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146B1 -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146B1
KR100362146B1 KR1019990047198A KR19990047198A KR100362146B1 KR 100362146 B1 KR100362146 B1 KR 100362146B1 KR 1019990047198 A KR1019990047198 A KR 1019990047198A KR 19990047198 A KR19990047198 A KR 19990047198A KR 100362146 B1 KR100362146 B1 KR 10036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mobile terminal
bar code
read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995A (ko
Inventor
강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1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에서 전송한 바코드 데이터를 원하는 목적지로 무선 전송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와, 임의의 바코드(Bar code)를 판독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로 구성되어, 상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하므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Bar cod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 bar co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에서 전송한 바코드 데이터(Bar code data)를 무선 전송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코드(Bar code)는 세로선의 집합으로써 각 선의 굵기 및 선과 선사이의 간격의 조합에 따라 구별되는 부호를 말한다. 이러한 바코드는 물류 시스템에 적용되어 제품 또는 상품에 일대일로 대응됨으로써 제품의 표시나 관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는 상기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이다.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에 빛을 비추고 바코드에 대한 빛 반사율의 차이에 따라 해당 바코드를 판독한 후 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숫자로 변환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는 영숫자를 직접 판독하는 것에 비하여 정확하고 신속히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POS(Point Of Sales)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 통신 산업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은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제품 및 상품의 관리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Display) 하거나 또는 원하는 상대방에게 무선 전송해야할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바코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무선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는 제안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안출한 것으로서, 바코드 판독기와 연결되어 바코드 판독기에서 전송한 바코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원하는 상대방으로 무선 전송하는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바코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와, 임의의 바코드(Bar code)를 판독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로 구성되어, 상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한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코드 단말기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동작 모드를 바코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바코드 판독기로 바코드 판독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바코드 판독기가 임의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바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보인 연결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보인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의 연결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110 : 연결 커넥터
120 : 바코드 판독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코드 판독기와 연결되어 상기 바코드 판독기에서 전송한 바코드 데이터를 액정 표시 화면에 출력하며, 또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원하는 상대방으로 무선 전송하는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는 바코드 판독기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저장된 바코드 데이터를 무선을 통해 전송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바코드 판독기(11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바코드 판독기(1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Connector)(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바코드 판독기(120)에서 전송한 바코드 데이터를 액정 표시 화면(LCD)(101)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무선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102)를 구비한다. 그리고, 바코드 판독기(120)는 착탈식으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코드 단말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바코드 단말기는 두 가지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첫 번째 동작 모드는 일반 전화 모드로서 바코드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두 번째 동작 모드는 바코드 출력 및 전송 모드로서 바코드 단말기는 바코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액정 표시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바코드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바코드 단말기를 일반 전화 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와 바코드 판독기(120)를 연결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만을 통신 전용으로 사용하며, 바코드 단말기를 바코드 출력 및 전송 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와 바코드 판독기(120)를 서로 연결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와 바코드 판독기(120)를 착탈식으로 제작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운영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바코드 판독기(120)와 이동 단말기(100)는 연결 커넥터(1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연결 커넥터(110)로서 RS-232C의 핀(Pin) 배열을 이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코드 판독기(120)기와 이동 단말기(100)는 +3.3 V와 GND인 2개의 전원 라인과 TxD(Transmitted Data), RxD(Received Data), DSR(Data Set Ready), CTS(Clear To Send)인 4개의 신호 라인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라인은 통해 이동 단말기(100)는 바코드 판독기(12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사용자는 키패드(Keypad)에 구비된 메뉴를 이용하여 바코드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바코드 출력 및 전송 모드로 설정할 경우, 바코드 판독기(120)는 바코드를 판독한 후 그에 따른 바코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입력하고, 중앙 처리 장치(102)는입력된 바코드 데이터를 액정 표시 화면(101)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저장된 바코드 데이터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대방에게 무선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일반 전화 모드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호를 설정하고, 설정된 호를 통해 바코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연결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는 연결 커넥터인 RS-232C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연결 커넥터(200)와 바코드 판독기의 연결 커넥터(201)는 9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3 V와 GND인 2개의 전원 라인과 TxD, RxD, DSR, CTS인 4개의 신호 라인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보인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의 연결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가 연결될 경우, 인터페이스 라인들은 저항(R3, R4) 및 콘덴서(C3, C4)를 거쳐 이동 단말기의 중앙 처리 장치(302)와 바코드 판독기의 중앙 처리 장치(304)에 연결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중앙 처리 장치(302)에는 바코드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제 1 키(300)와 제 2 키(301)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키(300)와 제 2 키(3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키패드로 연결된다. 그리고, R3과 이동 단말기의 중앙 처리 장치(302)간 회로의 구성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회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또한 R4와 바코드 판독기의 중앙 처리 장치(304)간 회로의구성은 종래 바코드 판독기의 회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초기 전화 모드로 설정되어 동작한다(S400). 이러한 전화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401). 이러한 전화 모드는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가 서로 분리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는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바코드 모드(Bar code mode)로 설정하며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전화 모드에서 바코드 모드로 진입한다(S402). 이러한 바코드 모드는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가 연결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바코드 모드에서 사용자는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바코드 판독 작업 모드(Bar code read mode)로 설정하며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바코드 모드에서 바코드 판독 작업 모드로 진입한다(S403).
