)과 지지원반(10b)은 재료상으로 직접 결합되어있다.
연료유입로(32a)는 압력관(32)으로부터 차단부재(10)를 통해 또한 하부 하우징부재(4a)를 통해 연료공간(24)내로 안내된다. 연료유입로(32)의 경로 중에는, 사출성형된 차단부재(10)가 하우징부재(4a)와 접하는 위치에 필터(40)가 배치되어있다. 필터(40)는 차단부재(10)내에 투입되어있다. 필터(40)는 오염입자가 연료공간(24)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40)는, 차단부재(10)를 차단부재(10)의 사출성형을 위해 하우징부재(4a)에 배치한 주형내에 사출성형하기 전에 삽입될 수 있다. 차단부재(10)가 하우징부재(4a)에서 사출성형된 후에는 필터(40)는 손실되지 않고 하우징부재(4a)에 연결된다. 그렇게 하여 후속하여 압력 조절 밸브(2)를 조립할 때 이 필터(40)로 인해 아무 장착비가 들지 않는 유리점이 있다.
도 2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재(4a)의 내부영역(4c)이 축방향으로 노즐(10a)의 내측부(10a')를 지나서 폐쇄체(8)쪽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다. 폐쇄체(8)에 가까운 하우징부재(4a)의 내부영역(4c)의 정면단부에는 밸브시이트(16)가 형성되어있다. 연료공간(24)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이면, 폐쇄체(8)는 그의 구 부분(8a)으로 하우징부재(4a)에 있는 밸브시이트(16)에 안착한다. 상기와 같이 압력 조절 밸브(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재(4a)가 박판 성형부재이기 때문에, 밸브시이트(16)는 밸브하우징(4)을 형성하는 박판성형부재에 바로 존재한다.
연료복귀로(20)는 밸브시이트(16)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하우징부재(4a)의 내부영역들(4c) 사이를 지나 다음은 노즐(10a)을 통해 외측부(10a")까지 뻗는다.
도 3은 또 다른 우선적으로 선정된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2에 표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밸브시이트(16)가 직접 하우징부재(4a)의 재료에 있지 않고 밸브시이트(16)는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된 노즐(10a)의 폐쇄체(8)쪽 내측부(10a')에 있다. 밸브시이트(16)는 차단부재(10)의 노즐(10a)을 통해 밸브하우징(4)과 견고하게 연결되어있다.
도 4는 또 다른 우선 선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원반(10b)과 지지링(10c)이 재료상으로 서로 직접 연결되어있다. 밀폐소자(36a)의 홈으로부터 보면 지지원반(10b)과 지지링(10c)은 내부에서 서로 연결이행되어있다. 이것과는 달리 도 1에서는 지지원반(10b)과 지지링(10c)은 재료상으로 서로 분리되어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되어있다. 도 1에서도 지지원반(10b)과 지지링(10c)을 노즐(10a)과 함께 공동의 사출성형과정에서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에 의한 실시예는 압력 조절 밸브(2)에 필요한 설치공간이 작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차단부재(10)의 제조방법에 따라 도 4에 의한 실시예는 차단부재(10)를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할 때에 이점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폐쇄체(8)는 실질적으로 구부재(8a), 스프링(8d) 및 성형부재(8g)로 구성되어있다.
성형부재(8g)는 성형된 또는 사출된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성형부재(8g) 및 차단부재(10)에 대해서는 같은 기본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성형부재(8g)를 사출성형 또는 용융성형하기 전에 격막(6)을 성형부재(8g)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내에 배치한다. 그럼으로써 격막(6)의 내주부는 폐쇄체(8)와 견고하게 또한 밀폐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성형부재(8g)는 구형으로 형성된 구 활동 수납부(8h)를 갖고 있다. 성형부재(8g)의 연료공간(24) 인접측에서는 테(8i)가 구활동수납부(8h)를 둘러싼다. 구부재(8a)의 반부는 구활동수납부(8h)의 범위를 넘어 존재하는 것으로, 환언하면 테(8i)의 내경은 구부재(8a)의 직경보다 작으며 그리하여 구부재(8a)는 테(8i)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테(8i)는 예를 들면 구부재(8a)의 삽입후 열변형에 의해 약간 안쪽으로 만곡되게 한다.
