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897A - 여과기와 여과기통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여과기와 여과기통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897A
KR19990076897A KR1019980705025A KR19980705025A KR19990076897A KR 19990076897 A KR19990076897 A KR 19990076897A KR 1019980705025 A KR1019980705025 A KR 1019980705025A KR 19980705025 A KR19980705025 A KR 19980705025A KR 19990076897 A KR19990076897 A KR 1999007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trainer
hose
connecting part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176B1 (ko
Inventor
베른하르트 레흐너
Original Assignee
베. 바이스, 요트. 프롬홀트
뷜러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바이스, 요트. 프롬홀트, 뷜러아게 filed Critical 베. 바이스, 요트. 프롬홀트
Publication of KR1999007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1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with means keeping the working surfaces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3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 B01D2201/0446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suspended from plates at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2Bayonet connec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Description

여과기와 여과기통 고정장치
본 발명은 아래 도면에 따라 두가지 실시예를 들어 더 자세하게 기술된다.도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 : 상측이동 (Top-Removal)용 호스형 여과기 케이스의 덮개 평단면도
도 2 : 도 1 의 측단면도
도 3 : 도 2 를 측면이동(Side-Removal) 또는 하측이동(Bottom-Removal)용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 장력 편심륜과 연결대를 이용한 여과기통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5 : 도 4 의 평면도
도 6 : 도 4 에 도시된 여과기통의 형태
여과기 케이스 안에서는 기존의 방식대로 호스 여과기를 이용하여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덮개( 1 )의 형태로 된 중간 바닥이 설치되어 있는데, 도면에는 이 여과기 케이스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지않다.
덮개 ( 1 )에는 간격이 일정한 고정부품 ( 2 )가 필요한 양만큼 배치되어 있는데, 이 고정부품은 오로지 리브 ( 3 )에 의해서만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리브 ( 3 )은 다시 위치가 안정되도록 해서 덮개( 1 )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는 덮개 ( 1 ) 위에서 확실하게 받쳐지거나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는 양각부 ( 7 )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 양각부는 고정부품 ( 2 )의 상응하는 부분보다 경미하게 더 넓다.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를 약 20-30 °정도로 간단히 돌려 줌으로써 여과기통 ( 5 )가 나선식 장착 ( bayonet fixing )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돌리는 것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품 ( 2 )의 모서리 ( 10 )에 톱 모양의 물림쇠가 있다. 여과기 호스 ( 8 )을 갖춘 여과기통 ( 5 )는 전적으로 덮개 ( 1 )이 적절하게 열리는 것에 의해서만 상부로 부터 필터 케이스의 천연 공기실 15 안으로 인입되어야 하는데, 이 천연 공기실은 도면에 뚜렷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
여과기 호스 ( 8 )에는 기존의 방식대로 여과기통 ( 5 )가 갖추어져 있는데, 여기서 필터 호스의 하부 끝부분은 간단하게 바닥면없이 함께 바느질이 되어 있고,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를 향하는 여과기 호스 ( 8 )의 끝부분은 가장자리 강화부품 ( 11 )이 단단히 감싸서 바느질이 되어 있다. 여과기 호스 ( 8 )은 판금 철재띠 ( 6 )을 이용해서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의 고정홈 ( 12 ) 안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여과기통 ( 5 )와 결합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판금 철재띠 ( 6 )로 인해서 외부 직경이 여과기 호스 ( 8 ) 자체보다 현저하게 커지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여과기통 내부에서 허용 되지않은 압력차 ( 壓力差 ) 가 유발되지 않도록 고정홈 ( 12 )의 깊이가 선택된다.
여과기 케이스의 청정 공기실 ( 13 )과 천연 공기실 ( 15 ) 사이가 필요한 수준만큼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서, 덮개 ( 1 )의 개구부 ( 開口部 ) 둘레에 맞도록 간단한 U자형 패킹 ( packing ) ( 9 )가 끼워져 있다.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를 돌려줌으로써, 이것이 고정됨과 동시에 압력에 견디도록 받쳐진다.
