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542A -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542A
KR20080014542A KR1020060076410A KR20060076410A KR20080014542A KR 20080014542 A KR20080014542 A KR 20080014542A KR 1020060076410 A KR1020060076410 A KR 1020060076410A KR 20060076410 A KR20060076410 A KR 20060076410A KR 20080014542 A KR20080014542 A KR 2008001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portable terminal
control device
volume control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호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4542A/ko
Publication of KR2008001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한 쌍의 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부;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상기 돔 스위치들에 접촉하는 추진부들; 및 중앙에 형성된 관통 홀과,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 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는 상기 추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직선이동시켜 상기 돔 스위치들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량 조절 장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부품의 실장공간을 줄여 단말기의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음량 조절, 조작부, 추진부,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VOLUME CONTROL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가 음량 조절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의 추진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의 추진부가 복원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1: 신호전달부 102: 추진부
103: 조작부 111: 돔 스위치
113: 인쇄회로기판 121: 제1 추진체
123: 제2 추진체 125: 추진 스프링
131: 관통 홀 133: 톱니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로부터 단문 메시지, 모바일 뱅킹, 텔레비전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MP3와 같이 음악 파일 등의 압축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이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넘어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스윙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이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의 단말기이고, 스윙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의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상용화되었으며, 폴더형 단말기가 스윙 동작도 가능하게 구성된 복합형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시끄러운 장소, 조용한 장소 등 다양한 환경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이용되고 있으므로, 환경에 따른 통화 음량의 조절이 요구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는 음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버튼을 이용해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형, 사용자는 원형의 조작장치를 회전시키면서 음량을 조절하는 휠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음량 조절 장치의 활용되는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버튼형은 외력을 가해야 하기에 휠형보다는 조작에서 불편한 점이 있다. 휠형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전기 소자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큰 부품실장공간을 요구하여 단말기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고,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간편한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실장공간을 줄이고, 단말기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한 쌍의 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부;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상기 돔 스위치들에 접촉하는 추진부들; 및
중앙에 형성된 관통 홀과,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 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는 상기 추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직선이동시켜 상기 돔 스위치들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 도 5에 도시 됨)의 음량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음량 조절 장치(100)는 신호 전달부(101), 추진부(102) 및 조작부(103)가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신호 전달부(101)는 상기 단말기(10) 내에 고정되어 그 일면에는 한 쌍의 돔 스위치(111)(dome switch)들과, 상기 돔 스위치(111)들에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113)이 구비된다.
상기 돔 스위치(111)들은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여 그 형상이 변형되고, 이 힘이 제거되면 그 형상은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돔 스위치(111)의 변형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11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에 밀착되어 접촉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은 상기 돔 스위치(111)에 접촉됨과 동시에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돔 스위치(111)들 중 하나는 상기 단말기(10)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다른 하나는 상기 단말기(10)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추진부(102)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는 상기 돔 스위치(111)들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추진부(102)들은 각각 제1 추진체(121), 제2 추진체(123) 및 추진 스프링(1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추진체(121)는 그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돌출면(121a)을 구비하고, 그의 타단면은 상기 돔 스위치(111)에 대면하게 된다.
상기 제2 추진체(123)는 상기 제1 추진체(121)의 일단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2 추진체(123)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탄성력이 축적되면서 휘어지는 방향으로 그 형상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돔 스위치(111)가 변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는 상기 신호 전달부(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추진 스프링(125)은 상기 제1 추진체(121) 상에 권선되어 그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의 일면에, 그 타단이 상기 환형 돌출면(121a)의 일측면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추진 스프링(125)은 상기 제1 추진체(121) 상에 구속되고,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가 상기 신호 전달부(10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추진 스프링(125)은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가 이동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103)는 원형으로서, 그 중앙에는 관통 홀(131)이, 그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톱니(133)들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추진부(102)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단말기(10) 내에 회전운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말기(10) 내에는 상기 관통 홀(131)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103)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103)는 반 시계방향(A) 또는 시계방향(B)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톱니(133)는 상기 조작부(103)의 테두리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103)가 회전하면 상기 관통 홀(131)의 주변을 선회한다. 상기 톱니(133)는 상기 관통 홀(131)의 주변을 선회하면서 상기 제2 추진체(123)와 접촉한다.