도 5 및 6은 추가적인 선별된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5는 연료공급장치(30)에 설치하기 전의 압력 조절 밸브(2)를 표시한다. 도 6은 압력 조절 밸브(2)를 연료공급장치(30)에 설치하기 전의 압력 조절 밸브(2) 및 연료공급장치(30)의 일부영역을 표시한다.
차단부재(10)의 외주에 있어 지지원반(10b) 내지 지지링(10c)의 영역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형의 순환융기부가 형성되어있다. 이 융기부는 하우징밀폐부위(36)에 속하고 차단부재(10)에 사출법으로 형성되는 밀폐부(36b)를 형성한다.
밀폐부위(38)의 영역에서는 밸브하우징(4)의 하우징부재(4a)에 사출형성된 차단부재(10) 위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파형의 순환 융기부가 형성되어있다. 융기부는 성형된 밀폐부(38b)를 형성한다.
도 5에 의한 실시예가 도시하는바와 같이, 하우징밀폐부위(36)의 영역에서는 성형된 순환 밀폐부(36b)에 평행으로 또 하나의 추가 밀폐부를 형성하는 순환융기부가 형성되어있다. 표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밀폐부위(38)의 영역에도 밀폐부(38b)에 평행으로 추가적인 파형이고 방사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주조기법으로 제조되는 밀폐부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하우징 밀폐부위(36)의 영역에서의 추가적인 순환융기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두 밀폐부위(36 및 38)의 경우에는 둘 보다 많은 순환융기부도 가능하다. 성형된 밀폐부(36b)의 직경 및 밀폐부(38b)의 직경은 압력관(32)이나 연료복귀관(34)의 직경(32b)이나 직경(34b)보다 크다. 그럼으로 압력 조절 밸브(2)를 연료공급장치(30)에 장착할 때 또는 장착 후에 밀폐부(36b) 및 밀폐부(38b)는 탄성적으로 방사방향 내측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가 도 6에 표시되어있다. 밀폐부(36b)의 옆 또는 밀폐부(38b)의 옆에는 리세스(recess)도 있다(도 5). 이들 리세스는 압력 조절 밸브(2)를 연료공급장치(30)에 설치할 때 체적균형화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연료공급장치(30)의 제조방법에 따라 연료공급장치(30)의 어느 정도의 측정공차 및 직경(32b)과 직경(34b)사이의 동심성에 있어 방사방향 오차가 완전히 배제될 수는 없다. 밸브하우징(4)에 사출성형된 차단부재(10)는 너무 경성이 아니고 탄성 내지 가소성이면서 약간 구부러지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연료공급장치(30)의 비교적 큰 측정공차 및 양 직경(32b 및 34b)의 비교적 큰 동심성 오차도, 압력관(32)과 주위 사이 또는 압력관(32)과 연료복귀관(34) 사이의 기밀성이 손상되게 함이 없이, 차단부재(10)가 적당히 구부러져 변형됨으로써, 보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료공급장치(30)의 공차를 제한할 필요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별도의 밀폐소자(36a)와 별도의 밀폐소자(38a; 도 1)를 성형된 밀폐부(36b) 내지 (38b; 도 5)로 대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위에 밀폐부(36b) 및/또는 밀폐부(38b)의 성형에 의해 압력 조절 밸브(2)의 장착시 함께 조립되는 개별부품들의 수가 바람직하게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체(8)에 가까운 노즐(10a)의 내측부(10a')에서는 밸브시이트 인서트(16a)가 차단부재(10)의 노즐(10a)과 연결되어있다. 밸브시이트 인서트(16a)는 예로서 단으로 형성된 링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밸브시이트인서트(16a)는 성형기법으로 또는 사출기법으로 차단부재(10)를 제조할 때 차단부재(10)내에 성형적 또는 사출적으로 삽설된다. 밸브시이트인서트(16a)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구성되고, 폐쇄체(8)의 구부재(8a) 위에 있어 이 밸브시이트 인서트의 경도값은, 밸브시이트(16)와 구부재(8a)의 양호한 밀착성 및 양호한 내구성이 얻어지도록 조정된다.
