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442A -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442A
KR20090117442A KR1020080043487A KR20080043487A KR20090117442A KR 20090117442 A KR20090117442 A KR 20090117442A KR 1020080043487 A KR1020080043487 A KR 1020080043487A KR 20080043487 A KR20080043487 A KR 20080043487A KR 20090117442 A KR20090117442 A KR 20090117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ey
keys
portable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호종
조순익
임승우
김희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442A/ko
Priority to US12/428,040 priority patent/US7952860B2/en
Publication of KR2009011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2 본체가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 본체, 제2 본체, 힌지를 포함한다. 제2 본체는 복수개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제1 본체가 제2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본체는 확장되며 복수개의 키는 서로 간격을 넓힌다. 제1 본체가 제2 본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본체는 수축되며 복수개의 키는 서로 간격을 좁힌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키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키 받침부, 링크, 이동 케이스, 구동부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Mobile terminal having keypad capable of extending}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제2 본체에 구비된 키의 간격이 변화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가 단순히 통신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문서 작성, 게임 등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의 입력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크기를 작게 한다.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들 사이의 간격도 좁아진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입력하는 데 많은 불편을 느낀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서 키를 크게 하거나, 키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면 휴대 단말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 하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의 간격이 좁으나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의 간격이 넓어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 내의 작은 공간에 키를 실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를 소형화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본체, 제2 본체, 힌지를 포함한다. 제2 본체는 복수개의 키를 구비한다. 힌지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연결한다. 제1 본체가 제2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본체는 확장되어 제2 본체에 구비된 복수개의 키는 서로 간격을 넓힌다. 제1 본체가 제2 본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본체는 수축되어 제2 본체에 구비된 복수개의 키는 서로 간격을 좁힌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2 본체는 고정 케이스와 이동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케이스는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동 케이스는 스프링을 통해 고정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케이스는 제1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2 본체는 복수개의 키 받침부와 복수개의 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키 받침부는 상부에 키가 실장된다. 키 받침부와 키 사이에는 FPCB가 실장될 수 있다. 링크는 이웃하는 키 받침부를 서로 연결하며, 이웃하는 링크끼리는 서로 연결된다. 이동 케이스는 복수개의 링크 중에서 양 끝단에 위치하는 링크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는 힌지와 접하는 위치에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케이스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기어일 수 있다. 즉, 구동부는 제1 기어이고, 힌지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서로 맞물려 작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가 압력 전달부와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 전달부는 힌지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다. 탄성부는 Y자 형상으로, 압력 전달부에 연결된다. 탄성부는 Y자로 갈라진 양단이 탄성을 가지고 움직인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가 간격을 넓히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를 사용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서 적은 공간에 키를 실장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 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제1 본체(200)와 제2 본체(300)를 밀착시켜놓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본체(300)를 제1 본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폴더(folder)형 휴대 단말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본체(200)가 제2 본체(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1 본체(200) 내부 면에 구비된 표시부(210)가 노출된다. 제1 본체(200)의 움직임에 의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300)는 확장된다. 제2 본체(300)는 고정 케이스(310)와 이동 케이스(320)를 구비한다. 고정 케이스(310)는 제1 본체(200)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적이다. 이동 케이스(320)는 고정 케이스(310)의 양 끝단에 스프링(315)을 통해 탄성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315)을 통해 이동 케이스(320)는 보다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이동 케이스(320)는 제1 본체(200)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케이스(310)의 양 끝단에서 고정 케이스(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본체(300)는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2 본체(300)가 확장됨에 따라, 제2 본체(300)에 구비된 키(330)들은 서로 간격을 넓힌다. 키(330)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키를 입력 할 수 있다. 특히, 문자 메시지 작성이나, 게임 등과 같이 키(330)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편리하다.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1 본체(200)를 제2 본체(3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200)를 제2 본체(300)를 결합시킨다. 이 때, 제2 본체(300)는 수축되며, 제2 본체(300)에 구비된 키(310)는 서로 간격을 좁힌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330)는 소정 개수씩 일체로 형성된 세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키가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키(330)는 세트 단위로 움직일 수 있다. 키(330)의 상부면에는 숫자 또는 입력 가능한 문자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330)의 하부면에는 접점(331)이 형성된다. 접점(331)은 키(330)의 입력을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전달한다. 접점(331)은 각각의 키(330)마다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받침부에 키와 FPCB가 실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받침부(340)는 세트로 형성된 키(330)를 실장할 수 있는 평판과 같은 형상이다. 키 받침부(340)의 양 끝단에는 세트로 형성된 키(3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341)가 형성된다. 키 받침부(340)는 일단의 하부에 링크의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342)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342)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의 이탈 방지부(341)는 고정 케이스 또는 이동 케이스에 형성된 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키(330)는 키 받침부(340)의 상부에 실장된다. 키(330)와 키 받침부(340) 사이에는 FPCB(350)가 실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60)는 바(bar) 형상이다. 링크(360)는 양 끝단에 키 받침부의 결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구멍(361)과 제2 구멍(362)이 형성된다. 제1 구멍(361)과 제2 구멍(362)은 크기가 서로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구멍(362)이 제1 구멍(361)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361)의 직경은 키 받침부의 결합 돌기의 직경과 거의 일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받침부와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링크(350a와 350b, 350b와 350c)는 키 받침부(320)의 결합 돌기(342)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크들(350a, 350b, 350c, …)이 계속 연결된다. 연결된 링크들(350a, 350b, 350c, …) 중에서 양 끝단에 위치하는 링크는 각각 이동 케이스와 연결된다. 제1 본체가 움직이면, 제2 본체의 이동 케이스가 움직인다. 이동 케이스가 움직이면, 그와 연결되어 있는 양 끝단에 위치하는 링크가 움직이게 된다. 양 끝단에 위치하는 링크가 움직이면, 각각의 링크들(350a, 350b, 350c, …)도 움직이게 된다. 각각의 링크들(350a, 350b, 350c, …)이 움직이면, 링크와 결합 돌기(342)를 통해 결합된 키 받침부(340)가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키 받침부(340)에 실장된 키의 간격이 변화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500)는 제1 기어(510)이다. 제1 기어(510)는 각각 이동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 축(52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400)는 제2 기어(410)를 구비한다. 제1 기어(510)는 제2 기어(410)와 맞물려 돌아간다.
제1 본체가 움직이면,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400)가 회전한다. 힌지(400)가 회전하면, 힌지(400)에 구비된 제2 기어(410)가 회전한다. 제2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410)와 맞물려 있는 제1 기어(510)가 회전하게 된다. 제1 기어(510)가 회전하면, 제1 기어 축(520)이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1 기어 축(520)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 케이스가 움직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0)는 압력 전달부(610)와 탄성부(620)를 구비한다. 압력 전달부(610)는 힌지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다. 탄성부(620)는 Y자 형상이다. 탄성부(620)는 탄성을 가지고 움직인다. 탄성부(620)의 일단은 압력 전달부(610)와 연결되고, 갈라진 양단은 각각 이동 케이스와 연결된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620)의 갈라진 양단은 가까이 붙어 있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제1 본체를 움직이면, 힌지가 구동부(600)의 압력 전달부(610)을 누르게 된다. 압력 전달부(610)가 눌러지면, 탄성부(620)의 갈라진 양단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620)의 갈라진 양단과 연결된 이동 케이스가 움직이게 된다.
이상에서 도 6과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동 케이스를 움직이게 하는 원리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2 본체의 이동 케이스를 움직이게 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PS(Global Postioning System) 장치,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받침부에 키와 FPCB가 실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받침부와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9)

