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391A - 키이보드 - Google Patents

키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391A
KR19990056391A KR1019970076386A KR19970076386A KR19990056391A KR 19990056391 A KR19990056391 A KR 19990056391A KR 1019970076386 A KR1019970076386 A KR 1019970076386A KR 19970076386 A KR19970076386 A KR 19970076386A KR 19990056391 A KR19990056391 A KR 1999005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ad
key
switch uni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116B1 (ko
Inventor
임병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116B1/ko
Priority to JP10182733A priority patent/JP2898280B1/ja
Priority to DE19829693A priority patent/DE19829693C2/de
Priority to CN98115643A priority patent/CN1122912C/zh
Priority to GB9814973A priority patent/GB2332648B/en
Priority to US09/127,872 priority patent/US5951178A/en
Publication of KR1999005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 H01H2223/052Casings convertible reductible in size, e.g. for transpor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이보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저부 프레임, 상기 저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 또는 접근 이동 가능하게 분리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키이홀과 가이드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저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 및,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에서 안내됨으로써 간격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키이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이를 가지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을 구비하는 키이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는 키이 패드 사이의 간격이 자유롭게 확대되거나 수축될 수 있으므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키이보드
본 발명은 키이보드(keyboar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이들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키이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이보드는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휴대용 정보 단말기등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된다. 키이보드는 다수의 키이들과, 상기 각각의 키이들에 대응되는 전기 스위치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키이를 누르는 작용은 키이보드 내측에 설치된 전기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그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며, 키이에서 손가락을 떼면 키이는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신호 대기 상태가 된다.
키이보드가 적용되는 장치들은 사용자의 손의 구조 및 작용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장치들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키이보드의 크기도 사용자의 손의 구조와 작용에 무관하게 작아지게 된다. 소형화된 키이보드는 휴대가 간편할지라도 키이보드를 이용한 실제의 입력 작업은 매우 곤란하며, 이는 키이보드를 구성하는 키이 자체의 크기가 작을뿐만 아니라, 키이들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기 때문이다. 따라서 휴대용 장치에 적용되는 키이보드들은 휴대의 간편성과 사용의 용이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이보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이것은 미국 특허 제 5,141,343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2)은 정지 코너부(3)에 대하여 삽입될 수 있는 다른 코너 부재(4)를 구비하며, 마찬가지로 다른 코너 부재(6, 7, 8)들이 서로에 대하여 차례로 삽입됨으로써 하우징(2)이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각각의 키이 패드(11,12)들의 하부에는 스위치 지지부(13)에 의해 지지되는 스위치(15)가 설치되며, 스위치 지지부(13)는 프레임(14)에 의해 측면의 스위치 지지부(13)에 연결된다. 프레임(14)은 스위치 지지부(13)가 서로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키이보드는 정지 코너부(3)로부터 코너 부재(4,6,7,8)들이 차례로 이탈되어 나오면서 전체적인 크기가 신장되고, 이때 키이 패드(11,12)들 사이의 간격이 확장된다.
