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426A - 에어 백 파열 시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백 파열 시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426A
KR19990067426A KR1019980703437A KR19980703437A KR19990067426A KR 19990067426 A KR19990067426 A KR 19990067426A KR 1019980703437 A KR1019980703437 A KR 1019980703437A KR 19980703437 A KR19980703437 A KR 19980703437A KR 19990067426 A KR19990067426 A KR 1999006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bag
envelope
ultraviolet
polymer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제이. 갤러거
Original Assignee
마이클 피. 오루키
텍스트론 오토모티브 캄파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피. 오루키, 텍스트론 오토모티브 캄파니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클 피. 오루키
Publication of KR1999006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infrared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4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for curing or vulcanising preform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47Agents changing thermal characteristics
    • B29K2105/005Heat sensitisers or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ir Bag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추가적으로 팽창가능한 구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에어 백 커버(14)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에어 백 컵 외피를 포함한다. 이 커버 외피는 에어 백의 팽창에 응답하여 에어 백 커버 외피의 파열을 안내하는 약화된 파열 시임(16)을 포함한다. 이 파열 시임 부분은 광분해에 의해, 즉 파열 시임 부분의 중합체 재료내의 중합체 결합을 파괴하는 자외선(20)에 선택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약화된다. 광분해는 에어 백 커버 외피(24)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파열 시임(16)의 인장 강도 및/또는 신장도(파괴시의 측정값)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에어 백 파열 시임 및 그 제조 방법
에어 백 도어 커버용 파열 시임은 현재 수많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 중 하나의 기술로는 제조 과정 중 커버 내에 얇은 부분을 성형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에어 백의 전개에 응답하여 커버를 분리시키도록 설계된 비교적 취약한 파열 시임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성형 파열 시임은 시간이 경과하면 커버의 매끈한 외면에 외견상 함몰인 것처럼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차량 소유자는 커버의 외면에서 파열 시임의 형상을 볼 수 있다.
또한, 파열 시임은 에어 백 커버 외피를 성형한 후에, 즉 후 성형 작업 중에 파열 시임의 형상 내에 얇은 부분을 만들기 위해 칼, 고열 도구, 레이저, 또는 다른 기구로 외피에 새김을 내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후 성형 작업은 비용이 많이 들고 주의 깊게 제어되어야 한다.
취약한 파열 시임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에어 백 커버 외피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약한 재료로 파열 시임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인 에게 모두 양도된 미국 특허 제5,530,057호 및 제5,567,37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각 특허는 플라스틱 분말로부터 일체로 성형된 파열 시임을 형성하는 주조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커버 외피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말과는 달리, 파열 시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주조된 플라스틱 분말은 유리나 탄산염과 같은 충전물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생성된 혼합물은 커버 외피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분말보다 상당히 약한 인장 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그 제조 공정에 단계와 비용을 추가시킨다.
에어 백 도어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자기파 스펙트럼인 자외선 대역의 태양 방사에 장기간 노출됨으로 인한 유해한 작용에 잘 견딜 수 있는 커버 외피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형성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체 재료는 자외선 방사와 산소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광분해 현상을 나타내기 쉽다. 광분해는 중합체 분자 내의 연결 고리 분리 및/또는 교차 결합, 즉 중합체 결합의 파괴를 함께 유발하는 2개의 다른 화학 작용을 포함한다. 2개의 작용 중 제1 광분해 작용에서, 중합체는 중합체 내의 분자 결합을 파괴하여 유리 라디칼(free radical)을 형성하는 자외선 방사를 흡수한다. 제2의 자연 산화 작용에서, 유리 라디칼은 산소와 상호 작용하여 과산화 라디칼(peroxy radical)을 형성한다.
중합체 재료가 이러한 방식으로 노출되면, 중합체의 기계적 작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형태상의 대변화를 유발한다. 예를 들면, 중합체의 밀도와 결정성은 일반적으로 그 분자량과 표면 조도를 감소시키면 증가한다. 이것은 파괴시, 즉 재료가 소정의 인장 하중 하에서 파괴되는 시점에서 중합체의 약화를 유발하여 측정 인장 강도 및/또는 신장도를 그만큼 감소시킨다.
