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218B1 -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218B1
KR100983218B1 KR1020080054947A KR20080054947A KR100983218B1 KR 100983218 B1 KR100983218 B1 KR 100983218B1 KR 1020080054947 A KR1020080054947 A KR 1020080054947A KR 20080054947 A KR20080054947 A KR 20080054947A KR 100983218 B1 KR100983218 B1 KR 100983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ink
guide
key receiving
keypa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948A (ko
Inventor
심선희
진재철
김영기
김기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18B1/ko
Priority to US12/482,865 priority patent/US20090309767A1/en
Publication of KR2009012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 H01H2223/052Casings convertible reductible in size, e.g. for transpor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키패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 가이드부, 구동부, 링크를 포함한다. 구동부가 가이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부와 링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키 받침부가 서로 간격을 넓힌다. 구동부가 가이드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키 받침부는 서로 간격을 좁힌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키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으므로 키 입력이 편리하다. 또한 링크에 형성된 결합 돌기의 위치를 조정하여 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키패드 모듈, 키 받침부, 링크, 확장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Module for extendable key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패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키패드 모듈에 실장된 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의 수행은 물론, 인터넷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문서 작성, 게임 등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입력하는 횟수가 많아진다.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크기를 작게 한다.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의 크기가 작아지며, 키들 사이의 간격도 좁아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입력하는데 많은 불편을 느낀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서 키를 크게 하거나, 키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면 휴대 단말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 하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키들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하면,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는데 불편하므로, 키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키가 움직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의 간격을 확장할 수 있는 키패드 모듈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키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키패드 모듈에 구비된 키들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하지 않고 균등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 가이드부, 구동부, 링크를 포함한다. 키 받침부에는 키가 실장된다. 키 받침부는 복수개일 수 있다. 가이드부는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한다. 구동부는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는 구동부와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한다. 복수의 키 받침부는 구동부의 이동에 의해 서로 간격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가이드부는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복수의 키 받침부의 이동에 따라 신장과 수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키 받침부에는 결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구멍은 구동부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 될 수 있다. 구동부에 가까이 위치한 키 받침부의 결합 구멍의 크기가 구동부로부터 멀리 위치한 키 받침부의 결합 구멍의 크기보다 더 작다. 링크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결합 돌기는 결합 구 멍 내에서 이동하면서, 복수의 키 받침부를 움직이게 한다. 구동부와 접한 키 받침부는 결합 돌기를 통해 구동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은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ED는 복수의 키 받침부가 간격을 넓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 가이드부,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제1 링크, 제2 링크를 포함한다. 키 받침부에는 키가 실장된다. 키 받침부는 복수개일 수 있다. 가이드부는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한다. 제1 구동부는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받침부는 제1 구동부가 위치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링크는 제1 구동부와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하고, 제2 링크는 제2 구동부와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한다. 제1 링크와 제2 링크는 끝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키 받침부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의 이동에 의해, 서로 간격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키 받침부에는 각각 결합 구멍이 형성된다. 결합 구멍은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제1 링크와 제2 링크는 각각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결합 돌기는 결합 구멍 내에서 이동하면서, 복수의 키 받침부를 움직이게 한다. 