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165A - 이동 승강 작업대의 수직 마스트용 측면 지브 - Google Patents

이동 승강 작업대의 수직 마스트용 측면 지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165A
KR19990068165A KR1019990002601A KR19990002601A KR19990068165A KR 19990068165 A KR19990068165 A KR 19990068165A KR 1019990002601 A KR1019990002601 A KR 1019990002601A KR 19990002601 A KR19990002601 A KR 19990002601A KR 19990068165 A KR19990068165 A KR 19990068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platform
articulated arm
lifting gea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베르장-클로드
Original Assignee
시몬스 키스 알.
그로우브 유.에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몬스 키스 알., 그로우브 유.에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시몬스 키스 알.
Publication of KR1999006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Jib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이동 가능한 크래인 작업 플랫폼용의 승강 기어는; 베이스 섹션(4)를 갖는 신축 가능한 마스트(4, 5, 6, 7)와, 복수개의 수직 방향 이동 섹션(5, 6, 7)과, 관절 아암 어셈블리(9)에 의해 마스트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 전개되는 이동 섹션(7)에 연결된 플랫폼(8)을 구비하고, 상기 신축 가능한 마스트는 하강 위치로 접히고 전개 위치로 상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다. 관절 아암(9)은 마스트 축의 가장 높은 이동 섹션(7)에 측면에 연결되어 아암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승강 기어의 수평 방향의 길이를 최소화 시킬수 있도록 마스트와 작업 플랫폼의 사이 공간(13)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승강 작업대의 수직 마스트용 측면 지브{LATERAL JIB FOR VERTICAL MAST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본 발명은 고정 섀시 또는 이동 섀시와; 상기 섀시에 연결된 베이스 섹션과, 상기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접히는 하강 위치와 상방향으로 전개되는 승강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최소 하나의 이동 섹션을 구비한 가변 높이 마스트(a variable height mast)와;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at least one articulated arm)에 의해 최고 높이로 전개되는 섹션인 이동 섹션을 통해 상기 마스트에 연결된 승강 플랫폼을 구비한 개량된 승강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승강 기어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용으로 사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물을 넘어서 하는 작업 특히, 창고의 꼭대기 선반에 접근하거나; 작업장과 그밖의 상업상 지역에서의 작업; 또는 상업 행위등 상공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마스트는 최소 한명의 운전자 또는 하나의 짐을 포함하는 플랫폼 또는 곤돌라를 승강시킬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전개되어질 수 있고, 관절 아암은 플랫폼 또는 곤돌라를 마스트로부터 이동시켜 운전자 또는 짐이 장애물을 지나 소정의 위치에 접근할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존 형태의 승강 기어는 완벽하게 잘 작동하였지만,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하강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무게에 비해 부피가 너무 큰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작업장, 창고, 상업 지역 또는 그 유사한 지역에서 마주치게 되는 좁은 도로 용지 또는 작업 산재 지역에서 이러한 기어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복잡하게하여 특히 승강 또는 양호한 승강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하강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곤돌라 또는 승강 플랫폼 및 마스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관절 아암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대칭 및 힘의 균형을 고려한 명백한 아이디어에 의한 이러한 종류의 디자인은 아암의 두께 및 때로는 이러한 아암을 기동하는 램에 의해 승강 기어 또는 플랫폼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디자인을 사용하면서도 요소들의 두께를 완전히 상쇄시키면서 요소의 크기를 줄일수 있는 새로운 해결책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단축된 길이를 갖는 승강 기어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 플랫폼이 우수한 행동 반경을 이룰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가벼운 총중량을 갖는 장치를 또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낮은 총비용과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섀시와, 상기 섀시에 연결된 베이스 섹션과 상기 베이스 섹션을 기준으로 접혔을 때의 하강 위치와 상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최소 하나의 이동 섹션을 갖는 가변 높이 마스트와,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에 의해서 가장 높은 이동 섹션이 되는 상기 이동 섹션을 경유하여 상기 마스트에 연결된 승강 플랫폼을 포함하는 승강 기어에 있어서,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은 상기 이동 섹션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위치로 전개되어 위치되는 상기 이동 섹션에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승강 플랫폼과 상기 마스트 사이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 플랫폼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되게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에 측면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기어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을 기동시키고, 상기 마스트와 상기 관절 아암의 사이에 배치되는 최소 하나의 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절 아암은 사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램은 상기 사절 기구의 거의 대각선을 따라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스트은 병치되고 함께 결합된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하여 활송로(滑送路)(slideways)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부가한 본 발명의 계속되는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섹션은 상기 플랫폼이 상기 마스트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에 있게 되는 상기 이동 섹션에 연결되도록 함께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에 다르면, 상기 마스트는 관형의 프로파일(tubular profile)을 갖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포개어지는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기어가 하강한 위치에서 제1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승강 기어가 하강한 위치에서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승강 기어가 하강한 위치에서 도 1에서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 1의 실시예의 타측면도이다.
