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938A - 이동체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체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938A
KR19990072938A KR1019990006310A KR19990006310A KR19990072938A KR 19990072938 A KR19990072938 A KR 19990072938A KR 1019990006310 A KR1019990006310 A KR 1019990006310A KR 19990006310 A KR19990006310 A KR 19990006310A KR 19990072938 A KR19990072938 A KR 1999007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display
moving
displaying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아시기미야
다니코시고이치로
후타카와마사야스
후쿠다요시부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9007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9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06Monitoring of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눈에 배치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이동체 중에서 관련하는 이동체를 재빨리 제시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현장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연락대상을 검색하고, 또한 그 색출된 대상과 재빨리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체관리시스템은,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하여,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각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위치에, 각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체관리시스템{MOVING BODY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플랜트, 공장, 작업소, 사무소, 병원, 학교 등의 각종 시설의 여러 가지 장소에 존재하는 이동체의 관리를 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설 내에 산재하는 인원의 위치를 검지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이동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공장 등의 시설에서는, 그 내부에 있어서의 인원 소재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관리의 전형적인 예로서 입퇴장관리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입퇴장관리의 간단한 것으로서는, 행선지게시판에 행선지를 써 두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정말로 그 방이나 현장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쓰는 것을 잊거나 그 후의 변경 등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다른 관리방법으로서, 시설의 입퇴출구에 카드 리더를 설치하여, 입퇴출자는 각자의 카드를 카드 리더에 삽입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설 내의 인원의 관리를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입퇴출시마다 카드 리더에 카드를 삽입할 필요가 있고 입퇴출자에게 있어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시설이 다수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는 등의 경우에는 각 구획에 있어서의 입퇴출시마다 카드 삽입을 필요로 하여 번잡하다는 불편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 평8-329298호 공보 「입퇴장관리시스템」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무선기술을 응용하여 입퇴출을 관리하는 수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수법은, 각 입퇴출관리용 중계기지에 기억되어 있는 장소의 이름을 기억해 두고, 단말을 가진 사람이 그 중계기지에 접근하면 무선으로 그 단말의 ID를 검지하여 중앙의 표시기에 단말 ID에 대응한 사람의 이름과 검지한 중계기지에 기억되어 있는 장소의 이름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작업원이 아무것도 하지 않더라도 그 재실관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재적의 표시방법으로서, 이름을 리스트 업하여 각 성명 대응으로 행선지를 표시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인원의 배치상황을 한눈에 이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플랜트와 같이 다수의 작업원이 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리스트가 커져서 모두 쓸 수 없다. 즉, 일람성에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인물이 아니라 관심이 있는 현장의 작업원과 연락을 취하고 싶을 경우에도, 상기한 리스트표시로는, 다수의 작업원이 표시되는 리스트 중에서 일부러 그 현장에 있는 작업원이 누구인지를 이해하고 연락상대를 정하고, 그 사람에게 연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작업원이 다수의 현장에서 작업하고 있을 경우, 연락하고 싶은 현장에 있는 사람을 검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문제는 인원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한눈에 배치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이동체 중에서 관련하는 이동체를 재빨리 제시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현장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연락대상을 검색하고, 또한 그 색출된 대상과 재빨리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관리시스템의 하드웨어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운용상태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작업원마다 그 소재를 등록하는 작업원위치기억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기기마다 그 설치위치를 등록하는 기기위치기억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택 리더와 그 설치위치를 등록하는 리더위치기억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목표사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7a는 기기배치도의 표시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b는 작업원 배치의 표시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a는 기기배치도만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b는 기기배치도에 지정된 기기에 관련하는 작업원의 표시를 행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c는 복수의 관련하는 작업원을 리스트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기기의 지정을 접수하여 관련하는 작업원을 표시시키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표시되어 있는 작업원에게 연락을 취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작업원 표시도형에 대한 지정을 접수하여 작업원에게 연락을 취하기 위한 처리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관리시스템의 하드웨어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기위치기억표를 나타낸 설명도.
상기한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한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각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위치에 각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되어 있는 대상물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지시하는 입력을 접수하여 해당 지시된 대상물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현재 위치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되어 있는 이동체의 유무를 조사하여, 해당하는 이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상기한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위치에 해당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배치도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지시하는 입력을 접수하여 해당 지시된 영역 내에 현재위치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되어 있는 이동체의 유무를 조사하고, 해당하는 이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상기한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위치에 해당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장치는, 상기한 각 이동체에 탑재되고 각각 고유의 식별자를 갖는 자(子)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고 자장치가 검출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할 때, 해당 자장치가 가진 식별자를 검출하는 모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로서 특정 도형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로서 상기한 특정 도형에 인접하여 해당 이동체를 특정하는 명칭을 다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형태 외에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하면,
특정 영역 내를 이동하는 1 이상의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1 이상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장치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및 상기한 위치검출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대상물의 배치도 및 특정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중앙정보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정보처리장치에 대한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기억장치는, 배치도 중에 포함되는 각 대상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배치도를 표시하기 위한 도형정보 및 그 표시위치정보와, 검출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이동체를 상징하는 도형정보 및 그 표시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중앙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에 포함되는 특정 대상물을 지정하는 지시를 입력장치가 접수하면, 해당 지정된 대상물의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현재 위치가 있는 이동체를 검색하여, 색출된 이동체에 대해서만 그것을 상징하는 도형을 상기 표시장치의 그 표시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체 및 감시장치는, 서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상징하는 도형 중 어느 하나의 도형에 대하여 지정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그 도형에 의하여 상징되고 있는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통신장치를 거쳐 통신을 행하게 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 제 6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이동체 및 감시장치는, 서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배치도 중에, 상기 대상물을 상징하는 도형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또한 어느 하나의 대상물을 상징하는 도형에 대하여 지정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해당 도형이 상징하고 있는 대상물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어느 하나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 해당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통신장치를 거쳐 통신을 행하게 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이동체로서는 특정 영역 내에서 각종 작업을 행하는 작업원 등의 사람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적용례로서는, 특정 지역에 있는 사람의 현재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검출수단을 구비하고 그 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업원을 관리하는 인원관리시스템으로서, 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지역의 지도상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원관리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영역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의 관리에 적용된다. 그 중에서도 스스로의 의지로 이동하는 사람의 관리에 적합하다. 복수의 인원이 분포하는 시설, 예를 들어 철강플랜트, 원자력플랜트 등의 플랜트, 각종 생산공장, 빌딩관리 등에 있어서의 인원 관리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각종 기기류가 설치되고 사람이 그 근방에 소재할 가능성이 높은 시설 등에 있어서의 인원의 관리에 적합하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철강플랜트에 있어서의 작업원의 관리에 사용하는 인원관리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를 행하는 특정 영역으로서 철강플랜트의 일부에 포함되는 공장을 상정하고 있다.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2에 그 이용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인원관리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장치(1)에 배치되는 장치, 즉 중앙정보처리장치(100), 표시장치(200), 입력장치(300) 및 기억장치(400)와, 특정 영역으로서 상정되는 공장에 분산배치되는 위치검출장치(500)와, 작업원과의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기기(600), 즉 휴대단말(610), 휴대전화(620)로 구성된다. 감시장치(1)는, 구체적인 이미지로서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장치(200)로서 배치되는 대화면표시장치(210)와, 중앙정보처리장치(100) 및 기억장치(400)가 수용됨과 동시에 주변표시장치(220) 및 키보드(310)가 배치된 콘솔(10)로 구성된다.