제1 구동부와 인접한 키 받침부는 결합 돌기를 통해 제1 구동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구동부와 인접한 키 받침부는 결합 돌기를 통해 제2 구동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가 홀수개인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키 받침부는 가이드부에 고정이 된다. 제1 링크와 제2 링크는 고정된 키 받침부의 결합 구멍 내에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가 짝수개인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두개의 키 받침부에는 링크 홈이 형성된다. 제1 링크와 제2 링크는 링크 홈 내에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 가이드부, 가이드 패널, 제1 링크, 제2 링크를 포함한다. 키 받침부에는 키가 실장된다. 키 받침부에는 결합 구멍이 형성된다. 가이드부는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한다. 가이드 패널은 가이드부에 고정 결합된다. 가이드 패널은 양 측에 이동 구멍이 형성된다. 가이드 패널은 중앙에 링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는 일단이 가이드 패널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 구멍과 연결된다. 제1 링크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제1 링크는 결합 돌기를 통해 복수의 키 받침부 중 일부의 결합 구멍과 연결된다. 제2 링크는 일단이 가이드 패널의 타측에 형성된 이동 구멍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링크와 연결된다. 제2 링크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제2 링크는 결합 돌기를 통해 복수의 키 받침부 중 일부의 결합 구멍과 연결된다. 제1 링크와 제2 링크는 링크 홈 내에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 모듈, 고정 케이스, 이동 케이스를 포함한다.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 가이드부, 구동부, 링크를 구비한다. 키 받침부에는 키가 실장된다. 가이드부는 키 받침부를 수용한다. 구동부는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링크는 구동부와 복수의 키 받침 부를 연결한다. 고정 케이스에는 가이드부가 실장된다. 이동 케이스는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부의 외부를 둘러싼다. 이동 케이스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키 받침부는 서로 간격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 모듈, 고정 케이스, 제1 이동 케이스, 제2 이동 케이스를 포함한다. 키패드 모듈은 키 받침부, 가이드부,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제1 링크, 제2 링크를 구비한다. 키 받침부에는 키가 실장된다. 가이드부는 키 받침부를 수용한다. 제1 구동부는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제2 구동부는 제1 구동부가 위치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링크는 제1 구동부와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한다. 제2 링크는 제2 구동부와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한다. 고정 케이스에는 가이드부가 실장된다. 제1 이동 케이스는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구동부의 외부를 둘러싼다. 제2 이동 케이스는 제1 이동 케이스와 반대측에서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구동부의 외부를 둘러싼다. 제1 이동 케이스와 제2 이동 케이스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키 받침부는 서로 간격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의 간격을 넓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키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키들 사이의 간격이 균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기는 폴더부(200)와 본체부(300)를 포함한다. 폴더부(200)는 표시부(210)를 구비한다. 본체부(300)는 고정 케이스(310), 이동 케이스(320), 키패드 모듈을 구비한다. 고정 케이스(310)에는 키패드 모듈이 실장된다. 이동 케이스(320)는 고정 케이스(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개의 이동 케이스(320)가 고정 케이스(31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개 또는 3개의 이동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폴더부(200)를 개방하여 표시부(2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스(310)와 이동 케이스(32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 모듈에 구비된 키(410)를 눌러서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이 좁아 사용자가 키를 누르기가 불편하다.
사용자는 키 입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케이스(320)를 고정 케이스(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케이스(320)의 이동에 의해 키패드 모듈에 구비된 키(410)는 서로 간격을 넓힌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키패드 모듈은 LED(Light Emitting Diode, 480)를 구비할 수 있다. LED(480)는 키 받침부의 하부에 위치한다. 키 받침부가 이동하여 키 간격이 넓어지면, LED(480)는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키 입력이 용이하며,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도 수려해진다.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이동 케이스(320)를 고정 케이스(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케이스(320)의 이동에 의해 키패드 모듈(400)에 구비된 키(410)는 서로 간격을 좁힌다. 이후, 폴더부(200)를 닫아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를 작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받침부에 키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실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받침부(420)에는 키(410)와 FPCB(430)가 실장될 수 있다. 키(410)는 소정 개수씩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키가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키(410)의 상부면에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이 인쇄될 수 있다. 키(410)와 키 받침부(420) 사이에는 FPCB(430)가 실장된다. FPCB(430)는 각각의 키 받침부(420)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FPCB 가 키패드 모듈 전체에 사용될 수도 있다.