도 4는 승강 기어가 작은 크기로 승강한 제1작업 위치인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작업 위치에서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단지 예시로서만 나타내어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상세히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승강 기어는: 공지의 방법으로, 4개의 바퀴(2a, 2b) 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한 섀시(1)와; 섀시에 연결된 베이스 섹션(4)와, 베이스 섹션(4)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이동 섹션(5, 6, 7)이 접히는 하강 위치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섹션(5, 6, 7)이 상방향으로 전개되는 승강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3개의 이동 섹션(5, 6, 7)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직형으로 형성된 높이 가변 마스트와; 관절 아암(9)에 의해서 이동 가능한 전개 섹션중 최고의 높이를 갖는 이동 섹션(7)에 의해서 마스트(3)에 연결된 플랫폼(8)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아암(9)은 상기 이동 섹션(7)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섹션(7) 측면에 위치하여 관절 아암(9)이 하강 위치에서 플랫폼(8)과 마스트(3) 사이의 공간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리프팅 기어는 예를 들면, 충전 가능한 축전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전기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구동 바퀴(2a)와 안내 바퀴(2b)에 의해 자체적으로 추진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는 유압 에너지를 승강 기어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리시버 요소(all the receivet elements)에 공급하는 유압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시버 요소는 구동 바퀴를 구동하는 유압 모터(들)(도시되지 않음)와, 마스트(3)를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들)(도시되지 않음)와,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마스트(3)를 승하강하는 램(ram)(10)과, 관절 아암(9)을 기동시키는 램(11)과, 승강 장치의 스티어링(14)(the steering)을 조정하는 램(들)(도시되지 않음)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공지되어 있다. 자체 추진되는 승강 기어는 승강 기어를 제동 또는 고정하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설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마스트(3)의 베이스 섹션(4)는 피봇에 의해 섀시(1)에 연결되어 섀시가 지상에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섀시가 마스트(3)와 상기 마스트(3)에 연결된 승강 플랫폼(8)이 수직축(15)을 기준으로 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피봇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수직축(15)은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 축(29)과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트(3)는 피봇상에서 어느 정도 중심이 잡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서 도시된 승강 기어는 마스트(3)에 고정된 평형추(12)를 구비하는데, 이 평형추(12)는 플랫폼(8) 및 플랫폼(8)내에 포함되어 균형을 맞춰야 할 운전자 또는 적재물에 의한 하중을 허용하고 이를 위해 플랫폼과 섀시(1)의 모든 가능한 위치가 계산되어 평형추가 위치되게 된다.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는 평형추로서 사용될수 있는 잇점이 있고,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축전지가 소정의 위치로 수용된다.
승강 플랫폼(8)은 최소 한명의 운전자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보호 레일(16)이 설비된다. 도 1-5에 도시된 승강 기어의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제어기는 승강 플랫폼상에 위치된 제어 패널(17)상에 함꼐 수용되어 운전자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 기어를 플랫폼 각각의 위치로부터 조정할 수가 있다. 제어 패널(17)은 도 2에 도시하지 않았다. "액튜에이터"는 승강 기어 의 상태를 변경될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수단, 특히 유압 모터, 전기 모터, 램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승강기는 패널(17)을 액튜에이터로 연결하는 적절한 케이블/파이프 연결 장치(18)를 구비한다. 가변 높이 마스트(3)에 의해, 부가적인 중량 및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야기하는 연결 장치(18)가 과도한 수의 유압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압 디스트리뷰터 부재는 마스트(3)의 베이스 섹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 아암(9)을 기동시키는 램(11)에 공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연결 장치(18)는 따라서 전기적인 연결 장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트(3)의 4개의 이동 섹션(4, 5, 6, 7)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송로(滑送路)(slideways) 수단에 의한 슬라이딩 형태로 병치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이동 섹션(4, 5, 6, 7)은 승강 플랫폼(8)이 이동 섹션(7)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이동 섹션(7)은 마스트(3)가 도 1-3에 도시된 하강 위치에 있게 될?? 상기 플랫폼(8)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마스트(3)가 하중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하게되어 이에 해당하는 균형추(12)에 필요한 질량의 감소를 이룰수가 있게 된다. 도 4-5에서 수직 이동 섹션(5, 6, 7)의 중량은 특히 지면이 경사(도시되지 않음)진 경우에 플랫폼(8)과 작업 아암의 중량을 베이스 섹션(4)을 중심으로 하여 보상하게 된다.
