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062A -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062A
KR19990082062A KR1019980705784A KR19980705784A KR19990082062A KR 19990082062 A KR19990082062 A KR 19990082062A KR 1019980705784 A KR1019980705784 A KR 1019980705784A KR 19980705784 A KR19980705784 A KR 19980705784A KR 19990082062 A KR19990082062 A KR 19990082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pring
ring
spring ring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버트 게르하르트
빌리 쉬트롤
요헨 로제
에리히 아일러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8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05Fuel tanks with supplementary interior tanks inside the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3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filte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5Valve seating in direction of flow
    • Y10T137/7836Flexible diaphragm or bellows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연결부(35,38)와 연결된 압력실(44) 및 그의 외부 테 영역에서 본체(30)에 삽설되어 있고 압력실(44)을 분리시키는 막(49)을 구비한,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로서, 막(49)은, 테 영역에서, 인장력 하에 있는, 본체(30)에 지지된 스프링 링(54,154)에 의해 밀착고정되어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그러한 장치는 DE 44 02 224 A1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저장 용기에 배치된 운반 펌프를 갖고있고 이 펌프는 저장 용기의 개구를 통하여 도입될 수 있다. 저장 용기에 있는 개구는 압력조정기가 부착된 폐쇄 부재에 의해 폐쇄가능하다. 압력조정기는 압력실을 갖고있는데, 이 압력실은 운반 펌프의 고압측, 연소기관 및 방출관에의 연결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폐쇄 부재는 개구를 폐쇄하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플랜지 모양의 본체를 갖고 있다. 본체 내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요부 내로는 압력실의 방출실로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단관이 돌입해있다. 본체의 요부는 압력실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변형가능한 막으로 덮여있고 이 막은 시이트로서 단관의 정면측면과 공동작용한다. 이 막은 스프링에 의해 단관 쪽으로 가압되어 있고 압력실 내에 있어 일정 압력이 초과되면 막은 압력실을 방압실과 연결시키기 위해 단관을 해방시킨다. 막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는 막이 요부 내에 삽입되고 스프링이 위로 놓여지고 그런 다음 막은 덮개와 함께 본체에 밀착고정된다. 공지의 장치에서는 막이 강고히 삽착되기 전에 스프링의 힘이 막 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막이 약간 옆으로 밀리고 그럼으로써 기능장애(예컨대 압력조정오류, 밀폐불완전 등)가 생길 수 있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없다. 그 장치가 모터공간 내에 설치되면 밀폐불완전성은 대단히 위험해 질 수 있다.
DE 44 02 224 A1에 의한 다른 장치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요소는 플랜지를 지니고, 그 플랜지에는 외측으로 휘어진 자유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 플랜지는 본체의 밴드에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막의 외부 테가 강고히 고정된다. 플랜지의 자유단부는 밴드에 배치된 후크와 뒤에서 맞물고 그럼으로써 지지요소의 플랜지는 장력 하에 본체에 배치되고 막은 고정된다. 이 구조는, 막이 압력실에의 단관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요부의 후크가 막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견인력을 수용해야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때에 있게 되는 큰 지지력은 후크에 의해 충분히 수용될 수는 없다. 그 위에 장기간 사용 후 예컨대 합성수지의 팽화로 인해 재질피로가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지요소의 플랜지는 충분한 장력 하에 본체의 요부에 배치되지 못하고 막이 요부에 고정되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해 졌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대개념에 의한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저장 용기로부터 연소기관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
도 2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도 1의 저장 용기의 폐쇄 부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 긴장 스프링 링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막을 고정시키고 본체에 맞무는 맞물림 연결부의 개략도.