광분해는 이들 화학 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외선 안정제 또는 억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억제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학 반응을 실제로 촉진시킬 수 있는 자외선 촉매제도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억제제와 촉매제는 모두 원하는 파장 범위 내에서만 작용하도록 제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억제제는 오존층이 태양 자외선 방사를 거의 흡수하지 않는 320 내지 390 나노미터의 파장 범위, 즉 소위 자외선-에이(UV-A) 범위의 자외선을 억제시키도록 제조된다. 또한 자외선 억제제는 태양 자외선 방사의 대부분이 오존층에 흡수되나 모두 다 흡수되지는 않는 280 내지 320 나노미터의 파장 범위, 즉 자외선-비(UV-B) 범위 까지 카바하도록 제조된다. 150 내지 280 나노미터의 파장 범위, 즉 자외선-씨(UV-C) 범위 내에서, 오존층은 약 250 나노미터 파장에서 오존 흡수 최고치를 나타내면서 실제적으로 모든 태양 자외선 방사를 흡수한다.
제조하기에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면서도 에어 백 커버 외피의 매끈한 외면 위에서 외견상 보이지 않는 파열 시임을 갖는 에어 백 커버를 제조하는 간단하고 비용 면에서 효과적인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파열 시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적으로 약화된 파열 시임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조수석측의 추가적으로 팽창가능하게 구속하는(SIR ; Supplement Inflatable Restraint) 에어 백 시스템을 은폐시키는 에어 백 도어 커버 부분을 갖는 자동차의 대시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파열 시임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파열 시임을 제조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도3의 선 4-4를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분해되기 쉬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포함하는 에어 백 커버가 제조된다. 커버 외피의 적어도 한 측면이 발광체에서 방사된 빛에 제어된 상태에서 노출된다. 빛에 노출되면 제조될 파열 시임에 상당하는 선택된 파열 시임 내의 커버 외피를 약화시킨다. 커버 외피의 나머지 부분, 즉 비파열 시임 부분은 빛으로부터 보호되거나 차폐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파열 시임은 차량 소유자에게 외견상 보이지 않으며, 제조 비용이 적게 든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에어 백 커버 외피는 커버 외피 중합체 재료의 광분해를 촉진시키도록 제조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자외선 촉매제로 알려진 이들 화합물은 파열 시임 부분 내에서의 광분해 비율을 증가시켜서 커버 외피의 파열 시임 부분의 중합체 재료를 효과적으로 광분해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중합체 재료는 32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를 억제시키도록 된 자외선 억제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억제제는 태양 자외선 방사로 인한 장기간의 광분해로부터 커버 외피를 보호한다. 자외선 억제제는 28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만을 억제시키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한 에어 백 커버 외피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에어 백 커버 외피는 중합체 재료로 먼저 형성된다. 에어 백 커버 외피의 비파열 시임 부분은 차폐된 다음,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중합체 재료를 약화시키는 파장 범위 내의 충분한 강도의 전자기파 방사에 조광된다. 에어 백 커버 외피는 전자기파 방사가 차폐되지 않은 중합체 재료를 약화시킬 때까지 이러한 방식으로 조광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파열 시임 부분은 조광될 에어 백 커버 외피 표면 위에 형판을 설치함으로써 차폐된다. 이 형판은 크기와 형상이 파열 시임의 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광체를 구비한 단일 장치 내에 차폐 형판이 포함된다. 그래서, 이러한 형판 램프 장치의 형판 부분은 조광될 에어 백 커버 외피 표면 위에 직접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광체는 적외선 스펙트럼의 광선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커버 외피에 전달되는 열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켜서 외피를 연화시키거나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발광체를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조광되는 표면에 보다 가깝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광선은 사용된 에너지 양에 대해 더욱 많이 약화시키기 위해 자외선만을 포함하도록 더욱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외피는 자외선 스펙트럼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조광 범위 내에서 조광된다. 