마스트(3)의 베이스로부터 출발하는 제1이동 섹션(5)은 더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램(10)의 수단에 의해 베이스 섹션(4)위를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이동 섹션(6, 7)은 제1이동 섹션(5)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이동되는 체인 및 풀리-블록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높이 올라갈수 있도록 설계된 이동 섹션(7)은 이동 섹션(7)의 상부 영역(21)에 확고하게 고정된 아암 지지부(20)를 구비하고, 지지부(20)는 관절 아암이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아암 지지부(20)는 플랫폼(8)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이동 섹션(7)의 후면(27)에 고정하여 마스트(3)가 접혔을 때 장치의 높이를 줄이고, 아암이 소정의 마스트 높이에 대해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 지지부(20)는 이동 섹션(7)로부터 측면에 돌출부(22)을 갖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아암(9)이 마스트(3)의 옆공간으로 이동되게 한다. 지지부(20)는 도 1-3에 도시된 2개의 마운팅 플레이트(30)(two mounting plates)에 의해 이동 섹션(7)에 용접된 환형부의 튜브(32)를 구비한다. 아암(9)의 관절 연결에 필요한 수단은 지지부(20)의 돌출부(22)에 용접되며, 예를 들면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절 클레비스 마운트(an articulation clevis mount)(23)의 형태로 용접된다. 또한, 부착 러그(an attacment lug)(31)는 승강 기어가 예를 들면 가죽끈들을 사용하여 이송 차량위에 묶여 놓일수 있도록 튜브(32)의 양단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 아암(9)은 사절 기구(23, 24, 25, 26)를 구비한다. 관절 클레비스 마운트(23)와 함께 지지부(20)는 관절 아암(9)에 의해 한정되는 사절 기구의 4측면중 제1측면을 형성하며, 제1측면(23)은 따라서 이동 섹션(7)에 대해 고정되게 형성된다. 사절 기구의 제2측면(24)은 승강 플랫폼(8)을 부착하는 지지부(28)에 고정되어 있어서 플랫폼(8)에 대해 고정되게 된다. 4절 기구의 제3, 4(25, 26)측면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에 의해 사절 기구를 형성하고 이동 섹션(7)애 대해 플랫폼(8)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2측면(23, 2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관절 아암(9)의 운동은, 마스트(3)와 관절 아암(9)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승강 플랫폼(8)이 마스트(3)에 가능한 가까이 위치되도록 결정되는데, 다시 말해서, 도 1-3에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3)의 고정 베이스 섹션(4)에 수직으로 가능하면 가깝게 위치되고, 바퀴의 바로 아래에 가능하면 또한 가깝게 위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플랫폼(8)이 최고의 높이에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진 이동 섹션(7)의 최고점 위로 이동될수 있도록 위치된다. 관절 아암(9)은 마스트(3)의 회전의 수직축(15)에 평행한 수직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어느 정도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 관절 아암(9)을 갖는 승강 기어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마스트(3)를 축(15)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것에 의해 수평면의 모든 방향에서 얻을수 있는 승강 플랫폼(8)에 최대 행동 반경을 부여한다. 도 5는 관절 아암을 갖는 승강 기어가 완전히 승강된 위치와 승강 플랫폼(8)에 최대의 작업 높이를 부여한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사절 기구의 제1측면은 관절 클레비스 마운트(23)의 형태를 갖으며, 사절 기구의 제2측면은 또한 관절 글레비스 마운트(24)를 갖고, 사절 기구의 제3, 4측면(25, 26)은 금속편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금속편은 클레비스 마운트(23, 24)에 관절 연결된다. 4절 기구의 4측면 모두는 승강 플랫폼(9)과 램(11)을 양측에 설치함으로서 비틀림 하중을 견딜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3 개의 측면(25, 26)중 하나를 관형의 단면 예를 들면 4각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단면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관절 아암(9)을 가동하는 램(11)은 마스트(3)와 관절 아암(9)의 사이에 배열되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3)의 방향에서 아암에 대해 약간 오프셋되어, 플랫폼(8)과 램의 측방향 부착에 의한 비틀림 하중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가적으로, 램(11)은 사절 기구의 대각선을 거의 따르게 배치되어 특히 관절 아암 자체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보호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램(11)은,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관절 연결되어 사절기구의 제1, 4측의면 관절과 동축을 이룰수 있도록 하고, 그 타단은 제2, 3측면의 사이에 있는 관절에 가가운 영역에 있는 관절의 제3측면에 연결된다. 램(11)의 이동 마지막 멈춤 지점은 관절 아암(9)의 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플랫폼(8)은 관절 아암(9)에 측면에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3)와 관절(9)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 축(29)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플랫폼(8)에 부착되는 지지부(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8)을 지지하고, 사각형의 승강 플랫폼을 갖는 플랫폼(8)의 각 코너에 부착되게 된다. 플랫폼(8)을 강하게 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지지부(28)는 플랫폼(8)의 대각선(30)을 거의 따르는 지지빔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 플랫폼(8)은 예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바퀴(2a, 2b)에 의해 플랫폼(8)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마스트(3)와 아암(9)이 접힐 때) 한정된 승강 기어의 최대폭 범위 안에 들게 되고,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의 가로 방향 크기를 갖는 상태에서 지면을 따라 승강 기어를 이동시킬수 있도록 플랫폼(8)이 그 자리에서 회전된다.
