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670A -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그 소재 - Google Patents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그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670A
KR19990063670A KR1019980702127A KR19980702127A KR19990063670A KR 19990063670 A KR19990063670 A KR 19990063670A KR 1019980702127 A KR1019980702127 A KR 1019980702127A KR 19980702127 A KR19980702127 A KR 19980702127A KR 19990063670 A KR19990063670 A KR 1999006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stic
layer
edg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데이비드 콜린
자퀴스 데이비드 버나드
Original Assignee
자퀴스 데이비드 버나드
마이클 데이비드 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519633.3A external-priority patent/GB9519633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603757.7A external-priority patent/GB9603757D0/en
Application filed by 자퀴스 데이비드 버나드, 마이클 데이비드 콜린 filed Critical 자퀴스 데이비드 버나드
Publication of KR1999006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6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마스틱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지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1)는, 주변둘레의 봉합부(7)에서 함께 접합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2개의 시트로 형성된다. 용기는 상호 평행한 분배에지(4) 및 충전단부(3)를 지니도록 형성된다. 용기는, 분배에지로부터 참조번호(6)로 표시되고 분배에지에 평행한 가장 넓은 폭부까지 발산하며 충전단부로 수렴하는 길다란 형상을 지닌다. 따라서, 각각 참조번호(11,12)로 표시되는 2개의 부등변 사각형부가 형성된다. 분배에지에 가장 인접한 부분(11)의 체적은 충전단부에 가장 인접한 부분(12)의 체적보다 작다.

Description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그 소재
본 발명은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mastic container) 및 마스틱 분배방법, 특히 그 소재(material)에 관한것이다.
마스틱은 건설 및 수리 산업에 사용되는 물질(substance)이며,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요부(dents) 및 긁힘부(scratches) 등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스틱은 높은 점성 및 점착성을 갖는 연질퍼티(soft putty)와 같은 물질이다. Haak 점도계를 사용할 때, 7.22s-1의 전단율(회전속도)에 대해 전형적인 점성값은 10℃에서 3,500프와즈(poise) 내지 1,500프와즈이며, 30℃에서는 1,500프와즈 내지 650프와즈이다. 마스틱은 전형적으로 평탄표면상에 분배되고, 그 표면에서 주걱(spatula)에 의해 규정된 비율로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의 경화제와 혼합되어, 그 혼합물을 예정된 경화시간 내에 굳게 하거나 또는 경화 시키도록 화학반응을 시작한다.
굳지 않은 혼합물은 예컨대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서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어야 하지만, 예컨대 자체 수준 고르기 혼합물(self levelling mixture)이 자체 수준 고르기 용도로 사용되는곳을 제외한 수리부에 일단 도포되면 유동되지 않아야 한다. 굳은 혼합물은 유연하고 강한 마무리를 제공해야 한다. 경화시간은 긴 유효 작업시간과 바람직하지 않은 긴 경화시간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도록 신중하게 선택된다. 전술된 표준값을 얻기 위해, 마스틱용 화학 성분들의 선정시 상당한 전문기술 및 신중함이 요구된다. 그 결과, 마스틱은 일반적으로 높은 점성을 지니며 그 내부에 첨가된 용매(solvent)로부터 발생되는 강한 화학적 훈기(fumes)를 포함한다. 이 같은 이유로 인해, 마스틱의 저장 및 분배는 특히 그 같은 마스틱이 수용하기 매우 곤란한 스틸렌을 지니기 때문에 쉬운일이 아니다.
통상적으로, 상업적 용도에서는, 마스틱은 일단부로부터 충전된 금속튜브를 포함하고 타단부에서 집중 분배노즐을 구비한 분배용기에 저장된다. 그리고 마스틱이 분배노즐을 통해 밀려질 수 있도록 특정장치 또는 건(gun)에 의해 튜브내로 활주하도록 단부캡이 강제된다. 유산한 장치가 또한 작은 튜브로 부터 경화제를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더 작은 양의 마스틱이 사용되는 비 상업적 용도에서는, 금속튜브는 그 값이 마스틱 자체의 가격에 비해 현저히 높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같은 가격은, 금속튜브 자체의 가격 및 마스틱을 충전하기 이전의 빈 튜브에 관련된 보관 및 운송비용이 부분적으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주시된다. 그러므로, 레버형 뚜껑을 갖는 작은 원통형 주석통들이 대신 사용된다. 마스틱은, 칼을 마스틱내로 찔러 넣어 마스틱과 경화제를 혼합하고 나이프를 제거한 후 튜브로 부터 분배된다. 그러나, 이는 주석통내에서 마스틱이 마르게 되고, 사용자가 화학적 냄새에 더 노출되며, 또한 충진제 반죽의 오염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만족스럽지 못하다. 더욱이, 주석통의 충전중, 공기가 마스틱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 최종 혼합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굳은 혼합물의 마무리부의 질을 저하시키며, 주석통 및 그것의 충전비용이 매우 비싸다. 또한 그 영역이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전술된 비교적 큰 크기의 원통형 주석통은 또한 상업적 용도로 사용된다. 다양한 주석판으로 된 그같은 금속통들은, 마스틱내의 용매 특히 스틸렌으로 부터의 냄새를 시일하기 때문에 사용되어 왔다. 그같은 주석통들은 또한 그것의 보전성을 유지할 용기를 제공하는바, 즉, 그같은 통들은 장기간 누설되지 않으며, 또한 바쁜 작업중 이레적으로 발생되지는 않지만 통이 떨어지는 경우 파열되지 않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강한 화학적 훈기의 위험성 및 흘려진 마스틱의 청소의 곤란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중효한 사항이다. 더욱이, 그같은 통의 내표면은, 상당히 길게 보장된 수명이 부여될 수 있도록 마스틱 내의 화학물질들에 의해 신속하게 퇴화되지 않는다.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용기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용기를 사용하면 최종 사용자에게 마스틱을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용기 자체의 비용은 금속통보다 현저하게 낮아질 것이지만, 그 용기는 현존하는 용기들보다 더 비싸게 제조, 운송 및 충진될 것이다.