중앙정보처리장치(100)는, 각종 정보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표시장치(200)에 있어서 표시시키는 화상을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120)와, 커뮤니케이션기기(60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130)를 갖는다. 제어부(110)는, 도시생략하고 있으나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한다.
이 CPU는 기억장치(400)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대상영역의 표시화상의 생성, 위치검출장치(500)로부터의 위치검지정보의 처리, 작업원의 위치표시, 작업원과의 연락처리 등을 실행한다. 그들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프로그램격납부(410)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110) 내의 메모리에 판독되어 실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CD-ROM 등의 기억매체에 의하여 제공되고, 도시생략한 CD-ROM 구동장치를 거쳐 기억장치(400)에 인스톨된다. 또한, 통신부(130)를 거쳐 통신에 의하여 받아들여 기억장치(400)에 격납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기동되고, 지시된 통신처에 대하여 기억장치(400)의 작업원위치기억표(420)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전화의 번호(423) 또는 휴대단말의 번호(424)를 취득하여 각각에 통신을 행한다. 통신처와의 교신은, 전화인 경우에는 도시생략한 전화기에 의하여, 또 휴대단말인 경우에는 해당 중앙정보처리장치(110)가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정보처리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중앙처리장치(100)의 외부에 독립된 통신장치를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장치(200)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화면표시장치(210)와 복수대의 주변표시장치(220)가 사용된다. 대화면표시장치(210)는, 대상영역 전체를 한번에 눈으로 볼 수 있는 크기로, 또한 복수로서 동시에 감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감시장치(1)의 벽면 가득히 설치할 수 있다. 주변표시장치(220)는, 대형 화면의 전부 영역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에 사용되는 것 외에, 특정 기기마다 표시하거나 특정 영역을 확대표시하거나, 나아가서는 대화면표시장치(210)와는 다른 내용을 표시하거나 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
입력장치(300)로서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키보드(310), 도 1에 나타낸 마우스(320)가 사용된다. 키보드(310)는, 예를 들어 작업원명의 등록, 변경, 삭제, 새로운 택의 정의 등, 여러 가지 데이터의 편집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마우스는 화면중의 특정 대상의 지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입력장치(300)는, 중앙정보처리장치(100)에 대한 지시의 입력 등의 각종 조작에 사용된다.
기억장치(400)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장치로 구성된다. 물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기억장치(4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격납부(410) 외에 각종 데이터가 격납된다. 즉, 작업원의 위치, 그 작업원의 표시도형, 그들을 링크시키는 정보 등의 작업원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작업원위치기억표(420)와, 기기의 위치, 그 기기의 표시도형, 그들을 링크시키기 위한 정보 등의 기기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기위치기억표(430)와, 택 리더(510)의 특정, 그 설치위치, 그 택 리더에 종속할 아이콘의 표시위치 등의 택 리더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리더위치기억표(440)가 기억영역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기억장치(400)에 격납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부(110)에 내장된 메모리에 기억시켜도 된다.
위치검출장치(500)는, 모장치로서 기능하는 복수대의 택 리더(510)와, 자장치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무선 택(520)으로 구성된다. 각 택 리더(510)는 각각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다. 무선 택(520)은 위치를 검출할 사람마다 준비해 둔다. 택 리더(510)와 무선 택(520)은 무선통신에 의하여 교신한다. 무선주파수는, 예를 들어 2.45GHz, 2.455GHz(10mW/MHz) 대역의 전파가 할당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택 리더(51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및 무선 택(520)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에 동일한 주파수가 할당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택 리더(510)로부터의 전파와 무선 택(520)으로부터의 전파에 각각 다른 주파수를 할당해도 된다. 또, 무선 택(520)이 그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항상 송신하는 전파와, 택 리더 및 무선 택의 교신을 위한 전파를 다른 주파수로 해도 된다.
각 택 리더(510)는, 무선 택(520)을 검출할 위치에 배치된다. 각각의 택 리더(510)가 무선 택(520)을 검출할 영역을 미리 정해 둔다. 이것은, 예를 들어 무선 택(520)의 전파강도와의 관계에서 감도를 설정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무선 택(520)과 택 리더(510)의 무선교신범위는 택 리더의 설치밀도 및 위치정밀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또, 무선 택(520)에 대해서도 택 리더(510)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설정해 둔다. 예를 들어 수미터 정도로 한다. 이에 따라, 어느 택 리더(510)의 반경 수미터 범위에 어느 하나의 무선 택(520)이 존재하는 경우, 그 무선 택(520)이 해당 택 리더(510)에 인식되게 된다.
택 리더(510)의 배치는,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설치물 등의 대상물, 예를 들어 공장이라면 각종 작업기기의 설치위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로 되는 기기 근방에 검출위치가 설정되기 때문에, 표시화면상에서 작업원의 위치를 기기 배치와의 관련으로 파악하기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통상, 작업원은 각종 작업기기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일이 많기 때문에, 통상 소재하는 위치에 위치검출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또 특정 작업원이 아니라 특정 기기에 관련하는 어느 한 작업원과 연락을 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편리하다. 예를 들어, 도금 담당자라면, 그 위치에 소재하고 있는 누구라도 좋다고 한 경우에는 특정인을 지정하여 호출하는 것보다 해당 기기를 키로 하여 관련하는 것을 호출하는 쪽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택 리더(510)는, 특정 설치물 근방 외에 또는 그 대신에 일정한 위치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이 어느 정도 구획되어 있는 등의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택 리더(510)를 설치하여 각 구획마다 사람의 위치검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무선 택(520)은 검출할 사람마다 대응하여 설치된다. 무선 택(520)을 각 사람이 휴대함으로써 각각의 사람이 휴대하고 있는 무선 택(520)에 의해 식별된다. 이 무선 택(520)은, 그 자체가 독립된 장치이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단말은 무선 택 부착 휴대단말(630)로 된다.