플랫폼 대칭 면 또는 축을 따라 플랫폼을 관절 아암(9)에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된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마스트(3)와 관절(9)이 돌출부를 갖는 회전축(15)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마스트(3)가 측면에 오프셋 되는 것을 필요로하여 지면(마스트(3)과 아암(9)이 접힘)을 따라 승강 기어를 이동시키는 하강 위치와; 수평면상에 관절 아암의 돌출부가 플랫폼의 대칭면 또는 대칭축과 정렬되게 되게 된다.
플랫폼에 부착되는 관절 아암에 관한 다양한 실시 형태(도시되지 않음)가 모양, 위치, 관절에 관해서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승강 기어는 제2측면 관절 아암을 구비하고 이 관절 아암은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 축(29)을 따라 마스트(3)를 기준으로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되며 지지부(20)에 고정된후 마스트의 양측으로부터 측면에 돌출된다; 이러한 형상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아암 기동 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가 있다. 2개의 기동 대칭적인 램이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측면 아암과 하나의 측면 램에 의해 생성된 비틀림이 회피될 수 있지만, 장치는 보다 고가가 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관절 아암의 실시예에서,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관절 아암(9)애 거의 대칭적으로 위치된 (충격으로부터 보호된) 램(11)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단일의 관절 아암이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의 측에 대해 마스트(3)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위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는. 관절 아암 일단이 사절 기구의 대신 지지부(20)에 관절 연결된 단일의 바아(a single bar)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플랫폼(8)은 관절 아암이 적당한 종동자를 사용함에 따라 수평의 위로 유지될 수가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대안으로서, 가변 높이 마스트가 관형의 프로파일(tubular profile)을 갖는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하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마스트는, 예를 들면, 각각의 단면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되고 관절 아암에 연결되는 마지막 섹션은, 실시예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트가 관절 아암이 측방형으로 연결될수 있도록 접혀질 때, 다른 섹션들을 지나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방법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변화예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이러한 수정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내용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20)

  1. 섀시(1)와, 상기 섀시에 연결된 베이스 섹션(4)과 상기 베이스 섹션을 기준으로 접혔을 때의 하강 위치와 상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최소 하나의 이동 섹션(5, 6, 7)를 갖는 가변 높이 마스트와,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9)에 의해서 가장 높은 이동 섹션이 되는 상기 이동 섹션(7)를 경유하여 상기 마스트에 연결된 승강 플랫폼(8)을 포함하는 승강 기어에 있어서,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9)은 상기 이동 섹션(7)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위치로 전개되어 위치되는 상기 이동 섹션(7)에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9)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승강 플랫폼(8)과 상기 마스트 사이의 사이의 (13)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랫폼(8)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승강 기어의 길이 방향의 축(29)을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되게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9) 측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하나의 관절 아암을 기동시키고, 상기 마스트와 상기 관절 아암의 사이에 배치되는 최소 하나의 램(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아암(9)은 사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램(11)은 상기 사절 기구의 거의 대각선을 따라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4, 5, 6, 7)은 병치되고 함께 결합된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하여 활송로(滑送路)(slideways)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은 상기 플랫폼(8)이 상기 마스트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랫폼(8)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에 있게 되는 상기 이동 섹션(7)에 연결되도록 함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4, 5, 6, 7)는 관형의 프로파일(tubular profiles)을 갖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포개어지는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아암(9)은 최소 하나의 관형의 단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아암(9)은 사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램(11)은 상기 사절 기구의 거의 대각선을 따라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4, 5, 6, 7)은 병치되고 함께 결합된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하여 활송로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4, 5, 6, 7)은 상기 플랫폼(8)이 상기 마스트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랫폼(8)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에 있게 되는 상기 이동 섹션(7)에 연결되도록 함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아암(9)은 사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램(11)은 상기 사절 기구의 거의 대각선을 따라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4, 5, 6, 7)은 병치되고 함께 결합된 최소 2개의 연속적인 섹션을 구비하여 활송로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4, 5, 6, 7)은 상기 플랫폼(8)이 상기 마스트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랫폼(8)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에 있게 되는 상기 이동 섹션(7)에 연결되도록 함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어.