위와 같은 키이보드는 신장 및 수축을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상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즉, 횡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스위치 지지부(13)를 프레임(14)을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따라서 중량이 무거워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키이보드의 사용시에는 코너 부재(3,4,6,7,8)를 서로로부터 이탈시키는 반면에 휴대시에는 코너 부재(3,4,6,7,8)를 서로에 대하여 삽입하여야 하므로, 반복적인 작동이 계속될수록 프레임(14)에 피로가 가해지고 노후화가 급속히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이 패드의 수축 및 확대가 가능한 키이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는 키이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상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보장되는 키이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이보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에 대한 래략적인 사시도로서, 키이 보드 조립체들의 간격이 수축된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를 키이 보드 조립체들의 간격이 확대된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키이 패드 조립체를 배제한 상태에서 키이보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키이 패드 조립체와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키이 패드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 프레임내에 설치된 키이 패드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형태의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31. 32. 커넥터 34. 측면 가이드
35. 키이 패드 41. 저부 프레임
42. 45. 상승부 46. 승강 플레이트
47. 스위치 유니트 51. 저면 플레이트
52. 인쇄 회로 기판 53. 고무 플레이트
61. 스프링 62. 후크
63. 후크 65. 스토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저부 프레임, 상기 저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 또는 접근 이동 가능하게 분리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키이홀과 가이드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저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 및,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에서 안내됨으로써 간격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키이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이를 가지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을 구비하는 키이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부 프레임에는 양측면 상승부, 중간 상승부 및, 그들 사이에 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중간 상승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와 동일한 평면상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부 프레임의 양측면 상승부에는 다수의 평행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저면의 스위치 유니트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다수의 평행한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슬롯내에서 상기 돌출부가 안내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부 프레임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저부 프레임의 수평 방향 이송을 검지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는 단면이 T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때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저부 프레임의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저면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유니트는,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 플레이트,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 회로 및 회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보호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엠보싱 부분을 가지는 고무 플레이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키이홀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엠보싱 부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키이 패드 조립체는, 대향하는 외측면에 커넥터와 삽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관통하는 키이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키이 패드 및, 상기 키이 패드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탄성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은 키이 패드 조립체의 커넥터를 근접한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의 삽입부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가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후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키이 패드 조립체들이 근접하였을때 서로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이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면에 플렌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형성된 키이 홀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 및, 상기 저부 프레임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는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들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이격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이동할때 상이한 위치의 키이홀 또는 스위치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부 프레임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는, 대향하는 외측면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관통하는 키이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키이 패드 및, 상기 키이 패드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탄성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키이패드들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도시된 것이다. 키이보드는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및 기타 장치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이보드(20)는 소정 위치에 정렬된 다수의 키이 패드 조립체를 구비한다. 키이 패드 조립체들은 키이보드(20)의 양 측부에 위치한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1,22,23,24,25 및 21',22',23',24')와, 중앙에 위치한 고정 키이패드 조립체(26,27,28,29,30)와, 그 이외의 키이 패드 조립체(35)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 번호 34 로 지시된 것은 측면 가이드로서, 이것은 이후에 설명될 스위치 유니트가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때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도 2의 키이보드를 확장된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키이패드들은 상호간의 간격이 확장된 상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키이패드들은 근접한 측면의 키이 패드 조립체에 대하여 커넥터(31,32)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키이 패드 조립체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이보드를 조작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즉, 도 2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이보드는 수축 및 확장 상태에서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키이 패드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키이보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이보드는 저부 프레임(41), 승강 플레이트(46), 스위치 유니트(410), 가이드 플레이트(420) 및, 중간 스위치 유니트(42)를 구비한다. 승강 플레이트(46)는 상기 저부 프레임(41)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저부 프레임(41)의 상부 표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스위치 유니트(410)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면에 설치되고,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42)의 이동시에 함께 이동하게 된다.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는 저부 프레임(41)에 형성된 중간 상승부(45)상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른 스위치 유니트(47)는 승강 플레이트(46)의 중앙 상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다.
저부 프레임(41)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는 측면 가이드(340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 가이드(34)는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때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저부 프레임(4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부 프레임(41)의 중심부 표면에는 중간 상승부(45)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측면 상승부(42)가 형성된다. 이들 상승부(42,45) 사이에는 넓은 면적의 저지대(480)가 형성되며, 그러한 저지대(480)에 승강 플레이트(46)가 안착된다. 승강 플레이트(46)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승강 플레이트(46)의 형상은 중간 및 측면 상승부(42,45) 사이에 형성된 저지대(480)의 형상과 일치한다. 측면 상승부(42)에는 슬롯(43)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46)를 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판 스프링(44)이 상기 저지대(480)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저지대(480)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에 판 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46)의 상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설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2 개의 부분으로 분리 형성되며, 중간의 스위치 유니트(425)를 향해서 근접되거나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그 상부에 다수의 키이 패드들이 설치되며, 키이 패드들은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따라서 측방향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사항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부에는 스위치 유니트(41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번호 435 및 445 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에 형성되는 키이홀이며, 이후에 설명될 키이 패드 조립체의 키이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스위치 유니트(410)의 저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부(440)가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부(440)는 저부 프레임(41)의 측면 상승부(42)에 형성된 슬롯(43)내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측방향으로 운동할때, 돌출부(440)는 슬롯(43)을 따라서 안내된다.