도 5에 표시된 것 처럼, 연료유입로(32a)의 직경은 하우징영역(4a)의 중간영역(4d)에 있는 관통구보다 작기 때문에 차단부재(10)는 자체내에 충분하게 결합되고 성형기법적 또는 사출기법적으로 간단히 제조가능하다.
도 7은 추가적인 우선적으로 선별된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7에 표시된 것 처럼, 차단부재(10)는 서로 결합된 부재(일체화된 부재)로서 하우징부재(4a)에 성형 또는 사출될수있기 때문에 하우징부재(4a) 자체는 비교적 소형인것일 수 있다. 그리하여 하우징부재(4a)는 경량체로 제조될수있고 하우징부재(4a)의 제조를 위해서도 적은 성형만이 필요하다.
하우징부재(4a)와 차단부재(10) 사이의 결합을 개선하기 위해 하부 하우징부재(4a)에 홀(4g)이 설치된다. 사출된 차단부재(10)가 홀(4g)을 통해 맞물려 결합된다.
구부재(8a)는 테(8i)의 탄성으로 인해 성형부재(8g)의 구활동수납부(8h)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도 4에 도시된 스프링(8d)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필요한 부재의수는 더욱 감소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0)는 하우징부재(4a)에 재료결합적으로 용착 또는 사출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예로서 지지링(10c)을 차단부재(10)의 나머지 부분과는 관계 없이 별도로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도 3). 그 외에 노즐(10a), 지지원반(10b) 및 지지링(10c)을 서로 독립적으로 따로 따로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 예를 들면 단지 노즐(10a)만을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하고 지지원반(10b)과 지지링(10c)은 별도로 제조된 부재로서 조립시 밸브하우징(4)과 결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단지 지지링(10c)만을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하고 지지원반(10b)과 노즐(10c)은 별도제조 부품으로서 조립상 밸브하우징(4)과 연결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지지원반(10b)만을 하우징부재(4a)에 사출성형하고 노즐(10a)과 지지링(10c)을 별도제조된 부품으로서 조립시 밸브하우징(4)과 연결되게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차단부재(10)가 아니고 단지 폐쇄체(8)만을 합성수지부품으로서 용착적 또는 사출성형적으로 격막(6)과 연결시키면 압력 조절 밸브가 선행기술에 비해 현저한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란 점을 주목해야할 것이다. 또한 그럼으로써 압력 조절 밸브(2)의 조립비용과 관련하여 현저한 단순화가 바로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추가적인 선별된 실시예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도 8에 표시된바와 같이 스프링디시(8c)를 금속으로 제조하고 폐쇄체(8)의 지지소자(8b)를 합성수지의 사출성형부재로 제조할 때에도 공지된 압력 조절 밸브에 비해 개선점이 얻어질 수 있다. 격막(6)과 스프링디시(8c)는 내부 홀을 갖고있고 지지소자(8b)는 돌출부를 갖고 있다. 격막(6), 지지소자(8b) 및 스프링디시(8c)가 조립된 후, 즉 지지소자(8b)의 돌출부가 격막(6)과 스프링디시(8c)의 내부 홀 내에 삽입된 후, 관통돌출한 지지소자(8b)의 돌출부를 열단조에 의해 변형하여, 지지소자(8b)에 융기부(8w)가 생기게 하고 이것이 격막(6), 지지소자(8b) 및 스프링디시(8c) 사이에 강고한 결합을 제공하게 한다.