KR1019990002601A 1998-01-27 1999-01-27 이동 승강 작업대의 수직 마스트용 측면 지브 KR19990068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0855 1998-01-27
FR9800855A FR2774083B1 (fr) 1998-01-27 1998-01-27 Dispositif elevateur perfection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165A true KR19990068165A (ko) 1999-08-25

Family

ID=952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601A KR19990068165A (ko) 1998-01-27 1999-01-27 이동 승강 작업대의 수직 마스트용 측면 지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78652B1 (ko)
EP (1) EP0931759B1 (ko)
JP (1) JP3335935B2 (ko)
KR (1) KR19990068165A (ko)
AU (1) AU1325999A (ko)
CA (1) CA2260353A1 (ko)
DE (1) DE69927070T2 (ko)
FI (1) FI990139A (ko)
FR (1) FR2774083B1 (ko)
MX (1) MXPA990010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6569C2 (sv) * 2000-04-19 2002-01-29 Atlas Copco Rock Drills Ab Bergborrigg
FR2808791B1 (fr) * 2000-05-11 2002-08-09 Pinguely Haulotte Structure telescopique et nacelle elevatrice equipee d'une telle structure
FR2876367B1 (fr) * 2004-10-12 2006-12-29 Comabi Snc Dispositif elevateur de personnes a nacelle
US8061343B2 (en) * 2004-10-21 2011-11-2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ontrollable launcher
US20090071751A1 (en) * 2007-09-18 2009-03-19 Permacorp Industries Inc. Portable aerial platform
US8056677B1 (en) * 2009-07-23 2011-11-15 Roberts Equipment, Inc. Lift system with articulably joined subchassis
DE202010013830U1 (de) * 2010-10-04 2011-07-06 Lebro Verwertungs-GbR (vertretungsberechtigte Gesellschafter: Heinz Lehmann, 72175 Dornhan und Manfred Bronner, 72175 Dornhan), 72175 Teleskophubarbeitsbühne
WO2012140278A1 (es) * 2011-04-14 2012-10-18 Mantenimientos Eléctricos Campo De Aviación, S.L. Torre andamio reparadora-limpiadora para aerogeneradores eólicos.