  1. 제1 본체;
    복수개의 키를 구비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제2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2 본체는 확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키는 서로 간격을 넓히고,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제2 본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2 본체는 수축되며 상기 복수개의 키는 서로 간격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케이스는 상기 고정 케이스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부에 키가 실장된 복수개의 키 받침부와,
    이웃하는 키 받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링크는 이웃하는 링크끼리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키 받침부에 실장된 키와 상기 키 받침부 사이에 FPC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 중 양 끝단에 위치하는 링크는 상기 이동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힌지와 접하는 위치에 상기 이동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기어이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압력 전달부와, 상기 압력 전달부에 Y자 형상으로 연결되며 탄성을 가지고 움직이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43487A 2008-05-09 2008-05-09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117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87A KR20090117442A (ko) 2008-05-09 2008-05-09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2/428,040 US7952860B2 (en) 2008-05-09 2009-04-22 Mobile terminal having extendible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87A KR20090117442A (ko) 2008-05-09 2008-05-09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42A true KR20090117442A (ko) 2009-11-12

Family

ID=4126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487A KR20090117442A (ko) 2008-05-09 2008-05-09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2860B2 (ko)
KR (1) KR200901174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050B2 (en) 2011-08-03 2014-06-0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device having pivotally retractable keypad assembly
US8970477B2 (en) 2011-08-03 2015-03-0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device having retractable keypad assembly
US10152094B1 (en) * 2017-07-23 2018-12-11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307A (en) * 1994-03-23 1997-08-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with biased movable keyboard sections
US6536966B1 (en) * 1998-03-18 2003-03-25 Robert Brown Butler Expandable keyboard for small computer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9239A1 (en) 2009-11-12
US7952860B2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1695B (zh) 具有三个可移动层的电子设备
JP5238165B2 (ja) モバイル端末機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EP3198358B1 (en) Wireless gimbal connec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7579561B2 (en) Keypad coupl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101385405B (zh) 电子设备及滑动机构
US2009002783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8818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US8772652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20120306724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090117442A (ko) 확장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7459646B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8089776B2 (en) Side switch for a contact exposed on an edge of a circuit board and method
CN101822028A (zh) 便携式信息处理终端
US20080242377A1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22935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KR100983218B1 (ko)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336704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5023364B2 (ja) 携帯端末装置
US9699280B2 (en) Back cover releasing mechanism for mobile device, back cov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14851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shaft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86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KR20050075828A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604578B1 (ko) 가변형 파워커넥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