또한, 조광 범위 이외의 자외선 방사를 억제시키도록 특수하게 제조된 자외선 억제제가 중합체 커버 외피 재료 내에 포함된다. 이에 의해 자외선 억제제는 조광 범위 내의 의도적인 광분해를 억제시키지 않으면서 장기간의 태양 자외선 광분해를 방해한다. 조광 파장 범위는 대부분의 태양 자외선 방사가 오존층 내에 흡수되는 320 나노미터 미만으로 제한되거나 또는 오존층이 거의 모든 자외선 방사를 흡수하는 280 나노미터 미만으로 더욱 제한된다. 따라서, 자외선 억제제는 320 나노미터 및 280 나노미터보다 긴 자외선 방사를 각각 억제시키도록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업계의 기술자는 광분해를 중합체의 고유 특성에 유해한 것으로 생각한다. 왜냐하면, 광분해가 중합체의 결합을 파괴하여 재료를 화학적으로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광분해를 방지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재료에 자외선 안정제, 즉 자외선 억제제를 추가하는 것이다. 자외선 억제제가 감소되거나 전부 제거되면 자외선의 해로운 효과가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분해를 하나의 특성으로 인정하며, 제어된 상태에서 중합체 에어 백 커버 외피 내에 파열 시임을 제조하기 위해 광분해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은 공지의 구조인 계기판이나 대시 보드를 갖는 자동차의 내부(10)를 도시한다. 대시 보드(12)는 약화된 파열 시임(16)이 형성된 에어 백 커버 외피 부분(14)을 포함한다. 대시 보드(12)의 아래에 장착되며, 파열 시임(16)이 파열할 때 에어 백 커버 외피(14)를 통해서 형성된 에어 백 배출 파열구를 통해서 자동차의 실내(10)로 전개하는 공지의 방식으로 작동하는 추가적으로 팽창가능하게 구속하는(SIR) 에어 백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위에 파열 시임(16)이 놓여져서 이 에어 백 시스템을 은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 에어 백이 자동차의 동력 조향 장치 조립체 내에 둘러싸여 에어 백을 전개시키도록 설계되고 동일한 광분해 작용에 따라 만들어진 파열 시임을 갖는 유사한 커버 재료에 의해 은폐되는 운전자석측 형식의 에어 백 장치(도시하지 않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soft) 재질 혹은 경성(hard) 재질로 된 커버 외피 재료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연성 재질로 된 커버 외피 재료는 밑에 놓인 다른 지지 구조물로부터 분리된 층이다. 경성 재질로 된 커버 외피 재료와 밑에 놓인 다른 지지 구조물은 완전히 동일한 구조물이며, 즉 이들은 완전히 단일의 부분으로서 함께 형성된다.
커버(14)는 슬러시 성형(slush molding)과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형성 기술에 따라 적당한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모든 중합체와 마찬가지로, 커버(14)에 사용된 재료도 자외선 방사에 노출되면 화학적으로 광분해되기 쉽다.
대체로, 본 발명은 재료를 국부적으로 충분히 약화시키고 외견상 보이지 않는 파열 시임을 제조하기 위하여, 에어 백 커버 외피(14) 내에서 파열 시임으로서 작용하는 부분, 즉 파열 시임 부분(16)을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파열 시임(16)을 형성하는 하나의 방법을 예시한다. 자외선 방사 장치, 즉 자외선 발광체(18)는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하나의 표면 위에 배열되며, 자외선 방사(20)를 커버(14)의 대면하는 표면 위로 직사시키도록 에너지가 가해진다. 자외선 차단 형판(22)은 그 상기 개구부(26)를 제외한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비파열 시임 부분(24)으로 자외선 방사(20)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자외선 발광체(18)와 커버 재료(14)의 사이에 배열된다. 개구부(26)는 크기와 형상이 제조될 파열 시임(16), 즉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파열 시임 부분(16)과 일치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형판의 개구부(26)와 파열 시임 부분(16)이 일치하는 H자형이지만, 이것은 사용될 수 있는 많은 여러 가지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일 뿐이다. 다른 형상도 고려될 수 있으며, X자형 및 C자형의 파열 시임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판(22)은 밑에 놓인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비파열 시임 부분(24)으로의 자외선 방사의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형판 개구부(26)를 통해서 에어 백 커버 외피의 파열 시임 부분(16)으로의 자외선 방사의 전달은 허용하는 금속, 목재,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패널을 포함한다.