키 받침부(420)에는 결합 구멍(421)이 형성된다. 결합 구멍(421)의 크기는 키 받침부(42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키 받침부(420)의 양 끝단에는 키(410)와 FPCB(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422)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는 결합 돌기(441, 451)를 구비한다. 결합 돌기(441, 451)는 각 링크(440, 450)와 연결되는 키 받침부의 수만큼 형성된다.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가 움직이면, 결합 돌기(441, 451)는 키 받침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 내에서 움직인다. 결합 돌기(441, 451)의 이동에 의해 키 받침부가 움직이게 된다.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크(440)의 끝단에는 끝단 돌기(442)가 형성되고, 제2 링크(450)의 끝단에는 끝단 구멍(452)이 형성된다. 제1 링크(440)의 끝단 돌기(442)가 제2 링크의 끝단 구멍(452)에 삽입되어,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400)은 키 받침부(420), 가이드부(460), 제1 구동부(470a), 제2 구동부(470b), 제1 링크(440), 제2 링크(450)를 포함한다. 키 받침부(420)에는 복수의 키가 실장된다. 가이드부(460)는 복수의 키 받침부(420)를 수용한다. 가이드부(460)는 가이드 레 일(461)을 구비한다. 키 받침부(420)는 가이드 레일(461)을 통해 가이드부(460)에 수용된다. 가이드 레일(461)은 복수의 키 받침부(42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부(460)의 외부로 신장하거나 내부로 수축이 가능하다.
제1 구동부(470a)는 가이드부(460)의 일측에서 가이드부(460)의 내외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2 구동부(470b)는 제1 구동부(470a)가 이동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가이드부(460)의 내외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케이스를 움직이면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가 움직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60)에 수용된 키 받침부(420)는 짝수개이다. 중앙에 위치하는 두 개의 키 받침부(420a, 420b)에는 링크 홈(422)이 형성된다.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는 링크 홈(422) 내에서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키 받침부(420)에는 결합 구멍(421)이 형성된다. 각각의 키 받침부(420)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크기는 제1 구동부(470a) 또는 제2 구동부(470b)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키 받침부일수록 커진다. 즉, 가이드부(460)의 중앙에 위치한 키 받침부(예를 들어, 420a, 420b)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크기가 가이드부(460)의 가장자리쪽에 위치한 키 받침부(예를 들어, 420c, 420d)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크기보다 크다.
제1 구동부(470a)와 접한 키 받침부(420c)는 제1 링크(440)에 형성된 결합 돌기에 의해 제1 구동부(470a)에 고정된다. 제2 구동부(470b)와 접한 키 받침부(420d)는 제2 링크(450)에 형성된 결합 돌기에 의해 제2 구동부(470b)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부(470a)와 접한 키 받침부(420c) 및 제2 구동 부(470b)와 접한 키 받침부(420d)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크기를 제1 링크(440) 및 제2 링크(450)에 구비된 결합 돌기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는 방법으로 고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에 구비된 결합 돌기(441, 451)는 키 받침부(420)에 형성된 결합 구멍(421)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의 이동에 의해 결합 돌기(441, 451)가 결합 구멍(421)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결합 돌기(441, 451)의 이동에 의해 키 받침부(420)가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가 키 사이의 간격을 넓히고 싶은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를 가이드부(4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으로 이동시킨다. 키 받침부(420)의 결합 구멍(421)은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되게 형성(본 실시예에서는 키 받침부(4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된다. 따라서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의 이동에 따라,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가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 링크(440)와 제2 링크(450)의 이동에 따라 키 받침부(420)는 서로 간격을 벌린다. 키 받침부(420)가 간격을 벌리는 것은 가이드 레일(461)의 신장에 의해 가능하다.
