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068A - 도어 - Google Patents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068A
KR19990067068A KR1019980703008A KR19980703008A KR19990067068A KR 19990067068 A KR19990067068 A KR 19990067068A KR 1019980703008 A KR1019980703008 A KR 1019980703008A KR 19980703008 A KR19980703008 A KR 19980703008A KR 19990067068 A KR19990067068 A KR 1999006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rizontal
hoist
we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아벨 랏세
Original Assignee
가르드마르크 티 레나르드, 스벤손 게르트
노마파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르드마르크 티 레나르드, 스벤손 게르트, 노마파 아베 filed Critical 가르드마르크 티 레나르드, 스벤손 게르트
Publication of KR1999006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Bars or rods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9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flexible sheets as closing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2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06B2009/135Horizontal shutte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특히 산용업도어로서, 도어통로의 상부에지에 걸리고, 동력호이스트를 갖는 호이스트장치(24-26)에 접속되어 라인 또는 벨트수단(19-22)과 함께 상승하는 문짝(11)을 구비하며, 상기 문짝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조각으로된 가요성물질(17)을 포함하며, 이 가요성물질(17)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수평브레이스(13-16)가 부착되고, 상기 수평브레이스는 그 각각의 양단이 도어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수직안내프레임(12)과 결합하여 안내되며, 수평브레이스(13-16)에는 호이스트수단(19-22)이 접속되어 수평브레이스에 배치된 다수의 풀리(27)위에서 안내됨으로써 다른 수평브레이스의 견인수단에 대해 동일한 간격의 이동거리를 부여하고, 문짝의 무게일부와 균형을 이루고 문짝의 이동하강속도를 증대시키기위해 도어의 일단 또는각 단에는 수평추(31,32)가 배치되고,어느 한 수평추 또는 각각의 수평추용 견인라인 또는 벨트(29,30)가 도어의 상부에지의 풀리(33,34)를 경유하여 호이스트장치(24, 26)에 접속되며,어느 한 수평추 또는 각각의 수평추(31,32)로부터의 견인라인 또는 벨트는 호이스트장치의 호이스트드럼(24)에 접속된다.

Description

도어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5, 301, 732호에는 이러한 종류의 도어가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은 특정 속도 및 치수로 도어를 상승, 하강시켜 작동하는 방식을 이용하지만 큰 도어 즉 5m 이상의 도어에 대해서도 신속한 상승하강을 필요로하여 새로운 개량형이 개발되어왔다.
덴마크특허 제127.859호는 강고한 패널의 신축형 도어를 제안하였는데 여기에는 일부의 도어 중량과 균형을 이루는 평형추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무동력형 도어에 있어서는 아래로 뻗어 여러 패널에 연결된 라인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부에지에 배치된 호이스트 드럼을 사용한다. 호이스트 드럼의 샤프트에 배치된 보조라인은 평형추에 접속되어 호이스트 드럼과 함께 도어의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이 동력의 입력부와 출력부가 상호 분리된 구성은 상대적으로 큰 공간 및 무거운 전송축을 요한다.
고속동작의 문제는 도어문짝의 상승뿐만 아니라 하강에도 관련된다. 물자절약을 위해 도어 문짝을 극히 가볍게할 경우 마찰 및 관성 문제로인해 고속의 동작에 적합한 충분한 하강력을 얻기 어렵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미국특허 제5, 301, 732호의 기술을 기초로하여 경량이면서도 높은 풍압하중을 견딜 수 있고, 종래 기술의 도어보다도 상승하강이 빠른 특징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차단시 또는 정상상승 중 다른 문제(즉 비상사태에 의한 도어개방)가 발생하였을 때 수동으로 도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름없는 평면형 직물도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하강방식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적으로 도어부분 마다 특정의 리프트를 배치하여 종래의 도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력을 감속시키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청구항 1의 도입부의 내용에 따른 도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개방(즉 상승) 속도와 같은 정도의 신속한 폐쇄(즉 하강) 속도를 갖는 신속한 작동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사벽과 수평천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구항 1의 도입부에 설명된 바와같이 산업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2개의 평형추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
도 2 - 도 1의 도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 호이스트 드럼의 측면도.
본 발명의 기본특징은 신규내용을 기재한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나타낸 바와같다.
실험 및 실습을 통해 현재까지 가장 큰 치수의 도어에 대해서도 0.6m/sec 정도의 상승 및 하강속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호이스트장비에 대한 간단한 부착구조를 통해 동력전달를 용이하게하는 장점이 있다.
부재들 간의 무게균형이 형성되어 복잡하고도 고가의 안전장비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종래기술의 안전장비로는 하강중 소정의 회전속도를 초과할 때 걸리는 원심형 브레이크, 또는 호이스트 라인에 제동을 걸때 하부빔에 걸리는 스프링장착형 클램핑장치를 들 수 있다.