도 3에는 측면, 하측이동 (Side, Bottom-Removal) 용으로 만든 것을 적절하게 나타낸 것인데, 여기서는 필터 케이스의 바닥 ( 14 )에서 상응하게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그 밖에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를 간단하게 돌리고 또한 덮개 ( 1 )에서의 조립 및 분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 적절한 물림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리브가 홈 ( 22 )가 있는 운동식 리브로 만들어져 있다. 각각의 리브 끝부분에는 장력 편심륜 ( 21 )이 배치되어 있다.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는 볼트 ( 23 )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 볼트는 리브 ( 연결대 )( 20 )의 홈 ( 22 ) 안에서 평행하게 움직인다.
여과기통은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의 볼트 ( 23 )을 이용해서 돌려서 끼운다. 장력 편심륜 ( 21 )의 후속 운동에 의해서 연결대 ( 20 )가 덮개 ( 1 )이나 바닥 ( 14 )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때, 여과기통 연결부품의 받침면 ( 24 )도 마찬가지로 덮개 ( 1 )( 이나 바닥 14 )로 눌려져서, 앞에서 기술한 방법대로 장력이 생겨서 밀폐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덮개 2. 고정부품 3. 리브 (rib) 4. 여과기통 연결부품
5. 여과기 통 6. 판금 철재띠 7. 양각부 8. 여과기 호스
9. 패킹 ( parking ) 10. 모서리 11. 가장자리 강화부품
12. 고정홈 13. 청정 공기실 14. 바닥 15. 천연 공기실
20. 연결대 21. 장력 편심륜 22. 홈 ( slot ) 23. 볼트
24. 받침면
본 발명은 여과기와, 밀폐되어 있으면서도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되고, 교체할 수 있으며, 주로 호스형으로 만들어진 여과기나 캐트리지 여과기( cartridge filter )를 최소한 한 개를 갖추고 있는 여과기통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바닥판이나 덮개판( 중간바닥 )이 케이스 안에 배치되어 있어서, 깨끗한 공기가 여과기 장치의 먼지와 분리되어 있다. 이 여과기통 고정장치는 소위 상측이동(Topremoval) 뿐만 아니라 하측이동(Bottomremoval) 이나 측면이동 (Sidere moval) 에 적합하여, 예를 들어 제분소나 건조 설비와 같이 여과기 처리 작업이 아주 다양한 경우나 조립기 ( 造粒機 )용으로 이용한다.
이런 종류의 호스형 여과기 설비에는 내부 지지통이 있는 호스 모양의 여과기 부품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 내부 지지통을 거쳐서 여과기 호스가 끌려나와 있다 ( DE-C-39 39 645 ). 여과기 호스가 작업 중에 더럽혀지고 마모되기 때문에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C-39 39 645 에 의하면, 여기서 상부 끝 부분에 있는 지지 여과기통의 직경을 줄여서 여과기 호스가 지지 여과기 통으로 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DE-C-40 29 994 에서는 길게 뻗은 여과기통이 있는 유사한 여과기 캐트리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는데, 이 여과기 통에는 고정장치의 끝부분과 개방되고 비어있는 여과기통 끝부분과 여과기 호스가 갖추어져 있다. 이 여과기 호스는 여과기통의 외부면에 받쳐져 있고, 여과기 통의 고정장치 끝부분에서는 개방되어 있고, 비어있는 여과기통 끝 부분에서는 걷어 올려져 있으며, 여과기통의 내부에는 다시 호스 직경이 줄어들면서 여과기통의 고정장치 끝부분 방향으로 되돌아 뻗어나 있다. 여기서 여과기통에는 추가적으로 내부 여과기통이 있는데, 이것은 고정장치 끝부분에 맞도록 원추형으로 끝이 뾰족하게 되어있다. 또한 여과기 호스의 내부는 이 내부 여과기통의 내부면에 받쳐져있다.