도 5는 도 4를 대신할 수 있는 맞물림 연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막 군을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추가 배치법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비 긴장된 상태의 스프링 링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막 군을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추가 배치법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압력실에 있어 연료의 압력펄스의 압력감쇠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상기에 반하여 청구항 1에 의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는, 적은 비용으로 막이 본체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장착되고 본체에 대한 막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밀폐적이고 견고한 본체에의 연결이 가능해지고 그럼으로써 압력실은 막에 의해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막의 고정을 위해 스프링 링을 본체에 설치함으로써, 긴장 하에서 본체에 배치되고, 막을 지지하는 스프링 링의 인장력은 (타 영향 없이) 단지 스프링 링의 인장도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그 위에 이 배치는, 막이 본체에 위치결정된 뒤 바람직하게는 막의 테 영역에 맞물도록 스프링 링을 간단히 올려놓음으로써 막은 본체에 밀착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본체에 대한 막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악화시킬 수 있는 회전력 또는 기타 힘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위에 막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링은, 고정 배치 또는 장력 하 배치에 의해 공차보상이 행해질 수 있고 그리하여 막은 본체에 확실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위에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치에 있어서는, 막에 압착하는 스프링이 놓여지기 전에 우선 막이 본체에 강하게 밀착된다는 것이 이점이다. 그럼으로써 스프링에 의해 소망스럽지 않게 막이 옆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에 제안된 장치에 있어서는, 연료역류가 이루어지는 단관이 사출공구에 의해 본체와 함께 합성수지 부재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것은 단관의 제조를 위한 본체의 제조 시 추가비용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에 의하면 인장요소는 디시 스프링 모양의 링으로 구성된다. 이 금속으로 된 링에 의해, 막의 작용면을 외부에 대해 한정지우는 직경이 결정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장치의 이용중 막작용면의 확대가 방지되는데, 이 작용면의 확대는 막이 압력조정장치로 사용될 때에, 조정압력의 강하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장치가 막과 함께 압력용기 외부에 배치될 때에는 장치의 압력실이 장치의 전 사용기간 동안 외부에 대해 밀폐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설치된 탄성링의 탄성긴장에 의해, 막은 장치의 작동시간이 길 때에도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본체의 경우에 따른 응고현상과는 상관 없이 본체에 대해 충분한 힘으로 눌러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에 따라, 스프링 링은 그의 인장지점에서 막 위로 향하는 캠 모양의 융기부를 갖고있고 그 융기부는 본체에 제공된 조화적으로 형성된 밀착지점의 요홈 내에 맞물리게 된다. 그럼으로써 추가적으로, 압력실에 압력이 상승하여 막이 휘어질 때 막이 밀착지점의 그의 위치에 확실하게 지지되는 것이 개선될 수 있다. 그 위에 이 고정에 의해, 압력실에 대한 밀폐개선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에 의하면, 인장요소로 작용하는 스프링 링은 그의 자유단부에 링밴드를 갖고있고 그리하여 스프링 링은 횡단면 상으로 플랩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디시 스프링 모양의 링이 본체에 배치될 때 인장력의 상승이 얻어질 수 있다.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스프링 링에 대한 수납부에 의해, 곧 플랩 모양의 단면을 구성하는 링의 부분들이 90°보다 큰 각도로 배치되어 있은 디시 스프링 모양의 링에 의해, 추가의 인장력이 밀착부분에 배치된 부분에 발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링밴드를 구성하는 부분은 막 쪽의 부분에 추가의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에 의하면, 스프링 링은 자유롭게 상측으로부터 절결부 내에 삽입가능하고 긴장 하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도 맞물림 연결부에 의해 달성된다. 그 위에 유리하게도 스프링 모양의 링요소, 특히 파열링은 본체에 있는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위에도 유리하게 절결부와 접경하는 본체의 자유단에서 예컨대 절곡, 지지 등과 같은 성형에 의해, 막의 밀착 및 스프링 링의 배치가 인장력 하에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각 도면에서의 축척은 상이하다.
