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485A - 현미경표본용 약액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현미경표본용 약액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485A
KR19990067485A KR1019980703503A KR19980703503A KR19990067485A KR 19990067485 A KR19990067485 A KR 19990067485A KR 1019980703503 A KR1019980703503 A KR 1019980703503A KR 19980703503 A KR19980703503 A KR 19980703503A KR 19990067485 A KR19990067485 A KR 1999006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sample
slide glass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에 타테야
Original Assignee
이치로 세키
사쿠라 화인테크니칼 컴퍼니 리미티드
히로미 나나오
가부시기가이샤 티요다 세이사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로 세키, 사쿠라 화인테크니칼 컴퍼니 리미티드, 히로미 나나오, 가부시기가이샤 티요다 세이사큐쇼 filed Critical 이치로 세키
Publication of KR1999006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01N1/312Apparatus therefor for samples mounted on planar subst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현미경표본 자동염색장치에 있어서, 염색통(6)에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드글라스(12)를 용액저장용기(2)에 저장된 세정수(11)내에 완전히 침지한 후, 슬라이드글라스(12)를 세정수(11)로부터 완전히 끌어올린다. 이러한 동작을 되풀이하여 행하고,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12)들 간의 간극(13)내에 들어있던 세정수(11)와 새로운 세정수의 교체가 촉진된다. 이것에 의해, 염색처리를 위해서 슬라이드글라스(12)에 부착된 약액의 세정작업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미경표본용 약액처리방법
병·의원에서는 환부로부터 절제한 시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병을 진단하는 일이 폭 넓게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미경 관찰에 의한 병의 진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글라스에 점착한 시료를 염색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이 염색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염색장치도 여러 가지 제공되어 있다.
도 2는 이와 같은 자동염색장치의 일 예로서, 일본국 실개평5-6654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캐비닛(1)안의 상부에는 염색처리에 필요한 각종 약액이 저장되어 있으며, 윗부분이 열려 있는 다수의 용액저장용기(2)가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용액저장용기(2)중의 일부는 수돗물 등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정수용기이고, 나머지는 염색작업에 필요한 각종 약액이 저장된 약액용기이다. 이들 용액저장용기(2)의 윗부분에는 캐비닛(1)의 가로방향(도 2의 a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이동빔(3)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함으로써, 캐비닛(1)의 세로 방향(도 2의 b방향)에 걸쳐 수평 이동할 수 있는 이동기둥(4)과, 상기 이동기둥(4)의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직 이동할 수 있는 고리부재(5)로 이루어지는 삼차원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재(5)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염색통(6)이 착탈가능하게 걸어 맞춤된다. 즉, 상기 염색통(6)은 슬라이드글라스 수납부(7)와, 손잡이(8)를 지니고 있고, 또한 이 손잡이(8)의 중앙에는 걸어 맞춤부(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재(5)의 선단부는 상기 걸어 맞춤부(9)에 설치된 걸림공(10)에 삽입됨으로써, 이 걸어 맞춤부(9)와 걸어 맞춤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재(5)를 걸어 맞춤부(9)에 걸어 맞춘 상태로, 상기 고리부재(5)를 하강시킴으로써, 염색통(6)을 상기 용액저장용기(2)안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바와 같은, 자동염색장치를 이용하여 시료의 염색처리를 행하는 경우, 먼저, 염색해야 할 시료가 점착된 슬라이드글라스가 수납된 염색통(6)을 고리부재(5)에 걸어 맞춘다. 다음으로, 상기 삼차원 구동장치를 구동하면, 이 삼차원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이동빔(3)과 이동기둥(4) 및 고리부재(5)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염색통(6)을 소정순번에 따라 소정시간씩 용액저장용기(2)안의 약액에 침지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소정회수 반복함으로써, 시료를 염색한다. 