노출된 중합체 재료(14)의 광분해는 자외선 노출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재료를 일정한 정도까지 약화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은 커버마다 다르며, 커버에 사용되는 재료의 형태, 그 두께, 주변 온도, 자외선의 강도, 자외선의 방사도 및 자외선의 파장과 같은 요인들에 좌우된다. 사용되는 자외선이 최적의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약 10 내지 340 나노미터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발광체가 이 바람직한 범위 이외의 자외선을 방사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적외선 방사와 연관된 열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자외선 발광체(18)가 전자기파 스펙트럼의 적외선 대역, 즉 0.002 ㎝ 내지 0.02 ㎝ 의 전자기파를 방사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분해 처리 중에 열에 의한 약화 및/또는 커버 변형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발광체(18)를 커버(14)에 더욱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도3 및 도4는 자외선 차단 형판(22)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독립 부분으로서가 아닌 자외선 발광체(18)의 바닥 패널로서 부착된 도2의 자외선 발광 장치의 변형을 예시한다. 그러나, 그 외의 특징과 작용은 도2와 연관된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자외선 발광체(18)를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커버 재료 자체는 상기한 파장 범위 내에서 재료의 광분해율을 제어하기 위해서 자외선 억제제와 촉매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된다. 이것은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중합체 내에 적절한 자외선 억제제 및/또는 촉매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스펙트럼의 일부분만을 방사하는 자외선 발광체가 스펙트럼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자외선 방사(20)를 억제시키도록 제조된 자외선 억제제를 포함하는 커버 재료를 조광하는 데 사용된다. 자외선 억제제의 여러 가지 제조물로서는 미국 뉴욕주 1053-2188 호손 스카이라인 드라이브 7소재의 시바 가이기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바 애터티브스(Ciba Additives)라는 상표명으로 대량 수득이 가능하다.
억제제 사용의 대안으로서, 또는 그 사용에 부가하여, 자외선의 약화 효과를 그 스펙트럼 대역에서 향상시키는 자외선 촉매제를 커버 재료 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촉매제는 단일 결합 보다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이중 결합의 화합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결합이 더욱 불안정하므로, 이중 결합의 화합물은 자외선 방사에 노출되면 더욱 쉽게 파괴된다. 이중 결합의 적절한 화합물의 실례들은 대부분 천연 및 합성 고무를 포함한다. 적절한 촉매제가 베이스 커버 외피 재료에 비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베이스 커버 외피 재료와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즉 베이스 커버 외피 재료를 구성하는 중합체 분자의 중심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 외피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중합체는 비닐, 올레핀, 올레핀 탄성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릭, 폴리에스터 및 우레탄을 포함한다.
또한 조광 파장도 의도적으로 파열 시임을 광분해하고 동시에 커버 외피 전체의 장기간의 태양 자외선 분해를 방지하는 데 사용하는 적당한 자외선 촉매제 및 억제제와 맞게 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발광체(18)의 조광 범위는 32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즉 오존층이 대부분의 자외선 방사를 흡수하는 자외선-비(UV-B) 및 자외선-씨(UV-C) 범위의 자외선에 제한된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조광되는 커버 재료는 32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 방사의 분해 효과를 촉진시키도록 제조된 자외선 촉매제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 재료는 32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방사, 즉 자외선-에이(UV-A) 범위의 방사를 억제시키도록 제조된 억제제를 포함한다. 자외선-비(UV-B) 및 자외선-씨(UV-C) 촉매제가 파열 시임 부분(16)을 의도적으로 광분해 시키는 것을 촉진시키는 반면, 자외선-에이(UV-A) 억제제는 태양 자외선 방사에 의한 장기간의 커버 외피의 분해를 방지한다. 자외선 발광체의 조광 범위는 자외선 스펙트럼의 억제된 자외선-에이(UV-A) 범위의 방사를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없애기 위하여 자외선-비(UV-B)와 자외선-씨(UV-C)에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발광체 범위는 28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즉 오존층이 대부분의 전자기파 에너지를 흡수하는 자외선-씨(UV-C) 범위의 자외선에 더욱 제한된다. 자외선-씨(UV-C)의 방사에 의해 조광되는 커버 재료는 28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 방사의 분해 효과를 촉진시키도록 제조된 자외선-씨(UV-C) 촉매제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 재료는 28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방사, 즉 자외선-에이(UV-A)와 자외선-비(UV-B) 범위의 방사를 억제시키도록 제조된 억제제도 포함한다. 자외선 씨(UV-C) 촉매제가 파열 시임 부분(16)을 의도적으로 광분해 시키는 것을 촉진시키는 반면, 자외선-에이(UV-A)와 자외선-비(UV-B) 억제제는 태양 자외선 방사에 의한 장기간의 커버 외피의 분해를 방지한다. 자외선 발광체의 조광 범위는 자외선 스펙트럼의 억제된 자외선-자외선-에이(UV-A)와 자외선-비(UV-B) 범위의 방사를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없애기 위하여 자외선 씨(UV-C)에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재료의 미리 선택된 파열 시임 부분(16)을 광분해에 의해 약화시키도록 광분해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추가적으로 팽창가능하게 억제하는(SIR) 에어 백 커버 외피(14) 내에 파열 시임(16)을 제조하는 방법을 의도하고 있다. 이러한 파열 시임(16)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에어 백 커버 외피 재료의 비파열 시임 부분(24)을 자외선 차단 형판(22)으로 차폐하는 것이다. 이 공정에 사용된 형판(22)은 파열 시임(16)의 크기와 형상과 일치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개구부(26)를 가진다. 커버는 에어 백 커버 외피 재료의 노출된 파열 시임 부분(16)을 광분해하기 위해 자외선으로 조광된다. 이러한 조광에 의해 파열 시임 부분(16) 내의 중합체 연쇄 고리는 둘러싸는 비파열 시임 부분(24)을 구성하는 에어 백 커버 외피 재료의 중합체 연결 고리보다 더욱 많이 파괴되고 교차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파열 시임 부분(16)의 중합체 재료는 비파열 시임 부분(24)의 둘러싸는 중합체 재료 보다 비교적 더욱 부서지기 쉽고 약하다. 그러나, 파열 시임 부분(16)과 비파열 시임 부분(24) 사이의 차이점은 외견상 구별할 수 없다. 즉, 에어 백 커버 외피(14)의 매끈한 외면은 파열 시임(16)이 존재한다는 외견상의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동일한 작용 및/또는 결과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다.