승강 플레이트(46)의 상부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47)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위치에 따라서 도시되지 아니한 키이 패드의 저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이 패드의 수축 상태에서는 두 부분으로 분리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중간의 스위치 유니트(425)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면에는 승강 플레이트(46)가 배치되고, 승강 플레이트(46)는 판 스프링(44)의 편향력에 반해서 저지대(480)내에 안착된 상태이다. 판 스프링(44)의 편향력은 가이드 플레이트(420)와 승강 플레이트(46)를 함께 상방향으로 밀어내려 하지만, 측면 가이드(34)는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상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므로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되지 아니한 키이 패드들은 가이드 플레이트(420)와 중간의 스위치 유니트(425)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키이 패드의 확장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중간의 스위치 유니트(425)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승강 플레이트(46)의 상부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46)가 키이 패드(미도시)의 저면으로 노출된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로부터 이격되면, 그 사이에는 승강 플레이트(46)의 스위치 유니트(47)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확장된 상태의 키이 패드 저면에는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 승강 플레이트의 스위치 유니트(425) 및,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동일 평면상으로 유지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면에 배치된 스위치 유니트(410),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 및, 승강 플레이트(46)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47)는 모두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이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키이 패드의 키이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키이 홀(435)을 통해서 스위치 유니트(410)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스위치 유니트(47,425,45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스위치 유니트와, 키이 패드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베이스(421)에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422)를 구비한다. 가이드(422)는 그 단면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키이 패드 조립체(550)의 플렌지(554)가 삽입된다. 키이 패드 조립체(550)는 가이드(422)를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421)에는 가이드(422)의 사이에 다수의 키이 홀(426)이 형성된다. 도 5 에서는 도시의 목적상 하나의 키이 홀(426)만이 도시되어 있다. 키이 홀(426)을 통해서 키이 패드 조립체(550)의 키이(560)가 삽입될 수 있다. 이후에 설명되는 키이 패드 조립체(550)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키이(560)는 고무 플레이트의 엠보싱 부분(56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엠보싱 부분(564)에 감싸인 접촉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다.
베이스(421)의 저면에는 스위치 유니트(410)가 설치된다. 스위치 유니트(41)는 저면 플레이트(51), 인쇄 회로 기판(52) 및, 고무 플레이트(53)로 구성된다. 저면 플레이트(51)는 스위치 유니트(410)의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스위치 유니트(410)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면 플레이트(51)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 회로 기판(52)에는 스위치 회로 및, 접촉 스위치(미도시)등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치 회로는 그 위에 설치된 고무 플레이트(53)에 의해 보호된다. 고무 플레이트(53)의 표면에는 엠보싱 부분(5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엠보싱 부분(564)을 누르면 그 아래에 배치된 접촉 스위치(미도시)가 작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스위치 유니트(47,425)의 구조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스위치 유니트(410)의 구조와 유사하다.
키이 패드 조립체(550)는 키이 패드(552) 및 하우징(540)을 구비한다. 하우징(540)의 측면에는 플렌지(554), 커넥터(562) 및, 커넥터 삽입부(556)가 형성된다. 키이 패드(552)는 하우징(54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키이 패드(552)와 하우징(540)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키이(560)는 키이 패드(55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이 패드(552)를 누르면 키이(560)가 고무 플레이트(53)의 엠보싱(564)을 누르게 된다. 하우징(540)의 저면에는 돌출부(558)가 형성되며, 이것은 가이드 플레이트(42)에 형성된 레일(428)에 삽입된다. 키이 패드 조립체(550)가 가이드(422)를 따라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돌출부(558)는 레일(428)을 따라 안내된다.