다음에, 상기 바와 같은 자동염색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염색통(6)을 병행하여 처리하고, 보다 많은 시료를 효율적으로 염색하는 다중염색처리도, 일본국 특개평6-10052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즉, 시료가 점착된 슬라이드글라스가 수납된 염색통(6)은 소정시간 약액 내에 침지해 두지만, 이 침지 동안에 고리부재(5)는 상기 염색통(6)과의 결합을 풀고, 다른 염색통(6)과 결합하여 상기 다른 염색통(6)을 소정의 용액저장용기(2)안에 넣는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고리부재(5)와의 결합을 풀고, 상기 다른 염색통(6)을 소정시간만 약액에 침지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복수의 염색통(6)에 대해 병행하여 행하고, 소정시간의 침지를 마친 염색통(6)이 있으면, 고리부재(5)가 이 염색통(6)과 결합하여, 다음의 용액저장용기(2)로 옮겨진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염색통(6)을 병행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했던 통상의 처리에 비해, 보다 많은 시료를 단시간 내에 염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중염색처리는, 상기 제어기에 미리 처리순서를 기억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글라스에 점착된 시료를 염색할 때, 소정의 용액저장용기(2)에 저장된 제 1약액으로부터 상기 염색통(6)을 끌어올린 후, 이 염색통(6)을 다른 용액저장용기(2)에 저장된 제 2약액속으로 침지하기 전에, 상기 염색통(6) 및 이 염색통(6) 안의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된 제 1약액을 씻어낼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제 1약액에 의한 반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제 2약액 중에 제 1약액이 혼입되어 이 제 2약액의 상태나 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4A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여, 제 1약액으로부터 상기 염색통(6)을 끌어올린 후, 이 염색통(6) 및 염색통(6)안의 슬라이드글라스(12)에 부착된 제 1약액을 씻어 내었다. 즉, 염색통(6)이 매달려 있는 고리부재(5)를 세정수(11)가 저장된 용액저장용기(2)의 윗부분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상기 고리부재(5)를 하강시켜, 염색통(6)을 세정수(11)내로 침지한다. 그리고, 이 고리부재(5)를 미세하게 승강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염색통(6)을 도 4A의 상태와 도 4B의 상태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시켜서, 상기 염색통(6) 및 이 염색통(6)안의 슬라이드글라스(12)에 부착된 제 1약액을 씻어낸다.
종래의 경우, 세정수(11)내에서의 염색통(6)의 승강은 상기 염색통(6)에 수납된 슬라이드글라스(12)의 면에 점착된 시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세정수(11)에 침지한 채로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12)면 상의 시료간의 간극(13) 안에 들어있던 세정수(11)중에, 이들 각 간극(13)의 하부에 존재하는 오래된 세정수가 새로운 세정수와 교체되기 어렵다. 이 결과, 상기 각 슬라이드글라스(12)에 부착된 제 1약액중에, 이들 각 간극(13)의 하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부착된 제 1약액을 씻어 내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세정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길게 하여 즉, 승강횟수를 많게 하여 상기 제 1약액의 세정을 충분하게 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염색작업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염색통(6)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경우, 세정작업을 위해서 고리부재(5)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다른 염색통(6)의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된 약액의 세정작업을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현미경표본의 액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현미경표본으로 할 시료가 점착된 복수매의 슬라이드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서 수납한 통을 복수의 용액저장용기 내의 약액에 차례대로 침지하여 시료를 처리하는 현미경표본 액체처리방법에 있어서, 슬라이드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가 용액저장용기 내의 액면아래에 위치하는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통을 약액에 침지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상기 통을 슬라이드글라스 면 상의 시료 하단 가장자리가 용액저장용기 내의 액면상에 위치하는 레벨 이상의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상승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통상적으로 반복하여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현미경 표본으로 할 시료가 점착된 복수의 슬라이드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서 수납한 통을 약액용기 및 세정액용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용액저장용기 내의 약액에 순차적으로 침지하여 시료를 처리하는 현미경표본 액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을 상기 약액용기 내의 약액에 담가서 슬라이드글라스 위의 시료를 약액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상기 세정액용기 내의 세정액 내에 슬라이드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가 세정액면 아래에 위치하는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통을 세정액에 담그는 공정과, 계속하여 슬라이드글라스 면 위의 시료의 하단 가장자리가 세정액면 위에 위치하는 레벨 이상의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상기 통을 상승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세정액으로의 침지공정과, 상기 세정액면 상으로의 상승공정은 통상적으로 반복하여 행해진다.