키 받침부(420)의 간격은 결합 돌기(441, 451)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결합 돌기(441, 451)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면, 키 받침부(420)의 간 격도 일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제1 구동부(470a)와 제2 구동부(470b)를 가이드부(4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키 받침부(420)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500)의 가이드부(560)에 수용된 키 받침부(520)는 홀수개이다. 제1 링크(540)와 제2 링크(550)는 중앙에 위치하는 키 받침부(520a)에 형성된 결합 구멍(521a) 내에서 서로 연결된다. 중앙에 위치하는 키 받침부(520a)는 가이드부(560)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키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70a)와 제2 구동부(570b)를 가이드부(4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중앙에 위치하는 키 받침부(520a)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 밖의 키패드 모듈(500)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모듈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600)은 하나의 구동부(670)를 포함한다. 구동부(670)가 위치한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위치한 키 받침부(620a)는 가이드부(660)에 고정된다. 링크(640)는 일단이 구동부(670)와 반대되는 측면에 위치한 키 받침부(620a)와 고정되고, 타단이 구동부(670)와 고정된다. 링크(640)에는 결합 돌기(641)가 형성되며, 링크(640)는 결합 돌기(641)를 통해 각각의 키 받침부(620)와 결합된다.
구동부(670)를 움직이면, 링크(640)가 움직이게 된다. 링크(640)가 움직이면, 결합 돌기(641)가 키 받침부(620)에 형성된 결합 구멍(621)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결합 돌기(641)의 이동에 의해 키 받침부(620)가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가 키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70)를 가이드부(6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링크(640)가 구동부(67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링크(640)의 이동에 의해 키 받침부(6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가이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패널(770)은 사각형의 패널(panel)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패널(770)은 양 끝단에 이탈 방지부(771)가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771)는 키 받침부가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가이드 패널(770)의 양 측에는 이동 구멍(772)이 형성된다. 가이드 패널(770)의 중앙에는 링크 홈(773)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모듈(700)은 키 받침부(720), 가이 드부(760), 가이드 패널(770), 제1 링크(740), 제2 링크(75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760)에는 복수의 키 받침부(720)가 수용된다. 가이드 패널(770)은 가이드부(760)에 고정 결합된다. 복수의 키 받침부(720)는 가이드 패널(770) 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링크(740)는 일단이 가이드 패널(770)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 구멍(772a)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740)에 이동 돌기를 형성하여, 이동 돌기가 이동 구멍(772a)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링크(750)는 일단이 가이드 패널(770)의 타측에 형성된 이동 구멍(772b)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링크(750)에 이동 돌기를 형성하여, 이동 돌기가 이동 구멍(772b)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의 이동 돌기는 이동 구멍(772a, 772b)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는 가이드 패널(770)의 링크 홈(773) 내에서 연결된다.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는 각각 결합 돌기를 통해 복수의 키 받침부(720) 중 일부의 결합 구멍(721)과 연결된다.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키 받침부(720a, 720b)는 각각 제1 링크(740), 제2 링크(750)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키 받침부(720a, 720b)가 이동하면,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도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가 키 사이의 간격을 넓히고 싶은 경우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키 받침부(720a, 720b)를 가이드부(7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키패드 모듈(700)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키 받침부(720a, 720b)는 이동 케이스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이동 케이스를 움직여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키 받침부(720a, 720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키 받침부(720a, 720b)가 움직이면,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가 움직이게 되고, 제1 링크(740)와 제2 링크(750)에 형성된 이동 돌기가 이동 구멍(772a, 772b)을 따라 이동한다. 그 밖의 키패드 모듈(700)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모듈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받침부에 키와 FPCB가 실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가이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8)

  1. 키가 실장되는 복수의 키 받침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서로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의 이동에 따라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에는 각각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결합 구멍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움직이게 하는 결합 돌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접한 키 받침부는 상기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는 구동부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상기 결합 구멍의 크기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간격을 넓히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7. 키가 실장되는 복수의 키 받침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제1 구동부;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제2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 중 일부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2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 중 일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서로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의 이동에 따라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에는 각각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결합 구멍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움직이게 하는 결합 돌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와 접한 키 받침부와 상기 제2 구동부와 접한 키 받침부는 상기 결합 돌기를 통해 각각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홀수개인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키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이 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고정된 키 받침부의 결합 구멍 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짝수개인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두개의 키 받침부에는 링크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링크 홈 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간격을 넓히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5. 키가 실장되며, 각각 결합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키 받침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 결합되며, 양 측에 이동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패널(panel);