무선 택(5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택 리더(510)와 무선교신하기 위한 송수신부(521)와, 택 리더(510)로부터의 교신에 답하여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부(522)와, 정보처리부(522)의 처리프로그램 및 해당 무선 택에 부여된 식별자(택 ID)를 기억하는 메모리(523)를 갖는다.
송수신부(521)는, 해당 무선 택(520)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일정 주파수의 전파를 항상 송신함과 동시에, 택 리더(510)로부터의 문의전파가 도래하면 그것을 수신하여 복조하고 문의신호를 인출하여 정보처리장치(520)로 보낸다. 여기서, 존재를 알리기 위한 전파는 항상 출력되나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계속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으면 된다.
정보처리장치(520)는, 송수신부(521)가 택 리더(510)로부터의 문의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523)에 격납되어 있는 해당 무선 택(520) 고유의 택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여 이것을 송수신부(521)로 보낸다. 송수신부(521)에서는 택 ID를 할당되어 있는 반송파에 실어 송신한다. 택 ID의 송신은, 예를 들어 반송파를 위상변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각 택 리더(510)는, 신호선(700)을 거쳐 제어부(110)에 접속된다. 즉, 각 택 리더(510)는, 무선 택(520)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일정주파수의 전파를 검지한다. 그 전파가 어느 일정 이상의 레벨이 되면 해당 무선 택(520)과 교신을 행하여, 무선 택(520)으로부터 그 택(520)에 기록되어 있는 ID 번호를 획득한다. 무선 택(520)을 검출하면, 신호선(700)을 거쳐, 검출한 무선 택(520)의 택 ID와 함께 해당 택 리더(510)의 위치정보를 제어부(110)에 송신한다. 이 택 리더(510)는, 도시생략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무선 택(520)과의 무선교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무선 택과의 교신 및 검지정보의 송신 등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부와, 정보처리부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기기(600)는, 작업자가 휴대하여 감시장치(1)와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위한 기기이다. 이 커뮤니케이션기기(600)로서는, 예를 들어 소형컴퓨터로 구성되는 휴대단말(610), 휴대전화(620) 등이 사용된다. 이 외에 무선 택(520)을 내장한 휴대단말, 즉 무선 택 부착 휴대단말(630)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억장치(400)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의 상세에 대하여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 4, 5에 나타낸 각종 데이터의 격납구조는, 어디까지나 각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 인쇄장치로 출력한 경우에 그와 같이 배치되리라는 상태를 상정하여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이 상태로 격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 격납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다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리더위치기억표(440)의 기억내용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더위치기억표(440) 내에는 각 리더(510)의 번호를 나타낸 리더번호(441)와 각소에 설치되어 있는 택 리더(510)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설치위치(442)와, 후기하는 작업원을 상징하는 도형을 구성하는 화상요소를 표시장치상에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표시위치(44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리더위치기억표(440)의 기억내용은, 택 리더(510)의 설치시에 그 내용이 결정되어 입력장치(300) 등을 거쳐 입력되어 기억된다.
작업원위치기억표(420)는, 작업원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이 작업원위치기억표(42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작업원의 이름(421) 및 작업위치(422) 외에, 통신부(130)를 사용하여 현장작업원(424)과 연락을 행하기 위한 정보(휴대전화번호 423, 휴대단말의 IP 어드레스 424)와, 각 작업원에 대응한 무선 택(520) 내에 기억되는 택 ID(425)와,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각 작업원을 나타내는 작업원표시도형(화상요소)(426) 및 그 표시위치(427)가 격납된다. 이들 정보 중, 작업원명(421), 휴대하는 각 기기의 정보(휴대전화번호 423, 휴대단말의 IP 어드레스 424, 무선 택 ID 번호 425) 및 표시도형(426)은 미리 각 작업원마다 설정되어 있다. 상기 작업원표시도형(426)에는, 그 작업원표시도형을 표시할 영역의 표시크기인 폭, 높이의 정보도 포함한다. 이것은 작업원표시도형을 아이콘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지시를 접수하는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이것은 후기하는 기기표시도형을 포함하여 도형을 아이콘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하다.
기기위치기억표(430)는, 기기 배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이 기기위치기억표(43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기의 명칭(431)과 , 그 기기가 실제로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기기위치(432)와, 표시장치(200)에 표시하는 기기의 화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 기기를 나타내는 기기표시도형(화상요소)(433) 및 그 표시위치(434)가 격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정보는 미리 각 기기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한, 표시도형(화상요소)의 정보는, 따로 도형파일을 마련하여 그 도형파일중에 격납하고, 작업원표시도형(426), 기기표시도형(433)에는 각각 해당하는 도형파일의 격납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격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택 리더(510) 등의 각종 기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정보는, 대상영역에 대하여 미리 어드레스를 할당함으로써 정의된다. 즉, 대상 영역에 대하여 격자형상으로 좌표를 설정해 둔다. 기기의 설치위치는 이 좌표에 의하여 정의된다. 예를 들어, 리더위치기억표(440)의 설치위치(442)에 대하여 (Tx1, Ty1), 기기위치기억표(430)의 기기위치(432)에 대하여 (x1, y1) 및 작업원위치기억표(420)의 작업원위치(422)에 대하여 (Px1, Py1)과 같이 정의하여 격납한다. 표시장치(200)에서의 표시를 위해서는 표시화면 내에서의 위치를 정의하는 화면좌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리더위치기억표(440)의 아이콘표시위치에 대하여 (Vtx1, Vty1), 기기위치기억표(430)의 기기표시위치(434)에 대하여(Vx1, Vy1) 및 작업원위치기억표(420)의 작업원표시위치(427)에 대하여 (Vpx1, Vpy1)과 같이 정의하여 격납한다. 또한, 작업원표시위치(427)는 리더위치기억표(440) 내의 아이콘표시위치(443)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기억표(420, 430 및 440)에 의하여 실제 영역에서의 좌표와 표시화면상의 좌표가 대응하여 격납되게 된다. 따라서, 실제의 설치위치와 화면상의 위치가 서로 변환할 수 있다.