미국 특허 4,795,062호는, 4개의 결합된 선형 시일링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4개의 에지(edge) 둘레에서 함께 융합된 2개의 장방형의 2겹 시트재(sheet material) 형태의 대형 백(bag) 형상의 용기를 개시한다. 하나의 시트에는 노즐장치가 부착되는바, 그 시트의 표면은 사용할때까지 노즐장치를 폐쇄하게 된다. 그같은 용기는 전술된 금속튜브 보다 더 간단하다. 그러나, 이는 용기를 개방시키기가 어렵다. 더욱이, 노즐장치는 마스틱의 높은 점성 및 점착성 때문에 사용할 때 매우 너절하게 될 수 있으며, 또한 노즐장치가 때때로 시트표면 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시한번 용기를 사룔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배장치가 사용되어야 함에 따라 그 특정 분배장치를 구입해야 한다. 따라서 그같은 용기는 비 상업용으로는 특히 부적절한 용기가 된다.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마스틱 용기들에서는 또 다른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선택된 플라스틱재는 마스틱의 강한 부식성 화학적 훈기를 충분히 제한하기 위한 적절한 배리어(barrier)를 제공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시일은 누설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고 약하게 될 수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같은 문제점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그같은 용기가 떨어지게 되면 봉합부의 심각한 이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같은 문제들이 발생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컨대, 2년의 상당히 긴 자체 수명을 유지하기 어렵게 하는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후자의 문제점은, 플라스틱재가 마스틱에 사용된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마스틱의 오염을 초래하고 용기가 연질화되어 형상의 비틀림을 초래할 뿐만아니라, 시일들 및 벽들이 약해진다는 사실과, 또는 용매들이 용기의 시일 및 벽들의 경화를 일으켜 용기의 누설 및 파열성을 초래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면 마스틱의 관찰을 제공하는 선명한 재질의 사용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은 흐릿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값싸고 제조가 용이하며, 파지가능하고 손으로 분배가능한 마스틱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편리하며, 저렴한 용기로부터 마스틱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된 목적을 실제적으로 극복하고 값싸고 쉽게 만들 수 있는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마스틱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가요성 시트재로 형성되며 분배 에지로부터 가장 넓은 폭부로 발산(diverge)하고 반대 단부로 수렴(converge)하는 일반적으로 길다란 형상을 지니는 파지 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가 제공된다.
가요성 시트재로 만들어진 종래의 마스틱 용기들은 특정 분배용 장치를 필요로 하는 형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틱 용기는 파지가능하고 또한 편리한 수동 분배를 허용할 수 있는 크기를 지닌다. 용기를 파지하여 그 용기로 부터 손으로 분배할 수 있음은 한정된 형상을 갖는 용기에 의해 비롯된다. 이 같은 형상에 의하면, 용기에 인가되는 간단한 압력에 의해 내용물을 유연하고 더 우수하게 조절분배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용기를 한손으로 확실하고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손으로 주걱 또는 혼합보드(mixing board)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 마스틱과 경화제 혼합물의 효과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혼합물이 신속하게 준비되기 때문에, 혼합단계가 장기간 취해지는 상황에 비해 경화가 발생하기전 더 많은 시간이 유용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가장 넓은 폭부로 인해, 내용물로 부터의 압력이 분배에지 상에 집중되므로 용기가 부분적으로 비어지는 경우에도 우수한 분배조절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충전된 용기는 손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없도록 분배중 균형이 유지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대 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 체적은 분배에지와 가장 넓은 포 사이의 용기 체적보다 크다.
따라서, 더 큰 중량체적이 신체를 향해 배치되어 용기내의 마스틱의 중량으로부터 초래되는 지렛대 효과가 감소된다. 부가적으로, 용기내의 내용물의 현저한 비율이 분배될때도 분배의 조절이 유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대 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분배에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보다 작게된다.
따라서, 마스틱이 짜여질 때, 중력 중심이 손바닥 영역내에 유지되어 분배중 용이한 조정을 지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대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분배에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과 실제로 동일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의 길이는 200mm 내지 300mm이다. 길이가 200mm 이하이면 용기의 체적은 그것의 용도를 한정하는 일지점으로 감소하며, 길이가 300mm 이상이면 용기는 다루기 힘들게 되어 더 이상 효과적으로 쉽게 파지할 수 없게된다.
통상적으로, 용기의 길이는 250mm 내지 280mm이다.
이는, 평균 크기의 손으로 분배조절 하기 위한 이상적인 길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장 넓은 폭부는 100mm 내지 200mm이다.
가장 넓은 폭부가 100mm 이하이면 용기의 체적은 그것의 용도를 제한하는 일지점까지 감소하며, 가장 넓은 폭부가 200mm 이상이면 보통의 손바닥을 초과하게 되어 용기를 다루기 힘들게 되어 더 이상 효과적으로 쉽게 파지할 수 없게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가장 넓은 폭부는 130mm 내지 150mm이다.
이는 평균 크기의 손으로 분배조절 하기 위한 이상적인 길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용기는 60mm를 초과하는 평균 폭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대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과 분배에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모두 분배에지에 평행한 평행측부를 갖는 일반적인 부등변 사각형이다.