상기한 것은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인 단어를 사용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이다. 상기 사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대한 많은 수정과 변형도 가능함이 명백하다. 청구의 범위 내에서 상기한 것과는 다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22)

  1.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된 추가적으로 팽창가능한 구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형식의 에어 백 커버에 있어서,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에어 백 커버 외피와,
    에어 백의 팽창에 응답하여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파열을 안내하고 에어 백 배출 파열구를 형성하기 위해 에어 백 커버 외피 내에 포함되는 파열 시임 부분과,
    상기 파열 시임 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 내에 포함되는 비파열 시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파열 시임 부분의 상기 중합체 재료는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상기 비파열 시임 부분의 상기 중합체 재료 보다 더욱 많이 광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는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상기 중합체 재료의 광분해를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상기 중합체 재료와 비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상기 중합체 재료와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는 비닐, 올레핀, 올레핀 탄성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릭, 폴리에스터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기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상기 중합체 재료는 32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 광분해를 억제시키도록 제조된 자외선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상기 중합체 재료는 28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 광분해를 억제시키도록 제조된 자외선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10.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면 및 외면과, 파열 시임 부분과, 파열 시임 부분을 둘러싸는 비파열 시임 부분을 포함하며, 파열 시임 부분의 중합체 재료가 비파열 시임 부분의 중합체 재료 보다 더욱 많이 광분해되는 에어 백 커버용 에어 백 커버 외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합체 재료로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와,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중합체 재료를 약화시킬 수 있는 전자기파 방사의 파장을 통과시키지 않는 물질로 에어 백 커버 외피의 비파열 시임 부분을 차폐하는 단계와,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중합체 재료를 약화시키는 파장의 범위 내에서 충분한 강도의 전자기 방사로 에어 백 커버 외피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 및 외면을 조광하는 단계와,
    전자기 방사가 차폐되지 않은 파열 시임 부분의 중합체 재료를 약화시킬 때까지 에어 백 커버의 조광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외피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단계는 조광될 에어 백 커버 외피 위에 형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단계는 조광될 에어 백 커버 외피 위에 차폐 형판과 발광체의 결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단계는 전자파 스펙트럼의 적외선 부분 이외의 방사로 제한된 조광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단계는 전자파 스펙트럼의 자외선 부분의 전자기 방사로 조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하는 단계는 자외선 스펙트럼 부분만을 포함하도록 제한된 조광 범위 내에서 조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 형성 단계는 조광 범위 이외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의 광분해를 억제시키는 자외선 억제제를 중합체 재료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 형성 단계는 조광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의 광분해를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중합체 재료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단계는 32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제한된 조광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32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의 광분해를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중합체 재료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32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의 광분해를 억제시키는 자외선 억제제를 중합체 재료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하는 단계는 28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제한된 조광 범위 내에서 조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280 나노미터 미만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의 광분해를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중합체 재료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커버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280 나노미터보다 긴 파장을 갖는 자외선 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커버 외피의 광분해를 억제시키도록 제조된 자외선 억제제를 중합체 재료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 제조 방법.