설치위치의 좌표를 정하기 위하여, 각종 기기에 대하여 각각의 기준위치를 정해 둔다. 그리고, 기기를 설치하였을 때에, 각각의 기기의 기준위치가 놓여져 있는 좌표를 각각의 기기의 설치위치로 한다. 기준위치로서는, 작업원이 통상 소재하는 일이 많은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형기기, 길이가 긴 기기 등의 경우에는 기준위치를 복수 설치해도 된다. 이에 대응하여, 화면에 있어서도 작업원을 표시할 위치가 복수 개소로 되도록 설정한다. 이들 기기의 기준위치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관련하는 작업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키로서 기능하는 검색키포인트(검색기준점)로 된다. 또, 기기를 검색키포인트로 하는 이유는, 각종 시설에서는 기기의 배치도가 준비되어 있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것을 표시로서 이용함으로써 검색키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배치도에 올려놓여진 것 같은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치도상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택 리더(510)를 단독으로 설치하고 그것이 설정되어 있는 점이 포함되는 영역을 지시하면 그 위치가 검색키포인트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표시장치(200)의 표시화면, 특히 대화면표시장치(210)에 표시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기억장치(400) 내의 기기위치기억표(430)에 의거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기의 배치도를 생성하여 프레임 메모리(120)에 해당 화상을 기록한다. 또, 작업원위치기억표(420)에 의거하여, 상기한 프레임 메모리(120)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의 배치도상에 작업원의 도형 및 이름을 해당하는 위치에 기록한다. 프레임 메모리(12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트맵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방법과 동일하게 화면좌표계(스크린좌표계)로 표시를 관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수속으로 프레임 메모리(120)에 기기배치도 및 작업원을 그래피컬하게 표시하기 위한 화상을 묘화(描畵)한다. 프레임 메모리(120)에 격납되는 화상은 일정 주기로 판독되어 표시장치(210)에서 표시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을 운용함에 있어서 미리 행해야 할 준비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상으로 되는 공장의 기기배치도와, 거기에 작업원의 표시를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을 행하는 준비작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한 세 개의 기억표(420, 440 및 420)에 대하여 각각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해 둔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고정적인 데이터를 격납해 둔다.
먼저, 기기배치도를 마련하기 위한 기기위치기억표(430)에 필요한 데이터를 격납한다. 즉, 대상영역인 공장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명(431)과, 그것을 설치할 위치인 기기위치(432)와, 기기를 표시하는 도형 및 그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기표시도형(433)과, 각 기기의 기기표시위치(434)를 입력한다. 각 코드 데이터는, 키보드(310)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 외에, 기기설치도면을 스캐너로 읽어들여 표시장치(200)의 표시화면에 표시시켜 편집을 행하면서, 상기한 각종 데이터를 정의함으로써 입력해도 된다. 그 때, 기기의 도형에 대해서도 표시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로부터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대상인 공장의 설계데이터가 컴퓨터에 의하여 작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집어넣음으로써 입력해도 된다. 물론, 기기의 표시도형을 작도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도하거나 기기의 이미지화상을 스캐너로 집어넣어 그것들을 격납해도 된다. 표시화면상에는 각 기기를 배치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기배치도를 구성한다.
또, 각 기기의 배치는 표시화면의 제약 때문에 실제의 배치대로는 되기 어렵다. 그래서, 표시장치(200)의 표시화면상에서 기기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보기 쉬운 화면으로 하는 편집작업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화면표시의 편집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기기표시도형의 위치 변경은 기기위치기억표(430)의 해당 개소를 고쳐쓰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위치의 변경은, 예를 들어 표시화면상에서 마우스(310) 등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기기를 이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은, 예를 들어 입력장치(300)에 의하여 지정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 리더(510)의 위치를 기록하는 리더위치기억표(440)의 입력을 행한다. 이 표에서는, 배치되는 각 택 리더를 식별하기 위하여, 미리 정한 식별자(본 실시형태에서는 번호 441) 및 그 설치위치(442)의 좌표를 입력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키보드(310)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택 리더(510)에 바코드를 붙여 이것을 바코드 리더로 판독함으로써 각 택 리더(510)의 식별자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각 택 리더에 대응하여 표시할 작업원 아이콘의 표시위치(443)에 대해서도 입력한다. 아이콘표시위치(440)는 복수 설정할 수 있다. 또, 이 위치는, 표시장치(200)의 표시화면상에서 보기 쉬운 위치를 마우스(310) 등에 의하여 지정함으로써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작업원위치기억표(420)의 입력을 행한다. 여기서는 미리 알고 있는 사항에 대하여 입력한다. 즉, 작업원명(421)과 휴대전화의 번호(423)와 휴대단말의 번호(424)와 각 작업원에 할당되어 있는 무선 택(520)의 택 ID(425)와 작업원의 위치를 도시함과 함께, 연락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구성하는 작업원표시도형 및 그 표시영역(426)을 입력한다. 여기서, 작업원표시도형은 상기한 기기표시도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도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도하거나 스캐너로 이미지를 집어넣는 등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은, 예를 들어 입력장치(300)에 의하여 지정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여 작업원의 관리를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각 작업원은, 각각의 작업원마다의 ID 번호를 기록한 무선 택(520)과, 연락용 휴대전화(620) 또는 휴대단말(610)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이동체인 작업원에게 무선 택을 가지게 함으로써 마치 무선 택이 이동하고 있는가와 같이 설정한다. 이에 따라, 무선 택의 소재를 검지함으로써 그 소지자인 작업원의 소재를 관리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 휴대단말을 소지시킴으로써 그 소지자와 직접 연락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도 7a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여 프레임 메모리(120) 상에 기기의 배치도를 생성한다. 기기위치기억표(430)에 기억하고 있는 전 기기에 대하여 선두의 기기부터 차례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처리 601). 기기위치기억표(430)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표시도형(433)과 기기표시위치(434)를 인출한다(처리 602). 제어부(110)는 인출한 기기표시도형(433)을 기기표시위치(434)에 상당하는 프레임 메모리(120) 상의 위치에 묘화한다(처리 603). 이에 따라, 도 6과 같은 실제의 기기 위치에 대응한 배치도가 프레임 메모리(120)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작업원위치기억표(420)에 의거하여 도 7b에 나타낸 수법을 사용하여 상기한 프레임 메모리(120)의 배치도상에 작업원의 위치를 묘화한다. 제어부(110)는, 작업원위치기억표(420)에 기억되어 있는 전 작업원의 정보에 대하여 차례로 하기의 처리를 행한다(처리 701). 작업원위치기억표(420)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원표시도형(426)과 작업원표시위치(427)를 인출하여 프레임 메모리(120) 상의 작업원표시위치(427)에 상당하는 위치에 작업원표시도형(426)을 묘화한다(처리 702). 또한, 작업원의 구별을 행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작업원의 이름(421)을 작업원위치기억표(420)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원표시도형(426)을, 도 6에 나타낸 표시형태로 되도록 기록한다(처리 705).