부등변 사각형 체적을 사용함으로써, 용기가 간단해져 제조비가 저렴하게 되며, 시트 재질의 낭비가 적어지는 반면, 파지시 용기에 대한 우수한 느낌 및 균형을 제공한다. 더욱이, 이같은 형상은 용기를 파지하는 손의 형상에 맞는 분배에지로부터 멀어지는 부등변 사각형 체적에 압력을 균등하게 가압시킬 수 있다.
용기의 가장 넓은 폭 대 길이의 비는 0.46 내지 0.8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경우, 상기 가장 넓은 폭부는 실제로 상기 분배에지로부터 용기길이의 2/5에 위치한다.
이는 파지시 우수한 느낌 및 균형을 지니는 용기를 결과로 한다.
하나의 경우, 상기 분배에지는 출구구멍을 형성하며, 그 출구구멍은 분배에지를 따라 절취함으로써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용기는, 분배에지를 따라 절취하여 그 분배에지에 출구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개방될 수 있다.한다. 따라서, 미리 노즐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다양한 크기의 출구구멍을 제공 하도록 상기 분배에지의 영역에 절취 가이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방식에 있어서, 용기의 출구멍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추후 사용을 위한 재생된 깨끗한 에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절취 가이드들은 상기 분배에지에 인접하게 배치 플랩(flap)내에서 노치(notc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출구구멍 사이즈들을 표시하는 단순한 형태가 용기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어 인쇄 등의 필요성이 회피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는, 상기 분배에지의 영역에서 적어도 각각을 결합하는 측방봉합부를 갖는 상기 재질의 대향 벽들을 지닌다.
분배에지 영역내의 상기 봉합부들은, 상기 출구구멍을 단단하게 하기위한 한쌍의 플랩을 형성하도록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배의 조절이 개선된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분리적으로 폐쇄가능한 노즐 부착부가 비교적 작은 점성의 마스틱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에지에 시일된다.
그 결과, 폐쇄부는 노즐 부착부에 부착되어 마스틱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부착부는 분배에지의 중앙에 배치되며 단지 부분적으로 그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대 에지는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에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기의 간단하고 신속한 충전 및 폐쇄가 공기 또는 다른 가스의 유입없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질은 투명한 열가소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틱이 충전된 전술된 바와 같은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면에 따르면, 가요성 시트재로 형성되고 분배에지로부터 가장 넓은 폭부로 발산하며 반대단부로 수렴하는 길다란 형상을 지니는 용기에 마스틱을 충전하고;
상기 분배에지의 출구구명을 개방시키고;
손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상기 출구구멍으로부터 마스틱을 분배하기 위해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기로부터 마스틱을 분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특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간단하고 편리하며 깨끗하게 마스틱을 수동으로 분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틱은 더 우수한 조절방식에 의해 수동으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면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박판형(laminated sheet) 시트로 형성된 마스틱 용기가 제공되는바, 그 시트는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고 또 다른 하나의 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될 수 있도록 선택된 제 1의 하나의 층, 및 외측 덮개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덮개층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 제 1의 하나의 층과 공동으로 용기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한다.
이같은 방식에 있어서, 적절한 마스틱 용기는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의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내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될 수 있도록 선택된 내층 및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증간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층은 내층과 외층사이에 배치된다.
그결과, 개선된 시일이 제공될 수 있어 용기의 보전성(integrity)을 향상시키고 또한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시트는 가요성이며 상기 용기는 단단하지 않은 가요성 용기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파열로 인한 누출이 방지되는 가요성 용기를 만들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으로부터 선택된다.
이같은 소재들은 마스틱에 의해 용해되지 않거나 또는 질의 저하가 초래되지 않으며, 마스틱과 반응하지 않게 되어 용기가 긴 수명을 지닐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같은 소재들은 시일링 중 함께 우수한 시일 또는 접합을 제공하여 봉합부 등 에서의 누출이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항열성 소재이다.
항열성 재질을 사용하면, 시트에 가해질 수 있는 열이 내층에 이르더라도 외층의 질의 저하 및 약해짐 과 결과적인 누출의 위험을 초래하지 않게된다.
상기 외층은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재질들은 용기에 대해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며, 또는 마스틱으로 부터의 화학적 훈기가 배리어를 제공하는 층에 의해 시일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용기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거나 연화(soft) 또는 파열되지 않게된다.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상기 층은 알킬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 예컨대,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는 강한 화학적 훈기를 제한하도록 마스틱에 대한 우수한 배리어를 제공함으로써 상단한 시간 범위 이상 질의 저하가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는 상기 박판형 시트로 진공형성되어 견고한 가요성 용기를 포함한다.
그 결과, 용기들의 신속한 제조가 달성될 수 있다.
용기는 단일편의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 사용된 주석통이 전술된 소재로 진공 형성된 마스틱 용기로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기는, 사용자가 내부의 마스틱에 접근할 수 있는 광폭의 목부(neck)를 갖는 단일편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의 구조적 강도는, 용기가 떨어지는 경우 용기의 보전성이 전형적으로 1kg을 초과하는 마스틱의 질량에 고려할 때 주목할 만한 파열에 의해 위태롭게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기는 그것의 보전성에 영향을 줄수 있는 평균 한계시간이 지니도 더 연질화 되거나 더 깨지기 쉽게 되지 않도록 전술된 용매에 의해 실제로 영향을 받지 않게 유지되며, 용기의 형상은 적절한 수명이 유지될 수 있도록 표준 시간제한을 넘어도 비틀려지지 않는다.
용기의 벽 두께는 650 미크론 내지 900 미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벽이 이같은 범위내의 두께를 지닐 때 전술된 다양한 장점이 에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용기는 직립 벽들을 같는 대체로 평탄한 베이스(base)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든 마스틱을 베이스로부터 긁어낼 수 있어 낭비가 감소될 수 있다.