도 1에 간략히 도시된 장치는 저장 용기(12)로부터 연료를 연소기관(10)에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 장치는 운반 펌프(14)를 갖고 있고, 이 운반 펌프는 저장 용기(12)에 배치되어 거기에서 비 도시된 방법으로 지지되어 있다. 운반 펌프(14)는 임의의 방법으로 완성될 수 있고 펌프는 그의 흡입측에서 저장 용기(12) 내의 저류부(16)로부터 연료를 흡입한다. 저장 용기(12)는 벽(18)에 개구(20)를 갖고있고 그 개구를 통해서 운반 펌프(14)가 삽입될 수 있다. 개구(20)는 운반 펌프(14)의 삽입 후 폐쇄 부재(22)로 폐쇄될 수 있고, 운반 펌프(14)의 고압측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 폐쇄 부재(22)를 통과한다. 운반 펌프(14)의 압력측과 폐쇄 부재와의 연결부에는 연료필터(24)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폐쇄 부재(22)의 실시형이 도시되어 있다. 폐쇄 부재(22)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된 플랜지 모양의 본체(30)를 갖고 있고, 본체는 저장 용기(12)의 개구(20)를 덮는다. 폐쇄 부재(22)의 외부 테와 벽(18) 사이에는 밀폐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폐쇄 부재(22)는 도시하지 방법으로 저장 용기(12)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폐쇄 부재(22)에서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데, "내측으로"의 배치란 용기 내측을 의미하고 "외측으로"의 배치란 용기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본체(30)에는 내측으로 향하는 연결 단관(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단관에는 표시되지 않은 관이 운반 펌프(14)의 고압측과 결합되기 위해 연결되어 있다. 그 외에 본체(30)로부터는 추가의 연결 단관(37)이 외측으로 돌출해있고, 그 단관에는 도시되지 않은 관이 연소기관(10)과의 결합을 위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단관(35,37)은 본체(30)에 배치된 유로(35) 및 (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 단관(33)의 유로(35)는 평면(21)에 대략 수직으로 뻗어있다. 연결 단관(37)의 유로(36)는 평면(21)에 평행으로 외부로 뻗고 있다. 연결 단관(33 및 37)은 또한 평면(21)에 대해 그리고 상호간에 대해 다른, 대략 임의의 각도위치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유로(35)와 (36) 사이의 이행부는 유로(38)와 연결되어 있고 이 유로는 본체(30)의 요부(43) 내로 연접되어 있다. 요부(43)의 중앙에서는 본체(30)에 단관(45)이 배치되어 있고, 그 단관은 유로(40)에 연결되어 있고 그 유로는 내측으로 향하는 연결 단관(50)에 연접되어 있다. 단관(45)은 내측으로 시이트(47)를 갖고있고 이 시이트는 폐쇄위치에서는 막 군(막 조립체)(48)에 의해 폐쇄된다. 막 군(48)은 막(49)을 지니고, 이 막에는 외부로 향한 쪽에는 접시(51)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폐쇄위치에서는 시이트(47)와 접하여 단관(45)을 기밀히 밀폐한다. 막(49)의 다른 쪽에는 접시(52)가 내측으로 배향 배치되어 있고 그 접시에는 스프링(53)이 지지되어 있다. 요부(43)내에는 막(49)에 의해 폐쇄된 압력실(44)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35 및 38)는 연료를 압력실(44)내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연결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막(49)은, 도 4에 표시된 것처럼, 테 영역에 있어 긴장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 링(54)을 통하여 본체(30)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링(54)은 도 3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된 사발모양의 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막(49)이 그의 테 영역으로 본체(30)의 견부(55) 상에 위치된 후에는, 스프링 링(54)이 견부(55)에 위치되게 한다. 스프링 링(54)은 맞물림연결부(71)에 의해 요부(4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결부(63)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의한 맞물림연결부(71)는 순환 링밴드(70)로 구성되어 있고 그 링밴드는 단관(45)의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을 보이는 후크(72)를 갖고있고 그 후크는 스프링 링(54)을 그의 고정위치에서 뒤쪽에서 맞문다. 거기에서 후크(72)는 본체(30)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는데 후크는 탄성적으로 형성된다. 본체(30) 및 후크(72)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공동의 사출성형 몰드 내에서 공동으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체(30)와 후크(72)는 일체 부재이다. 도 4에 표시된 링밴드의 다수의 반경방향 슬리트에 의해, 스프링 링(54)을 본체(30)에 장착하는 동안 스프링 링(54)이 끼이어 맞물릴 수 있도록 후크(72)는 충분히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스프링 링(54)이 견부(55)에 눌러진 뒤, 후크(72)는 탄성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력을 발휘하여 스프링 링(54)을 견부(55)에 대해 지지한다.