상기 조작부(103)가 회전하면 상기 톱니(133)가 상기 제2 추진체(123)를 가압하고,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는 직선 이동하며 상기 추진 스프링(125)은 변형되어 탄성력을 축적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추진체(121)는 상기 돔 스위 치(111)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고 상기 돔 스위치(111)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에 의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03)가 더 회전하면 상기 제2 추진체(123)의 일단은 상기 톱니(133)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변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추진체(123)의 일단이 상기 톱니(133)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다가 상기 제2 추진체(123)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추진체(123)가 변형되고, 상기 추진 스프링(125)과 돔 스위치(11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는 상기 신호 전달부(10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100)가 음량 조절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100)의 추진부(102),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추진체(123)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100)의 추진부(102)가 복원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음량 조절 장치(100)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의 음량 조절 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의 우측면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는 상기 조작부(103)의 일부만이 상기 제1 하우징(11)의 외부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03)를 상기 반 시계방 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를 이용한 음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조작부(103)의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11)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03)를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톱니(133)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미끄럼없이 용이하게 상기 조작부(103)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음량을 증가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조작부(103)를 상기 반 시계방향(A)으로 조작하면 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103)가 상기 반 시계방향(A)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와 접촉된 상기 톱니(103)도 함께 회전함에 따라 점점 상기 제1 하우징(11)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톱니(133)는 상기 추진부(102), 특히 제2 추진체(123)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상기 톱니(133)가 상기 제2 추진체(123)의 단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는 상기 신호 전달부(101)에 근접하게 직선이동하고, 상기 추진 스프링(125)이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추진체(121, 123)가 상기 신호 전달부(101)에 근접하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111)는 변형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에 밀착되면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은 음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10)에 전달한다. 결국, 상기 단말기(10)는 스피커 장치(미도시)를 통해서 증가된 음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직선이동하는 상기 추진부(102)는 상기 신호 전달부(101)의 간섭으로 더 이상 직선이동을 할 수 없는 상태이나, 상기 조작부(103)에 의해 상기 톱니(133)는 상기 제2 추진 체(102)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다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추진체(125)의 외주면이 상기 톱니(133)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상기 톱니(133)는 더 이상 상기 제2 추진체를 가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추진 스프링(125)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제2 추진체(123)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돔 스위치(111)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또 다른 상기 추진부(102)는 상기 톱니(133)와 접촉하나, 상기 신호 전달부(101)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돔 스위치(111)를 변형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03)를 지속적으로 상기 반 시계방향(A)으로 조작하면 앞서 언급한 과정들을 반복하면서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는 점점 증가된 음량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의 위치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조작부(103)의 회전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를 이용한 음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은 상기 조작부(103)가 상기 시계방향(B)으로 조작되고, 상기 톱니가 또 다른 상기 추진부(102)와 접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상기 음량 조절 장치(100)를 이용한 음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 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조절 장치는 조작부의 일부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됨과 동시에 조작부가 회전운동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조작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힘을 전달하는 추진부 및 신호 전달부의 구성이 기계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됨과 아울러 단말기의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한 쌍의 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부;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상기 돔 스위치들에 접촉하는 추진부들; 및
    중앙에 형성된 관통 홀과,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 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는 상기 추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직선이동시켜 상기 돔 스위치들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일단부가 상기 돔 스위치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 돌출면을 포함하는 제1 추진체; 및
    상기 제1 추진체의 타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추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추진체는 상기 톱니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추진체를 직선이동시키고, 상기 제1 추진체가 직선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추진체는 휘어지는 방향으로 그 형상이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진체 상에 권선되어 구비되는 추진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추진 스프링은 상기 제1, 제2 추진체가 신호전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톱니가 상기 제1, 제2 추진체를 가압하고 상기 추진 스프링에는 탄성력이 축적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타단이 상기 환형 돌출면의 일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제1 추진체 상에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그 일부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들 중에서 하나는 상기 단말기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다른 하나는 상기 단말기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KR1020060076410A 2006-08-11 2006-08-11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KR20080014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10A KR20080014542A (ko) 2006-08-11 2006-08-11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10A KR20080014542A (ko) 2006-08-11 2006-08-11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542A true KR20080014542A (ko) 2008-02-14

Family

ID=3934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410A KR20080014542A (ko) 2006-08-11 2006-08-11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4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77B1 (ko) * 2016-12-15 2018-07-20 오성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CN113691656A (zh) * 2021-08-04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77B1 (ko) * 2016-12-15 2018-07-20 오성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CN113691656A (zh) * 2021-08-04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691656B (zh) * 2021-08-04 2023-08-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314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KR10093805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JP4746668B2 (ja) 伸縮自在式電話機
JP3972795B2 (ja) 開閉装置
US20110041634A1 (en) Swing-type portable terminal
US8330064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113790A (ko) 키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8346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키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10183354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KR2008001454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KR100386359B1 (ko)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KR10072491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160262B1 (ko)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JP3090102B2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通信装置
US8009064B2 (en) Data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3006868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1007033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KR1007545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42818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101229359B1 (ko) 휴대 단말기
KR20080046418A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JP3276811B2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