용기는 튜브 또는 배럴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형상은 충전된 용기를 우수하게 적층시킬 수 있고, 소모한 용기들을 우수하게 포갤수 있으며, 적층공간의 최적의 사용을 제공하며, 라벨링 등을 위한 우수한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마스틱에 대한 사용자의 우수한 개방 접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면적은 상기 상부 개구부의 면적과 유사하다.
이같은 실시에에 있어서, 전술된 모든 장점들이 에견된다.
상기 단일편 용기는 그것의 에지 둘레에서 립(lip)을 지니며, 또한 용기를 페쇄하는 폐쇄부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쇄부는 상기 립에 시일된 시일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박판형 시트로 만들어진 페쇄부를 사용하면 용기의 우수한 시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층은 폴리알킬렌, 에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소재들은, 마스틱에 의해 용해되지 않아 질의 저하가 방지되며 마스틱과 반응하지 않게 되어 용기가 긴 수명을 지닐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같은 재질들은, 봉합부 등 에서의 누출이 감소 되도록 시일링중 함께 우수한 시일 또는 접합을 제공한다.
상기 외층은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소재들은 용기에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며, 마스틱으로 부터의 화학적 훈기들이 배리어를 제공하는 층에 의해 시일되기 때문에 용기의 구조적 강도가 일정시간이 지나도 질이 저하되지 않거나 또는 연질화 또는 파열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견고한 용기에서, 용기의 벽들의 패널링(panelling) 또는 굽혀짐(bowing)이 현저한 시간 경과동안 발생하지 않는다.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상기 층은 알킬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 에컨대,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가 마스틱에 대한 우수한 배리어를 제공하여 강한 화학적 훈기를 제한함으로써 현저한 시간이 경과해도 질이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a)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 될 수 있도록 선택된 하나의 제 1층, 및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 하나의 제 1층과 공동으로 용기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외층을 포함하는 박판형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박판형 시트를 하나의 용기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스틱 용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결과, 마스틱 용기는 그에 관련된 전술한 결점을 지니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단계(a)는 다른 하나의 내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 될 수 있도록 선택된 내층 및 마스틱의 화학성분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중간층으로 상기 제 1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바, 상기 중간층은 상기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결과, 개선된 시일이 제공되어 용기의 보전성이 향상되며 또한 누설의 위험이 감소된다.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단계(b)는 상기 용기를 단단한 형태로 진공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단단한 용기는 포개진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사용전 빈 용기의 운송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단계(b)는 상기 용기를 가요성 백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같은 가요성 백형 용기를 지니면, 가요성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지금까지의 용기들에 연관된 전술된 결점들이 없이 전술된 파지형 용기의 장점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충전되지 않은 파지 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의 평면도를 보여주며;
도 2는 충전된 용기에 대한 제 1도의 선 A-A에 따른 횡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충전되지 않은 파지 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지 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1)는 각각의 주변 둘레의 봉합부(7)에서 함께 접합되는 2개의 투명 플라스틱재 시트로 만들어진다. 용기는 상호 평행한 분배에지(4) 및 충전단부(3)를 지니도록 형성된다. 용기는 분배에지로부터 참조번호 6으로 표시되고 상기 분배에지와 평행한 가장 넓은 폭부로 발산하며 충전단부로 수렴하는 길다란 형상을 지닌다. 가장 넓은 폭부(6)는 분배에지(4)로부터 길다란 형상의 축을 따른 거리의 대체로 2/5위치 및 충전단부(3)로부터 길다란 형상의 축을 따른 거리의 대체로 3/5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부등변 사각형 부분들이 각각 참조번호 11 및 12로 확인된 형태로 형성된다. 분배에지에 가장 근접한 부분(11)의 체적은, 충전단부에 가장 근접한 부분(12)의 체적보다 작다.
분배에지의 근접부에는 봉합부(7)가 도시된 바와같이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삼가형 플랩(2)이 형성된다. 각각의 플랩(2)에는 3개의 노치(5)가 제공된다. 이것들의 목적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용기는 필요한 형상을 지니도록 2개의 플라스틱재 시트를 절단한 후 충전단부(3)를 제외한 모든 에지들을 따른 봉합부에서 상기 시트들을 접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충전되지 않은 용기는 일 위치에서 만들어진 후 충전을 위한 타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같은 실시예의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분배에지(3)를 따른 봉합부(7)가 마스틱을 노출시키도록 절취된다. 이는 예정된 폭의 출구구멍을 만든다. 3개의 노치(5)는 마스틱의 분배율을 차례로 조절할 수 있는 각각 다른 출구구멍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플랩(2)들은 또한, 분배에지에 강성요소를 제공하여 출구구멍의 개선된 안정성을 이끌어낸다.
마스틱을 분배하기 위해, 용기는 손으로 파지되는바, 이때 가장 넓은 폭부(6)는 손바닥내에 들어오게 된다. 이후, 마스틱을 짜내기 위해 체적부(12)에 압력이 가해진다. 용기의 형상으로 인해 출구구멍이 쉽게 조절될 수 있어, 정연하고, 간단하며 깨끗한 분배를 이룰수 있다. 부가적으로, 특정 분배장치 또는 특정 나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체적부(12)의 중량이 체적부(11)의 중량보다 크게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충전된 용기의 중량이 신체를 향해 더 많이 위치하게 되어 분배에지(4)에서의 출구구멍의 조절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평균 손 길이에 대해, 용기의 길이는 260mm로 되지만, 200mm 내지 300mm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평균 손바닥에 대해, 가장 넓은 폭부(6)는 140mm로 되지만, 100mm 내지 200로 될 수 있다.