단,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작업원이 동일 장소에 있는 경우가 있다(처리 703). 그 경우에는, 전에 프레임 메모리(120)에 기억한 영역의 바로 옆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위치를 바꾸어 묘화한다(처리 704). 이에 따라, 복수의 작업원이 동일 장소에 있음을 명시한다. 프레임 메모리(120)의 기억내용은, 그대로 비디오신호로 변환되어 대화면표시장치(210)에 출력된다. 또한, 복수 명이 동일 기기의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작업원표시도형을 한사람분만 표시하여 각각의 이름을 해당 사람 수만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복수명일 경우, 한사람분만 대표하여 표시하고 외 몇 명과 같이 부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대표자만 표시하는 경우에는 외 몇 명의 영역을 특별하게 정의하여 그 부분을 마우스포인터로 지시하면 그곳에 소재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예를 들어 윈도우로 리스트표시하도록 해도 된다(도 8c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많은 작업원이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등의 장소에 있어서 작업원 소재 표시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표시화면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기기 주변에 소재하는 사람이 그 기기의 담당자라고는 한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작업원표시도형을 마우스포인터로 지시하면 그 사람이 담당자인지의 여부, 그 사람의 소속 등을 윈도우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데이터는, 작업원위치기억표에 작업원 속성 항목을 마련하여 미리 기억해 두면 좋다.
이 상태로, 각 택 리더(510)는 무선 택(520)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일정주파수의 전파를 검지한다. 이 전파의 검지는 항상 행한다. 어느 한쪽의 무선 택으로부터의 전파가 입력되고 그것이 어느 일정 이상의 레벨이 되면, 리더(510)는 무선 택(520)과 교신을 행한다. 즉, 무선 택(520)에 대하여 문의신호를 발한다. 그에 응답하여, 무선 택(520)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그 전파에 실려져 있던, 그 택(520)에 기록되어 있는 ID 번호를 획득한다. 택 리더(510)는, 검지한 무선 택(520)의 ID 번호를, 중앙정보처리장치(100)의 제어부(1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알린다.
제어부(110)는, 전송해 온 택 리더(510)의 번호를 키로, 리더위치기억표(440)를 검색하여 택 리더(510)의 설치위치(442)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무선 택(520)이 검지한 택 리더(510)의 설치위치(442)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는 후기의 작업원위치기억표(420) 내의 작업원위치(422)로서 기억한다. 또, 설치위치(442)에 대응하는 아이콘표시위치(443)는, 작업원위치기억표(420) 내의 작업원표시위치(427)로서 이용된다. 무선 택(520)의 경우, 수미터 정도의 범위에 들어간 곳에서 전파를 검출할 수 있고, 무선 택(520)을 검출범위마다 배치해 두면 수미터 단위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정기적으로 위치검출장치(500)에 상기의 검출결과 송신요구를 전 택 리더(510)에 대하여 행하고, 전 작업원의 현재 위치를 위치검출장치(500)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원위치(422)를 갱신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은 항상 최신의 작업원 위치를 파악한다.
제어부(110)는, 검출한 무선 택(520)이 어떤 작업원에 대응하는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위치검출장치(500)로부터 검출한 무선 택 ID를 키로 작업원위치기억표(420)의 택 ID(425)를 검색하고, 검출한 무선 택(520)을 휴대하는 작업원을 특정한다. 작업원을 특정하면, 제어부(110)는 검출한 무선 택 ID 번호를 전송해 온 택 리더(510)의 설치위치(442)를 리더위치기억표(440)로부터 인출하여 그 설치위치(442)를 작업원위치기억표(420) 내의 작업원위치(422)로서 기록한다. 동시에, 리더위치기억표(440) 내의 아이콘표시위치(443)를 작업원위치기억표(420) 내의 표시위치(427)로서 기억한다.
상기의 수법에 의하여, 사용자(감시장치 1에 있는 관리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화면표시장치(210)에 있어서 현재의 작업원의 위치를 그래피컬하게 볼 수 있고 재빨리 작업원의 배치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즉, 공장의 기기가 라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그림과 각종 기기 주변에 소재하는 사람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기기로서는 공급롤(211), 용접기(212), 로(爐)(213), 도금(214), 제 1 롤(215), 제 2 롤(216), 전단기(217) 및 감아들이기롤(218)이 라인형상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또, 작업원은, 작업원표시도형(251)과, 그것이 나타내는 특정 개인명(252)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야마다씨가 공급롤(211) 근방에, 스즈키씨가 용접기(212)와 로(213) 사이에, 사토씨가 제 2 롤(216) 후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런데, 원자력플랜트 등의 대규모플랜트에서는, 매우 많은 현장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순히 작업원을 전원 표시한 것으로는, 화면상에서 다수의 작업원 도형이 한번에 표시되어 번잡해지게 된다. 그래서, 맨 처음부터 작업원을 전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맨 처음에는 도 8a와 같이 기기배치도만을 표시하고 그 배치도상에서 기기를 지정함으로써,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기 근처에서 작업하는 작업원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a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장치(300)인 마우스포인터(321)로 표시장치(200)에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내의 기기, 예를 들어 제 2 롤(216)을 마우스(320)의 왼쪽버튼으로 지정하면, 도 9와 같은 수속을 취하여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한 기기 근처에 있는 작업원의 작업원표시도형(251) 및 이름(252)을 표시한다. 이것은, 지정된 기기에 관련하는 작업원 이외의 작업원 데이터를 마스크하고 마스크되어 있지 않은 작업원 데이터만을 표시하도록 하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 기기 이외에 대상 영역에 대하여 정의되는 장소에 대하여, 지정된 장소에 관련하는 작업원만을 표시하고 그 이외의 장소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마스크하여 표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마우스(320) 등의 입력장치(300)에 의해 입력되는 것은 화면좌표계의 위치이다.