그러면, 바코드 판독 작업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는 바코드 판독기에게 바코드 판독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고(S404), 바코드 판독기는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바코드에 대한 판독 작업을 수행한 후 그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 데이터를 연결 커넥터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405).
그러면, 이동 단말기는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액정 표시 화면(LCD)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문자 및숫자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S406, S407).
이어, 이동 단말기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바코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408). 이는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조작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바코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명령하면 이동 단말기는 저장된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한다(S408).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전화 모드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목적지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해당 목적지는 외부 서버(Server)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외부 서버와 이미 설정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바코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한다.
이어, 이동 단말기는 해당 바코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이후 또는 사용자가 바코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명령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기 상태를 거쳐 바코드 모드로 다시 진입한다.
한편, 사용자는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의 바코드 모드를 해제하고 전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화면을 통해 동작 모드의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 3에서 설명한 제 1 키와 제 2 키의 조작을 통해 실시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소형 바코드 판독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판독된 바코드 정보를 액정 표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판독된 바코드 정보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바코드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품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 단말기와,
    임의의 바코드(Bar code)를 판독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바코드 판독기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로 구성되어, 상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액정 표시 화면에 문자 및 숫자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단말기.
  4.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동작 모드를 바코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바코드 판독기로 바코드 판독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바코드 판독기가 임의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바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 목적지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단말기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바코드 데이터를 액정 표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단말기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의 무선 전송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단말기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KR1019990047198A 1999-10-28 1999-10-28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KR10036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98A KR100362146B1 (ko) 1999-10-28 1999-10-28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98A KR100362146B1 (ko) 1999-10-28 1999-10-28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95A KR20010038995A (ko) 2001-05-15
KR100362146B1 true KR100362146B1 (ko) 2002-11-30

Family

ID=1961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198A KR100362146B1 (ko) 1999-10-28 1999-10-28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625A (ko) * 2001-05-31 2002-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 결제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47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엠넷소프트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원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778A (ja) * 1998-02-26 1999-09-17 Hitachi Ltd 移動体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778A (ja) * 1998-02-26 1999-09-17 Hitachi Ltd 移動体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625A (ko) * 2001-05-31 2002-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 결제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9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3071B2 (en) Scanner pairing in a bluetooth POS network
US5995592A (en) Portable telephone unit and indication adapter
US629780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tting parts one of which is selectively used
KR100642683B1 (ko)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KR100362146B1 (ko)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KR1006058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00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9489B1 (ko)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539889B1 (ko) 휴대폰에서그림표시방법
KR20020093405A (ko) 전화기능과 카드결제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매장관리단말기
KR100505521B1 (ko) 바코드판독프로그램의 이용시스템, 바코드판독프로그램을서비스하는 서버컴퓨터,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된 통신용휴대장치, 바코드판독프로그램의 서비스 방법,바코드판독프로그램의 서비스 이용방법 및 디지털카메라가장착된 휴대장치에 의한 바코드판독 및 처리방법
KR100427553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멀티키 입력장치
KR200100257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
KR100447766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상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0176391B1 (ko) 디지탈 통신장치와 단말기간의 속도정합방법
KR20030037406A (ko) 펜 마우스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5969B1 (ko) 바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장치 및 교환 방법
KR200223327Y1 (ko) 신용카드 조회기능을 갖는 키폰시스템
KR1008189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64463B1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호출/연결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40089912A (ko) 휴대단말기 블루투스에 의한 데이터 프린트 장치 및 방법
KR20010081414A (ko) 바코드가 구비된 명함, 바코드 인식장치가 구비된 무선단말기 및 명함정보관리 장치
KR20050071763A (ko) 무선인터넷을 통해 리모콘신호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리모콘 겸용 휴대폰 장치 및 다운로드 방법
KR20060085717A (ko) 전자기기의 정보 출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62936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