축방향으로 보아, 견부(55)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후크(72) 사이의 간격 상에서 스프링 링(54)의 제 2부분(59)의 높이는,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 링(54)이 변형하여 스프링 링(54)이 장력상태에 놓이고 그리하여 스프링 링(54)의 제 1부분(56)이 막(49)의 외주부분을 본체(30)의 견부(55)에 밀착하도록, 조화된다.
스프링 링(54)은 다행하게도 제 1부분(56)과 제 2부분(59)으로 분할될 수 있다. 스프링 링(54)은 그의 제 1부분(56)으로 막(49)을 견부(55)에 대해 누르고, 그럼으로써 막(49)의 밀착위치(57)가 형성된다. 인장요소(54)의 제 1부분(56)은 캠형의 융기부(58)를 갖고있고, 그 융기부는 대응적으로 형성된 견부(55)의 순환 요홈(60) 내로 맞물린다. 그래서 스프링 링(54)내로의 인장력이 같을 때에 막(49)의 고정지지가 개선될 수 있다. 그 위에 융기부(58)에 의해 압력실(44)의 밀폐가 개선될 수 있다. 본체(30)의 견부(55) 내의 요부(60)는 융기부(58)의 높이 보다 조금 더 깊을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막(49)과 본체(30) 사이의 융기부(58)의 영역 또한 막(49)과 순환 융기부(58) 사이의 영역에서도 상당히 큰 면압 및 따라서 막(49)의 양호한 밀폐작용과 양호한 고정력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융기부(58)를 본체(30)에 또한 대응하는 요홈을 스프링 링(54)에 배치하는 것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언급하고싶다. 그러나 본체(30)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되고 스프링 링(54)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경화 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융기부(58)를 스프링 링(54)에 또한 요홈을 본체(30)에 배치하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요홈(60)을 본체(30)에 배치하지 않을 때에도, 융기부(58)에 의해 강한 면압, 따라서 막(49)의 양호한 밀폐작용 및 양호한 고정지지력이 얻어질 수 있다.
스프링 링(54)의 제 1부분(56)에는 제 2부분(59)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 2부분은 제 1부분(56)과 함께 횡단면에서는 사발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제 1부분(56)은 비 인장상태에서 즉 스프링 링(54)이 절결부(54) 내에 설치되기 전에 도 3에 따라 둔각으로 제 2부분(59)에 연결형성된다. 절결부(63) 내에 스프링 링(54)이 배치됨에 의해, 스프링 링(54)은 인장하게 되고, 그리하여 공차보정이 행해질 수 있고 동시에 막(49)은 확실하게 견부(55)에 고정될 수 있다.
밀착삽입된 위치에서 제 1부분(56)은 스프링 링(54)의 제 2부분(59)에 대해, 이들 부분(56,59)이 직각에 근접하도록, 변형된다. 그럼으로써 밀착지점(57)에서의 인장력이 더욱 상승될 수 있다.
막(49)을 가진 막 군(48)이 본체(30)에 고정된 후, 스프링(53)이 디시(52) 위에 배치되게 한다. 저장 용기(12) 측을 향하는 스프링(53)의 단부에는 삽입부재(61)가 배치된다. 막 군(48), 스프링(53) 및 스프링(53)에 배치된 삽입부재(61)는 지지요소(62)에 의해 둘러싸이고 본체(30)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요소(62)는 모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요소(62)는 종축에, 삽입부재(61)가 배치된 개구를 갖고 있다. 지지요소(62)는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30)의 슬리트(66) 내에 삽입가능하다. 지지요소(62)의 원통형 맨틀 면(67)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가시형의 요소(68)가 배치되고 그 요소에 의해 지지요소(62)는 본체(30)에 간단하고 신속히 설치될 수 있다. 간단한 밀기 방식에 의해 지지요소(52)는 분리보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요소(62)는 합성수지로도 금속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요소(62)는 디이프 드로우잉 된 강으로 구성된다.