DE-OS-33 04 135 에서는 이 경우에 먼지로 뒤덮힌 여과기 공간으로부터 청정 공기실을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부품을 기술( 記述 )하고 있다. 게다가 양철 덮개 가장장리에 있는 여과기 호스가 밀봉틀과 분리벽을 이루는 덮개 사이에 끼워져 있어서, 이 호스가 밀폐 부품의 기능을 한다.
DE-OS 38 12 790에서는 호스형 여과기 설비에서 두부판이나 여과기 바닥 또는 여과기 천장이나 여과기 벽의 트인 곳에 부착물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여과기 부착물은 최소한 지지 여과기통과 장력테두리와 여과기 호스로 구성되어 두부판에 고정될 수 있다. 여과기 호스에서는 주로 융기부가 있어서, 장력테두리가 팽팽하게 되고 덮개의 가장자리가 불룩하게 나옴으로써 밀폐작용이 일어난다. 독일 특허 816852 에 의하면, 여과기 호스는 서로 밀어 옮겨질 수 있는 원추면 ( 圓錐面 )을 이용해서 고정된다.
DE-A-35 01 948에 의하면, 먼지 여과기 장치에서 먼지가 있는 쪽으로 형성된 판을 이용해 여과기 케이스로부터 여과기를 분리하는데, 여기서 케이스 하부를 나머지 케이스 부분으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DE-A-38 11 929에 의하면, 여과기 케이스에 십자 받침대살로 만들어진 지지 시스템이 있는데, 이 십자 받침대살이 직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세로 금속판으로 만들어져서 제한된 여과기를 만들게 된다. DE-A-37 09 365에 의하면, 호스형으로 된 여과통 포( 布 )의 몸체가 축방향으로 뻗어 나면서 최소한 한 지점에서 분할되도록 만들어지고, 이 분할지점에서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매달린 작은 여과기 호스를 조임 장치를 이용해서 고정시키는 유사 장치가 EP-B-337 061에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둘러쌀 수 있는 장력테두리가 이용되고, 조임 장치의 U자형 테두리가 여과기통 연결부품의 고정 홈안에 들어있다.
고정 홈종류의 보강재( 補强材 )나 밀폐부품을 수용하는 것은 DE-A-31 49 381 에도 제시되어 있다. 여러개 청정 공기 통로를 함께 구성하는 관통형 호스 바닥을 갖춘 먼지 공기 여과기가 DE-OS 25 36 568에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윗쪽으로 청정 공기 통로안으로 돌출한 지지 부품이 호스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꺼내고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만든 상태에서 여과기 호스가 보강재 테두리를 이용해 윗쪽으로 부터 이 지지부품안으로 받쳐져 있다.
나아가서 DE-OS 31 26 300에는 호스 외피( 外被 )를 갖춘 여과기를 기술하고 있는데, 이 외피에 돌림띠를 이용해서 지지 고리를 고정한다. 여기서 지지 고리는 돌림띠와 묶여져 있다.
기술( 技術 ) 상태별로 설명한 해결책에서 볼 때, 여과기통이나 호스 고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여기서는 고정장치 부품이 외부에서 여과기 호스나 여과기통 위에 배치되어 있는 한, 대부분의 경우에 이 고정장치 부품의 직경이 여과기 호스나 여과기통 자체보다 더 크기 때문에 조립과 분해가 힘들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술 ( 技術 ) 상태별로 설명한 단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과기통 고정장치와 여과기를 개선하는데 있다. 이 여과기에서는 특히 소위 상측이동 (Topremoval) 뿐만 아니라 하측이동 (Bottomermoval)이나 측면이동(Sideremoval) 에서도 여과기 케이스 내에서 호스형 여과기와 그 고정장치를 간단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다.