청구항 2-10은 또다른 이정이 있으며, 이들 특징 및 그 기능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폐쇄된 도어에 대해 하향하중을 가함으로써 직물은 항상 펄럭이거나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편평항 상태를 유지한다. 산업용 도어는 안전을 위해 어느 물체가 폐쇄중인 도어로 들어오는 경우 반대방향(즉 이 경우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 역동작기능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균형을 통해 종래의 도어보다 신속하게 이러한 역동작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안전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도 1은 문짝(11)이 통로측에서 안내용 프레임(12)에 결합된 직물형 도어를 나타내며, 여기서 문짝(11)은 미국특허 제5, 301, 732호의 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문짝(11)에는 4개의 수평빔 즉 수평 브레이스(13)(14)(15)(16)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수평브레이스(13)(14)(15)(16) 각 단말부에는 롤러(도시하지않음)가 끼워지며, 이 롤러는 안내용 프레임(12)의 홈에 끼워진다. 수평브레이스(13)(14)(15)(16)의 외측에는 적절한 방법으로 직물(17)(제1층 직물)이 부착되며, 이 직물은 일체로된 연속형일 수도 있고, 여러개의 조각이 결합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조각은 수평브레이스 마다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전체를 이루게된다. 같은 방법으로 내측에도 문짝(11)의 제2층 직물(17)이 부착되며, 이들 2개의 직물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도어의 열차단효과를 높인다.
수평브레이스(13)(14)(15)(16)는 적절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격자형 브레이스, 지주형 등의 지지체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재질로는 가벼운 물질, 철강 또는 그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각각의 수평브레이스(13)(14)(15)(16)의 상승하강을 위해 각각의 전용 호이스트 라인 또는 호이스트 벨트(19)(20)(21)(22)가 사용된다.
각 최하측 수평브레이스용 호이스트 라인(19)은 도어통로의 상부에지에 위치하는 풀리(23)에서 안내되고, 이 풀리에서 다시 상부에지의 중앙배치된 라인드럼 또는 호이스트드럼(24)으로 연장되며, 이 호이스트드럼은 벨벳기어(26)에 연결된 전동기(25)(도 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두 번째 최하측 수평브레이스용 호이스트라인(20)은 두 번째 최하측 수평브레이스(14)에 위치하는 풀리(27)로부터 다음으로 높은 수평브레이스(15)의 부착점까지 안내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호이스트 라인(19)(20)을 통해 동력전달을 함으로써 수평브레이스(13)(14) 모두가 통로의 상부에지까지 상승한다. 또한 2개의 위쪽 수평브레이스(15)(16)의 호이스트라인(21)(22)도 더 많은 수의 풀리에 의해 안내를 받아 상승거리를 감소시키게 된다.
호이스트라인 또는 벨트를 상호간에 부착할 수도 있고, 도어의 높이 및 전체 구간별 개수에 따라 일정개수의 수평브레이스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호이스트드럼(24)은 플랜지에 의해 여러개의 챔버로 분리되는 한편 공통 축심의 직경을 갖는다. 호이스트 드럼(24)의 중앙에는 예를들어 금속성의 2개의 수평추(31)(32)가 매달린 호이스트라인 또는 호이스트 벨트(29)(30)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추는 안내용 프레임(12)의 양쪽 외측에 위치한다. 도어의 구성은 안내용 프레임측 상에서 수평추(31)(32)를 수용하는 공간을 필요로하게된다.
각 호이스트 라인(29)(30)은 각 안내용 프레임(12)의 상단에서 풀리(33)(34)에 의해 안내되어 호이스트 드럼(24)의 섹션(35)으로 향한다. 중앙에 섹션(35)이 형성됨으로써 호이스트드럼(24)의 저널에 대해 상대적으로 2개의 호이스트라인의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게된다.
각 평형추(31)(32)의 최하측으로부터 인장라인(36)(37)이 풀리(38)(39)까지 하향 연장되어있으며, 여기서부터 다시 뻗어 최하측 수평브레이스(13)의 하측의 부착점(40)(41)에 결합된다. 인장라인(36)(37)은 탄성적으로 수평추(31)(32)의 하측에 부착된다.
수평추의 무게는 도어의 가동부분무게의 50%이며, 이 값은 호이스트 라인(19)(20)(21)(22)의 전송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면 문짝은 중심위치에서 수평추와 균형을 이루게되며, 그 결과 문짝의 이동속도를 증대시키는 기반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는 가장큰 도어에 대해서도 0.6m/sec의 상승 및 하강속도를 가능하게한다. 이러한 균형특성은 갑작스런 도어 하강을 정지시키기위해 복잡하면서도 고가의 안전장비를 사용해야하는 필요성을 제거해준다. 종래기술의 도어의 경우 이 장비는 하강시 회전속도가 소정의 크기를 초과할 경우 작용하는 원심형 차단기이거나 호이스트 벨트의 고장시 최하측 수평브레이스에 걸리는 스프링결합형 클램프장치가 된다.