충전단부(3)는 30mm의 폭을 지니며, 분배에지(4) 와 플랩(2)은 60mm의 결합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파지 가능한 수동 분배식 마스틱 용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용기(31)는 바람직한 형태의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시트재로 형성된다. 용기는, 그것의 주입단부(33)와 분배에지(34) 사이에 중간지점(36)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더 길다란 베이스에서 함께 접합되는 하나는 상대적으로 더 큰 2개의 부등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의 축방길이를 따른 중간지점(36)은 충전단부(33) 및 배출단부(34) 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된다. 중간지점(36)은 배출단부(34)로부터 충방길이의 2/5지점에 또한 충전단부(33)로부터 축방길이의 3/5 지점에 배치된다. 그같은 형상의 가장 좁은 부분은 배출단부(34)를 한정한다.
상대적으로 더 큰 부등변 사각형 형상을 한정하는 용기의 대향면들은 측방 봉합부(37,37A)를 따라 함께 시일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등변 사각형 형상을 한정하는 용기의 대향면들은 측방 봉합부(38,38A)를 따라 함께 시일된다.
충전단부에서의 대향면들은 충전 후 충진단부 봉합부(39)를 따라 함께 시일된다. 배출단부(34)에서의 대향면들은 단부 봉합부(40)를 따라 함께 시일된다. 노즐 부착부(41)가 배출단부에 제공되며, 그 노즐 부착부(41)는 베이스(42) 및 직립부(43)에 의해 한정된 일반적으로 역 T자형을 지닌다. 부착부(41)의 베이스(42)는 단부 봉합부(40)에서 시일된다. 중앙 배출채널(46)은, 용기(31)의 내부로부터 직립부(43)의 축을 통하고 또한 그를 따라 배출출구 노즐(44)까지 연장하도록 베이스(42)에 형성된다. 직립부(43)의 외표면은 그 상부에서 캡(45)을 수용하기 위한 나선부를 지닌다. 탬퍼에비던트(tamper evident) 또는 리스트레이닝밴드(restraining band)가 캡(45)에 접속되어 제 위치에 보지될 수 있다. 베이스(42)의 외표면은 봉합부(40)에 대한 접합을 보조하기 위한 밴드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봉합부(40)를 따라 중심에 배치되지만, 그 봉합부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분배에 대한 모든 장점들이 획득되지만, 대신에 용기는 캡으로 시일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는 용기내에서 안정될 만큼 충분한 점성을 갖지 않는 대신에 누출 가능성이 있는 유동성 물질에 적용될 수 있지만, 노즐 부착부를 사용하여 용기의 용이한 폐쇄를 실행할 수 있음으로써 이같은 용기는 더 큰 점성을 갖는 마스틱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경우에는 더 큰 폭의 출구노즐 및 배출채널을 필요로 한다. 노즐 부착부(41)를 제공함으로써, 용기는 그 용기내의 물질의 고유점성의 신뢰성에 관계없이 폐쇄될 수 있어, 그 물질을 용기 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제조가 간단하고 배용이 저렴하게 됨으로써, 현존하는 공지된 마스틱 용기들과 비교할때 제조의 편리함 및 비용의 저렴함이 제공된다. 용기의 형상은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내부의 마스틱을 간편하게 손으로 조절하여 분배할 수 있게 한다. 마스틱이 짜질 때, 중력 중심이 용기의 가장 넓은 부분의 영역에 유지되어 용기가 손바닥내에 안착 유지됨으로써 분배동안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용기의 형상은, 용기를 파지하는 손의 형상에 맞는 더 큰 부등변 사각형부상에 궁극적으로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 지점에서의 적합한 가압에 의해 마스틱이 짜진다.
더욱이, 용기가 완전히 시일되기 때문에 용기내의 마스틱이 상대적으로 공기없이 유지될 수 있어 도포후 최종 경화된 제품이 우수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또한, 마스틱이 짜질 때 용기의 형상이 더 조절될 수 있어 마스틱이 부드럽고 고르게 짜질수 있으므로, 공기 거품의 형성을 차단한다. 이는 도포후 최종 경화된 제품내의 핀 구멍현상의 가능성을 감소 시킨다. 따라서, 개선된 최종제품이 획득된다. 부가적으로, 용기를 제조하는 기계가공에 대한 간단한 변화들에 의해, 용기의 사이즈의 현저한 융통성이 달성된다. 특히, 용기는 단일 용도를 위해 필요한 마스틱의 정확한 양을 포함하도록 적절한 사이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는 단일 사용후 폐기될 수 있어 장기간의 저장을 통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투명한 열 가소성 시트재가 설면 되었지만, 다른 형태의 시트재가 사용될 수 있다. 투명 재질은 마스틱이 지외선에 대한 노출로 인해 질의 저하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적절치 못할 수 있는 것으로 주시된다. 부가적으로, 시트재는 단일, 2겹 또는 3겹재질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플랩(2) 및 가이드(5)는 도 3과 같이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면에 있어서, 첨부도면에 도시된 용기는 박판형 플라스틱재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형 시트는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고 또다른 층에 대한 접합 또는 시일링 가능하도록 선택된 하나의 제 1층 및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 제 1층과 공동으로 용기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외측 덮개층을 지니다.
일례에 있어서, 박판형 시트는 폴리에틸렌 내층과, 폴리 에틸렌 외층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가 샌드위치되는 형태로 만들어진 용이하게 굽혀지는 시트이다. 3겹층이 시트로 형성된다.
3겹재 시트의 롤은 내층들이 대명하도록 하나의 기계를 통과함으로써 접혀진다. 그 기계는, 시트를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절단한 후 봉합부(7)들의 위치 둘레에 열을 가한다.