이 해결책은 청구범위의 특징들에 의해 실행된다. 장점이 되는 형태들은 후속 청구범위에 제시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기술상태를 근거로 볼 때, 다양한 세부 조사가 필요했는데, 이 조사가 진행되면서 발명에 따른 과제가 개별적으로 보더라도 해결될 수 없었고, 개괄적으로 보더라도 해결될 수 없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간단한 방법으로 여과기통의 호스 고정장치와 청정 공기실 밀폐 문제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 ( Top-removal )의 추가적인 도움을 받지 않고서도 현장에서 바로 신속하게 조립하고 분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나아가서 이제는 이런 부류의 구조물의 표준화 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여과기통을 직사각형으로 배치할 때 다른 고정부품들과 연결되어 각각 최대한 네 개의 여과기통이 자리 잡아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고정부품을 설치함으로써, 옆으로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간단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다. 고정부품 자체는 주로 여과기 케이스의 바닥이나 덮개 ( 중간바닥 )의 리브 ( rib ) 위에 자리 잡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다. 여과기통의 자리를 옮겨서 배치할 때, 고정부품의 수를 4개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면이동 (Side-removal)에서 그리고 특히 하측이동 (Bottom-removal)에서 여과기통 가장자리나 상부에 원추형 중심 보조장치를 예를 들어 꽂을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장점이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장치 부품이나 결합 장치 ( 예를 들어 판금 철재띠, 강철띠, 금속 결합장치 ) 와 호스를 동일한 재질로 만드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허용된 여과기 재질을 이용한다면 새로 검사할 필요가 없다.
여과기 호스와 여과기통을 결합하기 위해서, 고정홈에서 고정장치 부품이나 결합장치를 여과기 호스위로 배치할 뿐만 아니라, 여과기 호스테두리를 단단히 감싼후 바느질하거나 용접하거나 접착시키기도 한다.
고정홈이 있음으로 해서 야기되는 여과기통 직경의 감소는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기통이나 여과기 호스에서 압력 상태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여과기통 부착물에 이용하는 바닥이나 덮개 ( 중간바닥 )의 개구부 ( 開口部 ) 에 U자형 밀폐 부품이 배치되어 있어서, 천연 공기실과 청정 공기실 사이를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그런데 분사식( 噴射式 ) 밀폐부품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전체적으로 볼 때, 여과기 호스나 여과기통을 바닥 개구부나 덮개 개구부를 통해서 간단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물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렇게 끼워 넣은 다음에 후속적으로 약 20-30 °정도 회전하므로써 여과기통이 여과기 케이스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통 고정장치의 다른 변이형태에서는 여과기통 연결 부품에 설치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장력 ( 張力 )이 생기게 하는 것과 밀폐하는 것을 분리해서 할 수 있다. 특히 앞에서 기술한 대로 회전하는 것이 위험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 유리하다. 게다가 바닥에는 리브가 홈을 갖는 운동식 리브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렇게 되면 양철 조임장치 ( 고정부품 )가 필요없게 된다. 여과기통 연결부품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와 편심륜 제동 ( 偏心輪 制動 )을 이용하여 장력이 생기게 하고 밀폐시키기 위해서 안으로 돌려서 끼운다. 여과기통 연결부품의 받침면에서 재차 밀폐가 이루어진다.
장력 편심륜 (張力偏心輪)에 의해서 모든 여과기통을 좌우에서 연결대를 이용해 ( 순서대로 )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열( 列 )마다 최소한 두 개의 장력 편심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예를 들어 캐트리지 여과기에도 유사하게 전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1997년 6월 16일 (97. 06. 16) 국제 사무국에 접수됨.