반복하여 행해지는 상기 반복공정은 동일 세정액용기에 대하여 행하여도 좋고, 또 다른 복수의 세정액용기에 대하여 행하여도 좋다. 상기 약액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은 전형적으로는 염색공정이다. 또한, 상기 세정액은 전형적으로는 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와 같은 공정을 취하는 것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의 간극에 존재하는 씻어내야 할 약액을 포함하는 세정액의 대부분이 간극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다음에 슬라이드글라스를 세정액에 침지한 상태에서는, 씻어내야 할 약액이 혼입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이 약액의 혼입량이 적은 새로운 세정액이 상기 간극내로 들어간다. 그 결과, 슬라이드글라스의 일부로 상기 간극에 대향하는 부분에 부착된 약액의 세정작업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병·의원이나 각종 연구소에서 생물의 조직편 또는 세포(이하, 시료라고 함)를 현미경 관찰하기 위해 액체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색처리하는 데에 이용하는 현미경표본 자동염색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된 약액을 씻어내는 세정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액체처리방법에 따라, 세정액에 의해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된 약액을 씻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처리방법을 실시하는 현미경표본 자동염색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염색통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방법에 따라 세정수에 의해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된 약액을 씻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적의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액체처리방법의 특징은 도 2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형식의 공지의 현미경표본 자동염색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약액이 저장된 약액용기로부터 끌어올린 염색통(6)을 다른 약액이 저장된 약액용기에 진입시키기 전에, 염색통(6) 및 염색통(6)에 수납된 슬라이드글라스(12)에 부착된 상기 소정의 약액을 씻어내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점에 있다. 현미경표본 자동염색장치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도 2의 종래 구조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소정의 약액이 저장된 약액용기로부터 끌어올린 염색통(6)을 다른 약액이 저장된 약액용기에 진입시키기 전에, 상기 염색통(6)및 이 염색통(6)에 수납된 슬라이드글라스(12)에 부착된 상기 소정의 약액을 씻어내기 위해, 상기 염색통(6)이 매달려 있는 고리부재(5)를 세정수(11)가 저장된 세정액용기인 용액저장용기(2)의 윗부분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고리부재(5)를 하강시킴으로써, 염색통(6)에 수납된 슬라이드글라스(12)의 상단 가장자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고리부재(5)에 매달려 있는 염색통(6)을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용액저장용기(2)에 저장된 세정수(11)속에 침지시킨다. 다음에, 고리부재(5)를 상승시키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슬라이드글라스(12)의 하단 가장자리를 수면위로 위치시킨다. 이 경우, 슬라이드글라스(12)의 하단 가장자리가 일부 수면 아래에 있지만, 슬라이드글라스면 위의 시료자체는 완전히 수면 위에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고리부재(5)를 승강시킴으로써, 도 1A의 상태와 도 1B의 상태를 소정회수 되풀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현미경표본 액체처리방법의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색통(6)에 수납된 슬라이드글라스(12)면 상의 시료 하단 가장자리를 수면위로 위치시키는 레벨이상까지 고리부재(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12)들 사이, 또는 슬라이드글라스면 상의 시료와 인접하는 슬라이드글라스 면과의 틈새 간극(13) 내에 존재하는 씻어내야 할 약액이 혼입된 세정수의 대부분이, 중력에 의해 상기 간극(13)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약액이 혼입된 세정수의 간극(13)으로부터 하방으로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서, 염색통(6) 및 그 내부에 진동을 줄 수도 있다. 그리고, 다음에 슬라이드글라스(12)를 세정수(11)내에 침지한 상태에서는 씻어내야 할 약액의 혼입량이 적은 새로운 세정수가 간극(13)내로 들어간다. 이 결과, 슬라이드글라스(12)의 일부로 간극(13)에 대향하는 부분에 부착된 약액을 씻어내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더구나, 도시한 예에서는, 염색통(6)을 세정수(11)에 침지한 후, 고리부재(5)를 상승시키는 작업을 동일 용액저장용기(2)상에서 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세정액용기가 되는 세정수(11)가 저장된 용액저장용기(2)를 복수개 준비하고, 상기 염색통(6)을 제 1용액저장용기에 저장된 세정수(11)에 침지한 후, 이 용액저장용기(2)로부터 염색통(6)을 끌어올리고 나서, 이 염색통(6)을 제 2, 제 3 … 용액저장용기에 저장된 세정수(11)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염색통(6)과 용액저장용기(2)는 상대적으로 승강시켜도 좋으며, 염색통(6)의 상하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용액저장용기(2)를 승강시켜도 좋다. 