방사방향으로 뻗는 한 또는 다수의 보강 리브(8r)를 지지소자(8b)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재료가 적을 때 폐쇄체(8)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보강리브(8r)가 격막(6)에서 먼 쪽의 지지소자(8b)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9는 추가적인 우선 선별된 실시예를 단면적으로 보여준다.
도 9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소자(8b)는 금속으로 되어있고 스프링디시(8c)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있다.
도 9에 표시된바와 같이, 지지소자(8b)에는 순환하는 홈(8n)이 있다. 홈(8n)안에는 스프링디시(8c)가 맞물 수 있다. 그리하여 스프링디시(8c)와 지지소자(8b) 사이에 강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스프링디시(8c)는 약간 요곡성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스프링디시(8c)가 홈(8n)안에 맞물릴 수 있다. 스프링디시(8c)가 순환 홈(8n)내에 맞물린 후 격막(6)의 내경부는 지지소자(8b)와 스프링디시(8c)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 장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2)의 추가적인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소자(8b)와 스프링디시(8c)가 합성수지로 되어있는데 지지소자(8b)와 스프링디시(8c)는 도 8에 따라 설명한 것 처럼 결합되어있다.

Claims (15)

  1. 연료공간을 둘러싸고 하나 이상의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밸브하우징을 구비하고, 연료를 연료공간에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어있는 연료유입로를 구비하고, 연료를 연료공간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제공되어있는 연료복귀로를 구비하고있으며, 압력 조절 밸브를 연료공급장치에 결합하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부재가 하우징부재와 연결되어있는 연료공급장치, 또는,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장치에 설치되기 위한 압력 조절 밸브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단부재(10, 10a, 10b, 10c)가 하나 이상의 하우징부재(4, 4a)에 사출성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되어있는 차단부재(10a)를 통해 연료유입로(20)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밸브하우징(4, 4a, 4b)내에는 폐쇄력(12)에 의해 밸브시이트(16)에 가압되어있는 폐쇄체(8)가 배치되어있으며, 밸브시이트(16)는 압출성형된 차단부재(10, 10a, 16a)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밸브하우징(4, 4a, 4b)내에는 폐쇄력(12)에 의해 밸브시이트(16)에 가압되어있는 폐쇄체(8)가 배치되어있으며,
    밸브시이트(16)는 하우징부재(4, 4a, 4c)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된 차단부재(10, 10a)에 연료유입로(32a)와 연료복귀로(20) 사이의 밀폐를 위한 밀폐부위(38, 38a, 38b)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밀폐부위(38)에 밀폐소자(38a)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7. 제 5 항에 있어서, 밀폐부위(38)의 영역에는 밀폐부(38b)가 차단부재(10, 10a)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된 차단부재( 10, 10b, 10c)에는 연료유입로(32a)와 주위와의 밀폐를 위한 하우징밀폐부위(36, 36a, 36b)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하우징밀폐부위(36)에 밀폐소자(36a)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0. 제 8 항에 있어서, 하우징밀폐부위(36, 36b)의 영역에 하우징 밀폐부(36b)가 차단부재(10, 10b, 10c)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된 차단부재(10, 10a, 10b, 10c)가 일체 결합적으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밸브하우징(4, 4a, 4b)에는 밸브실(26)과 연료공간(24)을 분리하는 격막(6)과, 격막(6)에 사출성형되어있고 폐쇄력(12)에 의해 밸브시이트(16)에 가압된 폐쇄체(8, 8g)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된 폐쇄체(8, 8g)는 밸브시이트(16)에 배향된 구부재(8a)를 갖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4. 제 1항 내지 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우징부재(4, 4a, 4b)는 박판 성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밸브하우징(4, 4a, 4b)에는 밸브실(26)과 연료공간(24)을 분리하는 격막(6)과, 격막(6)에 연결되어있고 폐쇄력(12)에 의해 밸브시이트(16)에 가압되어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있는 폐쇄체(8, 8b, 8c)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KR10-1998-0703080A 1996-08-31 1997-08-25 압력조절밸브 KR100491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5439.0 1996-08-31
DE1996135439 DE19635439A1 (de) 1996-08-31 1996-08-31 Druckregelventil