커넥터(554)는 하우징(540)의 삽입부(556)에 삽입됨으로써, 일련의 키이 패드 조립체 트레인을 구성한다. 즉,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키이 패드 조립체들은 커넥터(554)를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의 삽입부(556)내에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키이 패드 조립체 트레인을 구성하는 것이다. 키이 패드 조립체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근접하였을 경우에는 커넥터(562)가 삽입부(556)를 통해 하우징(54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이격 부재(566)는 키이 패드 조립체(550)들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 패드 조립체가 확장된 상태에서는 커넥터(562)가 하우징(54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도 5에 도시된 키이 패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이 패드(552)에는 후크(62)와 키이(5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62)와 키이(560)는 하우징(5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후크(62)는 하우징(540)에 형성된 스토퍼(65)에 걸리게 되어 있다. 스프링(61)은 키이(560)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540)에 내장되어 있으며, 키이 패드(552)를 상방향으로 탄성 편향 시킨다. 플렌지(554), 이격 부재(566), 커넥터(562)의 형상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하나의 키이 패드 조립체의 커넥터(562)가 근접한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의 삽입부(556)에 삽입됨으로써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이 형성된다는 것을 도 6을 통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커넥터(562)가 삽입부(55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562)의 저면에 후크(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 7에 도시된 것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상부에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된 키이 패드 조립체(55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가이드(423)는 키이 패드 하우징(540)의 플렌지(554)와 맞물림으로써, 키이 패드 조립체(550)가 가이드 플레이트(4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키이 패드(552)에 형성된 후크(62)가 하우징(540)에 형성된 스토퍼(65)와 맞물림으로써,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한 키이 패드(552)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도 알 수 있다. 키이(560)는 하우징(540)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돌출됨으로써, 그 하부에 배치된 고무 플레이트(53)의 엠보싱 부분(564)에 대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7에서 우측에 도시된 키이 패드 조립체(550)는 키이 패드(552)에 압력을 가한 상태이며, 반대로 좌측에 도시된 키이 패드 조립체(550)는 키이 패드(552)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이다. 키이 패드(552)에 압력을 가하면, 키이(560)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엠보싱 부분(564)을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서 회로 기판(52)에 설치된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도에 도시된 것은 복수의 키이 패드 조립체로 이루어진 트레인을 저면으로부터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이것은 키이 패드 조립체들이 상호 근접하여 있으며, 이것은 도 2 에 도시된 수축 상태에 해당한다. 커넥터(63)들은 인접한 키이 패드 조립체의 삽입부(556)를 통해 하우징(540)내에 완전히 삽입되며, 이때 이격 부재(566)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상호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도면 번호 82 로 표시된 것은 하우징의 저면을 일부 절개한 것을 나타낸다.
도 8b를 참조하면, 커넥터(63)는 하우징(54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커넥터(63)의 저면에 형성된 후크(63)가 삽입부(556) 내측에 걸림으로써 소정 간격내에 유지된다.