제어부(11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위치기억표(430)에 기억된 전 기기에 걸쳐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처리 901). 먼저, 기기의 기기표시위치(434)와 기기표시도형(433)을 인출한다(처리 902). 다음으로, 입력된 좌표위치와 기기표시위치(434)와 표시도형(433)의 크기(표시영역의 크기)로부터 입력좌표가 해당 기기를 지정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처리 904). 상기의 처리를 입력된 기기가 특정될 때까지 행한다(처리 905, 902).
기기가 특정되면, 제어부(110)는 기기위치기억표(430)로부터 기기위치(432)를 인출한다(처리 907). 그리고, 작업원위치기억표(430) 내의 전 작업원에 대하여, 작업원의 작업위치(422)가 기기위치(432)의 기준영역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거리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처리 908), 지정된 기기의 주변에 있는 작업원을 리스트 업한다(처리 909). 제어부(110)는, 또한 보기 쉽도록 작업원위치(422)가 기기위치(432)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작업원을 분류함과 동시에 분류한 결과를 표시한다(처리 910). 표시는, 도 8b와 같이 대화면표시장치(210)에 의해 화면상에 작업원표시도형(426)으로 표시해도 되고 표 형식으로 표현해도 된다.
상기의 기기를 지정하는 방법에 따라, 작업원이 다수 있는 경우이더라도 관심이 있는 작업원만을 표시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원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정된 기기 주변에 소재하는 복수의 사람들을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윈도우(253)에 의하여 리스트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윈도우(253) 내에서는 작업원을 기기에 가까운 순 또는 담당자의 서열순으로 분류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작업을 행하고 있으면 작업원과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320) 등의 입력장치(마우스 320의 오른쪽 버튼)를 사용하여 마우스포인터(321)로 작업원표시도형(251)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도 11의 처리(1101 내지 1105)에 나타낸 처리에 따라 그 지정한 작업원과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300)에 의해 입력되는 것은 화면좌표계의 위치이다.
그래서, 제어부(110)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이 눌려지면, 작업원위치기억표(420) 내에 기억하고 있는 전 작업원에 대하여 작업원의 작업원표시위치(427)와 작업원표시도형(426) 내의 도형의 크기를 인출하고, 입력된 화면좌표가 어떤 작업원을 지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처리 1101, 1102, 1103). 작업원이 발견되면, 제어부(110)는, 작업원위치기억표(430) 내의 휴대단말(434)과 휴대전화(433)의 번호를 인출하고(1104) 통신부(130)를 사용하여 연락을 개시한다(1105). 이에 따라, 공간적인 감각을 이용하여 재빨리 연락하고 싶은 작업원을 발견하여 그 사람과 연락을 개시할 수 있다.
연락 방법으로서, 특정 작업원이 아니라 기기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320)의 오른쪽 버튼이 눌려지면, 도 11에 나타낸 처리(1106 내지 1115)와 같이 작업원위치기억표(430) 내의 정보뿐만 아니라 기기위치기억표(430) 내의 전 기기에 대해서도 기기의 위치(432)와 마우스(320)로 입력된 화면좌표계 위치를 도 9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하고 마우스(320)로 기기가 지정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처리 1106 내지 1110). 만약, 기기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후반 처리와 동일하게 그 기기 주변의 작업원을 특정하고(처리 1111 내지 1114) 그 특정된 작업원 전원의 휴대단말(434)과 휴대전화(433)의 번호를 인출하여 통신부(130)를 사용하여 연락을 개시한다(처리 1115). 이에 따라, 작업원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기기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또, 기기 근처의 사람에게 동보적(同報的)으로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에, 표시장치(200)상에서 기기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연락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기기를 지정하는 방법은, 도 8a와 같이 표시장치(210)상에 작업원의 표시가 없는 경우이더라도 유효하다. 도 8a와 같은 표시상태에 있어서, 마우스포인터(321)로 기기를 나타내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도 11의 처리가 작동하여 기기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자동적으로 연락이 닿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방법을 약간 변경하여, 도 11의 마지막 스텝(1115)에 있어서 기기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도 11의 처리에서 검출한 작업원을 분류하고 그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연락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기기의 표시도형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그 기기에 가장 가까운 작업원에게 연락할 수 있다. 이들 예에서는, 사용자는 관심이 있는 기기만을 선택하면 되고 작업원을 선택할 필요는 없어, 사용자의 작업부하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작업원이 복수 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윈도우(253)에 의하여 리스트표시하여 어느 쪽의 작업원에게 연락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리스트에 순위를 설정해 두고, 보다 높은 순위의 작업원부터 연락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리스트 전체를 지시함으로써 리스트 전원에 대하여 동보(同報) 통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작업원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 그들 전부 또는 일부를 지시함으로써 지시된 작업원에 대하여 동일 통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기기의 표시도형이 커맨드를 기동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기기의 표시도형에 대하여 정의되는 커맨드로서는, 예를 들어 해당 기기 근방에 소재하는 사람만 작업원위치기억표에서 색출하는 것, 근방에 소재하는 작업원 데이터에 대해서만 분류하는 것, 통신을 기동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도 11의 예에서는, 연락하는 것을 기기표시도형(433)이나 작업원표시도형(426)을 선택하였을 때의 동작으로서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휴대단말에 대한 알람표시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열차, 자동운반장치 등과 같은 이동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가 설치물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던 점에서 다르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시스템에, 다시 기기위치갱신장치(800)를 설치함과 동시에 무선 택(520)을 이동하는 기기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 각 택 리더(510)에, 무선 택(520)으로부터 보내지는 택 ID가 작업원의 것인지 기기의 것인지를 구별하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이 기능은, 각 택 리더(510)의 정보처리부에 택 ID의 판정기능을 설정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 택 리더(510)가, 사람이 휴대하는 무선 택 외에 이동하는 기기에 부가된 무선 택(520)으로부터의 택 ID를 택 리더(510)에 의하여 판독하도록 한다. 이 때, 택 리더(510)는 각 기기에 부가된 ID 번호를 근거로 작업원인지 기기인지를 판정한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위치기억표(430)는, 제 1 실시형태의 것에 이동하는 기기의 무선 택(520)의 택 ID를 기억하는 영역(435)이 더욱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택 리더(510)에 있어서의 작업원인지 기기인지의 판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기에 설치한 택 ID의 리스트를 메모리 속에 격납하거나 기기용 택 ID 자체를 특별한 코드로 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작업원용 택 ID를 P1 등과 같이 P의 기호와 숫자로 표시하고, 기기용 택 ID를 M1 등과 같이 M의 기호와 숫자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기기위치변경장치(800)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프로세서로 구성되고 기억장치(400)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기기위치변경장치(800)는, 정기적으로 위치검출장치(500)로 검출되고 있는 택 ID를, 검출한 택 리더(510)의 설치위치정보와 함께 체크한다. 또, 검출한 택 ID를 근거로 기기위치기억표(430) 내의 기기를 특정하여, 기기위치기억표(430) 내의 기기위치(432)를, 검출한 리더(510)의 설치위치(442)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이동하는 기기가 그 위치를 검출한 택 리더(510)의 근방에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이동하는 기기에 관련하는 작업원이 그 이동하는 기기 근방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그 이외의 처리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의 수법에 의하여, 이동하는 기기가 존재하는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원의 관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기기위치갱신장치(800)로서, 독립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기위치갱신장치(800)의 처리를 중앙정보처리장치(100)에 의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택 리더(510)에 있어서, 이동하는 기기와 작업원을 구별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기와 작업원을 중앙정보처리장치(100)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위치검출장치(500)로서 무선 택에 의한 위치검출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PHS, 무선 LAN의 통신기지국의 설치위치에 의거하는 위치검출, PHS나 GPS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복수 지점으로부터의 전파의 전계강도나 위상 차(差)에 의한 위치검출,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위센서, 가속도센서 등에 의한 위치검출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작업원의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상영역중에, 기기와는 관계없이 택 리더를 설치하여 그 위치를 특정 검색키포인트로 하여 인원의 소재관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표시화면에 있어서 적당한 닫힌 도형을 그려 그 속에 택 리더가 소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검색키포인트로 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 내에 작업원이 소재하고 있는지를 작업원위치기억표를 검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억장치를 중앙정보처리장치의 외부부착장치로 하고 있으나 내장장치이더라도 좋다. 