    변경된 청구 범위 제 1 항 - 제 12 항에 의해서, 원래의 청구 범위 제 1 항 - 제 12 항이 대체됨 ( 3 페이지 )]
    여과기실의 공동 여과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며 최소한 한 개의 호스형 여과기 부품을 갖으며, 천연 공기실 ( 15 )이 덮개나 바닥에 의해서 청정 공기실 ( 13 )로 부터 분리되고, 여과기통 / 여과기통들 ( 5 ) 및 여과기 호스 ( 8 )를 중간바닥 안에 { 덮개 ( 1 ) 또는 바닥 ( 14 ) 에 } 끼워 넣어 고정시키며,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를 중간바닥에 나란히 고정시키기 위해서 중간바닥 가장자리에는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장력 연결대 ( 20 )가 갖추어져 있고, 그 연결대 ( 20 )는 수평 및 수직운동을 하면서 각각의 여과기통( 5 ) 높이 정도에 홈 ( 22 )을 갖는 리브로 설치되며 연결대 ( 20 )의 끝부분에는 장력 편심륜 ( 21 )이 구성되고,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는 홈 ( 22 ) 안으로 맞물리는 볼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형 여과기의 여과기통 고정장치
  2. 여과기실의 공동 여과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며 최소한 한개의 호스형 여과기 부품을 갖으며, 천연 공기실 ( 15 )이 덮개나 바닥에 의해서 청정 공기실 ( 13 )로 부터 분리되고, 여과기통 / 여과기통들 ( 5 ) 및 여과기 호스 ( 8 )를 중간바닥 안에 { 덮개 ( 1 ) 또는 바닥 ( 14 )에 } 끼워 넣어 고정시키며, 여과기통 ( 5 )을 끼워 넣기 위해서 덮개 ( 1 ) 또는 바닥 ( 14 )안에 있는 개구부의 필요한 숫자 만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고정부품이 갖추고,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 통 연결부품 ( 4 )에는 고정부품 ( 2 )과 상응하는 형상으로된 양각부 ( 7 )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형 여과기의 여과기통 고정장치
  3.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부품이나 결합장치를 갖는 여과기 호스 ( 8 )가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통 연결부품( 4 )에서 완전히 빼낼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고, 결합장치가 판금 철재띠( 6 )나 금속띠 또는 합성 수지띠로 되어 있고, 판금 철재띠 ( 6 )가 여과기 호스 ( 8 )자체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4.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 편평한 고정홈 ( 12 )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5.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덮개 ( 1 ) 또는 바닥 ( 14 )안에서 여과기통 ( 5 )의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을 끼워 넣는 개구부에 패킹 ( 9 )이 배치되고, 그 패킹이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과 덮개 ( 1 ) 또는 바닥 ( 14 ) 사이에 배치되거나, 그 패킹이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 자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6.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패킹 ( 9 )이 U자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7. 청구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여과기 호스 ( 8 )의 개구부에 가장자리 강화부품 ( 11 )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8. 청구범위 제 7 항에 있어서, 가장자리 강화부품 ( 11 )이 여과기 호스 ( 8 )의 가장자리를 단단히 감싼후 바느질하여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9. 청구범위 제 3 항과 제 7 항에 있어서, 여과기 호스 ( 8 )의 다른 개구부가 바닥면 없이 바느질되어 있거나 용접되어 있거나 접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10. 상기 청구항들 중 그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여과기통 연결부품( 4 )을 끼워 넣기 위해서 고정된 결합장치의 외부 직경이 중간바닥 ( 1, 14 )에 형성된 개구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11.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그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 원추형 중심 보조장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12.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여과기통 연결부품 ( 4 )에 받침면 ( 24 )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통 고정장치
KR10-1998-0705025A 1996-03-29 1997-01-07 여과기와여과기통고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26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2578A DE19612578C2 (de) 1996-03-29 1996-03-29 Filter und Filterkorbbefestigung