도 8a 및 도 8b 에 도시된 키이 패드 조립체의 배열은 도 2 및 도 3에서 측면 키이 패드 조립체의 구성에 해당된다. 즉, 도 8a 및 도 8b에서 최우측에 도시된 키이 패드 조립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1 내지 25 또는 21' 내지 25')에 해당하고,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는 그에 연결된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최우측의 키이 패드 조립체는 키이 보드의 측면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그로부터 연속되는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는 가이드 플레이트(420, 도 4)의 확장 및 수축에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상이한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심의 키이 패드 조립체에는 삽입부만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 및 우측의 키이 패드 조립체에는 그에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a는 키이 패드 조립체가 상호 근접한 상태이고, 도 9b는 키이 패드 조립체가 상호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중앙의 키이 패드 조립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중앙의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6,27,28,29,30)에 해당한다. 즉,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중앙의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를 고정시키고, 그 양측에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를 연결함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중앙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6,27,28,29,30)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키이 패드 조립체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수축시 또는 확장시에 스위치 유니트(47,410, 425)의 상이한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수축시에는 승강 플레이트(46)상의 스위치 유니트(47)가 키이 패드 조립체의 하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승강 플레이트(46)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47)는 키이의 작용을 받을 수 없다. 반면에,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확장시에는 모든 스위치 유니트(47,410,425)가 키이 패드 조립체의 하부에 노출되므로, 스위치 유니트(47)의 스위치들이 키이의 작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키이 패드 조립체(550, 도 5)의 갯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키이 패드 조립체의 하부에 모든 스위치 유니트(47,410,425)가 노출되었다 할지라도, 스위치 유니트에 형성된 모든 스위치들이 키이(560)의 작용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키이 패드 조립체와 스위치(즉, 엠보싱 부분(564))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회로 기판(52)상의 스위치가 활성이 되거나 또는 비활성이 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하부에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와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스위치 유니트(410)가 노출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모든 키이 홀에 키이 패드 조립체의 키이(560)가 삽입되지는 아니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에 형성된 스위치에는 도 2 및 도 3의 중앙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6,27,28,29,30)가 고정 상태로 대응된다. 한편, 최우측의 키이홀(430)내에 설치된 스위치에는 도 2 및 도 3의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1')에 대응하며, 마찬가지로 다른 고정 키이 패드 조립체(21-25, 22'-25')들도 고정된 상태로 해당 키이홀에 각각 대응한다.
그러나, 고정 상태가 아닌 키이 패드 조립체들은 수축시와 확장시에 각각 다른 키이홀에 대응된다. 즉, 키이홀(430)에 근접한 다른 키이홀(435)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수축되었을 경우에만 키이(560)가 삽입되는 반면에,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확장되었을때는 그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가 없어진다. 즉, 수축시에 키이홀(435)에 대응되었던 키이 패드 조립체는 근접한 다른 키이홀(445)에 대응되도록 이동한다. 이것은 물론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확장시에 키이 패드 조립체 사이의 간격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수축시와 확장시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키이홀들을 가이드 플레이트(420)상에 함께 형성함으로써, 키이들이 선택적으로 키이홀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승강 플레이트(46)의 스위치 유니트(47)가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와 가이드 플레이트(4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키이(560)가 대응될 수 있는 스위치의 수가 증가하며, 그에 따라 수축시에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키이홀을 통해서 스위치 유니트(47)의 스위치에 대응되었던 키이들중 일부는 키이 보드의 확장시에 승강 플레이트(46)의 스위치 유니트(47)의 스위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스위치들을 활성 또는 비활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용은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부 프레임(41)의 측면 가이드(34) 일측에 스위치(490)를 설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확장 상태인지 또는 수축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의 전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개략적으로 요약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키이 패드 조립체를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승강 플레이트(46)와 함께 저부 프레임(41)내에 안착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46)는 저지대(480)에 안착되며,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측면 가이드(34)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키이 보드의 수축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를 향해 근접한 상태이며,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46)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47)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부에 배치된다. 