이 경우, 열이 폴리에틸렌 내층에 가해져 함께 접합되며 분배에지(4)를 따른 접힘선과 함께 마스틱 용기를 형성한다. 이후 용기는 열이 이 에지를 따라 가해져 그 에지에서 폴리에틸렌 내층들이 함께 접합되어 시일링 되기전에 충전단부(3)를 통해 충전된다. 그 같은 기계는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시일/접합을 위한 마이크로파 또는 어떤 다른 방식이 이용될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폴리에틸렌은, 마스틱에 존재하는 예컨대 스틸렌과 같은 용매에 의해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내층용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이같은 층의 연질화 또는 경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은 그 같은 용매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활성이므로 화학적인 질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마스틱과의 화학적 반응이 없게 된다. 더욱이, 폴리에틸렌은 폴리 에틸렌에 대한 매우 우수한 시일 및 접합성을 제공함으로써 누출방지 시일부(7)를 제공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은 마스틱에 존재하는 용매 및 훈기에 대해 통기성이므로 용기 자체용 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 상당한 테스트 후에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는, 마스틱에 존재하는 화학적 훈기에 대한 배리어로서 작용하여 용기가 시일되고 이같은 훈기들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중간층으로 사용된다. 폴리에틸렌은, 용기의 보전성이 보장되도록 매우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외층으로 선택된다. 더욱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는 모두, 자체수명이 연장되고 마스틱이 충전된 용기의 구매자가 제품을 볼 수 있고 질의 저하가 없음을 체크할 수 있도록 현저한 시간이상 흐려지지 않게된다. 자외선에 대한 노출로 인한 마스틱의 질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불투명 물질을 여전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이 주시된다.
전술된 가요성 시트가 도 3의 용기를 만드는데 사용될때는 노즐 부착부(41)에서 가열 시일링에 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문제는 노즐 부착부와 내층간의 접합을 제공하는데 상당한 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그 결과, 용기가 떨어지는 경우 외층에 손상이 가해져 부착부 부근의 취약성으로 인해 파열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내열성 재질이 외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취약성 문제를 극복 하는데는 나일론 외층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박판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내층과 그 내층과의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가 샌드위치된 외층으로 만들어진 더 강한 시트로 된다. 3겹층이 시트로 형성된다.
850미크론의 두께를 지니는 시트재는, 튜브형으로 형성되도록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개방상부를 형성하는 직립벽들을 갖는 장방형 베이스를 지니는 용기를 생산하도록 표준 진공성형기를 사용하여 주형내에서 진공 성형된다. 상기 벽들의 상부에지는 개방상부의 주변 둘레로 연장하는 립(lip)을 지닌다. 이후 용기는 마스틱으로 충전되며 벽들과 동일 재질로 만들어진 폐쇄부가 립에 열간접합 된다. 이 폐쇄부는 이후 용기를 개방하도록 탈거된다. 또한 동일재질의 교체가능한 뚜껑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같은 용기는, 베이스, 벽 또는 폐쇄부를 통해 마스틱 내의 용매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베이스 및 벽들은 마스틱내의 용매들의 작용으로 인한 패널링 및 굽혀짐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마스틱은 베이스 및 벽들과의 접촉에 의해 실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마스틱에 대한 긴 자체 수명이 획득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그 재질은 떨어지는 경우에도 용기의 보전성이 파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되고 용기의 형상이 오랜기간 동안 변화되지 않도록 일정시간이 지나도 현저하게 변화하지 않는 현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한다.
설명된 용기의 형상이 기본적으로 튜브형으로 형성되는 반면, 다른 광범위한 개구부를 갖는 용기 형상이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진공성형법은, 제조공정이 신속하며 제조될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테스트에 있어서, 전술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수년이 지난 용기들은(중량감소 테스트에 의해) 마스틱의 누출관점에서 그들의 보전성이 유지되고 또한 우수한 시각적 외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에틸렌 내층이 설명되었으나 이층은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폴리에틸렌은 내층 및 외층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명되었으나, 내층 및/또는 외층은 폴리프로필렌으로 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단지 하나의 형태로 본 발명의 적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은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실시예들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된다.
특히, 설명된 용기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가장 넓은 폭부에서 더 긴 에지들을 따라 접합된 역 2중 부등변 사각형 형상이지만, 비대칭 및 대칭과 같은 모든 다른 형상들이 선택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용기의 사용이 용기가 비워지기 전에 종결되는 경우 분배에지에서 마스틱을 제거할 수 있으며, 꺽어 접을 수 있고, 일시적으로 용기에 공기가 침입하지 목하도록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설명된 박판형 시트는 다른 형태 및 형상의 마스틱 용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가요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재질은 첨부도면에 개시된 것에 한정됨이 없이 다른 형상의 백(bag)형태의 용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더 두꺼운 외층을 사용하면, 용기는 나이프 또는 주걱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개구부를 지니는 형태로 진공 형성될 수 있다. 진공성형의 사용은 신속한 제조공정 및 다양한 형태의 제조가능성 때문에 편리하다. 부가적으로, 중간층 혼합물의 선택으로 인해, 마스틱은 패널링 또는 굽힘이 발생할 수 있는 용기의 벽들의 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더욱이, 용기의 혼합물들의 선택으로 인해 열간시일 등이 가능하여 예컨대 포일등과 같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적절한 폐쇄부가 누설이 없는 시일을 제공한다.

Claims (45)

  1. 가요성 시트재로 형성되며 분배에지로부터 가장 넓은 폭부로 발산하며 반대단부로 수렴하는 길다란 형상을 지니는 파지 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mastic container).
  2. 제 1항에 있어서, 반대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분배에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보다 큰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반대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분배에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보다 작은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반대단부와 가장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분배에지와 가장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과 동일한 용기.
  5. 선행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길이는 200mm 내지 300mm인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용기의 길이는 250mm 내지 280mm인 용기.