또, 복수의 기억장치로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원을 개별적으로 위치검출함과 동시에 검출한 위치에 도형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상에 인원의 분포를 일람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원의 표시를 마스크해 두고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사람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배치도의 기기 지정을 키로 하여 해당 기기에 관련이 있는 사람만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복수명을 대표하여 표시도형을 표시하여, 해당 표시도형을 지시된 경우, 관련하는 복수명을 예를 들어 윈도우에 의하여 리스트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공간적인 감각을 이용하여 재빨리 연락하고 싶은 작업원을 발견하고 그 사람과 연락을 개시할 수 있다.
(2) 기기를 지정함으로써 관련이 있는 작업원만을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3) 작업원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기기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거나, 또 기기 근처의 사람에게 동보적으로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에 표시장치상에서 기기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연락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4) 기기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작업원을 특정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기기 근처의 작업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
(5) 작업원이 복수 소재하고 있는 경우에, 기기를 지정함으로써 또는 대표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작업원도형을 지정함으로써 관련하는 작업원을 리스트표시할 수 있다.
(6) 이동하는 기기에서 작업하는 작업원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작업관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눈에 배치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 다수의 작업원 중에서 관련하는 작업원을 재빨리 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연락상대를 검색하고, 또한 그 검색한 작업원과 재빨리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5)

  1.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한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각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위치에 각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2.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되어 있는 대상물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지시하는 입력을 접수하여 해당 지시된 대상물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현재 위치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되어 있는 이동체의 유무를 조사하여, 해당하는 이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상기한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위치에 해당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3.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1 이상 소재하는 이동체 각각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배치도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지시하는 입력을 접수하여 해당 지시된 영역 내에 현재위치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되어 있는 이동체의 유무를 조사하여, 해당하는 이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상기한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의 위치에 해당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장치는, 상기한 각 이동체에 탑재되고 각각 고유의 식별자를 갖는 자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고 자장치가 검출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할 때, 해당 자장치가 가진 식별자를 검출하는 모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로서 특정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상징하는 정보로서 상기한 특정 도형에 인접하여 해당 이동체를 특정하는 명칭을 더욱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하나의 모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체가 검출된 경우에 각 이동체를 상징하는 도형을 각각 위치를 어긋나게 한 상태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하나의 모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체가 검출된 경우에 어느 하나의 이동체에 대하여 그것을 상징하는 도형을 대표적으로 표시하고, 해당 도형에 대하여 지시를 접수하면 복수의 이동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체 및 감시장치는, 서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상징하는 도형 중 어느 하나의 도형에 대하여 지정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그 도형에 의하여 상징되고 있는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통신장치를 거쳐 통신을 행하게 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체 및 감시장치는, 서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배치도 중에, 상기 대상물을 상징하는 도형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또한 어느 하나의 대상물을 상징하는 도형에 대하여 지정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해당 도형이 상징하고 있는 대상물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어느 하나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통신장치를 거쳐 통신을 행하게 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정된 대상물에 관하여, 복수의 이동체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한 순위가 높은 이동체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정된 대상물에 관하여, 복수의 이동체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검출되어 있는 복수의 이동체에 대하여 동일한 통신을 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사람이며,
    상기 자장치는, 할당되어 있는 식별자를 전파에 실어 송신하고, 상기 모장치는 해당 전파를 수신하여 식별자를 인출하여 자장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일부는, 특정 영역 내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자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15. 특정 영역 내를 이동하는 1 이상의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소재하는 1 이상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장치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한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배치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및 상기한 위치검출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대상물의 배치도 및 특정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중앙정보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정보처리장치에 대한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기억장치는, 배치도 중에 포함되는 각 대상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배치도를 표시하기 위한 도형정보 및 그 표시위치정보와, 검출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이동체를 상징하는 도형정보 및 그 표시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중앙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배치도 중에 포함되는 특정 대상물을 지정하는 지시를 입력장치가 접수하면, 해당 지정된 대상물의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현재 위치가 있는 이동체를 검색하여, 색출된 이동체에 대해서만 그것을 상징하는 도형을 상기 표시장치의 그 표시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관리시스템.