스프링 링(54)이 본체(30)에 배치된 뒤, 지지요소(62)가 본체(30)에 설치되게 한다. 맨틀 면(67)의 내측면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본체(30)의 탄성 후크(72)에 밀접해 있거나 또는 후크(72)의 외주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스프링 링(54)을 고정하는, 본체(30)에 있는 맞물림연결부(71)의 후크들(72)은 지지요소(62)의 설치 후 더 이상 반경방향 외측으로 벗어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압력실(44) 내에서의 비교적 고압에 의해 막(49)과 스프링 링(54)이 부하될 때에도 본체(30)의 후크들(72)은 스프링 링(54)을 확실하게 지지한다. 이에 의해, 본체(30)에 특별히 강도가 높은, 따라서 고가의 합성수지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맞물림연결부(71)는 대단히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와는 다른 맞물림연결부(71)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맞물림연결부(71)의 링밴드(70)는 온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에 있어 후크모양의 윤곽을 가졌고, 한편 스프링 링(54)은 각각 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나타내는 다수의 플랩(73)으로 구성된 제 2부분을 갖고 있다. 나머지에서는 도 4의 실시예의 것이 성립한다.
도 4 및 도 5에 의한 두 실시예에 의해, 밀폐적이고 내구성있게 막(49)이 본체(30)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간편한 장착이 적은 비용으로 실현된다.
상기한 장치의 구조는, 막 군(48)을 위치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면서 막 군(48)의 막(49)이 본체(30) 내에 또는 본체에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6에는 도 2와는 다른 예시적 실시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은 도 2와는 달리 형태상 간단히 형성된 스프링 링(154) 및 스프링 링(154)의 다른 고정법을 보여준다.
스프링 링(154)은 도 7에서 설치전의 비 인장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고 공지의 디시스프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링(154)은 도 2의 스프링 링(54)과 같이 캠 모양의 융기부(58)를 갖고 있다. 융기부(58)의 기능은 도 2에 관해 설명된 것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프링 링(154)을 절결부(63) 내에 고정하는 것은 본체(30)의 홈(82)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링요소(81)를 통해 행해진다. 링요소(81)는 소위 파열링과 유사하게 그 둘레의 한 위치에서 찢어져있고 반경방향 압축에 의해 홈(8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 후 링요소(8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을 갖고 그리하여 홈(82) 내에 지지된다. 스프링 링(154)은 링요소(81)의 조립 시 그의 원래의, 비 인장된 위치로부터 이것이 거의 수평경로를 갖도록 휘어지고, 그리하여 가능한 최대 탄성 인장력이 스프링 링(154) 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고정의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스프링 링(54)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6의 것이 도 2의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막(49)을 본체(30)에 밀착위치(57)에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 링(154)을 본체(30)에 고정하는 추가의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막(49)이 견부(55)에 접해진 후, 인장요소(154)가 그 위에 배치되게 한다. 이어서 본체(30)의 자유단부(76)를 절결부(63)의 외주 테에 구부러뜨려 또는 지지하여 스프링 링(154)이 고정되게 한다. 단부(76)를 구부리기 또는 지지하기 전에는 스프링 링(154)은 도 7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다. 구부러뜨리기 또는 지지하기 전, 스프링 링(154)의 내주가 견부(55)에 접촉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링(154)이 절결부(63) 내로 삽입되게 한다. 절곡 및 지지 중, 스프링 링(154)의 외주는 스탬프와 같은 공구에 의해 본체(30)의 견부(55)에 눌러지게 한다. 단부(76)가 절곡 또는 지지된 후에도, 스프링 링(154)의 변형은 그대로 유지된 채 있기 때문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막(49)은 본체(30)의 견부(55)와 스프링 링(154) 사이에서 확실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인장요소나 스프링 링(54 또는 154)과 도 2, 4, 5, 6 및 8에 의한 고정방법의 조합은 임의로 상호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유사한 변형들을 가질 수도 있다.
거기에 추가하여 다른 방법으로서, 스프링 링(54,154)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그 부재는 본체(30)에 맞물고 예컨대 성형 또는 마찰용접 또는 초음파용접에 의해 인장력 하에 스프링 링(54,154)을 본체(30)에 고정할 것이다.