  7.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넓은 폭부는 100mm 내지 200인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넓은 폭부는 130mm 내지 150mm인 용기.
  9.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mm를 초과하는 평균폭을 지니는 용기.
  10.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대단부와 가장 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 및 분배에지와 가장넓은 폭부 사이의 용기의 체적은 모두 분배에지에 평행한 평행 측부들을 지닌 부등변 사각형인 용기.
  11.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가장 넓은 폭부 대 길이의 비는 0.46 내지 0.80의 범위내인 용기.
  12.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넓은 폭은 상기 분배에지 로부터 용기 길이의 2/5에 배치되는 용기.
  13.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에지는 출구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출구구멍은 분배에지를 따라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다양한 출구구멍 크기를 제공하도록 상기 분배에지 영역에 다수의 절단가이드가 제공되는 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들은 상기 분배에지 근처에 배치된 플랩들에서 노치들을 포함하는 용기.
  16. 상기 분배에지의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벽을 접합하는 측방 봉합부를 갖는 상기 재질의 대향 벽들을 지니는 제 13 내지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에지 영역 내의 상기 봉합부들은 상기 출구구멍을 단단하게 하기위한 한 쌍의 플랩을 형성하도록 확장되는 용기.
  18. 제 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폐쇄 가능한 노즐 부착부가 상대적으로 작은 점성의 마스틱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에지에 시일되는 용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착부는 분배에지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에지를 따라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용기.
  20. 선행항들에 있어서, 상기 반대에지는 용기 충전용 에지를 포함하는 용기.
  21. 선행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은 투명한 열가소성 재질인 용기.
  22. 마스틱이 충전된 선행항에 따른 용기.
  23. 가요성 시트재질로 형성되며 분배에지 로부터 가장 넓은 폭부로 발산하고 반대단부로 수렴하는 길다란 형상을 지니는 용기에 마스틱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분배에지에 출구구멍을 개방시키는 단계; 및
    손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상기 출구구멍 으로부터 마스틱을 분배 하도록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로 부터 마스틱을 분배하는 방법.
  24. 플라스틱 재질의 박판형 시트로 형성되는 마스틱 용기로서, 상기 시트는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며 또 다른 하나의 층에 접합되거나 시일링될 수 있는 제 1의 하나의 층, 및 외측 커버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커버층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 제 1층과 공동으로 용기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마스틱 용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또다른 하나의 내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될 수 있도록 선택된 내층 및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 하도록 선택된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내층 과 외층 사이에 배치되는 용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시트는 가요성이며, 상기 용기는 단단하지 않은 가요성 용기인 용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부터 선택되는 용기.
  28. 제 27 또는 2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내열성 소재인 용기.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으로 부터 선택되는 용기.
  30. 제 24항 내지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상기 층은 알킬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 예컨대,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용기.
  31. 제 25항에 있어서, 용기는, 상기 용기가 단단한 가요성 용기를 포함 하도록 상기 박판형 시트로 진공 형성되는 용기.
  32. 단일편의 뚜껑이 덮힌 개구부가 뚜껑이 덮힌 용기를 포함하는 제 31항에 따른 용기.
  33. 제 32항에 있어서, 용기의 벽의 두께는 650미크론 내지 900미크론 사이인 용기.
  34. 제 32 또는 33항에 있어서, 용기는 수직벽들을 갖는 평탄 베이스를 지니는 용기.
  35. 제 34항에 있어서, 용기는 튜브 또는 배럴형상인 용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면적은 상기 개방 상부의 면적과 유사한 용기.
  37. 제 32항 내지 3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편 용기는 그것의 에지 둘레에서 립을 지니며 용기를 폐쇄하는 페쇄부를 지니는 용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페쇄부는 상기 립에 고착된 시일링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39. 제 31항 내지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부터 선택되는 용기.
  40. 제 31항 내지 3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폴리알킬렌, 에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부터 선택되는 용기.
  41. 제 31항 내지 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 하도록 선택된 상기 층은 알킬 비닐 알콜 코-폴리머 예컨대,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용기.
  42. (a) 마스틱의 화학성분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고 또다른 하나의 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될 수 있는 제1의 하나의 층 및,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 제 1층과 공동으로 용기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 하도록 선택된 외층을 포함하는 박판형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박판형 시트로 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재로 마스틱 용기를 형성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단계(a)는 또다른 하나의 내층에 접합 또는 시일링될 수 있도록 선택된 내층 및 마스틱의 화학성분들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중간층 으로서 상기 제 1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되는 방법.