CN102556897B (zh) * 2011-12-14 2014-05-28 浙江中力机械有限公司 电动拣选车
US9440830B2 (en) * 2011-12-14 2016-09-13 Big Lift, Llc Personnel lift vehicle
KR101524763B1 (ko) * 2013-10-04 2015-06-11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
USD730614S1 (en) 2013-11-26 2015-05-26 Big Lift, Llc. Personnel lift vehicle
US9623270B2 (en) * 2014-06-25 2017-04-18 Fall-Botics, Llc Personal safety apparatus and system
US11046564B2 (en) 2015-11-09 2021-06-29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rder picker materials handling vehicle with improved downward visibility when driving elevated
CN106082047B (zh) * 2016-08-17 2018-08-28 徐州海伦哲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车工作平台调平装置
CN109838244B (zh) * 2019-04-04 2024-01-30 山西天巨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大面积操作平台装置
WO2021099874A1 (en) * 2019-11-21 2021-05-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system
KR20230021008A (ko) 2020-06-05 2023-02-13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자재 취급 차량을 위한 조작자 제어 시스템
CN113353818B (zh) * 2021-04-22 2024-01-02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伸缩臂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31772A (en) * 1962-04-13 1966-06-02 Lansing Bagnal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rk and like load-lifting trucks
NL7303518A (ko) 1972-04-06 1973-10-09
SE366970B (ko) * 1972-09-28 1974-05-13 Braennstroems Mek Brdr
US3933224A (en) * 1973-05-30 1976-01-20 Stockamollan Ab Fork lift truck
US4484663A (en) * 1981-02-12 1984-11-27 Bil-Jax, Inc. Portable personnel platform lift
DE3214506A1 (de) 1982-04-20 1983-10-20 Vereinigte Flugtechnische Werke Gmbh, 2800 Bremen Hoehenverstellbare und zusammenklappbare arbeitsbuehne
US4498556A (en) 1982-09-11 1985-02-12 Access Engineering Ltd. Vertically movable, road towable work platform
US4511015A (en) * 1983-06-15 1985-04-16 Purdy Paul J Manlift
DE8534229U1 (ko) 1985-12-05 1987-11-05 Jordan Elektromotoren Gmbh, 8070 Ingolstadt, De
GB8708123D0 (en) * 1987-04-04 1987-05-13 Aerial Access Equip Vehicle mounted access lift
US4724924A (en) 1987-04-29 1988-02-16 O'flaherty Finance Corporation Control handle arrangement for aerial bucket lift
US4757875A (en) 1987-09-25 1988-07-19 Kidde, Inc. Vehicular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FR2628090A1 (fr) * 1988-03-01 1989-09-08 Abm Services Sarl Elevateur de personne du type " leger " a deport
GB8811111D0 (en) 1988-05-11 1988-06-15 M C R Eng Ltd Improvements in powered access platform units
US4949816A (en) * 1988-11-03 1990-08-21 Clark Equipment Company Upright for lift truck
US5203425A (en) 1991-03-13 1993-04-20 Wehmeyer Donald T Personnel lift devices
DE9104078U1 (ko) * 1991-04-04 1991-07-04 Michaelis, Karl-Heinz, 2801 Grasberg, De
CA2055864C (en) 1991-11-19 1995-07-25 Howard W.S. Derksen Aerial lift platform
AT397494B (de) 1992-09-02 1994-04-25 Krempelmeier Franz Hebebühne
DE4232949A1 (de) 1992-10-01 1994-04-07 Josef Alois Huber Hubvorrichtung
US5337858A (en) 1993-01-19 1994-08-16 Genie Industries Safety system for multi-stage lifts
US5307898A (en) * 1993-03-08 1994-05-03 Purdy Paul J Aerial work apparatus
US5634529A (en) 1994-06-22 1997-06-03 Strato-Lift, Inc. Folding rail for a lifting truck
DE69507751T2 (de) 1994-07-13 1999-06-24 Cleco Ltd Drehbare Gabelanlage für Palettenumsch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1759B1 (en) 2005-09-07
DE69927070T2 (de) 2006-06-29
US6378652B1 (en) 2002-04-30
FR2774083A1 (fr) 1999-07-30
DE69927070D1 (de) 2005-10-13
MXPA99001018A (es) 2008-10-20
FR2774083B1 (fr) 2000-04-07
AU1325999A (en) 1999-08-19
FI990139A0 (fi) 1999-01-26
CA2260353A1 (en) 1999-07-27
JPH11310396A (ja) 1999-11-09
FI990139A (fi) 1999-07-28
JP3335935B2 (ja) 2002-10-21
EP0931759A1 (en) 199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8165A (ko) 이동 승강 작업대의 수직 마스트용 측면 지브
US10023448B2 (en) Lift truck with mast
CA2440788C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MXPA06012359A (es) Carril superior y abrazadera de soporte.
US4019604A (en) Elevating platform apparatus
US8267222B2 (en) Compact scissors lift
US4457403A (en) Self-propelled elevating work platform
EP2477931B1 (en) A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EP0308595B1 (en) A vehicular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GB2264282A (en) Extensible mast structure for an industrial lift truck.
US4848520A (en) Telescopic mast assembly
US5307898A (en) Aerial work apparatus
CA1195292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US6439408B1 (en) Crane with jib having multiple functions
EP0099636B1 (en) Access equipment
CA1096337A (en) Telescoping aerial lift
CA2702129A1 (en) Compact scissors lift
EP0341918B1 (en) Powered access platform units
EP1806312B1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loads
EP0286300A1 (en) Personnel access lift boom
WO1995013242A1 (en) Person lifting device
GB2253830A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KR20020056784A (ko)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EP0126634A1 (en) Telescopic mast assembly
CN115773000A (zh) 室内作业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