도 2는, 연료 공급 시설을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장치가 예컨대 압력조정기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30)는 막(49)과 스프링 링(54)을 지지한다는 과제 이외에 저장 용기(12)의 개구(20)를 덮는 역할도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압력조정기는 연료공급시설의 임의의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체(30)는 예컨대 연소기관의 영역에 있는 연료분배관일 수도 있는 데, 이때 연료분배관으로부터는 예컨대 각 연료주입밸브로의 유입관들도 분기되어 나간다.
도 9에 있어서는, 막(49)을 가진,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가 역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장력 하에 있고 본체(30)에 지지된 스프링 링(54)에 의해 그의 테두리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압력실(44)은 연료연결부(84)와 연결되어 있다. 연료연결부(84)를 통해 압력실(44)에 연료가 공급되거나 또는 압력실(44)로부터 연료가 배출될 수 있다. 도 9에 표시된 장치는 예컨대 압력실(44) 내지는 연료연결부(84)에 있어 연료의 압력펄스를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장치는 통상적으로는 압력감쇠기(압력댐퍼)로 지칭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장치는, 막(49)이 비교적 큰 작업행정을 가져, 장치가 압력상승 때에는 대응하는 큰 양의 연료를 수용하고 연료압력이 강하할 때에는 압력실(44)이 다시 그것을 방출하도록 치수 정해질 수도 있으며, 따라서 그런 치수의 경우에는 이 장치는 연료저장기로서도 특징지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도시된 상기한 모든 실시예는, 장치의 나머지 형상과는 관계없이, 특히 장치가 압력조정기로서, 압력감쇠기로서 또는 연료저장기로서 작용하는가의 여부와 관계없이, 막(49)은 항상 발명적 방법으로 스프링 링(54)을 통해 본체(30)와 연결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Claims (13)

  1. 연료연결부(35,38,84)와 연결된 압력실(44) 및 그 외부 테 영역에서 본체(30)에 삽설되어 있고 압력실(44)을 분리시키는 막(49)을 구비한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에 있어서,
    막(49)은 테 영역에서, 인장력 하에 있는 본체(30)에 지지된 스프링 링(54,154)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스프링 모양의 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막(49)의 테 영역과 공동작용하는 인장지점(57)의 영역에 캠 모양의 융기부(58)를 갖고 있고, 이 융기부는 본체(30)의 대응 형성된 요홈(60) 내에 맞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횡단면에서 볼 때 장착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링 면으로 구성되어 있은 제 1부분(56)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은, 둔각으로 제 1부분(56)에 배치된 제 1부분(56)에 연결된 제 2부분(59)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맞물림 연결부(71)로 본체(3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맞물림연결부(71)는 본체(30)에 있어 링밴드(70)로 구성되어 있고 그 링밴드는 후크 모양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의 제 2부분(59)은 각각 휘어질 수 있는 플랩들(73)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맞물림연결부(71)는, 내측으로 탄성을 나타내는 후크(72)를 갖고 있고 본체(30)에 배치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본체(30)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수단(81)에 의해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81)은 본체(30)의 홈(82)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파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본체(30)에 배치된 자유단부(76)의 변형(성형)에 의해 본체(30)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링(54,154)은 본체(30)에 설치될 수 있는 요소에 의해 인장력 하에 배치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5784A 1996-12-06 1997-10-18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KR19990082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150784 DE19650784A1 (de) 1996-12-06 1996-12-06 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650784.7 1996-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062A true KR19990082062A (ko) 1999-11-15

Family

ID=781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784A KR19990082062A (ko) 1996-12-06 1997-10-18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45536A (ko)
EP (1) EP0879352A1 (ko)
JP (1) JP2000504392A (ko)
KR (1) KR19990082062A (ko)
CN (1) CN1084840C (ko)
BR (1) BR9707486A (ko)
DE (1) DE19650784A1 (ko)
RU (1) RU2191282C2 (ko)
WO (1) WO1998025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3340B2 (ja) 1996-12-18 2006-05-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屈折率SiO2 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6135092A (en) * 1997-10-29 2000-10-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injection system
DE69921610T2 (de) * 1998-08-18 2005-10-20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Brennstoffeinspritzungsanordnung