KR1019980703437A 1995-11-09 1996-11-08 에어 백 파열 시임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67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0495P 1995-11-09 1995-11-09
US60/006,404 1995-11-09
PCT/US1996/017947 WO1997017233A1 (en) 1995-11-09 1996-11-08 Air bag tear seam and method of manufa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426A true KR19990067426A (ko) 1999-08-16

Family

ID=2172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437A KR19990067426A (ko) 1995-11-09 1996-11-08 에어 백 파열 시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062590A (ko)
EP (1) EP0857123B1 (ko)
JP (1) JP2000500091A (ko)
KR (1) KR19990067426A (ko)
CA (1) CA2235930A1 (ko)
DE (1) DE69629045T2 (ko)
ES (1) ES2205068T3 (ko)
WO (1) WO19970172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7061B2 (en) * 2019-10-07 2022-07-05 StreetScooter GmbH Airbag flap system having peripheral depressions of variable material thickn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0330A (en) * 1999-04-30 2000-11-2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strument panel with tear seam formed after moulding
JP3370044B2 (ja) * 1999-06-03 2003-01-27 東海化成工業株式会社 表皮及びその製造方法と、エアバッグドア用表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ドア構造
DE19952497B4 (de) * 1999-10-29 2004-03-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eckkappe für ein Gassack-Rückhaltemodul und Abdeckkappe
US6709007B2 (en) 2000-02-15 2004-03-23 Collins & Aikman Automotive Company Inc. Airbag do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AU4747701A (en) * 2000-03-17 2001-10-03 Tip Eng Group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weakening an automotive trim piece for an airbag deployment opening
US6379604B1 (en) * 2000-03-22 2002-04-30 W. Inoac, Inc. Laser ridge skin distortion reduction method
JP3451486B2 (ja) * 2000-10-03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TWI249782B (en) * 2001-03-05 2006-02-21 Mosel Vitelic Inc Auxiliary cutting tool of rubber for ion implanter and the cutting method
US6737607B2 (en) * 2001-03-16 2004-05-18 Tip Engineering Group, Inc. Apparatus for laser cutting a workpiece
US6657158B1 (en) 2002-06-03 2003-12-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processing a laser scored instrument panel with an invisible seam airbag opening
US7100941B2 (en) 2003-02-24 2006-09-05 Collins & Aikman Pre-weakening of fabric covered airbag doors
US7025374B2 (en) * 2003-07-03 2006-04-11 Intertec Systems Airbag cover and tear seam
US20060267312A1 (en) * 2005-05-24 2006-11-30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Airbag cover and method for producing airbag cover
DE102007046154B4 (de) * 2007-09-27 2017-0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irbagabdeckung mit geätzter Sollbruchlinie
DE102012009401B4 (de) * 2012-05-10 2014-03-20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modu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8567816B1 (en) * 2012-12-19 2013-10-29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irbag tear seam shapes
CN107498774A (zh) 2016-06-14 2017-12-22 福特环球技术公司 用于制造带有削弱部分注塑件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6143A (en) * 1969-04-02 1971-12-07 American Can Co Scoring of materials with laser energy
NL8901257A (nl) * 1989-05-19 1990-12-17 Leeuwarder Papier Werkwijze voor het aanbrengen van verzwakkingslijnen in resp. het graveren van kunststofmateriaal, in het bijzonder verpakkingsmateriaal.