DE196125782.2 1996-03-29
PCT/CH1997/000003 WO1997036668A1 (de) 1996-03-29 1997-01-07 Filter und filterkorbbefesti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897A true KR19990076897A (ko) 1999-10-25
KR100426176B1 KR100426176B1 (ko) 2004-07-23

Family

ID=778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0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6176B1 (ko) 1996-03-29 1997-01-07 여과기와여과기통고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51334B1 (ko)
KR (1) KR100426176B1 (ko)
CN (1) CN1076208C (ko)
AT (1) ATE205412T1 (ko)
DE (2) DE19612578C2 (ko)
DK (1) DK0951334T3 (ko)
EA (1) EA000419B1 (ko)
ES (1) ES2162230T3 (ko)
TR (1) TR199801932T2 (ko)
WO (1) WO1997036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718A (en) * 1997-09-10 1999-12-28 H-Tech Filter cartridge holder and filter assembly equipped with same
AT504344B8 (de) * 2007-02-15 2008-09-15 Iag Ind Automatisierungsgmbh Leitungsfilter
US8066791B2 (en) * 2007-07-20 2011-11-29 Donaldson Company, Inc. Air cleaner arrangements with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for cartridge; components; and, methods
CN101954213A (zh) * 2010-10-13 2011-01-26 百瑞美特殊化学品(苏州)有限公司 新型袋式过滤器
DE102012005957A1 (de) * 2012-03-23 2013-09-26 Alantum Europe Gmbh Stützkorb für einen Schlauchfilter
KR102665025B1 (ko) * 2016-08-19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N106669249A (zh) * 2017-03-07 2017-05-17 昆山水立净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过滤袋的组装结构及具有该结构的袋式过滤器
CN109569131A (zh) * 2018-12-30 2019-04-05 洛阳博华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机芯的金属膜除尘器
CN111659175B (zh) * 2020-06-23 2021-12-03 张日 一种药渣过滤装置
CN111659174B (zh) * 2020-06-23 2021-11-16 王�锋 一种带有自动排渣功能的药液过滤装置
CN111659171B (zh) * 2020-06-23 2021-12-03 王美娟 一种药渣过滤沥水一体机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6852C (de) * 1947-09-10 1951-10-15 Marie Meyer Haltevorrichtung fuer Filtersaecke
DE1198790B (de) * 1963-08-19 1965-08-19 Putsch & Co H Kerzenfilter
DE1909213U (de) * 1964-10-08 1965-01-28 Franz Winterfeldt G M B H Filterschlauch mit einsatzstuecken zum einsetzen in die lochplatten von filtern fuer die staubabscheidung.
US3513638A (en) * 1968-03-08 1970-05-26 Henry T Young Filter
GB1282194A (en) * 1970-02-21 1972-07-19 Fuller Co Filter bag clamping apparatus
US3680285A (en) * 1970-11-23 1972-08-01 Hart Carter Co Modular bag-type filter for gases
US3885932A (en) * 1974-01-10 1975-05-27 Super Products Corp Dust filtration system
DE2536568A1 (de) * 1975-08-16 1977-02-24 Beth Gmbh Maschf Staubgasfilter
US4228012A (en) * 1978-10-26 1980-10-14 Pall Corporation End cap coupler system for linking one filter cartridge to another filter cartridge or functional member
CA1131566A (en) * 1980-12-04 1982-09-14 Francois Sicotte Removable air inducer, wire cage, and filter bag with hold down arrangement for industrial dust collectors collectors
DE8102411U1 (de) * 1981-01-31 1981-07-09 Degussa Ag, 6000 Frankfurt Schlauchfilter
DE3126300C2 (de) * 1981-07-03 1983-07-21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5160 Düren Filte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149381A1 (de) * 1981-12-12 1983-06-16 Beth GmbH, 2400 Lübeck "staubfilter"