다만, 염색통(6)을 승강시키는 편이 승강을 위한 에너지가 적게 들고, 또, 용액저장용기(2) 안의 액체가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미경표본 액체처리방법은 상술한 것처럼 구성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한 약액을 씻어내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행하여, 염색처리 등 시료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동시에 복수의 염색통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경우, 세척 작업을 위해서 고리부재를 사용하는 시간이 짧아짐으로써, 다른 염색통의 처리를 쉽게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액체처리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약액의 세정이 효과적으로 행해지는 결과, 시료의 처리 얼룩, 전형적으로는 염색 얼룩이 없어지게 되고 염색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염색의 경우에는 슬라이드글라스 및 염색통에 부착한 여분의 염색액이 단시간에, 적은 세정액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정시 및 세정시 이외의 용액저장용기 내로의 침지시에, 슬라이드글라스 통의 교반동작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것은 복수의 슬라이드글라스 통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효과가 크다. 종래에는 세정액용기 및 약액용기 내로의 슬라이드글라스 통의 침지시에 세정액이나 약액을 연속적으로 교반하였으나, 교반횟수의 감소는 극히 유리하다. 또, 본 발명의 액체처리방법에 의해 슬라이드글라스 사이에서 용액의 교체가 효과적으로 행해지는 결과, 슬라이드글라스의 배열 피치를 작게 하고, 배열방향의 길이치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체처리방법은 생물의 조직편 또는 세포와 같은 시료를 표면에 점착시키고 염색통에 지지된 슬라이드글라스의 염색 후의 세정만이 아니고, 세정액용기 이외의 용액저장용기의 경우에, 슬라이드글라스의 틈새에 있는 액체의 치환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현미경표본으로 할 시료가 점착된 복수매의 슬라이드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서 수납한 통을 복수의 용액저장용기 내의 약액에 차례대로 침지하여 시료를 처리하는 현미경표본 액체처리방법에 있어서,
    슬라이드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가 용액저장용기 내의 액면아래에 위치하는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통을 약액에 침지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상기 통을 슬라이드글라스 면 상의 시료 하단 가장자리가 용액저장용기 내의 액면상에 위치하는 레벨 이상의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상승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처리방법.
  3.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글라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현미경표본으로 할 시료가 점착된 복수의 슬라이드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서 수납한 통을 약액용기 및 세정액용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용액저장용기 내의 약액에 순차적으로 침지하여 시료를 처리하는 현미경표본 액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을 상기 약액용기 내의 약액에 담가서 슬라이드글라스 위의 시료를 약액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상기 세정액용기 내의 세정액 내에 슬라이드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가 세정액면 아래에 위치하는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통을 세정액에 담그는 공정과,
    계속하여 슬라이드글라스 면 위의 시료의 하단 가장자리가 세정액면 위에 위치하는 레벨 이상의 레벨까지 상대적으로 상기 통을 상승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으로의 침지공정과, 상기 세정액면 상으로의 상승공정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반복하여 행해지는 상기 반복공정이 동일한 세정액용기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처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반복하여 행해지는 상기 반복공정이 다른 복수의 세정액용기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처리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이 염색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처리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이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처리방법.