  44. 제 42 또는 43항에 있어서, 단계(b)는 단단한 상기 용기를 진공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 42 또는 43항에 있어서, 단계(b)는 가요성 백형 상기 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980702127A 1995-09-26 1996-09-26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그 소재 KR19990063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19633.3 1995-09-26
GBGB9519633.3A GB9519633D0 (en) 1995-09-26 1995-09-26 Paste dispenser
GBGB9603757.7A GB9603757D0 (en) 1996-02-22 1996-02-22 Paste dispenser
GB9603757.7 1996-02-22
PCT/GB1996/002384 WO1997011895A2 (en) 1995-09-26 1996-09-26 A hand holdable manually dispensing mastic container and material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670A true KR19990063670A (ko) 1999-07-26

Family

ID=2630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127A KR19990063670A (ko) 1995-09-26 1996-09-26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그 소재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003730A (ko)
EP (1) EP0852557B1 (ko)
JP (1) JPH11511422A (ko)
KR (1) KR19990063670A (ko)
AT (1) ATE199007T1 (ko)
AU (1) AU718883B2 (ko)
BR (1) BR9610650A (ko)
CZ (1) CZ290328B6 (ko)
DE (1) DE69611730T2 (ko)
ES (1) ES2153980T3 (ko)
GR (1) GR3035767T3 (ko)
HK (1) HK1009789A1 (ko)
IL (1) IL123598A0 (ko)
MX (1) MX9802326A (ko)
NO (1) NO319298B1 (ko)
NZ (1) NZ318833A (ko)
PL (1) PL186134B1 (ko)
RU (1) RU2179947C2 (ko)
TR (1) TR199800552T2 (ko)
WO (1) WO19970118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012B2 (ja) * 1999-05-10 2006-03-01 忠 萩原 流体容器の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容器
USD448988S1 (en) 2001-02-08 2001-10-09 Kapak Corporation Stand-up pouch for holding liquids
US20040188460A1 (en) * 2001-08-03 2004-09-30 Lee Jung Min Triangular-tetrahedron container with spout assembly
US8640920B2 (en) * 2006-12-20 2014-02-0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Method of forming and filling a pouch
WO2009116850A1 (en) * 2008-03-21 2009-09-24 Ipn Ip B.V. A suction-operated valved mouthpiece for a beverage container
US9481495B2 (en) * 2014-04-24 2016-11-01 Scholle Ip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79240A (en) * 1953-03-24 1957-07-17 Leopold Rado Collapsible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GB805631A (en) * 1953-09-18 1958-12-10 Leopold Rad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llapsible container
US4163509A (en) * 1977-02-22 1979-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queeze dispenser with self closing valve
GB2048775B (en) * 1979-05-11 1983-11-02 American Can Co Foodstuff packaging materials
GB2096085B (en) * 1981-04-01 1985-06-12 Carves Simon Ltd A system for transporting coal for charging into coking ovens
JPS58192551A (ja) * 1982-05-06 1983-11-10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の保存用包装容器
CA1233739A (en) * 1982-12-28 1988-03-08 Mobil Oil Corporation Barrier films
DE3411426A1 (de) * 1984-03-28 1985-10-03 Peter 8940 Memmingen Mollhagen Verpackung in schlauchfoermiger elastischer art fuer fluessige und pastoese fuellungen
JPS6211644A (ja) * 1985-06-26 1987-01-20 株式会社クラレ 耐気体透過性に優れた積層体
US4764404A (en) * 1985-11-29 1988-08-16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Films having a polypropylene blend layer
US4795062A (en) * 1986-09-05 1989-01-03 Fibre Glass-Evercoat Company, Inc. Bag-like container
US4818782A (en) * 1987-07-30 1989-04-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s containing platelet-type mica fillers,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and multi-layer containers with layers thereof
FR2667015B1 (fr) * 1990-09-26 1995-09-15 Cebal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cipient creux a partir d'une bande multicouche en matiere plastique et recipient correspondant.
IT1246751B (it) * 1990-12-28 1994-11-26 Safta Spa Contenitore in laminato flessibile con inserto di apertura e richiusu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91496A (en) 1997-04-17
BR9610650A (pt) 1999-02-17
US6003730A (en) 1999-12-21
WO1997011895A3 (en) 1997-04-24
ATE199007T1 (de) 2001-02-15
EP0852557A1 (en) 1998-07-15
JPH11511422A (ja) 1999-10-05
EP0852557B1 (en) 2001-01-31
NO981355D0 (no) 1998-03-25
PL186134B1 (pl) 2003-10-31
NZ318833A (en) 2000-07-28
CZ290328B6 (cs) 2002-07-17
RU2179947C2 (ru) 2002-02-27
PL328326A1 (en) 1999-01-18
NO981355L (no) 1998-05-20
AU718883B2 (en) 2000-04-20
IL123598A0 (en) 1998-10-30
DE69611730T2 (de) 2001-05-10
ES2153980T3 (es) 2001-03-16
MX9802326A (es) 1998-08-30
DE69611730D1 (de) 2001-03-08
TR199800552T2 (xx) 1999-09-21
HK1009789A1 (en) 1999-06-11
WO1997011895A2 (en) 1997-04-03
CZ91698A3 (cs) 1999-06-16
GR3035767T3 (en) 2001-07-31
NO319298B1 (n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7868A (en) Static-type mixer, and receptacle and method of packaging utilizing same
US20140174037A1 (en) Cartridge delivery system utilizing film bags
JP6050189B2 (ja) 粘性材料用ディスペンサ
NZ232784A (en) Flexible pouch with reinforced spout in a corner region
JP6990397B2 (ja) 多液充填袋
US9493289B2 (en) Self-supporting cartridge, dispensing apparatus for such as well as method for using the cartridge
US6520335B2 (en) Method and container for packaging multi-component polymer coatings and adhesives
KR20110058788A (ko) 파우치 제조 방법
KR19990063670A (ko) 파지가능한 수동분배식 마스틱 용기 및 그 소재
US5425475A (en) Epoxy dispenser
JP4277568B2 (ja) 加圧注出形の袋状容器
JP2007523804A (ja) 容器詰め替え装置
US3240416A (en) Lined dispensing carton
CA2231146C (en) A hand holdable manually dispensing mastic container and material therefor
US5732848A (en) Disposable and returnable containers comprising an insert
GB2389833A (en) Container for separately containing reactive materials
JP4154778B2 (ja) 包装袋
JP4437858B2 (ja) ガス抜き機構を有する粘性体封入容器
JPH07206049A (ja) 湿分硬化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の防湿性パッケージ
US11198545B2 (en) System for packaging two components
EP0815039A1 (en) Filler paste container
JP2000142797A (ja) 液体収容用内袋付き容器
JPH07232743A (ja) 自立性包装体
JP2023546056A (ja) 適用装置及び適用装置の製造方法
WO1989008054A1 (en) Packaging and dispensing sealants and adhe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