US5744776A (en) * 1989-07-14 1998-04-28 Tip Engineering Group, Inc. Apparatus and for laser preweakening an automotive trim cover for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US5082310A (en) * 1989-11-06 1992-01-21 Tip Engineering Group,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JPH03186450A (ja) * 1989-12-14 1991-08-14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US5248532A (en) * 1989-12-18 1993-09-28 Takata Corporation Air bag-containing cover
GB2250295B (en) * 1990-11-29 1994-02-02 Asahi Chemical Ind Cover for accommodating air bag in air bag system
JP2758539B2 (ja) * 1992-09-29 1998-05-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DE4311241C1 (de) * 1993-04-06 1994-04-28 Daimler Benz Ag Abdeckplatte für einen in einem Gehäuse eingefalteten Gassack
US5496059A (en) * 1994-10-26 1996-03-05 Tip Engineering Group, Inc. Air bag installation using integrated energy device to form trim piece air bag deployment openings
TW339348B (en) * 1994-11-04 1998-09-01 Shell Internattonale Res Mij B V Block copolymer contain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d in air bag covers and air bag covers derived therefrom
JP3071380B2 (ja) * 1995-05-30 2000-07-3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ケース
US5530057A (en) 1995-06-05 1996-06-25 Davidson Textron Inc. Filled aliphatic thermoplastic urethane automotive air bag door tear seam insert
US5567375A (en) 1995-06-05 1996-10-22 Davidson Textron Inc. Method for casting a thermoplastic automotive air bag cover skin with a lesser strength thermoplastic tear seam strip insert
US5883356A (en) * 1996-05-13 1999-03-16 Tip Engineering Group, Inc. Laser scoring process and apparatus
DE19636429C1 (de) * 1996-09-07 1997-11-20 Jenoptik Jen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wächelinie mittels Laser
US5961143A (en) * 1998-05-11 1999-10-05 Textron Automotive Company Motor vehicle air bag cover having a skin with perforated score li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7061B2 (en) * 2019-10-07 2022-07-05 StreetScooter GmbH Airbag flap system having peripheral depressions of variable material thick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9045T2 (de) 2004-04-22
EP0857123A4 (en) 2002-01-09
CA2235930A1 (en) 1997-05-15
WO1997017233A1 (en) 1997-05-15
US6139049A (en) 2000-10-31
JP2000500091A (ja) 2000-01-11
EP0857123B1 (en) 2003-07-09
US6062590A (en) 2000-05-16
DE69629045D1 (de) 2003-08-14
ES2205068T3 (es) 2004-05-01
EP0857123A1 (en) 199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7426A (ko) 에어 백 파열 시임 및 그 제조 방법
US7243947B2 (en) Air bag
JP4609229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5639115A (en) Deployment door assembly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6299209B1 (en) Protective device for motor vehicle occupants
US20040164531A1 (en) Pre-weakening of fabric covered airbag doors
US5899494A (en) Deflagration venting system for airbag systems
US6079733A (en) Trim piece construction for an air bag installation
US6695344B2 (en) Airbag module
CN212667317U (zh) 驾驶员侧气囊装置
JP2007522008A (ja) 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
US6328333B1 (en) Pillar tri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6164685A (en) Deployment door for air bag module
US6045153A (en) Instrument panel cover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CN105270313B (zh) 带有形成于连接突起部分的主动排气孔的主动垫式安全气囊
KR102352123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JP4011186B2 (ja) エアバッグドアを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RU2698640C2 (ru) Активный буфе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в автомобиль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US20190023216A1 (en) Seat assemblies including integrated airbag doors for motor vehicles
KR20040095357A (ko) 에어백 도어용 동적 슬라이딩 테더 구조
KR20230126087A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20050047362A (ko)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장착용 브라켓트
KR20230090924A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20210116810A (ko) 자율주행 자동차용 에어백
Karlow et al. Development of a new downsized airbag system for use in passenge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