KR1019980703503A 1996-09-18 1997-09-18 현미경표본용 약액처리방법 KR19990067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602/1996 1996-09-18
JP8246602A JPH1090145A (ja) 1996-09-18 1996-09-18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による水洗方法
PCT/JP1997/003300 WO1998012534A1 (fr) 1996-09-18 1997-09-18 Procede de traitement d'echantillons de microscopie avec des liqu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485A true KR19990067485A (ko) 1999-08-25

Family

ID=1715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503A KR19990067485A (ko) 1996-09-18 1997-09-18 현미경표본용 약액처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81481A1 (ko)
JP (1) JPH1090145A (ko)
KR (1) KR19990067485A (ko)
AU (1) AU4221897A (ko)
BG (1) BG102551A (ko)
CA (1) CA2238002A1 (ko)
NO (1) NO982219D0 (ko)
WO (1) WO1998012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8678B2 (en) 2002-12-20 2010-01-19 Dako Denmark A/S Method and system for pretreatment of tissue slides
US7517498B2 (en) * 2003-08-19 2009-04-14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substrate handling
KR101578153B1 (ko) 2008-08-26 2015-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반응 장치
DE102011118733B4 (de) * 2011-11-16 2013-06-06 Nermin Tozo Färbeständer von Objektträgern für Großflächenschnitte und Anordnung eines derartigen Färbeständers in Färbebehälter von Färbeautomaten
JP6093256B2 (ja) * 2013-07-05 2017-03-08 サクラ精機株式会社 組織片処理方法及び組織片処理装置
US20200309649A1 (en) * 2019-03-08 2020-10-01 Samantree Medical Sa Receptacles for staining and/or rinsing samples and methods of their use
CN110376045A (zh) * 2019-07-18 2019-10-25 株洲市中心医院 一种实验动物实体器官组织梗死染色固定装置和染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522B2 (ja) * 1985-04-12 1994-12-12 株式会社千代田製作所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
JPH0627682B2 (ja) * 1987-12-28 1994-04-13 ▲吉▼男 田端 スライド標本用の自動染色装置
JPH0843380A (ja) * 1994-04-27 1996-02-16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グラム染色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2534A1 (fr) 1998-03-26
CA2238002A1 (en) 1998-03-26
EP0881481A1 (en) 1998-12-02
NO982219L (no) 1998-05-15
BG102551A (en) 1998-12-30
AU4221897A (en) 1998-04-14
NO982219D0 (no) 1998-05-15
JPH1090145A (ja) 199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824A (en) Apparatus for dyeing specimens automatically preparatory to microscopic examination
US5338358A (en) Apparatus for dyeing tissues
KR19990067484A (ko) 생체시료용 약액처리장치
EP05030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reagent delivery probes
JP2676027B2 (ja) 液体サンプル取出し用ニードルの洗浄装置
CN110320379B (zh) 一种样本分析仪及其清洗方法
JP5259981B2 (ja) 自動分析装置
JPH10197425A (ja) 被検体を処理する装置
CN1204407A (zh) 用于对放在显微镜载物片上的组织样品染色的染色仪器
CN104508495B (zh) 自动分析装置的控制方法
KR19990067485A (ko) 현미경표본용 약액처리방법
JPH05126836A (ja) プローブ洗浄槽
JP2001133466A (ja) 自動分析装置
CA22399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 pipette probe
JP6876650B2 (ja) 自動分析装置および自動分析方法
JPH06100522B2 (ja)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
JPH01209372A (ja) 自動化学分析装置の洗浄装置
JP2909412B2 (ja) 生物組織の処理装置
JP3778625B2 (ja)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
JP3841492B2 (ja)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
CN211042889U (zh) 一种阶梯式多层染色装置
JPH05844Y2 (ko)
JPH1090147A (ja)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
JPH1090148A (ja) 顕微鏡標本の自動染色装置
JPS58120164A (ja) 自動化学分析装置における廃液試薬の排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