KR1019990006310A 1998-02-26 1999-02-25 이동체관리시스템 KR19990072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551298A JPH11249778A (ja) 1998-02-26 1998-02-26 移動体管理システム
JP10-045512 1998-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938A true KR19990072938A (ko) 1999-09-27

Family

ID=1272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310A KR19990072938A (ko) 1998-02-26 1999-02-25 이동체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433687B1 (ko)
JP (1) JPH11249778A (ko)
KR (1) KR199900729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29B1 (ko) * 2001-08-28 2011-02-24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97994A (ko) * 2013-01-30 2014-08-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열, 방출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을 위한 보충적인 가열 및 냉각 공급원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0493B1 (en) * 1996-12-02 2004-03-02 William A. Robins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cking, locating and monitoring an object or individual
KR100362146B1 (ko) * 1999-10-28 2002-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JP3752939B2 (ja) * 2000-01-20 2006-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自動制御装置
JP2002027541A (ja) * 2000-07-03 2002-01-25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アクセスホスト装置
JP3711011B2 (ja) * 2000-10-06 2005-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移動体監視ユニット及び移動体管理システム
JP3882610B2 (ja) * 2000-12-22 2007-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物探索システム
JP2002315032A (ja) * 2001-04-10 2002-10-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位置情報提供方法
JP2003061131A (ja) * 2001-08-21 2003-02-28 Ntt Docomo Inc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位置情報提供装置、位置情報提供方法、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087399A (ja) * 2001-09-10 2003-03-20 Toshiba Electronic Systems Co Ltd 無線送受信装置及び無線送受信システム
JP2003218771A (ja) * 2002-01-22 2003-07-31 Diginet Japan:Kk 施設内行動監視システム
US6963277B2 (en) 2002-03-26 2005-11-0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and system for monitoring behavior of group of person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3900995B2 (ja) * 2002-04-03 2007-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サーバ、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A2397501A1 (fr) * 2002-08-19 2004-02-19 Emerson Nerat Systeme intelligent sans fil de poursuite de bagages
US7167094B2 (en) * 2003-01-31 2007-01-23 Secure Care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environments
JP2005026791A (ja) * 2003-06-30 2005-01-27 Aiphone Co Ltd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EP1501062B1 (de) * 2003-07-22 2012-01-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HMI System zur Bedienung und Beobachtung einer technischen Anlage
JP2005175666A (ja) * 2003-12-09 2005-06-30 Toshiba Corp 周辺オブジェクト通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5267613A (ja) * 2004-02-20 2005-09-29 Nec Corp 旅客搭乗案内システム、搭乗管理装置、可動式rfidリーダ、旅客搭乗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65317A (ja) * 2004-09-27 2005-03-10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4725172B2 (ja) * 2005-04-18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位置管理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位置管理装置
US20070050128A1 (en) * 2005-08-31 2007-03-01 Garmin Ltd., A Cayman Island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ff-board navigation with a portable device
JP4357474B2 (ja) * 2005-11-07 2009-11-0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18987B2 (ja) * 2005-12-12 2011-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移動ロボット
JP4808092B2 (ja) * 2006-06-26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290437B2 (en) * 2006-09-06 2012-10-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ng reference nodes for positioning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JP2008071154A (ja) * 2006-09-14 2008-03-27 Ricoh Co Ltd プログラム及び配置図作成装置
US8782547B2 (en) * 2007-08-20 2014-07-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figurable building control system display
US9690285B2 (en) 2013-02-27 2017-06-27 Abb Schweiz Ag Presenting field users on process graphics
US9493185B2 (en) * 2013-03-14 2016-11-15 Tempus Motor Works LLC Links-VXI suspension system
CN105051745A (zh) * 2014-02-14 2015-11-11 综系统服务株式会社 操作者认证运行系统
DE102014012185A1 (de) * 2014-08-20 2016-02-25 Sig Technology Ag Bedienterminal für Verarbeitungsanlagen
JP6427763B2 (ja) * 2014-12-12 2018-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管理装置
CN114138116A (zh) 2016-02-04 2022-03-04 苹果公司 基于无线测距来控制电子设备和显示信息
JP6412055B2 (ja) * 2016-05-18 2018-10-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管理システム
JP6813380B2 (ja) * 2017-02-02 2021-01-13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151A (en) * 1983-01-13 1991-10-29 Fisher Berkele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GB2230365B (en) * 1989-02-18 1993-05-26 Olivetti Research Ltd Mobile carrier tracking system
US5455851A (en) * 1993-07-02 1995-10-03 Executone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for identifying object locations
WO1992008148A1 (en) * 1990-11-06 1992-05-1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Dual mode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US5311185A (en) * 1992-08-31 1994-05-10 Hochstein Peter A Supervised personnel monitoring system
US6169484B1 (en) * 1998-04-28 2001-01-0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ersonal location system
US6211781B1 (en) * 1999-05-24 2001-04-03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d locating a moveable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29B1 (ko) * 2001-08-28 2011-02-24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97994A (ko) * 2013-01-30 2014-08-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열, 방출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을 위한 보충적인 가열 및 냉각 공급원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33687B1 (en) 2002-08-13
JPH11249778A (ja) 1999-09-17
US20020180604A1 (en)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938A (ko) 이동체관리시스템
US7054647B2 (en) Position information system and dispatch supporting system
EP1351174A1 (en) Search supporting apparatus, search supporting system, operation instructing terminal, search supporting method, and operation instructing system
JPH10116113A (ja) プラント監視制御方法及び監視制御装置
JP6412055B2 (ja) 射出成形機管理システム
US20040239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search of portable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3069349A (zh) 具备改进的定位意识功能的手持现场维护工具
JP520405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8311840A (ja) Id発信装置設置位置情報の登録システム、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12256A (ja) 位置管理システム
JP2016212050A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装置、位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17126A (ja) 管理システム、検索システム、携帯型位置表示装置、データ管理装置、位置表示方法、記憶媒体
JP3219309B2 (ja)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入力装置
JP2001125633A (ja) プラント情報収集システム
JP2017162357A (ja) 物品管理システム、物品管理装置、物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344249A (ja) 携帯端末、及びこの携帯端末を用いる支援システム
US9830364B2 (en) Weight based visual communication of items representing process control object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KR101211354B1 (ko)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독립된 특정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158648A (ja) ケーブルネットワーク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管理方法
JP6072386B1 (ja)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JP2005192145A (ja) 通信エリア検査装置
US20110316692A1 (en) Space location device, associated reference transmitter and location system
JP7368937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JP2006117413A (ja) 所在データ取得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228952A (ja)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位置特定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