DE3304135A1 (de) * 1982-03-11 1983-09-22 Adolf Dipl.-Ing. 3060 Stadthagen Margraf Schlauchfilter
US4411431A (en) * 1982-04-27 1983-10-25 Strokee Enterprises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DE3335938C1 (de) * 1983-10-04 1985-04-04 Sartorius GmbH, 3400 Göttingen Mehrteiliges Filtergehäuse zur Druckfiltration
US4618420A (en) * 1984-11-05 1986-10-21 Alopex Industries, Inc. Filter bag for pool cleaners
DE3501948A1 (de) * 1985-01-22 1986-07-24 Eugen Haag Maschinen- und Apparatebau, 7143 Vaihinen Staubfiltervorrichtung
DE3709365A1 (de) * 1987-03-21 1988-09-29 Fasse Filter Produktion Gmbh Filtertuchschlauch
DE3811929A1 (de) * 1988-04-09 1989-10-19 Walther & Cie Ag Haltevorrichtung fuer filterschlaeuche
US5167814A (en) * 1989-06-15 1992-12-01 Cuno, Incorporated Filter apparatus snap lock cartridge retainer
DE3939645C3 (de) * 1989-11-30 1996-03-21 Gore W L & Ass Gmbh Staubabscheider mit schlauchförmigen Filterelementen und Verfahren zum Wechseln derselben
DE9002547U1 (de) * 1990-03-05 1991-07-04 F.W. Oventrop KG, 5787 Olsberg Ölfiltereinsatz
DE4029994C2 (de) * 1990-09-21 1994-01-05 Herbert Huettlin Filterpatrone zum Entstauben von Gasen
DE4126320A1 (de) * 1991-08-08 1993-02-11 Gessner & Co Gmbh Anschlussadapter fuer filterkerzen
DE4212349C1 (ko) * 1992-04-13 1993-05-06 Bergwerksverband Gmbh, 4300 Essen, De
US5308369A (en) * 1993-04-28 1994-05-03 Griffin Environmental Company, Inc. Snap-in filter bag assembly for bottom loading in dust collector
GB9405650D0 (en) * 1994-03-22 1994-05-11 Scape Group Plc Filt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176B1 (ko) 2004-07-23
CN1214639A (zh) 1999-04-21
ATE205412T1 (de) 2001-09-15
EA199800875A1 (ru) 1999-02-25
EP0951334A1 (de) 1999-10-27
EP0951334B1 (de) 2001-09-12
ES2162230T3 (es) 2001-12-16
DE19612578A1 (de) 1997-10-02
DE19612578C2 (de) 1998-11-05
CN1076208C (zh) 2001-12-19
TR199801932T2 (xx) 1999-02-22
DK0951334T3 (da) 2002-01-28
DE59704622D1 (de) 2001-10-18
WO1997036668A1 (de) 1997-10-09
EA000419B1 (ru) 199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897A (ko) 여과기와 여과기통 고정장치
US4488889A (en) Air cleaner tank
US5792245A (en) Drying cartridge for air drying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compressed-air brake systems of vehicles
JP2605072B2 (ja) エアフィルタ装置
US5308485A (en) Integrated collar, filter bag, cage and locking ring assembly for baghouses
EP0787033B1 (en) Pressure-actuated radial air filter seal
US20080041026A1 (en) Air cleaner assembly; components; and, methods
US7670403B2 (en) Filter assembly and adaptor
US5053129A (en) Filter device
EP1307272B1 (en) Filter assembly
US5591338A (en) Fluid filter
JP2005046834A (ja) 支持コラムを有するフィルタ
KR20090086249A (ko) 필터 카트리지 조립체
US9810184B2 (en) Air filter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5238476A (en) Filter device, particularly intake air filter device for combustion engines
JP4377095B2 (ja) 立上り管を備えたフィルタ要素
KR20010080070A (ko) 공기처리기용 여과장치
US4848975A (en) Hopper system and clamping arrangement for a permeable membrane
CA2585656A1 (en) Air filter unit
EP4252887A1 (en) Filter system and filter element
CA1272967A (en) Fluid filter
JP6993122B2 (ja) 空気清浄化装置用のフィルタユニット
JPH0538804Y2 (ko)
EP4316627B1 (en) Air filter with improved handle
KR200149441Y1 (ko) 자동차 공기청정기용 에어엘리먼트의 가스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