직물 사이에 압력이 낮아질 때 도어의 폐쇄속도를 억제할 수도 있다.
예로서 나타낸 바와같이 하향견인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도어질량를 크게 감소시켜 도어의 상승 및 하강시 가동질량을 낮게하고, 결과적으로 신속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 극히 가벼운 도어에서도 필요한 폐쇄력을 갖게된다.
본 발명은 고속이동식 도어 분야에 대해 실질적인 개선점을 제공하며, 실질적으로 풍압을 견딜 수 있으면서 고속으로 작동하는 큰치수의 도어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높은 풍압하에서 개폐될 때 특히 하향견인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경우 높은 풍압은 안내용 프레임(12)에 대해 역작용을 하는 차단효과를 야기하게되므로 강제개방이 필요하게된다.
호이스트드럼(24)은 이송빔 또는 모터장착빔(4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풀리들 및 모터(25) 결합용 소자와 함께 제조되고, 안내용 프레임(12)의 상단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모터장착빔(42)은 격자형 거더(girder) 빔이며, 도어의 설치시간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 모터장착빔(42)이 설치구조물의 일부로서 제공될 때 호이스트설비 및 수평추는 나사볼트(도시하지 않음)로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철강 와이어 형태의 라인은 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된 벨트로 대체할 수 있다.
호이스트 드럼(24)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직경이 되므로 라인의 힘은 중심부에서 문짝과 균형을 이룬다. 즉 반정도 채워진 윈치드럼의 모든 섹션과 함께 동일한 암의 모멘트에 의해 균형이 이루어진다. 단부에서 외부힘의 인가없이 해제될 때 균형잡힌 도어는 중심위치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며, 그결과 강제 개폐를 위해 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근간이된다.
수평브레이스에 호이스트라인(19)(20)(21)(22)(23)을 결합하고 수평추(31)(32)에 견인라인(29)(30)을 결합하며, 동시에 이들을 상호 다른 직경을 갖게하므로 문짝의 균형점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추(31)(32)의 호이스트라인(29)(30)을 도어부의 벨트보다 치수를 크게함으로써 모터브레이크의 해제와 함께 도어의 개폐를 자동으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일은 전원공급이 중단될 경우 유용하다. 호이스트드럼에서 호이스트라인과 수평추라인 각각에 대해 권선직경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수평추의 치수를 증대시켜 도어 모멘트의 50%(전술한바 있음) 보다 크게 수평추의 충격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호이스트라인(19)을 최하측 수평브레이스의 풀리에서 안내하면서 제2수평브레이스의 부착부까지 상향시킬 수도 있으며, 이것은 미국 특허 제5, 301, 732호의 기술에 대응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문짝(11)을 구비하는 한편 특히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도어로서,
    (A)상기 문짝(11)은 도어통로의 상부에지에 걸리고, 동력호이스트를 갖는 호이스트장치(24-26)에 접속된 라인 또는 벨트수단(19-22)과 함께 상승하고,
    (B) 상기 문짝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조각으로된 가요성물질(17)을 포함하며, 이 가요성물질(17)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평브레이스(13-16)가 부착되고,
    (C) 상기 수평브레이스는 그 양단 각각이 도어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수직 안내용 프레임(12)과 결합하여 안내되며,
    (D)수평브레이스(13-16)에는 호이스트수단(19-22)이 접속되어 수평브레이스에 배치된 다수의 풀리(27)위에서 안내됨으로써 다른 수평브레이스의 견인수단에 대해 동일한 간격의 이동거리를 부여하는 도어에 있어서,
    (E)공지된 방법의 문짝의 무게일부와 균형을 이루기위해 도어의 일단 또는각 단에는 수평추(31,32)가 배치되고,
    (F)어느 한 수평추 또는 각각의 수평추용 견인라인 또는 벨트(29,30)가 도어의 상부에지의 풀리(33,34)를 경유하여 호이스트장치(24, 26)에 접속되며,
    (G)어느 한 수평추 또는 각각의 수평추(31,32)로부터의 견인라인 또는 벨트는 호이스트장치의 호이스트드럼(24)에 접속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호이스트드럼(24)은 중앙에 배치된 섹션(35)을 가지며, 이 섹션(35)은 견인라인용 또는 수평추(31, 32)에 연결된 견인라인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문짝의 견인라인(19-22)은 호이스트드럼 중 그 중앙섹션(35)에 대칭이되는 섹션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 제1항-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수평추는 문짝이 생성하는 모멘트의 최소한 50% 이상에 상당하는 모멘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수평추의 모멘트는 실질적으로 문짝의 모멘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 제1항-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인(36,37)은 어느 한 수평추 또는 모든 수평추(31,32)에 접속되거나 호이스트드럼에 접속되고, 안내프레임(12)의 하단에 배치된 풀리(38,39)를 통해 안내되며, 최하측 수평브레이스(13) 아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수평브레이스에 연결된 라인 또는 벨트(19, 23)와, 한 수평추 또는 모든 수평추에 연결된 견인라인(29,30)은 다른 치수를 가지고 있어 전류고장 또는 이와 유사한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 자동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8. 제1항-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프레임(12)은 도어통로의 상부에지까지 샹향으로 뻗어있어 호이스트드럼(24)용 및 작동모터(25, 26)용 격자형 거더(girder) 빔(42)을 지지하며, 이 거더빔의 상부레벨에는 하나 이상의 수평추(31, 32)에 연결된 어느 한 견인라인 또는 복수의 견인라인(29, 30)용 풀리(33, 3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9. 제1항-제8항에 있어서,