PCT/DE1997/001848 WO1998009071A1 (de) 1996-08-31 1997-08-25 Druckregel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134A true KR19990067134A (ko) 1999-08-16
KR100491777B1 KR100491777B1 (ko) 2005-09-07

Family

ID=780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080A KR100491777B1 (ko) 1996-08-31 1997-08-25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75115A (ko)
EP (1) EP0858557B1 (ko)
JP (1) JP2000500219A (ko)
KR (1) KR100491777B1 (ko)
DE (2) DE19635439A1 (ko)
WO (1) WO1998009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5092A (en) * 1997-10-29 2000-10-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injection system
DE10242872A1 (de) * 2002-09-14 2004-03-25 Mann + Hummel Gmbh Ventil in einem Filter
US20080283789A1 (en) * 2007-05-14 2008-11-20 Diana Rubio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CN101201128B (zh) * 2007-11-14 2010-06-09 宁波亚德客自动化工业有限公司 调压阀
JP4941324B2 (ja) * 2008-01-22 2012-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圧力調整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供給装置
US8302622B2 (en) * 2010-02-24 2012-11-0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Unbalanced inlet fuel tube for a fuel pressure regulator
US9222585B2 (en) 2010-07-07 2015-12-29 Borgwarner Inc. Valve control device
US20120048237A1 (en) * 2010-08-31 2012-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pressure regulator
US10191128B2 (en) 2014-02-12 2019-01-29 Life Services, LLC Device and method for loops-over-loops MRI coils
KR20190079941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커먼 레일용 압력조절밸브
KR102008783B1 (ko) 2017-12-28 2019-08-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커먼 레일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6320A (en) * 1990-10-19 1991-12-31 Siemens Automotive L.P. Fuel rail mounted fuel pressure regulator
US5105787A (en) * 1991-08-05 1992-04-21 Siemens Automotive L.P.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rail assembly joint
DE4216832B4 (de) * 1992-05-21 2006-01-26 Pierburg Gmbh Brennstoffdruckregel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508637A1 (de) * 1995-03-10 1996-09-12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entil
DE19522042A1 (de) * 1995-06-17 1996-12-19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777B1 (ko) 2005-09-07
DE19635439A1 (de) 1998-03-05
DE59701219D1 (de) 2000-04-13
JP2000500219A (ja) 2000-01-11
EP0858557A1 (de) 1998-08-19
EP0858557B1 (de) 2000-03-08
US5975115A (en) 1999-11-02
WO1998009071A1 (de) 199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9128A (en) Fuel injection valve
US7311119B2 (en) Valve apparatus
US6786471B2 (en) Diaphragm valve
KR19990067134A (ko) 압력 조절 밸브
EP1657099B1 (en) Fuel pump unit
JP2004506135A (ja) 燃料噴射弁
JP4617260B2 (ja) 流体を制御するための弁
KR20000064884A (ko) 연료시설용 장치
US7370816B2 (en) Fuel injector
US6942787B2 (en) Filter module with pressure regulator
JP4582663B2 (ja) エアバッグユニットのガスジェネレータ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6886590B2 (en) Seal assembly for fuel pressure regulator
US6676045B2 (en) Fuel injection valve comprising an adjusting bush
US20040069873A1 (en) Fuel injection device having injection hole plate
US6834673B2 (en) Pump module with pressure regulator
JP2000045897A (ja) 圧力調整弁
JP2005030553A (ja) 流体圧力作動体
JP2579846Y2 (ja) 逆止弁
JP2021517948A (ja) 電子膨張弁
KR20010014189A (ko) 연료분사밸브
CN113614441B (zh) 用于加压气体的罐
JP4597908B2 (ja) 燃料噴射弁
CN215861760U (zh) 一种易装配的燃气比例阀阀芯组件及燃气比例阀
JP4202484B2 (ja) 液封マウント
JP3797630B2 (ja) 圧力調整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