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894A -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894A
KR19990070894A KR1019980006012A KR19980006012A KR19990070894A KR 19990070894 A KR19990070894 A KR 19990070894A KR 1019980006012 A KR1019980006012 A KR 1019980006012A KR 19980006012 A KR19980006012 A KR 19980006012A KR 19990070894 A KR19990070894 A KR 1999007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scalator
safety
passenger
che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0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894A/ko
Publication of KR1999007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894A/ko

Link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 방향 에스컬레이터 내지는 다운 방향 에스컬레이터중 일개가 고장나면 속도 검출기를 이용하여 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가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 고장이면 업방향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여 승객이 없으면 일정시간 다운 방향으로 서비스하고, 검출된 결과가 업방향 에스컬레이터 고장이면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여 승객이 없으면 일정시간 업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업방향 내지는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중 일개의 에스컬레이터가 고장난 상태에서도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 방향 에스컬레이터 내지는 다운 방향 에스컬레이터중 일개가 고장나면 속도 검출기를 이용하여 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가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 고장이면 업방향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여 승객이 없으면 일정시간 다운 방향으로 서비스하고, 검출된 결과가 업방향 에스컬레이터 고장이면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여 승객이 없으면 일정시간 업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업방향 내지는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중 일개의 에스컬레이터가 고장난 상태에서도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백화점 및 지하철 등에서 계단이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계단형 유동장치이며, 승객을 원하는 층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일정한 속도의 움직임을 갖도록 전자적인 제어장치로 동작되는 구조물로써, 외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유동토록하여 손님이나 승객이 도보로 이동시 보다 편리함을 제공코자 개발되었다.
한편,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써 유도 전동기가 사용되는바, 상기 유도전동기의 동작을 유도하는 회로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도전동기(1)에 상용전원(2)이 방향결정 스위치의 접점(3)을 통해서 공급되며, 방향결정 스위치 접점은 방향 스위치(4)에 따른 접점이 이루어지면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업 방향 내지는 다운방향으로 결정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에스컬레이터 구동수단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체크(T1)하고, 여기서 이상이 없으면 방향스위치가 지적한 방향을 감지(T2)하여 방향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았으면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고(T3), 상승방향의 스위치가 접점(T4)되어 있으면 상승방향으로 유도전동기를 회전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운전하며, 하강방향의 스위치가 접점(T5)되어 있으면 하강방향으로 유도전동기를 회전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운전 한다.
이때의 운전모드는 관리인이 미리 설정한 방향되로 움직이게 된다.
즉, 관리인이 부가적인 스위칭 조작을 하지 않는한, 최초 설정된 스위칭 접점 신호에 따라 업 방향으로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는 계속 업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다운방향으로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는 다운방향으로 계속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하철등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업방향 에스컬레이터와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등 일개의 쌍으로 설치하여 올라가려는 승객과 내려가려는 승객에게 모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업방향 에스컬레이터와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중 일개가 고장나면 다른 방향을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전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두 대의 에스컬레이터가 운행되고 있을 때, 업방향 에스컬레이터가 고장으로 운행되지 않으면, 올라가려는 승객은 다른 계단을 이용하여 올라가야 했고, 관리인이 직접와서 반대편의 다운방향 에스컬레이터의 주행스위치를 업방향으로 절환한 후에야 올라가려는 승객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일개 방향의 에스컬레이터가 고장나서 다른 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자 하는 것으로, 일개 방향 에스컬레이터가 고장나면 그 방향의 승객이 없는 시점을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자동으로 다른방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회로와 에스컬레이터상에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는 승객감지센서 및 현재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 검출기의 신호를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유무를 체크하고 양방향으로 가동되는 에스컬레이터중 일방향의 에스컬레이터 동작이 중단되면 그 방향의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없는 시점을 이용하여 다른방향의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서비스토록 프로그램된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도 전동기의 최초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향 결정 스위치 접점 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 에스컬레이터의 회로 구성 블록도.
도 2는 종래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에스컬레이터의 회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제어 흐름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유도 전동기 2: 상용 전원
3: 방향결정 스위치 접점 4: 안전회로 및 방향 스위치
5: 승객감지센서 6: 입력 인터페이스
7: 중앙처리장치 8: 롬
9: 램 10: 출력 인터페이스
11, 11a:속도 검출기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회로부(4)와, 인터페이스(6)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안전회로부(4)의 검사결과가 양호하면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7)의 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메모리된 롬(8)과, 상기 중앙처리장치(7)의 동작제어를 위해 프로그램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램(9)과, 유도 전동기(1, 1a)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결정 스위치 접점부(3, 3a)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구성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회로부(4)와 에스컬레이터상에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는 승객감지센서(5) 및 현재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 검출기의 신호를 중앙처리장치(7)로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6)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유무를 체크하고 양방향으로 가동되는 에스컬레이터중 일방향의 에스컬레이터 동작이 중단되면 그 방향의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없는 시점을 이용하여 다른방향의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서비스토록 프로그램된 중앙처리장치(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7)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도 전동기의 최초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향 결정 스위치 접점 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동작을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반 내의 안전을 체크하고, 이상이 없을 때에는 1호기의 안전을 체크한후, 이상이 없으면 1호기를 업 방향으로 운전하는 단계(S1)와;
1호기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상이 없으면 2호기의 안전을 체크한후, 이상이 없으면 2호기를 다운방향으로 운전하고, 2호기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상이 있으면 2호기를 정지시키는 단계(S2)와;
또한 1호기의 안전에 이상이 있거나 1호기의 속도에 이상이 있으면 1호기를 정지시킨후, 2호기의 안전을 체크한후, 이상이 있으면 2호기를 정지시키고, 2호기의 안전이 정상이면 2호기의 승객센서를 승객이 있을 때에는 2호기를 다운방향을 운전을 하고, 2호기의 승객센서를 통해서 승객이 없을때에는 전주기의 승객센서를 판단하여 전주기에 승객이 있다면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승객이 있을때와 마찬가지로 2호기를 다운방향으로 운전하는 단계(S3)와;
전주기에도 승객이 없었다면 타이머가 지정된 시간이 지났는가를 판단하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승객이 있을때와 마찬가지로 2호기를 다운방향으로 운행하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2호기를 업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승객의 유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변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승객의 이용이 없을때의 에스컬레이터 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 및 부품의 수명단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회로부(4)와, 인터페이스(6)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안전회로부(4)의 검사결과가 양호하면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7)의 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메모리된 롬(8)과, 상기 중앙처리장치(7)의 동작제어를 위해 프로그램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램(9)과, 유도 전동기(1, 1a)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결정 스위치 접점부(3, 3a)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구성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회로부(4)와 에스컬레이터상에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는 승객감지센서(5) 및 현재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 검출기의 신호를 중앙처리장치(7)로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6)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유무를 체크하고 양방향으로 가동되는 에스컬레이터중 일방향의 에스컬레이터 동작이 중단되면 그 방향의 에스컬레이터에 승객이 없는 시점을 이용하여 다른방향의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서비스토록 프로그램된 중앙처리장치(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7)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도 전동기의 최초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향 결정 스위치 접점 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2. 일개(1호기)는 업방향으로 다른 일개(2호기)는 다운방향으로 유동토록 설계되는 한쌍의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동작에 있어서,
    제어반 내의 안전을 체크하고, 이상이 없을 때에는 1호기의 안전을 체크한후, 이상이 없으면 1호기를 업 방향으로 운전하는 단계(S1)와;
    1호기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상이 없으면 2호기의 안전을 체크한후, 이상이 없으면 2호기를 다운방향으로 운전하고, 2호기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상이 있으면 2호기를 정지시키는 단계(S2)와;
    또한 1호기의 안전에 이상이 있거나 1호기의 속도에 이상이 있으면 1호기를 정지시킨후, 2호기의 안전을 체크한후, 이상이 있으면 2호기를 정지시키고, 2호기의 안전이 정상이면 2호기의 승객센서를 승객이 있을 때에는 2호기를 다운방향을 운전을 하고, 2호기의 승객센서를 통해서 승객이 없을때에는 전주기의 승객센서를 판단하여 전주기에 승객이 있다면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승객이 있을때와 마찬가지로 2호기를 다운방향으로 운전하는 단계(S3)와;
    전주기에도 승객이 없었다면 타이머가 지정된 시간이 지났는가를 판단하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승객이 있을때와 마찬가지로 2호기를 다운방향으로 운행하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2호기를 업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단계(S4)로 이루어져 순차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방법.
KR1019980006012A 1998-02-25 1998-02-25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KR19990070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12A KR19990070894A (ko) 1998-02-25 1998-02-25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12A KR19990070894A (ko) 1998-02-25 1998-02-25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894A true KR19990070894A (ko) 1999-09-15