    일단이 상기 가이드 패널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 구멍과 연결되며,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 중 일부의 결합 구멍과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 패널의 타측에 형성된 이동 구멍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며,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 중 일부의 결합 구멍과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 위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은 중앙에 링크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링크 홈 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17. 키가 실장되는 복수의 키 받침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상기 가이드부가 실장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외부를 둘러싸는 이동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케이스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서로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키가 실장되는 복수의 키 받침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제1 구동부와,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제2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하는 제1 링크와, 상기 제2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상기 가이드부가 실장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외부를 둘러싸는 제1 이동 케이스 및 제2 이동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케이스 및 상기 제2 이동 케이스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키 받침부가 서로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54947A 2008-06-12 2008-06-12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83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947A KR100983218B1 (ko) 2008-06-12 2008-06-12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2/482,865 US20090309767A1 (en) 2008-06-12 2009-06-11 Extendible keypad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947A KR100983218B1 (ko) 2008-06-12 2008-06-12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948A KR20090128948A (ko) 2009-12-16
KR100983218B1 true KR100983218B1 (ko) 2010-09-20

Family

ID=4141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947A KR100983218B1 (ko) 2008-06-12 2008-06-12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309767A1 (ko)
KR (1) KR100983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1728B (zh) * 2019-12-26 2021-04-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装配方法及拆卸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39B1 (ko) 2005-10-1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게임용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55275B1 (ko) 2005-07-29 2007-09-04 서해식 슬라이드 방식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확장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1343A (en) * 1990-01-18 1992-08-25 William H. Roylance Compressible/expandable keyboard with adjustable key spacing
JPH09212269A (ja) * 1996-02-02 1997-08-15 Omron Corp 可動式キーボード
US6563434B1 (en) * 1997-11-12 2003-05-13 Think Outs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key actuation in a keyboard
KR100252116B1 (ko) * 1997-12-29 2000-04-15 윤종용 키이보드
US6068417A (en) * 1998-03-18 2000-05-30 Butler; Robert B. Electrical key connection for expandable keyboard
US6918677B2 (en) * 1999-09-15 2005-07-19 Michael Shipman Illuminated keyboard
TW200301866A (en) * 2001-12-12 2003-07-16 Rast Associates Llc Expandable and contractible keyboard device
US6629794B2 (en) * 2002-02-19 2003-10-07 Motorola, Inc. Portable keyboard apparatus
US7104715B2 (en) * 2003-08-22 2006-09-12 Rast Associates, Llc Deployable keyboard device including displaceable keybutton positions for portable miniatur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75B1 (ko) 2005-07-29 2007-09-04 서해식 슬라이드 방식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확장구조
KR100664239B1 (ko) 2005-10-1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게임용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09767A1 (en) 2009-12-17
KR20090128948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8165B2 (ja) モバイル端末機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KR100721337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US7656662B2 (en) Dual sli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304215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tickup structure
US20060252471A1 (en) Tilting and sliding mobile device
CN101141502B (zh) 用于便携通讯设备的键盘输入装置及其滑动模块
US20070123295A1 (en) Mobile terminal
US8772652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JP2005086836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US20120306724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0721340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US2007023849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103253A1 (en) Electronic device
KR100983218B1 (ko)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6115111A (ja) 携帯情報端末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117442A (ko)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142554B1 (ko) 단말기 및 이의 슬라이딩장치
JP2005142728A (ja) 携帯型電子機器
CN104619111B (zh) 移动设备后盖释放机构、后盖以及相应的移动设备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9193667A (ja) 電子機器
KR100889098B1 (ko) 슬라이드부의 각도 조절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898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