DE19908154B4 (de) * 1999-02-25 2006-11-09 Schaeffler Kg Spannelement
IT1308780B1 (it) * 1999-07-02 2002-01-10 Elasis Sistema Ricerca Fiat Pompa ad alta pressione munita di valvola di intercettazione perl'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ad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DE10242590A1 (de) * 2002-09-13 2004-03-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Druckpulsationen in einem Fluidsystem, insbesondere in einem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US7984728B2 (en) * 2004-10-22 2011-07-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Fuel pressure regulator valve assembly
US20060108005A1 (en) * 2004-11-24 2006-05-25 Bennet Jan L Pressure regulator valve biasing member with reticulated concentric rings
US7819132B2 (en) * 2004-11-24 2010-10-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ressure regulator with ceramic valve element
US7469682B2 (en) * 2004-12-01 2008-12-30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Submersed fuel pressure regulator assembly
DE102007007918A1 (de) 2007-02-14 2008-08-21 Siemens Ag Fördereinheit
DE102015207139A1 (de) * 2015-04-20 2016-10-2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JP2022176520A (ja) * 2021-05-17 2022-11-3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CN113844255B (zh) * 2021-10-12 2023-08-0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箱的防浪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6713A (en) * 1940-02-12 1942-06-16 Decatur Pump Company Valve
US2318157A (en) * 1940-07-22 1943-05-04 Automatic Products Co Suction-pressure-regulating valve
US4038506A (en) * 1975-07-17 1977-07-26 I.C.S. Ignition Control Systems Ltd. Oil pressure switch having improved diaphragm seal
US4635537A (en) * 1984-06-21 1987-0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pressure regulator
CA1228279A (en) * 1984-06-21 1987-10-20 Martin J. Field Fuel pressure regulator
US4627463A (en) * 1985-04-11 1986-12-09 Tom Mcguane Industries, Inc. Fuel pressure regulator
DE4010173A1 (de) * 1990-03-30 1991-10-02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entil, insbesondere fuer kraftstoffeinspritzsysteme
US5088463A (en) * 1990-06-28 1992-02-18 Mcguane Industries Fuel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4402224A1 (de) * 1994-01-26 1995-07-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45536A (en) 2000-11-14
BR9707486A (pt) 1999-07-27
CN1210574A (zh) 1999-03-10
RU2191282C2 (ru) 2002-10-20
CN1084840C (zh) 2002-05-15
DE19650784A1 (de) 1998-06-10
JP2000504392A (ja) 2000-04-11
EP0879352A1 (de) 1998-11-25
WO1998025023A1 (de) 199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062A (ko) 연료 공급 시스템용 장치
US7056102B2 (en) Vibration isolating fuel pump assembly
EP1084345B1 (en) Fuel rail damper
US7341047B2 (en) Vehicle fuel tank assembly
US7293755B2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US4362476A (en) Securing apparatus for electric fuel pumps
US6321719B1 (en) Pressure damper for a pressure vessel
EP0131835B1 (en) In-tank fuel feed pump supporting device
US7013878B1 (en) Fuel vapor separator
EP1122114A2 (en)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US6230685B1 (en) Pressure pulsation damper containing a free floating spacer
JP2009519177A (ja) 車両のための液体容器を用いて使用するための装置及び前記液体容器を配設するための方法
KR100413557B1 (ko) 저장용기로부터내연기관에연료를공급하기위한장치
KR20010020304A (ko) 연료공급장치
US6409158B1 (en) Liquid-filled type vibration absorbing device
US5211547A (en) Fuel pump and fuel sender assembly
KR20000064884A (ko) 연료시설용 장치
JP6433011B2 (ja) 燃料供給装置
CA2426964A1 (en) Retaining ring and cover plate for fuel unit
KR19990082095A (ko)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용 장치
EP3366913B1 (en) Fuel system component mounting assembly with retention member
EP1234998A2 (en) Engine mount
US20040173188A1 (en) Device for supplying fuel from a tank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4555932A (zh) 燃料高压泵
EP0036428B1 (en) Fuel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