Family

ID=6589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012A KR19990070894A (ko) 1998-02-25 1998-02-25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20B1 (ko) * 2004-07-26 2006-09-14 (주)바이오텔 에스컬레이터 운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20B1 (ko) * 2004-07-26 2006-09-14 (주)바이오텔 에스컬레이터 운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4086B2 (ja) マンコンベア
KR19990070894A (ko) 에스컬레이터 주행방향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JP2005001860A (ja) 速度切換え式乗客コンベア
JP5191801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218404B1 (ko) 모터 구동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구출 운전방법
KR100356524B1 (ko)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JP4265988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駆動装置
JP2002128446A (ja) 乗客コンベアの運転制御装置
JP2016050062A (ja) 乗客コンベア
JPH09278306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初期位置認識装置
JP2005343625A (ja) 乗客コンベアの非常停止装置
JP2006124068A (ja) 自動運転式エスカレーター
JP7003965B2 (ja) 乗客コンベア
JPH0753169A (ja) エスカレータ
US20210292130A1 (en) Control apparatus for independently moving handholding support of moving paths
JPH10194621A (ja) 昇降機のかご位置表示灯の点検システム
JP3334154B2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運転装置
KR20100104230A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JP2021172496A (ja) 乗客コンベア
KR20000013728A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고장 검출장치
KR890005775Y1 (ko)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KR0179746B1 (ko) 엘리베이터의 층수판별장치
JPS6239013Y2 (ko)
KR19980074062A (ko) 에스컬레이터 속도변환장치 및 방법
JPH09151051A (ja) リニアモータ駆動式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