반면에,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위치 유니트(47)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와 중간 스위치 유니트(425) 사이로 상승하여 노출된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키이 패드 조립체(550)는 커넥터(562)가 근접한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의 삽입부(556)에 삽입됨으로써,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키이 패드 조립체 트레인은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가이드(422, 도 5) 사이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의 고정 키이(21-25, 21'-25')와, 중앙의 고정 키이(26-30)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저면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410) 및 중간의 스위치 유니트(425)의 해당 스위치에 대응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 키이들 사이에 연결된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는,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도 2 및 도 3의 수축 및 확장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키이 보드의 수축 및 확장시에는 키이 패드 조립체들(550)의 키이(560)가 대응되는 스위치가 달라진다. 키이 보드의 수축 및 확장 여부는 별도의 스위치(490, 도 4)를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단순히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키이보드를 확장 모드 또는 수축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는 키이 패드 사이의 간격이 자유롭게 확대되거나 수축될 수 있으므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표면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저부 프레임,
    상기 저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 또는 접근 이동 가능하게 분리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키이홀과 가이드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저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 및,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에서 안내됨으로써 간격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키이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이를 가지는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을 구비하는 키이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프레임에는 양측면 상승부, 중간 상승부 및, 그들 사이에 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중간 상승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와 동일한 평면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프레임의 양측면 상승부에는 다수의 평행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저면의 스위치 유니트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다수의 평행한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슬롯내에서 상기 돌출부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프레임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저부 프레임의 수평 방향 이송을 검지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는 단면이 T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때 상기 저부 프레임에 설치된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저부 프레임의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저면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니트는,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 플레이트,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 회로 및 회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보호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엠보싱 부분을 가지는 고무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키이홀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엠보싱 부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패드 조립체는,
    대향하는 외측면에 커넥터와 삽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관통하는 키이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키이 패드 및,
    상기 키이 패드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탄성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패드 조립체의 트레인은 키이 패드 조립체의 커넥터를 근접한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의 삽입부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패드 조립체들이 근접하였을때 서로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면에 플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형성된 키이 홀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 및, 상기 저부 프레임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는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다른 키이 패드 조립체들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이격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이동할때 상이한 위치의 키이홀 또는 스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프레임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응하는 키이 패드 조립체는,
    대향하는 외측면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관통하는 키이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키이 패드 및,
    상기 키이 패드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탄성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KR1019970076386A 1997-12-29 1997-12-29 키이보드 KR10025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386A KR100252116B1 (ko) 1997-12-29 1997-12-29 키이보드
JP10182733A JP2898280B1 (ja) 1997-12-29 1998-06-29 キーボード
DE19829693A DE19829693C2 (de) 1997-12-29 1998-07-02 Tastatur
CN98115643A CN1122912C (zh) 1997-12-29 1998-07-03 键盘
GB9814973A GB2332648B (en) 1997-12-29 1998-07-13 Keyboard
US09/127,872 US5951178A (en) 1997-12-29 1998-08-03 Expandable and compressible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386A KR100252116B1 (ko) 1997-12-29 1997-12-29 키이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391A true KR19990056391A (ko) 1999-07-15
KR100252116B1 KR100252116B1 (ko) 2000-04-15

Family

ID=1952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386A KR100252116B1 (ko) 1997-12-29 1997-12-29 키이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51178A (ko)
JP (1) JP2898280B1 (ko)
KR (1) KR100252116B1 (ko)
CN (1) CN1122912C (ko)
DE (1) DE19829693C2 (ko)
GB (1) GB23326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28B1 (ko) * 2000-02-01 2008-05-13 알에이에스티 어소시에이츠, 엘엘씨 키 크기가 조절되는 확장 및 축소형 키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944A (en) * 1998-03-18 2000-07-25 Butler; Robert B. Expandable keyboard including flexible flat cable conductors