    수평추에 연결된 견인라인용 호이스트드럼은 호이스트라인 또는 벨트용 호이스트드럼보다 큰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0. 제6항에 있어서,
    어느한 수평추 또는 모든 수평추의 하단에 연결된 견인라인(36, 37)을 갖는데 있어서,
    이 견인라인(36, 37)은 수평추(31, 32)와 부위(40,41)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KR1019980703008A 1995-10-27 1996-10-25 도어 KR19990067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54297 1995-10-27
NO954297A NO300701B1 (no) 1995-10-27 1995-10-27 Port
PCT/NO1996/000252 WO1997015745A1 (en) 1995-10-27 1996-10-25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068A true KR19990067068A (ko) 1999-08-16

Family

ID=1989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008A KR19990067068A (ko) 1995-10-27 1996-10-25 도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58545A1 (ko)
JP (1) JPH11513767A (ko)
KR (1) KR19990067068A (ko)
CN (1) CN1200783A (ko)
AU (1) AU711763B2 (ko)
NO (1) NO300701B1 (ko)
WO (1) WO1997015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19B1 (ko) * 2002-03-19 2005-03-10 이규석 물품운송용 출입구의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8552B1 (fr) 1999-01-15 2001-06-29 Novoferm France Dispositif d'entrainement et d'equilibrage motorise d'un ouvrant
ES2207346B2 (es) * 2001-01-25 2005-03-01 Angel Mir Darnaculleta Puerta perfeccionada de desplazamiento vertical.
MX2013006456A (es) 2010-12-07 2013-10-25 Propel Doors Inc Sistemas, aparatos y metodos de puertas corredizas automatica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09482B (ko) * 1965-11-12 1969-03-24 M Aberg
SE364548B (ko) * 1972-06-30 1974-02-25 H Jakobsson
SE386944B (sv) * 1972-08-18 1976-08-23 Nordiska Maskinfilt Ab Rulljalusiport
NO156876C (no) * 1982-12-30 1987-12-09 Mock Ab Oy Loeftedoer.
SE441290B (sv) * 1984-04-03 1985-09-23 Utec Porten Ab Port for t-formig oppning i vegg
US4858668A (en) * 1985-10-17 1989-08-22 Toti Andrew J Vertical window covering systems
WO1992013162A1 (en) * 1991-01-16 1992-08-06 Lasse Aabel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19B1 (ko) * 2002-03-19 2005-03-10 이규석 물품운송용 출입구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783A (zh) 1998-12-02
AU7509496A (en) 1997-05-15
NO954297D0 (no) 1995-10-27
WO1997015745A1 (en) 1997-05-01
NO300701B1 (no) 1997-07-07
JPH11513767A (ja) 1999-11-24
AU711763B2 (en) 1999-10-21
NO954297L (no) 1997-04-28
EP0858545A1 (en) 199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3367B1 (en) Buffer structure
AU657186B2 (en) Pneumatic elevator by depressur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873884B2 (ja) エレベータ
US20060196730A1 (en) Elevator and arrangement
KR100351275B1 (ko)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JPS5841275B2 (ja) ケンインクドウソウチ
KR19990067068A (ko) 도어
FI118850B (fi) Hissi ja menetelmä hissikorin lukitsemiseksi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JPH05213560A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ー
WO2005080250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H07237852A (ja) 巻胴式ホームエレベーター
US5301732A (en) Door
JP2003201074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および装置
CN217867588U (zh) 井道爬升驱动轨道式升降装置
JPH063959Y2 (ja) 自走式大扉
CA2235749A1 (en) Door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KR100351276B1 (ko)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KR101998869B1 (ko) 기계실이 없는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장치
EP1304307A1 (en) Roping for elevator
JPH09216778A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装置
JP2502323Y2 (ja) 工事用エレベ―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