JP3535758B2 (ja) * 1999-01-27 2004-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衛星放送受信用コンバータ
US6739774B1 (en) 2000-02-01 2004-05-25 Rast Associates, Llc Expandable and contractible keyboard with adjustable key sizes
AU2002360497A1 (en) * 2001-12-06 2003-06-23 Rast Associates, Llc Expandable and contractible keyboard device
US6875913B2 (en) 2002-10-30 2005-04-05 David N. Bubar Collapsible musical keyboard
US7850378B1 (en) * 2005-05-13 2010-12-14 Apple Inc. Webbed keyboard assembly
CN100363873C (zh) * 2005-07-28 2008-01-23 精元电脑股份有限公司 键盘组立系统
JP2009187299A (ja) * 2008-02-06 2009-08-20 Sony Corp キーボードおよび電子機器
US7780368B2 (en) * 2008-05-15 2010-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able key positioning on a keyboard
KR100983218B1 (ko) * 2008-06-12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8591128B2 (en) * 2009-07-01 2013-11-26 Nokia Corporation Extendable mechanism
GB2516810A (en) * 2013-06-06 2015-02-11 Dale Mcphee Purcock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 plate for an electronic keyboard
US9098250B2 (en) * 2013-07-17 2015-08-04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er assembly incorporating coupling within pantograph
KR101558810B1 (ko) * 2014-09-22 2015-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와 문지름 인식을 위한 음파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D911337S1 (en) * 2019-11-21 2021-02-23 Shenzhen Xiaoma Express Industry Co., Ltd. Keyboard
USD934247S1 (en) * 2020-01-14 2021-10-26 Shenzhen Hongtaiqi Technology Co., Ltd.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1343A (en) * 1990-01-18 1992-08-25 William H. Roylance Compressible/expandable keyboard with adjustable key spacing
US5163765A (en) * 1992-03-04 1992-11-17 Apple Computer, Inc. Collapsible keyboard
DE4342122C1 (de) * 1993-12-10 1995-04-27 Norbert Mueller Tastatur für Eingabeeinrichtungen
DE4343122A1 (de) * 1993-12-17 1995-06-22 Abb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ießharzes
EP0685860A1 (en) * 1994-06-03 1995-12-06 Hewlett-Packard Company Full travel, sealed, fully backlighted keyboard
US5677826A (en) * 1994-06-30 1997-10-1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Double spring collapsible keyboard structure for a notebook computer, responsive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mputer's lid via relatively shiftable key support structure and shift member
US5532904A (en) * 1994-06-30 1996-07-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llapsible keyboard structure for a notebook computer, responsive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mputer's lid
US5812116A (en) * 1996-05-30 1998-09-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profile keyboard
US5874696A (en) * 1996-08-12 1999-02-2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imited Key switch, keyboard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ith keyboard
US5767464A (en) * 1996-12-05 1998-06-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low profile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deployed and stored actuating mechanism
US5793605A (en) * 1997-04-01 1998-08-1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llapsible portable computer keyboard with resilient preload key stabilization
US5842798A (en) * 1997-12-04 1998-12-01 Shin Jiuh Corp. Computer key
US5850194A (en) * 1997-12-22 1998-12-15 Peripheral Technology, Inc. Computer ke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28B1 (ko) * 2000-02-01 2008-05-13 알에이에스티 어소시에이츠, 엘엘씨 키 크기가 조절되는 확장 및 축소형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2648B (en) 1999-11-17
JPH11203026A (ja) 1999-07-30
KR100252116B1 (ko) 2000-04-15
DE19829693C2 (de) 2000-09-07
CN1221903A (zh) 1999-07-07
GB2332648A (en) 1999-06-30
GB9814973D0 (en) 1998-09-09
CN1122912C (zh) 2003-10-01
US5951178A (en) 1999-09-14
DE19829693A1 (de) 1999-07-01
JP2898280B1 (ja) 199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116B1 (ko) 키이보드
US5504283A (en) Key switch device
US7034718B2 (en) Keyboard with elevated keys
KR100231679B1 (ko) 펜타그래프형 키보드스위치
CN109411282B (zh) 低行程受照按键机构
US20110114461A1 (en) Depressible key structure
JP2005302018A (ja) 上昇キーを備えたキーボード
TWI687952B (zh) 鍵切換裝置
JP3201175B2 (ja) キースイッチ
US4602138A (en) Keyboard with removable modular keys
KR920006423Y1 (ko) 키이보오드 스위치
EP0619588B1 (en) Key switch device
US6864449B2 (en) Keyswitch having bending links
ATE173860T1 (de) Elektrischer tastschalter
US9939919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JP329925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045296B2 (ja) キ―スイッチ
JP339284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203775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649189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H1040775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RU3057U1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клавишный
JP3392843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649198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CN114530343A (zh) 按键组件及键盘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